KR101546368B1 - 휴대용 확관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확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6368B1 KR101546368B1 KR1020140035857A KR20140035857A KR101546368B1 KR 101546368 B1 KR101546368 B1 KR 101546368B1 KR 1020140035857 A KR1020140035857 A KR 1020140035857A KR 20140035857 A KR20140035857 A KR 20140035857A KR 101546368 B1 KR101546368 B1 KR 1015463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pipe
- expanding
- diamet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30—Finishing tubes, e.g. sizing, burnis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확관기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의 직경 확장에 요구되는 공구인 바, 전방에 위치하여 파이프 확관 부위에 밀착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후방으로 체결되어 상기 캡부를 파이프 확관 부위로 밀착 유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서부터 진입되면서 상기 캡부의 선단으로 노출된 돌출부의 직경을 확장시키며 파이프 직경을 확장 유도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후미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를 정역회전시키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나사부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게 되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아파트나 주택 또는 건물 등지의 배관들이 집소된 협소 공간 내에서도 편리한 확관 작업 수행이 가능하고, 확관에 요구되는 힘을 작업자로 하여금 소모할 필요 없는 휴대용 확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확관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나 특히 동파이프의 구경을 확장시키는 휴대용 확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나 동파이프에 대한 구경을 확장하는 기기들로는 대부분 단번에 힘을 가하여 파이프나 동파이프의 구경을 확장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나사부에 확관기팁(13)을 나사 결합 할 수 있게 하고 중심부 수직안내공(1')으로 승강봉(9)이 안내되게 한 수동식 확관기에 있어서, 확관기 몸통(1)의 상단으로 "T"자형 고정편(2)을 형성하여 외측핀공(4b)에 고정핀(7)을 관통하여 작동간(4)의 연결편(4a) 외측핀공(4b)을 접속시키며, 수직안내공(1')과 상하로 일치되는 부분의 작동간 연결편에 경사장공(8)을 뚫고 승강봉(9)의 상단에 연결돌편(9a)을 형성하여 간격부(3)내에서 승강봉(9)의 연결돌편(9a)을 작동간의 경사장공(8)에 연결핀(11)으로 접속시키는 구조이다.
이처럼 확관기 몸통(1)의 손잡이(1a)를 잡고 작동간(4)을 집게처럼 벌리거나 오므리는 작동으로 승강봉(9)이 승강하여 그 침상확관부(9')가 수직안내공(1')에서 외측으로 강제 승강되기 때문에 확관작용을 위해 승강봉(9)을 하강시켜 파이프를 확관시키고, 작동간(4)을 벌리면 작동간의 연결편에 접속된 승강봉(9)이 강제적으로 상승되므로 확관 구멍이 승강봉의 침상확관부(9')를 심하게 협지할 경우라도 쉽게 뽑아 올릴 수 있는 작용을 함으로 파이프의 구경에 대한 확관 작업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확관기는 파이프 구경에 대한 확장 시 단번에 확장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 입장에서는 확장을 위해 소모되는 힘이 많아지며, 수회에 걸치는 확관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쉽게 피로감이 축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 확관기는 파이프의 확장 작업을 수행할 때 단번에 소모되는 힘으로 파이프 확장이 일어나기 때문에 작업자는 힘을 분산시킬 수 없어 단시간 내에 피로감이 축적되어 쉽게 지칠 수 밖에 없다.
또한, 확관기를 벌린 상태에서 오므리는 작동을 통하여 파이프 확장이 나타나기 때문에 확관기의 구조상 아파트나 주택 등지의 배관 집결지인 집소함 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성이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즉, 확관기의 구조상 펼치고 오므리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협소한 집소함 내에서의 확관기 동작이 자유로울 수 없고, 공간 제약으로 인하여 작업의 불편함이 야기된다.
아울러, 작업자는 확관 수행에 있어서 확관기를 단번에 가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파이프를 확관하는 확관기의 구성품에 가압힘이 집중됨으로 인하여 구성품의 파손률이 높고, 이로써 확관기의 잦은 교체에 드는 비용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확관기 이외에도 안출된 종래의 확관 기술들로는, 공개특허 제10-2005-0015876호, 등록특허 제10-033632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6883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2785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44184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파트나 주택 또는 건물 등의 배관 집결소인 협소한 집소함 내에서 편리하게 파이프의 구경에 대한 확장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휴대용 확관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구경에 대한 확장 작업 수행 시에 언제던 작업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휴대하여 확관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확관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 위치하여 파이프 확관 부위에 밀착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후방으로 체결되어 상기 캡부를 파이프 확관 부위로 밀착 유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서부터 진입되면서 상기 캡부의 선단으로 노출된 돌출부의 직경을 확장시키며 파이프 직경을 확장 유도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후미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를 정역회전시키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나사부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게 되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캡부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캡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확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경부는 절개된 다수의 부채꼴 형상을 갖는 부품들이 합치된 단품으로서, 상기 캡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확장 또는 수축 움직임을 갖게 되는 원반과, 상기 원반에 일체된 채 상기 캡부의 선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원반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확장 또는 수축 동작을 수행하고 확장 시에 파이프의 직경을 확장시키게 되는 돌출부와, 상기 원반의 테두리에 형성된 요홈조 면에 에워싸는 형태로 착설된 채 탄성력에 의해 확장된 상기 원반 및 돌출부를 수축하여 복귀시키는 O형 탄성부재와, 상기 원반과 상기 돌출부의 경계 부위를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반 및 상기 돌출부의 경계 부위에 대한 강성을 제공하는 단턱링과, 상기 돌출부의 내면 선단에서부터 상기 원반의 내면 후미에 이르기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부는, 가운데에 나사산 형태의 중앙홀을 형성한 원통과, 상기 원통 하부에서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작업자의 어느 한쪽 손으로 잡게 되는 손잡이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나사부는, 선단에 위치되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원통의 중앙홀을 관통하다가 상기 확경부의 원반에서부터 돌출부에 이르는 테이퍼부로 회전 진입하며 상기 원반 및 돌출부를 확장시킴과 동시 상기 돌출부로 하여금 파이프 직경을 확장하도록 유도하는 첨예부와, 상기 첨예부의 후미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원통의 중앙홀 내부로 회전 진입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의 후미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원통의 중앙홀 외부로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부와, 상기 탈거방지부의 후미에 연장 형성된 다각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나사부의 다각형부를 삽입하여 상기 나사부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어느 한쪽 손으로 잡게 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와 손잡이는 협소한 배관 집소지 내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캡부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캡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확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경부는 절개된 다수의 부채꼴 형상을 갖는 부품들이 합치된 단품으로서, 상기 캡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확장 또는 수축 움직임을 갖게 되는 원반과, 상기 원반에 일체된 채 상기 캡부의 선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원반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확장 또는 수축 동작을 수행하고 확장 시에 파이프의 직경을 확장시키게 되는 돌출부와, 상기 원반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으로 삽입 설치된 채, 자력에 의해 확장된 상기 원반 및 돌출부를 수축하여 복귀시키는 자석과, 상기 원반과 상기 돌출부의 경계 부위를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반 및 상기 돌출부의 경계 부위에 대한 강성을 제공하는 단턱링과, 상기 돌출부의 내면 선단에서부터 상기 원반의 내면 후미에 이르기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삽입홈 내에는 자석의 탈거 방지를 위한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부는, 가운데에 나사산 없이 좌우방향에 걸림홈을 함께 형성한 형태의 중앙홀을 형성하는 원통과, 상기 원통 하부에서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작업자의 어느 한쪽 손으로 잡게 되는 손잡이봉과, 상기 중앙홀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면서 상기 나사부의 인출을 신속히 유도하는 출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출입부재는, 중앙에 나사부를 삽입하는 나사산 형상의 홀과, 좌우 방향에 돌출되어 상기 원통의 중앙홀에 함께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출입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기구와, 상측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출입부재를 락킹 유도하는 걸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중앙홀의 내부 상측 일단부에는, 상기 출입부재의 걸착홈에 탄성력에 의한 걸림으로 상기 출입부재를 락킹시키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진출로로 형성된 진출홈과, 상기 진출홈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에 탄성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첨예부와 상기 나사산의 연결은, 상기 나사산의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볼이 상기 첨예부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휴대용 확관기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파트나 주택 또는 건물 등의 배관 집결소인 협소한 집소 공간 내에서의 파이프 확관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여 확관 작업의 효율뿐만 아니라, 확관 작업 시에 수반되는 작업자의 힘이 요구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확관 작업 수행에서 나타나는 피로감이 사라져 작업자의 확관 작업에 대한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확관기를 단번에 동작하여 확관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확관 구성품들의 파손 등을 줄여 확관기 교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확관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로 구성된 확관기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하여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캡 내부에 설치된 확경부를 상세히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구성품들을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확경부의 구성 일품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로 구성된 확경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로 구성된 확관기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품들을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로 구성된 확관기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구성품들을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로 구성된 확관기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하여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캡 내부에 설치된 확경부를 상세히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구성품들을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확경부의 구성 일품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로 구성된 확경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로 구성된 확관기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품들을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로 구성된 확관기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구성품들을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0)와, 몸체부(20)와, 나사부(30)와, 회동부(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캡부(10)는 몸체부(20)의 전면을 커버하는 형식으로 체결되어 파이프의 확경 부위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나사부(30)를 후방에서 진입 또는 진출시키며, 상기 나사부(30)는 상기 몸체부(20)에 진입되면서 상기 캡부(10)의 선단으로 노출된 돌출부(13)를 확장시켜 상기 돌출부(13)로 하여금 파이프의 구경을 확장시키도록 유도하고, 상기 회동부(40)는 상기 나사부(30)의 후방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30)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나사부(30)를 몸체부(20)로부터 진입 또는 진출시킨다.
상기 캡부(10)는 전면에 통공(10a)을 형성한 채, 내부로 설치되어 있는 확경부(11)를 포함하는 바, 상기 확경부(11)는 원 형태의 원반(12)과 상기 원반(12)에 일체된 채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13)는 상기 캡부(10)의 통공(10a) 외부로 노출되어 파이프의 확관에 해당되는 직경 부위에 삽입된다.
상기 원반(12)은 그 테두리를 따라 요홈조(12a)를 형성하는 바, 이러한 상기 요홈조(12a)에는 O형 탄성부재(14)가 탄성을 가진 상태로 착설되며, 상기 원반(12)과 상기 돌출부(13)의 경계 부위에 일체된 단턱링(1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원반(12) 및 상기 돌출부(13)의 안쪽 내면에는 경사진 테이퍼부(16)로 형성된다.
상기 원반(12)의 후면에는 와셔(17)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상기 와셔(17)는 캡부(10)의 내경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원반(12)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상술된 확경부(11)는 원반(12)과 돌출부(13)가 일체된 형상으로서 부채꼴 형상의 원반(12) 및 돌출부(13)가 절개된 상태로 합치된 형태를 갖는다.
즉,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원반(12) 및 돌출부(13)가 동일한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단품인 확경부(11)가 된다.
따라서, 부채꼴 형상의 원반(12) 및 돌출부(13)의 부품들이 합치되는 형태로 모여져 하나의 단품인 확경부(11)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원반(12)들은 상기 캡부(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13)들은 상기 캡부(10)의 통공(10a)을 관통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캡부(10)와 체결되는 상기 몸체부(20)는 원통(21)과 상기 원통(21)의 하부에서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봉(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21)의 중앙에는 나사산(21b)으로 형성된 중앙홀(21a)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중앙홀(21a)은 후술되는 나사부(30)를 진입시키는 구멍이며, 상기 손잡이봉(22)은 작업자가 어느 한 쪽 손으로 붙잡게 되는 용도이다.
상기 나사부(30)는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 폭이 좁아지는 첨예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첨예부(30a)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나사산(30b)을 형성하며, 상기 나사산(30b)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탈거방지부(30c)를 형성하고, 상기 탈거방지부(30c)의 후방으로 다각형부(30d)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나사부(30)는 상술된 원통(21)의 중앙홀(21a)에 진입되거나 후퇴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바, 이는 원통(21)의 중앙홀(21a)에 형성된 나사산(21b)에 상기 나사부(30)의 나사산(30b)이 치합된 상태로 정 역 회전하며 진입 또는 후퇴하게 된다.
상기 탈거방지부(30c)는 원통(21)의 중앙홀(21a)에 진입된 나사부(30)의 탈거를 방지하는 역할이며, 상기 다각형부(30d)는 후술되는 회동부(40)의 인입부(41)를 삽입 고정시켜 상기 회동부(40)의 정 역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부(30)의 정 역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동부(40)는 상술된 나사부(30)의 다각형부(30d)에 삽입되는 홀(41a)을 형성한 인입부(41)와 상기 인입부(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부(41)와 상기 손잡이부(42)는 힌지핀(43)에 의해 상호 힌지 상태로 연결되어 배관들이 집소된 협소한 공간 내에서의 작업 조건에 따라 손잡이부(42)를 젖히거나 펼치는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2)는 작업자가 어느 한 쪽 손으로 붙잡기 위한 용도로서 작업자가 가하는 회전력에 따라 회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부(1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확경부(11)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된 상기 요홈조(12a) 및 상기 요홈조(12a)에 착설된 O형 탄성부재(14)를 생략하는 대신에 다수개의 부품인 각 원반(12)들의 일측 면에서 내부로 각각의 삽입홈(12b)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각 삽입홈(12b)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자석(18)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의 자석(18)들은 확장된 각 원반(12)들을 상호 간 자력으로 당겨 수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O형 탄성부재(14) 및 요홈조(12a)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삽입홈(12b)에 삽입되어 결합된 자석(18)들이 외부로 탈거됨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상기 각 삽입홈(12b) 내부에 구비된 판스프링(12c)의 가압력에 의해 자석(18)들의 외부 탈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더 부가되는 출입부재(26) 및 원통(21)의 중앙홀(21a) 및 상기의 중앙홀(21a)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구(24) 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출입부재(26)는 원통(21)의 중앙홀(23)에서 회전 없이 소정의 가압력으로 자유롭게 인입 또는 인출되는데, 이는 원통(21)의 중앙홀(23) 내부로 진입한 나사부(30)를 인출하기 위한 회동부(40)의 역 회전 과정에 대한 생략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출입부재(26)는 상기 나사부(30)를 진입시키기 위한 나사산(21b)을 형성한 중앙홀(21a)이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구(26a,26b)가 형성되며, 상측 일단에 걸착홈(26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21)의 중앙홀(23)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23a,23b)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홈(23a,23b)은 상기 출입부재(26)를 상기 중앙홀(23)에 삽입 시에 돌기구(26a,26b)의 삽입으로 출입부재(26)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원통(21)의 중앙홀(23) 내부 상측 일단에 진출홈(23c)이 형성되고, 상기 진출홈(23c)의 내부에 압축스프링(25)과 함께 걸림구(24)가 구비되는 바, 상기 걸림구(24)는 상기 중앙홀(23)로 삽입되는 출입부재(26)의 걸착홈(26c)에 걸려 출입부재(26)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구(24)는 압축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출홈(23c)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중앙홀(23)에 삽입되는 출입부재(26)의 걸착홈(26c)에 걸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는,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나사부(30)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첨예부(30a)와 나사산(30b) 및 탈거방지부(30c)와 다각형부(30d) 형상은 동일하되, 상기 첨예부(30a)와 나사산(30b)이 일체형이 아닌 상호간 연결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즉, 상기 첨예부(30a)의 후미에 걸림공(32)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나사산(30b)의 선두에 연장되는 볼(31)을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볼(31)이 상기 걸림공(32)에 삽입된 채 걸려 있는 형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부(30)가 원통(21)의 중앙홀(21a)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첨예부(30a)가 캡부(10) 내에 있는 확경부(11)의 원반(12) 및 돌출부(13)에 형성된 테이퍼부(16)에 진입할 때 직진성으로 진입하며 상기 확경부(11)를 확장시킴에 따라 파이프(P)의 구경을 확장시킨다.
다시 말해 나사부(30)의 나사산(30b)은 원통(21)의 중앙홀(21a)에 형성된 나사산(21b)과 치합되며 회전 운동하는 반면, 상기 첨예부(30a)는 직진 운동을 수행하며 확경부(11)인 원반(12) 및 돌출부(13)들을 확장시킨다.
이처럼, 상기 첨예부(30a)의 직진 운동은 나산산(30b)의 선두에 연장된 볼(31)이 상기 걸림공(32) 내에서 헛돌며 회전하기 때문에 가능하고, 이러한 첨예부(30a)의 직진 운동이 요구되는 것은 나사부(30)의 나사산(30b) 마모로 인한 나사산(30b)의 회전 직진성에 대한 예측 불가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치우쳐 작용하는 나사산(30b)의 회전 직진력에 대응되는 돌출부(13)의 어느 한 부품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파이프(P)의 확관 구현에 해당되는 부위에 캡부(10)의 선단을 밀착시키고, 상키 캡부(10)의 선단으로 노출된 확경부(11)의 돌출부(13)는 파이프(P)의 구멍에 진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곧, 작업자는 회동부(40)의 인입부(41)에 형성된 홀(41a)을 나사부(30)의 다각형부(30d)에 삽입시킨 후, 회동부(40)의 손잡이부(42)를 손으로 붙잡은 채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부(30)의 나사산(30b)은 원통(21)의 중앙홀(21a)에 형성된 나사산(21b)과 물린 채로 회전하며 진입하게 된다.
이때, 나사부(30)의 첨예부(30a)는 캡부(10) 내에 있는 확경부(11)의 원반(12) 중앙으로 회전 진입하게 되면서 원반(12)과 돌출부(13)에 이르는 테이퍼부(16)로 회전 진입하여 상기 원반(12)들과 돌출부(13)들은 상호 간 벌어지게 된다.
이때, 원반(12)들과 돌출부(13)들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링(15)들은 캡부(10)의 통공(10a) 직경에 이르는 범위까지만 벌어져 원반(12)들 및 돌출부(13)들의 더 이상 벌어짐을 방지하며, 원반(12)들과 돌출부(13)들의 경계 부위에 해당되는 취약한 두께를 보완하여 강성을 제공함에 따라 확관 수행에 야기되는 집중 압력으로 인한 파손이나 금이 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곧, 상기 원반들 및 돌출부(13)들 상호 간 벌어짐으로 인하여 파이프(P)의 직경을 확장시키게 된다.
파이프(P)의 직경에 대한 확장을 수행한 후에, 작업자는 회동부(40)의 손잡이부(42)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부(30)의 첨예부(30a)는 원반(12)들 및 돌출부(13)들에 이르는 테이퍼부(16)로부터 후퇴하며 벗어나게 되고, 확장된 확경부(11)의 원반(12)들 및 돌출부(13)들은 O형 탄성부재(14)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원위치로 오므라들면서 복귀된다.
이후에 확관된 파이프(P)로부터 확관기를 분리시키면 소정의 확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확관에 소모되는 힘을 사용할 필요 없이 회동부(40)의 손잡이부(42)만을 돌림으로써 파이프 확관을 구현함에 따라 쉽게 피로에 지침 없이 간편히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에서는 확경부(11)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제1 실시와 동일하므로 그 작동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는 한편, 상기 확경부(11)는 나사부(30)의 첨예부(30a)가 회전 진입 시에 원반(12)들 및 돌출부(13)들의 상호 간 벌어짐 이후에, 첨예부(30a)의 후퇴 시 각 원반(12)들의 각 삽입홈(12b)에 삽입된 자석(18)들의 자력으로 인하여 본래 원위치로 복귀된다.
즉, 확경부(11)의 원반(12)들 및 돌출부(13)들은 자력에 의해 본래의 원위치로 오므라들며 복귀되고, 확경부(11)의 원반(12)들 및 돌출부(13)들의 복귀를 자석(18)들로 상술된 O형 탄성부재(14)를 대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실시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에서는 원통(21)의 중앙홀(23) 및 출입부재(26)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제1 실시와 동일하므로 그 작동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는 한편, 상기 출입부재(26)는 원통(21)의 중앙홀(23) 내부로 삽입될 때 출입부재(26)의 좌우 돌기구(26a,26b)가 중앙홀(23)의 좌우 걸림홈(23a,23b)으로 삽입되어 출입부재(26)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때, 출입부재(26)가 원통(21)의 중앙홀(23)에 진입되는 진입력에 의해 상기 중앙홀(23)의 상측 일단에 돌출된 걸림구(24)가 진출홈(23c)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걸림구(24)의 이동력에 의해 압축스프링(25)은 수축하게 된다.
이후, 출입부재(26)의 걸착홈(26c)이 걸림구(24)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걸림구(24)는 압축스프링(25)의 인장력에 따라 진출홈(23c)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이동하며 상기 출입부재(26)의 걸착홈(26c)에 안착되어 출입부재(26)를 락킹함에 따라 출입부재(26)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출입부재(26)가 중앙홀(23)에 완전히 진입한 이후에 나사부(30)의 나사산(30b)은 출입부재(26)의 중앙홀(21a)에 형성된 나사산(21b)과 맞물린 채로 회전하며 진입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첨예부(30a)가 확경부(11)를 확장시켜 확관 목적을 달성한 다음, 첨예부(30a)가 확경부(11)의 테이퍼부(16) 영역으로부터 벗어날 때까지만 작업자는 회동부(40)의 손잡이부(42)를 회전시키고 이후에는 나사부(30)를 더 이상 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 없이 잡아 당기게 되면 걸림구(24)가 출입부재(26)의 걸착홈(26c)으로부터 락킹 해제 되면서 출입부재(26)가 나사부(30)와 함께 원통(21)의 중앙홀(23)로부터 신속히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제3 실시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의 경우에는,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건물 등지의 배관 집소지에서 배관의 다량 확관 작업을 수행할 때 원통(21)으로부터의 나사부(30) 인출이 신속히 이루어져 배관의 다량 확관 작업에 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4 실시로 제작된 휴대용 확관기에서는 나사부(30)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제1 실시와 동일하므로 그 작동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는 한편, 상기 나사부(30)는 나사의 마모로 인한 나사부의 회전 직진성이 쏠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나사부(30)의 나사산(30b)은 회전할 때 확경부(11)의 테이퍼부(16)로 진입되는 첨예부(30a)는 나사부(30)의 나사산(30b) 회전과 관계 없이 직진성 이동을 수행하며 확경부(11)를 벌어지게 한다.
이 과정에서 첨예부(30a)의 걸림공(32)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볼(31)이 나사부(30)의 나사산(30b)과 함께 회전하여도 헛돌기 때문에 첨예부(30a)의 직진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나사산(30b)의 한쪽 쏠림으로 이동하는 직진력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확경부(11)의 돌출부(13)에 대한 파손이나 금이 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목적에 부응할 수 있다.
10 : 캡부
11 : 확경부 12 : 원반
13 : 돌출부 14 : O형 탄성부재
15 : 단턱링 16 : 테이퍼부
18 : 자석
20 : 몸체부 21 : 원통
22 : 손잡이봉 23 : 중앙홀
23a, 23b : 걸림홈 23c : 진출홈
24 : 걸림구 25 : 압축스프링
26 : 출입부재 26a, 26b : 돌기구
30 : 나사부 30a : 첨예부
30b : 나사산 30c : 탈거방지부
30d : 다각형부 31 : 볼
32 : 걸림공
40 : 회동부 41 : 인입부
42 : 손잡이부 43 : 힌지핀
11 : 확경부 12 : 원반
13 : 돌출부 14 : O형 탄성부재
15 : 단턱링 16 : 테이퍼부
18 : 자석
20 : 몸체부 21 : 원통
22 : 손잡이봉 23 : 중앙홀
23a, 23b : 걸림홈 23c : 진출홈
24 : 걸림구 25 : 압축스프링
26 : 출입부재 26a, 26b : 돌기구
30 : 나사부 30a : 첨예부
30b : 나사산 30c : 탈거방지부
30d : 다각형부 31 : 볼
32 : 걸림공
40 : 회동부 41 : 인입부
42 : 손잡이부 43 : 힌지핀
Claims (10)
- 전방에 위치하여 파이프 확관 부위에 밀착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후방으로 체결되어 상기 캡부를 파이프 확관 부위로 밀착 유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서부터 진입되면서 상기 캡부의 선단으로 노출된 돌출부의 직경을 확장시키며 파이프 직경을 확장 유도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후미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를 정역회전시키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나사부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게 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선단에 위치되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캡부에 이르기까지 회전 진입하게 되면서 상기 캡부를 확장시킴에 따라 파이프 직경을 확장 유도하는 첨예부;
상기 첨예부의 후미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중앙으로 회전 진입하는 나사산;
상기 나사산의 후미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탈거됨을 방지하는 탈거방지부;
상기 탈거방지부의 후미에 연장 형성된 다각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확관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나사부의 다각형부를 삽입하여 상기 나사부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인입부; 및 상기 인입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어느 한쪽 손으로 잡게 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와 손잡이는 협소한 배관 집소지 내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확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캡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확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경부는 절개된 다수의 부채꼴 형상을 갖는 부품들이 합치된 단품으로서, 상기 캡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확장 또는 수축 움직임을 갖게 되는 원반;
상기 원반에 일체된 채 상기 캡부의 선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원반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확장 또는 수축 동작을 수행하고 확장 시에 파이프의 직경을 확장시키게 되는 돌출부;
상기 원반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으로 삽입 설치된 채, 자력에 의해 확장된 상기 원반 및 돌출부를 수축하여 복귀시키는 자석;
상기 원반과 상기 돌출부의 경계 부위를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반 및 상기 돌출부의 경계 부위에 대한 강성을 제공하는 단턱링;
상기 돌출부의 내면 선단에서부터 상기 원반의 내면 후미에 이르기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테이퍼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삽입홈 내에는 자석의 탈거 방지를 위한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확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가운데에 나사산 없이 좌우방향에 걸림홈을 함께 형성한 형태의 중앙홀을 형성하는 원통;
상기 원통 하부에서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작업자의 어느 한쪽 손으로 잡게 되는 손잡이봉;
상기 중앙홀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면서 상기 나사부의 인출을 신속히 유도하는 출입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확관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재는,
중앙에 나사부를 삽입하는 나사산 형상의 홀;
좌우 방향에 돌출되어 상기 원통의 중앙홀에 함께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출입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기구;
상측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출입부재를 락킹 유도하는 걸착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확관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의 내부 상측 일단부에는,
상기 출입부재의 걸착홈에 탄성력에 의한 걸림으로 상기 출입부재를 락킹시키는 걸림구;
상기 걸림구의 진출로로 형성된 진출홈;
상기 진출홈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에 탄성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확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예부와 상기 나사산의 연결은,
상기 나사산의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볼이 상기 첨예부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확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5857A KR101546368B1 (ko) | 2014-03-27 | 2014-03-27 | 휴대용 확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5857A KR101546368B1 (ko) | 2014-03-27 | 2014-03-27 | 휴대용 확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6368B1 true KR101546368B1 (ko) | 2015-08-24 |
Family
ID=5406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5857A KR101546368B1 (ko) | 2014-03-27 | 2014-03-27 | 휴대용 확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6368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3671B1 (ko) * | 2016-02-16 | 2017-04-06 | 주식회사 유로텍솔루션 | 확관기용 헤드 |
KR20200014529A (ko) | 2018-08-01 | 2020-02-11 | 주식회사 제이씨이엔지 | 멀티레버를 구비한 확관기 |
KR20210002648U (ko) * | 2020-05-22 | 2021-11-30 | 변태원 |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
KR20210002791U (ko) * | 2020-06-05 | 2021-12-14 | 변태원 | 배관용 확관기 |
KR20230172712A (ko) | 2022-06-16 | 2023-12-26 | 오영철 | 에어컨 배관 확관기 |
RU2820184C1 (ru) * | 2022-04-21 | 2024-05-30 | Чжуцзи Итоп Хардвер Тулс Ко., Лтд. | Труборасширительные клещи (варианты)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2902A (ja) * | 2001-08-23 | 2003-03-05 | Mirai Ind Co Ltd | 流体管の拡径工具 |
KR100514369B1 (ko) * | 2004-03-09 | 2005-09-13 | 김재현 | 파이프 확관기 |
-
2014
- 2014-03-27 KR KR1020140035857A patent/KR1015463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2902A (ja) * | 2001-08-23 | 2003-03-05 | Mirai Ind Co Ltd | 流体管の拡径工具 |
KR100514369B1 (ko) * | 2004-03-09 | 2005-09-13 | 김재현 | 파이프 확관기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3671B1 (ko) * | 2016-02-16 | 2017-04-06 | 주식회사 유로텍솔루션 | 확관기용 헤드 |
KR20200014529A (ko) | 2018-08-01 | 2020-02-11 | 주식회사 제이씨이엔지 | 멀티레버를 구비한 확관기 |
KR20210002648U (ko) * | 2020-05-22 | 2021-11-30 | 변태원 |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
KR200496751Y1 (ko) | 2020-05-22 | 2023-04-18 | 변태원 |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
KR20210002791U (ko) * | 2020-06-05 | 2021-12-14 | 변태원 | 배관용 확관기 |
KR200496752Y1 (ko) * | 2020-06-05 | 2023-04-17 | 변태원 | 배관용 확관기 |
RU2820184C1 (ru) * | 2022-04-21 | 2024-05-30 | Чжуцзи Итоп Хардвер Тулс Ко., Лтд. | Труборасширительные клещи (варианты) |
KR20230172712A (ko) | 2022-06-16 | 2023-12-26 | 오영철 | 에어컨 배관 확관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6368B1 (ko) | 휴대용 확관기 | |
CN204216431U (zh) | 固定低压柜便捷的箱式变电站 | |
CA2867470A1 (en) | Retractable pliers | |
TWM553241U (zh) | 工具頭 | |
CA2850235C (en) | Automatic head-changing screwdriver | |
JP7241369B2 (ja) | コアビットのワンタッチロック機能を有するコアドリル | |
US10646906B2 (en) | Mechanism for retention of multiple apparatus on plumbing tools | |
CN117381678A (zh) | 一种便于拆卸钳头的钳子 | |
KR101045099B1 (ko) | 컨넥터 어셈블리 | |
CN105312478A (zh) | 铆螺母枪 | |
JP5792237B2 (ja) | 配電線用絶縁カバー | |
GB2471774A (en) | Pruning hook | |
US20160192959A1 (en) | Twin Forceps for Single Access Laparoscopy | |
KR100953206B1 (ko) | 페인트 롤러 | |
KR102342861B1 (ko) | 전동공구용 보조핸들 | |
JP5602036B2 (ja) | ネジ止め部材用取付治具 | |
KR101689141B1 (ko) | 사물함의 손잡이 일체형 잠금장치 | |
EP3753698A1 (en) | Drilling device for enlarged-diameter hole | |
CN215859553U (zh) | 斜舌换向结构及门锁 | |
EP2567788A2 (en) | Positioning assembly of a hand rivet nut tool | |
KR101669949B1 (ko) | 나사못 용 가압장치 | |
KR101403116B1 (ko) | 맞춤핀 제거기 | |
US11623255B2 (en) | Device for unclogging pumps and pipes | |
KR100999175B1 (ko) | 창호용 록킹장치 | |
CN219685434U (zh) | 一种变速箱手轴油封拆卸工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