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369B1 - 파이프 확관기 - Google Patents

파이프 확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369B1
KR100514369B1 KR1020040015963A KR20040015963A KR100514369B1 KR 100514369 B1 KR100514369 B1 KR 100514369B1 KR 1020040015963 A KR1020040015963 A KR 1020040015963A KR 20040015963 A KR20040015963 A KR 20040015963A KR 100514369 B1 KR100514369 B1 KR 10051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ipe
split
piece
inser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102004001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끝단이 파이프의 내경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을 따라 분할 중심구가 형성되며, 분할 중심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분할됨으로써 파이프를 확관시키는 분할편과; 분할편의 분할 중심구로 삽입되어 분할편을 방사형으로 분할시키는 삽입봉과; 분할편과 삽입봉의 위치 및 작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하우징과; 일측 끝단이 분할편에 삽입되는 반대편의 삽입봉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손잡이와, 일측 끝단이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구조로 제 1 손잡이와 결합되는 제 2 손잡이로 구성되는 손잡이와; 삽입봉의 삽입 거리를 조절하여 분할편의 분할동작 거리를 제한하는 확관크기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용이하게 파이프를 확관시킬 수 있으며 가해진 힘을 해제시키면 손잡이 및 승강봉이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고 파이프 확관 크기를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확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확관기 { Tube expander }
본 발명은 동파이프나 합성수지제 파이프(일명 : 엑셀파이프)를 확관시킬 때 사용하는 파이프 확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렛대 구조의 작동손잡이를 구비하여 작은 힘으로도 파이프를 용이하게 확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확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확관기라 함은 파이프 상호간의 연결작업이나 사이즈가 다른 파이프 상호간의 연결시, 또는 별도의 조립부재를 연결하고자 파이프의 선단을 필요한 형상으로 확관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종래 파이프 확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확관기는, 확관기 몸체(1) 상부의 고정편(2)에 설치한 작동손잡이(4)로 승강봉(7)을 승강하여 침상압지부(9)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분할편(14)을 가진 확관체(13)를 벌리고 오므려 파이프구경을 확관시키도록 구성되어있다.
작동손잡이(4) 선단은 고정편(2) 상부에 편심되게 축핀(6)으로 결합되고, 작동손잡이(4) 선단 일측에는 캠면(5')을 가진 작동편(5)이 형성되며, 일측 상단부에는 장공(11)이 형성되는 작동간(10)은 작동편(5)에 고정된 연결핀(12)에 의하여 결합되어있다. 또한, 작동간(10)의 하단부는 승강연결편(8)과 연결핀(12')으로 결합되고, 승강연결편(8)의 상부 일측은 곡면부(8')를 형성하여 상기 캠면(5)과 서로 대향된 상태로 서로 맞닿을 수 있게 하며, 상·하측에 스프링(13a)으로 탄지시킨 확관체(13)의 분할편(14) 하부의 안내돌부(15)에 방사형의 경사안내돌편(18)을 형성한 접속편(17)을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분할편(14)은 경사안내돌편(18)을 따라 벌어지게된다.
그리고 확관체(13) 중앙의 승강안내공(13')은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의 확관부(16)는 파이프 내경에 끼워져서 파이프를 확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도면중 미설명부호 3은 확관기 손잡이이다.
도 1b는 승강봉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래 파이프 확관기의 단면도이며, 도 1c는 승강봉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래 파이프 확관기의 단면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승되어 있는 승강봉(7)을 하강코자 하는 경우, 작동손잡이(4)를 축핀(6)을 따라 우측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편(5)의 캠면(5')이 축핀(6)을 축으로 하여 서로 맞닿은 승강연결편(8)의 곡면부(8')를 서서히 밀게되고, 이에 따라 승강봉(7)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만큼 하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파이프 확관기는, 작동손잡이(4)의 작동반경이 직각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일정크기 이상의 작업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동손잡이(4)의 작동을 위한 동작이 커지게 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확관기는 사용자가 작동손잡이(4)를 회전시킴으로 인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승강봉(7)을 파이프 내부로 직접 밀어넣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힘의 절감효과가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작동손잡이(4)를 회전시킨 후 작동손잡이(4)가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작동손잡이(4)를 원위치 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승강봉(7)을 삽입시키는 깊이에 따라 파이프의 확관 크기가 결정되므로, 파이프 확관의 크기를 일정한 규격으로 설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용이하게 파이프를 확관시킬 수 있으며, 가해진 힘을 해제시키면 손잡이 및 승강봉이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고, 파이프 확관 크기를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확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는, 일측 끝단이 파이프의 내경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을 따라 분할 중심구가 형성되며, 분할 중심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분할됨으로써 파이프를 확관시키는 분할편과; 분할편의 분할 중심구로 삽입되어 분할편을 방사형으로 분할시키는 삽입봉과; 분할편과 삽입봉의 위치 및 작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하우징과; 일측 끝단이 분할편에 삽입되는 반대편의 삽입봉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손잡이와, 일측 끝단이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구조로 제 1 손잡이와 결합되는 제 2 손잡이로 구성되는 손잡이와; 삽입봉의 삽입 거리를 조절하여 분할편의 분할동작 거리를 제한하는 확관크기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확관크기 조절수단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장축과 단축을 갖는 캠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하우징에 접촉되도록 중심축이 손잡이에 결합되어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캠과; 삽입봉이 분할편에 삽입되도록 손잡이가 동작되었을 때 외측 끝단이 제 1 손잡이 또는 제 2 손잡이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회전캠에 결합되는 삽입거리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삽입거리 조절나사는 제 1 손잡이 또는 제 2 손잡이 내측면과 외측 끝단간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나사결합 구조로 회전캠에 결합된다.
또한, 확관크기 조절수단은, 삽입거리 조절나사의 외측 끝단보다 먼저 제 1 손잡이 또는 제 2 손잡이 내측면에 접촉되어 손잡이가 원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복원스프링은 삽입거리 조절나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삽입거리 조절나사의 외측 끝단 보다 제 1 손잡이 또는 제 2 손잡이 내측면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길이를 갖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는, 파이프 내부로 삽입된 후 방사형으로 분할되어 파이프를 확관시키는 분할편(100)과, 분할편(100)을 분할시키는 삽입봉(200)과, 분할편(100)과 삽입봉(200)의 위치 및 작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하우징(300)과, 분할편(100)이 분할되도록 삽입봉(200)을 이동시키는 손잡이(400)와, 삽입봉(20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분할편(100)의 분할동작 거리를 제한하는 확관크기 조절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할편(100)은 일측 끝단이 파이프의 내경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의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분할되도록 다수개의 조각으로 나뉘어지며, 삽입봉(200)과 대응되는 편에는 중심축을 따라 수평방향의 분할 중심구(110)가 형성된다. 따라서, 분할편(100)은 일측 끝단이 파이프의 내경으로 삽입된 후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분할됨으로써 파이프를 확관시키게 된다.
삽입봉(200)은 손잡이(400)의 동작에 의하여 분할 중심구(110)로 삽입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삽입봉(200)은 분할 중심구(110)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봉(200)이 분할 중심구(110)에 삽입됨에 따라 분할편(100)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분할되어 벌어지게 된다.
또한, 삽입봉(200)은, 분할 중심구(110)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분할 중심구(110)로 삽입되는 측의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반대편 일측에는 손잡이(400)와의 결합을 위한 삽입봉 체결구(210)가 형성된다. 삽입봉(200)과 손잡이(400)와의 결합구조는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300)은, 분할편(100)의 위치 및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제 1 하우징(310)과, 제 1 하우징(310)과 결합됨과 동시에 삽입봉(200)의 위치 및 동작범위를 제한하는 제 2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하우징(310)은, 파이프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편의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부(312)가 형성되고, 분할편(100)이 방사형 분할될 때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분할편(100)이 벌어지는 방향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제 2 하우징(320)은, 제 1 하우징(310)과 결합되며, 삽입봉(200)이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봉(200)의 삽입을 위한 삽입봉 진입구(322)가 내부에 형성되고, 제 1 하우징(310)과 결합되는 반대편 끝단에는 손잡이(400)와의 결합을 위한 하우징 체결구(326)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봉 진입구(322)는 삽입봉 체결구(2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측면 일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하우징(310)과 제 2 하우징(320)은, 상호 맞닿는 부위에 암나사산(314)과 수나사산(324)이 각각 형성되어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데, 제 1 하우징(310)과 제 2 하우징(320)의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리벳결합이나 용접 등 다양한 결합구조로 변경이 가능하다.
손잡이(400)는, 제 1 결합핀(510)에 의하여 상측 끝단이 삽입봉 체결구(210)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손잡이(410)와, 제 2 결합핀(520)에 의하여 상측 끝단이 하우징 체결구(326)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손잡이(4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손잡이(410)와 제 2 손잡이(420)를 움켜쥠으로써 삽입봉(200)이 이송동작을 하게 되고, 삽입봉(200)의 이송동작에 의하여 분할편(100)은 방사형 분할되도록 벌어지게 된다.
제 2 손잡이(420)와 마주보는 측면의 제 1 손잡이(410) 상단 일부에는 제 2 손잡이(42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돌출부(416)가 형성되며, 제 1 돌출부(416)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캠결합구(414)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손잡이(410)와 마주보는 측면의 제 2 손잡이(420) 상단 일부에도 역시, 제 1 손잡이(4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 2 돌출부(426)가 형성되며, 제 2 돌출부(426)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캠결합구(424)가 형성된다.
제 1 손잡이(410)와 제 2 손잡이(420)는 제 1 캠결합구(414)와 제 2 캠결합구(424)에 체결되는 제 3 결합핀(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는데, 이때 제 3 결합핀은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게되므로, 삽입봉(200)은 제 1 손잡이(410)와 제 2 손잡이(420)를 움켜쥐는 사용자의 힘보다 더 큰 힘으로 이송된다.
확관크기 조절수단(600)은, 회전중심 지점에 캠중심구(612)가 구비되며, 양 끝단 부위가 장축이 되고 가운데 부위가 단축이 되는 반달 모양의 캠 형상으로 형성되고, 곡면이 제 2 하우징(320)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캠중심구(612)가 제 3 결합핀에 의하여 제 1 캠결합구(414)와 제 2 캠결합구(416)에 결합되는 회전캠(610)과; 삽입봉(200)이 분할편(100)에 삽입되도록 손잡이(400)가 동작되었을 때 외측 끝단이 제 1 손잡이(41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회전캠(610)에 결합되는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와;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외측 끝단 보다 제 1 손잡이(410) 내측면을 향해 더 돌출 되도록 길이를 갖는 코일형 스프링 형상의 복원스프링(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삽입거리 조절나사(620)는 제 1 손잡이(410) 내측면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나사결합 구조로 회전캠(610)에 결합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확관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할편(100)의 외측 끝단을 파이프(20)에 삽입시킨다.
이때, 분할 중심구(110)는 삽입봉(200)의 뾰족한 끝단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분할편(100)은 삽입봉(200)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벌어지지 아니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할편(100)이 벌어지지 아니하도록 삽입봉(200)이 후진되어있으면, 제 1 결합핀(510)과 제 2 결합핀(520)간의 거리는 최대한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손잡이(410)와 제 2 손잡이(420)는 하단부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개구부(312)의 내측면은 분할편(100)이 최대한 벌어지더라도 분할편(100)의 방사형 분할 동작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분할편(100)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회전캠(610)은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와 복원스프링(630)의 무게로 인하여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와 복원스프링(630)이 결합된 일측이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반대편 측은 제 2 하우징(320)의 하단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확관동작이 실행되었을 때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손잡이(410)와 제 2 손잡이(420)간의 하단부 거리가 좁아지도록 손잡이(400)를 움켜쥐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결합핀(530)을 중심으로 제 1 손잡이(4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손잡이(4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결합핀(510)은 제 2 결합핀(5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제 1 결합핀(510)에 결합된 삽입봉(200)은 분할편(100) 내부로 삽입되며, 분할편(100)은 방사형으로 분할되어 벌어져서 파이프(20)의 내경을 확관시키게 된다.
이때, 제 3 결합핀(530)과 제 2 하우징(320)간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회전캠(6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외측 끝단은 제 1 손잡이(41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삽입거리 조절나사(620)가 ?? 1 손잡이(41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면 제 1 손잡이(410)와 제 2 손잡이(420)간의 거리는 더 이상 좁혀지지 아니하므로, 분할편(100) 내부로의 삽입봉(200) 진입운동은 정지하게 되고, 분할편(100)도 더 이상 벌어지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삽입거리 조절나사(620)를 회전시켜 제 1 손잡이(410) 내측면과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삽입봉(200)의 진입 거리 및 분할편(100)의 분할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20)의 내경을 자신이 원하는 규격으로 확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3 결합핀(530)은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게되므로, 삽입봉(200)은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움켜쥐는 힘 보다 더 큰 힘으로 분할편(100) 내부로 삽입되고, 분할편(100)도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움켜쥐는 힘 보다 더 큰 힘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보다 용이하게 파이프(20)를 확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끝단이 제 1 손잡이(41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확관크기 조절수단(600)을 구성하고 있지만, 확관크기 조절수단(600)의 구성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끝단이 제 2 손잡이(4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손잡이(400)를 동작시켜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끝단이 제 1 손잡이(410) 내측면에 접촉되면, 복원스프링(63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어 제 1 손잡이(410)를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400)에 가해진 힘을 해제시키면, 복원스프링(63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캠(6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되고, 이에 따라 제 1 손잡이(410)와 제 2 손잡이(420)의 하단부 간의 거리가 벌어지게 되어 도 3a에 도시된 상태로 복원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확관크기 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확관동작이 실행되었을 때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확관크기 조절수단(600)은, 끝단이 제 1 손잡이(410) 내측면을 향하도록 제 2 손잡이(42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와,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외측 끝단 보다 제 1 손잡이(410) 내측면을 향해 더 돌출 되도록 길이를 갖는 코일형 스프링 형상의 복원스프링(630')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움켜쥐게 되면,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끝단이 제 1 손잡이(410)의 내측면에 접촉될 때까지 제 1 손잡이(410)와 제 2 손잡이(420)는 제 3 결합핀(530)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게 되고, 삽입봉(200)의 진입에 따라 분할편(100)은 방사형으로 분할되어 벌어지게 된다.
삽입봉(200)과 분할편(100)의 동작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확관크기 조절수단(600)은,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와 복원스프링(630')의 길이가 길어져야 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회전캠(610)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구성이 보다 간단해 지고 조립 공정이 단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를 사용하면, 손잡이에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보다 용이하게 확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에 가해진 힘을 해제시키면 손잡이 및 승강봉이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파이프의 확관 크기를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으로도 정밀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 파이프 확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승강봉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래 파이프 확관기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승강봉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래 파이프 확관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확관기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확관동작이 실행되었을 때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확관크기 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확관동작이 실행되었을 때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파이프 100 : 분할편
110 : 분할 중심구 200 : 삽입봉
210 : 삽입봉 체결구 300 : 하우징
310 : 제 1 하우징 312 : 개구부
314 : 암나사산 320 : 제 2 하우징
322 : 삽입봉 진입구 324 : 수나사산
326 : 하우징 체결구 400 : 손잡이
410 : 제 1 손잡이 412 : 제 1 체결구
414 : 제 1 캠결합구 416 : 제 1 돌출부
420 : 제 2 손잡이 422 : 제 2 체결구
424 : 제 2 캠결합구 426 : 제 2 돌출부
510 : 제 1 결합핀 520 : 제 2 결합핀
530 : 제 3 결합핀 600 : 확관크기 조절수단
610 : 회전캠 612 : 캠중심구
620 : 삽입거리 조절나사 630 : 복원스프링

Claims (5)

  1. 일측 끝단이 파이프(20)의 내경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을 따라 분할 중심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 중심구(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분할되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분할편(100);
    상기 분할 중심구(110)로 삽입되어 상기 분할편(100)을 방사형으로 분할시키는 삽입봉(200);
    상기 분할편(100)과 상기 삽입봉(200)의 위치 및 작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하우징(300);
    일측 끝단이 상기 삽입봉(200)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손잡이(410)와, 일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30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1 손잡이(410)와 힌지 결합구조로 결합되는 제 2 손잡이(420)로 구성되는 손잡이(400);
    상기 삽입봉(200)의 삽입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분할편(100)의 방사형 분할동작 거리를 제한하는 확관크기 조절수단(6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크기 조절수단(600)은,
    곡면이 상기 하우징(300)에 접촉되도록 중심축이 상기 손잡이(40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40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캠(610);
    상기 삽입봉(200)이 상기 분할편(100)에 삽입되도록 상기 손잡이(400)가 동작되었을 때 외측 끝단이 상기 제 1 손잡이(410) 또는 상기 제 2 손잡이(4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캠(610)에 결합되는 삽입거리 조절나사(6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거리 조절나사(620)는,
    상기 제 1 손잡이(410) 또는 상기 제 2 손잡이(420)의 내측면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 구조로 상기 회전캠(6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크기 조절수단(600)은,
    상기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외측 끝단이 상기 제 1 손잡이(410) 또는 상기 제 2 손잡이(420) 내측면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400)가 원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63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스프링(630)은,
    상기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삽입거리 조절나사(620)의 외측 끝단 보다 상기 제 1 손잡이(410) 또는 상기 제 2 손잡이(420)의 내측면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길이를 갖는 코일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기.
KR1020040015963A 2004-03-09 2004-03-09 파이프 확관기 KR100514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963A KR100514369B1 (ko) 2004-03-09 2004-03-09 파이프 확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963A KR100514369B1 (ko) 2004-03-09 2004-03-09 파이프 확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4369B1 true KR100514369B1 (ko) 2005-09-13

Family

ID=3730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963A KR100514369B1 (ko) 2004-03-09 2004-03-09 파이프 확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3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20B1 (ko) 2013-06-20 2015-03-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확관가공장치
KR101546368B1 (ko) * 2014-03-27 2015-08-24 명은상 휴대용 확관기
KR101633355B1 (ko) 2016-02-25 2016-06-27 주식회사 동현정밀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KR20160125631A (ko) 2015-04-22 2016-11-01 박창국 확관기
KR101723671B1 (ko) * 2016-02-16 2017-04-06 주식회사 유로텍솔루션 확관기용 헤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20B1 (ko) 2013-06-20 2015-03-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확관가공장치
KR101546368B1 (ko) * 2014-03-27 2015-08-24 명은상 휴대용 확관기
KR20160125631A (ko) 2015-04-22 2016-11-01 박창국 확관기
KR101723671B1 (ko) * 2016-02-16 2017-04-06 주식회사 유로텍솔루션 확관기용 헤드
KR101633355B1 (ko) 2016-02-25 2016-06-27 주식회사 동현정밀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5225B (zh) 組裝骨骼固定裝置用之器具和系統及方法
US6660005B2 (en) Vertebra correcting and fixing device
US5041818A (en) Lid with movement control device
BR0313554B1 (pt) Curvador de tubo e método de uso do mesmo
KR100514369B1 (ko) 파이프 확관기
US20170225218A1 (en) Compression connection device for pipe
JPH0219465Y2 (ko)
JP2002539885A5 (ko)
KR101838916B1 (ko) 동파이프 확관기
RU2013109404A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обжимаемый сфер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способ обжатия и обжимающая система
US20070042630A1 (en) Connector housing
US4201367A (en) Chain stretcher apparatus
JPH05209609A (ja) 着脱自在な装置
US2769358A (en) Hand actuated pipe wall extrusion tool
US4325536A (en) Butterfly valve with self locking disc
KR200496752Y1 (ko) 배관용 확관기
JP2019030660A (ja) 受け部および受け部を保持するための器具
US2819637A (en) Basin wrench
US4118966A (en) Tool for wall anchors
US4840360A (en) Expanding mandrel
JP3220383U (ja) パイプロック
US2266929A (en) Clamp
ATE399916T1 (de) Schliesszylinder
EP1055593A3 (en) U-shaped antitheft device
US5224401A (en) Vicing tool for internally gripping hollow bodies, in particular, those of tubular n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