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978B1 - 파이프 확관 펀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확관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978B1
KR101603978B1 KR1020150171567A KR20150171567A KR101603978B1 KR 101603978 B1 KR101603978 B1 KR 101603978B1 KR 1020150171567 A KR1020150171567 A KR 1020150171567A KR 20150171567 A KR20150171567 A KR 20150171567A KR 101603978 B1 KR101603978 B1 KR 10160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pansion
ball
expanded
exp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왕
Original Assignee
정구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6499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039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구왕 filed Critical 정구왕
Priority to KR102015017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978B1/ko
Priority to PCT/KR2016/009817 priority patent/WO2017039366A1/ko
Priority to JP2018512300A priority patent/JP6542984B2/ja
Priority to US15/755,173 priority patent/US2018025712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14Tube expanders with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1Enlarging by means of tube-flaring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확관 펀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 드릴이나 충전 드릴을 이용해 타격을 하여 파이프를 확관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용 파이프 확관 펀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확관 펀치는, 확관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부분(이하 확관부)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구비되는 확관볼과, 상기 확관볼과 일체로 형성되고 드릴에 결합 고정되어 드릴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확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이프 확관 펀치 {Pipe expanding punch}
본 발명은 파이프 확관 펀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 드릴이나 충전 드릴을 이용해 타격을 하여 파이프를 확관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용 파이프 확관 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에어컨, 정수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는 냉각을 위하여 냉동 사이클이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전제품의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와 응축기는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응축기와 증발기는 냉매 공급관을 거쳐 모세관으로 연결되며, 증발기와 압축기는 흡입파이프로 연결된다.
이러한 냉동 사이클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거쳐 모세관을 통과한 저온·저압의 액체 냉매가 증발 잠열을 흡수하여 냉각작용을 하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동사이클은 냉매가 압축기의 구동으로 증발기로부터 응축기와 모세관을 통해 다시 증발기로 순환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냉동사이클에 제공된 연결관, 냉매 공급관, 모세관, 흡입파이프 등은 동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며,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선단부는 소정의 직경으로 확관하여 하나의 파이프를 다른 파이프에 삽입한 상태로 용접을 통하여 연결하게 된다.
상기 파이프를 확관하기 위해서 확관시킬 파이프 내경에 파이프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단단한 재질의 확관볼을 삽입시켜 파이프의 내경과 외경을 동시에 확장시켜야 하고, 이때 확관볼은 로드 바라는 환봉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종래 확관볼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파이프를 확관하는 경우, 파이프의 사이즈별로 확관볼의 외경을 계단식으로 형성하여 파이프에 삽입한 후, 파이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확관볼에 결합된 로드 바를 망치 등으로 뒤에서 타격하여 확관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확관볼 외경은 진원형으로 이루어져 확관 작업시 부하를 많이 받아 열이 많이 발생하고 파이프의 확관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망치 등을 손으로 잡고 수동으로 타격하므로 무거운 망치의 휴대로 활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확관 작업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0715892호(등록일자 2007년05월0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경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확관볼과 드릴에 의해 확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를 일체로 형성하여, 확관 작업시 열이 덜 발생하고 파이프의 확관이 잘 되며, 드릴을 이용하여 확관하므로 힘이 덜 들어가고 망치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하기 편리한 파이프 확관 펀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파이프 확관 펀치는, 확관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부분(이하 확관부)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구비되는 확관볼;
상기 확관볼에 일체로 형성되고 드릴에 결합 고정되어 드릴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확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확관부의 외경은 반지름이 동일하지 않은, 둥근 타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볼 단부의 도입부 외경은 파이프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도입부와 확관부 사이는 테이퍼진 제1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부가 2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두 확관부 사이는 테이퍼진 제2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볼의 외주면에는 왼나사 방향이나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골과 나사산이 교대로 형성된 왼나사부나 오른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산은 외측으로 둥근 모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산의 폭이 나사골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입부가 좌측을 향하고 오른나사부인 경우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면의 제1,2단턱을 좌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지나는 대각선의 위쪽으로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도입부가 좌측을 향하고 왼나사부인 경우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면의 제1,2단턱을 우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지나는 대각선의 아래쪽으로 나사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볼을 수평과 수직으로 4분할하는 경우 수직선을 기준으로 확관볼의 회전방향에 따라 반지름이 큰 면의 앞측 상부 사분면 일부를 다수의 확관부와 제1,2단턱에 걸쳐 평평하게 잘라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진 제1,2단턱은 연마되어 하나 이상의 연마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마면은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면의 테이퍼진 제1,2단턱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충전 드릴의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서 6각형의 봉으로 이루어지거나,
앵커 드릴의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서 환봉 외주면에 끼움홈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사이의 외주면에 고정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외경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확관볼과, 드릴을 이용하여 확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를 일체로 형성하여, 확관 작업시 열이 덜 발생하고 파이프의 확관이 잘 되며, 드릴을 이용하여 확관하므로 힘이 덜 들어가고 망치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확관 펀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확관볼의 외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확관 펀치의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3에 나타낸 확관볼의 외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파이프 확관 펀치를 이용한 파이프 확관 작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관볼의 정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관볼의 정면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확관볼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a와 도 8a에 나타낸 확관볼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확관 펀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확관볼의 외경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충전 드릴에 사용하는 경우의 확관 펀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관 펀치(10)는 확관볼(20)과 홀더(30)가 단단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확관볼(20)은 확관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관부(22)가 형성되고, 파이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확관볼(20) 단부의 도입부(24)는 그 외경이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확관부(22)와 도입부(24) 사이에는 파이프의 확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단턱(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관부(22)의 외경은 반지름이 동일하지 않은 둥근 원으로 된, 타원형의 형상을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22)의 외경이 16.7mm인 경우 그 반지름(R)이 8.85로 일정하기 않고 8.35, 8,85, 9.6으로 반지름이 서로 달라,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둥근 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30)는 충전 드릴에 결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충전 드릴이 갖는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서, 6각형의 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확관볼(20)과 홀더(30)는 하나로 일체화되되, 확관볼(20)과 홀더(30) 사이에는 확관부(2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스토퍼(40)가 구비되어 파이프가 더 이상 확관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충전 드릴은 주로 회전에 의해 구멍을 천공하는 용도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임팩트 드라이버를 이용해 확관 펀치(10)를 타격하여 파이프를 확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확관 펀치의 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3에 나타낸 확관볼의 외경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앵커 드릴을 하용하는 경우의 확관 펀치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관 펀치(50)는 확관볼(60)과 홀더(70)가 단단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확관볼(60)은 내경이 다른 2개의 파이프를 하나의 확관 펀치(50)로 확관할 수 있도록 확관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관부가 2개(제1,2확관부(61,62)) 형성되고, 제1확관부(61)와 제2확관부(62) 사이에는 파이프의 확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단턱(64)이 형성된다.
또한, 파이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확관볼(60) 단부의 도입부(63)는 그 외경이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확관부(62)와 도입부(63) 사이에도 파이프의 확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단턱(6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확관부(61)와 제2확관부(62)의 외경은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둥근 원으로 된 타원형의 형상을 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확관부(62)의 외경이 7mm인 경우 그 반지름(R)이 3.5로 일정하기 않고, 3.43, 2,88, 4.8로 반지름이 서로 달라, 반지름이 동일하지 않은, 둥근 원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확관부(61)의 외경이 10.5mm인 경우 그 반지름(R)이 5.25로 일정하기 않고, 5.18, 4,63, 6.55, 5.25로 반지름이 서로 달라, 반지름이 동일하지 않은 둥근 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70)는 앵커 드릴에 결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앵커 드릴이 갖는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원형의 환봉 외주면에 끼움홈(72)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72) 사이의 외주면에 고정홈(74)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끼움홈(72)은 원형의 환봉 단부에서 도중에까지 형성되고, 고정홈(74)은 원형의 환봉 도중에 형성된다.
상기 확관볼(60)과 홀더(70)는 하나로 일체화되되, 확관볼(60)과 홀더(70) 사이에는 확관볼의 제일 큰 외경 즉, 제1확관부(6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스토퍼(80)가 구비되어 파이프가 더 이상 확관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앵커 드릴은 타격이나 회전에 의해 구멍을 천공하는 용도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타격에 의해 파이프를 확관하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파이프 확관 펀치를 이용한 파이프 확관 작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앵커 드릴(B)에 확관 펀치(50)의 홀더(70) 부분을 결합 고정하고 확관볼(60)의 단부인 도입부(63)가 파이프의 내경을 향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앵커 드릴(B)의 헤딩 작동으로 확관 펀치(50)를 통하여 파이프(P)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관볼(60)의 확관부(61 또는 62)를 파이프(P) 내부에 삽입시킴으로써 파이프(P)의 내경과 외경이 동시에 확장되어 확관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또제3 실시예에 따른 확관볼의 정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둥근 원으로 된 타원형의 형상을 하는 확관볼(100)은, 내경이 다른 2개의 파이프를 하나의 확관 펀치로 확관할 수 있도록 확관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관부가 2개(제1,2확관부(101,102)) 형성되고, 제1확관부(101)와 제2확관부(102) 사이에는 파이프의 확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단턱(104)이 형성된다.
또한, 파이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확관볼(110) 단부의 도입부(103)는 그 외경이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확관부(102)와 도입부(103) 사이에도 파이프의 확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단턱(105)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확관볼(100)의 외주면에는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골(111)과 나사산(112)이 교대로 형성된 오른나사부(110)가 형성되되, 확관시 찌꺼기(이물질)가 생기지 않도록 나사산(112)이 외측으로 둥근 모양을 한다.
여기에 더해 상기 테이퍼진 단턱(104,105) 부분 중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쪽의 외주면은 확관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연마되어 대략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연마면(12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오른나사부(110)는 파이프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확관을 용이하게 하면서 파이프 내부의 마찰열을 최소화하여 파이프의 변형률을 감소시키며, 확관시 둥그런 나사산(112)에 의해 파이프의 파손을 줄여 이물질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둥근 원으로 된 타원형의 형상을 하는 확관볼(100)은 내경이 다른 2개의 파이프를 하나의 확관 펀치로 확관할 수 있도록 확관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관부가 2개(제1,2확관부(101,102)) 형성되고, 제1확관부(101)와 제2확관부(102) 사이에는 파이프의 확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단턱(104)이 형성된다.
또한, 파이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확관볼(110) 단부의 도입부(103)는 그 외경이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확관부(102)와 도입부(103) 사이에도 파이프의 확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단턱(105)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확관볼(100)의 외주면에는 왼나사 방향으로 나사골(131)과 나사산(132)이 교대로 형성된 왼나사부(130)가 형성되되, 확관시 찌꺼기(이물질)가 생기지 않도록 나사산(132)이 외측으로 둥근 모양을 한다.
여기에 더해 상기 테이퍼진 단턱(104,105) 부분 중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쪽의 외주면은 확관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연마되어 대략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연마면(120)이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왼나사부(130)는 파이프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확관을 용이하게 하면서 파이프 내부의 마찰열을 최소화하여 파이프의 변형률을 감소시키며, 확관시 둥그런 나사산(132)에 의해 파이프의 파손을 줄여 이물질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오른나사부(110)는 내경이 작고 두께가 얇은 파이프의 확관 시에 유리하고, 왼나사부(130)는 내경이 큰 파이프의 확관 시에 유리하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관볼의 정면도로서, 도 7a는 타원형 확관볼의 넓은 면을 나타내고, 도 7b는 좁은 면을 나타낸다.
제4 실시예가 도 6a와 다른 것은 도 6a는 오른나사부(110)의 나사골(111)의 폭이 나사산(11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나, 제4 실시예는 오른나사부(110)의 나사골(111)의 폭이 나사산(11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때에도 도 7a의 넓은 외주면의 테이퍼진 단턱(104,105) 부분은 확관히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둥근 평면으로 연마되어(점선으로 나타냄) 대략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연마면(12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경우 단턱(104,105) 부분에 연마면(120)이 생기도록 둥근 평면으로 먼저 가공한 후 나사골(111)을 가공한 다음 나사골(111) 좌우로 면취한다.
이를 통해 슬러지를 방지할 수 있고 열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도 7b와 같이 좁은 면의 나사골(111)의 위치가 확관의 용이함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 도입부(103)가 좌측을 향하는 경우 단턱(104,105)을 좌측상부에서 우측하부의 대각선(a-b,c-d)으로 지나는 쪽의 윗 방향(도면에서 보아 a-b,c-d의 오른 방향)으로 나사골(111)을 만들어 빗줄그은 부분이 회전하면서 확관을 용이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도록 한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확관볼의 정면도로서, 도 8a는 타원형 확관볼의 넓은 면을 나타내고, 도 8b는 좁은 면을 나타낸다.
제5 실시예가 도 6b와 다른 것은 도 6b는 왼나사부(130)의 나사골(131)의 폭이 나사산(13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나, 제5 실시예는 왼나사부(130)의 나사골(131)의 폭이 나사산(13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때에도 도 8a의 넓은 외주면의 테이퍼진 단턱(104,105) 부분은 확관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둥근 평면으로 연마되어(점선으로 나타냄) 대략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연마면(12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경우 단턱(104,105) 부분에 연마면(120)이 생기도록 둥근 평면으로 먼저 가공한 후 나사골(131)을 가공한 다음 나사골(131) 좌우로 면취한다.
이를 통해 슬러지를 방지할 수 있고 열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도 7b와 같이 좁은 면의 나사골(131)의 위치가 확관의 용이함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 도입부(103)가 좌측을 향하는 경우 단턱(104,105)을 우측상부에서 좌측하부의 대각선(a-b,c-d)으로 지나는 쪽의 아래 방향(도면에서 보아 a-b,c-d의 왼 방향)으로 나사골(131)을 만들어 빗줄그은 부분이 회전하면서 확관을 용이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도록 한다.
도 9는 도 7a와 도 8a에 나타낸 확관볼의 측면도이다.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둥근 원으로 된 타원형의 형상의 확관볼(100)에서 확관볼을 수평과 수직으로 4분할 하는 경우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지름이 큰 면의 회전방향 앞측 상부 사분면의 일부를 잘라낸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확관볼(1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4사분면의 약 10시에서 12시 방향 부분을 평평하게 잘라내고, 이와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1사분면의 약 12시에서 2시 방향 부분을 펑평하게 잘라낸다.
이 잘라냄은 도 7과 도 8에서 도입부(103)을 제외한 제1,2확관부(101,102)와 테이퍼진 단턱(104,105) 부분에 행해진다.
이를 통해 드릴의 작은 힘과 적은 회전수로도 회전에 의한 원동력으로 파이프의 확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열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50: 확관펀치 20,60,100: 확관볼
30,70: 홀더 40,80: 스토퍼
110,130: 나사부 120: 연마면
B: 앵커 드릴 P: 파이프

Claims (12)

  1. 확관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부분(이하 확관부)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구비되는 확관볼;
    상기 확관볼과 일체로 형성되고 드릴에 결합 고정되어 드릴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확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볼 단부의 도입부 외경은 파이프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도입부와 확관부 사이에 테이퍼진 제1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테이퍼진 제1단턱은 연마되어 하나 이상의 연마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의 외경은 반지름이 동일하지 않은, 둥근 타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가 2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두 확관부 사이는 테이퍼진 제2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진 제2단턱은 연마되어 하나 이상의 연마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볼의 외주면에는 왼나사 방향이나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골과 나사산이 교대로 형성된 왼나사부나 오른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외측으로 둥근 모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의 폭이 나사골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가 좌측을 향하고 오른나사부인 경우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면의 제1,2단턱을 좌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지나는 대각선의 위쪽으로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도입부가 좌측을 향하고 왼나사부인 경우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면의 제1,2단턱을 우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지나는 대각선의 아래쪽으로 나사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볼을 수평과 수직으로 4분할하는 경우 수직선을 기준으로 확관볼의 회전방향에 따라 반지름이 큰 면의 앞측 상부 사분면 일부를 다수의 확관부와 제1,2단턱에 걸쳐 평평하게 잘라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10. 삭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면은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면의 테이퍼진 제1,2단턱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충전 드릴의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서 6각형의 봉으로 이루어지거나,
    앵커 드릴의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서 환봉 외주면에 끼움홈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사이의 외주면에 고정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확관 펀치.
KR1020150171567A 2015-09-02 2015-12-03 파이프 확관 펀치 KR101603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67A KR101603978B1 (ko) 2015-12-03 2015-12-03 파이프 확관 펀치
PCT/KR2016/009817 WO2017039366A1 (ko) 2015-09-02 2016-09-02 파이프 확관 펀치
JP2018512300A JP6542984B2 (ja) 2015-09-02 2016-09-02 パイプ拡管パンチ
US15/755,173 US20180257124A1 (en) 2015-09-02 2016-09-02 Pipe expanding pu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67A KR101603978B1 (ko) 2015-12-03 2015-12-03 파이프 확관 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978B1 true KR101603978B1 (ko) 2016-03-16

Family

ID=5564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567A KR101603978B1 (ko) 2015-09-02 2015-12-03 파이프 확관 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97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33B1 (ko) * 2016-03-24 2016-10-24 김순석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200484322Y1 (ko) * 2017-04-10 2017-08-24 민병수 드릴용 파이프홀딩 확관 비트
KR200484397Y1 (ko) * 2016-09-26 2017-09-01 정구왕 파이프 확관구
KR20180002312U (ko) 2017-01-20 2018-07-30 김현진 동파이프 확관기
CN109049654A (zh) * 2018-07-09 2018-12-2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外置加热式pvc管在线扩管装置以及pvc管扩管系统
CN109877589A (zh) * 2018-12-14 2019-06-14 广东龙丰精密铜管有限公司 一种铜毛细管变径管或管件高效高精度多功能组合工装
KR20210002648U (ko) * 2020-05-22 2021-11-30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210002791U (ko) * 2020-06-05 2021-12-14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CN115255166A (zh) * 2022-09-30 2022-11-01 苏州荣纳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功能的液压管端成型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5762A (ja) * 2005-10-13 2007-04-26 Jfe Steel Kk 金属管端部の拡管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5762A (ja) * 2005-10-13 2007-04-26 Jfe Steel Kk 金属管端部の拡管加工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33B1 (ko) * 2016-03-24 2016-10-24 김순석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200484397Y1 (ko) * 2016-09-26 2017-09-01 정구왕 파이프 확관구
KR20180002312U (ko) 2017-01-20 2018-07-30 김현진 동파이프 확관기
KR200484322Y1 (ko) * 2017-04-10 2017-08-24 민병수 드릴용 파이프홀딩 확관 비트
CN109049654A (zh) * 2018-07-09 2018-12-2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外置加热式pvc管在线扩管装置以及pvc管扩管系统
CN109049654B (zh) * 2018-07-09 2024-05-07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外置加热式pvc管在线扩管装置以及pvc管扩管系统
CN109877589A (zh) * 2018-12-14 2019-06-14 广东龙丰精密铜管有限公司 一种铜毛细管变径管或管件高效高精度多功能组合工装
KR20210002648U (ko) * 2020-05-22 2021-11-30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0496751Y1 (ko) 2020-05-22 2023-04-18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210002791U (ko) * 2020-06-05 2021-12-14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KR200496752Y1 (ko) 2020-06-05 2023-04-17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CN115255166A (zh) * 2022-09-30 2022-11-01 苏州荣纳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功能的液压管端成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978B1 (ko) 파이프 확관 펀치
JP6542984B2 (ja) パイプ拡管パンチ
KR100918216B1 (ko) 고압 냉매용 내부 홈구비 전열관
JP5800909B2 (ja) 熱交換器及びその熱交換器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1086881A1 (ja) 熱交換器用の伝熱管、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US8899392B2 (en) Damper for decreasing a pipe vibration
JP2010038502A (ja) 熱交換器用の伝熱管、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KR102014616B1 (ko) 공기 조화 장치
WO2017038962A1 (ja) 二重管の製造方法
CN111213019B (zh) 双重管
JP5180680B2 (ja) 冷凍サイクル
KR20150010826A (ko)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
JP2017198392A (ja) 二重管
KR200484397Y1 (ko) 파이프 확관구
EP2796822B1 (en) Air conditioner
KR20160129259A (ko) 냉매 승압기가 구비된 냉방장치
JP2009270496A (ja) 圧縮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
KR101151871B1 (ko) 터보냉동기의 응축기용 전열관
KR20170059865A (ko) 냉장고용 턴핀 응축기
JP2016095039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366204Y1 (ko) 재상수 집중구조를 갖는 증발기
JPWO2018134975A1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並びに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0249484A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448275Y1 (ko) 서비스 밸브에 내장되는 스템과 디스크의 결합구조
KR20190023812A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06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425

Effective date: 2016090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60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615

Effective date: 2016090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7343;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5000054;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0524

Effective date: 2017090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5007012; CORREC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5007012;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1010

Effective date: 20180131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