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826A -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826A
KR20150010826A KR20130084615A KR20130084615A KR20150010826A KR 20150010826 A KR20150010826 A KR 20150010826A KR 20130084615 A KR20130084615 A KR 20130084615A KR 20130084615 A KR20130084615 A KR 20130084615A KR 20150010826 A KR20150010826 A KR 20150010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ircumferential surface
refrigerant
heat exchan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헌
구충환
김기수
변정원
원찬식
유광준
임창훈
조홍기
홍순철
김중호
목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0826A/ko
Publication of KR2015001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two coaxia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6Super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42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with outside means integral with the tubular element and inside means integral with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2001/428Particular methods for manufacturing outside or inside f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관의 외주면에 그루브 및 내주면에 리브가 형성된 이중관 열교환기와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를 냉매액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액을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액를 냉매가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 외관과 외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관을 포함하고, 외관에 흐르는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액과 내관에 흐르는 증발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가 열교환하는 이중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내관은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내주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리브가 마련된다. 내관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로 외관에 흐르는 냉매액의 흐름을 유도하고, 내관의 내주면에 요철형상을 형성하는 리브로 이중관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AIR CONDITIONER AND DOUBLE PIP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관의 외주면에 그루브 및 내주면에 리브가 형성된 이중관 열교환기와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응축기와 증발기와 같이 주 열교환기의 기능을 돕는 보조장치로서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된다. 그 중 하나인 이중관 열교환기는 증발기에서 토출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매가스와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매액를 열교환한다. 이러한 냉매의 열교환으로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액의 온도가 낮아져 냉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로 유입되는 냉매가스의 온도가 높아져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이중관 열교환기는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액이 흐르는 외관과 증발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가 흐르는 내관을 포함한다. 내관은 외관의 내부에 위치하여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내관과 외관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관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를 포함하여 외관에 흐르는 냉매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이중관 열교환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내관의 내주면에 요철형상으로 리브를 형성하여 열교환효율을 높이는 이중관 열교환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를 냉매액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액을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액를 냉매가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에 흐르는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액과 상기 내관에 흐르는 상기 증발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가 열교환하는 이중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은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내주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리브가 마련된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외관에 흐르는 냉매액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내관의 일측에서 하나의 시작점을 가지고, 상기 내관의 다른 일 측에서 하나의 종점을 가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가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홈과 홈사이의 직선거리는 8mm이상, 14mm이하 일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내주면의 단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리브의 요철형상의 개수는 5개 이상, 20개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내관은 상기 외주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열교환 면적을 넓히는 열교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열교환핀이 형성한 돌기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관 열교환기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관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내주면에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철을 형성하는 리브가 마련된다.
상기 내관은 상기 외주면에 열교환 면적을 넓히기 위한 돌기를 형성하는 열교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핀은 상기 외주면을 따라 상기 그루브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열교환핀이 형성한 돌기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내관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로 외관에 흐르는 냉매액의 흐름을 유도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내관의 내주면에 요철형상을 형성하는 리브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중관 열교환기의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공기조화기 전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에 그루브와 리브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에 그루브, 리브 및 열교환핀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의 내관에 그루브와 열교환핀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량과 그루브개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량과 그루브간격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량과 리브개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1)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20), 응축기(10), 팽창밸브(40), 증발기(30)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20)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10)로 유입된다. 응축기(10)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40)는 응축기(10)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30)는 팽창밸브(40)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30)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20)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다.
냉매가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 변화될 때 열교환기는 응축기(10)로 사용되고, 냉매가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상 변화될 때 열교환기는 증발기(30)로 사용된다. 이렇게 응축기(10)나 증발기(30)로 사용되는 열교환기를 공기조화기(1)의 주열교환기라고 한다.
주열교환기를 보조할 수 있도록 이중관 열교환기(100)가 공기조화기(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중관 열교환기(100)는 내관(70)과 외관(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증발기(30)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는 이중관 열교환기(100)의 내관(70)을 따라 흘러 압축기(20)에 들어 갈 수 있다. 또한, 응축기(10)에서 토출되는 냉매액은 이중관 열교환기(100)의 외관(50)을 따라 흘러 팽창밸브(40)로 갈 수 있다. 증발기(30)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는 상대적을 낮은 온도를 가지고, 응축기(10)에서 토출되는 냉매액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냉매가스와 냉매액이 각각 이중관 열교환기(100)의 내관(70)과 외관(50)을 따라 흐르며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으로 증발기(30)로 유입되는 냉매액의 온도가 낮아져 공기조화기(1)의 냉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10)로 유입되는 냉매가스의 온도가 높아져 공기조화기(1)의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100a)에 그루브(90)와 리브(8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이중관 열교환기(100a)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중관 열교환기(100a)는 외관(50)과 외관(5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관(70)을 포함할 수 있다. 외관(50)과 내관(70)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외관(50)과 내관(70)은 열전도율이 우수하고 냉매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동이나 동합금,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외관(50)과 내관(70)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원형관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외관(50)과 내관(70)은 각각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관(50)의 내주면과 내관(70)의 외주면 사이의 외부공간(55)으로 응축기(10)에서 흘러오는 냉매액이 흐를 수 있다. 내관(70)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내부공간(57)으로 증발기(30)에서 흘러오는 냉매가스가 흐를 수 있다.
내부공간(57)을 흐르는 냉매와 외부공간(55)을 흐르는 냉매는 내관(70a)을 사이에 두고 열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관(70a)의 표면적을 넓히거나, 냉매가 흘러가는 유로를 길게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내관(70a)이 가져야 하는 최소두께가 존재하고, 내관(70a)과 외관(50)의 길이가 제한될 수 있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내관(70a)은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90)와 내주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리브(8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주면에 형성된 그루브(90)를 통해 외부공간(55)에 흐르는 냉매액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80)는 내부공간(57)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그루브(90)는 외부공간(55)을 흐르는 냉매가 긴 유로를 가질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그루브(90)는 내관(70a) 외주면의 일측에서 하나의 시작점을 가지고, 내관(70a) 외주면의 다른 일 측에서 하나의 종점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파인 그루브(90)를 따라 냉매가 외부공간(55)을 나선형으로 돌아가며 흘러갈 수 있다. 이때, 직선으로 냉매가 외부공간(55)을 통과하는 것에 비하여 긴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결국 외부공간(55)을 흐르는 냉매와 내부공간(57)을 흐르는 냉매가 열을 교환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져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리브(80)는 내관(70a) 내주면의 단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내관(70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이중관 열교환기(100a)의 단면을 볼 때 내관(70a)의 내주면에 볼록부(84)와 오목부(82)가 번갈아 가며 형성된다. 원형의 내주면을 따라 볼록부(84)와 오목부(82)가 번갈아 가며 마련되어 요철형상을 만드는 리브(8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볼록부(84)와 오목부(82)는 내관(70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내관(70a) 내주면 전체에 마련될 수 있다. 매끈한 원형으로 마련된 내주면에 비하여, 오목부(82)와 볼록부(84)를 포함하는 내주면의 표면적이 넓다. 따라서 리브(80)가 형성된 내부공간(57)을 통과하는 냉매가 열을 교환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져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100b)에 그루브(90a), 리브(80) 및 열교환핀(95)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이중관 열교환기(100b)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100b)의 내관(70b)에 그루브(90a)와 열교환핀(95)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된 이중관 열교환기(100a)에서 내관(70b)의 외주면에 열교환핀(95)을 더 포함하는 이중관 열교환기(100b)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브(80)는 내관(70b)의 내주면에 볼록부(84)와 오목부(82)를 번갈아 가며 형성하는 요철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내관(70b)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90a)와 열교환핀(95)이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핀(95)은 내관(70b)의 외주면에서 돌기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핀(95)의 단면은 끝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핀(95)의 형상은 가공되는 환경 등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다. 도 3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핀(95)은 내관(70b)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관(70b)의 외주면에 열교환핀(95)이 돌기형상을 마련됨에 따라 외주면의 표면적이 늘어날 수 있다. 결국, 외부공간(55)을 흐르는 냉매는 더 넓은 면적을 통해 열을 교환할 수 있어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90a)와 열교환핀(95)은 내관(70b)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진다. 열교환핀(95)은 그루브(90a)가 형성하는 나선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는 나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핀(95)은 내관(70b)의 표면적을 넓히는 역활을 하기때문에 촘촘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 그루브(90a)는 냉매의 흐름을 나선형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너무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면 오히려 와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내관(70b)의 외주면에 열교환핀(95)은 좁은 간격을 가지고 촘촘하게 형성되고, 그루브(90a)는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핀(95)과 그루브(90a)는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는 나선형으로 내관(70b)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서로 만나는 부분이 발생한다. 그러나 그루브(90a)는 내관(70b)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고, 열교환핀(95)은 내관(70b)의 외주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서로 상반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열교환핀(95)과 그루브(90a)가 만나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90a)가 형성되는 곳에는 열교환핀(95)이 형성될 수 없다. 따라서 열교환핀(95)이 형성한 돌기 위에 그루브(90a)가 홈을 형성하여, 그루브(90a)가 형성된 곳에는 열교환핀(95)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량과 그루브개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루브(90)가 내관(70)의 일측에서 하나의 시작점을 가지고, 내관(70)의 다른 일 측에서 하나의 종점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그루브개수가 1개이다. 또한, 그루브(90)가 서로 다른 시작점을 가지며 교차되며 형성되어 서로 다른 종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작점과 종점의 개수에 따라 그루브개수가 복수개일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그루브개수와 전열량의 관계를 도시하였다.
냉매의 유량이 0.069kg/s인 경우와 0.083kg/s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90)가 없는 경우보다 그루브(90)가 있는 경우가 전열량이 더 높았다. 그루브(90)는 1개가 형성되는 경우 가장 전열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공의 편의성 및 도 5의 결과에 비추어 그루브개수가 1개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내관(70)의 외주면에 하나의 시작점을 가지고, 하나의 종점을 갖는 그루브(9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량과 그루브간격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루브(90)는 내관(7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90)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간격을 어느 정도로 할지가 문제된다. 그루브(90)가 형성한 홈과 홈사이의 직선거리를 그루브간격이라 한다. 그루브간격은 다시 말해서 내관(7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직선을 하나 형성한 경우 그루브(90)가 형성한 홈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도 6은 이러한 그루브간격과 전열량의 관계를 도시하였다.
냉매의 유량이 0.069kg/s인 경우와 0.083kg/s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간격이 15mm와 인접한 부근에서 최고점을 갖는다. 그루브의 간격이 멀어질 수록 전열량은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15mm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는 완만한 곡선으로 전열량이 떨어지다 다시 살짝 올라가는 현상을 보인다. 가공의 편의성, 열교환핀과의 설계 등 현실적인 문제와 도 6의 결과에 비추어 그루브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관(70)의 외주면에 그루브간격이 8mm이상, 14mm이하로 형성되는 그루브(9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량과 리브개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리브(80)는 내관의 내주면에 오목부(82)와 볼록부(84)를 번갈아가며 형성하는 요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오목부(82)와 볼록부(84)가 각각 하나씩 형성될 때 리브개수가 1개라 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이중관열교환기(100a)의 단면도에서는 오목부(82)와 볼록부(84)가 각각 12개 형성되어 리브개수는 12개이다. 도 7은 이러한 리브개수와 전열량의 관계를 도시하였다.
냉매의 유량이 0.0525kg/s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개수가 13~14개인 경우에 최고점을 가지는 위로 볼록한 2차곡선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리브개수가 너무 많아지거나 작아지면 전열량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또한 리브(80)가 없는 경우에 비해 리브(80)가 20개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열량이 많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내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리브개수는 5개 이상, 20개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응축기
20 : 압축기 30 : 증발기
40 : 팽창밸브 50 : 외관
70 : 내관 80 : 리브
90 : 그루브 95 : 열교환핀
100 : 이중관 열교환기

Claims (12)

  1.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를 냉매액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액을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액를 냉매가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에 흐르는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액과 상기 내관에 흐르는 상기 증발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가 열교환하는 이중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은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내주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외관에 흐르는 냉매액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내관의 일측에서 하나의 시작점을 가지고, 상기 내관의 다른 일 측에서 하나의 종점을 가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가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홈과 홈사이의 직선거리는 8mm이상, 14mm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내주면의 단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요철형상의 개수는 5개 이상, 2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상기 외주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열교환 면적을 넓히는 열교환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열교환핀이 형성한 돌기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관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내주면에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철을 형성하는 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열교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상기 외주면에 열교환 면적을 넓히기 위한 돌기를 형성하는 열교환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열교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핀은 상기 외주면을 따라 상기 그루브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열교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열교환핀이 형성한 돌기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열교환기.
KR20130084615A 2013-07-18 2013-07-18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 KR20150010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615A KR20150010826A (ko) 2013-07-18 2013-07-18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615A KR20150010826A (ko) 2013-07-18 2013-07-18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826A true KR20150010826A (ko) 2015-01-29

Family

ID=5248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615A KR20150010826A (ko) 2013-07-18 2013-07-18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082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463A1 (ko) * 2016-03-21 2017-09-28 주식회사 평산 대체냉매적용 공조시스템의 내부 열교환기 이중관 구조
CN107215565A (zh) * 2017-06-13 2017-09-29 徐州蕴康农业科技有限公司 恒温便携式保温箱
JP2017198392A (ja) * 2016-04-27 2017-11-02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二重管
KR20180081241A (ko) * 2017-01-06 2018-07-16 (주)아이시스텍 열교환 면적이 증대된 대기 공기 기화기
KR102086833B1 (ko) * 2019-08-02 2020-03-09 고민정 삼중관식 열교환기
KR20200068409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베스트산업 열교환 환기 장치
CN115218567A (zh) * 2021-04-16 2022-10-21 太星电机株式会社 带凹槽的冰箱用吸入管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463A1 (ko) * 2016-03-21 2017-09-28 주식회사 평산 대체냉매적용 공조시스템의 내부 열교환기 이중관 구조
US11085707B2 (en) 2016-03-21 2021-08-10 Pyongsan Corp. Internal heat exchanger double-tube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alternative refrigerant applied thereto
JP2017198392A (ja) * 2016-04-27 2017-11-02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二重管
KR20180081241A (ko) * 2017-01-06 2018-07-16 (주)아이시스텍 열교환 면적이 증대된 대기 공기 기화기
CN107215565A (zh) * 2017-06-13 2017-09-29 徐州蕴康农业科技有限公司 恒温便携式保温箱
KR20200068409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베스트산업 열교환 환기 장치
KR102086833B1 (ko) * 2019-08-02 2020-03-09 고민정 삼중관식 열교환기
CN115218567A (zh) * 2021-04-16 2022-10-21 太星电机株式会社 带凹槽的冰箱用吸入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0826A (ko)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
US20150107286A1 (en) Heat pump
JP5800909B2 (ja) 熱交換器及びその熱交換器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EP2626654A2 (en) Heat pump
WO2014125566A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40352352A1 (e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20190041069A1 (en) An air conditioner
EP3062037B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using said heat exchanger
KR20150010825A (ko) 공기조화기 및 이중관 열교환기
CN110476034A (zh) 换热器以及具备该换热器的空调机
KR20040082571A (ko) 핀-튜브 일체형 열교환기
US10739040B2 (en) Air condtioner
JP6053693B2 (ja) 空気調和機
JP5627635B2 (ja) 空気調和機
JP5646257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298992B2 (ja) 空気調和機
JP6104357B2 (ja) 熱交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2237518A (ja) 空気調和機
JP5864030B1 (ja)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4983878B2 (ja)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冷蔵庫、空気調和機
WO2020202492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KR100486599B1 (ko) 핀-튜브 일체형 열교환기의 냉각핀 배열 구조
JP2010151403A (ja) 熱交換器
JP2014020756A (ja)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ヒートポンプ装置及び伝熱フィン
KR100624379B1 (ko) 냉.난방 겸용 히트펌프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