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633B1 -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 Google Patents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633B1
KR101668633B1 KR1020160035242A KR20160035242A KR101668633B1 KR 101668633 B1 KR101668633 B1 KR 101668633B1 KR 1020160035242 A KR1020160035242 A KR 1020160035242A KR 20160035242 A KR20160035242 A KR 20160035242A KR 101668633 B1 KR101668633 B1 KR 10166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panding
diameter
suppor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6003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단부의 내경 확관에 필요한 확관 구경을 확보하면서 직교 방향을 향한 회전균형을 보강하여 균일한 가공성과 함께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효율적으로 확관함을 제공하도록, 전방에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접하는 접촉지지면을 형성하고, 후방에 연장하여 돌출 형성된 결속부재를 구비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고 파이프의 일단 내측을 향해 삽입가능하되 파이프의 단부 내경을 접시형상으로 확관할 수 있게 상기 지지플랜지와의 접촉경계면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여 경사진 사라확관단을 형성하는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사라확관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파이프의 일단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확관지지부와, 상기 확관지지부의 양측 직교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Pipe Expanding Drill}
본 발명은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 단부의 내경 확관에 필요한 확관 구경을 확보하면서 직교 방향을 향한 회전균형을 보강하여 균일한 가공성과 함께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효율적으로 확관하는 것이 가능한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에어컨, 정수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는 냉각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이 제공되고, 냉동사이클의 구성인 압축기와 응축기, 증발기의 경우에는 서로 냉매가 순환가능하게 연결하는 여러 형태의 동 파이프(연결관, 냉매공급관, 모세관, 흡입파이프 등)를 구비하며, 이때 관경이 같거나 서로 다른 파이프 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각 파이프의 단부를 소정의 직경 및 접시형상으로 확관할 수 있는 파이프 확관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 확관기의 경우에는 작업자로부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수동형이나 전기적인 에너지를 인가하여 자동으로 조작가능한 자동형으로 구분하되, 전방에는 파이프의 단부에 접하여 확관가능한 형상을 갖는 확관드릴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그런데 기존 파이프 확관기의 경우에는 확관드릴의 외경이 진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확관작업시 파이프에 면과 면이 접하여 헛도는 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면 마찰에 따른 가열현상으로 소재변형을 초래하고 확관작업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46391호(1999.02.26.)에는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미끄럼을 방지하는 엠보싱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조립단 내측에 결합시 회전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시킨 결합돌기와, 상기 손잡이의 조립단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에 끼이는 결합요부가 형성된 삽입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원뿔모양의 확관부와, 및 상기 확관부의 원뿔모양 외주에 등각도 상으로 등분되어 면취날이 형성된 호형상의 거치상돌기를 구성함에 따라 확관작업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최소직경에서부터 최대직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갖게 작업을 적용가능하고 면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관 확관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외형이 단순히 원뿔모양을 이루면서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임의적인 힘에 의해 파이프의 내경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파이프의 확관된 내경 크기마다 차이가 발생하여 작업성이 매우 낮으며, 그에 따른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확관드릴의 단면이 진원형이 아닌 다각형으로 구성하여 면 마찰에 따른 가열현상을 감쇄시키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면 마찰 및 작업부하를 많이 받아 열 발생빈도가 높고 각진 모서리와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작업진동을 심화시켜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확관작업시 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보다 줄일 수 있는 구조로서, 확관대상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일자형 단면형상의 확관드릴을 구성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확관드릴의 경우 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줄인 반면 확관드릴의 회전구동에 따른 접촉지지점이 협소하기 때문에 확관작업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안정성이 떨어지며, 파이프를 향한 불균형적인 접촉으로 인해 제품에 손상 및 변형을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6391호 (1999.02.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일단을 접시형상으로 확관할 때 파이프 내면을 십자형의 방향에서 접촉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확관시 작업안정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작업품질을 높일 수 있는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파이프 일단을 확관작업할 때 파이프의 한쪽 단부를 접촉지지하므로 항시 일정한 규격의 확관작업을 도모함은 물론 일률적인 가공품질을 도모하면서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은 전방에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접하는 접촉지지면을 형성하고, 후방에 연장하여 돌출 형성된 결속부재를 구비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고 파이프의 일단 내측을 향해 삽입가능하되 파이프의 단부 내경을 접시형상으로 확관할 수 있게 상기 지지플랜지와의 접촉경계면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여 경사진 사라확관단을 형성하는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사라확관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파이프의 일단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확관지지부와, 상기 확관지지부의 양측 직교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관부의 확관지지부는 상기 사라확관단으로부터 전방 직선방향을 향해 연장하여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확관지지단과, 상기 확관지지단의 전방에 외측으로 볼록하되 하향곡선방향으로 연장된 곡면을 형성하는 확관유입단을 구비한다.
상기 확관지지부에는 상기 확관지지단과 상기 사라확관단의 사이에서 곡선형태로 연결하는 곡면연결단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리브부는 상기 확관지지부 중 확관지지단의 폭 넓이와 동일한 폭 넓이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보강리브부는 파이프의 내면을 지지토록 면 접촉하는 보강지지단과, 상기 보강지지단의 양쪽 측단에서 상기 확관지지부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여 곡면을 형성하는 보강리브살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관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관부로부터 가공가능한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소구경의 파이프를 확관가능하게 구비하는 소구경확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소구경확관부는 파이프와 대응되는 전방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유입단과, 상기 유입단으로부터 상기 확관부를 향해 직선으로 연장하여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 및 상기 확관부의 사이에 외측으로 경사형성되어 파이프의 단부 내경을 접시형상으로 확관하는 확관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에 의하면 확관작업시 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은 줄이면서 파이프의 내면에 십자형의 접촉지지점을 이루도록 보강하므로, 확관작업에 따른 가열현상 및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도 균형감 있는 우수한 작업효율을 도모하고 확관작업시 제품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여 작업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은 파이프의 일단을 접촉지지하여 확관작업을 규격화하므로, 작업자에 따른 작업오류를 방지하여 가공불량을 줄임은 물론 확관작업에 따른 가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은 파이프의 관경에 따라 구분된 크기의 확관작업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므로, 다구경의 확관 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신속한 작업속도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전방에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접하는 접촉지지면을 형성하고, 후방에 연장하여 돌출 형성된 결속부재를 구비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고 파이프의 일단 내측을 향해 삽입가능하되 파이프의 단부 내경을 접시형상으로 확관할 수 있게 상기 지지플랜지와의 접촉경계면을 향해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사라확관단을 형성하는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사라확관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파이프의 일단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확관지지부와, 상기 확관지지부의 양측 직교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플랜지(10)와, 확관지지부(30) 및 보강리브부(40)를 구비한 확관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플랜지(10)는 확관작업을 위해 동력을 인가하는 별도의 구동장비(도면에 미도시)로부터 구분된 확관접촉영역을 이루도록 작업경계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플랜지(10)의 후방으로는 별도의 구동장비에 체결가능한 구조를 이루되 상기 지지플랜지(10)의 전방으로는 상기 확관부(20)로 인한 파이프(P)의 접촉이 이뤄지는 확관작업영역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플랜지(10)에는 후방에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결속부재(13)를 구비한다. 즉 상기 지지플랜지(10)는 확관작업시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는 구동장비의 선단에 상기 결속부재(13)를 연결결합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 구동장비는 전용 확관장치나 확관기의 구동원 또는 일반적인 전동드릴기의 구동원 등을 적용하여 확관작업을 진행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플랜지(1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방에 파이프(P)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접하는 접촉지지면(1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지지플랜지(10)는 확관작업시 파이프(P)의 일단이 상기 접촉지지면(11) 상에 접하도록 지지하므로, 확관작업을 규격화하여 작업오류를 방지함은 물론 가공불량을 줄이며 확관작업에 따른 가공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관부(20)는 파이프(P)의 일단에 대응하여 접촉하되 상기 지지플랜지(10)의 결속부재(13)가 고정된 구동장비의 회전동력으로부터 회전되어 파이프(P)의 단부를 확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확관부(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P)의 일단 내측을 향해 삽입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지지플랜지(10)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된다.
상기 확관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관작업시 파이프(P)의 내면을 접촉지지하기 위한 확관지지부(30) 및 보강리브부(40)를 구비한다.
상기 확관부(20)에는 파이프(P)의 단부 내경을 접시형으로 확관할 수 있게 사라확관단(31)을 형성한다.
상기 사라확관단(31)은 상기 확관지지부(30) 상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플랜지(10)와의 접촉경계면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즉 확관작업시 상기 확관부(20)의 확관지지부(30)를 거쳐 상기 사라확관단(31)에 파이프(P)의 일단이 접하므로, 파이프(P)의 단부를 접시형상으로 확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확관지지부(30)는 상기 사라확관단(3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파이프(P)의 일단 내면을 접촉지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즉 상기 확관지지부(30)는 파이프(P)의 일단 내측을 향해 일정깊이 유입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되되 파이프(P)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사라확관단(31)에 따른 확관작업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확관지지부(30)는 상기 사라확관단(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확관지지단(33) 및 확관유입단(35)을 구비토록 형성한다.
상기 확관지지단(33)은 파이프(P)의 내면을 접촉지지할 수 있게 상기 사라확관단(31)으로부터 전방 직선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된다. 즉 확관작업시 파이프(P)의 내면을 따라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사라확관단(31)에 의한 균일한 확관작업을 안내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확관지지부(30)에서 상기 확관지지단(33)과 상기 사라확관단(31)의 사이에는 상호 곡선형태로 연결하는 곡면연결단(37)을 형성하므로, 상기 확관지지단(33)에서 상기 사라확관단(31)으로의 연결이 용이하여 파이프(P) 확관을 위한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관유입단(35)은 상기 확관지지단(33)의 전방에 외측으로 볼록하되 하향곡선방향으로 연장된 곡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확관유입단(35)의 경우 확관작업을 위하여 파이프(P) 내측을 향해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확관지지부(30)가 파이프(P)와의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한다.
상기 확관지지부(30)는 상기 사라확관단(31)에서부터 상기 확관지지단(33) 및 확관유입단(35)까지 모두 동일한 두께(30~35㎜)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확관지지부(30)의 양쪽 단부가 반원형의 곡면을 이루어 상기 확관지지부(30)가 파이프(P)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원활한 회전운동을 도모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보강리브부(40)는 확관작업시 상기 확관지지부(30)와 함께 파이프(P)의 내면을 접촉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강리브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관지지부(30)의 양측 면에 각각 직교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랜지(10)로부터 전방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부(40)는 상기 확관지지부(30) 중 확관지지단(33)의 폭 넓이(S1)와 동일한 폭 넓이(S2)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보강리브부(40)의 폭 넓이(S2)는 도 3에 나타낸 바처럼 상기 확관지지단(33)의 폭 넓이(S1)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에서 확관지지단(33) 및 보강리브부(40)의 폭 넓이는 파이프(P)의 직경에 맞게 다양한 치수로 적용가능하며, 상기 확관지지단(33) 및 보강리브부(40)의 길이는 개개의 폭 넓이에 맞게 즉 상기 확관지지단(33) 및 보강리브부(40)의 폭 넓이가 넓으면 그에 따른 길이도 길게 형성된 구조를 이루도록 탄력적으로 적용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리브부(4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P)의 내면을 지지토록 면 접촉하는 보강지지단(41)과, 상기 확관지지부(30)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보강리브살(43)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보강리브부(40)의 보강지지단(41)은 상기 확관지지부(30)에서 확관지지단(33)의 두께(30~35㎜)보다 두꺼운 두께(35~40㎜)의 접촉면을 형성토록 구성하므로, 파이프(P)와의 면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리브살(43)은 상기 보강지지단(41)의 양쪽 측단에서 상기 확관지지부(30)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여 곡면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에 의하면 확관작업시 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은 줄이면서 파이프의 내면에 십자형의 접촉지지점을 이루도록 보강하므로, 확관작업에 따른 가열현상 및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도 균형감 있는 우수한 작업효율을 도모하고 확관작업시 제품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여 작업품질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관부(20)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관부(20)로부터 가공가능한 파이프(P)의 내경보다 작은 소구경의 파이프(P)를 확관가능하게 구비하는 소구경확관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구경확관부(50)는 상기 확관지지부(30)와 마찬가지의 구조로서, 유입단(51) 및 지지단(53)과 확관단(55)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소구경확관부(50)는 상기 확관지지부(30)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소구경확관부(50)의 경우 상기 확관지지부(3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유입단(51)은 파이프(P)에 대응되는 전방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유입단(51)의 경우 확관작업을 위하여 파이프(P) 내측을 향해 진입하는 과정에서의 걸림 현상을 방지한 채 원활한 진입을 도모할 수 있게 곡면으로 형성한다.
상기 지지단(53)은 상기 유입단(51)으로부터 상기 확관부(20)를 향해 직선방향으로 연장하여 확관작업시 파이프(P)의 내면에 회전접촉함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확관단(55)은 상기 지지단(53) 및 상기 확관부(20)의 사이에 외측으로 경사형성되어 파이프(P)의 단부 내경을 접시형상으로 확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즉 확관작업시 상기 지지단(53)을 거쳐 접촉지지된 상태의 파이프(P) 일단이 상기 확관단(55)에 접하므로, 파이프(P)의 단부를 접시형상으로 확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소구경확관부(50)와 상기 확관부(20)의 사이에는 파이프(P)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접할 수 있는 지지단턱(57)을 형성한다. 즉 상기 소구경확관부(50)로부터 소구경의 파이프(P)를 확관시키는 작업에서 파이프(P)가 상기 소구경확관부(50)를 벗어나 상기 확관부(20)로의 진입을 방지토록 상기 소구경확관부(50)와 상기 확관부(20)의 각 작업영역을 구분하며 파이프(P)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단턱(5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파이프의 관경에 따라 구분된 크기의 확관작업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므로, 다구경의 확관 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신속한 작업속도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지지플랜지 11 : 접촉지지면
13 : 결속부재 20 : 확관부
30 : 확관지지부 31 : 사라확관단
33 : 확관지지단 35 : 확관유입단
37 : 곡면연결단 40 : 보강리브부
41 : 보강지지단 43 : 보강리브살
50 : 소구경확관부 51 : 유입단
53 : 지지단 55 : 확관단
57 : 지지단턱 P : 파이프
S1 : 확관지지단의 폭 넓이 S2 : 보강리브부의 폭 넓이

Claims (7)

  1. 전방에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접하는 접촉지지면을 형성하고, 후방에 연장하여 돌출 형성된 결속부재를 구비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고 파이프의 일단 내측을 향해 삽입가능하되 파이프의 단부 내경을 접시형상으로 확관할 수 있게 상기 지지플랜지와의 접촉경계면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여 경사진 사라확관단을 형성하는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사라확관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파이프의 일단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확관지지부와, 상기 확관지지부의 양측 직교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확관부의 확관지지부는 상기 사라확관단으로부터 전방 직선방향을 향해 연장하여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확관지지단과, 상기 확관지지단의 전방에 외측으로 볼록하되 하향곡선방향으로 연장된 곡면을 형성하는 확관유입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부는 상기 확관지지부 중 확관지지단의 폭 넓이와 동일한 폭 넓이를 이루도록 형성하되, 상기 보강리브부는 파이프의 내면을 지지토록 면 접촉하는 보강지지단과, 상기 보강지지단의 양쪽 측단에서 상기 확관지지부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여 곡면을 형성하는 보강리브살을 포함하며,
    상기 확관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관부로부터 가공가능한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소구경의 파이프를 확관가능하게 구비하는 소구경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구경확관부는 파이프와 대응되는 전방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유입단과, 상기 유입단으로부터 상기 확관부를 향해 직선으로 연장하여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 및 상기 확관부의 사이에 외측으로 경사형성되어 파이프의 단부 내경을 접시형상으로 확관하는 확관단과, 상기 소구경확관부의 확관단과 상기 확관부의 사이에 파이프의 한쪽 끝단이 접하여 지지가능하게 형성하는 지지단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관지지부에는 상기 확관지지단과 상기 사라확관단의 사이에서 곡선형태로 연결하는 곡면연결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35242A 2016-03-24 2016-03-24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10166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242A KR101668633B1 (ko) 2016-03-24 2016-03-24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242A KR101668633B1 (ko) 2016-03-24 2016-03-24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633B1 true KR101668633B1 (ko) 2016-10-24

Family

ID=5725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242A KR101668633B1 (ko) 2016-03-24 2016-03-24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6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48U (ko) * 2020-05-22 2021-11-30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210002791U (ko) * 2020-06-05 2021-12-14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WO2022081686A1 (en) * 2020-10-13 2022-04-21 Diversitech Corporation Bi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171A (ja) * 1988-08-09 1990-02-16 Inba Denki Sangyo Kk 管端部修正具
KR200146391Y1 (ko) 1996-06-29 1999-06-15 권윤노 관 확관기
JPH11169975A (ja) * 1997-12-12 1999-06-29 Flowell:Kk チューブ材拡管用の治具
KR101603978B1 (ko) * 2015-12-03 2016-03-16 정구왕 파이프 확관 펀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171A (ja) * 1988-08-09 1990-02-16 Inba Denki Sangyo Kk 管端部修正具
KR200146391Y1 (ko) 1996-06-29 1999-06-15 권윤노 관 확관기
JPH11169975A (ja) * 1997-12-12 1999-06-29 Flowell:Kk チューブ材拡管用の治具
KR101603978B1 (ko) * 2015-12-03 2016-03-16 정구왕 파이프 확관 펀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48U (ko) * 2020-05-22 2021-11-30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0496751Y1 (ko) 2020-05-22 2023-04-18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210002791U (ko) * 2020-06-05 2021-12-14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KR200496752Y1 (ko) 2020-06-05 2023-04-17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WO2022081686A1 (en) * 2020-10-13 2022-04-21 Diversitech Corporation Bi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633B1 (ko)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101603978B1 (ko) 파이프 확관 펀치
KR101633355B1 (ko)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JP6542984B2 (ja) パイプ拡管パンチ
JP2760269B2 (ja) バルジ形状配管の製造方法
KR20070110742A (ko) 냉매용 일체형 모세관 인발 성형장치 및 그 방법
JP2015124862A (ja) パイプの分岐部および分岐管ユニットと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774787B1 (ko) 오링자동조립장치
RU2003111465A (ru) Обжимная фитинговая муфт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и обжимной штамп
US6385846B1 (en) Method for removing an oil seal
KR101183755B1 (ko) 냉매관 연결구
JP2013220499A (ja) 切削工具及び筒状部材除去方法
KR101302168B1 (ko) 냉매 관 연결부 성형기구
JP2012013108A (ja) 管座の製作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3033441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熱交換器
CN2794700Y (zh) 一种夹具
KR200497142Y1 (ko) 에어컨배관 고정용 플라이어
KR200150823Y1 (ko) 플럭스 제거용 브러쉬
JP7026846B2 (ja) 分離器、油分離器、気液分離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分離器の製造方法
CN204505172U (zh) 热成型模具水道堵头拆装工具
CN218000785U (zh) 一种汽车空调管路双管胀接结构
KR20120007799A (ko) 이중관의 연결구조
US6932936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ouble tube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d mold for implementation thereof
CN207255071U (zh) 一种胀管用胀针
JP2001212625A (ja) パイプのバーリングアップ治具とこれを用いたバーリング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