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391Y1 - 관 확관기 - Google Patents

관 확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391Y1
KR200146391Y1 KR2019960018911U KR19960018911U KR200146391Y1 KR 200146391 Y1 KR200146391 Y1 KR 200146391Y1 KR 2019960018911 U KR2019960018911 U KR 2019960018911U KR 19960018911 U KR19960018911 U KR 19960018911U KR 200146391 Y1 KR200146391 Y1 KR 200146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andle
expansion
pipe
expan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8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083U (ko
Inventor
권윤노
Original Assignee
권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윤노 filed Critical 권윤노
Priority to KR2019960018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391Y1/ko
Publication of KR980001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21C51/005Mar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관의 내,외측으로 합성수지가 피복된 3중 복합관을 절단하였을 때 그 절단부분이 찌그러진 것을 원상태로 복원시키거나 또는 내측 피복관 단부의 면취가공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관 확관기에 관한 것으로,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미끄럼을 방지하는 엠보싱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조립단 내측에 결합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설시킨 결합돌기와, 상기 손잡이의 조립단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끼이는 결합요부를 형성한 삽입단이 형성된 원뿔모양의 확관부 및 상기 확관부의 원뿔모양 외주에 등각도상으로 등분되어 면취날이 형성된 호형상의 거치상돌기로 구성한 것과, 상기 확관부의 원뿔모양 첨단부에는 끝이 뽀죽한 표시구를 조립하여 피조립부품의 외표면에 어떠한 표시를 표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관 확관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으로 관의 절단부측을 원형으로 복원시킬 때의 사용상태 예시도.
제6도의 (a)(b)(c)도는 제5도의 사용상태에 따른 관의 복원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으로 관의 단부를 면취작업할 때의 사용상태 예시도.
제8도는 본 고안으로 면취작업을 마친 관의 면취부분 단면도.
제9도는 종래 기술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확관기 2 : 손잡이
3 : 확관부 4 : 표시구
22 : 조립단 31 : 삽입단
33 : 거치상돌기 34 : 면취날
본 고안은 금속관의 내,외측으로 합성수지가 피복된 3중 복합관을 절단하였을 때 그 절단부분이 찌그러진 것을 원상태로 복원시키거나 또는 내측 피복관 단부의 면취가공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관 확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중 복합관은 두께가 얇은 금속관의 내,외측에 합성수지로 된 피복관으로 구성도어 있는 바, 이러한 3중 복합관은 배관작업시 설정된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위와 같이 구성된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있으며, 절단기로서 절단되는 3중 복합관은 절단칼날의 압착력에 의하여 반드시 찌그러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절단기로서 절단된 3중 복합관의 절단부분은 원래의 원형상태로 복원되어야만이 관 연결구에 의하여 배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절단기로 절단될 때 찌그러진 3중 복합관을 원형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관 확관기(100)를 사용하고 있었는 바, 종래의 관 확관기(100)는 대체로 육각형으로 된 몸체(101)의 측면에 대·중·소의 직경을 갖는 3개의 확관봉(102)(103)(104)을 3방향에 돌출시키고, 또 상기 각 확관봉이 돌출되는 부분 양쪽에 삼각형으로 노출되는 면취날(105)을 형성하여 찌그러진 3중 복합관속으로 상기 대·중·소의 확관봉을 선택하여 삽입시키면서 좌,우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복원시킴과 더불어 면취날(105)이 내측 피복관을 깍아내는 방법으로 면취가공도 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확관기(100)는 몸체(101)의 측방에 3방향으로 돌출된 대·중·소의 확관봉(102)(103)(104)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3중 복합관의 경우에 한하여 확관 및 면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그 외의 것에 대하여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각 확관봉들 중 어느 것이 배관하고자 하는 3중 복합관의 내경과 일치하는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각 확관봉들을 일일이 3중복합관에 끼워보아야 하기 때문에 확관 및 면취작업에 불편을 여기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또 종래 기술의 확관기(100)로 찌그러진 부분을 면취가공하지 않고 단순히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내측 피복관의 단부가 불필요하게 면취가공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즉, 찌그러진 부분으로 확관봉을 집어넣기 위해서는 확관봉 자체를 세게 밀어주면서 좌,우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확관봉이 3중 복합관속으로 완전히 몰입되므로서 몸체에서 노출된 면취날이 내측 피복관을 면취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손잡이부와 확관부가 하나로 조립된 확관기로서 3중 복합관의 직경에 관계없이 확관 및 면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3중 복합관의 사용용도에 따라서 절단부분을 원래모양으로 복원시키거나 또는 복원 후 면취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란 확관부의 첨단부에는 3중 피복관의 외표면에 치수 또는 절단위치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구를 형성하여 배관작업시 3중 복합관의 절단부위나 다른 작업자에게 배관에 필요한 지시사항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미끄럼을 방지하는 엠보싱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조립단 내측에 결합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설시킨 결합돌기;
상기 손잡이의 조립단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끼이는 결합요부를 형성한 삽입단이 형성된 원뿔모양의 확관부와; 및
상기 확관부의 원뿔모양 외주에 등각도상으로 등분되어 면취날이 형성된 호형상의 거치상돌기와;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확관부의 원뿔모양 첨단부에는 끝이 뽀죽한 표시구를 조립하여 피조립부품의 외표면에 어떠한 표시를 표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으로 관의 절단부측을 원형으로 복원시킬 때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제6도의 (a)(b)(c)도는 제5도의 사용상태에 따른 관의 복원상태도이고, 제7도는 본 고안으로 관의 단부를 면취작업할 때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제8도는 본 고안으로 면취작업을 마친 관의 면취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본 고안의 확관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확관기(1)는 팔각형으로 된 손잡이(2)와 원뿔모양으로 된 확관부(3)가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2)의 외주 다각면에는 엠보싱(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확관작업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 촉감을 부드럽게 하였으며, 상기 손잡이(2)의 조립단(22) 내면에는 결합돌기(23)의 양쪽에 대향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의 내부 중간부분은 보강리브(24)에 의하여 강도가 보강됨과 동시 보울트나 너트 등의 작은 부품들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관부(3)의 삽입단(31)에는 상기 조립단(22)의 결합돌기(23)에 끼일 수 있는 결합요부(32)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삽입단(31)을 상기 조립단(22) 네측으로 삽입,조립하였을 때 확관부(3) 자체가 좌,우 어느 쪽으로도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확관부(3)의 원뿔모양 외주에는 등각도로 등분된 거치상돌기(33)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거치상돌기(33) 각각은 면취날(34)이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호형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뿔모양의 확관부(3) 첨단에는 표시구(4)가 착설되는데, 상기 표시구(4)는 끝이 뽀죽한 금속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볼펜과 같이 잉크 등이 인출되는 필기구의 촉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절단기(도시 없음)에 의하여 절단된 3중 복합관(5)의 절단부분은 절단칼의 절단압력에 의하여 찌그러진 상태가 됨과 동시 금속관(5a)와 이 금속관의 내,외측에 피복된 내,외측 피복관(5b)(5c)은 절단칼의 절단방향으로 쏠리는 버(burr)가 생기게 되는데, 이때 찌그러진 3중 복합관(5)의 절단부분을 원래 모양으로 복원시킴과 아울러 버를 없애고자 할 경우에는 제5도 및 제6도의 실시예와 같이 한 손으로는 확관기(1)의 손잡이(2)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3중 복합관(5)을 잡은 상태에서 확관기(1)의 확관부(3)를 3중 피복관(5)의 내측으로 세차게 밀어 넣으면서 면취날(34)의 반대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 되면 원뿔모양의 확관부(3)가 찌그러진 부분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작용과, 거치상돌기(33)의 호형면이 회전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하여 찌그러진 부분은 원래의 원형형태로 복원됨과 동시 내측 피복관(5b)에 형성되었던 까칠까칠한 버가 밋밋하게 다듬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3중 복합관(5)의 찌그러진 절단부분을 원형상태로 복원하면서 내측 피복관(5b)를 면취가공하고자 할 때에는 제7도의 실시예와 같이 확관기(1)의 확관부(3)를 3중 피복관(5) 속으로 세게 밀어 넣으면서 면취날(34)이 돌출된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원뿔모양의 확관부(3)가 찌그러진 부분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작용과 면취날(34)의 회전작용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과 동시 면취날(34)이 내측 피복관(5b)을 깍아내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3중 복합관(5)과 내측 피복관(5b)의 단부는 제8도의 도시예와 같이 면취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3중 복합관(5)의 찌그러진 부분을 원형으로 복원시킴과 동시 면취가공을 수행할 경우에는 확관기(1) 자체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만 회전시키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확관작업 및 면취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확관기(1)의 확관부(3) 첨단부에는 끝이 뽀죽한 표시구(4)를 착설하므로서 배관작업의 현장에서 3중 복합관(5)의 절단길이를 표시하고자 할 때 표시구(4)의 뽀죽한 첨단으로 절단부위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서 3중 복합관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또한 배관작업에 필요한 사항을 표시할 수 있어 작업자 자신은 물론이고 다른 작업자에게도 필요사항을 지시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표시구(4)는 끝이 뽀죽한 금속제 또는 잉크 등이 인출되는 볼펜 촉 등과 같은 필기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확관기의 손잡이가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또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어 확관작업시 손잡이를 잡고 있는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 촉감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확관부를 원뿔모양으로 형성하였으므로 확관부의 최소직경에서부터 최대직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모든 3중 복합관에 구분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원뿔모양의 확관부에 등각도로 등분된 거치상돌기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3중 복합관의 찌그러진 부분만을 밋밋하게 확관만시키거나 또는 확관작업과 동시 면취작업도 겸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므로서 3중 복합관으로의 배관적업을 수행할 때 그 배관작업의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미끄럼을 방지하는 엠보싱(21)이 형성된 손잡이(2)와; 상기 손잡이(2)의 조립단(22) 내측에 결합시 회전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시킨 결합돌기(23)와; 상기 손잡이(2)의 조립단(22)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23)에 끼이는 결합요부(32)가 형성된 삽입단(31)이 일체로 형성되는 원뿔모양의 확관부(3)와; 및 상기 확관부(3)의 원뿔모양 외주에 등각도상으로 등분되어 면취날(34)이 형성된 호형상의 거치상돌기(33);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확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3)의 원뿔모양 첨단부에는 끝이 뽀죽한 표시구(4)를 조립하여 피조립부품의 외표면에 어떠한 표시 표기할 수 있게 한 것를 특징으로 하는 관 확관기.
KR2019960018911U 1996-06-29 1996-06-29 관 확관기 KR200146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8911U KR200146391Y1 (ko) 1996-06-29 1996-06-29 관 확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8911U KR200146391Y1 (ko) 1996-06-29 1996-06-29 관 확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083U KR980001083U (ko) 1998-03-30
KR200146391Y1 true KR200146391Y1 (ko) 1999-06-15

Family

ID=1946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8911U KR200146391Y1 (ko) 1996-06-29 1996-06-29 관 확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3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230B1 (ko) * 2012-02-10 2012-07-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필라멘트 플레이트 홀딩 및 삽입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필라멘트 플레이트 홀딩 및 삽입 방법
KR101668633B1 (ko) 2016-03-24 2016-10-24 김순석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20180002312U (ko) 2017-01-20 2018-07-30 김현진 동파이프 확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19B1 (ko) * 2013-06-26 2014-07-04 이종기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230B1 (ko) * 2012-02-10 2012-07-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필라멘트 플레이트 홀딩 및 삽입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필라멘트 플레이트 홀딩 및 삽입 방법
KR101668633B1 (ko) 2016-03-24 2016-10-24 김순석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20180002312U (ko) 2017-01-20 2018-07-30 김현진 동파이프 확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083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0123712A (ru) Рукоятка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хранения вставных режущ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KR200146391Y1 (ko) 관 확관기
GB1596835A (en) Rotatable piercing and boss-forming tools
US2732612A (en) Deburring tool
JP2009142877A (ja) 管端修正具
US4912847A (en) Cutting tool for `entx`-type plastic conduit
US20060125308A1 (en) Wear ring and extraction device for a rotatable tool
GB2147835A (en) A tool for preparing pipe-ends
JP5055224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治具およびフレキシブル管の調製方法
JP3044715U (ja) 管切断面のバリ取りおよび差し込み代マーキング治具
US20020094247A1 (en) Pipe end chamfering tool and measurement device
JPS58173410U (ja) ストレ−トシヤンク工具の把持構造
TW201540450A (zh) 裁切工具
US4157879A (en) Pipe reaming tool
JPH06134611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穴明け工具
JPS6236570Y2 (ko)
JP2000071102A (ja) 面取器
JP2521123Y2 (ja) 被覆カッター
GB2361451A (en) Tube preparation device
JPS6022734Y2 (ja) 同軸ケーブルの端部処理工具
JPH0544063U (ja) 被覆カツター
JP4205383B2 (ja) 筆記具
JP4544593B2 (ja) バリ取り工具
JP4790942B2 (ja) パイプカッター
JP2003135870A (ja) 樹脂管の面取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