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919B1 -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919B1
KR101414919B1 KR1020130073389A KR20130073389A KR101414919B1 KR 101414919 B1 KR101414919 B1 KR 101414919B1 KR 1020130073389 A KR1020130073389 A KR 1020130073389A KR 20130073389 A KR20130073389 A KR 20130073389A KR 101414919 B1 KR101414919 B1 KR 101414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lug
mandrel
expanding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기
Original Assignee
이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기 filed Critical 이종기
Priority to KR102013007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2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tubular articles
    • B21C1/24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tubular articles by means of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7Carriages; Drives
    • B21C1/28Carriages; Connections of grippers thereto;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7Carriages; Drives
    • B21C1/30Drives, e.g. carriage-traversing mechanisms; Driving elements, e.g. drawing chains; Controlling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9/00Devices for straightening wire or like work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drawing or wind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을 확관하는 강관 확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관이 공급되어 안착되도록 프레임 상부 수평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롤러가 구비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방부에 판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일측으로부터 타측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타측 내경에 강관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다이스; 상기 다이스의 전방측으로부터 수평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게 각각 연장형성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의 전방 일측에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전방에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대향되는 이송레일의 후방 일측에 종동풀리가 설치되고,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에 연결되도록 와이어가 구비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측에 안착되어 와이어의 안내에 따라 후방측 수평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 상기 이송레일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된 이동대차를 전방측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수단; 상기 이동대차의 후방부에 다수의 고정구가 형성되는 블럭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구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관통구를 통과하여 강관 내경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심봉; 상기 심봉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심봉을 이동시키는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강관 내경에 삽입되어 강관 내경을 정밀하게 확관시키는 플러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의 프레임 상부 수평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다수의 안착롤러의 상측에 강관을 안착시키는 강관설치작업단계; 상기 강관설치작업단계에 의해 안착롤러의 상측에 안착된 강관 내경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처리작업단계; 상기 윤활처리작업단계에 의해 윤활처리된 강관 내경에 심봉을 수용되게 이송시킨 후 심봉의 타측단에 플러그를 장착한 다음 플러그가 장착된 심봉을 역방향으로 견인 이송시켜 플러그가 강관 내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강관 내경을 정밀하게 확관시키는 확관작업단계; 상기 확관작업단계에 의해 확관된 강관을 교정기로 직진도를 맞추는 교정작업단계; 상기 교정작업단계에 의해 교정된 강관의 외관, 두께 길이 등의 검사 후 포장하는 검사 및 포장작업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Expanding steel pip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pparatus for expanding steel pipe}
본 발명은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관 내경으로 플러그가 장착된 심봉을 이송대차에 의해 일방향으로 견인하여 강관 내경에서 이동하는 플러그에 의해 강관 내경이 정밀하게 확관하는 강관 확관 장치를 구성하여 강관의 인발공정 대신 확관공정으로 강관의 내경을 확관함으로써, 강관을 소둔열처리공정, 약품처리공정 및 구부성형공정 없이 강관 내경에 윤활처리공정만으로 확관된 강관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현저히 감소하는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자동차, 조선 등에 주로 무계목강관이 사용되며 여기서, 무계목강관은 강편 또는 강괴를 재료로 하여 천공기로 두꺼운 관형상의 성형품을 만들고, 인발장치에 의해 관의 두께를 감소시켜 소정의 제품으로 만들어 접합부가 없는 강관으로 만드는 것이다.
상기 인발장치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외경, 내경 및 두께에 맞도록 강관의 직경을 정밀 소성가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인발가공(引拔加工)은 금속의 강관 또는 선을 금형장치를 통해서 인장하고 금형장치 구멍의 모양과 같은 단면의 강관이나 선을 만드는 방법을 일컫는 것으로서 보통 냉간 압연(冷間壓延)하는데 텅스텐이나 몰리브덴 등은 고온으로 인발가공을 한다.
종래에 강관을 인발하기 위해 다양한 인발 장치가 개발되었고,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2600호의“다발식 인발장치”를 살펴보면 복수의 성형공이 형성된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의 성형공을 각각 관통한 관체의 일단을 가이드에 설치된 견인대차가 협지하여, 일방향으로 당겨서 연신하는 연신수단 및 상기 연신수단을 통해 인발된 복수의 관체를 일괄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강관 인발장치는 다이스의 성형공으로 강관을 통과시켜 강관를 인발하게됨으로 강관의 외경 정밀도는 증가하나 강관의 내경 정밀도는 저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강관의 내경 정밀도가 저하됨으로 인해 항공기, 자동차등의 구동부에 강관이 사용시 강관 내경에 베어링과 같은 결합부재를 삽입시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아 결합부재의 외경에 맞추어 강관의 내경을 확관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항공기, 자동차등의 구동부에 사용되는 강관은 최근들어 외경의 정밀도 보다 내경의 저밀도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또한 종래의 강관 인발장치로 강관을 인발하기 위해 먼저 강관에 소둔열처리, 산세, 피막 및 윤활 등의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며, 상기 작업공정을 거친 강관을 견인대차가 협지시키기 위해 일단부를 구부 성형하게 되고, 그런 다음 다이스의 성형공에 견인대차가 협지된 강관을 통과시켜 인발하게 된다.
그리고 강관의 인발작업이 완료된 후 구부 성형된 강관의 일단부를 절단제거한 다음 교정기로 직진도를 맞추게 된다. 그런 다음 강관을 포장하여 출하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인발 강관의 제조방법은 강관에 소둔열처리, 산세, 피막 및 윤활 등의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며, 인발된 강관을 교정하고 출하하기 전 구부 성형된 강관의 일단부를 절단제거해야 하는 다양한 작업공정으로 인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2600호 (2008.10.02)
본 발명은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관 내경으로 플러그가 장착된 심봉을 이송대차에 의해 일방향으로 견인하여 강관 내경에서 이동하는 플러그에 의해 강관 내경이 정밀하게 확관하는 강관 확관 장치를 구성하여 강관의 인발공정 대신 확관공정으로 강관의 내경을 확관함으로써, 강관을 소둔열처리공정, 약품처리공정 및 구부성형공정 없이 강관 내경에 윤활처리공정만으로 확관된 강관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현저히 감소하는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관을 확관하는 강관 확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관이 공급되어 안착되도록 프레임 상부 수평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롤러가 구비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방부에 판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일측으로부터 타측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타측 내경에 강관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다이스; 상기 다이스의 전방측으로부터 수평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게 각각 연장형성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의 전방 일측에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전방에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대향되는 이송레일의 후방 일측에 종동풀리가 설치되고,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에 연결되도록 와이어가 구비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측에 안착되어 와이어의 안내에 따라 후방측 수평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 상기 이송레일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된 이동대차를 전방측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수단; 상기 이동대차의 후방부에 다수의 고정구가 형성되는 블럭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구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관통구를 통과하여 강관 내경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심봉; 상기 심봉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심봉을 이동시키는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강관 내경에 삽입되어 강관 내경을 정밀하게 확관시키는 플러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확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의 프레임 상부 수평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다수의 안착롤러의 상측에 강관을 안착시키는 강관설치작업단계; 상기 강관설치작업단계에 의해 안착롤러의 상측에 안착된 강관 내경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처리작업단계; 상기 윤활처리작업단계에 의해 윤활처리된 강관 내경에 심봉을 수용되게 이송시킨 후 심봉의 타측단에 플러그를 장착한 다음 플러그가 장착된 심봉을 역방향으로 견인 이송시켜 플러그가 강관 내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강관 내경을 정밀하게 확관시키는 확관작업단계; 상기 확관작업단계에 의해 확관된 강관을 교정기로 직진도를 맞추는 교정작업단계; 상기 교정작업단계에 의해 교정된 강관의 외관, 두께 길이 등의 검사 후 포장하는 검사 및 포장작업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확관 장치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확관 장치는 플러그가 장착된 심봉을 이송대차에 의해 일방향으로 견인하여 강관 내경에서 이동하는 플러그에 의해 강관 내경이 정밀하게 수요자의 주문에 맞추어 확관됨으로 베어링 등과 같은 결합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해 제가공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증가하는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항시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견인수단으로 인해 초기 구동에 의해 모터 등 장치의 부하가 반복하여 가중되는 문제점이 예방되고, 또 항시 균일한 견인력을 통해 이동대차가 일방향으로 이송되므로, 품질의 안정성 내지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은 강관의 확관 장치를 구성하여 강관의 인발공정 대신 확관공정으로 강관의 내경을 확관함으로 강관의 소둔열처리, 상세, 피막 및 구부성형 등의 작업공정 없이 강관 내경에 윤활처리만으로 확관 강관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시간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확관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대차 및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심봉 및 플러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를 알 수 있는 부분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을 알 수 있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확관 장치는 강관(1)이 공급되어 안착되는 안착부(10)와, 상기 안착부(10)의 전방부에 판체 형태로 형성되는 다이스(20)와, 상기 다이스(20)의 전방측에 연장형성되는 이송레일(30)과, 상기 이송레일(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송부(40)와, 상기 이송레일(30)의 상부측에 안착되는 이동대차(50)와, 상기 이송레일(3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견인수단(60)과, 상기 이동대차(5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고정수단(70)과, 상기 고정수단(70)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심봉(80)과, 상기 심봉(80)의 타단부에 탈부착되는 플러그(90)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관(1)이 공급되어 안착되도록 안착부(10)가 구성되고, 안착부(10)의 프레임(11) 상부 수평 길이방향으로 강관(1)이 안정하게 안착되게 다수의 안착롤러(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0)의 전방부에 판체 형태로 다이스(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이스(2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타측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구(21)가 형성되며, 관통구(21)의 타측 내경에 강관(1)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턱(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21)는 심봉(80)과 플러그(90)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스(20)의 상부에 내경 넓이가 다양한 관통구(21)가 다수 형성됨으로써, 수요자의 주문에 맞게 다수의 다양한 내경 크기의 확관 강관(1)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스(20)의 전방측으로부터 수평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게 각각의 이송레일(30)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레일(30)의 일측부에 이송부(4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40)는 이송레일(30)의 전방 일측에 모터(41)가 설치되고, 모터(41)의 전방에 모터(4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42)가 구비되며, 구동풀리(42)와 대향되는 이송레일(30)의 후방 일측에 종동풀리(43)가 설치되고, 구동풀리(42) 및 종동풀리(44)에 연결되도록 와이어(4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이송레일(30)의 상부측에 와이어(44)의 안내에 따라 후방측 수평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50)가 안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대차(50)가 견인수단(60)에 견착되어 이송레일(30)의 전방측 수평 길이방향으로 견인되도록 이동대차(50)의 전방 상부측에 힌지구조로 후크(51)가 설치되며, 후크(51)의 상측 일지점과 상호 연결되어 후크(51)의 전방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견인수단(60)과 견착 또는 견착을 해제시키는 실린더(52)가 이동대차(50)의 상부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40)에 의해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된 이동대차(50)를 전방측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수단(60)이 이송레일(30)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견인수단(60)은 이송레일(30)의 전방부 일측에 구동모터(61)가 설치되며, 구동모터(6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스프로킷(62)이 이송레일(30)전방측 사이에 구비되고, 구동스프로킷(62)와 대향되는 이송레일(30)의 후방측 사이에 종동스프로킷(63)이 설치되며, 구동스프로킷(62) 및 종동스프로킷(63)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체인(6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40) 또는 견인수단(60)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대차(50)의 위치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이송부(40)를 정지시키거나, 이동대차(50)와 견인수단(60)과 견착을 해제시키는 감지센서(100)가 이송레일(30)의 전후방 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감지센서(100)가 이동대차(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동대차(50)의 측부에 감지구(53)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대차(50)의 후방부에 다수의 고정구(71)기 형성되는 블럭 형태로 고정수단(70)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대차(50)의 이동에 따라 관통구(21)를 통과하여 강관(1) 내경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심봉(80)이 고정수단(70)의 고정구(71)에 일단부가 고정된다.
이때 고정수단(70)의 고정구(71)를 다수 형성함으로써, 한 개 이상의 심봉(80)을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번에 다수의 확관 강관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봉(80)을 이동시키는 이동대차(50)의 이동에 따라 강관(1) 내경에 삽입되어 강관(1) 내경을 정밀하게 확관시키는 플러그(90)가 심봉(80)의 타단부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90)가 심봉(80)의 타단부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심봉(80)의 타단부로 수평 길이방향으로 삼각 형태로 끼움돌기(81)가 연장형성되고, 끼움돌기(81)와 심봉(80)의 타단부 사이에 심봉(80)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8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81)에 플러그(90)의 일측부에 끼움되어 회전되도록 플러그(90)의 일측단부로부터 내부방향으로 회전홈(91)이 형성되고, 회전홈(91)에 끼움돌기(81)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90)의 회전방향에 따라 플러그(90)가 심봉(80)에 걸림되어 부착 고정되도록 회전홈(91)의 외측 단부에 끼움돌기(81)와 동일한 삼각 형태로 관통되게 걸림편(9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홈(91)에 끼움돌기(81)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90)를 회전시 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일정위치에서 회전이 정지되도록 회전홈(91) 내경에 검림턱(9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강관(1)을 확관시 다양한 내경으로 확관되도록 심봉(80)의 끼움돌기(81)에 탈부착 고정되는 플러그(90)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확관 장치의 동작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0)의 안착롤러(12)로 강관공급수단(미도시됨)에 의해 강관(1)이 공급되어 안착하게 된다.
그리고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대차(5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고정수단(70)의 고정구(71)에 일단부가 고정된 심봉(80)이 이동대차(50)와 함께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레일(30)을 따라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대차(50)와 함께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심봉(80)은 다이스(20)의 관통구(21)를 통과하여 안착부(10)의 안착롤러(12)에 안착된 강관(10) 내경에 수용되어 이동하게 되며, 이송레일(30)의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대차(50)의 감지부(53)가 이송레일(30)의 후방 측부에 설치된 감지센서(100)에 감지되어 이송부(40)가 정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대차(50) 또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심봉(80)의 타측단부는 강관(1)의 내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강관(1)의 내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심봉(8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81)에 작업자가 플러그(90)를 부착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플러그(90)의 후단부를 강관(1) 타측 내경에 삽입시킨 후 작업자가 스위치(미도시됨)를 작동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50)의 상부측에 설치된 실린더(52)의 작동으로 인해 후크(51)의 전방부가 하부로 이동하여 견인수단(60)의 체인(64)에 견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대차(50)가 이송레일(30)을 따라 전방 방향으로 견인되어 이동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수단(60)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되는 이동대차(50)로 인해 심봉(80) 또한 플러그(90)가 부착 고정된 상태로 강관(1)의 내경에 수용되어 강관(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됨으로써, 강관(1)의 내경을 플러그(90)가 확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강관(1)의 전방단부는 심봉(80)의 이동으로 인해 다이스(20) 관통구(21)의 걸림턱(22)이 수용되어 걸림되어 진다.
상기 플러그(90)가 부착된 심봉(80)이 강관(1) 내경을 빠져나와 다이스(20)의 관통구(21)를 통과시 이동대차(50) 또한 이송레일(30)의 전방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를 이송레일(30)의 전방 측부에 설치된 감지센서(100)가 이동대차(50)의 측부에 형성된 감지부(53)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00)가 이동대차(50)의 측부에 형성된 감지부(53)를 감지함으로써, 이동대차(50)의 상부측에 설치된 실린더(52)를 작동시켜 후크(51)의 전방부를 상부로 이동되게 하여 견인수단(60)의 체인(64)에 견착을 해제시킴으로 이동대차(50)가 정지하게 되고, 강관(1) 내경의 확관이 완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강관(1) 내경을 수요자의 주문에 맞게 정밀하게 확관하여 항공기, 자동차 등의 구동부에 사용시 베어링 등과 같은 결합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해 제가공할 필요가 없이 결합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하는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구성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확관 강관의 제조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강관설치작업단계(S1)-강관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강관(1)을 작업자가 안착부(10)의 프레임(11) 상부 수평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다수의 안착롤러(12)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윤활처리작업단계(S2)-상기 강관설치작업단계(S1)에 의해 안착롤러(12)의 상측에 안착된 강관(1) 내경에 작업자가 분사부재를 사용하여 윤활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확관작업단계(S3)-상기 윤활처리작업단계(S2)에 의해 윤활처리된 강관(1) 내경에 심봉(80)을 수용되게 이송시킨 후 심봉(80)의 타측단부에 플러그(90)를 장착한 다음 플러그(90)가 장착된 심봉(80)을 역방향으로 견인 이송시켜 플러그(90)가 강관(1) 내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강관(1) 내경을 정밀하게 확관하는 단계이다.
교정작업단계(S4)-상기 확관작업단계(S3)에 의해 내경이 확관된 강관(1)을 교정기로 직진도를 맞추는 단계이다.
검사 및 포장작업단계(S5);-상기 교정작업단계(S4)에 의해 교정된 강관(1)의 외관, 두께 길이 등의 수요자의 주문에 맞게 제작되었는지 작업자가 검사 후 포장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확관 강관은 강관의 확관 장치를 구성하여 강관의 인발공정 대신 확관공정으로 강관의 내경을 확관함으로 강관을 소둔열처리공정, 약품처리공정 및 구부성형공정 없이 강관 내경에 윤활처리만으로 확관 강관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시간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강관 10 : 안착부
20 : 이송레일 30 : 다이스
40 : 이송부 50 : 이동대차
60 : 견인수단 70 : 고정수단
80 : 심봉 90 : 플러그

Claims (5)

  1. 강관(1)을 확관하는 강관 확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관(1)이 공급되어 안착되도록 프레임(11) 상부 수평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롤러(12)가 구비되는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의 전방부에 판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일측으로부터 타측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구(21)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21)의 타측 내경에 강관(1)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턱(22)이 형성되는 다이스(20);
    상기 다이스(20)의 전방측으로부터 수평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게 각각 연장형성되는 이송레일(30);
    상기 이송레일(30)의 전방 일측에 모터(41)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41)의 전방에 모터(4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42)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풀리(42)와 대향되는 이송레일(30)의 후방 일측에 종동풀리(43)가 설치되고, 구동풀리(42) 및 종동풀리(44)에 연결되도록 와이어(44)가 구비되는 이송부(40);
    상기 이송레일(30)의 상부측에 안착되어 와이어(44)의 안내에 따라 후방측 수평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50);
    상기 이송레일(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부(40)에 의해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된 이동대차(50)를 전방측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수단(60);
    상기 이동대차(50)의 후방부에 다수의 고정구(71)가 형성되는 블럭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수단(70);
    상기 고정구(71)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이동대차(50)의 이동에 따라 관통구(21)를 통과하여 강관(1) 내경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심봉(80);
    상기 심봉(80)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심봉(80)을 이동시키는 이동대차(50)의 이동에 따라 강관(1) 내경에 삽입되어 강관(1) 내경을 정밀하게 확관시키는 플러그(90);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확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50)가 견인수단(60)에 견착되어 견인되도록 이동대차(50)의 전방 상부측에 힌지구조로 후크(51)가 설치되고, 상기 후크(51)의 상측 일지점과 상호 연결되어 후크(51)의 전방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견인수단(60)과 견착 또는 견착을 해제시키는 실린더(52)가 이동대차(50)의 상부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확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60)은 이송레일(30)의 전방부 일측에 구동모터(61)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6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스프로킷(62)이 이송레일(30)전방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62)와 대향되는 이송레일(30)의 후방측 사이에 종동스프로킷(63)이 설치되며, 구동스프로킷(62) 및 종동스프로킷(63)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체인(6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확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80)의 타단부로 수평 길이방향으로 삼각 형태로 끼움돌기(81)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81)와 심봉(80)의 타단부 사이에 심봉(80)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82)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81)에 플러그(90)의 일측부에 끼움되어 회전되도록 플러그(90)의 일측단부로부터 내부방향으로 회전홈(9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91)에 끼움돌기(81)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90)의 회전방향에 따라 플러그(90)가 심봉(80)에 걸림되어 부착 고정되도록 회전홈(91)의 외측 단부에 끼움돌기(81)와 동일한 삼각 형태로 관통되게 걸림편(92)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홈(91)에 끼움돌기(81)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90)가 회전시 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일정위치에서 회전이 정지되도록 회전홈(91) 내경에 검림턱(9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확관 장치.
  5. 제1항의 강관 확관 장치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안착부(10)의 프레임(11) 상부 수평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다수의 안착롤러(12)의 상측에 강관(1)을 안착시키는 강관설치작업단계(S1);
    상기 강관설치작업단계(S1)에 의해 안착롤러(12)의 상측에 안착된 강관(1) 내경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처리작업단계(S2);
    상기 윤활처리작업단계(S2)에 의해 윤활처리된 강관(1) 내경에 심봉(80)을 수용되게 이송시킨 후 심봉(80)의 타측단에 플러그(90)를 장착한 다음 플러그(90)가 장착된 심봉(80)을 역방향으로 견인 이송시켜 플러그(90)가 강관(1) 내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강관(1)을 정밀하게 확관시키는 확관작업단계(S3);
    상기 확관작업단계(S3)에 의해 확관된 강관(1)을 교정기로 직진도를 맞추는 교정작업단계(S4);
    상기 교정작업단계(S4)에 의해 교정된 강관(1)의 외관, 두께 길이 등의 검사 후 포장하는 검사 및 포장작업단계(S5);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확관 장치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방법.
KR1020130073389A 2013-06-26 2013-06-26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KR101414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389A KR101414919B1 (ko) 2013-06-26 2013-06-26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389A KR101414919B1 (ko) 2013-06-26 2013-06-26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919B1 true KR101414919B1 (ko) 2014-07-04

Family

ID=5174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389A KR101414919B1 (ko) 2013-06-26 2013-06-26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9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8772A (zh) * 2019-09-28 2019-12-10 绍兴永昊精密电热器件有限公司 一种电热丝生产用自动化加工系统
KR102192733B1 (ko) * 2019-11-12 2020-12-17 목숙자 관 가공 시스템
CN112974548A (zh) * 2021-04-15 2021-06-18 宁波恒胜管业有限公司 一种用于钢管冷轧的全自动上下料设备及其上下料方法
CN114029351A (zh) * 2021-09-26 2022-02-11 张家港沙龙精密管业有限公司 一种精密轴承钢管用高精度冷轧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083U (ko) * 1996-06-29 1998-03-30 권윤노 관 확관기
KR100924770B1 (ko) * 2008-12-31 2009-11-05 주식회사 성은이엠 금속파이프의 엠보싱돌기 성형장치
KR20110139386A (ko) * 2010-06-23 2011-12-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퍼터링 타겟용 탄탈륨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24753B1 (ko) 2013-07-17 2013-11-05 협신정공 주식회사 파이프의 확관 및 진원진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083U (ko) * 1996-06-29 1998-03-30 권윤노 관 확관기
KR100924770B1 (ko) * 2008-12-31 2009-11-05 주식회사 성은이엠 금속파이프의 엠보싱돌기 성형장치
KR20110139386A (ko) * 2010-06-23 2011-12-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퍼터링 타겟용 탄탈륨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24753B1 (ko) 2013-07-17 2013-11-05 협신정공 주식회사 파이프의 확관 및 진원진직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8772A (zh) * 2019-09-28 2019-12-10 绍兴永昊精密电热器件有限公司 一种电热丝生产用自动化加工系统
CN110548772B (zh) * 2019-09-28 2021-01-22 绍兴永昊精密电热器件有限公司 一种电热丝生产用自动化加工系统
KR102192733B1 (ko) * 2019-11-12 2020-12-17 목숙자 관 가공 시스템
CN112974548A (zh) * 2021-04-15 2021-06-18 宁波恒胜管业有限公司 一种用于钢管冷轧的全自动上下料设备及其上下料方法
CN112974548B (zh) * 2021-04-15 2024-05-14 宁波恒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钢管冷轧的全自动上下料设备及其上下料方法
CN114029351A (zh) * 2021-09-26 2022-02-11 张家港沙龙精密管业有限公司 一种精密轴承钢管用高精度冷轧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919B1 (ko)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US10357817B2 (en) Method of forming extruded tubing for vehicle body component
SE441067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kalldragning av ror
US72256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panding a tube diameter and a pole formed thereby
US8459085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pipe from a tubular workpiece
CN110252887B (zh) 一种管件拔孔成型系统及管件拔孔成型方法
CN207013479U (zh) 一种用于自动冲压设备的放卷装置
US20170100765A1 (en) Method of forming a tubular member
KR20100007106A (ko) 파이프 인발기의 심봉 장입장치와 그 작동방법
KR102315372B1 (ko) 냉매 관 절단장치
US2886170A (en) Method of drawing tubes
US6685082B2 (en)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longitudinally welded metal tubing
CA25066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to a constant length
US2972186A (en) Mandrel swage
RU2414983C2 (ru) Способ высадки концов насосно-компрессорных труб
KR101547620B1 (ko) 파이프 전장 내경 확관장치
JPWO2015186416A1 (ja) 巻癖形成装置
US20180141141A1 (en) Traveling saw sample cut system
JP2007000906A (ja) 高寸法精度管の製造方法
CN107639421B (zh) 一种集气管加工设备及其加工工艺
US2800942A (en)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ple metal working operations on pipe
US37381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d working seamless tubes
KR20200096902A (ko) 벨트 권취 장치
JPH01138035A (ja) 継目無管の拡管方法
AU2013100592A4 (en) Apparatus for forming bends in thermoplastic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