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733B1 - 관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733B1
KR102192733B1 KR1020190143878A KR20190143878A KR102192733B1 KR 102192733 B1 KR102192733 B1 KR 102192733B1 KR 1020190143878 A KR1020190143878 A KR 1020190143878A KR 20190143878 A KR20190143878 A KR 20190143878A KR 102192733 B1 KR102192733 B1 KR 10219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ube
base module
pipe
entr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숙자
Original Assignee
목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숙자 filed Critical 목숙자
Priority to KR102019014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6St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2Inspecting the exterior surface of cylindrical bodies or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가공 시스템에 있어서, 관에 대한 확관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작업부(10); 및 상기 제1 작업부(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가공 작업이 완료된 상기 관가 이송되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제1 거치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부(11)는 관(o)의 이탈을 방지 및 이송시 완충을 위한 완충돌기(12)가 구비되는 확관장치를 포함하는 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관의 활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절단 확관 등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의 표면 가공을 통하여 사용 전후로 양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 가공 시스템{PIPE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관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의 활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절단 확관 등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의 표면 가공을 통하여 사용 전후로 양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확관 장치를 포함하는 관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공형의 관은 토목, 건설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금속 중공관은 규격과 형상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중공관을 필요와 목적에 맞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적 또는 사후적 가공이 적절하게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공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확관과 절단 가공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수의 중공관에 대한 확관과 절단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중공관의 사전 적재 또는 사후 재활용 과정 등에 있어 자칫 관리 소홀로 그 품질이 저하되어 가치가 손상되고, 안정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중공관에 대한 추가적인 가공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이역시도 미흡하거나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8481호
본 발명은 관의 활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절단 확관 등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의 표면 가공을 통하여 사용 전후로 양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 가공 시스템에 있어서, 관에 대한 확관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작업부(10); 및 상기 제1 작업부(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가공 작업이 완료된 상기 관가 이송되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제1 거치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부(11)는 관(o)의 이탈을 방지 및 이송시 완충을 위한 완충돌기(12)가 구비되는 확관장치를 포함하는 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관 가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에 한 쌍의 제1 폴리(20a)가 구비되는 제1 프레임 구조물(20); 상부에 한 쌍의 제2 폴리(20b)가 구비되는 제2 프레임 구조물(21); 상부에 한 쌍의 제3 폴리(20c)가 구비되는 제3 프레임 구조물(22); 및 상기 제1 폴리(20a) 내지 상기 제3 폴리(20c) 사이로 삽입되어 거치되는 관(o)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를 포함하는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의 활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절단 확관 등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의 표면 가공을 통하여 사용 전후로 양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가공 시스템의 확관장치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가공 시스템의 절단장치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가공 시스템의 코팅 검사장치에 관한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 가공 시스템의 코팅 검사장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가공 시스템의 확관장치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가공 시스템의 절단장치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 가공 시스템은, 관에 대한 확관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작업부(10); 및 상기 제1 작업부(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가공 작업이 완료된 상기 관이 이송되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제1 거치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부(11)는 관(o)의 이탈을 방지 및 이송시 완충을 위한 완충돌기(12)가 구비되는 확관장치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관 가공 시스템은, 상부에 한 쌍의 제1 폴리(20a)가 구비되는 제1 프레임 구조물(20); 상부에 한 쌍의 제2 폴리(21a)가 구비되는 제2 프레임 구조물(21); 상부에 한 쌍의 제3 폴리가 구비되는 제3 프레임 구조물; 및 상기 제1 폴리(20a) 내지 상기 제3 폴리 사이로 삽입되어 거치되는 관(o)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22)를 포함하는 절단장치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가공 시스템의 코팅 검사장치에 관한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검사장치(1000)는 이송부(100), 리딩장치(200), 검사대(300), 이동부재(400), 카메라부(50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00)는 코팅된 관을 검사대(300)로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부(100)는 복수개의 롤러(101)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01)는 이송부(100)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여 관을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101)는 관의 하부면과 직접 접촉되며 회전에 의해 관을 이송하므로, 관과의 마찰력을 높임과 동시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롤러(101)의 표면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송부(100)는 검사장치(1000)에서 생략될 수 있고, 작업 인원이 직접 관를 검사대(300)에 이송할 수도 있다.
리딩장치(200)는 검사장치(100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되는 관의 종류 또는 검사 위치 등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딩 장치(200)에서 인식한 관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여, 제어부가 검사대(300), 이동부재(400) 및 카메라부(5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위치를 미리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리딩장치(200)는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딩장치(200)는 카메라 또는 스캐너 등을 포함하여, 관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관에 RFID 태그를 부착시키고, 리딩장치(200)에 RFID 리더기를 포함시켜, 관의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관 인식 장치 및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딩장치(200)는 이송부(100)의 일 영역, 즉 이송부(100)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 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송부(100)의 하부 프레임 또는 이송부(100)의 측면 프레임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리딩장치(2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 코팅 검사 장치(1000)에서 이송부(100)를 생략하는 경우, 검사대(300) 또는 카메라부(500) 등 관 코팅 장치(1000)의 다양한 영역에 리딩장치(2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검사대(300)는 관을 적합한 검사 위치에 안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검사대(300)는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고정부의 길이 및 너비를 조절하여, 관을 검사대(300)에 고정 장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관을 검사대(300)의 구성요소 변경 없이도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사대(300)는 관의 흐름과 위치를 감지하는 구성과 관을 정지시키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대(300)는 이송부(100)에서 이송되는 관의 흐름을 감지하여, 관을 적정 검사 위치에 이송 및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대(300)는 지평면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의 면의 촬영이 종료된 후, 검사대(300)를 회전시킴으로써, 관의 측면 또는 하부면 등 다양한 관의 면들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의 양면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검사대(300)에서 관의 일 면을 촬영한 다음, 검사대(300)를 180° 회전시켜 반대 면도 연속적으로 촬영함으로써, 관의 양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검사대(30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평한 면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검사대(300)의 내부 측면을 경사지게 하여, 관의 하부면이 검사대(300)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의 하부면에 부품들이 장착된 경우, 부품들의 훼손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검사대(30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관만을 안착시킬 수도 있으며, 복수의 관을 안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검사대(300)의 수용공간은 관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부재(400)는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카메라부(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는 제 1 수평부재(401), 수직부재(402) 및 제 2 수평부재(4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x축 및 Y축은 검사대(300)와 평행할 수 있고 서로 직교할 수 있으며, Z축은 검사대(300)에 수직일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수평부재(401) 및 제 2 수평부재(402)를 통하여, 카메라부(500)를 관의 x축중심선과 Y축 중심선의 교차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수직부재(402)를 통하여, 카메라부(500)를 Z축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부(500)를 최적 초점거리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부(500)는 관의 전 영역을 한 번의 촬영으로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어, 검사 공정을 최소화 및 검사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카메라부(500)는 이동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고, 검사대(300)에 안착된 관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500)는 x축 및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카메라부(50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도 4에 도시되는 x축 틸팅부(501) 및 Y축 틸팅부(5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부(500)는 관를 다양한 각도로 촬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부품들의 측면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500)는 상기 관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부품들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부품들의 높이 등에 따라 카메라부(50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500)는 한 번의 촬영을 통해 전체 관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이동부재(400)를 통해 촬영 위치좌표를 변경하면서 복수의 관의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부(5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부(500)의 렌즈 각도 조절, 연속 촬영 및 이동 촬영에 관해서는, 하기 도 4 및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부(500)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카메라, CMOS(complementary metal o관ide semiconductor) 카메라, Area Scan 카메라 등 실시예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 및 촬영 범위를 가지는 촬영 장비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부(500)는 관의 정밀한 촬영을 위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에서 발산하는 빛은 백광, 형광, 자외선광, 적외선광 등 다양한 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에 코팅된 코팅재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빛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카메라부(5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코팅 오류를 검사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카메라부(5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서 결함이 존재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정상적으로 코팅된 관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후, 카메라부(500)에 의해 촬영된 관의 영상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관 코팅의 결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관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결함영역의 좌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결함 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부재(400) 및 카메라부(500)를 제어하여 결함 영역을 정밀하게 재촬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검사장치(1000)의 구성요소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관이 일정한 시간 또는 간격으로 반입될 수 있도록 이송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500)에 의해 관의 일 면 이미지를 획득한 후, 반대편 일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검사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관의 일면을 촬영한 후, 제어부는 검사대(300)를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검사대(300)를 180°로 회전시킴으로써, 관의 양면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검사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관의 영상 데이터를 보다 선명하게 획득하기 위해서, 카메라부(500)의 x축 및 Y축 이동 조절 및 이동부재(400)를 통하여, 카메라부(500)를 적정한 초점거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서는 부품의 소형화 또는 집적화 정도에 따라 획득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하여 관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 영역에 따라 카메라부(50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500)는, x축 틸팅부(501), Y축 틸팅부(502) 및 카메라 렌즈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x축 틸팅부(501)는 이동부재(400)의 일단에 결합되고 x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Y축 틸팅부(502)는 x축 틸팅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Y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카메라 렌즈부(503)는 Y축 틸팅부(502)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부(500)는 x축 틸팅부(501) 및 Y축 틸팅부(502)에 의해 카메라 렌즈부(503)의 촬영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500)는 관의 다양한 면뿐만 아니라, 관과 소정의 수직각(예; 90°)을 이루며 결합된 부품들도 촬영할 수 있다. 즉, 관의 상부에서 평면도만 촬영할 수 있는 종래 기술은, 관과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의 측면이 코팅재에 의해 오염된 경우 이를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카메라부(500)의 렌즈 각도를 조절하여 관과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의 측면부 및 결합부의 오염 및 코팅 불량까지 검사할 수 있어, 신뢰성 높은 검사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기 도 5에서 설명되는 이동부재(400)를 이용한 카메라부(500)의 이동 운동을 추가하여, 관 및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을 더욱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카메라부(500)는 관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부품들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부품들의 높이 등을 측정한 후, x축 틸팅부(501) 및 Y축 틸팅부(502)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부(503)를 x축 또는 Y 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렌즈부(503)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x축 틸팅부(501) 및 Y축 틸팅부(502)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500)는 카메라부(500)의 촬영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구성으로 각도 조절부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동작방법을 도시한다. 도 5의 (a)는 관에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를 도시하고, 도 5의 (b)는 관에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를 도시한다. 먼저, x축 틸팅부(501) 및 Y축 틸팅부(502)를 이용하여 카메라부(500)를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부(500)가 관과 소정의 각도(α)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에 수직으로 형성된 부품들(S)의 측면을 카메라부(500)가 촬영할 수 있으므로, 관과 수직으로 결합된부품들(S)의 측면부 및 결합부의 오염 및 코팅 불량까지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500)는 관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부품들(S) 사이의 거리(d) 등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카메라 렌즈부(503)의 촬영 각도(α)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부(500)는 상기 부품들(S) 사이의 거리(d) 이외에도 상기 부품들(S)의 높이나 카메라부(500)와 관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카메라 렌즈부(503)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b)와 같이, 부품들 사이의 거리(d`)가 도 5의 (a)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d>d`), 카메라부(500)는 카메라 렌즈부(503)의 촬영 각도를 크게(α<α`)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각도의 조절을 통해, 관에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S)이 다양한 간격 또는 높이를 가진다 하더라도, 부품들(S)의 측면 영상데이터를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관과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S)의 거리는, 카메라부(500)에서 빛을 쏘아서 측정하는 방법, 제어부를 통해 미리 부품간의 거리를 입력하는 방법, 관과 부품들의 결합부에 카메라부(500)가 인식할 수 있는 특정의 형광 물질을 도포하는 방법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알려진 다양한 거리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메라부(500)는 수평면과 일정각도(α, α`)를 유지하고 관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500)를 이동시키면서 검사대(300)에 고정장착된 관을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렌즈부(503)의 초점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관에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S)의 코팅 불량 여부를 순차적으로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종래 관의 평면도만 촬영하는 경우,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의 오염여부를 검사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x축 틸팅부(501) 및 Y축 틸팅부(502)를 통해 카메라 렌즈부(503)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동부재(400)를 이용해 카메라부(5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렌즈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됨에 따라, 결합된 부품(S)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라도 각도를 조정하여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500)는 왕복 운동을 할 수 있어,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으로 이동하며, 관에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S)의 일 면을 검사한 후, 다시 시작점으로 되돌아 가면서 관에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S)의 다른 일 면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큰 관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카메라부(500)가 복수의 왕복 운동을 통하여, 관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어, 카메라 또는 스캐너의 추가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관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여 촬영할 수 있다.
특히, 관이 큰 경우, 하나의 관을 두 개의 영역(예: A영역, B영역)으로 나누어 A영역 촬영을 마친 후, 이동부재(400)를 통하여 B영역으로 카메라부(500)를 이동시킨 후 B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관을 구성장치의 변화 없이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5에는 카메라부(500)의 관 축 이동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500)를 Y축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관을 촬영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코팅 검사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관 코팅 검사방법(400)은, 먼저 관을 이송하는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은 사람이 직접 이송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이송될 수도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사장치(1000)는 이송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부(100)는 공정이 완료된 관이 진입하면, 관을 롤러(101) 위에 안착시키고, 관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롤러(101)가 회전하면, 롤러 상에 위치한 관이 검사대(300)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 코팅 검사방법(400)은, 이송부(100)에 진입한 관의 종류 및 크기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딩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이 리딩장치(200)의 인식 영역에 위치하면, 리딩장치(200)는 관의 종류 및 크기 등을 인식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관 코팅 검사방법(400)은, 검사대(300)에 관을 안착시키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검사대(300)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자동으로 관의 크기에 맞게 폭조절을 수행하여 관을 검사대(300)에 고정 장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사장치(1000)의 큰 구성 변경 없이도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관을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사대(300)는 지평면과 다양한 각도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의 일면을 촬영한 후, 관이 고정 장착된 검사대(300)를 회전시킴으로써, 관의 측면 또는 하부면 등 다양한 관의 면을 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관 코팅 검사방법(400)은, x축 및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부(50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430 단계에서, x축 틸팅부(501) 및 Y축 틸팅부(502)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부(503)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500)는 관과 수직각을 이루며 결합된 부품들(S) 사이의 거리(d), 상기 부품들(S)의 높이 및 카메라부(500)와 관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카메라 렌즈부(503)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과 결합된 부품 측면의 코팅 불량 및 오염을 검사할 수 있다. 부품들간의 거리 및 높이 측정 방식 및 렌즈의 각도 조절은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관 코팅 검사방법(400)은, 검사대(300)에 안착된 관을 카메라부(500)가 촬영하는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500)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 위치하여, 관 전체를 한번에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0)를 따라 이동하며 관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 렌즈부(503)의 촬영 각도를 달리하여 관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명한 관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관과 수직으로 결합된 부품들(S)의 측면코팅 오류까지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부(500)는 제어부에 의해 분할된 관의 영역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관 코팅 검사방법(400)은, 상기 촬영된 관의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의 코팅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기 설정된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의 결함 영역을 판단하고, 관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결함 영역의 좌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 가공 시스템의 코팅 검사장치의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코팅 검사장치는, 상기 관이 안착되는 검사대(300); 이동부재(400)에 결합되며, 상기 검사대(300)에 안착된 상기 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500); 상기 관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500)를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00); 복수개의 롤러로 구현되며, 상기 관을 상기 검사대(300)로 이송하는 이송부(100); 및 상기 이송부(100)가 상부에 위치되는 제1 베이스모듈(611)과, 상기 검사대(300)와 상기 이동부재(400)가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이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연동되어 구비되는 제2 베이스모듈(612)을 포함하는 베이스모듈(610)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모듈(611)은, 하부의 제1-1 베이스부(611a)와,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100)가 상부에 위치되는 제1-2 베이스부(611b)를 포함하며, 제2 베이스모듈(612)은, 하부의 제2-1 베이스부(612a)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상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400)와 상기 검사대(300)가 상부에 위치되는 제2-2 베이스부(61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의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는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와 연동되어,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후퇴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는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상에서 수평방향 둘레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의 상기 제1-2 베이스부(611b)는,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상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 유동하는 제1 유동모드로 동작되거나, 상방과 하방간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유동되는 제2 유동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는,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의 내부로 하강 진입되는 제1 하강모드로 동작되거나, 상부로 상승 유동되는 제1 상승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는,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이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제1 하강모드로 동작되어, 진입된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을 하부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는 상기 제1 하강모드로 동작되되,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의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를 하부록 가압하는 제1-1 하강모드와,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의 상기 제1-2 베이스부(611b)가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와 함께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를 하부록 가압하는 제1-2 하강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 전단면 측에 위치되는 구동체(711)와, 상기 구동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타입의 제1 가변유동체(712)와, 상기 구동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타입의 제2 가변유동체(713)와, 상기 제1 가변유동체(712)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일측면과 대항하도록 구비되는 제1 가변접촉부(712a)와, 상기 제2 가변유동체(713)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타측면과 대항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변접촉부(713a)를 포함하는 보조 가압모듈(7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변유동체(712)는 상기 구동체(711)상에서 승강하거나 하강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상기 제1 가변유동체(712)상에서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과 이격되거나 가압 접촉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가변유동체(713)는 상기 구동체(711)상에서 승강하거나 하강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상기 제2 가변유동체(713)상에서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과 이격되거나 가압 접촉하도록 유동되어, 상기 제2 베이스모듈을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킨다.
상기 구동체(711)상에서 상기 제1 가변유동체(712)의 상방과 하방간의 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가변접촉부(612a)는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와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접촉 가압하며, 상기 구동체(711)상에서 상기 제1 가변유동체(712)의 상방과 하방간의 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와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중 어느 하나의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접촉 가압한다.
상기 제1 가변접촉부(612a)는, 상기 제1 가변유동체(712)상에서 수직 수직방향으로 축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 및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회전 가압힘을 가하며,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상기 제2 가변유동체(713)상에서 수직 수직방향으로 축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 및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회전 가압힘을 가한다.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와의 대향면에 제1 진입돌기부(712a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진입돌기부(712a1)를 통해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를 일정깊이 관통하여 결속되며,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와의 대향면에 제2 진입돌기부(713a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3a1)를 통해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를 일정깊이 관통하여 결속된다.
상기 제1 진입돌기부(712a1)는,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상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상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진입돌기부(712a12)와,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상의 길이방향 상의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 사이에 구비되는 제1-3 진입돌기부(712a13)와,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상의 길이방향 상의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 사이에 구비되는 제1-4 진입돌기부(712a14)를 포함한다.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는 상호간에 근접 방향 또는 이격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3a1)는,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상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상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2 진입돌기부(713a12)와,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상의 길이방향 상의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 사이에 구비되는 제2-3 진입돌기부(713a13)와,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상의 길이방향 상의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 사이에 구비되는 제2-4 진입돌기부(713a14)를 포함한다.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는 상호간에 근접 방향 또는 이격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는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직각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는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직각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와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는 상호간에 반대되는 직가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는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직각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는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직각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와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는 상호간에 반대되는 직가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면,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 내지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는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를 가압 접촉하며,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 내지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는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를 가압 접촉한다.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면,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 내지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는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를 가압 접촉하며,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 내지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는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를 가압 접촉한다.
상기 제1-2 베이스부(611b)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면,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 내지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는 상기 제1-2 베이스부(611b)를 가압 접촉한다. 상기 제1 진입돌기부(712a1)는,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1-2‘ 진입돌기부(712a12')와,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와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1-3‘ 진입돌기부(712a13')와,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와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1-4‘ 진입돌기부(712a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3a1)는,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2-2‘ 진입돌기부(713a12')와,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와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2-3‘ 진입돌기부(713a13')와,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와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2-4‘ 진입돌기부(713a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제1 가압구동부(810)와, 상기 제1 가압구동부(8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에 접촉하는 제1-1 홀딩부(811)와, 상기 제1 가압구동부(8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에 접촉하는 제1-2 홀딩부(8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구동부(810)는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1 홀딩부(811)와 상기 제1-2 홀딩부(81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제2 가압구동부(820)와, 상기 제2 가압구동부(8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에 접촉하는 제2-1 홀딩부(821)와, 상기 제2 가압구동부(8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2a12')에 접촉하는 제2-2 홀딩부(8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압구동부는(820),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와, 상기 제1-2‘ 진입돌기부(712a12')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2-1 홀딩부(821)와 상기 제2-2 홀딩부(82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와 상기 제1-2‘ 진입돌기부(712a12')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제3 가압구동부(830)와, 상기 제3 가압구동부(8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에 접촉하는 제3-1 홀딩부(831)와, 상기 제3 가압구동부(8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에 접촉하는 제3-2 홀딩부(832)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가압구동*구동체는(830),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와,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3-1 홀딩부(831)와 상기 제3-2 홀딩부(83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와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제4 가압구동부(840)와, 상기 제4 가압구동부(8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에 접촉하는 제4-1 홀딩부(841)와, 상기 제4 가압구동부(8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에 접촉하는 제4-2 홀딩부(842)를 포함한다. 상기 제4 가압구동*구동체는(840),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와,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2-1 홀딩부(821)와 상기 제2-2 홀딩부(82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와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를 가압 고정시킨다.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상기 제1 가압구동부(810)와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구동부(810)와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1’ 가압구동부(810')와, 상기 제제1’ 가압구동부(8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에 접촉하는 제1-1’ 홀딩부(811')와, 상기 제제1’ 가압구동부(8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에 접촉하는 제1-2‘ 홀딩부(8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구동부(810')는,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1‘ 홀딩부(811')와 상기 제1-2’ 홀딩부(81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와 상기 제1-1‘ 진입돌기부(712a11')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1 가압구동부(810)와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구동부(810)와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1’ 가압구동부(810')와,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제2 가압구동부(820)와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구동부(820)와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2‘ 가압구동부(820')와, 상기 제2’ 가압구동부(8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에 접촉하는 제2-1‘ 홀딩부(821')와, 상기 제2‘ 가압구동부(8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2a12')에 접촉하는 제2-2‘ 홀딩부(8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압구동부(820')는,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와, 상기 제1-2‘ 진입돌기부(712a12')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2-1’ 홀딩부(821')와 상기 제2-2‘ 홀딩부(82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 진입돌기부(712a12)와 상기 제1-2‘ 진입돌기부(712a12')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제3 가압구동부(830)와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구동부(830)와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3‘ 가압구동부(830')와, 상기 제3’ 가압구동부(8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에 접촉하는 제3-1‘ 홀딩부(831')와, 상기 제3’ 가압구동부(8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에 접촉하는 제3-2‘ 홀딩부(832')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가압구동부(830')는,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와,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3-1 홀딩부(831)와 상기 제3-2 홀딩부(83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와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를 가압 고정시키며,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제4 가압구동부(840)와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구동부(840)와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4‘ 가압구동부(840')와, 상기 제4 가압구동부(8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에 접촉하는 제4-1 홀딩부(841)와, 상기 제4 가압구동*구동체(8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에 접촉하는 제4-2 홀딩부(842)를 포함한다.
상기 제4 가압구동부는(840),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와,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4-1 홀딩부(841)와 상기 제4-2 홀딩부(84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와 상기 제1-4‘ 진입돌기부(712a14')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제5 가압구동부(910)와, 상기 제5 가압구동부(9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에 접촉하는 제5-1 홀딩부(911)와, 상기 제5 가압구동부(9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2a12')에 접촉하는 제5-2 홀딩부(9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5 가압구동부(910)는,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5-1 홀딩부(911)와 상기 제5-2 홀딩부(91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제6 가압구동부(920)와, 상기 제6 가압구동부(9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에 접촉하는 제6-1 홀딩부(921)와, 상기 제6 가압구동부(9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에 접촉하는 제6-2 홀딩부(9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6 가압구동부(920)는,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와,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6-1 홀딩부(921)와 상기 제6-2 홀딩부(92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와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제7 가압구동부(930)와, 상기 제7 가압구동부(9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에 접촉하는 제7-1 홀딩부(931)와, 상기 제7 가압구동부(9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에 접촉하는 제7-2 홀딩부(932)를 포함한다.
상기 제7 가압구동부(930)는,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와,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7-1 홀딩부(931)와 상기 제7-2 홀딩부(93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와 상기 제1-3‘ 진입돌기부(712a13')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제8 가압구동부(940)와, 상기 제8 가압구동부(9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에 접촉하는 제8-1 홀딩부(941)와, 상기 제8 가압구동부(9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에 접촉하는 제8-2 홀딩부(942)를 포함하며, 상기 제8 가압구동*?*구동체(940)는,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와,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8-1 홀딩부(941)와 상기 제8-2 홀딩부(94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와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를 가압 고정시킨다.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상기 제5 가압구동부(910)와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5 가압구동부(910)와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5’ 가압구동부(910')와, 상기 제5‘ 가압구동부(9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에 접촉하는 제5-1’ 홀딩부(911')와, 상기 제5‘ 가압구동부(9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5-1’ 진입돌기부(713a11‘)에 접촉하는 제5-2‘ 홀딩부(9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5’ 가압구동부(910')는,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5-1’ 홀딩부(911')와 상기 제5-2‘ 홀딩부(91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와 상기 제2-1‘ 진입돌기부(713a11')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상기 제6 가압구동부(920)와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6 가압구동부(920)와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6‘ 가압구동부(920')와, 상기 제6’ 가압구동부(9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에 접촉하는 제6-1‘ 홀딩부(921')와, 상기 제6‘ 가압구동부(9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에 접촉하는 제6-2‘ 홀딩부(9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가압구동부(920')는,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와,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6-1’ 홀딩부(621')와 상기 제6-2‘ 홀딩부(92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와 상기 제2-2‘ 진입돌기부(713a12')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제7 가압구동부(930)와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7 가압구동부(930)와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7‘ 가압구동부(930’)와, 상기 제7’ 가압구동부(9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에 접촉하는 제7-1‘ 홀딩부(931')와, 상기 제7’ 가압구동부(9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에 접촉하는 제7-2‘ 홀딩부(932')를 포함한다.
상기 제7’ 가압구동부(930’)는,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와,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7-1’ 홀딩부(931')와 상기 제7-2‘ 홀딩부(93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와 상기 제2-3‘ 진입돌기부(713a13')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제8 가압구동부(940)와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8 가압구동부(940)와 상응하도록 동작되는 제8‘ 가압구동부(940')와, 상기 제8’ 가압구동부(9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에 접촉하는 제8-1‘ 홀딩부(941')와, 상기 제8’ 가압구동부(9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에 접촉하는 제8-2‘ 홀딩부(942')를 포함한다. 상기 제8’ 가압구동부(940')는,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와,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에 삽입되어 유동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8-1’ 홀딩부(941')와 상기 제8-2 홀딩부(942)를 각각 상하방간에 일정범위 당겨주어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와 상기 제2-4‘ 진입돌기부(713a14)를 가압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제1 작업부
11 : 제1 거치부
12 : 완충돌기
20 : 제1 프레임 구조물
21 : 제2 프레임 구조물

Claims (2)

  1. 관 가공 시스템에 있어서,
    관에 대한 확관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작업부(10); 및
    상기 제1 작업부(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가공 작업이 완료된 상기 관이 이송되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제1 거치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부(11)는 관(o)의 이탈을 방지 및 이송시 완충을 위한 완충돌기(12)가 구비되는 확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 가공 시스템 은,
    코팅가공을 수행하는 코팅장치와,
    코팅가공이 수행된 상기 관의 코팅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코팅 검사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팅 검사장치는,
    상기 관이 안착되는 검사대(300);
    상기 검사대(300)에 안착된 상기 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500);
    상기 관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500)를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00);
    복수개의 롤러로 구현되며, 상기 관을 상기 검사대(300)로 이송하는 이송부(100); 및
    상기 이송부(100)가 상부에 위치되는 제1 베이스모듈(611)과, 상기 검사대(300)와 상기 이동부재(400)가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이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연동되어 구비되는 제2 베이스모듈(612)을 포함하는 베이스모듈(610)을 포함하며,
    제1 베이스모듈(611)은,
    하부의 제1-1 베이스부(611a)와,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100)가 상부에 위치되는 제1-2 베이스부(611b)를 포함하며,
    제2 베이스모듈(612)은,
    하부의 제2-1 베이스부(612a)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상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400)와 상기 검사대(300)가 상부에 위치되는 제2-2 베이스부(61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의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는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와 연동되어,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후퇴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는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상에서 수평방향 둘레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의 상기 제1-2 베이스부(611b)는,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상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 유동하는 제1 유동모드로 동작되거나, 상방과 하방간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유동되는 제2 유동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는,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의 내부로 하강 진입되는 제1 하강모드로 동작되거나, 상부로 상승 유동되는 제1 상승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는,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이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제1 하강모드로 동작되어, 진입된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을 하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는 상기 제1 하강모드로 동작되되,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의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가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를 하부록 가압하는 제1-1 하강모드와,
    상기 제1 베이스모듈(611)의 상기 제1-2 베이스부(611b)가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와 함께 상기 제2-1 베이스부(612a)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1 베이스부(611a)를 하부록 가압하는 제1-2 하강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상기 제2-2 베이스부(612b) 전단면 측에 위치되는 구동체(711)와,
    상기 구동체(7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타입의 제1 가변유동체(712)와,
    상기 구동체(711)의 타측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타입의 제2 가변유동체(713)와,
    상기 제1 가변유동체(712)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일측면과 대항하도록 구비되는 제1 가변접촉부(712a)와,
    상기 제2 가변유동체(713)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의 타측면과 대항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변접촉부(713a)를 포함하는 보조 가압모듈(7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변유동체(712)는 상기 구동체(711)상에서 승강하거나 하강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 가변접촉부(712a)는 상기 제1 가변유동체(712)상에서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과 이격되거나 가압 접촉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가변유동체(713)는 상기 구동체(711)상에서 승강하거나 하강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 가변접촉부(713a)는 상기 제2 가변유동체(713)상에서 상기 제2 베이스모듈(612)과 이격되거나 가압 접촉하도록 유동되어, 상기 제2 베이스모듈을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키는 관 가공 시스템.
  2. 삭제
KR1020190143878A 2019-11-12 2019-11-12 관 가공 시스템 KR10219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78A KR102192733B1 (ko) 2019-11-12 2019-11-12 관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78A KR102192733B1 (ko) 2019-11-12 2019-11-12 관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733B1 true KR102192733B1 (ko) 2020-12-17

Family

ID=7408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78A KR102192733B1 (ko) 2019-11-12 2019-11-12 관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7189A1 (en) * 2021-04-06 2022-10-13 Saudi Arabian Oil Company Intelligent piping inspection machin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104A (en) * 1984-10-12 1989-01-24 The L.B.P. Partnership C.P.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pection of tubular members
KR20010106311A (ko) * 2001-09-24 2001-11-29 김수인 파이프 자동성형기
KR20030004200A (ko) * 2002-11-26 2003-01-14 삼협산업 주식회사 자동으로 파이프를 확관 포밍 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68752A (ko) * 2003-01-27 2004-08-02 보협건설 주식회사 흄관절단기
KR100998481B1 (ko) 2010-02-23 2010-12-06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연결형 전주
KR101414919B1 (ko) * 2013-06-26 2014-07-04 이종기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JP2015077635A (ja) * 2013-10-17 2015-04-23 ティー・ジー・エス・パイプ・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T.G.S.Pipe Co., Ltd. パイプ全長内径拡管装置
KR20170079810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곡면 블록 지지용 파이프 절단장치
KR20180047807A (ko) * 2016-11-01 2018-05-10 임정환 파이프절단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104A (en) * 1984-10-12 1989-01-24 The L.B.P. Partnership C.P.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pection of tubular members
KR20010106311A (ko) * 2001-09-24 2001-11-29 김수인 파이프 자동성형기
KR20030004200A (ko) * 2002-11-26 2003-01-14 삼협산업 주식회사 자동으로 파이프를 확관 포밍 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68752A (ko) * 2003-01-27 2004-08-02 보협건설 주식회사 흄관절단기
KR100998481B1 (ko) 2010-02-23 2010-12-06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연결형 전주
KR101414919B1 (ko) * 2013-06-26 2014-07-04 이종기 강관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관 강관의 제조 방법
JP2015077635A (ja) * 2013-10-17 2015-04-23 ティー・ジー・エス・パイプ・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T.G.S.Pipe Co., Ltd. パイプ全長内径拡管装置
KR20170079810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곡면 블록 지지용 파이프 절단장치
KR20180047807A (ko) * 2016-11-01 2018-05-10 임정환 파이프절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7189A1 (en) * 2021-04-06 2022-10-13 Saudi Arabian Oil Company Intelligent piping inspection machine
US11965728B2 (en) 2021-04-06 2024-04-23 Saudi Arabian Oil Company Intelligent piping inspection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852B1 (ko) 인쇄회로기판 코팅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101482869B1 (ko) 홀 검사장치
US10962756B2 (en) Imaging system for counting and sizing particles in fluid-filled vessels
DK200801722A (en) Optical sectioning of a sample and detection of particles in a sample
CN104439695A (zh) 一种激光加工系统的视觉检测装置
KR102286993B1 (ko)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측면들의 검사를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JP2007147433A (ja) セラミック板の欠陥検出方法と装置
KR101672523B1 (ko) 카메라용 렌즈모듈 외관 검사공법
KR102192733B1 (ko) 관 가공 시스템
CN110836641A (zh) 一种零件异形表面微结构三维尺寸的检测方法及检测设备
KR101695563B1 (ko) 복층유리용 스크레치 및 이물질 검출시스템
JP6310372B2 (ja) 検査装置
CN111999316A (zh) 一种曲面玻璃检测系统及方法
KR101470424B1 (ko) 렌즈 검사 장치
KR102192731B1 (ko) 관 가공 시스템
KR102230015B1 (ko) 드럼 검사 장치
KR20130050420A (ko) 곡선형 스프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220044741A (ko) 웨이퍼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JP6913615B2 (ja) 鉄道車両の外観検査装置及びその設定方法
CN116087222A (zh) 晶圆暗场检测装置及检测方法
TWI502185B (zh) 基板外觀自動檢測機
KR101198406B1 (ko) 패턴 검사 장치
CN108362729A (zh) 一种用于膨胀土现场判别的装置
KR101533826B1 (ko) 표면 결함 검사 장치
KR20200062081A (ko) 광학 표시 패널의 손상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