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869B1 - 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869B1
KR101482869B1 KR1020130087734A KR20130087734A KR101482869B1 KR 101482869 B1 KR101482869 B1 KR 101482869B1 KR 1020130087734 A KR1020130087734 A KR 1020130087734A KR 20130087734 A KR20130087734 A KR 20130087734A KR 101482869 B1 KR101482869 B1 KR 101482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ole
inspection table
inspected
work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하영식
성민호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솔루션 filed Critical (주)토탈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08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물에 형성된 홀(Hole)의 이미지를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홀의 정상상태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홀 검사장치는 작업 스테이지; 상기 작업 스테이지에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검사 대상물이 안착되는 검사 테이블; 상기 작업 스테이지의 상측에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검사 테이블에 안착되는 검사 대상물의 홀을 비스듬하게 촬영하는 제1 카메라;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대상물의 상면에 비스듬하게 조명을 제공하는 제1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홀 검사장치{HOLE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물에 형성된 홀(Hole)의 이미지를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홀의 정상상태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프레임 및 LCD 장치에 사용되는 바텀 샤시 등에는 여러가지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은 통상 드릴링 머신을 이용해 소정 위치에 형성하게 되며, 홀의 공차에 따라 부품의 설치 정밀도가 결정되므로 홀 가공공정 후 필히 검사공정을 통하여 홀의 공차는 물론 편심정도 및 편심방향을 측정하여 홀 가공 상태를 면밀히 확인하여야 한다.
통상 상기 홀 검사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홀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거나 홀에 검사 게이지를 삽입하여 홀 가공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육안에 의한 검사는 그 내부의 홀 가공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기 어려우며, 또한 인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검사 신뢰성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홀의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작업에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효율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 게이지를 이용한 검사방법 역시 각각의 홀마다 검사 게이지를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홀의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육안 검사와 동일하게 생산효율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 스테이지; 상기 작업 스테이지에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검사 대상물이 안착되는 검사 테이블; 상기 작업 스테이지의 상측에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검사 테이블에 안착되는 검사 대상물의 홀을 비스듬하게 촬영하는 제1 카메라;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대상물의 상면에 비스듬하게 조명을 제공하는 제1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홀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홀 검사장치는 제1 카메라를 이용해 상측에서 비스듬하게 검사 대상물을 촬영하기 때문에 검사 대상물에 형성된 홀의 선명한 내부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홀 검사장치는 제1 조명장치가 상측에서 비스듬하게 검사 대상물에 조명을 제공하기 때문에 홀이 검사 대상물에 관통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도 즉, 홀의 종류에 관계없이 선명한 홀의 내부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홀 검사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해 회전하는 검사 대상물을 연속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연결시켜 홀의 내부를 펼쳐놓은 것과 같은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홀의 정상상태 여부가 손쉽고 정확하게 검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 검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홀의 내부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검사 대상물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검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홀 내부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 검사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 검사장치는 작업 스테이지(100)과, 검사 테이블(200)과, 제1 카메라(300)와, 제1 조명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 스테이지(100)는 홀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 하부에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홀 검사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검사 테이블(200)은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홀 검사공정이 시작되면 상면에는 로봇 암(robot arm) 등에 의해 가공상태를 검사할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검사 대상물(10)이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검사 대상물(10)은 LCD 바텀 샤시와 같은 구조물이거나 또는 다양한 크기의 다른 구조물일 수 있으며, 검사 대상물(10)에 형성되어 있는 홀은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탭 홀이거나 내부가 매끄럽게 형성된 일반 홀일 수 있다.
이러한 검사 테이블(200)은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면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검사 대상물(10)이 안착되면 이하 설명할 제1 카메라(300)와, 제1 조명장치(400)가 설치된 위치로 수평이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면에는 한쌍의 LM 가이드(210)와, 상기 LM 가이드(210) 사이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220)와, 상기 볼 스크류(220)에 축 결합되는 모터(230)가 설치되며, 상기 검사 테이블(200)의 하면에는 상기 볼 스크류(220)에 결합되는 너트부(미도시)와, 상기 LM 가이드(210)에 결합되어 LM 가이드(210)를 따라 수평이동하는 LM 블록(240)이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230)가 구동을 시작하여 볼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면 볼 스크류(220)의 회전운동은 너트부를 거치며 직선운동으로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LM 블록(240)이 LM 가이드(210)를 따라 수평이동하게 되어 작업 스테이지(10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볼 스크류(220) 및 LM 가이드(210)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카메라(300)는 상기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측에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검사 테이블(200)에 안착된 검사 대상물(10)의 홀을 비스듬하게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카메라(300)는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측에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검사 테이블(200)이 LM 가이드(210)를 따라 수평이동하여 근방으로 접근하면 검사 대상물(10)의 상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검사 대상물(10)에 형성된 홀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러한 제1 카메라(300)로는 라인 스캔 카메라(Line Scan Camera)가 사용될 수 있다. 라인 스캔 카메라는 인쇄물 및 끊임없이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이동하며 진행되는 식품검사나 부품검사 등의 분야 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카메라로서 적은 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높은 공간 해상도의 이미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감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검사 테이블(200)에 안착되어 수평이동하는 검사 대상물(10)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제1 카메라(300)로는 라인 스캔 카메라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홀의 내부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카메라(300)가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검사 대상물(10)의 상측에서 홀(11)을 촬영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1)의 전체적인 내부 이미지가 얻어지므로 홀(11)의 형성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홀(11)의 내부에 탭 산(P)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즉, 검사 대상물(10)에 탭 홀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도 4와 같이 탭 윤곽이 영상으로 얻어지며, 이러한 영상을 분석하면 홀(11)의 내부에 탭 산(P)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복수개의 둥근 윤곽선 즉, 탭 산(P)이 균일하게 나타나면 탭 홀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져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반면 둥근 윤곽선이 균일하지 않거나 일부 영역이 뭉개진 형태의 이미지가 나타나면 탭 홀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홀의 정상상태 판단은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제1 카메라(300)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정상상태인 홀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도 있지만,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판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검사 대상물(10)의 이미지가 자동으로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도록 하고, 제어부에서 해당 이미지와 기 저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해당 검사 대상물(10)에 형성된 홀의 정상상태 유무를 자동으로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장치(400)는 상기 제1 카메라(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대상물(10)의 상면에 비스듬하게 조명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1 조명장치(400)가 검사 테이블(200)의 하측이 아닌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측에서 검사 대상물(10)에 경사조명을 제공하면 검사 대상물(10)에 형성되어 있는 홀이 관통 홀인지 또는 일측이 막혀있는 홀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1 카메라(300)에 의해 홀의 내부가 정확하게 촬영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홀이 검사 대상물(10)에 관통 형성된 홀이 아닐 경우 조명이 하측에서 제공되면, 조명이 홀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1 카메라(300)에 의해 홀의 내부 이미지가 얻어질 수 없지만, 상기와 같이 제1 조명장치(400)가 검사 대상물(10)의 상측에서 비스듬하게 조명을 제공하면 홀의 하면이 막혀있다고 하더라도 홀의 내부로 조사된 광이 반사되어 외부로 나오므로 제3 카메라(300)에 의해 홀의 내부 이미지가 선명하게 촬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300)가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측에서 검사 대상물(10)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면에는 한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310)와,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310)의 상단부를 연결시키는 수평 플레이트(3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 플레이트(320) 상면에는 이송부(33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33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하단부에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카메라 홀더(3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홀더(350)에 제1 카메라(300)를 고정시키면, 상기 제1 카메라(300)는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측에 경사진 상태로 위치되어 검사 테이블(200)에 안착되어 수평이동하는 검사 대상물(10)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카메라(300)는 검사 대상물(10)의 사이즈 및 홀의 크기와 홀의 형성깊이 등에 따라 수평 및 수직 위치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검사 대상물(10)의 사이즈 또는 홀의 크기 등이 변경되면 선명한 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제1 카메라(300)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홀의 형성깊이가 깊을 경우 홀의 전체적인 내부 이미지를 얻어질 수 있도록 제1 카메라(300)의 각도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330)는 수평 플레이트(320) 상면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이송부(330)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홀더(35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하단부에 힌지(미도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부(33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를 이동시켜 제1 카메라(300)의 수평 및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 홀더(350)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1 카메라(3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300)의 위치 및 각도가 조절되면 상기 제1 조명장치(400)의 위치 및 설치각도 역시 함께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1 조명장치(400)의 위치조절을 위해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310)에는 좌우 양단이 제1 수직 플레이트(310)에 각각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장착판(410)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장착판(410)의 좌우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제2 장착판(42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장착판(420)의 양단에는 상기 제1 조명장치(400)의 좌우 양단이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장착판(430)이 힌지(H)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장착판(410)의 수직이동이 이루어지면, 제1 조명장치(40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제1 조명장치(400)가 제3 장착판(430)에서 수평이동하면 제1 조명장치(400)의 수평위치가 조절되어 진다. 또한, 제3 장착판(430)을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1 조명장치(40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3 장착판(430)의 안정적인 회전 및 회전각도 제한을 위해 상기 제2 장착판(420)에는 원호 형상의 제1 가이드 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장착판(430)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421)에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431)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제3 장착판(430)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1 결합돌기(431)가 제1 가이드 홈(421)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제3 장착판(43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제3 장착판(430)이 원하는 각도로 회전되면 제1 결합돌기(431)를 너트 등을 이용해 제2 장착판(420)에 고정시켜 제3 장착판(430)을 특정 각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조명장치(400)의 수평이동을 위해 상기 제1 조명장치(400)의 좌우 양단에는 제2 결합돌기(401)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장착판(430)에는 상기 제2 결합돌기(401)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43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조명장치(400)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주면 제2 결합돌기(401)가 제2 가이드 홈(432)을 따라 이동하여 제1 조명장치(400)의 수평위치가 조절되며, 이러한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제2 결합돌기(401)를 제2 가이드 홈(432)에 고정시켜 제1 조명장치(400)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 장착판(430)을 회전시킬 필요없이 상기 제2 결합돌기(401)를 제2 가이드 홈(432) 내부에서 회전시켜 제1 조명장치(4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검사 테이블(200)의 내부에는 상면에 안착된 검사 대상물(10)의 하면에 광을 조사하는 LED와 같은 제2 조명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측에는 검사 테이블(200)의 수직 상방에서 검사 대상물(10)의 홀을 수직촬영하는 제2 카메라(5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검사 대상물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2 카메라(500)는 상술한 제1 카메라(300)에 의한 홀 검사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검사 대상물(10)을 수직 상방에서 촬영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사 대상물(10)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러한 제2 카메라(500)로는 고정된 검사 대상물(10)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비교적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는 영역 스캔 카메라(Area Scan Camera)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카메라(500)에 의해 검사 대상물(10)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획득되면,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밀한 분석작업을 요하는 제1 카메라(300)에 의한 검사진행 전에 불량이 커 쉽게 판별할 수 있는 검사 대상물(10)을 미리 제거할 수 있어 홀 검사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2 조명장치는 검사 대상물(10)의 하측에서 광을 조사하기 때문에 제2 카메라(500)를 이용한 검사는 검사 대상물(10)에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카메라(500)의 설치를 위해 상기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면에는 제2 수직 플레이트(510)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0)에는 상기 제2 카메라(500)가 고정되는 제4 장착판(520)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2 카메라(500)는 검사 대상물(10)의 크기에 따라 높이가 조절됨이 바림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4 장착판(520)은 제2 수직 플레이트(510)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검사장치의 측면도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검사장치는 상기 검사 테이블(200)이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카메라(300)는 상기 검사 테이블(200)이 회전할 때 검사 테이블(200)에 안착된 검사 대상물(10)의 홀을 연속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검사 테이블(200)의 하측에는 검사 테이블(200)의 하면에 축 결합되는 회전모터(60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모터(600)의 설치를 위해 작업 스테이지(100)의 상면에는 모터 설치용 수직 바(610) 및 수평 바(6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모터(600)는 상기 수직 바(610) 및 수평 바(6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설치되게 된다.
도 7은 도 6의 제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홀 내부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검사 테이블(200)이 회전모터(600)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제1 카메라(300)가 검사 대상물(10)을 연속촬영하게 되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 내부 이미지를 얻어질 수 있어 홀의 정상상태 여부를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평이동하는 검사 테이블(200)에 안착된 검사 대상물(10)을 제1 카메라(300)가 촬영하게 되면, 제1 카메라(300)에 의해 도 4와 같이 일측에서 비스듬하게 촬영된 홀의 내부 이미지만이 얻어지게 되지만, 제1 카메라(300)가 회전하는 검사 대상물(10)을 연속촬영하면 모든 방향에서 비스듬하게 촬영된 홀의 내부 이미지가 얻어지게 되고, 이러한 이미지를 연결시켜 펼치면 도 7과 같은 홀의 내부 이미지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검사 대상물(10)에 탭 홀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제1 카메라(300)가 연속촬영한 이미지를 연결시키면, 탭 산(P)이 형성되어 있는 홀의 내부를 펼쳐놓은 것과 같은 이미지가 얻어지게 되므로 탭 산(P)의 연결선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끊어져 있는 경우 또는 탭 산(P)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홀 내부에 탭 불량이 있다고 즉시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은 그 범위가 전술된 바에 한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고, 그 균등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작업 스테이지 200: 검사 테이블
300: 제1 카메라 310: 제1 수직 플레이트
320: 수평 플레이트 330: 이송부
340: 슬라이딩 플레이트 350: 카메라 홀더
400: 제1 조명장치 410: 제1 장착판
420: 제2 장착판 421: 제1 가이드 홈
430: 제3 장착판 431: 제1 결합돌기
432: 제2 결합돌기 H: 힌지
500: 제2 카메라 510: 제2 수직 플레이트
520: 제4 장착판 600: 회전모터

Claims (10)

  1. 작업 스테이지;
    상기 작업 스테이지에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검사 대상물이 안착되는 검사 테이블;
    상기 작업 스테이지의 상측에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검사 테이블에 안착되는 검사 대상물의 홀을 비스듬하게 촬영하는 제1 카메라;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대상물의 상면에 비스듬하게 조명을 제공하는 제1 조명장치;
    상기 작업 스테이지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부를 연결시키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에 좌우 양단이 각각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장착판
    상기 제1 장착판의 좌우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제2 장착판;
    상기 제2 장착판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제1 가이드 홈;
    상기 제2 장착판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조명장치의 좌우 양단이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3 장착판;
    상기 수평 플레이트 상면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카메라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홀 검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스테이지의 상면에는 한쌍의 LM 가이드와, 상기 LM 가이드 사이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와, 상기 볼 스크류에 축 결합되는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검사 테이블의 하면에는 상기 볼 스크류에 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LM 가이드에 결합되어 LM 가이드를 따라 수평이동하는 LM 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검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장치의 좌우 양단에는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장착판에는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검사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테이블의 내부에는 상면에 안착된 검사 대상물의 하면에 광을 조사하는 제2 조명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작업 스테이지의 상측에는 검사 테이블의 수직 상방에서 검사 대상물의 홀을 수직촬영하는 제2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검사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테이블은 작업 스테이지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검사 테이블이 회전할 때 검사 테이블에 안착된 검사 대상물의 홀을 연속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검사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테이블의 하측에는 검사 테이블의 하면에 축 결합되는 회전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검사장치.
KR1020130087734A 2013-07-25 2013-07-25 홀 검사장치 KR101482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734A KR101482869B1 (ko) 2013-07-25 2013-07-25 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734A KR101482869B1 (ko) 2013-07-25 2013-07-25 홀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869B1 true KR101482869B1 (ko) 2015-01-16

Family

ID=5259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734A KR101482869B1 (ko) 2013-07-25 2013-07-25 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86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753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완성 앰플 비전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758647B1 (ko) 2016-04-25 2017-07-17 주식회사 제이이노텍 비평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KR101825835B1 (ko) * 2016-10-10 2018-02-06 최준영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CN109342458A (zh) * 2018-11-14 2019-02-15 大连崇达电路有限公司 一种高精密印制线路板外观质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67725B1 (ko) * 2018-10-05 2020-01-17 주식회사 제이디 볼 베어링 검사장치
KR20200090316A (ko) * 2019-01-18 2020-07-29 주식회사 바이오원 향상된 정확도와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하는 셀카운터
WO2021053920A1 (ja) * 2019-09-20 2021-03-25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検査装置
CN112881410A (zh) * 2021-01-18 2021-06-01 合肥钛柯精密机械有限公司 多方向目检台
KR20220006877A (ko) * 2020-07-09 2022-01-18 윤상구 탭홀 비전 검사장치
KR20220167429A (ko) * 2021-06-11 2022-12-21 에이아이루덴스 주식회사 6축 로봇용 조명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기기 위치 조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597439B1 (ko) * 2023-03-31 2023-11-02 (주)협화산업 배터리셀 커버의 비전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0328A (ja) * 1983-01-28 1984-08-28 Fujitsu Ltd スル−ホ−ル検査装置
JP2003248813A (ja) * 2002-02-25 2003-09-05 Rozefu Technol:Kk タップ穴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763240B1 (ko) * 2006-07-21 2007-10-04 (주)동서전자 액정 모니터용 내부케이스의 나사홀 불량검사방법
JP2012112688A (ja) * 2010-11-22 2012-06-14 Seiko Epson Corp 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0328A (ja) * 1983-01-28 1984-08-28 Fujitsu Ltd スル−ホ−ル検査装置
JP2003248813A (ja) * 2002-02-25 2003-09-05 Rozefu Technol:Kk タップ穴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763240B1 (ko) * 2006-07-21 2007-10-04 (주)동서전자 액정 모니터용 내부케이스의 나사홀 불량검사방법
JP2012112688A (ja) * 2010-11-22 2012-06-14 Seiko Epson Corp 検査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753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완성 앰플 비전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709343B1 (ko) * 2015-07-28 2017-02-23 주식회사 완성 앰플 비전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758647B1 (ko) 2016-04-25 2017-07-17 주식회사 제이이노텍 비평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KR101825835B1 (ko) * 2016-10-10 2018-02-06 최준영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KR102067725B1 (ko) * 2018-10-05 2020-01-17 주식회사 제이디 볼 베어링 검사장치
CN109342458A (zh) * 2018-11-14 2019-02-15 大连崇达电路有限公司 一种高精密印制线路板外观质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00090316A (ko) * 2019-01-18 2020-07-29 주식회사 바이오원 향상된 정확도와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하는 셀카운터
KR102148285B1 (ko) * 2019-01-18 2020-08-27 주식회사 바이오원 향상된 정확도와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하는 셀카운터
WO2021053920A1 (ja) * 2019-09-20 2021-03-25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検査装置
KR20220006877A (ko) * 2020-07-09 2022-01-18 윤상구 탭홀 비전 검사장치
KR102466663B1 (ko) * 2020-07-09 2022-11-11 윤상구 탭홀 비전 검사장치
CN112881410A (zh) * 2021-01-18 2021-06-01 合肥钛柯精密机械有限公司 多方向目检台
KR20220167429A (ko) * 2021-06-11 2022-12-21 에이아이루덴스 주식회사 6축 로봇용 조명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기기 위치 조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528653B1 (ko) 2021-06-11 2023-05-08 크레플 주식회사 6축 로봇용 조명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기기 위치 조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597439B1 (ko) * 2023-03-31 2023-11-02 (주)협화산업 배터리셀 커버의 비전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869B1 (ko) 홀 검사장치
KR100361962B1 (ko) 웨이퍼 테두리 결함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91405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inspection of wafer saw marks
EP2685242B1 (en) Vision testing device with enhanced image clarity
KR101747852B1 (ko) 인쇄회로기판 코팅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EP2685208A2 (en) Vision testing device using multigrid pattern
CN109564173B (zh) 图像检查装置、生产系统、图像检查方法及存储介质
EP3712554A1 (en) Inspection device
KR102026684B1 (ko) 장구형 웜의 비전 검사기
KR101672523B1 (ko) 카메라용 렌즈모듈 외관 검사공법
KR101802843B1 (ko) 자동 비전 검사 시스템
CN112730419A (zh) 外观瑕疵检测装置
JP6310372B2 (ja) 検査装置
KR20160121716A (ko) 하이브리드 조명 기반 표면 검사 장치
KR100769691B1 (ko) 탭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탭 검사방법
KR20220044741A (ko) 웨이퍼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CN116087222A (zh) 晶圆暗场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2007235490A (ja) 自動撮影装置
JP2016065782A (ja) 検査装置
KR101405427B1 (ko) 단일주기격자를 이용한 멀티 모아레 비전검사장치
CN213054693U (zh) 检测设备
KR102192733B1 (ko) 관 가공 시스템
JP5296490B2 (ja) 被検査体の検査装置
CN112888531B (zh) 工件检查装置和工件检查方法
KR101974541B1 (ko) 렌즈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