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835B1 -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835B1
KR101825835B1 KR1020160130659A KR20160130659A KR101825835B1 KR 101825835 B1 KR101825835 B1 KR 101825835B1 KR 1020160130659 A KR1020160130659 A KR 1020160130659A KR 20160130659 A KR20160130659 A KR 20160130659A KR 101825835 B1 KR101825835 B1 KR 101825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signal
unit
switch
circuit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최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영 filed Critical 최준영
Priority to KR102016013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급이 간편하여 각종 패스트 푸드점은 물론, 각종 차(茶)를 판매하는 판매점에서 흔히 사용하는 텀블러용 거름망체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텀블러 내측으로 삽입 안치되는 거름망체에 있어, 상기 거름망체의 측면부와 하부면에 공기순환용 홀 및 거름용 홀을 형성함으로써, 거름망체 내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우려내어 취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를 저장하는 공간부를 갖는 거름망체(10)와; 상기 거름망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홀(11)과; 상기 거름망체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면홀(12)과; 상기 거름망체의 측면홀과 하부면홀을 촬영하여 원하는 지점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판독하기 위한 제품 하자 검출부(20)와; 상기 제품하자 검출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측면홀과 하부면홀이 존재하지 않으면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구동하여 계속적인 에러신호를 출력함으로서 빠른 속도로 에러요인을 처리토록 유도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Strainer of tumbler}
본 발명은 취급이 간편하여 각종 패스트 푸드점은 물론, 각종 차(茶)를 판매하는 판매점에서 흔히 사용하는 텀블러용 거름망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텀블러 내측으로 삽입 안치되는 거름망체에 있어, 상기 거름망체의 측면부와 하부면에 공기순환용 홀 및 거름용 홀을 형성함으로써, 거름망체 내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우려내어 취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찻잎을 이용하여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에는 찻잎을 거름망체 안에 넣고, 찻잎이 넣어진 거름망체를 뜨거운 물에 담가 찻잎으로부터 차(茶)를 우려내어 마시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찻잎을 우려내어 차(茶)를 마실 수 있도록 된 기존의 거름망체는 예전 그대로의 형태 즉, 용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걸림턱을 가지는 것이 거름망체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거름망체는 정적인 장소에서의 사용이 용이한 반면, 동적인(이동중) 상황에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거름망체를 동적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차(茶)를 우려낸 후, 우려내어진 차(茶)를 찻잔에 부어 음용하기 위해서는 거름망체를 차(茶)가 우려내어진 용기로부터 분리해낸 다음 우려낸 차(茶)를 따라 마셔야 하는 구조적 결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로부터 거름망체를 분리해내야 하는 까닭은 우려낸 차(茶)를 찻잔에 따르기 위해 용기를 기울였을 때 거름망체가 이탈되어지는 문제가 야기됨은 물론, 거름망체에 넣어진 찻잎이 우려낸 차와 함께 찻잔으로 흘러들어오게 되는 문제점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이유로 인하여 찻잎을 이용한 차(茶) 음용을 언제 어디에서나 손쉽게 우려내어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취급이 용이함은 물론, 많은 용량의 음용수 수납이 가능한 텀블러(tumbler: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에 차 잎이 넣어진 거름망체를 적용할 수가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0011901호와 같이, 부담없이 휴대 사용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음용수 수용이 가능한 텀블러에 차 잎을 넣어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된 거름망체를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우려낸 차(茶)를 음용할 때 우려낸 차(茶)를 차 배출요홈을 통해 배출시켜 마실 수 있는 것이어서 차(茶)를 우려내고 난 차 잎이 거름망체로부터 흘러나오지 않아 거름망체를 텀블러로부터 분리해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함과 더불어 텀블러를 사용함으로써 동적인 상황에서의 차 잎에 의해 우려진 차(茶)의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 거름망체를 구비한 텀블러를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거름망체를 구비한 텀블러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개구부(111)에서 바닥면(112)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텀블러(110)에 장착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텀블러(110)의 벽체(113)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를 이룬 테두리벽(122)를 가지되, 상기 테두리벽(122)의 일측에 차 잎으로부터 우려진 차(茶)를 배출시킬 수 있는 차배출요홈(122a)이 형성된 거름망체(120)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텀블러용 거름망체는 상광하협의 테이퍼상 관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의 거름망체를 텀블러 내에 삽입하거나 텀블러 내부로부터 이를 꺼내는 과정이 순조롭지 못한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 등록 제 20-0460279호에는 상향 돌출부를 갖는 텀블러용 거름망체가 제안되었는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상기의 거름망체는 텀블러(20)의 내측 경사면(21)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상광하협의 테이퍼상 측면(11)을 갖는 환형의 테두리부재(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부 일측에는 바닥면(12)에 다수의 관통공(13)이 배열 형성된 투입홈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부 타측에는 관통의 배출공(1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면에만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차를 우려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몸체의 측면과 하부면에 홀을 형성하여 측면의 홀을 이용하여서는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하고, 하부면의 홀을 통해서는 차잎이 우려나도록 함으로서 우러난 차를 배출시켜 음용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차를 저장하는 공간부를 갖는 거름망체(10)와; 상기 거름망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홀(11)과; 상기 거름망체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면홀(12)과; 상기 거름망체의 측면홀과 하부면홀을 촬영하여 원하는 지점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판독하기 위한 제품 하자 검출부(20)와; 상기 제품하자 검출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측면홀과 하부면홀이 존재하지 않으면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구동하여 계속적인 에러신호를 출력함으로서 빠른 속도로 에러요인을 처리토록 유도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제품 하자 검출부(20)는, 카메라(21)와; 상기 카메라(21)로 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되는 영상 수신부(22)와; 상기 영상수신부(22)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흑백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추출부(23)와; 상기 이미지 추출부(23)에서 만들어진 흑백이미지에서 흑색 또는 백색의 위치를 읽어들이는 좌표계 산출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의 측면과 하부면에 홀을 형성하여 측면의 홀을 이용하여서는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하고, 하부면의 홀을 통해서는 차잎이 우려나도록 함으로서 우러난 차를 배출시켜 음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거름망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름망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름망체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거름망체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검출장치 회로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 에러신호 출력부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거름망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름망체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거름망체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검출장치 회로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 에러신호 출력부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상세도로서,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체는 텀블러의 내측에 삽입하여 차를 우려냄과 동시에 상기의 거름망체가 텀블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우려낸 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름망체(10)는 측면에 다수개의 홀(11)을 형성하고, 아울러 하부면에 다수개의 홀(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홀(11)은 에어의 원할한 흐름을 유도하고, 아울러, 하부면홀(12)은 차의 잎이 우려나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은 측면홀(11)과 하부면홀(12)이 정확하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카메라(21)로 촬영하여 확인하며, 홀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비상신호를 출력하여 제조과정에서 이를 거를 수 있도록하여 측면홀(11)과 하부면홀(12)이 모두 형성된 거름망체를 생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본 발명은 제품의 최종 검출과정에서 카메라(21)로 거름망체(10)를 촬영하여 측면홀(11)과 하부면홀(12)이 모두 형성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고, 이때 측면홀 또는 하부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계속적인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에러상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품 하자 검출부(20)는 이송중인 제품을 촬영하는 카메라(21)와; 상기 카메라(21)로 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되는 영상 수신부(22)와; 상기 영상수신부(22)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흑백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추출부(23)와; 상기 이미지 추출부(23)에서 만들어진 흑백이미지에서 흑색 또는 백색의 위치를 읽어들이는 좌표계 산출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카메라(21)는 제품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 수신부(22)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미지 추출부(23)는 영상수신부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를 흑백이미지로 변환하여 측면홀 및 하부면홀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명암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표계 산출부(24)는 이미지 추출부에 의해서 변환된 흑백 이미지를 판독하여 측면홀 및 하부면홀이 존재하는지를 판독한다.
즉, 측면홀과 하부면홀이 존재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어둡게 처리되기 때문에 측면홀과 하부면홀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좌표계 산출부는 원하는 패턴으로 측면홀과 하부면홀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좌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제품하자 검출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측면홀과 하부면홀이 존재하지 않으면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구동하여 계속적인 에러신호를 출력함으로서 빠른 속도로 에러요인을 처리토록 유도한다.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회로 전원부(1101)와,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통신 단말기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제어부에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경보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탄발 스프링(1133)과, 영구자석(1134)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킨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탄발 스프링(1133)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영구자석(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킨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하도록 유도한다.
즉,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1135)를 작동시켜 경보신호를 오프시키게 되더라도,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에러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에러신호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에러신호 출력부가 오프되면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 거름망체
11: 측면홀
12: 하부면홀
20: 제품 하자 검출부
100: 제어부
1000: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Claims (4)

  1. 차를 저장하는 공간부를 갖는 거름망체(10)와;
    상기 거름망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홀(11)과;
    상기 거름망체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면홀(12)과;
    상기 거름망체의 측면홀과 하부면홀을 촬영하여 원하는 지점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판독하기 위한 제품 하자 검출부(20)와;
    상기 제품하자 검출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측면홀과 하부면홀이 존재하지 않으면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구동하여 계속적인 에러신호를 출력함으로서 빠른 속도로 에러요인을 처리토록 유도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제품 하자 검출부(20)는,
    카메라(21)와;
    상기 카메라(21)로 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되는 영상 수신부(22)와;
    상기 영상수신부(22)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흑백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추출부(23)와;
    상기 이미지 추출부(23)에서 만들어진 흑백이미지에서 흑색 또는 백색의 위치를 읽어들이는 좌표계 산출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30659A 2016-10-10 2016-10-10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KR10182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59A KR101825835B1 (ko) 2016-10-10 2016-10-10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59A KR101825835B1 (ko) 2016-10-10 2016-10-10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835B1 true KR101825835B1 (ko) 2018-02-06

Family

ID=6122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659A KR101825835B1 (ko) 2016-10-10 2016-10-10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8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869B1 (ko) * 2013-07-25 2015-01-16 (주)토탈솔루션 홀 검사장치
KR200478603Y1 (ko) * 2015-02-10 2015-10-29 김종화 텀블러 및 머그컵용 거름망
KR101618664B1 (ko) * 2016-01-11 2016-05-09 주식회사 책임건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869B1 (ko) * 2013-07-25 2015-01-16 (주)토탈솔루션 홀 검사장치
KR200478603Y1 (ko) * 2015-02-10 2015-10-29 김종화 텀블러 및 머그컵용 거름망
KR101618664B1 (ko) * 2016-01-11 2016-05-09 주식회사 책임건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119260T3 (en) Method of cleaning a filter of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6419237B2 (ja) 火災警報機能を備えた非常電源自動供給および制御装置
KR101825835B1 (ko) 텀블러용 거름망 에러 검출장치
WO2006052978A8 (en) Camera with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US20100236110A1 (en) Automatically cooling iron
WO2006073373A1 (en) Washing machine water recovery system
CN108691305A (zh) 一种生态环保用水下垃圾打捞装置
KR101819715B1 (ko) 자력을 이용한 정품인증 표시장치
JP2011125158A (ja) 突入電流抑制装置、電気機器及び空気調和機
JP2001145354A (ja) 電気機器の低消費電力スタンバイ電源回路
CN210092620U (zh) 一种便于检视的配电柜
CN106388669A (zh) 一种厕纸筒、厕纸余量提示设备及方法
KR101081205B1 (ko)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JP2010187622A (ja) 金網製かご型ねずみ捕獲器
CN105806846A (zh) 一种用于纸塑复合袋一体机的智能视觉缺陷检测系统
CN105824265A (zh) 红外人体感应油烟机电源自动控制装置
JP2003336296A (ja) 給水設備およびその運転制御装置
KR101864996B1 (ko)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
CN216016432U (zh) 一种自动合闸控制器
JP3010775U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電源回路
JPS5916205B2 (ja) 液位検出スイツチ装置
KR940001055Y1 (ko) 헤드 이물 판별회로
JPH0271720A (ja) 食器洗い機の水位検知装置
JP3006170B2 (ja) 報知装置
JP2020197056A (ja) 吐水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