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996B1 -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996B1
KR101864996B1 KR1020170081275A KR20170081275A KR101864996B1 KR 101864996 B1 KR101864996 B1 KR 101864996B1 KR 1020170081275 A KR1020170081275 A KR 1020170081275A KR 20170081275 A KR20170081275 A KR 20170081275A KR 101864996 B1 KR101864996 B1 KR 101864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lay switch
alarm signal
circuit
hol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씨앤씨
Priority to KR102017008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에 있어서, 특히 위생팩을 제조하는 과정에 카메라로 위생팩의 평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자료를 근거로 융착부의 라인이 끊어져 있는지를 판독하며, 위생팩 라인이 끊어져 있으면 곧바로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에러상황을 치유하도록 유도함으로서 불량이 없는 위생팩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가 오픈된 2겹의 비닐봉투를 제작하는 단계와; 양측면을 접어넣어서 중앙은 2겹을 유지하고 양측면은 4겹상태로 제작하여 폴딩부(10)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단부에 수평하게 제 1 융착부(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융착부(20)와 폴딩부(10)를 기준으로 제 1 융착부(20)의 상하부면으로 타원형의 제 2 융착부(30)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융착부의 끊어진 불량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 중에서 끊어진 부분이 있으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A Monitoring System of Health Pack}
본 발명은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생팩을 제조하는 과정에 카메라로 위생팩의 평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자료를 근거로 융착부의 라인이 끊어져 있는지를 판독하며, 위생팩 라인이 끊어져 있으면 곧바로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에러상황을 치유하도록 유도함으로서 불량이 없는 위생팩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생팩은 연속적으로 감긴 롤백 형태나 상자형 수납함에 다수개 보관된 위생팩 형태로 일반가정이나 식품매장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반투명체의 얇은 비닐로 하단부가 밀폐된 상부개구형의 봉투이다.
그리고, 위생팩 형태는 하단부가 열융착된 비닐봉투가 다수개 적층되어 종이상자 등에 수납된 상태이고, 필요시에 하나씩 인출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위생팩의 구조를 개구부가 위쪽에 위치되도록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보면, 그 양측 가장자리를 일정거리만큼 안쪽으로 밀어 넣어 4겹으로 포개진 폴딩부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측단에서 일정거리 위쪽에 양측의 폴딩부를 직교하면서 가로질러 비닐을 융착시킨 융착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융착부는 완전한 직선 형태로 되어 있고, 양측 폴딩부에서는 4겹의 비닐이 융착되고, 양측 폴딩부의 가운데 부분은 2겹의 비닐이 융착됨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평한 일자형태의 융착부를 가지는 종래의 위생팩은 융착부와 폴딩가장자리가 만나는 교차점에 위생팩이 팽창할때 발생하는 비닐의 인장력 집중으로 인하여 그 부분에서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액상의 음식이나 분상물을 담아 사용하는 경우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0715192호에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을 출원 및 등록받은바 있다.
상기 기술내용의 핵심은 일측 가장자리를 일정거리만큼 안쪽으로 포개어 폴딩부가 수직하게 형성된 위생팩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의 하단을 직교 하면서 액상유출방지를 위한 일자 형태로 제 1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융착부의 교차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시킨 지점에 액상유출방지를 위한 제 2 융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위생팩에 제 1 융착부와 제 2 융착부를 설치하여 액상물질의 샘방지를 2중으로 커버하게 됨으로서 보다 안전하게 액상물질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은 제조과정에서 반드시 제 2 융축부가 제대로 형성되는지를 실시간 점검해야 하는바, 종래에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곧바로 제작을 완성하므로 사용중 제 2 융착부가 부실할 경우 안전한 액상물질 보관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위생팩을 제조하는 과정에 카메라로 위생팩의 평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자료를 근거로 융착부의 라인이 끊어져 있는지를 판독하며, 위생팩 라인이 끊어져 있으면 곧바로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에러상황을 치유하도록 유도함으로서 불량이 없는 위생팩을 생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상하부가 오픈된 2겹의 비닐봉투를 제작하는 단계와; 양측면을 접어넣어서 중앙은 2겹을 유지하고 양측면은 4겹상태로 제작하여 폴딩부(10)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단부에 수평하게 제 1 융착부(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융착부(20)와 폴딩부(10)를 기준으로 제 1 융착부(20)의 상하부면으로 타원형의 제 2 융착부(30)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융착부의 끊어진 불량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 중에서 끊어진 부분이 있으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생팩을 제조하는 과정에 카메라로 위생팩의 평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자료를 근거로 융착부의 라인이 끊어져 있는지를 판독하며, 위생팩 라인이 끊어져 있으면 곧바로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에러상황을 치유하도록 유도함으로서 불량이 없는 위생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생백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생백 제 1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생백 제 2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생백 제 3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생백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생백 제 1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생백 제 2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생백 제 3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상하부가 오픈된 2겹의 비닐봉투를 제작하는 단계와; 양측면을 접어넣어서 중앙은 2겹을 유지하고 양측면은 4겹상태로 제작하여 폴딩부(10)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단부에 수평하게 제 1 융착부(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융착부(20)와 폴딩부(10)를 기준으로 제 1 융착부(20)의 상하부면으로 타원형의 제 2 융착부(30)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융착부의 끊어진 불량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 중에서 끊어진 부분이 있으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위생팩(100)은 사각수납함 형태로서 양가장자리에는 4겹으로 겹쳐지는 폴딩부(10)를 형성하고, 상기 폴딩부(10)와 직교하도록 하단부에 일자형태의 제 1 융착부(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융착부(20) 주변으로 타원형 형태로 제 2 융착부(30)를 형성한다.
참고로, 상기에서 제 1 융착부(20)와 제 2 융착부(30)는 열압착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위생팩의 비닐사이를 압착하여 서로 엉겨붙도록 함으로서 외부와 공간을 분할토록 하는 것으로, 이는 마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 2 융착부(30)는 폴딩부(10)와 제 1 융착부(20)가 만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 1 실시예도와 같이 상부쪽 및 하부쪽 전체 타원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제 2 실시예도와 같이 상부쪽으로만 타원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제 3 실시예도와 같이 하부쪽으로만 타원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부가 오픈된 2겹의 비닐봉투를 제작한다.
이후, 양측면을 접어넣어서 중앙은 2겹을 유지하고 양측면은 4겹상태로 제작하여 폴딩부(10)를 형성한다.
이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적당한 크기의 용기를 제작하고, 이와 동시에 하단부에 수평하게 제 1 융착부(20)를 형성하여 내용물이 용기에 담겨지도록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융착부(20)와 폴딩부(10)를 기준으로 제 1 융착부(20)의 상하부면으로 타원형의 제 2 융착부(3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융착부(30)는 제 1 융착부(20)의 상부면으로만 형성할 수도 있고, 제 1 융착부(20)의 하부면으로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내측의 4분의 1을 남기고 나머지 외측의 4분의 3을 융착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제 1 융착부(20)와 폴딩부(10)가 직교하여 이루는 네개의 면을 기준으로 2겹으로 제작되는 내측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4분의 3면을 융착하는 제 2 융착부(3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 2 융착부(30)를 형성하게 되면 제 1 융착부(20)와 폴딩부(10)의 교차점이 1차 방어선이 되고 제 2 융착부(30)가 제 2 방어선이 되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액상물질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융착부가 제대로 이어져 있는지를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융착부의 선형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진화하고 좌표를 추출하여 융착부의 끊어진 불량상태를 이미지 분석장치(300)로 파악하고, 상기 이미지 분석장치(300)의 결과를 제어부(400)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융착부가 끊어져 있으면 경보음을 출력하여 에러상황을 반드시 치유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본 발명은 카메라(200)로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를 촬영하고 그 결과를 이미지 분석장치에 출력하면 이미지 분석장치에서 융착부의 끊어짐을 파악하고, 그 정보를 제어부(400)에 출력하며, 제어부(400)는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가 끊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계속적인 경보음을 출력하여 에러상황을 치유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 폴딩부
20: 제 1 융착부
30: 제 2 융착부
100: 위생팩
200: 카메라
300: 이미지 분석장치
4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Claims (2)

  1. 상하부가 오픈된 2겹의 비닐봉투를 제작하는 단계와;
    양측면을 접어넣어서 중앙은 2겹을 유지하고 양측면은 4겹상태로 제작하여 폴딩부(10)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단부에 수평하게 제 1 융착부(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융착부(20)와 폴딩부(10)를 기준으로 제 1 융착부(20)의 상하부면으로 타원형의 제 2 융착부(30)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융착부의 끊어진 불량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제 1 융착부 및 제 2 융착부 중에서 끊어진 부분이 있으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
  2. 삭제
KR1020170081275A 2017-06-27 2017-06-27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 KR101864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275A KR101864996B1 (ko) 2017-06-27 2017-06-27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275A KR101864996B1 (ko) 2017-06-27 2017-06-27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996B1 true KR101864996B1 (ko) 2018-06-07

Family

ID=6262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275A KR101864996B1 (ko) 2017-06-27 2017-06-27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9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92B1 (ko) * 2006-09-08 2007-05-10 주식회사 대진케미칼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
KR20160124334A (ko) * 2015-04-17 2016-10-27 (주)보강하이텍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92B1 (ko) * 2006-09-08 2007-05-10 주식회사 대진케미칼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
KR20160124334A (ko) * 2015-04-17 2016-10-27 (주)보강하이텍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6419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liquid level
CN103792911B (zh) 带监视系统
CN107924788B (zh) 电磁接触器
KR101864996B1 (ko)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방법
JP5870378B2 (ja) 自動ドレン水排出装置および排出方法
KR101871114B1 (ko) 물샘방지기능이 강화된 위생팩의 검사장치
CN106945859A (zh) 易于接近的剪断机
KR101124993B1 (ko) 선로전환기의 전환력 측정기
JP2014531368A5 (ko)
CN105788986A (zh) 一种直流断路器灭弧装置
JP2007131309A (ja) 包装袋
CN107600785A (zh) 一种环保垃圾桶
US20210349480A1 (en) Operable wall assembly control using voice commands
CN206331560U (zh) 变电站开关柜安全警示装置
JP2015162957A (ja) 制御盤装置
JP2009121029A (ja) 吸引作業車両
CN105806846A (zh) 一种用于纸塑复合袋一体机的智能视觉缺陷检测系统
KR101439327B1 (ko) 수분감지형 진공포장기
CN208734572U (zh) 一种排水泵一用一备自动轮换控制器
JP2010168181A (ja) エレベーター用注意喚起装置
CN103522944A (zh) 一种用于环卫车辆的语音报警控制系统
KR20070031040A (ko) 전자기장을 이용한 테러방지 쓰레기통과 폭발물 감지시스템
JP4809013B2 (ja) 開閉装置
JP2016070031A (ja) 開閉装置
TW201425950A (zh) 變壓器監測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