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221B1 - 펌프 포머용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펌프 포머용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221B1
KR101630221B1 KR1020157026229A KR20157026229A KR101630221B1 KR 101630221 B1 KR101630221 B1 KR 101630221B1 KR 1020157026229 A KR1020157026229 A KR 1020157026229A KR 20157026229 A KR20157026229 A KR 20157026229A KR 101630221 B1 KR101630221 B1 KR 101630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acid
fatty acid
detergent composition
polyhydric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021A (ko
Inventor
타카시 메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5011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11D10/04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 C11D10/047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based on cationic surface-active compounds and soa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48Dihydric alcohols bran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2Amides; Substitute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11D1/523Carboxylic alkylolamides, or dialkylolamides, or hydroxycarboxylic amides (R1-CO-NR2R3), where R1, R2 or R3 contain one hydroxy group per alkyl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거품질 및 저온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량의 물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펌프 포머용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a)2~5질량%의 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b)20~60질량%의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고, 펌프 포머로 토출되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a)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90질량% 이상을 탄소수가 5~25개인 고급 지방산 비누가 차지하고, 상기 (b)다가 알코올에 포함되는 프로필렌글리콜의 양이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20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 포머용 세정제 조성물{CLEANSING COMPOSITION FOR PUMP FOAMER}
본 발명은 펌프 포머 등의 다공질막을 갖는 논가스 타입의 거품 토출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시에 상기 다공질막을 통해 거품 형상으로 토출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포성 및 거품질이 우수하며, 또한 세정성도 우수한 펌프 포머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펌프 포머 등의 논가스 타입의 거품 토출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시에 상기 용기로부터 거품 형상으로 토출되는 액상 세정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이 타입의 세정제 조성물은 용기에 구비된 다공질막을 통과할 때에 공기와 혼합되어서 거품 형상으로 토출되지만, 크리미한 거품질이나 상기 다공질막의 막힘 방지 등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연구가 행해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a)단쇄 길이의 아실타우린염, (b)양성 계면 활성제 및 (c)양이온화 전분을 배합함으로써 용기의 막힘이 없고, 저온 하에서도 크리미한 거품질이 안정적으로 얻어지고, 컨디셔닝 효과도 얻어진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고급 지방산염은 배합되어 있지 않다.
한편,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고급 지방산염을 배합하는 경우, 매끄럽고 크리미한 거품질을 얻기 위해서 종래에는 적어도 5질량%,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상의 계면 활성제가 배합되어 있었다. 그러나, 특히 탄소수 12개를 초과하는 장쇄 고급 지방산염을 배합하면 저온 하에서 석출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는 고급 지방산염을 알칸올아민염으로 함과 아울러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 에스테르염, 1~7중량%의 1가 알코올 및 3~20중량%의 다가 알코올과 조합해서 배합함으로써 매끄러운 거품질과 우수한 거품의 유지성이 달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고급 지방산염에 있어서의 알킬기의 탄소수를 특정 비율로 조정하고, 양성 또는 반극성 계면 활성제 및 산해리 정수가 8.0~11.0인 화합물(구체적으로는 모노에탄올아민 등의 아민 화합물)과 조합한 세정제 조성물이 기재되고, 세정제 조성물의 pH가 경시적으로 저하되어도 석출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펌프 포머 용기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및 3에 기재되는 종래의 펌프 포머용 세정제에서는 거품질의 향상에 중점이 두어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저온 안정성의 향상이 달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세정성의 점에서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9-29296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5-132700호 공보 일본 특허 제507168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현상황을 감안하여 거품질 및 저온 안정성이 우수한 것뿐만 아니라 소량의 물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펌프 포머용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그 대부분을 고급 지방산 비누가 차지하는 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배합량을 억제함과 아울러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소정량 배합함으로써 농밀한 거품질을 갖고, 저온에서도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군의 세정성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2~5질량%의 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b) 20~60질량%의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고,
펌프 포머에서 토출되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a)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90질량% 이상을 탄소수가 5~25개인 고급 지방산 비누가 차지하고, 상기 (b)다가 알코올에 포함되는 프로필렌글리콜의 양이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20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농밀한 거품질을 갖고,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소량의 물로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발군의 세정성을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이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양성 계면 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 비누, N-아실글루탐산염, 알킬에테르아세트산 등의 카르복실산염형, α-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 등의 술폰산형,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등의 황산 에스테르염형, 인산 에스테르염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에서도 고급 지방산 비누가 이온성 계면 활성제(성분a)의 9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급 지방산 비누는 탄소수 대략 5~25개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1가 탄화수소기에 카르복실기가 결합된 고급 지방산 음이온과 카운터 양이온의 염으로 이루어지고, 탄화수소기는 임의로 일부가 수산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고급 지방 비누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구체예로서는 카프로산, 헵탄산,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칸산, 라우르산, 카프롤레산, 운데실렌산, 라우롤레산, 2-에틸부탄산, 이소펜탄산, 2-에틸펜탄산, 2-에틸헥산산, 이소노난산, 3,5,5-트리메틸헥산산, 트리데칸산, 테트라메틸노난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크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미리스트올레산, 팔미톨레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곤도인산, 에루크산, 셀라콜레산, 리놀산, 리노엘라이드산,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2-헥실데칸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야자유 지방산, 경화 야자유 지방산, 팜유 지방산, 경화 팜유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경화 팜핵유 지방산, 우지 지방산, 경화 우지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구체예 중에서도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팔미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또는 3종류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팔미트산의 3종류의 조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라우르산의 배합량을 다른 지방산의 배합량보다 많게 하는 것이 저온 안정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고급 지방산 음이온을 중화하는 카운터 양이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칼리 금속 양이온, 특히 칼륨 양이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족 아민염, 알킬 4급 암모늄염, 방향족 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이미다졸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드베타인 등의 카르보베타인형 양성 계면 활성제, 알킬술포베타인,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의 술포베타인형 양성 계면 활성제, 포스포베타인형 양성 계면 활성제, 이미다졸린형 양성 계면 활성제, 아미드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베타인으로서는 라우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아미드베타인으로서는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술포베타인으로서는 야자유 지방산 디메틸술포프로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으로서는 라우르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포베타인형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라우르히드록시포스포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린형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야자유 알킬-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온성 계면 활성제(성분 a)의 배합량은 2~5질량%이다. 배합량이 2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기포성이 얻어지지 않고, 5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세정성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배합량의 상한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4.5질량% 또는 4.0질량%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펌프 포머용 세정제에 비교해서 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배합량을 억제하고, 또한 그 중에서 고급 지방산 비누가 차지하는 비율을 상기 소정값(90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거품질을 유지하면서 세정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었다.
(b)다가 알코올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가 알코올은 화장료 등에 통상 배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중에서도 프로필렌글리콜을 배합하면 저온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가 알코올은 프로필렌글리콜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다. 단, 프로필렌글리콜의 배합량의 상한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20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5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질량% 미만으로 한다. 한편, 프로필렌글리콜의 배합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1질량%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이다. 또한, 소르비톨을 배합하면 생성되는 거품질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다가 알코올(성분 b)의 배합량은 20~60질량%, 바람직하게는 25~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이다. 배합량이 20질량% 미만이면 펌프 포머의 다공질막의 막힘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고, 60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거품질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소량 배합함으로써 저온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유효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1:1형; 1:2형), 폴리글리세릴-4라우릴에테르 등이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3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질량% 이하로 한다.
기타 배합 가능한 성분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예를 들면, 유분, 실리콘류, 저급 또는 고급 알코올류, 라놀린 유도체, 단백 유도체, 각종 약제, 살균제, 방부제,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 금속 이온 봉쇄제, 킬레이트제, 자외선 흡수제, 동식물 추출물 또는 그 유도체, 색소, 향료, 안료, 유기 또는 무기 분체,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임의로 선택해서 배합할 수 있다. 단, 이들의 배합량은 저온에서도 안정적으로 농밀한 거품과 발군의 세정성을 나타낸다는 본 발명의 특징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로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세정제는 한정된 양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밖에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화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배합하는 유분량은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세정제에 있어서의 유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1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8질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5질량% 미만 정도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브룩필드형 회전 점도계로 0~50℃의 온도에서 측정한 점도가 30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10mPa·s 정도의 저점도 액체로 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상술한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을 사용해서 통상의 방법에 준해서 제조할 수 있다.
조제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다공질막을 갖는 논가스 타입의 거품 토출 용기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논가스 타입의 거품 토출 용기는 일정량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일정량의 공기와 혼합하여 거품 상태로 해서 사용시에 용기로부터 토출시키는 것이면 공지의 어느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연질 용기의 몸통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함으로써 사용하는 스퀴즈 포머, 펌프 기구를 구비한 캡의 머리를 손가락으로 압박함으로써 사용되는 펌프 포머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사용시 용기 내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공기와 혼합한 혼합물을 다공질막(1매로부터 복수매)에 통하게 함으로써 상기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용기 토출구로부터 거품 형상으로 해서 토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펌프 포머 용기의 다공질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펀지, 소결체, 네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사용성 등의 점으로부터 박육인 네트가 바람직하다. 눈의 거칠기로서는 30~400메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2매의 다공질막을 구비하는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쪽의 다공질막을 200메시, 다른 쪽의 다공질막을 305메시라는 미세한 망눈으로 해도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양호한 거품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펌프 포머 용기에 수용된 모발이나 피부의 세정제로서 세안료, 바디 소프, 핸드 소프, 샴푸 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구체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조금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이다.
하기 표의 각 예에 기재한 조성으로 세정제를 상법에 따라서 조제했다.
각 예에서 얻어진 세정제에 대해서 이하의 항목에 대해서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1)저온 안정성
조제한 세정제 조성물에 이산화탄소를 강제적으로 취입하여 실사용 중에 경시에 의해 pH가 저하된 상태(pH 9.5)로 했다. 이 세정제 조성물을 경질 유리의 바이알 병에 충전하고, 각 온도(-5~20℃)로 유지된 평가실에 두고, 1개월 보존시킨 후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 양호(석출물, 침전물이 없고, 외관의 변화가 없다)
△: 실용상 양호(약간의 외관 변화(석출물, 침전물)가 있지만 실용상 문제없다)
×: 불량(석출물, 침전물이 있고, 품질상 문제가 있다)
(2)관능 시험
10명의 전문 패널에 의해 각 예의 세정제를 펌프 포머 용기(메시 200×305)에 수용하고, 거품 형상으로 토출시키고나서 실사용해서 기포성, 거품질, 세정성 등의 항목에 대해서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각 항목에 대해서 전문 패널의 평가점의 합계에 따라 하기의 4단계로 분류했다. 평가 결과가 ◎ 또는 ○인 것은 상품으로서 제공하는데에 충분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평가점 기준]
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보통
2점: 뒤떨어진다
1점: 매우 뒤떨어진다
[ 평가 결과]
◎: 합계점이 40점 이상
○: 합계점이 30~39점
△: 합계점이 20~29점
×: 합계점이 19점 이하
(3)막힘
조제한 세정제 조성물을 200×305메시의 다공질막을 구비한 펌프 포머 용기에 충전하여 수회 토출한 후 50℃ 항온조 내에서 1주간 건조시켰다. 그 후 다시 토출했을 때에 메시의 막힘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했다(N=5).
[평가 결과]
○: 5예 중 1개의 막힘도 발생하지 않았다.
×: 5예 중 1개 이상에 막힘이 발생했다.
Figure 112015092581319-pct00001
Figure 112015092581319-pct00002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세정제에 배합하는 다가 알코올에 프로필렌글리콜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충분한 저온 안정성이 얻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프로필렌글리콜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20질량%를 초과하면 거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를 발생시켰다(표 1).
한편, 다가 알코올이 10질량%의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각 항목에 대해서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지지만, 특히 다가 알코올로서 소르비톨을 배합한 경우에는 거품질이 더욱 향상되고, 부드러운 감촉의 양호한 거품이 얻어졌다(표 2).
Figure 112015092581319-pct00003
표 3에 나타낸 실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고급 지방산 비누가 9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배합량을 2~5질량%로 억제하고, 소정량의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20~60질량%의 배합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3은, 충분한 기포성이 있어 거품질 및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양호한 세정성을 갖고 있다. 특히,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은 0℃ 이하의 저온에서도 양호한 안정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한냉지에 있어서의 동계 사용에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이어도 -5℃에서는 약간(실용상은 문제없는 정도)의 외관 변화가 보였지만, 0℃ 이상에서의 안정성은 양호하며, 일반적인 사용 형태에 있어서는 충분한 특성이었다. 또한, 프로필렌글리콜의 배합량을 5질량%로 저감한 경우(실시예 3)이어도 프로필렌글리콜을 10질량% 배합한 경우(실시예 2)와, 대략 동등한 특성을 나타냈다.
그것에 대해서 이온성 계면 활성제(고급 지방산 비누)의 배합량이 5질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1에서는 기포성/거품질은 충분하지만, 세정성이 뒤떨어지고, 저온 안정성도 불충분한 것이 나타내어졌다.
Figure 112015092581319-pct00004
표 4의 실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배합하는 이온성 계면 활성제에 차지하는 고급 지방산 비누의 비율이 90질량%에 차지 않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는 세정성이 충분하지 않아지고,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20질량% 미만인 비교예 4에서는 펌프 포머의 다공질막에 막힘을 발생시켰다.
(처방예1) (질량%)
이온 교환수 잔여
글리세린 15
프로필렌글리콜 10
디프로필렌글리콜 5
1,3-부틸렌글리콜 2
소르비톨 15
라우르산 1
미리스트산 1
팔미트산 0.2
가성 칼리 0.55
코코일메틸타우린Na 0.1
라우릴베타인 0.1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1:1형) 0.45
EDTA-3Na 2H2O 0.02
페녹시에탄올 0.2

Claims (3)

  1. (a)2~5질량%의 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b)20~60질량%의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고,
    펌프 포머로 토출되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a)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90질량% 이상을 탄소수가 5~25개인 고급 지방산 비누가 차지하고, 상기 (b)다가 알코올에 포함되는 프로필렌글리콜의 양이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20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이 소르비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20157026229A 2013-04-18 2014-03-14 펌프 포머용 세정제 조성물 KR101630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7195 2013-04-18
JP2013087195A JP5373216B1 (ja) 2013-04-18 2013-04-18 ポンプフォーマー用洗浄剤組成物
PCT/JP2014/056841 WO2014171238A1 (ja) 2013-04-18 2014-03-14 ポンプフォーマー用洗浄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021A KR20150115021A (ko) 2015-10-13
KR101630221B1 true KR101630221B1 (ko) 2016-06-14

Family

ID=4995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229A KR101630221B1 (ko) 2013-04-18 2014-03-14 펌프 포머용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58746B2 (ko)
JP (1) JP5373216B1 (ko)
KR (1) KR101630221B1 (ko)
CN (1) CN105142606B (ko)
HK (1) HK1212233A1 (ko)
TW (1) TWI525191B (ko)
WO (1) WO2014171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3059A (ja) * 2014-04-14 2015-11-16 太田油脂株式会社 クリーナー兼ワックス組成物
JP6415969B2 (ja) * 2014-12-25 2018-10-31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JP6612528B2 (ja) * 2015-05-27 2019-11-27 関西酵素株式会社 液体洗浄料
JP6565363B2 (ja) * 2015-06-18 2019-08-28 日油株式会社 ポンプフォーマー用洗浄剤組成物
JP6619960B2 (ja) * 2015-06-30 2019-12-11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入り液体洗浄剤組成物
JP6178382B2 (ja) * 2015-11-12 2017-08-09 株式会社 資生堂 ポンプフォーマー用洗浄剤組成物
JP2017171625A (ja) * 2016-03-25 2017-09-28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CA3075086A1 (en) 2017-09-15 2019-03-21 Gojo Industries,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c1-8 alcohols, a buffer and an enhancer
WO2019131799A1 (ja) * 2017-12-26 2019-07-04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2028590B1 (ko) * 2018-03-29 2019-10-04 황병철 식기세척기용 친환경 고성능 세제 조성물 및 세제
WO2021087492A1 (en) 2019-11-01 2021-05-06 Rita Corporation Substantially anhydrous, concentrated surfactant compositions
CN115813788A (zh) * 2022-12-26 2023-03-21 福建片仔癀化妆品有限公司 一种温和自防腐且泡沫绵密的洁面泡泡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293A (ja) * 2005-06-10 2006-12-21 Mandom Corp 泡沫洗浄剤用組成物及び泡沫洗浄剤
JP2010059247A (ja) * 2008-09-01 2010-03-18 Kao Corp 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687A (ja) 1991-09-13 1993-03-23 Kobe Steel Ltd 配管の補修方法
JP2994119B2 (ja) * 1991-11-13 1999-12-27 サンスター株式会社 起泡性洗浄剤
JP4112787B2 (ja) * 2000-09-14 2008-07-02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4527655B2 (ja) * 2004-11-30 2010-08-18 ライオン株式会社 フォーマー容器入り洗浄剤組成物
JP4294628B2 (ja) * 2005-09-30 2009-07-15 株式会社マンダム 泡沫洗浄剤用組成物及び泡沫洗浄剤
KR101355360B1 (ko) * 2006-06-12 2014-01-23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5801525B2 (ja) * 2008-03-26 2015-10-28 株式会社コーセー 液状洗浄剤組成物
JP2009292969A (ja) * 2008-06-06 2009-12-17 Shiseido Co Ltd 液体洗浄剤組成物
JP5562560B2 (ja) * 2009-01-15 2014-07-30 株式会社マンダム 泡沫洗浄剤
JP5577058B2 (ja) * 2009-07-06 2014-08-20 花王株式会社 洗浄剤
US7884060B1 (en) * 2009-08-12 2011-02-08 Conopco, Inc. Concentrated liquid soap formulations having readily pumpable viscosity
US7884061B1 (en) * 2009-08-12 2011-02-08 Conopco, Inc. Concentrated liquid soap formulations with greater than 50% long chain soap and fatty acid having readily pumpable viscosity
JP5596508B2 (ja) * 2009-11-27 2014-09-24 株式会社コーセー 水性液状洗浄剤組成物
WO2011070958A1 (ja) * 2009-12-08 2011-06-16 株式会社資生堂 洗浄剤組成物、泡を生成する方法、泡、及び毛髪を洗浄する方法
CN102858932B (zh) * 2010-04-07 2017-05-03 花王株式会社 手洗用餐具清洁剂组合物
CN102653706A (zh) * 2011-03-03 2012-09-05 宁波市鄞州声光电子有限公司 非金属元件清洁剂
JP5827541B2 (ja) 2011-10-18 2015-12-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293A (ja) * 2005-06-10 2006-12-21 Mandom Corp 泡沫洗浄剤用組成物及び泡沫洗浄剤
JP2010059247A (ja) * 2008-09-01 2010-03-18 Kao Corp 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42606B (zh) 2017-05-03
TW201504425A (zh) 2015-02-01
JP2014210720A (ja) 2014-11-13
KR20150115021A (ko) 2015-10-13
TWI525191B (zh) 2016-03-11
US20160075974A1 (en) 2016-03-17
HK1212233A1 (en) 2016-06-10
CN105142606A (zh) 2015-12-09
JP5373216B1 (ja) 2013-12-18
US9758746B2 (en) 2017-09-12
WO2014171238A1 (ja)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21B1 (ko) 펌프 포머용 세정제 조성물
JP2008308492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623717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6240085B2 (ja) 洗浄剤組成物
JP6178382B2 (ja) ポンプフォーマー用洗浄剤組成物
JP2014218470A (ja) 弱酸性透明洗浄料
JP6237173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252768B2 (ja) クリーム状洗浄剤組成物
JP2017141417A (ja) 液状洗浄剤組成物
JP2021183591A (ja) 液状皮膚洗浄用組成物
JP2009292969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6645817B2 (ja) 真珠様光沢剤
JP2012201789A (ja) 透明石鹸
JP2019001847A (ja) 洗浄剤組成物。
JP2018203704A (ja) 洗浄料組成物
JP6190239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6241261A (ja) 水性液体洗浄剤組成物
JP2021075481A (ja) 液状皮膚洗浄剤組成物
JP5649847B2 (ja) クリーム状洗顔料
JP2021050157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23174414A (ja) ペースト状身体洗浄剤組成物
JP2010215577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2013173807A (ja) 固形石鹸
JP2010241721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5060298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