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391B1 -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성형물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성형물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391B1
KR101627391B1 KR1020127000446A KR20127000446A KR101627391B1 KR 101627391 B1 KR101627391 B1 KR 101627391B1 KR 1020127000446 A KR1020127000446 A KR 1020127000446A KR 20127000446 A KR20127000446 A KR 20127000446A KR 101627391 B1 KR101627391 B1 KR 10162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mposition
meth
acrylate
plastic mold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339A (ko
Inventor
베르너 회쓰
클라우스 슐테스
궈민 류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4287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273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9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 및 1종 이상의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다이 스웰은 5 MPa 및 220℃에서 DIN 54811 (1984)에 따라 측정하여 15% 이상이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의 용융 유량은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3.8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10 분당 10 ml 이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물, 및 상기 성형물의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성형물 및 제조 방법 {PLASTICS MOULDING COMPOSITIONS, MOULDINGS AND PRODUCTION PROCESSES}
본 발명은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상기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탁월한 광학 특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들 플라스틱은 고투명도를 필요로 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은 다수의 화학물질에 대한 내성이 높고, 내후성이 높다. 그러나, 단점은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내충격성이 비교적 낮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특성은 소위 충격 개질제를 사용하여 향상시킨다.
이러한 유형의 성형 조성물은, 예를 들어 DE-A 33 00 526, DE-A 33 29 765, EP-A 0 113 924, EP-A 0 465 049, EP-A 0 522 351 및 WO 2006/029704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용시 높은 기계적 하중에 단시간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요건이 특히 엄격하다. 그 표면은 통상 알콜-함유 용액 등을 사용하여 세정되고, 따라서 그 재료는 이들 화학물질에 내성이어야 한다. 더욱이, 광학 요건은, 헤이즈로 인해 표시된 정보의 판독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매우 엄격하다.
시장에서 수용된 디스플레이 커버는 고도로 자동화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어야 하고, 비용의 문제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출 성형 공정이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유일한 공정이다. 비교적 새로운 공정으로 인해 하위 작업(downstream operation)의 요건 없이도 바로 설치되는 성형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하위 작업의 예는 스프루의 제거이다. 상기 기술에서는 터널 게이트 또는 핫-러너 다이(hot-runner die)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 기술에서는 게이트의 직경이 비교적 작아야 한다. 특히 여기서 제기되는 문제는 모바일 기기 장비가 점차 소형화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커버가 통상 0.5 mm 내지 1.2 mm의 범위의 두께로 매우 얇아진다는 것이다.
상기한 충격-개질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이 디스플레이 커버의 제조를 위한 비용-효율적 공정에 사용될 경우, 때때로 흐림(clouding)을 수반하는 높은 헤이즈 값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원에서 언급되고 논의된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고효율의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성형되어 탁월한 특성 프로파일을 갖는 비교적 얇은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발견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특히, 성형 조성물은 내충격성이 높은 성형물을 제공하도록 가공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종래의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성형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성형물을 세정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표면 상의 임의의 공격이나 소위 응력 균열의 임의의 형성이 없이 알콜-함유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성형 조성물로부터, 광학 특성이 탁월한, 특히 고투명도의 성형물을 수득할 수 있어야 한다. 성형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물은 더욱이 표면 품질이 높아야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현대적인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가공되어 특히 얇은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고, 여기서 생성된 성형물은 높은 수준의 헤이즈 또는 임의의 흐림을 나타내지 않는다. 현대적인 사출 성형 공정의 특이한 특징은 생성된 성형물이 사용 전에 또는 추가로 가공되기 전에 하위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여기서 성형 조성물은 수득되는 성형물의 품질과 관련하여 임의의 단점을 초래하지 않고 매우 높은 주기 속도로 가공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조되고 가공될 수 있는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모든 특징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이들 목적을 달성하고, 또한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도입부에서 논의된 배경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거나 추론되는 결과로서 다른 목적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의 유리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에 의해 보호된다. 특허청구범위 제15항 및 제18항은 성형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련하여 제시된 목적을 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다이 스웰(die swell)이 5 MPa 및 220℃에서 DIN 54811 (1984)에 따라 측정하여 15% 이상이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의 용융 유량이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3.8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10 분당 10 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 및 1종 이상의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놀랍게도, 이로 인해, 매우 효율적인 방식으로, 탁월한 특성 프로파일을 갖는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수단으로 특히 하기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가공되어 내충격성이 높은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세정 조성물, 특히 알콜-함유 용액 등을 사용하여 성형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성형물을 표면 상의 임의의 영향이나 소위 응력 균열의 임의의 형성이 없이 세정할 수 있다.
성형 조성물은 더욱이 광학 특성이 탁월한, 특히 고투명도 및 낮은 헤이즈를 나타내는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성형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물은 더욱이 표면 품질이 높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은 현대적인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가공되어 특히 얇은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성형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생성된 성형물은 높은 수준의 헤이즈 또는 임의의 흐림을 나타내지 않는다. 현대적인 사출 성형 공정의 특이한 특징은 생성된 성형물이 사용 전에 또는 추가로 가공되기 전에 하위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여기서 성형 조성물은 수득되는 성형물의 품질과 관련하여 임의의 단점을 초래하지 않고 매우 높은 주기 속도로 가공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더욱이 저비용으로 제조되고 가공될 수 있는 성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용융 유량이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3.8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10 분당 10 ml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분당 15 m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분당 20 ml 이상인 1종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를 포함한다. 특히 주목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특히, 용융 유량이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3.8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10 분당 10 ml 내지 50 ml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분당 15 ml 내지 40 ml의 범위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분당 20 ml 내지 30 ml의 범위인 1종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를 사용한 것이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수득가능한 중합체이다. 이들 단량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시판되고 있다.
이들 중에, 특히, 포화 알콜로부터 유도된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불포화 알콜로부터 유도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올레일 (메트)아크릴레이트, 2-프로피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메트)아크릴산의 아미드 및 니트릴, 예를 들어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N-(디에틸포스포노) (메트)아크릴아미드,
1-메타크릴로일아미도-2-메틸-2-프로판올; 시클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3-비닐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3,4-디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1,4-부탄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테르 알콜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옥시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상기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제조에, 앞서 언급한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한 다른 불포화 단량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화합물의 양은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중량%이고, 여기서 공단량체는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 특히, 1-알켄, 예를 들어 1-헥센, 1-헵텐; 분지된 알켄, 예를 들어 비닐시클로헥산, 3,3-디메틸-1-프로펜, 3-메틸-1-디이소부틸렌, 4-메틸-1-펜텐;
비닐 에스테르,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측쇄에 알킬 치환체를 갖는 치환된 스티렌, 예를 들어 α-메틸스티렌 및 α-에틸스티렌, 고리에 알킬 치환체를 갖는 치환된 스티렌, 예를 들어 비닐톨루엔 및 p-메틸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 예를 들어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트리브로모스티렌, 및 테트라브로모스티렌;
헤테로시클릭 비닐 화합물, 예를 들어 2-비닐피리딘, 3-비닐피리딘, 2-메틸-5-비닐피리딘, 3-에틸-4-비닐피리딘, 2,3-디메틸-5-비닐피리딘,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리딘, 9-비닐카르바졸, 3-비닐카르바졸, 4-비닐카르바졸, 1-비닐이미다졸, 2-메틸-1-비닐이미다졸, N-비닐피롤리돈, 2-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3-비닐피롤리딘,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부티로락탐, 비닐옥솔란, 비닐푸란, 비닐티오펜, 비닐티올란, 비닐티아졸, 및 수소화 비닐티아졸, 비닐옥사졸 및 수소화 비닐옥사졸;
비닐 및 이소프레닐 에테르;
말레산 유도체,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메틸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메틸말레이미드; 및
디엔,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이 있다.
바람직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는 각 경우 중합될 단량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 이상, 특히 6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중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상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칭한다. 바람직한 성형 조성물은, 예를 들어 분자량 또는 단량체 구성을 달리하여 다양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반복 단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단위 90 중량% 이상 및 다른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단위 2 중량% 이상을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A)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약 92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약 8 중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의 중량 평균 몰질량 Mw 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고, 여기서 몰질량은 통상 의도하는 용도 및 성형 조성물을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 부합한다. 그러나, 그에 따른 임의의 제한 없이, 이는 일반적으로 10,000 내지 18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150,000 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00 내지 110,000 g/mol의 범위이다. 다분산성 지수 Mw/Mn이 1 내지 1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의 범위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3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가 또한 특히 주목된다. 몰질량은 PMMA를 표준 물질로 사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로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공정의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상기한 단량체로부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 및/또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다. 중합체는 벌크 중합, 용액 중합, 현탁 중합 또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벌크 중합은, 예를 들어 문헌 [Houben-Weyl, Volume E20, Part 2 (1987), pp. 1145ff]에 기재되어 있다. 용액 중합에 대한 유용한 정보는 또한 상기 간행물 pp. 1156ff에서 찾을 수 있다. 현탁 중합 기술과 관련된 설명은 또한 상기 간행물 pp. 1149ff에서 찾을 수 있고, 유화 중합은 당해 간행물 pp. 1150ff에 또한 기재되고 설명되어 있다.
상기한 특성들을 갖고 바람직하게 사용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는 특히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Evonik Roehm GmbH)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PLEXIGLAS)
Figure 112012001566825-pct00001
및 상표명 아크릴라이트(ACRYLITE)
Figure 112012001566825-pct00002
로 구입가능하고, 여기서 특히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03
POQ62 또는 아크릴라이트
Figure 112012001566825-pct00004
L40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상기한 특성들을 갖는 1종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 뿐만 아니라 1종 이상의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도 포함한다.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다이 스웰이 5 MPa 및 220℃에서 DIN 54811 (1984)에 따라 측정하여 15% 이상이 되도록 선택한다.
따라서 특히 주목되는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의 다이 스웰의 강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현탁 중합으로 수득가능한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가 이러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 중에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2 단계 이상의 중합 반응으로 수득가능한 것이고, 여기서, 제1 단계에서, 유리 전이 온도 Tg가 >25℃이고 70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질 상(hard phase) A)를 생성시키고, 이어서, 제2 단계에서, 그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가 <25℃인, 강인성 상(tough phase) B)의 단량체를 첨가하고, 중합 반응을 완결시키고, 여기서, 제1 단계에서의 경질 상 A)의 중합은 a) 유용성(oil-soluble) 자유 라디칼 개시제 및 b)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티올 기를 갖는 유기 황 연쇄 전달제의 존재 하에서 수행한다.
상기한 특성들을 갖는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청에 1983년 8월 18일에 출원번호 P 3329765.7로 출원된 DE-A 33 29 765에 기재되어 있고, 개시 목적상 상기 문헌 및 상기 문헌에 개시된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상기한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제조를 위해, 제1 단계에서바람직하게, 유리 전이 온도 Tg가 >25℃이고 70 내지 10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및 0 내지 30 중량%의 C1-C8 알콜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C2-C8 알콜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상 A) 및 언급한 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0 내지 10 중량%의 하나 이상의 다른 비닐 단량체를 중합시킨다.
제2 단계에서, 강인성 상 B)의 단량체를 첨가하고 중합시킨다. 강인성 상 B)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경질 상의 존재와 무관하게 간주하여, <25℃, 바람직하게는 <10℃이다.
제1 단계에서의 경질 상 A)의 중합은 a) 유용성 자유 라디칼 개시제 및 b)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티올 기를 갖는 유기 황 연쇄 전달제의 존재 하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측면에 따라, 경질 상 A)의 존재 하의 강인성 상 B)의 중합은, 단량체를 사용하여 미리 형성된 경질 상 A)를 팽윤시키고 그 결과 강인성 상의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미리 형성된 경질 상 내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 경우, 경질 상에 여전히 존재하는 잔류 개시제의 원조로 중합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유리 전이 온도 (Tg)는, 예를 들어 문헌 [Brandrup and E.H. Immergut, "Polymer Handbook", Interscience 1966, pIII-61 to III-63], 또는 ["Kunststoff-Handbuch" [Plastics handbook], Volume IX, edited by R.Vieweg and F.Esser, Carl-Hanser-Verlag, Munich 1975, pp. 333-339], 및 [T.G. Fox in "Bull.Am.Physics soc, Vol. I, (3) p. 123 (1956)]에서 찾을 수 있다. 경질 상 A) 및/또는 강인성 상 B)의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 특히 DIN EN ISO 11357에 따라 측정할 수도 있다.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분당 10℃의 가열 속도를 사용하여 제2 가열곡선에서의 유리 전이의 중간점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강인성 상과 무관한 것으로 간주하여) 단계 A)에서 중합된 경질 상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일반적으로 25℃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이들 수치는 70 내지 10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고, 0 내지 30 중량%의 C1-C8 알콜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C2-C8 알콜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여기에 공중합시킬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의 예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특히 n-부틸 및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또한 네오펜틸 아크릴레이트이다.
C2-C8 알콜과의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로 언급될 수 있는 예는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특히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언급된 에스테르는 혼합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에스테르와 0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공중합가능한 다른 비닐 단량체의 예는 앞서 상세하게 기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예를 들어 스티렌 및 그 유도체, 예컨대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또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벤조에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강인성 상 B)의 단량체는 그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형태로 (경질 상과 무관하게) 유리 전이 온도 Tg가 <25℃, 바람직하게는 <10℃인 것으로 정의된다. 사용될 수 있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는 상기 언급된 C2-C8 알콜의 에스테르이고,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산의 에스테르는 C1-C8 알콜의 에스테르이며, 혼합물의 형태일 수도 있다.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티올 기를 갖는 사용된 황 연쇄 전달제는 일반적으로, 분자 내에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6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지만, 일반적으로 4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예를 들어, 1개 또는 바람직하게는 그보다 많은 α-메르캅토카르복실산 에스테르(들)가 분자 내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폴리올로부터, 예를 들어 글리콜로부터, 프로판디올로부터, 글리세롤로부터, 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유래된 것 등이 유리하고, 특히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티오글리콜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티올 기를 갖는 황 연쇄 전달제는 화학식 I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I>
Figure 112012001566825-pct00005
상기 식에서, A는 3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쇄, 특히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쇄, 또는 잔기
Figure 112012001566825-pct00006
이고,
여기서, n은 0이거나 또는 1 내지 8의 수, 특히 0, 및 1 내지 5의 수이고, Y는 2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쇄이고, 적절한 경우,
Figure 112012001566825-pct00007
단위에 의해 치환되고, 여기서 n'는 n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m은 0이거나 또는 1 내지 8의 수이다.
단계 A)에서의 경질 상의 중합 동안에 유기 황 조절제의 함량은 경질 상 A)의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0.0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이다.
사용할 수 있는 유용성 (수불용성) 자유 라디칼 개시제 a)의 예는 이러한 유형의 과산화(peroxidic) 및 아조 화합물이다 (US 특허 2 471 959). 예로는,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어 디벤조일 퍼옥시드, 또는 라우로일 퍼옥시드, 또는 퍼에스테르, 예를 들어 tert-부틸 2-에틸퍼헥사노에이트, 및 또한 아조 화합물, 예컨대 아조 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이 유형의 기타 공지된 개시제를 언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 반응의 완결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반응의 종결에 가까워질수록 온도를 상승시킬 경우 분해 온도가 더 높은 자유 라디칼 발생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유용성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비율은 단계 A)의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이다.
단계 B)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 그라프트-연결제는, 분자 내에 반응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중합성 단위를 갖는 단량체 또는 분자 내에 동일 유형의 3개 이상의 중합성 단위를 갖는 단량체 중 어느 하나이다 (후자의 경우 그 자체로 동일 유형인 중합성 단위의 상이한 반응성은 잔여 중합성 단위로부터 중합 반응 동안에 일어나는 입체 장애로 기인한 것일 것이다).
그라프트-연결제의 두 유형 (즉, 분자 내에 반응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중합성 단위를 갖는 단량체, 및 분자 내에 동일 유형의 3개 이상의 중합성 단위를 갖는 단량체)은 내충격성 성형 조성물의 투명도를 향상시킨다. 이들 유형의 그라프트-연결제는 재료의 열가소 가공성(예를 들어 압출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다른 가교제, 예를 들어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에 비해 더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
반응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중합성 단위를 갖는, 상기에서 기술되고 바람직하게 사용된 그라트프-연결제는 화학식 II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II>
Figure 112012001566825-pct00008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수소 및 메틸이고, R3는 잔기
Figure 112012001566825-pct00009
또는 잔기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0
이고,
여기서, R4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q 및 q'는 0 또는 1이고, R'1, R''1 및 R'2는 R1 및 R2에 대해 각각 정의한 바와 같다.
예로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릴, 메트알릴, 및 크로틸 에스테르, 예를 들어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및 알릴 아크릴레이트, 및 또한 상응하는 메트알릴, 크로틸 및 비닐 에스테르를 언급할 수 있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분자 내에 동일 유형의 3개의 중합성 단위를 갖는 그라프트-연결제의 예로서 언급할 수 있다.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바람직하게는 비드 중합 또는 현탁 중합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단량체 상에 대한 수성 상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1.5:1 내지 4:1의 범위일 수 있다.
통상의 분산 작용제 (분산제)를 비드 중합 반응의 시행 도중에 사용하는데; 이들의 양은 일반적으로, 수성 상을 기준으로 하여 수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소위 유기 분산제이고, 예를 들어 부분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말레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 및 동일한 중합체 분자 내에 소수성 및 친수성 기를 갖는 기타 중합체이다.
유화 중합체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수성 상에 염,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을 또한 첨가할 수 있다. 비드 현탁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저분자량의 유화제, 예를 들어 알칸설폰산의 나트륨 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히 주목되는 비드 중합체 또는 현탁 중합체는 강인성 상 B)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단량체에 대한 경질 상 A)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단량체의 중량비가 바람직하게는 1:0.15 내지 1:3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5 내지 1:1.5의 범위인 것이다.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용융 유량은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10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분당 0.1 내지 5 ml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분당 0.3 내지 3 ml의 범위이다.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충격 개질제는 특히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1
zk50으로 구입가능하다.
성형 조성물은 상기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기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예를 들어 상기한 것과 상이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는 더욱이 공중합체의 형태로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특히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특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 공중합체이다. 그러나, 이들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점과 관련하여 임의의 과도한 단점을 유발하지 않는 양으로 제한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형 조성물에 존재하는 이들 추가의 중합체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많아야 40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이다.
중합될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르는 성형 조성물, 및/또는 이로부터 수득된 성형물은 또한 공지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중에 특히 연쇄 전달제, 이형제, 세팅방지제(anti-setting agents), 항산화제, 몰드용 이형제, 난연제, 윤활제, 염료, 유동개선제, 충전제, 광안정화제, 안료, 내후안정화제 및 가소제가 있다.
첨가제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적으로는, 즉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양이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플라스틱의 특성, 예를 들어 가공성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다이 스웰은 5 MPa 및 220℃에서 DIN 54811 (1984)에 따라 측정하여 1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다이 스웰은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성질에 특히 영향을 받는다. 다이 스웰은 더욱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 및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각각의 비율에 의존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의 비율이 높을 경우,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높은 다이 스웰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로 인해 내충격성은 감소하게 된다.
특별히 주목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특히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에 대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의 중량비가 10:1 내지 1:1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4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1.1 내지 1:3의 범위인 본 발명의 조성물이다.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 및 40 내지 9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 중량%의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에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10 내지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 40 내지 9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 중량%의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및 0 내지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GPC에 의해 측정하여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최대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용융 유량은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3.8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분당 1 내지 7 ml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분당 2 내지 5 ml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주목되는 다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내충격성이 23℃에서 ISO 179에 따라 측정하여 50 kJ/m2이상, 바람직하게는 60 kJ/m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kJ/m2 이상인 것이다.
바람직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가능한 성형물 각각의 탄성률은 ISO 527 (1 mm/분에서)에 따르면, 12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600 MPa 이상일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가능한 성형물 각각의 샤르피 노치 내충격성(Charpy notched impact resistance)은 ISO 179에 따르면 더욱이 4 kJ/m2 이상, 바람직하게는 6 kJ/m2 이상일 수 있다.
ISO 527 (1 mm/분에서)에 따라, 23℃ 및 50℃ 각각에서 측정하여, 인장 강도가 3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MPa 이상인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것이 더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따른 성형 조성물은 특히 상기한 중합체를 배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여기서, 중합체는 용융물 상태로 혼합한다.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15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30℃의 범위의 온도에서, 압출기,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 내에서 배합한다.
본 발명은 특히, 탁월한 특성 프로파일을 가지고 따라서 다용도인 신규한 성형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성형물은 특히 높은 내충격성과 함께 낮은 헤이즈를 특징으로 하고, 이들 특성은 또한 두께가 얇은 성형물에서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성형물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내지 1.5 mm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놀랍게도, 내스크래치성 성형물의 투과율 τD65가 DIN 5036 파트 3에 따르면 ≥ 86%, 바람직하게는 ≥ 88%일 수 있다. 성형물에 대해 상기에 열거한 기계적 및/또는 광학 특성으로써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 대신에, 상기 데이타는 성형물의 특히 두드러진 특성들을 기재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성형물의 헤이즈는 ASTM D 1003에 따라 23℃에서 측정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고, 이들 값은 두께가 1.5 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 mm인 성형물에 특히 적용된다.
바람직한 성형물은 더욱이 균열이 없고 화학물질 내성이 높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성형물은 23℃에서 30분 이상의 노출 시간을 이용한 경우,에탄올/물 혼합물 (70/30), NaOH 용액 (1%) 또는 황산 (1%)에 대해 높은 화학물질 내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성형물은 더욱이, 탁월한 내후성을 나타낼 수 있다. 크세논 시험에서의 내후성은 바람직하게는 1000 시간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시간 이상이다. 예를 들어, 투과율에서의 작은 강하를 사용하여 이러한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주목되는 성형물은 특히, 크세논 조사 2000 시간 후 조사 공정 개시에서의 투과율 값을 기준으로 투과율 강하가 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하까지인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성형물은 특히 소형 모바일 전자기기, 예컨대, 모바일폰, 스마트폰,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의 디스플레이를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커버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이란 표현은 플라스틱 조성물이 열가소적으로,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가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출 성형 공정 그 자체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것이고,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특히 우수한 가공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들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특히 생성된 성형물에 하위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비교적 새로운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위 작업의 예는 스프루의 제거이다. 이들 기술은 터널 게이트 또는 핫- 러너 다이를 사용한다.
성형 조성물이 사출 금형으로 사출되는 온도는 특히 중합체의 성질, 및 또한 첨가제에 의존한다. 이들 가공 온도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성형 조성물이 사출 금형내로 사출되는 때의 조성물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1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90℃의 범위이다.
성형물을 금형으로부터 제거하기 전에, 성형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금형 온도를 20 내지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0℃의 범위의 온도로 설정함으로써 냉각시킬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여기서 특히 짧은 사출 시간을 제공할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는 0.2 내지 2 초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초의 범위이다. 이들 값은, 예를 들어 종래의 디스플레이 포맷 40 × 50 × 1.2 mm에 대해 달성된다.
놀랍게도, 여기서, 생성된 성형물의 특성에 불리한 영향을 전혀 끼치지 않고 사출 속도를 400 mm/s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mm/s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출 속도란 용융물이 핫-러너 다이를 통해 흐를 때 용융물의 유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들 값은 다이 직경이 1.5 mm 이상인 핫 러너를 사용할 경우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지만, 이로써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
비교 실시예 1
100 mm × 100 mm × 1 mm의 치수를 갖는 성형물을 ENGEL로부터의 사출 성형기 내에서 고광택으로 연마된 캐비티 및 핫-러너 게이트를 갖는 사출 금형에 의해 제조하였다. 게이트의 직경은 2 mm이었고 사출 성형기는 35 mm × 20 D 스크루의 사출 유닛을 가졌다.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2
zk6HF로 구입가능한 충격-개질된 PMMA 성형 조성물을 여기서 사용하였다. 상기 성형 조성물은 2개의 쉘을 사용한 구조이고 유화 중합에 의해 수득가능한 코어-쉘 충격 개질제 약 40 중량%, 및 용융 유량이 10 분당 약 21 ml (230℃/3.8 kg)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약 60 중량%를 포함하였다. 생성물은, 언급된 혼합비로 성분들을 스크루-장착된 혼련기(이 경우, W&P로부터의 동시-회전 ZSK 25 mm 이축 압출기였다)로 도입하여 제조하였다.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데이타 시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3
zk6HF는 자유-유동 내충격성 성형 조성물이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및 빈번히, 박벽(thin-walled) 모바일폰 디스플레이 및 상기한 다른 용도의 사출 성형물용으로 사용된다.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성형 조성물을 260℃의 온도로 가열하고 130 mm/s의 속도 (스크루 진행 속도)로 금형내로 사출하였다. 보유 압력은 1000 bar였고, 보유 압력 시간은 2 초였고, 냉각 시간은 8 초였다.
ASTM D 1003에 따라 생성된 성형물에 대한 헤이즈를 23℃에서 측정하였다. 비교용으로, 표준 기후 조건하에서 DIN 5036에 따라 23℃에서의 투과율 (τD65) 및 ISO 179에 따라 23℃에서의 내충격성을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한 두께 3 mm의 견본에 대해 측정하였다. 230℃에서 3.8 kg을 사용한 용융 유량, 및 220℃에서 5 MPa를 사용한 다이 스웰을 또한 측정하였다. 수득된 데이타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1을 실질적으로 반복하지만, 사용된 성형 조성물은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4
zk40으로 구입가능한 것이었다.
이 성형 조성물은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5
zk50으로 구입가능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높은 다이 스웰을 제공하는 약 67 중량%의 충격 개질제, 및 용융 유량이 10 분당 약 3 ml (230℃/3.8 kg)인 약 33 중량%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였다.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여기서 헤이즈도 두께 1 mm의 성형물에 대해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수득된 데이타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1을 실질적으로 반복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6
POQ62로 구입가능한) 용융 유량이 10 분당 약 21 ml인 PMMA 성형 조성물 A) 약 33 중량%와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7
zk50으로 구입가능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높은 다이 스웰을 제공하는 충격 개질제 약 67 중량%를 배합(용융물 상태로 혼합)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여기서 헤이즈도 두께 1 mm의 성형물에 대해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수득된 데이타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1을 실질적으로 반복하지만, 사용된 성형 조성물은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8
zk6BR로 구입가능한 것이었다.
이 성형 조성물은 2개의 쉘을 갖는 구조이고 유화 중합에 의해 수득가능한 충격 개질제 약 40 중량%, 및 용융 유량이 10 분당 약 6 ml (230℃/3.8 kg)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약 60 중량%를 포함하였다.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여기서 헤이즈도 두께 1 mm의 성형물에 대해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수득된 데이타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4
비교 실시예 1을 실질적으로 반복하지만, 사용된 성형 조성물은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19
zk30로 구입가능한 것이었다.
이 성형 조성물은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20
zk50으로 구입가능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높은 다이 스웰을 제공하는 충격 개질제 약 50 중량%, 및 용융 유량이 10 분당 약 3 ml (230℃/3.8 kg)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약 50 중량%를 포함하였다.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여기서 헤이즈도 두께 1 mm의 성형물에 대해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수득된 데이타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1을 실질적으로 반복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21
POQ62로 구입가능한) 용융 유량이 10 분당 약 21 ml인 PMMA 성형 조성물 A) 약 50 중량%와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시글라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22
zk50으로 구입가능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높은 다이 스웰을 제공하는 충격 개질제 약 50 중량%를 배합(용융물 상태로 혼합)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여기서 헤이즈도 두께 1 mm의 성형물에 대해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수득된 데이타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01566825-pct00023
상기에 나타낸 데이타로 1% 미만의 헤이즈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사용한 경우에만 두께가 1 mm인 견본에서 수득될 수 있는 것으로 명백히 나타났다. 이들 데이타는 용융 유량과 무관하게 달성될 수 있었다 (비교 실시예 1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3 각각 참조).

Claims (20)

  1.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다이 스웰(die swell)이 5 MPa 및 220℃에서 DIN 54811 (1984)에 따라 측정하여 15% 이상이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의 용융 유량이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3.8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10 분당 10 ml 이상이고,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용융 유량이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10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10 분당 0.1 내지 5 ml의 범위이고,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용융 유량이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3.8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10 분당 1 내지 7 ml의 범위이며, 상기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가 2 단계 이상의 중합 반응으로 수득가능하고, 여기서, 제1 단계에서, 유리 전이 온도 Tg가 >25℃이고 70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질 상(hard phase) A)를 생성시키고, 이어서, 제2 단계에서, 그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가 <25℃인, 강인성 상(tough phase) B)의 단량체를 첨가하고, 중합 반응을 완결시키고, 여기서, 제1 단계에서의 경질 상 A)의 중합은 a) 유용성(oil-soluble) 자유 라디칼 개시제 및 b)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티올 기를 갖는 유기 황 연쇄 전달제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 및 1종 이상의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강인성 상 B)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단량체에 대한 경질 상 A)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단량체의 중량비가 1:0.15 내지 1:3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용성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비율이 경질 상의 제조를 위한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티올 기를 갖는 유기 황 연쇄 전달제의 비율이 경질 상의 제조를 위한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의 용융 유량이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3.8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10 분당 15 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에 대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의 중량비가 10:1 내지 1: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중합체가 GPC에 의해 측정하여 2개 이상의 최대치를 갖는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 10 내지 60 중량%, 및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A) 10 내지 60 중량%, 충격-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40 내지 90 중량%, 및 첨가제 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용융 유량이 ISO 1133에 따라 230℃에서 3.8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여 10 분당 2 내지 5 ml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23℃에서 ISO 179에 따라 측정하여 60 kJ/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12. 제1항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성형물의 두께가 0.5 내지 1.5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
  14. 제12항에 있어서, 두께 1 mm에 대한 성형물의 헤이즈가 ASTM D 1003에 따라 23℃에서 측정하여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
  15. 제1항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사출 성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물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의 사출 시간이 0.3 초 내지 1 초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사출 속도가 600 mm/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7000446A 2009-07-07 2009-07-07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성형물 및 제조 방법 KR101627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9/000771 WO2011003219A1 (en) 2009-07-07 2009-07-07 Plasties moulding compositions, mouldings and production proces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339A KR20120095339A (ko) 2012-08-28
KR101627391B1 true KR101627391B1 (ko) 2016-06-03

Family

ID=4342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446A KR101627391B1 (ko) 2009-07-07 2009-07-07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성형물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759450B2 (ko)
EP (1) EP2451871B1 (ko)
JP (1) JP5479587B2 (ko)
KR (1) KR101627391B1 (ko)
CN (1) CN102575081B (ko)
ES (1) ES2523047T3 (ko)
HK (1) HK1170519A1 (ko)
PL (1) PL2451871T3 (ko)
SI (1) SI2451871T1 (ko)
TW (1) TWI483984B (ko)
WO (1) WO2011003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5457A (ja) * 2009-07-22 2011-02-10 Sumitomo Chemical Co Ltd 薄肉成形体の製造方法
JP5433331B2 (ja) * 2009-07-22 2014-03-05 住友化学株式会社 薄肉成形体の製造方法
FR3031108B1 (fr) * 2014-12-24 2018-08-17 Arkema France Composition comprenant un polymere a phases multiples,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lisation
FR3053348B1 (fr) * 2016-06-29 2020-03-27 Arkema France Composition comprenant un polymere a phases multiples et deux polymeres (meth)acryliques differents,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article la compen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1567A (en) 1983-08-18 1985-06-04 Rohm Gmbh Method for making impact resistant molding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062B2 (ja) * 1985-06-07 1995-08-30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耐衝撃性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US5183851A (en) * 1986-11-11 1993-02-02 Elf Atochem Italia S.R.L. Low haze transparent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DE4431732A1 (de) 1994-09-06 1996-03-07 Basf Ag Transparente, schlagzähe Formmassen mit hoher Spannungsrißbeständigkeit und matter Oberfläche
EP0745622A1 (en) * 1995-05-24 1996-12-0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Impact modified (meth)acrylic polymers
JP3603402B2 (ja) * 1995-08-25 2004-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組成物
JP3508454B2 (ja) * 1997-03-19 2004-03-2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およびその成形体
JPH11291307A (ja) * 1998-04-14 1999-10-26 Teijin Ltd 薄肉円盤成形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DE19927769A1 (de) * 1999-06-17 2000-12-21 Roehm Gmbh Schlagzähmodifizierte Polymethacrylat-Formmasse mit verbesserter Fließfähigkeit
DE10043868A1 (de) * 2000-09-04 2002-04-04 Roehm Gmbh PMMA Formmassen mit verbesserter Schlagzähigkeit
DE10243062A1 (de) * 2002-09-16 2004-03-25 Röhm GmbH & Co. KG Heißwasserwechseltestbeständiges Sanitärmaterial aus PMMA-Formmasse oder schlagzäher PMMA-Formmasse
DE10349144A1 (de) * 2003-10-17 2005-05-12 Roehm Gmbh Polymermischung für mattierte Spritzgußteile
MX2007008855A (es) * 2003-10-18 2008-03-13 Roehm Gmbh Masas de pieza moldeada de poli (met) acrilato resistentes a impactos con alta estabilidad termica.
DE10354379A1 (de) * 2003-11-20 2005-06-23 Röhm GmbH & Co. KG Formmasse, enthaltend ein Mattierungsmittel
DE102004045296A1 (de) * 2004-09-16 2006-03-23 Röhm GmbH & Co. KG Verwendung von Polyalkyl (meth) acrylat-Perlpolymerisaten und 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extrudierten Formteilen mit mattierter Oberfläche
JP2006124608A (ja) 2004-11-01 2006-05-18 Asahi Kasei Chemicals Corp 押出しシート用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押出しシート製造法
JP4878584B2 (ja) * 2007-08-01 2012-02-15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金型
BRPI0907893B1 (pt) * 2008-02-25 2019-01-15 Arkema France composição de liga acrílica transparen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1567A (en) 1983-08-18 1985-06-04 Rohm Gmbh Method for making impact resistant mold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5081A (zh) 2012-07-11
JP5479587B2 (ja) 2014-04-23
SI2451871T1 (sl) 2014-12-31
EP2451871A4 (en) 2013-04-03
EP2451871A1 (en) 2012-05-16
PL2451871T3 (pl) 2015-02-27
TWI483984B (zh) 2015-05-11
ES2523047T3 (es) 2014-11-20
KR20120095339A (ko) 2012-08-28
HK1170519A1 (en) 2013-03-01
JP2012532234A (ja) 2012-12-13
US8759450B2 (en) 2014-06-24
EP2451871B1 (en) 2014-09-03
CN102575081B (zh) 2014-12-10
WO2011003219A1 (en) 2011-01-13
US20120107595A1 (en) 2012-05-03
TW201127897A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7335B (zh) 聚(甲基)丙烯酸烷酯粒狀聚合物的應用以及用於製造霧面擠型品的模製組成物
JP2891735B2 (ja) アクリレートを主剤とするエラストマー
TW200932483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ated mouldings
CA2822570A1 (en) Crosslinked nanostructured cast sheets
KR101627391B1 (ko)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성형물 및 제조 방법
JP2010013613A (ja) アクリル系ブロック共重合体、熱可塑性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CN101952368A (zh) 芳香族聚碳酸酯树脂用流动性提高剂及其制造方法、芳香族聚碳酸酯树脂组合物、以及成型体
KR101755176B1 (ko)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수성 액체 염료로 착색하는 방법 및 수성 액체 염료
KR20120134832A (ko) 충격강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CN110891991B (zh) 橡胶质聚合物、接枝共聚物和热塑性树脂组合物
CN111218077A (zh) 一种聚甲基丙烯酸甲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2015157903A (ja) フィルム用成形材料及びフィルム
JPH11158344A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射出成形体
JPH061903A (ja) 重合体組成物
JPS61151212A (ja) メタクリル系共重合体の製造法
JP7302685B2 (ja) 共重合体、樹脂組成物、成形体、フィルム状成形体、及び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WO2002100943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415151B1 (ko) 이형성이 우수한 내충격성 스티렌계 투명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178317A (ja) 重合体の製造方法
JPH08134117A (ja) スチレン系樹脂の製造方法
JP2000226405A (ja) 微細形状転写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44752A (ja) 共重合体、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2001139754A (ja) (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その成形体および用途
US20200317844A1 (en) (meth)acrylic polymer composition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WO2007135342A1 (fr) Procede de coextrusion multicouche utilisant une couche ductile intermedi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