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822B1 -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822B1
KR101624822B1 KR1020147025177A KR20147025177A KR101624822B1 KR 101624822 B1 KR101624822 B1 KR 101624822B1 KR 1020147025177 A KR1020147025177 A KR 1020147025177A KR 20147025177 A KR20147025177 A KR 20147025177A KR 101624822 B1 KR101624822 B1 KR 10162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duct
opening
tak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248A (ko
Inventor
마사히로 요시노
미쯔히로 사까
유우끼 오오노
다쯔오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6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ectilinearly mov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6Endless b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체 캐비넷(1)의 폐색 부재(51)에 형성된 상품 취출구(52)와, 상품 취출구(52)를 개폐하기 위한 상품 취출 도어(60)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품 취출 도어(60)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폐 이동시키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도어 개폐 수단은, 상품 취출 도어(60)의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51)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방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GOODS TAKE-OUT PORT STRUCTURE FOR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상품의 판매를 행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품의 판매를 행하는 자동 판매기에는, 상품 수용고의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을 반송 트레이에 조출(繰出)한 후, 반송 트레이에 의해 반송하여 소정의 상품 취출 영역으로 불출(拂出)하도록 한 것이 있다. 상품 취출 영역은, 상품 취출구를 통해 상품 수용고의 외부에 연통된 공간이며, 이용자가 상품 취출구로부터 손을 넣으면, 구입한 상품의 취출이 가능하다.
통상,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전방면을 구성하는 도어체가 글래스 등의 투명한 면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상품 수용고의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을 외부로부터 시인(視認)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품 랙으로부터 조출된 구입 상품이 반송 트레이에 의해 상품 취출 영역까지 반송되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수용고의 내부가 시인 가능한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이용자의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 취출구는 상품 취출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상품 취출 도어는, 상단부가 축지지되어 하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개폐 이동하는 것이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3414904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 있어서는, 자동 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상품도 다양화되어 있어, 이전에는 판매가 곤란했던 도시락 등과 같이 상품 자세를 바꾸어 버리면 상품 내용물이 흐트러져 버리는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판매기에서는,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품 취출 영역으로 상품을 불출하도록 하고, 또한 상품 취출 도어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상품 취출구를 개폐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용자가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켜 상품 취출구를 개방시킨 후에 상품 취출 영역으로부터 상품을 취출할 때에 상품 자세를 변경해야만 하고, 결과적으로 상품 내용물이 흐트러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상품 취출구가 개방된 경우에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품을 취출시킬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는, 자동 판매기 본체의 접객면(接客面)에 형성된 상품 취출구와, 상기 상품 취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상품 취출 도어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기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그 상품 취출 도어를 개폐 이동시키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상단 테두리부가 상기 접객면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형태로 그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고, 또한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 영역에 설치된 반송(搬送) 통로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어느 한쪽의 상품 랙으로부터 불출된 상품을 수용하여 반송하는 반송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취출구를 통하여 상기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개방 이동시킨 상기 상품 취출 도어에 의해 상기 반송 통로를 폐색(閉塞)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폐쇄 이동의 속도를 규제하는 댐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보다도 상방 영역에 있어서 하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되는 형태로 상단부가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에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 상품 취출 도어가 상기 상품 취출구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단부가 그 상품 취출 도어의 이면에 접촉하는 한편, 상기 상품 취출 도어가 개방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 상품 취출 도어의 개방 이동에 따라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요동하는 방도판(防盜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키는 경우에, 그 상품 취출 도어와 상기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와의 사이의 개구 면적을 저감시키는 방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부를 시인시키기 위한 투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상품 취출구를 폐쇄할 때에 그 상품 취출구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는 팽출부(膨出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팽출부의 하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개폐 수단이, 상품 취출 도어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를 개폐 이동시키므로, 상품을 상품 취출 도어의 하단 테두리부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상품 자세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품 취출구가 개방된 경우에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품을 취출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상품 취출구 구조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품 랙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획판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상품 랙으로부터 구획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상품 랙으로부터 구획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구획판을 랙 기체에 설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케이스를 랙 배판에 설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스파이럴과 모터의 연결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상품 취출 도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상태의 상품 취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상품 취출구 구조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본체 캐비넷(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 캐비넷(1)은 전방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자동 판매기 본체이며, 그 내부에 단열 구조의 상품 수용고(2)가 배치되어 있다. 상품 수용고(2)에는, 상품 랙(상품 수납 장치)(10)이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품 랙(10)은 각각 상품 수용고(2)의 양측에 세워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랙 지지 측판 사이에 가설되어 있고, 상품을 수납하는 것이다.
또한, 상품 수용고(2)에는 냉각 수단으로서의 증발기(3)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3)는 기계실(4)에 배치된 압축기(5)나 응축기(6) 등과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고, 자신의 도시하지 않은 냉매 통로를 통과하는 냉매와, 자신의 주위를 통과하는 상품 수용고(2)의 내부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그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기계실(4)은 본체 캐비넷(1)의 내부에 있어서 상품 수용고(2)의 하방측에 구획 형성된 실이다.
증발기(3)의 주위에서 냉각된 공기는, 상품 수용고 내 송풍 팬(7)이 구동함으로써, 상품 수용고(2)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 덕트(8)의 흡입구(8a)로부터 통풍로(9)로 흡입되고, 이 통풍로(9)를 통과한 후에 분출구(8b)로부터 분출됨으로써, 상품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품 랙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일부의 구성 요소를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예시하는 상품 랙(10)은 랙 기체(10a)와, 구획판(15)과, 모터(21)와, 스파이럴(29)(도 1 참조)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랙 기체(10a)는 바닥판(11)과 배판(12)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11)은, 예를 들어 강판 등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이며, 그 좌우 양단부를 상방을 향해 굴곡시킴으로써 측판(11a)을 형성하고 있다.
배판(12)은 지지 부재(13)에 지지됨으로써 바닥판(1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배판(12)은 바닥판(11)의 후단부에 접하여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상연부(上延部:12a)와, 이 제1 상연부(12a)의 연장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후연부(後延部:12b)와, 이 제1 후연부(12b)의 연장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상연부(12c)와, 이 제2 상연부(12c)의 연장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후연부(12d)를 갖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획판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5)은, 예를 들어 강판 등을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그 전후 길이는, 랙 기체(10a)의 전후 길이보다도 약간 짧은 것이다. 이와 같은 구획판(15)은 제1 걸림 갈고리(15a)와, 제2 걸림 갈고리(15b)와, 제3 걸림 갈고리(15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갈고리(15a)는 구획판(15)의 전단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 후에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제2 걸림 갈고리(15b)는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이 제1 걸림 갈고리(15a)보다도 후방측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설편(舌片)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제3 걸림 갈고리(15c)는 구획판(15)의 후단부면의 상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에 도시한 상품 랙(10)으로부터 구획판(15)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4는 평면도이며, 도 5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 기체(10a)를 구성하는 바닥판(11)에는, 구획판(15)의 제1 걸림 갈고리(15a)의 진입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복수의 제1 걸림 구멍(16a)이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 걸림 구멍(16a)의 후방에는, 구획판(15)의 제2 걸림 갈고리(15b)의 진입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복수의 제2 걸림 구멍(16b)이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랙 기체(10a)를 구성하는 배판(12)에 있어서의 제1 상연부(12a)로부터 제1 후연부(12b)에는, 구획판(15)의 제3 걸림 갈고리(15c)의 진입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복수의 제3 걸림 구멍(16c)이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획판(15)의 제1 걸림 갈고리(15a)를 제1 걸림 구멍(16a)에 진입시킨 후에 구획판(15)을 전방을 향해 변위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2 걸림 갈고리(15b)를 제2 걸림 구멍(16b)에 진입시키고, 또한 제3 걸림 갈고리(15c)를 제3 걸림 구멍(16c)에 진입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5)을 바닥판(11)에 세워 설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바닥판(11)에 복수의 구획판(15)을 세워 설치시킴으로써, 구획판(15)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20a)를 구비하는 컬럼(20)이 형성된다. 즉, 상품 랙(10)은 복수의 컬럼(20)이 좌우로 병설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바닥판(11)에는, 상품 수납 통로(20a)[컬럼(20)]에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판(11)과 함께 랙 기체(10a)를 구성하는 배판(12)에는, 상품 수납 통로(20a)에 대응하는 부분에 원 형상의 관통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판(12)에는, 관통 구멍(17)의 양측 영역에 상하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슬릿 형상의 빠짐 방지 구멍(18a)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관통 구멍(17)의 상방 영역에 좌우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직사각 형상의 걸림 구멍(18b)이 형성되어 있다.
도 7∼도 9는 각각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은 정면도, 도 8은 측면도, 도 9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2)는 내부에 모터(21)를 수납하는 것이며, 그 중앙부 하부에 전방면(22a)으로부터 후방면(22b)으로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관통 구멍(23)은 배판(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7)보다도 직경이 작은 것이다. 이러한 삽입 관통 구멍(23)으로부터 모터(21)의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끼워 맞춤 오목부(24a)가 내면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전달부(24)가 자신의 중심축이 삽입 관통 구멍(23)의 중심축에 일치하는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터(21)는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며, 전달부(24)는 케이스(22)의 전방면(22a)을 정면에 배치하여 정면에서 본 경우에,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케이스(22)에는, 제1 빠짐 방지편(25a), 제2 빠짐 방지편(25b), 제1 걸림 갈고리(26a), 제2 걸림 갈고리(26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빠짐 방지편(25a)은 케이스(22)의 양측면의 하부에 있어서의 전방면(22a)의 근방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1 빠짐 방지편(25a)은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전방을 향해 연장된 후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제2 빠짐 방지편(25b)은 케이스(22)의 양측면의 하부에 있어서의 후방면(22b)의 근방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2 빠짐 방지편(25b)은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제1 걸림 갈고리(26a)는 케이스(22)의 상면에 있어서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걸림 갈고리(26a)는 제1 빠짐 방지편(25a)의 상방에 있어서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걸림 갈고리(26b)는 케이스(22)의 상면에 있어서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걸림 갈고리(26b)는 제2 빠짐 방지편(25b)의 상방에 있어서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22)는 제1 빠짐 방지편(25a)이 배판(12)의 빠짐 방지 구멍(18a)에 후방으로부터 진입함과 함께, 제1 걸림 갈고리(26a)가 배판(12)의 걸림 구멍(18b)에 탄성 변형되면서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그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단부가 배판(12)에 걸림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판(12)의 후방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삽입 관통 구멍(23) 및 전달부(24)는 각각의 중심축이 관통 구멍(17)의 중심축에 일치한 상태로 관통 구멍(17)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22)의 전방면(22a)이 배판(12)이 설치되는 설치면으로 되고, 이러한 전방면(22a)이 정면에 배치되는 점에서,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전달부(24)는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22)는 제2 빠짐 방지편(25b)이 배판(12)의 빠짐 방지 구멍(18a)에 후방으로부터 진입함과 함께, 제2 걸림 갈고리(26b)가 배판(12)의 걸림 구멍(18b)에 탄성 변형되면서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그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단부가 배판(12)에 걸림으로써, 배판(12)의 후방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삽입 관통 구멍(23) 및 전달부(24)는 각각의 중심축이 관통 구멍(17)의 중심축에 일치한 상태로 관통 구멍(17)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22)의 후방면(22b)이 배판(12)이 설치되는 설치면으로 되고, 이러한 후방면(22b)이 정면에 배치되는 점에서,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전달부(24)는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22)는 전방면(22a) 및 후방면(22b) 중 어느 한쪽을 설치면으로서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배판(12)에 설치되는 것이며, 설치면을 선택함으로써 전달부(24)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스파이럴(29)은 종래 공지의 것이고, 예를 들어 금속제의 막대 형상체가 전후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권회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파이럴(29)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가 조인트 부재(30)의 전단부(31)에 연결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30)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재로 형성된 표면이 평활한 것이며,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조인트 부재(30)의 후단부(32)의 외주면에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전달부(24)의 끼워 맞춤 오목부(24a)에 끼워 맞춤 가능한 끼워 맞춤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인트 부재(30)는 자신의 중심축이 스파이럴(29)의 중심축과 일치한 상태로, 전단부(31)가 스파이럴(29)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관통 구멍(17) 및 삽입 관통 구멍(23)을 전방으로부터 관통하여 후단부(32)가 전달부(24)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즉, 조인트 부재(30)는 자신의 중심축이 스파이럴(29)의 중심축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전달부(24)의 중심축과도 일치되어 배치된다. 이에 의해, 스파이럴(29), 조인트 부재(30), 관통 구멍(17), 삽입 관통 구멍(23), 전달부(24)의 각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게 되고, 스파이럴(29)은 상품 수납 통로(20a)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바닥판(11)의 오목부(11b)는, 스파이럴(29)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인트 부재(30)에는, 미끄럼 이동편(33)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편(33)은 관통 구멍(17)보다도 전방측의 외주면에 있어서 그 조인트 부재(30)의 중심축의 직경 방향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방사상 부재이며, 그 외경이 관통 구멍(17)보다도 큰 것이다.
이와 같이, 스파이럴(29)은 조인트 부재(30)를 통해 모터(21)에 연결되는 것으로 되지만, 이러한 모터(21)와의 연결의 사이에 랙 기체(10a)를 구성하는 배판(12)이 존재하는 것으로 되고, 배판(12)을 끼운 상태로 모터(21)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파이럴(29)은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전달부(24)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전달부(24)에 끼워 맞추는 조인트 부재(30)도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스파이럴(29)이 중심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그 스파이럴(29)의 각 피치간에 구속되는 상품을 점차 전방을 향해 반출하여 최전방측의 수납 상품을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품 랙(10)의 전방 영역에는, 그 양측에 좌우 한 쌍으로 되는 형태로 반송 레일(40)이 배치되고, 이들 반송 레일(40) 사이를 반송 트레이(41)가 도시하지 않은 반송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반송 레일(40) 사이에는, 반송 트레이(41)를 통과시키기 위한 반송 통로(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송 통로(42)는 기계실(4)의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반송 통로(42)와 기계실(4)은 구획 단열재(4a)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본체 캐비넷(1)에는, 도어체(50) 및 폐색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체(50)는 본체 캐비넷(1)의 전방면 개구의 상방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 수용고(2)의 전방 영역을 개폐하는 것이고 본체 캐비넷(1)의 일측 테두리부에 개폐 이동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도어체(50)는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이며, 외부로부터 내부의 시인을 가능하게 하는 단열성의 글래스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폐색 부재(51)는 본체 캐비넷(1)의 전방면 개구의 하방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체(50)로 폐색할 수 없는 본체 캐비넷(1)의 전방면 개구의 하방부를 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폐색 부재(51)는 기계실(4)의 전방에 형성되는 반송 통로(42)의 전방을 폐색하고 있다.
이 폐색 부재(51)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상품 취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품 취출구(52)는 반송 트레이(41)를 통하여 반송된 상품을 이용자가 취출하기 위한 개구이며, 상품 취출 도어(6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이하에 있어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상품 취출 도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취출 도어(60)는 상품 취출구(52)를 후방측으로부터 폐쇄하는 것이다. 이 상품 취출 도어(60)는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이며,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61)를 갖는 것이다. 상품 취출 도어(60)는 도 12∼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취출구(52)를 폐쇄하는 경우에, 이 상품 취출구(52)보다도 외측(전방)으로 돌출되는 팽출부(62)를 갖고 있고, 이러한 팽출부(62)의 하부에 손잡이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품 취출 도어(60)의 좌측면의 하부에는, 좌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좌측 돌출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상품 취출 도어(60)의 우측면의 하부에도, 우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우측 돌출부(64b)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돌출부(64a)는 상품 취출구(52)의 좌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53)(도 15 이후 참조)에 진입하고 있다. 우측 돌출부(64b)는 상품 취출구(52)의 우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도시하지 않음)에 진입하고 있다. 여기서 상품 취출구(52)의 좌측 테두리부 및 우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53)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약간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품 취출 도어(60)의 좌측면의 중앙 부분에는 로드 형상의 좌측 링크 부재(65a)의 일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좌측 링크 부재(65a)의 타단부는, 상품 취출구(52)의 좌측 테두리부의 상방 부분에 댐퍼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댐퍼 부재는, 상세는 후술하지만, 상품 취출구(52)의 폐쇄 이동의 속도를 규제하는 것이다. 상기 좌측 링크 부재(65a)에는, 평판 형상의 방도 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취출 도어(60)의 우측면의 중앙 부분에는 로드 형상의 우측 링크 부재(65b)의 일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우측 링크 부재(65b)의 타단부는, 상품 취출구(52)의 우측 테두리부의 상방 부분으로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우측 링크 부재(65b)에는, 평판 형상의 방도 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폐색 부재(51)의 후방면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52)의 상방 영역에는, 방도판(67)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방도판(67)은 하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는 형태로 상단부가 폐색 부재(51)의 후방면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52)의 상방 영역에 축지지되어 있고, 하단부가 상품 취출 도어(60)의 후방면(이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품 취출 도어(60)는 임의의 상품 랙(10)의 스파이럴(29)로부터 불출된 상품을 수용한 반송 트레이(41)가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 통로(42)를 하방을 향해 이동하여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손잡이부(63)가 보유 지지되어 상방을 향해 들어 올려지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돌출부(64a) 및 우측 돌출부(64b)가 가이드 홈(53)을 그 가이드 홈(5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방을 향해 이동하고, 상품 취출 도어(60)의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접객면)(51)로부터 후방을 향해 이격되는 형태로 이동함으로써 상품 취출 도어(60)가 개방 이동한다. 이때, 상단 테두리부의 이동에 의해 방도판(67)도 후방(내측)을 향해 요동한다. 이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링크 부재(65a) 및 우측 링크 부재(65b)에 설치한 방도 부재(66)가 상품 취출 도어(60)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와의 사이의 개구 면적을 저감시킨다. 또한, 방도판(67)이 상품 취출 도어(60)의 상단 테두리부와 상품 취출구(52)의 상단 테두리부와의 사이를 폐색한다.
그리고, 상품 취출 도어(60)를 더욱 들어 올림으로써,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취출 도어(60)는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51)로부터 후방을 향해 더욱 이격되도록 개방 이동하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돌출부(64a) 및 우측 돌출부(64b)가 가이드 홈(53)의 상단 테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상품 취출 도어(60)의 개방 이동은 정지한다. 이때, 상품 취출 도어(60)는 반송 통로(42)를 폐색한 자세로 된다.
상품 취출 도어(60)를 이와 같은 자세로 한 이용자는, 반송 트레이(41)로부터 상품 취출구(52)를 통하여 상품을 취출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는, 상품 취출 도어(60)로부터 손을 떼버리는 것이 생각되지만, 댐퍼 부재가 상품 취출구(52)의 폐쇄 이동의 속도를 규제하므로, 이용자가 상품 취출 도어(60)로부터 손을 떼도 즉시 상품 취출 도어(60)가 폐쇄 이동해 버리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상품 취출구(52)를 통하여 반송 트레이(41)의 상품이 취출된 후, 상품 취출 도어(60)는 자신의 자체 중량에 의해, 좌측 돌출부(64a) 및 우측 돌출부(64b)가 가이드 홈(53)을 그 가이드 홈(53)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방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51)에 근접하도록 폐쇄 이동하고, 그 후에 도 12∼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취출구(52)를 폐색한 자세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는, 가이드 홈(53), 좌측 돌출부(64a), 우측 돌출부(64b), 좌측 링크 부재(65a), 우측 링크 부재(65b)가 상품 취출 도어(60)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폐 이동시키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의하면, 도어 개폐 수단이, 상품 취출 도어(60)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폐 이동시키므로, 상품을 상품 취출 도어(60)의 하단 테두리부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상품 자세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품 취출구(52)가 개방된 경우에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품을 취출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의하면,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품 취출구(52)를 통하여 반송 트레이(41)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므로, 종래와 같이 반송 트레이에서 반송시킨 상품을 상품 취출 영역으로 불출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상품 취출 영역으로 불출함으로써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상품 취출구(52)가 개방된 경우에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품을 취출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의하면, 개방 이동한 상품 취출 도어(60)가 반송 통로(42)를 폐색한 자세로 되므로, 당해 상품 취출 도어(60)가 방해 판 부재로 되어, 상품 취출구(52)가 개방된 상태에서 악의를 가진 사람이 손가락을 침입시켜 상품 랙(10)에 수납된 상품 등을 취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송 경로(42)를 폐색한 자세로 됨으로써, 원하는 온도로 냉각된 상품 수용고(2)의 냉기가 상품 취출구(52)를 통하여 외부에 누설되어 버리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상품 랙(10)에 의하면, 제1 걸림 갈고리(15a)를 제1 걸림 구멍(16a)에 진입시킨 후에 구획판(15)을 전방을 향해 변위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2 걸림 갈고리(15b)를 제2 걸림 구멍(16b)에 진입시키고, 또한 제3 걸림 갈고리(15c)를 제3 걸림 구멍(16c)에 진입시킴으로써, 구획판(15)을 바닥판(11)에 세워 설치시키므로, 구획판(15)이 전방을 향해 변위되도록 해도 바닥판(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컬럼(20)이 회전함으로써 구속하는 상품을 전방을 향해 반출하는 스파이럴(29)을 구비한 것이어도, 구획판(15)이 반출되는 상품에 접촉 등을 하여 바닥판(11)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랙(10)에 의하면, 조인트 부재(30)는 배판(12)을 끼운 상태에서 스파이럴(29)을 모터(21)에 연결시킬 수 있고, 또한 배판(12)의 전방측에 관통 구멍(17)보다도 외경이 큰 미끄럼 이동편(33)을 갖고 있으므로, 스파이럴(29)이 중심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그 스파이럴(29)의 각 피치 사이에 구속되는 상품을 점차 전방을 향해 반출하여 최전방의 수납 상품을 불출할 때에, 도 1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해 반력(하중)이 작용하게 되지만, 미끄럼 이동편(33)이 배판(12)의 전방면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모터(21)를 수납하는 케이스(22)에 반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22)는 나사 등으로 배판(12)에 고정할 필요가 없고, 빠짐 방지편(25a, 25b)이나 걸림 갈고리(26a, 26b)로 배판(12)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럴(29)의 설정 변경 등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랙(10)에 의하면, 빠짐 방지편(25a, 25b)을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한 후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걸림 갈고리(26a, 26b)가 걸림 구멍(18b)으로부터 어떠한 작용에 의해 이탈하였다고 해도, 빠짐 방지편(25a, 25b)이 빠짐 방지 구멍(18a)에 진입한 상태가 유지되고, 케이스(22)가 배판(12)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파이럴(29)의 구동원으로서의 역할을 계속해서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 취출 도어(60)는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면서,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51)로부터 이격되도록 개방 이동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면서 개방 이동하는 것이면, 상품 취출 도어의 개방 이동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파이럴(29)과 모터(21)를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3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형태를 이루고, 또한 방사상의 미끄럼 이동편(33)을 갖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인트 부재는, 배판을 끼운 상태로 스파이럴과 모터를 연결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배판에 미끄럼 이동 가능한 미끄럼 이동편을 갖고 있으면,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본체 캐비넷
2 : 상품 수용고
10 : 상품 랙(상품 수납 장치)
10a : 랙 기체
11 : 바닥판
11b : 오목부
12 : 배판
15 : 구획판
15a : 제1 걸림 갈고리
15b : 제2 걸림 갈고리
15c : 제3 걸림 갈고리
16a : 제1 걸림 구멍
16b : 제2 걸림 구멍
16c : 제3 걸림 구멍
17 : 관통 구멍
18a : 빠짐 방지 구멍
18b : 걸림 구멍
20 : 컬럼
20a : 상품 수납 통로
21 : 모터
22 : 케이스
22a : 전방면
22b : 후방면
23 : 삽입 관통 구멍
24 : 전달부
25a : 제1 빠짐 방지편
25b : 제2 빠짐 방지편
26a : 제1 걸림 갈고리
26b : 제2 걸림 갈고리
29 : 스파이럴
30 : 조인트 부재
31 : 전단부
32 : 후단부
33 : 미끄럼 이동편
40 : 반송 레일
41 : 반송 트레이
42 : 반송 통로
50 : 도어체
51 : 폐색 부재
52 : 상품 취출구
53 : 가이드 홈
60 : 상품 취출 도어
61 : 투과부
62 : 팽출부
63 : 손잡이부
64a : 좌측 돌출부
64b : 우측 돌출부
65a : 좌측 링크 부재
65b : 우측 링크 부재
66 : 방도 부재
67 : 방도판

Claims (13)

  1. 자동 판매기 본체의 접객면(接客面)에 형성된 상품 취출구와,
    상기 상품 취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상품 취출 도어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기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폐 이동시키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품 취출 도어보다도 상방 영역에 있어서 하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되는 형태로 상단부가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에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 상품 취출 도어가 상기 상품 취출구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단부가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이면에 접촉하는 한편, 상기 상품 취출 도어가 개방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개방 이동에 따라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요동하는 방도판(防盜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상단 테두리부가 상기 접객면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형태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고, 또한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 영역에 설치된 반송(搬送) 통로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어느 한쪽의 상품 랙으로부터 불출(拂出)된 상품을 수용하여 반송하는 반송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취출구를 통하여 상기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고, 또한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 영역에 설치된 반송(搬送) 통로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어느 한쪽의 상품 랙으로부터 불출(拂出)된 상품을 수용하여 반송하는 반송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취출구를 통하여 상기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개방 이동시킨 상기 상품 취출 도어에 의해 상기 반송 통로를 폐색(閉塞)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개방 이동시킨 상기 상품 취출 도어에 의해 상기 반송 통로를 폐색(閉塞)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폐쇄 이동의 속도를 규제하는 댐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상품 취출 도어와 상기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와의 사이의 개구 면적을 저감시키는 방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부를 시인(視認)시키기 위한 투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상품 취출구를 폐쇄할 때에 상기 상품 취출구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는 팽출부(膨出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팽출부의 하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KR1020147025177A 2013-08-27 2014-02-28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KR101624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5838 2013-08-27
JP2013175838A JP2015045947A (ja) 2013-08-27 2013-08-27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構造
PCT/JP2014/055125 WO2015029471A1 (ja) 2013-08-27 2014-02-28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248A KR20150040248A (ko) 2015-04-14
KR101624822B1 true KR101624822B1 (ko) 2016-05-26

Family

ID=5258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177A KR101624822B1 (ko) 2013-08-27 2014-02-28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045947A (ko)
KR (1) KR101624822B1 (ko)
CN (1) CN104584087B (ko)
WO (1) WO2015029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6924A1 (ja) * 2015-09-17 2017-03-23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構造
JP2017126278A (ja) * 2016-01-15 2017-07-20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搬出装置
JP6666546B2 (ja) * 2016-02-22 2020-03-18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WO2017208330A1 (ja) * 2016-05-31 2017-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断熱容器
CN107705426B (zh) * 2016-08-08 2020-10-27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
CN107492197A (zh) * 2017-08-22 2017-12-19 北京云镜元谱信息科技有限公司 自动售货机
JP7043926B2 (ja) * 2018-03-29 2022-03-30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08665627A (zh) * 2018-04-12 2018-10-16 苏州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往复式自动售货机出货装置及自动售货机
CN108806080A (zh) * 2018-08-20 2018-11-13 广州甘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及其出货机构
JP7310363B2 (ja) * 2019-06-28 2023-07-19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CN112150705B (zh) * 2019-06-28 2022-05-31 富士电机株式会社 商品收纳装置
JP7363320B2 (ja) * 2019-10-03 2023-10-18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検出装置
CN111311823A (zh) * 2020-03-13 2020-06-19 山东大学 一种防卡式推杆装置、工作方法及售货机
JP7415765B2 (ja) * 2020-04-16 2024-01-17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JP2022100969A (ja) * 2020-12-24 2022-07-06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KR102513556B1 (ko) * 2021-05-31 2023-03-23 주식회사 벤더스터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6106A (ja) 2011-06-07 2012-12-2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商品収納ラックおよび自動販売機
JP2013015895A (ja) 2011-06-30 2013-01-24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0287U (ko) * 1989-09-22 1991-05-16
JPH07334738A (ja) * 1994-06-10 1995-12-22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防盗装置
JP4093624B2 (ja) * 1998-01-30 2008-06-04 清光 大野 自動物品供給装置の扉開閉装置
US6386389B1 (en) * 2000-04-07 2002-05-14 Crane Co. Vending machine access panel and method of formation
JP5720437B2 (ja) * 2011-06-28 2015-05-20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13105261A (ja) * 2011-11-11 2013-05-3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6106A (ja) 2011-06-07 2012-12-2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商品収納ラックおよび自動販売機
JP2013015895A (ja) 2011-06-30 2013-01-24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45947A (ja) 2015-03-12
CN104584087B (zh) 2017-06-20
KR20150040248A (ko) 2015-04-14
CN104584087A (zh) 2015-04-29
WO2015029471A1 (ja)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822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JP5742397B2 (ja) 自動販売機
JP5736869B2 (ja) 自動販売機
JP581056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JP2013191031A (ja) 自動販売機
JP5720336B2 (ja) 自動販売機
JP2012137949A (ja) 自動販売機
JP201222124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6334867B2 (ja) 商品収納装置
JP6127835B2 (ja) 商品収納装置
CN107924595B (zh) 自动售货机的商品取出口结构
JP5949381B2 (ja) 自動販売機
JP201219479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222124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JP574240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JP7207909B2 (ja) 物品販売機
JP594901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5954076B2 (ja) 自動販売機
CN114677796B (zh) 商品收纳装置
CN110322620B (zh) 自动售货机
JP5907024B2 (ja) 自動販売機
CN116264027A (zh) 商品收纳装置
JP2012221243A (ja) 自動販売機
JPH10261147A (ja) 自動販売機
JPH11296741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