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556B1 -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Google Patents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3556B1 KR102513556B1 KR1020210069716A KR20210069716A KR102513556B1 KR 102513556 B1 KR102513556 B1 KR 102513556B1 KR 1020210069716 A KR1020210069716 A KR 1020210069716A KR 20210069716 A KR20210069716 A KR 20210069716A KR 102513556 B1 KR102513556 B1 KR 102513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loading
- vending machine
- width
- adjust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7—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wherein the storage and dispensing mechanism are configurable in relation to the physical or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articles to be stored or dispen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은 자판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며 상면부를 이루는 상판에 좌우 방향으로 연결장공이 형성되는 적재선반, 적재선반의 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단이 연결장공에 삽입되면서 좌우로 위치 조정 가능하며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회전에 따라 상품을 순차적으로 낙하 배출하는 이송수단 및 적재선반의 내부에서 이송수단의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이송수단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개별수용공간으로 분할하는 구획판을 포함하여 개별수용공간의 좌우 너비를 이송수단의 위치에 따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상품이 수용되는 개별수용공간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의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음료뿐 아니라, 과자, 위생용품, 마스크,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자판기들이 개시되고 있다.
판매 상품에 따라 정해진 규격으로 제작되는 종래 자판기의 경우, 적재 너비 및 적재된 상품이 토출되도록 하는 이송수단의 위치과 개수가 정해져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재되는 상품의 종류를 변경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조립 가능한 구획판를 구비하여 적재 너비를 조절하는 자판기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자판기는 이송수단의 위치과 개수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이송수단의 위치와 개수가 정해져 있어 이송수단의 정해진 간격에 맞춰 적재 너비를 조절해야 하므로 세밀한 적재 너비 조절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상품에 비해 넓은 수용 공간을 제공하여 적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너비 조절된 수용 공간 하나에 복수 개의 이송수단이 대응되는 경우 복수 개의 이송수단을 구동하며 전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품이 적재되고 회전에 따라 상품을 배출하는 이송수단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며 상품이 수용되는 개별수용공간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은 자판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며 상면부를 이루는 상판에 좌우 방향으로 연결장공이 형성되는 적재선반, 적재선반의 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단이 연결장공에 삽입되면서 좌우로 위치 조정 가능하며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회전에 따라 상품을 순차적으로 낙하 배출하는 이송수단 및 적재선반의 내부에서 이송수단의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이송수단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개별수용공간으로 분할하는 구획판을 포함하여 개별수용공간의 좌우 너비를 이송수단의 위치에 따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이 적재되고 회전에 따라 상품을 배출하는 이송수단의 갯수를 조절하거나 이송수단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송수단의 개수를 조절함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이송수단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절한 후 이송수단 사이를 구획하여 상품이 수용되는 개별수용공간의 너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이송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구획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과 구획판의 결합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회전방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이 소정 각도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이송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구획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과 구획판의 결합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회전방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이 소정 각도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은 적재선반(100), 이송수단(200), 구획판(300), 회전방지판(400), 완충실린더(500), 고정수단(600)로 구성될 수 있다.
적재선반(100)은 자판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적재선반(100)은 상부가 회전브래킷(103)에 의해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하부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하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상품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적재선반(100)은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를 이루는 상판(110), 양측면부를 이루는 좌측판(120) 및 우측판(130), 배면부를 이루는 후판(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110)은 이송수단(200)이 연결되는 연결판(111)과, 구획판(300)이 거치되는 거치판(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판(111)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연결장공(111a)이 형성되고 연결장공(111a)에서 전방을 따라 출입공(111b)이 형성되며 출입공(111b)의 전측에 복수 개의 고정공(111c)이 형성되고 고정공(111c)의 전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111d)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판(113)은 연결판(111)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측에 구획판(300)을 거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거치공(113a)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판(113)의 후측에는 연결판(111)의 결합공(111d)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113b)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판(113)은 결합공(113b)과 연결판(111)의 결합공(111d)을 관통하는 결합나사에 의해 연결판(111)과 결합될 수 있다.
거치판(113)은 출입공(111b)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판(111)의 전측 좌우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좌측판(120)은 상판(110)의 좌측 하부에 연결되는 몸체(121)와 몸체(121)의 전측 하부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21)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공(121a)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1)의 상단에는 상판(110)에 연결되는 결합부(125)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1)의 후측 상부에는 완충실린더(500)와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판(130)은 상판(110)의 우측 하부에 연결되는 몸체(131)와, 몸체(131)의 전측 하부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31)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공(131a)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31)의 상단에는 상판(110)에 연결되는 결합부(135)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몸체(131)의 후측 상부에는 완충실린더(500)와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후판(140)은 상판(110)의 후측 하부에 연결되고 좌측에 좌측판(120)과 우측에 우측판(13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후판(140)의 하부에는 구획판(300)을 걸기 위한 복수 개의 걸이공(141a)이 거치판(113)의 거치공(113a)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판(140)의 하단에는 후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43)이 형성될 수 있고, 경사면(143)에는 이송수단(200)의 하단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삽입공(143a)이 형성될 수 있다.
후판(140)의 좌우 후측에는 완충실린더(500)와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홀(14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홀(145)은 좌측판(120)의 브라켓홀(127) 및 우측판(130)의 브라켓홀(137)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송수단(200)은 적재선반(100)의 내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각각에는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회전에 따라 상품을 순차적으로 낙하 배출할 수 있다.
이송수단(200)은 상단이 상판(110)의 출입공(111b)을 통해 연결장공(111a)에 삽입되면서 좌우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수단(200)은 구동모터(210), 기어박스(220), 회전판(230), 나선형회전체(240) 및 센터가이드(250)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2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기어박스(220)는 구동모터(210)의 기어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10)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감속시켜 출력축(221)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기어박스(220)의 하단에는 출력축(221)을 지지하는 축받이(223)가 형성될 수 있다.
축받이(223)의 외경은 출입공(111b)과 대응되어 출입공(111b)을 통해 연결장공(11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기어박스(220)는 연결판(11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이송수단(2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 개수가 조절될 수 있고 상품의 크기나 무게 중심에 따라 설치 위치가 좌우로 조절될 수 있다.
이송수단(200)에는 상판(110)의 고정공(111c)을 통해 기어박스(2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01)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이송수단(200)은 상판(110)에서 좌우로 위치 조정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201)에 의해 조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판(230)은 기어박스(220)의 출력축(22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1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외주면에 끼움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회전체(240)는 상단이 회전판(230)의 끼움홈(231)에 끼움되어 회전판(2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나선형회전체(240)에는 적재공간(241a)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나선형회전체(240)는 회전함에 따라 적재공간(241a)에 적재된 상품을 하방으로 이송하여 순차적으로 낙하 배출할 수 있다.
센터가이드(250)는 상단이 출력축(221)에 지지되고 나선형회전체(240)의 중심을 관통하며 하단이 후판(140)의 하부에 지지되어 나선형회전체(240)의 수평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센터가이드(25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출력축(221)이 삽입되는 삽입공(251)과 후측으로 경사지게 삽입돌기(25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센터가이드(250)는 삽입공(251)과 삽입돌기(253)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각각 기어박스(220)와 후판(14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가이드(250)의 하단과 함께 센터가이드(250)의 하단이 연결된 후판(140)의 하부가 후측으로 경사지게 됨으로써 상품이 낙하 배출되는 적재선반(100)의 하부 면적을 넓힐 수 있다.
구획판(300)은 적재선반(100)의 내부에서 이송수단(200)의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수용공간(101)을 복수 개의 이송수단(200)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개별수용공간(101a, 101b , 101c, 101d)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획판(300)은 수용공간(101)을 구분하는 몸체(301)와, 몸체(301)의 전측 상부에 돌출되어 거치공(113a)에 끼움되는 끼움부(303)와, 끼움부(303)의 상부에 상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어 적재선반(100)의 상판에 걸리는 제1 걸림부(305)와, 몸체(301)의 후측에 돌출 형성되어 적재선반(100)의 후판에 걸리는 제2 걸림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01)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공(30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305)는 끼움부(303)의 상부에 상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어 연결판(111)에 안착되는 제1걸림단(305a)을 후측에 형성하면서 끼움부(303)의 후측으로 연결판(111)의 전측이 삽입되는 삽입홈(305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걸림단(305a)은 끼움부(303)의 후측으로 연결판(111)의 전측이 삽입될 때 연결판(11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끼움부(303)의 후측으로 연결판(111)의 전측이 삽입되며 몸체(301)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제1걸림단(305a)의 하부가 연결판(111)의 상면에 지지되며 몸체(301)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걸림부(307)는 몸체(301)의 후측에 우측으로 돌출되어 걸이공(141a)에 안착되는 제2걸림단(307a)을 후측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걸림단(307a)이 후판(140)의 걸이공(141a)에 안착되며 몸체(301)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몸체(301)가 전후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구획판(300)은 적재선반(100)의 상면부 및 배면부에 각각 걸림 체결되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구획판(300)이 적재선반(100)에서 이탈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이송수단(200)의 위치를 조정한 뒤 이송수단(200)의 사이사이에 구획판(300)을 설치하여 각 이송수단(200)에 대응되는 개별수용공간(101a, 101b , 101c, 101d)의 좌우 너비를 이송수단(200)의 위치에 따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즉, 상품을 적재 및 배출하는 이송수단(200)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정하고 이송수단(200)의 사이를 구획판(300)으로 구획함으로써, 상품이 수용되는 개별수용공간(101a, 101b, 101c, 101d)의 너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상품이 수직방향으로 적재되어 아래로 배출되는 수직형 자판기에서 이송수단의 위치 조절 및 수용공간의 자유로운 구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크기에 따라 너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회전방지판(400)은 적재선반(100)의 내부에서 이송수단(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각 이송수단(200)에 마련된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상품이 회전하지 않도록 개별수용공간(101a, 101b , 101c, 101d)의 깊이를 한정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회전방지판(400)은 이송수단(200)의 나선형회전체(240)의 전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가림판(401)과, 가림판(401)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자성체(403a)가 부착되어 좌측판(120)과 우측판(130)과 구획판(300)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는 자착판(403)과, 자착판(403)의 상단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좌측판(120)의 삽입공(121a)과 우측판(130)의 삽입공(131a)과 구획판(300)의 삽입공(301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편(4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방지판(400)은 좌측판(120)과 우측판(130)과 구획판(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전후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개별수용공간(101a, 101b, 101c)의 깊이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판(400)은 개별수용공간(101a, 101b, 101c)의 전면에 설치됨으로써, 상품이 수직방향으로 적재되어 아래로 배출되는 수직형 자판기에서 이송수단에 적재된 상품이 전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실린더(500)는 몸체(510)가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520)가 적재선반(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완충실린더(500)는 사용자가 적재선반(100)에 상품을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해 적재선반(100)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로드(520)가 신장되어 적재선반(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실린더(500)는 사용자가 물품 적재를 완료한 후 적재선반(100)을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안착시키기 위해 회전 조작할 때 적재선반(100)이 천천히 회전되도록 완충할 수 있다.
완충실린더(500)는 적재선반(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적재선반(100)의 후측에서 적재선반(100)과 자판기 케이스(1)의 사이에 빈 공간을 없앨 수 있다.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는 완충실린더(500)의 몸체(510) 단부와 연결하기 위한 제1브라켓(501)이 설치되고, 적재선반(100)의 좌측판(120)과 우측판(130) 상부에는 완충실린더(500)의 로드(520) 단부와 연결하기 위한 제2브라켓(503)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브라켓(501)은 일측이 자판기 케이스(1)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완충실린더(500)의 몸체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503)은 일측이 좌측판(120) 또는 우측판(130)에 고정되고, 타측이 완충실린더(500)의 로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503)은 좌측판(120) 또는 우측판(130)의 상측을 기준으로 좌측판(120) 또는 우측판(130)의 높이의 1/5 지점에 설치되어 완충실린더(500)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하여 적재선반(100)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수단(600)은 적재선반(100)의 하부를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수단(600)은 좌측판(120) 또는 우측판(130)에 설치되는 몸체(601)와, 몸체(6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홀수회 가압하면 일방향 제1위치로 회전하면서 위치 고정되고 일방향으로 짝수회 가압하면 타방향 제2위치로 회전하면서 위치 고정되는 회전걸림편(603)과,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설치되어 회전걸림편이 제1위치로 위치 고정될 때 회전걸림편(603)의 단부가 수용되어 걸림되고 제2위치로 위치 고정될 때 회전걸림편(603)의 단부가 이탈되도록 하는 걸림홈(605a)이 구비된 걸림구(60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601)의 내부에는 회전걸림편(603)이 탄성 있게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탄성부재와 고정클립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수단(600)은 적재선반(100)이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밀착될 때 적재선반(100)이 회동되지 않도록 적재선반(100)을 고정할 수 있으며,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밀착된 적재선반(100)의 후측으로 사용자가 가압할 때 적재선반(1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자판기 케이스
100 : 적재선반
200 : 이송수단
300 : 구획판
400 : 회전방지판
500 : 완충실린더
600 : 고정수단
100 : 적재선반
200 : 이송수단
300 : 구획판
400 : 회전방지판
500 : 완충실린더
600 : 고정수단
Claims (8)
- 자판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며 상면부를 이루는 상판에 좌우 방향으로 연결장공이 형성되는 적재선반;
상기 적재선반의 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연결장공에 삽입되면서 좌우로 위치 조정 가능하며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회전에 따라 상품을 순차적으로 낙하 배출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적재선반의 내부에서 상기 이송수단의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이송수단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개별수용공간으로 분할하는 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선반은
상면부를 이루는 상기 상판과, 양측면부를 이루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배면부를 이루는 후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장공에서 전방을 따라 출입공이 형성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을 거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거치공이 전측에 형성되는 거치판을 포함하는 것
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수용공간을 구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측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거치공에 끼움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상부에 상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어 후측에 상기 연결판에 안착되는 제1걸림단을 형성하면서 상기 끼움부의 후측에 상기 연결판의 전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
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선반의 배면부를 이루는 후판에는
상기 거치공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 개의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몸체의 후측에 돌출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걸이공에 걸림되는 제2걸림단이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기어축에 연결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외주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적재공간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마련되고 상단이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된 상품을 하방으로 이송하여 순차적으로 낙하 배출하는 나선형회전체와,
상기 출력축에 상단이 지지되고 상기 나선형회전체의 중심을 관통하며 하단이 상기 후판의 하부에 지지되어 상기 나선형회전체의 수평 유동을 방지하는 센터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후판의 하부에는
후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센터가이드의 하단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
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선반의 내부에서 상기 이송수단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상품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개별수용공간의 깊이를 한정하는 회전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
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판의 일측에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과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삽입편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
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판의 일면에는 자성체가 부착되어 상기 우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상기 구획판 중의 하나에 자착되는 것
인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9716A KR102513556B1 (ko) | 2021-05-31 | 2021-05-31 |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9716A KR102513556B1 (ko) | 2021-05-31 | 2021-05-31 |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1689A KR20220161689A (ko) | 2022-12-07 |
KR102513556B1 true KR102513556B1 (ko) | 2023-03-23 |
Family
ID=8444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9716A KR102513556B1 (ko) | 2021-05-31 | 2021-05-31 |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355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0414A (ja) | 2000-11-13 | 2002-05-24 | Sanyo Electric Co Ltd |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し装置 |
KR100801440B1 (ko) | 2007-04-18 | 2008-02-11 | 김정원 | 위치가변식 제품수납선반을 구비하는 자동판매기 |
WO2019208131A1 (ja) * | 2018-04-27 | 2019-10-31 | 富士電機株式会社 | 商品収納ラック及び商品収納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10681B2 (ja) | 2005-10-03 | 2009-01-21 | ジヤトコ株式会社 |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
KR20130046701A (ko) | 2011-10-28 | 2013-05-08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나노은/실리카 졸 코팅용액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은/실리카 졸 코팅용액 |
JP2015045947A (ja) * | 2013-08-27 | 2015-03-12 | 富士電機株式会社 |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構造 |
-
2021
- 2021-05-31 KR KR1020210069716A patent/KR1025135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0414A (ja) | 2000-11-13 | 2002-05-24 | Sanyo Electric Co Ltd |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し装置 |
KR100801440B1 (ko) | 2007-04-18 | 2008-02-11 | 김정원 | 위치가변식 제품수납선반을 구비하는 자동판매기 |
WO2019208131A1 (ja) * | 2018-04-27 | 2019-10-31 | 富士電機株式会社 | 商品収納ラック及び商品収納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1689A (ko) | 2022-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29123C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of bulk product | |
US8047623B2 (en) | Refrigerator | |
EP1886283B1 (en) | Dispenser tray for a vending machine | |
US4562941A (en) | Bulk product dispenser | |
JP4195473B2 (ja) | 冷蔵庫 | |
CN101650105B (zh) | 制冰器及制冰方法以及具有该制冰器的冰箱 | |
US20080163639A1 (en) |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 |
KR102423571B1 (ko) | 냉장고 | |
US20070012716A1 (en) | Vending machine with horizontal product presentation | |
KR101859037B1 (ko) | 냉장고 | |
KR20060125302A (ko) | 냉장고 | |
EP3315886B1 (en) |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US10508853B2 (en) | Stir stick and breaker walls for an ice container | |
US7819281B2 (en) | Unitary extractor system of products for vending machines | |
AU2002301022B2 (en) | Food storage container assembly for use in refrigerator | |
KR102513556B1 (ko) |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
CN105466136B (zh) | 储物装置及冰箱 | |
CN104613700B (zh) | 一种冰箱 | |
US4944414A (en) | Shelf assembly for vending tubular products | |
KR102511936B1 (ko) |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
JP2007286747A (ja) | ボトル商品の自動販売機 | |
EP1030141B1 (en) | Refrigerator with dispenser for cans or bottles of drinks or beverages in general | |
JP5637949B2 (ja) | 冷蔵庫 | |
TW200535740A (en) | Article delivery device | |
GB2062594A (en) | Vend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