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936B1 -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 Google Patents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936B1
KR102511936B1 KR1020210069722A KR20210069722A KR102511936B1 KR 102511936 B1 KR102511936 B1 KR 102511936B1 KR 1020210069722 A KR1020210069722 A KR 1020210069722A KR 20210069722 A KR20210069722 A KR 20210069722A KR 102511936 B1 KR102511936 B1 KR 10251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vending machine
plate
loading shelf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693A (ko
Inventor
노주현
김규태
최석재
김훈
한효진
이현택
이정명
장성재
황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더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더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더스터
Priority to KR102021006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93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4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e.g. magazine, being pivotally mou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은 상부가 회전브래킷에 의해 자판기 케이스의 내면과 연결되며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면부를 이루는 상판과, 양측면부를 이루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배면부를 이루는 후판으로 구성되어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는 적재선반, 몸체가 자판기 케이스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가 적재선반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적재선반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로드가 신장되어 적재선반의 하중을 지지하는 완충실린더 및 적재선반의 하부를 자판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A LOADING BOX FOR VENDING MACHINE WITH ADJUSTABLE ANGLE}
본 발명은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판기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상품이 나선형의 회전체에 적재되어 회전에 따라 상품을 아래로 배출하는 종래의 수직형 자판기는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품 적재시 상품이 전면으로 이탈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재공간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품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나 종래의 자판기는 적재공간이 자판기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별도로 적재공간을 이동시키거나 각도를 변경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5597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681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판기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 각도 들어올려져 상품의 적재가 용이하게 하고 상품의 적재 후 제자리에 안착시킬 수 있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은 상부가 회전브래킷에 의해 자판기 케이스의 내면과 연결되며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면부를 이루는 상판과, 양측면부를 이루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배면부를 이루는 후판으로 구성되어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는 적재선반, 몸체가 자판기 케이스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가 적재선반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적재선반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로드가 신장되어 적재선반의 하중을 지지하는 완충실린더 및 적재선반의 하부를 자판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판기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 각도 들어올려져 상품의 적재가 용이하게 하고 상품의 적재 후 제자리에 안착시킬 수 있는 적재선반을 구비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이송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구획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적재선반과 구획판의 결합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의 회전방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이 소정 각도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은 적재선반(100), 이송수단(200), 구획판(300), 회전방지판(400), 실린더(500), 고정수단(6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재선반(100)은 자판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적재선반(100)은 상부가 회전브래킷(103)에 의해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하부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하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상품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적재선반(100)은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를 이루는 상판(110), 양측면부를 이루는 좌측판(120) 및 우측판(130), 배면부를 이루는 후판(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110)은 이송수단(200)이 연결되는 연결판(111)과, 구획판(300)이 거치되는 거치판(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판(111)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연결장공(111a)이 형성되고 연결장공(111a)에서 전방을 따라 출입공(111b)이 형성되며 출입공(111b)의 전측에 복수 개의 고정공(111c)이 형성되고 고정공(111c)의 전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111d)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판(113)은 연결판(111)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측에 구획판(300)을 거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거치공(113a)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판(113)의 후측에는 연결판(111)의 결합공(111d)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113b)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판(113)은 결합공(113b)과 연결판(111)의 결합공(111d)을 관통하는 결합나사에 의해 연결판(111)과 결합될 수 있다.
거치판(113)은 출입공(111b)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판(111)의 전측 좌우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좌측판(120)은 상판(110)의 좌측 하부에 연결되는 몸체(121)와 몸체(121)의 전측 하부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21)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공(121a)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1)의 상단에는 상판(110)에 연결되는 결합부(125)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1)의 후측 상부에는 완충실린더(500)와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판(130)은 상판(110)의 우측 하부에 연결되는 몸체(131)와, 몸체(131)의 전측 하부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31)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공(131a)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31)의 상단에는 상판(110)에 연결되는 결합부(135)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몸체(131)의 후측 상부에는 완충실린더(500)와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후판(140)은 상판(110)의 후측 하부에 연결되고 좌측에 좌측판(120)과 우측에 우측판(13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후판(140)의 하부에는 구획판(300)을 걸기 위한 복수 개의 걸이공(141a)이 거치판(113)의 거치공(113a)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판(140)의 하단에는 후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43)이 형성될 수 있고, 경사면(143)에는 이송수단(200)의 하단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삽입공(143a)이 형성될 수 있다.
후판(140)의 좌우 후측에는 완충실린더(500)와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홀(14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홀(145)은 좌측판(120)의 브라켓홀(127) 및 우측판(130)의 브라켓홀(137)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송수단(200)은 적재선반(100)의 내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각각에는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회전에 따라 상품을 순차적으로 낙하 배출할 수 있다.
이송수단(200)은 상단이 상판(110)의 출입공(111b)을 통해 연결장공(111a)에 삽입되면서 좌우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수단(200)은 구동모터(210), 기어박스(220), 회전판(230), 나선형회전체(240) 및 센터가이드(250)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2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기어박스(220)는 구동모터(210)의 기어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10)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감속시켜 출력축(221)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기어박스(220)의 하단에는 출력축(221)을 지지하는 축받이(223)가 형성될 수 있다.
축받이(223)의 외경은 출입공(111b)과 대응되어 출입공(111b)을 통해 연결장공(11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기어박스(220)는 연결판(11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이송수단(2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 개수가 조절될 수 있고 상품의 크기나 무게 중심에 따라 설치 위치가 좌우로 조절될 수 있다.
이송수단(200)에는 상판(110)의 고정공(111c)을 통해 기어박스(2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01)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이송수단(200)은 상판(110)에서 좌우로 위치 조정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201)에 의해 조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판(230)은 기어박스(220)의 출력축(22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1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외주면에 끼움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회전체(240)는 상단이 회전판(230)의 끼움홈(231)에 끼움되어 회전판(2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나선형회전체(240)에는 적재공간(241a)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나선형회전체(240)는 회전함에 따라 적재공간(241a)에 적재된 상품을 하방으로 이송하여 순차적으로 낙하 배출할 수 있다.
센터가이드(250)는 상단이 출력축(221)에 지지되고 나선형회전체(240)의 중심을 관통하며 하단이 후판(140)의 하부에 지지되어 나선형회전체(240)의 수평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센터가이드(25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출력축(221)이 삽입되는 삽입공(251)과 후측으로 경사지게 삽입돌기(25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센터가이드(250)는 삽입공(251)과 삽입돌기(253)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각각 기어박스(220)와 후판(14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가이드(250)의 하단과 함께 센터가이드(250)의 하단이 연결된 후판(140)의 하부가 후측으로 경사지게 됨으로써 상품이 낙하 배출되는 적재선반(100)의 하부 면적을 넓힐 수 있다.
구획판(300)은 적재선반(100)의 내부에서 이송수단(200)의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수용공간(101)을 복수 개의 이송수단(200)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개별수용공간(101a, 101b , 101c, 101d)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획판(300)은 수용공간(101)을 구분하는 몸체(301)와, 몸체(301)의 전측 상부에 돌출되어 거치공(113a)에 끼움되는 끼움부(303)와, 끼움부(303)의 상부에 상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어 적재선반(100)의 상판에 걸리는 제1 걸림부(305)와, 몸체(301)의 후측에 돌출 형성되어 적재선반(100)의 후판에 걸리는 제2 걸림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01)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공(30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305)는 끼움부(303)의 상부에 상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어 연결판(111)에 안착되는 제1걸림단(305a)을 후측에 형성하면서 끼움부(303)의 후측으로 연결판(111)의 전측이 삽입되는 삽입홈(305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걸림단(305a)은 끼움부(303)의 후측으로 연결판(111)의 전측이 삽입될 때 연결판(11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끼움부(303)의 후측으로 연결판(111)의 전측이 삽입되며 몸체(301)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제1걸림단(305a)의 하부가 연결판(111)의 상면에 지지되며 몸체(301)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걸림부(307)는 몸체(301)의 후측에 우측으로 돌출되어 걸이공(141a)에 안착되는 제2걸림단(307a)을 후측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걸림단(307a)이 후판(140)의 걸이공(141a)에 안착되며 몸체(301)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몸체(301)가 전후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구획판(300)은 적재선반(100)의 상면부 및 배면부에 각각 걸림 체결되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구획판(300)이 적재선반(100)에서 이탈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이송수단(200)의 위치를 조정한 뒤 이송수단(200)의 사이사이에 구획판(300)을 설치하여 각 이송수단(200)에 대응되는 개별수용공간(101a, 101b , 101c, 101d)의 좌우 너비를 이송수단(200)의 위치에 따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즉, 상품을 적재 및 배출하는 이송수단(200)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정하고 이송수단(200)의 사이를 구획판(300)으로 구획함으로써, 상품이 수용되는 개별수용공간(101a, 101b, 101c, 101d)의 너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상품이 수직방향으로 적재되어 아래로 배출되는 수직형 자판기에서 이송수단의 위치 조절 및 수용공간의 자유로운 구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크기에 따라 너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회전방지판(400)은 적재선반(100)의 내부에서 이송수단(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각 이송수단(200)에 마련된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상품이 회전하지 않도록 개별수용공간(101a, 101b , 101c, 101d)의 깊이를 한정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회전방지판(400)은 이송수단(200)의 나선형회전체(240)의 전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가림판(401)과, 가림판(401)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자성체(403a)가 부착되어 좌측판(120)과 우측판(130)과 구획판(300)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는 자착판(403)과, 자착판(403)의 상단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좌측판(120)의 삽입공(121a)과 우측판(130)의 삽입공(131a)과 구획판(300)의 삽입공(301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편(4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방지판(400)은 좌측판(120)과 우측판(130)과 구획판(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전후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개별수용공간(101a, 101b, 101c)의 깊이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판(400)은 개별수용공간(101a, 101b, 101c)의 전면에 설치됨으로써, 상품이 수직방향으로 적재되어 아래로 배출되는 수직형 자판기에서 이송수단에 적재된 상품이 전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실린더(500)는 몸체(510)가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520)가 적재선반(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완충실린더(500)는 사용자가 상품을 적재선반(100)에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해 적재선반(100)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로드(520)가 신장되어 적재선반(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실린더(500)는 사용자가 물품 적재를 완료한 후 적재선반(100)을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안착시키기 위해 회전 조작할 때 적재선반(100)이 천천히 회전되도록 완충할 수 있다.
완충실린더(500)는 적재선반(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적재선반(100)의 후측에서 적재선반(100)과 자판기 케이스(1)의 사이에 빈 공간을 없앨 수 있다.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는 완충실린더(500)의 몸체(510) 단부와 연결하기 위한 제1브라켓(501)이 설치되고, 적재선반(100)의 좌측판(120)과 우측판(130) 상부에는 완충실린더(500)의 로드(520) 단부와 연결하기 위한 제2브라켓(503)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브라켓(501)은 일측이 자판기 케이스(1)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완충실린더(500)의 몸체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503)은 일측이 좌측판(120) 또는 우측판(130)에 고정되고, 타측이 완충실린더(500)의 로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503)은 좌측판(120) 또는 우측판(130)의 상측을 기준으로 좌측판(120) 또는 우측판(130)의 높이의 1/5 지점에 설치되어 완충실린더(500)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하여 적재선반(100)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수단(600)은 적재선반(100)의 하부를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수단(600)은 좌측판(120) 또는 우측판(130)에 설치되는 몸체(601)와, 몸체(6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홀수회 가압하면 일방향 제1위치로 회전하면서 위치 고정되고 일방향으로 짝수회 가압하면 타방향 제2위치로 회전하면서 위치 고정되는 회전걸림편(603)과,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설치되어 회전걸림편이 제1위치로 위치 고정될 때 회전걸림편(603)의 단부가 수용되어 걸림되고 제2위치로 위치 고정될 때 회전걸림편(603)의 단부가 이탈되도록 하는 걸림홈(605a)이 구비된 걸림구(60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601)의 내부에는 회전걸림편(603)이 탄성 있게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탄성부재와 고정클립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수단(600)은 적재선반(100)이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밀착될 때 적재선반(100)이 회동되지 않도록 적재선반(100)을 고정할 수 있으며, 자판기 케이스(1)의 내면에 밀착된 적재선반(100)의 후측으로 사용자가 가압할 때 적재선반(1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자판기 케이스
100 : 적재선반
200 : 이송수단
300 : 구획판
400 : 회전방지판
500 : 완충실린더
600 : 고정수단

Claims (3)

  1. 상부가 회전브래킷에 의해 자판기 케이스의 내면과 연결되며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면부를 이루는 상판과, 양측면부를 이루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배면부를 이루는 후판으로 구성되어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는 적재선반;
    몸체가 상기 자판기 케이스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가 상기 적재선반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적재선반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로드가 신장되어 상기 적재선반의 하중을 지지하는 완충실린더; 및
    상기 적재선반의 하부를 상기 자판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선반의 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회전에 따라 상품을 순차적으로 낙하 배출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적재선반의 내부에서 상기 이송수단의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이송수단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개별수용공간으로 분할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좌우방향을 따라 연결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장공에서 전방을 따라 출입공이 형성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을 거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거치공이 전측에 형성되는 거치판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단이 상기 출입공을 통해 상기 연결장공에 삽입되면서 좌우로 위치 조정 가능한 것
    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KR1020210069722A 2021-05-31 2021-05-31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KR10251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722A KR102511936B1 (ko) 2021-05-31 2021-05-31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722A KR102511936B1 (ko) 2021-05-31 2021-05-31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93A KR20220161693A (ko) 2022-12-07
KR102511936B1 true KR102511936B1 (ko) 2023-03-20

Family

ID=8444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722A KR102511936B1 (ko) 2021-05-31 2021-05-31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9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345Y1 (ko) 2003-10-10 2004-05-20 권석남 자동판매기
KR101296896B1 (ko) 2013-01-17 2013-08-14 주식회사 동이 자동판매기용 용기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973A (ko)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히터장착구조
KR20130068131A (ko) 2011-12-15 2013-06-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이면부 pfp 내화도막의 건전성 판단방법
KR101569208B1 (ko) * 2014-02-19 2015-11-13 주식회사 로벤 다종 상품용 자동판매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345Y1 (ko) 2003-10-10 2004-05-20 권석남 자동판매기
KR101296896B1 (ko) 2013-01-17 2013-08-14 주식회사 동이 자동판매기용 용기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93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477B1 (ko) 냉장고
CN105650991B (zh) 收纳盒组件及设有该收纳盒组件的冰箱
US8047623B2 (en) Refrigerator
KR101859037B1 (ko) 냉장고
US20090261698A1 (en) Support beam for a cabinet drawer
US10772423B2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511936B1 (ko)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RU2385141C2 (ru) Шкаф с выдвижной деталью
KR102513556B1 (ko) 너비 조절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KR102076747B1 (ko)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
EP3842364A1 (en) Conveyance mechanism of item vending machine
KR20060118897A (ko) 냉장고의 서랍형 홈바 장치
JP6378283B2 (ja) カップホルダ構造
KR102115897B1 (ko)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
JP5637949B2 (ja) 冷蔵庫
GB2062594A (en) Vending machine
KR102115894B1 (ko)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
US12000647B2 (en) Refrigerator
JP4880346B2 (ja) ボトル商品の自動販売機
JPH089309B2 (ja) 容器ホルダ装置
CN214670863U (zh) 自动售货机
KR102183691B1 (ko) 신발 정리기구
KR102449990B1 (ko) 수납가구용 안전 스탠드
KR100700969B1 (ko) 자동판매기
KR100660187B1 (ko) 볼캡슐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