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969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969B1
KR100700969B1 KR1020040014525A KR20040014525A KR100700969B1 KR 100700969 B1 KR100700969 B1 KR 100700969B1 KR 1020040014525 A KR1020040014525 A KR 1020040014525A KR 20040014525 A KR20040014525 A KR 20040014525A KR 100700969 B1 KR100700969 B1 KR 10070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container
shelf
ejector
container shelf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063A (ko
Inventor
권석남
Original Assignee
권석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석남 filed Critical 권석남
Publication of KR2005003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1/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1/06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clamping, or eject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1/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1/02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work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통과 재료통 내부의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크루와 스크루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재료통을 지지하는 재료통 선반을 가지는 식품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재료통과 배출기 구동수단이 재료통 선반에 장착된 상태로 재료통 선반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재료통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지며, 재료통을 재료통 선반에서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서도 재료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자판기 관리자가 관리하기에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자판기, 자동판매기, 판매기, 오토벤더, 커피판매기, 식품판매기

Description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도 1은 종래 식품 자판기의 재료통, 재료통 선반 및 모터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자판기의 재료통, 재료통 선반 및 모터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 선반의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 식품 자판기의 재료통, 재료통 선반 및 모터가 재료보충을 위한 위치로 이동중인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4 재료통 선반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돌출부에 베어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도 7d는 도 2∼도 5를 통해 설명한 안내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a와 도 8b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9a와 도 9b는 도 8a 이동안내 지지수단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0은 재료통 이송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재료통 이송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a와 도 12b는 마개의 사시도,
도 13a는 마개가 열린 상태의 측면도,
도 13b는 마개가 닫힌 상태의 측면도,
도 14는 마개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식품 자판기 110 : 케이스
120 : 재료통 130 : 배출기
140 : 배출기 구동수단 150, 150a : 재료통 선반
154 : 돌출부 180 : 안내부
181, 181a : 제 1홈 182 : 수평부
183, 183a : 제 2홈 184 : 경사부
186 : 이탈방지부 190 : 회동부재
192 : 스토퍼 194, 194a, 194b : 링크부재
200, 200a : 이동안내 지지수단 210, 220 :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
본 발명은 식품이나 음료 등의 식품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료통과 재료통 내부의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크루와 스크루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재료통을 지지하는 재료통 선반을 가지는 식품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자판기는 재료들을 넣어두기 위한 재료통과 재료통에 설치되어 재료통에 저장된 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스크루와 재료통을 케이스에 지지하기 위한 재료통 선반과 재료통 선반에 장착되어 스크루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식품 자판기의 재료통 선반 등의 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식품 자판기의 재료통, 재료통 선반 및 모터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에는 종래 식품 자판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자판기(100)는 자판기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판기 케이스(110) 내부에는 재료를 담아두기 위한 재료통(120)이 설치되어 있다. 재료통(120)의 하단부 전후에는 재료통 선반(150)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기(122)들이 형성되어 있다.
재료통(120)에는 재료통(120) 내부의 재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료통(120) 하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배출기(130)가 장착되어 있다. 배출기(130)로는 스크루가 적당하다. 이러한 배출기(130)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배출기 구동수단(140)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접속부(132)가 연결되어 있다. 접속부(132)는 재료통(120)의 뒤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재료통(120)이 설치되는 재료통 선반(150)은 온수통(162)이 탑재되는 온수통 선반(164)을 통해 자판기 케이스(1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재료통(120)은 이 재료통 선반(150) 상에 착탈 가능케 장착되어 있다.
접속부(132)와 마주보는 재료통 선반(150)의 후단부에는 구동수단(1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수단(140)으로는 모터(142)와 감속기(144) 및 감속기(144)에서 감속된 회전동력을 접속부(132)를 통해 배출기(130)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146)으로 이루어져 있다.
재료통(120)의 하부로는 혼합기(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혼합기(170)는 호스(172)를 통해 급수밸브(166)와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판기(100)에서, 재료통(120)에 재료를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 재료통(120)의 앞쪽을 살짝 들어올려 앞쪽 하단이 재료통 선반(150)에서 이탈되도록 한 다음 재료통(120)을 앞쪽으로 잡아당겨 재료통(120)의 뒤쪽 하단이 재료통 선반(150)에서 이탈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접속부(132)도 출력축(146)에서 이탈된다. 그런 다음 재료통(120)을 케이스(110) 바깥쪽으로 들어내어 재료를 보충한 다음 이탈 시의 역과정으로 재료통(120)을 재료통 선반(150)에 장착하여야 한다.
재료가 채워진 무거운 재료통(120)을 다시 재료통 선반(150)에 장착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재료통(120)의 장착 과정에서 접속부(132)에 설치되는 핀, 기어, 키 또는 키홈 등이 출력축(146) 끝단의 홈, 기어, 키홈 또는 키 등과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는 경우 출력축(146)이 접속부(132)에 결합될 수 없으므로, 스크루(130)의 접속부(132) 또는 출력축(146)을 손으로 잡고 회동시켜 보면서 작업을 하여야 한다. 출력축(146)과 접속부(132)는 재료통 뒤쪽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감각에 의존하여 재료통(120)을 재료통 선반(150)에 장착하여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특히, 대형 자판기의 재료통은 얇고 높게 만들어져 있고, 재료가 가득 담겼을 때 그 무게가 약 4kg 정도나 되기 때문에 대형 자판기의 재료통 장착은 매우 어렵다. 소형 자판기의 경우에는 재료통의 적재 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재료통을 재료통 선반에 장착하는 것은 숙련자에게도 어려운 작업이다. 이에 따라 재료통의 장착 과정에서 재료가 쏟기거나 출력축이 접속부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아 자판기 동작 시 재료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종류의 종래 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조와 동작과정 등은 특허등록 번호 0242626호 “정수기 겸용 냉온 자판기”의 특허공보, 공개특허 번호 2003-0038863호 “자동판매기”의 공개특허공보 등을 참조하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료통을 재료통 선반에서 이탈시키지 않고도 재료보충이 가능한 식품 자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료배출기가 장착되어 있는 재료통, 재료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재료통 선반 및 재료배출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기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에 있어서, 재료통과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이 재료통 선반에 장착된 상태로 재료통 선반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재료통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판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상기 이동안내 지지수단은 선반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들, 케이스의 양쪽 내측에 소정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돌출부들이 각각 결합되어 필요한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 해주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안내부는 수평부, 수평부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는 일측의 돌출부가 경사부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안내부는 일측 돌출부가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1홈과 타측 돌출부가 삽입되어 제 1홈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원호형상의 제 2홈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안내부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 내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절곡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이동안내 지지수단은 일단은 케이스의 내측 구조물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재료통 선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재료통 선반이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재와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회동부재를 잡아주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이동안내 지지수단은 일단은 케이스의 내측 구조물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재료통 선반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재료통 선반 이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2이상의 링크부재와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를 잡아주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에는 재료통 선반 저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스크루 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루홈부재와 상기 스크루홈부재에 결합된 스크루부재와 상기 스크루부재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재료통 선반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으로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서 감속된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설치된 크랭크부재와 상기 크랭크부재와 상기 재료통 선반 사이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재료통 선반을 밀거나 당겨주는 링크부재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된 캠과 상기 캠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캠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재료통의 배출구 부근에는 재료통 선반이 제 2위치에 오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구를 막는 “ㄴ”자 형태의 마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자판기의 재료통, 재료통 선반 및 모터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 선반의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 식품 자판기의 재료통, 재료통 선반 및 모터가 재료보충을 위한 위치로 이동중인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4 재료통 선반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100a)는 자판기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판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하단부에 스크루로된 재료 배출기(130)가 설치된 재료통(120)과 배출기(13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배출기 구동수단(140)과 재료통 선반(150a)이 설치되어 있다. 재료통(120)과 배출기 구동수단(140)은 재료통 선반(150a)을 통해 케이스(110)에 지지되어 있다.
도 2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료통 선반(150a)은 도 1에서와는 달리 온수통(162)이 탑재되는 온수통 선반(164)과는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통 선반(150a)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3과 도 5를 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낸 재료통 선반(150a)은 대략 “ㄴ”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판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재료통 선반(150a)에는 재료통(120)을 장착 또는 필요에 따라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재료통 장착구멍(152)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5에 나타낸 재료통 선반(150a)은 4개의 재료통(120)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재료통 선반(150a)에는 양측으로 돌출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54)는 바람직하게는 좌우측에 각각 2개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료통 선반(150a)의 저부에 봉부재를 용접 등으로 간격을 두고 부착하여 봉부재의 양단이 재료통 선반(150a) 양측으로 각각 돌출 되 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54)가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재료통 선반(150a)의 후부에 배출기 구동수단(140)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 배출기 구동수단(140)들은 재료통 선반(150a)에 장착되는 재료통(12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배출기(130)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출기 구동수단(140)은 모터(142), 감속기(144) 및 감속기(144)에서 감속된 회전동력이 출력되는 출력축(146)을 구비한다. 출력축(146)의 끝단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접속부(132)에 맞물릴 수 있는 핀(146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146a) 대신에 키나 키홈 또는 기어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출기 구동수단(140)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이며, 그 부착위치나 자세도 다양하게 바뀔 수 있는 부분이다.
재료통(120)에 설치되는 배출기(130)로는 스크루가 적당하다. 이 배출기(130)의 일단은 재료통(120)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는 배출기 구동수단(140)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속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접속부(132)에는 핀(146a)이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는 핀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 핀결합홈은 출력축(146)의 형상에 따라 수평방향의 홈 내면에 형성되는 키홈이나 키 또는 내부 기어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측으로는 안내부(1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부(180)는 케이스(110)의 좌우 양쪽 내측에 소정 경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부(180)는 재료통 선반(150a)의 각 돌출부(154)들이 각각 결합되어 재료통 선반(150a)이 필요한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료통 선반(150a)의 제 1위치와 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료통 선반(150a)의 제 4위치에서 재료통 선반(150a)을 안정된 자세로 지지하여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부(182)와 수평부(182)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184)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184)는 제 2위치에서 재료통 선반(150a)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평부(182)와 경사부(184) 사이에는 앞쪽의 돌출부(154)가 경사부(184)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86)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부(180)는 케이스(110)의 양측 내측벽에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절곡판(180a)을 부착하고, 이 절곡판(180a)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돌출부(154)와 안내부(180)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재료통 선반(150a)의 이동을 안내하고 재료통 선반(150a)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200)의 바람직한 한 예이다.
이러한 이동안내 지지수단(200)은 재료통(120)과 배출기 구동수단(140)이 재료통 선반(150a)에 장착된 상태로 재료통 선반(150a)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에서 재료통 선반(150a)을 안정되게 지지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안내 지지수단(200)은 도 7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재료통(120)의 하부로는 재료 혼합기(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혼합기(170)는 호스(172)를 통해 급수밸브(166)와 연결되어 있다.
도 2∼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자판기(100a)에서 재료통(120)에 재료를 보충하고자하는 경우 재료통 선반(150a)의 앞쪽을 살짝 들어올리면서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돌출부(154)들이 안내부(180)를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료통 선반(150a)에 설치된 재료통(120)과 배출기 구동수단(140)도 재료통 선반(150a)과 함께 앞쪽으로 이동되면서 기울어진다. 재료통 선반(150a)은 최종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된다. 재료통(120)이 앞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재료통(120)의 상단은 케이스(110)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재료를 재료통(120)에 채운 후 다시 재료통 선반(150a)의 앞쪽을 약간 들어 올리면서 뒤쪽으로 밀면, 돌출부(154)가 안내부(180)를 타고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재료통(120)과 배출기 구동수단(140)도 재료통 선반(150a)에 장착된 상태로 재료통 선반(150a)과 함께 뒤쪽으로 이동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100a)는 무거운 재료통(120)을 재료통 선반(150a)에서 이탈시켰다가 다시 장착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도록 해주고, 출력축(146)을 접속부(132)에 결합하는데 들어가는 수고도 덜 수 있도록 해준다.
도 6은 돌출부에 베어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료통(120)과 배출기 구동수단(140)이 탑재되는 재료통 선반(150a)이 안내부(18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돌출부(154)의 끝단에 단(155)을 형성하고 볼트(156)를 이용해 베어링(157)을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재료통(120)과 배출기 구동수단(140)을 탑재한 상태에서도 재료통 선반(150a)의 이동이 수월해진다.
도 7a∼도 7d는 도 2∼도 5를 통해 설명한 안내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절곡판(180a) 등에 형성되는 안내부(180)의 수평부(182)와 경사부(184)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동작과정과 효과는 도 3과 도 5에 나타낸 안내부(180)에서와 같다. 여기서 경사부(184)의 좌측 상단에는 돌출부(154)가 앞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이탈방지부(186)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184)는 수평부(182)의 높이에서 수평부(182)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반부에 경사부(184)를 형성하고 전반부에 수평부(182)를 형성하여 안내부(18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184)는 수평부 위쪽으로 형성되며, 케이스(110)에 내부에 재료통(120) 후반부가 상승될 수 있는 정도의 여유공간이 있어야 된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안내부(180)에서 재료통 선반(150a)은 앞쪽으로 이동되면서 재료통 선반(150a)의 후반부가 상승하여 재료통(120)이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도 7c 또는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180)는 일측 돌출부가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1홈(181, 181a)과 타측 돌출부가 삽입되어 제 1홈(181, 181a)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원호형상의 제 2홈(183, 183a)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c의 경우 재료통 선반(150a)이 경사진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재료통 선반(150a)을 잡아주기 위한 별도의 걸림수단이 필요하다. 걸림수단이 필요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1홈(181)과 제 2홈(183)을 도 7d에 나타낸 것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하여야 한다.
도 8a와 도 8b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안내 지지수단(200a)은 일단은 케이스(110)의 내측 구조물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재료통 선반(150a)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재료통 선반(120)이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ㄱ”자 형태의 측면 모양을 갖는 회동부재(190)와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회동부재(190)를 잡아주기 위한 스토퍼(192)를 이용해 구성될 수도 있다. 회동부재(190)의 모양이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8a 이동안내 지지수단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또, 경우에 따라, 이동안내 지지수단(200a)은 그 일단은 케이스의 내측 구조물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재료통 선반(150a)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재료통 선반(150a)이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2이상의 링크부재(194)와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링크부재(194)를 잡아주기 위한 스토퍼(192)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가 같은 링크(194)들을 사용하여 재료통 선반(150a)이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가 다른 링크(194a, 194b)들을 사용하여 재료통 선반(150a)이 앞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스토퍼(192)로는 핀 형태의 것 외에 링크(194, 194a, 194b) 또는 재료통 선반(150a) 등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재료통 이송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도 9b를 통해 설명한 이동안내 지지수단(200, 200a)이 설치된 상태에서 동력을 이용해 재료통 선반(150a)을 이동시키고자하는 경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210)을 이용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210)은 재료통 선반(150a) 저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스크루 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루홈부재(211)와 스크루홈부재(211)에 결합된 스크루부재(212)와 상기 스크루부재(212)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213)와 모터(213)의 구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214)와 재료통 선반(150a)의 정해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 센서(215)를 구비한다.
즉, 자판기 관리자가 케이스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를 누르면 모터(213)가 구동되고, 모터(213)의 구동에 의한 동력은 감속기(214)에서 감속된다. 출력축(216)은 감속된 속도로 회전하면서 스크루부재(212)를 회전시킨다. 스크루부재(212)의 회전에 따라 스크루홈부재(211)는 전진하고 이에 따라 재료통 선반(150a)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안내 지지수단(200, 200a)의 안내를 받으며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재료통 선반(150a)이 전진함에 따라 재료통 선반(150a)의 앞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더라도 스크루홈부재(211)는 재료통 선반(150a)에 대해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재료통 선반(150a)의 앞부분이 하강하는 것을 허용한다. 재료통 선반(150a)이 제 2위치에 도달하면 위치감지센서(215)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모터(213)의 구동이 중단된다.
재료를 보충 후 다시 모터(213)의 구동스위치를 누르면 모터(213)는 처음과는 반대로 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재료통 선반(150a)은 제 1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경우 역시 재료통 선반(150a)이 제 1위치에 도달하면 내측에 설치된 위치감지센서(215)가 작동되고 모터(213)의 구동이 멈추어진다.
도 11은 재료통 이송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220)은 모터(223)와 모터(223)의 구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224)와 감속기(224)에서 감속된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226)과 출력축(226)에 설치된 크랭크부재(227)와 크랭크부재(227)와 재료통 선반(150a) 사이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크랭크부재(227)의 회전 각도에 따라 재료통 선반(150a)을 밀거나 당겨주는 링크부재(228)와 출력축에 설치된 캠(229)과 캠(229)의 회전각도에 따라 캠(229)에 의해 작동되어 출력축(226)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모터(223)의 구동을 중단하는 감지센서(225)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1의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220)은 캠(229)에 의해 감지센서(225)가 작동되며, 출력축(226)은 180°간격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 외의 동작과정은 도 10에서와 동일하다.
도 10과 도 1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으로는 재료통 선반이 필요한 자세로 변경되는 것을 허용하면서도 재료통 선반을 상황에 따라 밀거나 당겨줄 수 있는 것이면 되므로, 벨트나 기어 또는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는 다 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다.
도 12a와 도 12b는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13a는 마개가 열린 상태의 측면도, 도 13b는 마개가 닫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통(120)의 배출구(121) 부근에는 마개(230, 230a)를 설치하여 제 1위치에서는 재료혼합장치(170)에 마개(230, 230a)의 하단이 걸려 배출구(121)가 열려 있도록 하고, 제 2위치에서는 마개(230)가 장착되는 부분에 스프링(232)을 설치하여, 마개(230, 230a)가 스프링력에 의해 닫히도록 하여 재료가 외부로 쏟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마개(230, 230a)는 도 12a와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ㄴ”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하부는 열린 상태에서 재료가 재료혼합장치(170)로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그 중앙부위가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마개(230, 230a)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게 만들어 재료통(120) 마다 각각 설치하거나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만들어 재료통 선반(150a)에 설치하여 모든 재료통(120)의 배출구(121)를 한꺼번에 열거나 닫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프링(232)을 이용해 회전되는 부분에 일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주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마개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재료통(120)의 하단부 양측 플랜지(122)에 구멍(123)을 형성하고, 플랜지(122) 배면에서 스프링(232a)을 개재하여 구멍(123)으로 로드(234)를 삽입하여 로드(234)의 전단을 마개(230)에 연결하면 제 1위치에서는 재료혼합장치(170)에 마개(230)의 하단이 걸려 배출구(121)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고, 제 2위치에서는 스프링(232a)에 의해 마개(230)가 배출구(121)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개(230) 역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는 재료통을 재료통 선반에서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서도 재료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자판기 관리자가 관리하기에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는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재료를 재료통에 보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에서는 재료통에 설치된 배출기의 접속부와 배출기 구동수단의 출력축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 그대로 재료통 선반과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출력축과 접속부간의 접속불량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 접속부에 출력축을 맞추기 위해 출력축 또는 배출기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관리자의 손에 이물질이 묻지 않아 위생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Claims (11)

  1. 재료통의 하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케 설치된 스크루가 재료배출기로 장착되어 있는 재료통, 상기 재료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재료통 선반, 따뜻한 물을 제공하기 위한 온수통, 상기 온수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온수통 선반 및 상기 재료배출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기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재료통 선반은 상기 온수통 선반과 분리되어 있고,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은 상기 온수통 선반과 분리되어 있는 상기 재료통 선반에 장착되고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서 감속된 회전동력이 출력되며 상기 스크루와 연결된 출력축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료통과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이 상기 재료통 선반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재료통 선반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재료통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안내 지지수단은 상기 선반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들, 상기 케이스의 양쪽 내측에 소정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들이 각각 결합되어 필요한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 해주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재료통 선반을 수평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재료통 선반을 앞쪽으로 경사지게 안내하여 상기 재료통 선반이 앞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부를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재료통의 하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케 설치된 스크루가 재료배출기로 장착되어 있는 재료통, 상기 재료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재료통 선반, 따뜻한 물을 제공하기 위한 온수통, 상기 온수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온수통 선반 및 상기 재료배출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기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재료통 선반은 상기 온수통 선반과 분리되어 있고,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은 상기 온수통 선반과 분리되어 있는 상기 재료통 선반에 장착되고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서 감속된 회전동력이 출력되며 상기 스크루와 연결된 출력축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료통과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이 상기 재료통 선반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재료통 선반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재료통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안내 지지수단은 상기 선반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들, 상기 케이스의 양쪽 내측에 소정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들이 각각 결합되어 필요한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 해주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일측 돌출부가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1홈과 타측 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 1홈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원호형상의 제 2홈으로 이루어진 식품 자판기.
  6. 삭제
  7. 재료배출기가 장착되어 있는 재료통, 상기 재료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재료통 선반 및 상기 재료배출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기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재료통과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이 상기 재료통 선반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재료통 선반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재료통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안내 지지수단은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 구조물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재료통 선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재료통 선반이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상기 회동부재를 잡아주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
  8. 재료배출기가 장착되어 있는 재료통, 상기 재료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재료통 선반 및 상기 재료배출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기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재료통과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이 상기 재료통 선반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재료통 선반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재료통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안내 지지수단은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 구조물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재료통 선반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재료통 선반이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2이상의 링크부재와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를 잡아주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식품 자판기.
  9. 재료배출기가 장착되어 있는 재료통, 상기 재료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재료통 선반 및 상기 재료배출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기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재료통과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이 상기 재료통 선반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재료통 선반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재료통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료통 선반 저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스크루 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루홈부재와 상기 스크루홈부재에 결합된 스크루부재와 상기 스크루부재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재료통 선반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식품 자판기.
  10. 재료배출기가 장착되어 있는 재료통, 상기 재료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재료통 선반 및 상기 재료배출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기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재료통과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이 상기 재료통 선반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재료통 선반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재료통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서 감속된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설치된 크랭크부재와 상기 크랭크부재와 상기 재료통 선반 사이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재료통 선반을 밀거나 당겨주는 링크부재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된 캠과 상기 캠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캠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재료통 선반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식품 자판기.
  11. 재료배출기가 장착되어 있는 재료통, 상기 재료통을 케이스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재료통 선반 및 상기 재료배출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기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식품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재료통과 상기 배출기 구동수단이 상기 재료통 선반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재료통 선반이 식품 판매를 위한 제 1위치에서 재료보충을 위한 제 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재료통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안내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료통의 출구 부근에는 상기 재료통 선반이 제 2위치에 오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출구를 막는 "ㄴ"자 형태의 마개가 설치되어 있는 식품 자판기.
KR1020040014525A 2003-10-10 2004-03-04 자동판매기 KR100700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0780 2003-10-10
KR1020030070780 2003-10-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826U Division KR200351345Y1 (ko) 2003-10-10 2004-03-04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63A KR20050035063A (ko) 2005-04-15
KR100700969B1 true KR100700969B1 (ko) 2007-03-29

Family

ID=372387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525A KR100700969B1 (ko) 2003-10-10 2004-03-04 자동판매기
KR20-2004-0005826U KR200351345Y1 (ko) 2003-10-10 2004-03-04 자동판매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826U KR200351345Y1 (ko) 2003-10-10 2004-03-04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00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936B1 (ko) * 2021-05-31 2023-03-20 주식회사 벤더스터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판기용 적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63A (ko) 2005-04-15
KR200351345Y1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741B1 (en) Beverage dispenser
US6651841B2 (en) Machine for dispensing stacked articles
CA2329123C (en) Apparatus for dispensing of bulk product
US8469230B2 (en) Product delivery and discharge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US6321802B1 (en) Ice an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ITMI991601A1 (it) Distributore automatico di bottiglie
CN1359507A (zh) 前部透明的售货机
JP200115523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
US4586633A (en) Vending machine storage rack assembly
KR100700969B1 (ko) 자동판매기
US4429639A (en) Money-dispensing device from a safe's space
US20060238082A1 (en) Merchandise drawer comprising an extend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s
CA2366698A1 (en) Multiple roll holder unit
EP1986166B1 (en) Article dispens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11009076B (zh) 货品输出装置、货品输出机构和货柜
US11454438B2 (en) Space saving ice and beverage dispenser with accessible auger drive
TWI300755B (en)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JP346560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
CN214670863U (zh) 自动售货机
JP3255745B2 (ja) つば付き商品自動搬出装置
JPH0568757B2 (ko)
KR0132661B1 (ko) 봉지송출장치
ITRM990540A1 (it)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articoli per macchina di vendita automatica.
JPH0991536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カップ支持装置
JPH0217599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