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851B1 -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851B1
KR101621851B1 KR1020140107233A KR20140107233A KR101621851B1 KR 101621851 B1 KR101621851 B1 KR 101621851B1 KR 1020140107233 A KR1020140107233 A KR 1020140107233A KR 20140107233 A KR20140107233 A KR 20140107233A KR 101621851 B1 KR101621851 B1 KR 10162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sition
cells
present
metasta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464A (ko
Inventor
김재화
오세량
안경섭
강호범
신재민
고영은
이태석
김명환
강종구
한용해
손기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5002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n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IL-4의 발현을 억제하고, STAT-6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바, 현재 사용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고, 독성이 없으면서 치료효과가 탁월한 화합물로서 혈액암 또는 암전이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blood cancer and inhibiting metastasis comprising monoacetyldiacylglycerol compound}
본 발명은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이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세포의 분열과 사멸 간의 균형이 파괴됨으로써 계속적인 분열과 증식에 의해 발생한 비정상적인 세포의 집단을 의미하며, 종양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장기, 백혈구, 뼈, 림프절 등을 포함한 100여 가지 이상의 신체의 여러 부분에 발병하며, 주변조직으로 침윤하는 현상 및 다른 기관으로 이동하는 전이를 통해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한다. 암 발생의 원인으로는 화학물질, 바이러스, 세균, 전리방사선 등의 환경적 또는 외적 요인과 선천성 유전자 변이 등의 내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이 중 만성염증과 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이 최근 대두되면서 이를 입증하는 많은 자료들이 보고되고 있다. 감염과 만성 염증이 전체 암 발생 원인의 25%를 차지하며, 만성염증과 활성산소종 관련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암 발병 위험이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매개인자들 즉, 사이토카인과 자유라디칼, 성장인자 등이 종양억제유전자의 돌연변이나, DNA 메틸화, 전사후 변형 등과 같은 유전적, 후생유전적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정상적인 세포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경로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암을 발생, 진전시키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초기에 발견된 암일 경우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적 요법 등의 치료법이 있으나 그 부작용 또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말기 암이나 전이된 암의 경우 특별한 치료법 없이 시한부 인생으로 삶을 마감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독성이 낮은 천연물로부터 부작용이 적고 효능이 뛰어난 항암제 또는 암전이 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천연물 유래의 치료법은 화학적 요법과 방사선 치료 등에서 흔히 관찰되는 조혈, 면역기능 억제 등의 부작용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C-18은 모노아세틸디글리세라이드(monoaetyldiglyceride)의 일종으로서, 녹용으로부터 분리되었다. EC-18은 cecal-ligation-puncture를 이용한 패혈증 동물모델에서 동물의 생존률을 크게 증가시켰음이 개시되었으며, GLP(Good Laboratory Practice) 독성시험에서도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EC-18을 포함한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이 혈액암 또는 암전이에 있어서 어떠한 효과를 나타낼지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 혹은 새로운 화합물의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이 IL-4의 분비를 억제하고, STAT-6의 활성 또한 억제하여 암조직의 성장을 위한 미세환경을 파괴함으로써, 혈액암의 예방, 치료 또는 암전이 억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47447호
J Korean Med Sci. vol.24, pp.474-480, 2009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78018306-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혈액암의 발병 또는 암전이의 가능성이 있거나 혈액암을 앓고 있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또는 암전이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78018306-pa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지방산기는 지방산의 카르복실기에서 -OH기가 제외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하나의 아세틸기와 2개의 아실기를 갖는 글리세롤의 유도체를 의미하며, 모노아세틸디글리세롤(MADG)이라고도 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에서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팔미토일(palmitoyl), 올레오일(oleoyl), 리놀레오일(linoleoyl), 리놀레노일(linolenoyl), 스테아로일(stearoyl), 미리스토일(myristoyl) 또는 아라키도노일(arachidonoyl)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2의 조합(R1/R2)은 올레오일/팔미토일, 팔미토일/올레오일, 팔미토일/리놀레오일, 팔미토일/리놀레노일, 팔미토일/아라키도노일, 팔미토일/스테아로일, 팔미토일/팔미토일, 올레오일/스테아로일, 리놀레오일/팔미토일, 리놀레오일/스테아로일, 스테아로일/리놀레오일, 스테아로일/올레오일, 미리스토일/리놀레오일 또는 미리스토일/올레오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광학활성에 있어, (R)-형, (S)-형 또는 라세미체일 수 있다.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78018306-pat00003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팔미토일(palmitoyl)-2-리놀레오일(linoleoyl)-3-아세틸글리세롤(acetylglycerol)이라고 하며, EC-18이라 명명되기도 한다. 상기 화합물의 R1과 R2는 각각 팔미토일과 리놀레오일에 해당한다.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녹용으로부터 추출/분리되거나, 공지의 유기합성법(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89323호)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녹용을 헥산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잔사를 다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다음, 수득된 추출액을 감압증류하여 녹용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인 헥산 및 클로로포름의 양은 각각 사용된 녹용이 잠길 정도의 양이면 충분하며, 일반적으로는 녹용 1kg에 대하여 헥산 및 클로로포름을 각각 4~5ℓ정도의 비로 사용할 수 있으나, 추출용매의 종류와 사용량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한 녹용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계속해서 일련의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TLC 방법에 의해 더 분획화하고 정제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단계의 용리액으로는 클로로포름/메탄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헥산/에틸아세테이트/아세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89323호에 공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a) 1-R1-글리세롤의 3번 위치에 보호기를 붙여 1-R1-3-보호기-글리세롤을 제조하는 과정; (b) 1-R1-3-보호기-글리세롤의 2번 위치에 R2기를 도입하여 1-R1-2-R2-3-보호기-글리세롤을 제조하는 과정 및; (c) 1-R1-2-R2-3-보호기-글리세롤의 탈보호 반응 및 아세틸화 반응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정제하여, 목적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포스파티딜콜린을 가아세트산 분해(acetolysis)하여 얻을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 내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IL-4의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됨으로써,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암"은 세포자체의 조절기능에 문제가 생겨 정상적으로는 사멸해야 할 비정상 세포들이 과다 증식하여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침입하여 덩어리를 형성하고 기존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키는 상태를 의미하며, 악성종양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용어, “항암”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모든 활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혈액암"은 림프종, 급성 백혈병, 만성 백혈병, 및 다발성 골수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암전이(metastasis)”이란, 암세포, 특히, 혈액암에 관련된 암세포가 하나의 장기 혹은 그 부분에서 다른 장기나 장기 주변부로 퍼지는 것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주로 악성 암세포들이 전이하는 능력을 가지며, 암세포들은 1차 암으로부터 빠져 나와서 림프계 혹은 혈관계로 침투해 들어가서 혈관을 순환하여 신체의 다른 부위의 정상 조직에서 성장한다. 암 전이는 악성 암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이런 암의 전이는 암에 의한 사망 원인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암전이 억제는, 암세포가 다른 장기나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암 또는 암전이를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암 또는 암전이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종양관련 대식세포(Tumor-associated macrophage; TAM)는 종양 진행 및 전이와 관련된 대식세포로서, 주로 종양 주변에서 발견된다. 종양관련 대식세포에 의해 과발현된 분자를 면역화함으로써, 이들 대식세포를 공격하는 방식으로 종양 미세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항암의 새로운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종양관련 대식세포는 M2 표현형의 대식세포로서, 이들은 주로 IL-4, IL-13 등의 Th2 사이토카인에 의하여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이들 대식세포는 혈관형성촉진인자 및 메탈로프로테이나제를 분비하고, 종양 기질내 섬유모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여 종양 세포 증식 및 전이를 촉진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인터루킨-4(IL-4)”는 Th2 림프구, 호산구, 비만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면역조절 기능을 가진 사이토카인을 의미한다. IL-4는 여러 암 조직에서 정상조직 보다 높은 농도로 발견되며, 종양 침윤 림프구(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TILs)에서 다량의 IL-4가 생성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특히, IL-4는 종양관련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IL-4는 M2 표현형 대식세포의 활성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종양의 성장, 전이, 혈관생성 등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 화합물은, STAT-6의 활성을 억제 할 수 있음이 확인됨으로써,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용어, “STAT-6”는 전사인자로서, IL-4 매개의 생물학적 반응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STAT-6는 IL-4에 의해 인산화된 형태로 활성화되며, 이어서 IL-4/STAT-6 신호전달경로를 진행시킨다. 상기 신호전달경로는 세포증식/성장 및 세포사멸에 대한 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STAT-6의 억제는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암전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암조직의 성장을 위한 미세환경을 파괴함으로써, 종양의 효과적인 치료제와 치료병용제로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i) U937 세포, A549 세포 및 Jurkat 세포에 각각 IL-4와 EC-18을 처리한 경우, EC-18의 농도 의존적으로 STAT-6의 인산화가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실험예 1, 도 1 및 2), ii) HEK293 및 A549 세포에 IL-4를 처리하여 활성화시킨 STAT-6에 EC-18을 처리한 경우, STAT-6의 활성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도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RBL-2H3세포에서 EC-18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4의 전사량을 효소결합면역흡수분석(ELISA)에 의해 관찰한 결과, EC-18의 농도 의존적으로 IL-4의 분비량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도 4 및 도 5). 이는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이 혈액암 또는 암전이의 치료에 유효함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인체 유래의 골수암 세포주인 RPMI 8226 세포를 수컷 누드마우스에 이식하고, 시험물질인 EC-18 을 경구투여 한 후, 종양의 성장 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 500 mg/kg 용량의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종양의 부피 측정 결과,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종양 부피가 감소되었고, 종양의 중량도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아져서, EC-18이 종양의 성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도 6, 7). 이는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이 혈액암 예방, 치료 또는 암전이 억제에 유효함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체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0 중량%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체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조류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및 인간 등 어느 개체에나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의 방식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78018306-pat00004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에서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기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를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 혈액암 및 암전이 억제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암 또는 암전이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에 포함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포함하거나 다른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조절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04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3g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혈액암 또는 암전이의 의심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또는 암전이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혈액암 또는 암전이의 의심 개체는 상기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혈액암 또는 암전이의 의심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개체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혈액암 및 암전이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혈액암 또는 암전이의 의심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상기 화학식 1의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IL-4의 발현을 억제하고, STAT-6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바, 현재 사용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고, 독성이 없으면서 치료효과가 탁월한 화합물로서 혈액암 또는 암전이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U937세포에서 (A) IL-4에 의해 인산화된 STAT-6의 EC-18 농도별 처리에 따른 인산화 억제효과 및 (B) IFN-γ에 의해 인산화된 STAT-6의 EC-18 농도별 처리에 따른 인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낸 웨스턴 블랏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A549세포(A), U937세포(B) 및 Jurkat세포(C)에서 IL-4에 의해 인산화된 STAT-6의 EC-18 농도별 처리에 따른 인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낸 웨스턴 블랏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HEK293세포 및 A549세포에서 IL-4에 의해 활성화된 STAT-6 및 IFN-γ에 의해 활성화된 STAT-1의 EC-18 농도별 처리에 따른 루시퍼레이즈의 발광값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RBL-2H3세포에서 EC-18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4의 전사량을 효소결합면역흡수분석(ELISA)에 의해 관찰한 도이다.
도 5는 RBL-2H3세포에서 EC-18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4의 발현량을 시간대별로(6h, 15h 및 24h)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인간 혈액암 세포를 이식한 모델동물에서 EC-18의 처리에 의한 종양의 부피 감소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인간 혈액암 세포를 이식한 모델동물에서 EC-18의 처리에 의한 종양의 중량 감소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혈액암 모델 생쥐에서 EC-18 투여군, 음성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서, 종양의 크기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세포 배양
인간 세포주 U937, A549, Jurkat, HEK293과 집쥐 세포주 RBL-2H3(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의 배양은 37℃, 5% CO2의 습화된 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U937, Jurkat, K562와 A549 세포주는 10% 우아혈청(Fetal Calf Serum, FCS, HyClone, Logan, UT), 2 mM L-글루타메이트, 100 ㎍/㎖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Life Technologies)을 포함하는 RPMI1640(Life Technologies, Karlsruhe, Germany) 배지, HEK293 세포주는 DMEM 배지, RBL-2H3 세포주는 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EC-18에 의한 STAT-6의 인산화 억제 효과
EC-18과 IL-4와 IFN-γ을 처리한 세포에 차가운 SDS-용해 버퍼[(50 mM HEPES, 150 mM NaCl, 0.2 mM EDTA, 0.5% NP-40, 0.1% SDS, 1mM Na3VO4, 10mM NaF, and complete Protein Inhibitor Cocktail(Roche)]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얼음에 용해하였다. 용해된 세포용액을 고속회전기로 30분 동안 13,000 rpm으로 회전하여 불용성 부분을 침전시키고 수용성 용액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세포수용액을 정량 후 10~12% 정도 농도의 SDS-PAGE를 이용하여 전기영동 하였다. Gel상에서 분리된 세포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Millipore, Billerica, MA, USA)에 100V에서 2시간 동안 전사시켰다.
세포 내에서 인산화된 STAT-1, STAT-6를 확인하기 위해 poly rabbit anti-(STAT1, STAT6), -phosphor(STAT1, STAT6)(Cell signaling Technology, USA)(1:1000)을 1차 항체로 이용하여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2차 항체로는 horseradish peroxidase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rabbit IgG(Santa Cruz Biotechnology, USA)(1:3000)로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세포단백질의 동일량의 측정은 poly rabbit anti-(STAT1, STAT6)로 확인하였다. 면역반응이 끝난 멤브레인은 ECL 시약(Millipore, Billerica, MA, USA)으로 반응시켜, X-ray 필름에 노출시켜 STAT의 인산화 정도를 필름 상에 나타난 밴드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피세포인 A549세포와 면역세포인 U937 및 Jurkat 세포에서 STAT-6가 인산화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상기 인산화된 STAT-6는 전처리한 EC-18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1-A, 도 2-A 내지 C). 반면, STAT-1는 EC-18에 의한 인산화 감소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1-B).
실험예 2: 루시퍼레이즈 리포터를 이용한 EC-18의 STAT-6 활성 억제
STAT-6가 결합하는 STAT-6 Element를 포함하고 있는 p4xSTAT6-Luc2P 벡터(Addgene)를 이용하여 HEK293세포와 A549세포에 도입시킨 후 EC-18을 전처리하고 IL-4을 처리해서 STAT-6의 활성억제를 분석하였다. 또한, STAT-1이 결합하는 Interferon Stimulated Response Element(ISRE)를 포함하고 있는 pGL4.45[luc2P/ISRE/Hygro] 벡터(Promega)를 이용하여 STAT-1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HEK293세포와 A549세포를 trypsin-EDTA를 처리하여 분리한 후 배양접시에 분주하고 Attractene Transfection Reagent를 이용하여 p4xSTAT6-Luc2P와 pGL4.45[luc2P/ISRE/Hygro] 벡터를 세포에 도입시킨 후 37℃, 5% CO2 조건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날 배양접시에서 세포를 분리한 후 96-well plate에 5×104 cell/well의 개체수가 되도록 0.1 ㎖씩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날 EC-18을 농도별로 1시간 전 처리한 후 IL-4와 IFN-γ을 10 ng/㎖을 세포에 첨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6시간이 경과한 후 IL-4와 IFN-γ 신호 전달에 의한 루시퍼레이즈의 활성화 정도를 ONE-Glo Luciferase Assay System(Promega)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96-well에 ONE-Glo™ Luciferase Assay Buffer와 Substrate가 1:1로 혼합된 용액 0.1ml을 첨가하고 약 3분 경과 후 발광되는 정도를 VICTOR X Multilabel Plate Reader(PerkinElmer)를 이용하여 0.5초간 측정하였다.
STAT-6 루시퍼레이즈의 발광값은 IL-4만 처리한 값에 비해, EC-18이 농도별로 처리된 경우의 값이 줄어들어, 상대적 활성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IFN-γ을 처리한 경우 EC-18에 의해 STAT-1 루시퍼레이즈의 발광값은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3). 즉, IL-4에 의해 유도된 STAT-6의 활성이 EC-18을 처리한 HEK293세포와 A549세포에서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EC-18에 의한 IL-4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실험예 3-1: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RBL-2H3 세포에 EC-18을 전 처리한 후, IgE에 대한 antigen으로 세포활성을 유도시키고 그 결과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 IL-4의 mRNA 수준의 변화를 RT-PCR(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였다.
총 RNA는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분리하였고, cDNA는 제조자의 지시서에 따라 AccuScript High Fidelity 1st Strand cDNA Synthesis Kit(Stratagene)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2 단계 RT-PCR 반응은 oligo-dT 프라이머와 역전사효소, 특이 프라이머쌍과 Taq 폴리머라아제(Takara, Shiga, Japan)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합성한 1 ㎕의 cDNA를 0.5 U ExTaq DNA 폴리머라아제, 1 buffer 및 1 mM dNTP mix (Takara)와 특이 프라이머 쌍으로 이루어진 20 ㎕의 PCR 반응에 사용하였다. PCR 반응에 의한 증폭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GeneAmp PCR system 2700(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94°에서 5분, 이어서 94°에서 45 초, 56°에서 45초 및 72°에서 1분을 25 내지 40 사이클 행한 후, 최종 연장반응은 72°에서 7분간 행하였다. 표 1은 PCR에 의해 cDNA 증폭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로서, 하기 PCR 프라이머는 Primer3 program을 사용하여 디자인하였으며 Bioneer사(대한민국, 대전)로부터 구입하였다.
Nam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GAPDH CCATCACCATCTTCCAGGAG
(서열번호 1)
ACAGTCTTCTGGGTGGCAGT (서열번호 2)
IL-4 AATGGGTCTCACCTCCCAAC
(서열번호 3)
TTCAGCTCGAACACTTTGAA (서열번호 4)
PCR 생성물은 1.5 % 아가로즈젤상에서 분리하여 에티듐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 EtBr)로 염색하여 Gel Doc 2000 UV trans-illuminator(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으로 시각화한 후에, Quantity One software (Bio-Rad Laboratorie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샘플들은 3회 이상 테스트하였으며 대표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세포들은 0.01, 0.1, 1.0 및 10 ㎍/㎖의 EC-18을 각각 1시간 전 처리하고 Antigen을 함께 처리한 후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용해시킨 후에 RNA를 분리하였다. RNA에 대해 poly A+프라이머와 함께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사용하여 cDNA를 제조하였다. IL-4에 대해 디자인된 프라이머를 PCR 증폭에 사용하였다(표 1). GAPDH를 내부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3-2: 효소결합면역흡수분석법(ELISA)에 의한 IL-4 분비억제 확인
EC-18을 0.1 pg/㎖ 내지 10 ㎍/㎖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준비하고 항원을 처리하여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RBL-2H3 세포의 세포배양액에 존재하는 집쥐 IL-4의 정량은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모노클로날 항체(mAb)(BD Biosciences)를 사용하여 제조자가 지시한 프로토콜에 따라 효소결합면역흡수분석(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EC-18을 처리한 RBL-2H3 세포에서, IL-4의 전사물은 EC-18의 농도에 비례하여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4), 항원에 의해 유도된 IL-4의 분비가, RBL-2H3 세포에서 EC-18의 처리에 따라 발현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5). 또한, 각 시간에 발현되는 IL-4의 분비량은 EC-18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EC-18의 10 ㎍/㎖ 농도에서 최고 60%이상 IL-4의 분비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항암모델 동물에서 EC-18에 의한 항암 효능 분석
인체 유래의 골수암 세포주인 RPMI 8226 세포가 이식된 수컷 누드마우스에 시험물질인 EC-18을 경구투여 한 후 종양의 성장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군 구성은 음성대조군, 500 mg/kg 용량의 시험물질 투여군, 500 mg/kg 용량의 시험물질 및 80 mg/kg 용량의 양성대조물질(젬시타빈, Gemcitabine) 병용투여군, 500 mg/kg 용량의 시험물질 및 120 mg/kg 용량의 양성대조물질 병용투여군, 80 및 120 mg/kg 용량의 양성대조군의 총 6개 군으로 구성하였고, 각 군당 10 마리씩 실험하였다. 음성대조군은 부형제인 olive oil을, 시험물질 투여군은 시험물질(EC-18)을 1 회/일, 4 주간, 총 28 회 위내에 강제 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은 양성대조물질인 젬시타빈(Gemcitabine)을 2 회/주, 4 주간, 총 8 회 복강에 강제 투여하였다. 관찰기간 동안 매일 1 회 일반증상을 관찰하였고, 동물의 체중 및 종양의 부피(Tumor volume, mm3)는 2 회/주 측정하였다. 관찰기간 종료 후 종양을 적출하여 종양의 중량(Tumor weight, g)을 측정하여 각각 도 6 및 7에 나타내었다. 도 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0 mg/kg 용량의 시험물질 투여군은 종양의 부피 측정 결과,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고, 종양의 중량도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게 측정되어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또한, 혈액암 모델 생쥐에서 EC-18과 양성대조군인 gemcitabine에 투여한 후 종양의 크기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을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18을 투여한 경우에도, 양성대조군과 유사하게 종양의 크기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Enzychem Lifescience Corporation <120> Composition for treating blood cancer and inhibiting metastasis comprising monoacetyldiacylglycerol compound <130> PD10525/PCT10394 <150> KR 10-2013-0098185 <151> 2013-08-19 <160> 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1 ccatcaccat cttccagga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2 acagtcttct gggtggcagt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4 forward primer <400> 3 aatgggtctc acctcccaa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4 reverse primer <400> 4 ttcagctcga acactttgaa 20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발성 골수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6012739890-pat00017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녹용으로부터 분리된 것인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IL-4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STAT-6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0.001 내지 5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10.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발성 골수종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6012739890-pat00018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비인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발성 골수종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5. 삭제
KR1020140107233A 2013-08-19 2014-08-18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621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185 2013-08-19
KR20130098185 2013-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64A KR20150021464A (ko) 2015-03-02
KR101621851B1 true KR101621851B1 (ko) 2016-05-31

Family

ID=5248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233A KR101621851B1 (ko) 2013-08-19 2014-08-18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0058527B2 (ko)
EP (1) EP3037092B1 (ko)
JP (1) JP6201054B2 (ko)
KR (1) KR101621851B1 (ko)
CN (2) CN110327324A (ko)
AU (1) AU2014309635B2 (ko)
CA (1) CA2921841C (ko)
ES (1) ES2779047T3 (ko)
RU (1) RU2632098C2 (ko)
WO (1) WO20150261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22B1 (ko) 2016-10-17 2018-03-09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12A1 (ko) * 2013-08-19 2015-02-26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US10555923B2 (en) 2015-11-14 2020-02-11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WO2017082709A1 (ko) * 2015-11-14 2017-05-18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용혈성 요독 증후군의 치료 방법
KR101817552B1 (ko) * 2016-10-13 2018-01-11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314B1 (ko) 2018-07-16 2020-02-11 (주) 에프엔지리서치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 용도
US20220125882A1 (en) * 2019-01-16 2022-04-28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ancer
JP2022553421A (ja) * 2019-10-28 2022-12-22 エンジーケム ライフ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がんの処置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1932B1 (en) 1997-11-20 2006-01-25 Gil Ja Jh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cervus nippon antlers having growth-stimulating activities of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egakaryocytes
KR100283010B1 (ko) 1997-11-20 2001-04-02 전길자 녹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혈모세포 및 혈소판 전구세포 증식촉진용 조성물
KR100646781B1 (ko) 1999-10-15 2006-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118057A (ko) * 2004-04-24 2005-12-15 김상희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
KR20050103259A (ko) 2004-04-24 2005-10-27 김상희 인터루킨-2 및 모노아세틸디글리세라이드-3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KR100767701B1 (ko) * 2004-04-24 2007-10-18 김상희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조절제 및 항암제
KR100789323B1 (ko) 2005-07-20 2007-12-28 주식회사 엔지켐 글리세롤 유도체의 위치 선택적 제조방법 및 그 중간체
WO2015026112A1 (ko) * 2013-08-19 2015-02-26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22B1 (ko) 2016-10-17 2018-03-09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74810A1 (ko) * 2016-10-17 2018-04-26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7092B1 (en) 2020-01-01
US20190022047A1 (en) 2019-01-24
AU2014309635B2 (en) 2017-04-06
US20160256428A1 (en) 2016-09-08
US10857119B2 (en) 2020-12-08
CA2921841A1 (en) 2015-02-26
CA2921841C (en) 2018-06-19
CN105792822A (zh) 2016-07-20
AU2014309635A1 (en) 2016-03-10
US10058527B2 (en) 2018-08-28
ES2779047T3 (es) 2020-08-13
RU2632098C2 (ru) 2017-10-02
WO2015026112A1 (ko) 2015-02-26
KR20150021464A (ko) 2015-03-02
JP2016528277A (ja) 2016-09-15
CN110327324A (zh) 2019-10-15
EP3037092A4 (en) 2017-04-26
US20200330421A1 (en) 2020-10-22
JP6201054B2 (ja) 2017-09-20
RU2016109986A (ru) 2017-09-26
EP3037092A1 (en) 2016-06-29
CN105792822B (zh)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851B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CA2946825C (en) Muscle atrophy inhibitor containing quercetin glycoside
KR101621856B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734166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patitis containing monoacetyl diacylglycerol compound
KR102054391B1 (ko) 마이크락티니움 종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1552B1 (ko) 리그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733B1 (ko) 파이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2034B1 (ko) 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3235A (ko) 강글리오사이드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247802B1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9773A (ko)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20190016737A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급성 폐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6212B1 (ko) 재쑥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8946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 또는 암 예방용 조성물
KR20240023365A (ko) 지의류 내생 곰팡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항암용 조성물
KR101613005B1 (ko)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신장 독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