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773A -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773A
KR20180109773A KR1020180095375A KR20180095375A KR20180109773A KR 20180109773 A KR20180109773 A KR 20180109773A KR 1020180095375 A KR1020180095375 A KR 1020180095375A KR 20180095375 A KR20180095375 A KR 20180095375A KR 20180109773 A KR20180109773 A KR 20180109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expression
piper
spinal cord
multiple scler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095B1 (ko
Inventor
홍진태
구선미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0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2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47Cells of the immune system
    • G01N33/505Cells of the immune system involving T-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47Cells of the immune system
    • G01N33/5055Cells of the immune system involving macroph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퍼롱구민은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의 활성을 억제하고, 뇌 또는 척수 조직으로의 T세포 또는 대식세포의 침투를 억제하며, 뇌 또는 척수에서의 탈수초(demyelination)를 억제함으로써 다발성 경화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Screening method for substances having preventive or therapeutic activity for multiple sclerosis}
본 발명은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은 뇌 및 척수의 수초가 탈락하는 탈수초성 질환(demyelinating disease)이다. 수초(myelin sheath)란 신경세포의 축삭(axon)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물질로 수초가 벗겨져 탈락될 경우 신경신호의 전도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 주로 20~40세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하고 재발과 완화를 반복하며 재발이 반복될수록 증상이 완전히 호전되지 않고 장애가 남는다 [1-2]. 현재 전 세계 약 230만 명의 환자가 이 질환을 앓고 있지만 발병기전이 명확하지 않은 자가면역질환이기 때문에 발병 시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치료제를 처방받으며 고통받고 있다. 다발성 경화증은 자가면역체계의 이상에 의해 뇌실 주위의 백색질 및 척수 등에 T세포 같은 림프구 및 대식세포(macrophage)가 침투하고, 이 면역 세포들이 수초를 이루는 세포인 희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와 관련된 미엘린염기성단백질(Myelin basic protein, MBP), 미엘린 희돌기교세포 당단백질(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을 파괴시켜 뇌 및 척수의 탈수초화가 진행되게 된다 [3].
NF-κB는 염증의 조절과 다양한 자가 면역 질환의 규정에 중요한 산화 환원 전사 인자이다 [4-5].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NF-κB의 활성이 일반 사람에 비해 증가하였다는 사례가 보고되었고 [9-11], 과도한 염증 반응에서 정상 세포에 악영향을 주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 효소(iNOS)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은 각각의 프로모터에 NF-κB DNA 서열이 보존되어 있어 NF-κB 활성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된다 [4-5]. 그러므로 NF-κB 활성 조절은 신경 염증 감소를 통해 다발성 경화증 관리를 위한 잠재적인 접근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6-7].
여러 증거로부터 천연물 함유물이 심혈관 질환, 암, 염증 질환과 같은 질환의 위험의 감소와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8]. 인도산 후추(Piper longum)로부터 추출한 파이퍼롱구민(piperlongumine; PL)은 활성산소(정상세포가 이상하게 변해도 암세포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를 제거하는 효소를 억제해 암 치료에 탁월한 기능이 있을 것이라는 내용으로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 온라인판에 발표되었다 [9]. 파이퍼롱구민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화합물은 여러 세포와 동물모델에서 NF-κB 활성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으나 [10-12], 어떻게 신경 퇴행성 질환 및 자가면역질환에서 중요한 과정을 억제할 수 있는지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1] F.D. Lublin, S.C. Reingold, Defining the clinical course of multiple sclerosis: results of an international survey. National Multiple Sclerosis Society (USA) Advisory Committee on Clinical Trials of New Agents in Multiple Sclerosis, Neurology 46(4) (1996) 907-11. [2] J. Goverman, Autoimmune T cell respons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Nat Rev Immunol 9(6) (2009) 393-407. [3] J. Patel, R. Balabanov, Molecular mechanisms of oligodendrocyte injury in multiple sclerosis and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Int J Mol Sci 13(8) (2012) 10647-59. [4] : Yeo, S.J., J.G. Yoon, and A.K. Yi, Myeloid differentiation factor 88-dependent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cyclooxygenase-2 expression by CpG DNA: tumor necrosis factor-alpha receptor-associated factor 6, a diverging point in the Toll-like receptor 9-signaling. J Biol Chem, 2003. 278(42): p. 40590-600. [5] : Kim, Y.M., et al., Upstream NF-kappaB site is required for the maximal expression of mous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gene in interferon-gamma plus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macrophag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7. 236(3): p. 655-60. [6] P.L. Vieira, H.C. Heystek, J. Wormmeester, E.A. Wierenga, M.L. Kapsenberg, Glatiramer acetate (copolymer-1, copaxone) promotes Th2 cell development and increased IL-10 production through modulation of dendritic cells, J Immunol 170(9) (2003) 4483-8. [7] I. Hwang, D. Ha, D.S. Kim, H. Joo, Y. Jee, Glatiramer acetate inhibits the activation of NFkappaB in the CNS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51(3) (2011) 217-225. [8] Hu, N., et al., Nutrition and the risk of Alzheimer's disease. Biomed Res Int, 2013. 2013: p. 524820. [9] Rai, L., et al., Selective killing of cancer cells by a small molecule targeting the stress response to ROS. Nature, 2011. 475(7355): p.231-234 [10] Son, D.J., et al., Piperlongumine inhibits atherosclerotic plaque formation and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bt suppressing PDGF receptor signaling.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12, 427(2), p.349-354 [11] Han, S.S., et al., Piperlongumin inhibits proliferation and survival of Burkitt lymphoma in vitro. Leukemia research, 2013. 37(2): p.146-154 [12] GinZburg, S., et al., Piperlongumine inhibits NF-κB activity and attenuates aggressive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state cancer cells. Prostate, 2014. 74(2): p.177-186
본 발명의 목적은 (a) T세포에 CD3/CD28 활성제(activator)를 처리하거나 대식세포에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T세포 또는 대식세포에 후보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b)의 후보물질이 접촉된 T세포 또는 대식세포의 세포질에서 IκBα 또는 p-IκBα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b)의 후보물질이 접촉된 T세포 또는 대식세포의 핵에서 p50 또는 p65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T세포에 CD3/CD28 활성제(activator)를 처리하거나 대식세포에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T세포 또는 대식세포에 후보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b)의 후보물질이 접촉된 T세포 또는 대식세포의 세포질에서 IκBα 또는 p-IκBα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b)의 후보물질이 접촉된 T세포 또는 대식세포의 핵에서 p50 또는 p65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의 IκBα 발현량을 증가시키거나 p-IκBα 발현량을 감소키는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의 p50 또는 p65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NF-κB 억제제(inhibitor)의 병용 처리에 의한 사이토카인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보물질은 파이퍼롱구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리닝된 후보물질은 다발성 경화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후보물질 중 파이퍼롱구민은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의 활성을 억제하고, 뇌 또는 척수 조직으로의 T세포 또는 대식세포의 침투를 억제하며, 뇌 또는 척수에서의 탈수초(demyelination)를 억제함으로써 다발성 경화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MOG에 의한 실험적 자가면역 뇌수막염(EAE) 모델에서 파이퍼롱구민에 대한 완화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a)는 동물모델에 파이퍼롱구민에 대한 투여 일정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임상 점수를 나타낸 것이고, (c)는 몸무게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d)는 임상 점수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면역세포의 침투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H&E 염색에 대한 결과이고, (b)는 LFB 염색을 실시한 결과이며, (c)는 MBP의 파괴 정도를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면역세포의 침투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CD3의 발현을 통해 T세포의 침투를 확인한 결과이고, (b)는 F4/80의 발현을 통해 대식세포의 침투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GFAP 및 Iba1의 발현을 통해 성상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에 대한 파이퍼롱구민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GFAP에 대한 면역형광염색을 수행한 결과이고, (b)는 Iba1에 대한 면역형광염색을 수행한 결과이며, (c)는 GFAP 및 Iba1에 대한 웨스턴블럿팅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파이퍼롱구민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iNOS의 발현에 대한 면역염색을 수행한 결과이고, (b)는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COX-2의 발현에 대한 면역염색을 수행한 결과이며, (c)는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iNOS 및 COX-2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으로 확인한 결과이며, (d)는 RAW 264.7 세포에서 iNOS 및 COX-2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으로 확인한 결과이고, (e)는 Jurkat T세포에서 iNOS 및 COX-2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파이퍼롱구민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TNF-α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이고, (b)는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IFN-γ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이며, (c)는 RAW 264.7 세포에서 TNF-α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이고, (d)는 RAW 264.7 세포에서 IFN-γ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이며, (e)는 Jurkat T세포에서 TNF-α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이고, (d)는 Jurkat T세포에서 IFN-γ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NF-κB 활성에 대한 파이퍼롱구민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IκB, p-IκB, p50 및 p65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으로 확인한 결과이고, (b)는 RAW 264.7 세포에서 IκB, p-IκB, p50 및 p65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으로 확인한 결과이며, (c)는 Jurkat T세포에서 IκB, p-IκB, p50 및 p65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NF-κB 억제제 및 파이퍼롱구민의 병행 처리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RAW 264.7 세포에서 TNF-α의 mRNA 발현량을 qPCR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고, (b)는 RAW 264.7 세포에서 IFN-γ의 mRNA 발현량을 qPCR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며, (c)는 Jurkat T세포에서 TNF-α의 mRNA 발현량을 qPCR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고, (d)는 Jurkat T세포에서 IFN-γ의 mRNA 발현량을 qPCR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며, (e)는 RAW 264.7 세포에서 iNOS 및 COX-2 단백질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고, (f) Jurkat T세포에서 iNOS 및 COX-2 단백질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용어, "파이퍼롱구민(Piperlongumine)"은 1-[(2E)-3-(3,4,5-Trimethoxyphenyl)prop-2-enoyl]-5,6-dihydropyridin-2(1H)-one 이라는 화학명을 가지고 있고,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그대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 부가염 이외에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트리에틸아민, 3차-부틸아민과 같은 염기 부가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액상 용액 형태로 제제화될 경우,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담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는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의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종 면역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유효량은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가 성인인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에 걸쳐 투여 또는 복용시 총 0.01 내지 10 mg/kg/day,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g/kg/day,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mg/kg/day의 용량이 유효량으로 투여 또는 복용될 수 있다. 다만, 각 활성 성분의 복용량 또는 투여량이 각 활성 성분의 함량을 지나치게 높게 포함하여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이어야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파이퍼롱구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파이퍼롱구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재료 및 방법
1.1. 재료
파이퍼롱구민은 INDOFINE Chemical Company에서 구매하였다. 파이퍼롱구민은 in vivo 실험을 위해 100% DMSO에 녹여 -20℃에서 보관하였다. 파이퍼롱구민은 in vitro 실험을 위해 100% 1:19=DMSO:PBS의 비율로 녹여 -20℃에서 보관하였다. LPS는 Sigma에서 구매하였고 PBS에 녹여 -20℃에서 보관하였다. CD3/CD28 activator는 STEMCELLTM Technologies에서 구매하였고 4℃에서 보관하였다.
1.2. EAE(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유도 및 약물 처리
실험동물은 10주령의 암컷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상기 마우스에 EK-0115 키트(Hooke laboratories사)를 이용하여 EAE를 유도하였다. 파이퍼롱구민은 1.5 또는 3.0 mg/kg 농도로 50 μL씩 이틀에 한 번 복강투여 하였다. 파이퍼롱구민을 처리하지 않는 군은 50 μL의 100% DMSO 를 이틀에 한 번 복강투여 하였다. 임상점수(clinical score)는 Hooke laboratories사에서 제공하는 기준에 따라 0점에서 최대 5점까지 0.5점 단위로 매일 측정하였다.
1.3. 척수 조직의 준비
투여가 모두 끝난 후 PBS를 이용해 관류 후 척추를 분리하여 -80℃에서 보관하거나 4% 포름알데하이드 용액에서 7일간 보관 후 탈회 용액에서 7일간 보관한 뒤 30% 수크로오스(sucrose) 용액에서 보관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1.4. 세포배양
Jurkat 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00 units/mL의 페니실린(penicillin)을 함유한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는 10% FBS 및 100 units/mL의 페니실린을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파이퍼롱구민을 0.5, 1.0 및 2.5 μM 농도로 처리 후 2시간 뒤에 추가로 CD3/CD28 activator(10 μL/mL) 또는 LPS(1 μg/mL)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1.5. 조직 염색
30% sucrose 용액에서 보관하던 조직은 동결조직절편기(cryostat microtome)을 이용하여 16 μm로 자른 후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 또는 룩솔 패스트 블루(Luxol fast blue; LFB) 염색을 실시하였다.
1.6. 면역화학염색 및 면역형광염색
30% sucrose 용액에서 보관하던 조직은 동결조직절편기(cryostat microtome)을 이용하여 16 μm로 자른 후 PBS로 세척하였다. 내재성 퍼옥시다제(endogenouse peroxidase)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3%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에서 20분간 반응시켰고, permeabilization을 위해 1% triton X-100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PBS로 세척 후 5% BSA(bovine serum albumin) 용액에서 1시간 동안 블러킹한 뒤 오버나잇으로 1차 항체와 반응시켰다. PBS로 세척 후 IgG-HRP(horseradish peroxidase)가 붙은 2차 항체 또는 형광을 발하는 2차 항체와 1 내지 2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PBS로 세척 후 HRP가 붙은 2차 항체와 반응시킨 조직은 chromogen DAB를 이용하여 반응시킨 후 70-100%의 에탄올에 단계적으로 탈수시키고 자일렌에서 세척 후 커버 슬라이드를 덮었다. 형광을 발하는 2차 항체와 반응시킨 조직은 DAPI를 이용하여 세포핵을 염색시킨 후 커버 슬라이드를 덮어 준비하였다. 결과는 현미경에서 관찰하여 분석되었다.
1.7. 웨스턴블럿팅
척추로부터 분리한 척수조직을 균질화시키고 PRO-PREP을 이용하여 세포질 및 세포핵에 있는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Buffer A(50 mM HEPES, pH 7.4, 10 mM KCl, 1 mM EDTA, 1 mM EGTA, 1 mM dithiothretiol, 0.1 mg/mL PMSF, 1 μg/mL pepstatin A, 1 mg/mL leupeptin, 10 μg/mL soybean trypsin inhibitor, 10 μg/mL aprotinin, 0.5% Nonidet P-40)를 이용하여 세포질에 있는 단백질을 추출하고, buffer C(buffer A+10% glycerol+400 mM KCl)을 이용하여 세포핵 내의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8 내지 15% SDS(sodium dodecyl sulfate)-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polyacrylamide gel)에 각 20-40 μg의 단백질을 로딩하여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을 진행하였고, NC(nitrocellulose) membrane로 단백질을 이동시켰다. 5% 스킴밀크(skim milk)에서 1시간 동안 블러킹시킨 뒤 오버나잇으로 1차 항체와 반응시켰고, TBST로 세척 후 IgG-HRP(horseradish peroxidase)가 붙은 2차 항체와 1-2시간 상온에서 반응시킨다. Enhanced chemiluminescence Western blotting detection system 및 Chemi-doc 기계를 이용해 단백질 밴드를 촬영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1.8. 사이토카인 생성 측정
척추로부터 분리한 척수조직을 균질화시키고 PRO-PREP을 이용하여 세포질 및 세포핵에 있는 단백질을 추출하여 ELISA Kits(R&D systems사)를 이용하여 매뉴얼대로 실험하였다. Jurkat 세포 및 RAW 264.7 세포의 경우 easy-BLUR total RNA extraction kit(intron사)를 이용하여 매뉴얼에 따라 세포로부터 RNA를 추출 후 High 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s(Applied Biosystems사)를 이용하여 매뉴얼에 따라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cDNA는 확인하고자 하는 사이토카인에 맞는 프라이머와 함께 Brilliant III Ultra-Fast Green QPCR Master Mix(Agilent Technologies사)를 이용하여 매뉴얼에 따라 StepOnePlus Real-Time PCR System을 이용하여 CT값을 확인하였다. 최종 mRNA 발현량은 하기 수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수식 1]
ΔΔCT = (CT,targetCT,beta-actin) experimental sample - (CT,targetCT,beta-actin) control sample
실시예 2. MOG(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로 유도된 EAE(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모델의 임상점수(clinical score)에 따른 파이퍼롱구민에 의한 억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다발성 경화증 질환의 동물모델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EAE(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실험적 자가면역 뇌수막염) 모델(MOG35-55에 의해 탈수초화가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파이퍼롱구민의 다발성 경화증의 완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파이퍼롱구민은 마우스 모델에 1.5 mg/kg/일 또는 3.0 mg/kg/일 용량으로 격일간 총 14회 복강 투여하였다(도 1a). EAE 유도일로부터 29일간 마우스의 마비 정도 및 몸무게를 매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마우스에서는 아무런 마비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EAE 모델에서는 최고 점수인 5점을 기준으로 하여 최고 2.38±0.37점까지 증상이 나타났다. 파이퍼롱구민 1.5 mg/kg 투여군은 최고 1.69±0.34점을, 파이퍼롱구민 3.0 mg/kg 투여군은 최고 1.57±0.27점을 기록하며 EAE 모델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도 1b 및 1d). 또한, 마비증상의 정도가 심할수록 체중의 감소량이 커지는데, 대조군 마우스는 실험 시작일로부터 계속 몸무게가 증가한 것에 반해 MOG 투여군들은 몸무게가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파이퍼롱구민을 투여한 군은 EAE만 유도한 군에 비해 전체적으로 몸무게 감소량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c).
실시예 3. 마우스 척수에서 파이퍼롱구민에 의한 MOG-유도의 탈수초(demyelination) 억제 효과
다발성 경화증은 면역세포들이 수초를 이루는 세포인 희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와 관련된 미엘린염기성단백질(Myelin basic protein, MBP) 또는 미엘린 희돌기교세포 당단백질(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을 파괴시켜 뇌 및 척수의 탈수초화가 진행되며 마비 증상이 일어나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척수로의 면역세포의 침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헤마토실린 및 에오신(hematocylin&eosin; H&E) 염색을 실시한 결과 EAE 마우스에서는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척수 조직에서 많은 수의 면역세포가 침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세포의 침투는 파이퍼롱구민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a).
또한, 신경 수초의 파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룩솔 패스트 블루(Luxol fast blue;LFB) 염색을 실시한 결과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EAE 유도 마우스의 척수 조직에서 신경 수초가 많이 파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신경 수초의 파괴는 파이퍼롱구민 투여군에서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b).
수초를 이루는 미엘린염기성단백질(MBP)의 파괴 정도를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해 본 결과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EAE 유도 마우스의 척수 조직에서 미엘린염기성단백질이 많이 파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파괴는 파이퍼롱구민 투여군에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c).
실시예 4. 마우스 척수에서 파이퍼롱구민에 의한 MOG-유도의 면역세포 침투 억제 효과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면역세포 중 T세포의 침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T세포의 마커인 CD3의 발현을 면역형광염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EAE 유도 마우스에서 CD3의 발현이 많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T세포가 척수 조직으로 많이 침투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T세포의 침투는 파이퍼롱구민 투여에 의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a).
또한,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면역세포 중 대식세포의 침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의 마커인 F4/80의 발현을 면역형광염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EAE 유도 마우스에서 F4/80의 발현이 많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식 세포가 척수 조직으로 많이 침투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대식 세포의 침투는 파이퍼롱구민 투여에 의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b).
실시예 5. 파이퍼롱구민에 의한 자극제-유도의 신경교세포(glial cell) 활성의 억제 효과
다발성 경화증이 진행하는 동안 신경 염증에 의하여 신경교세포의 활성 및 분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성상 세포와 미세 아교 세포의 활성에 대한 파이퍼롱구민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마우스 척수 조직에서 성상 세포의 마커인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와 미세 아교 세포의 마커인 Iba1(Ionized calcium binding adaptor molecule 1)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면역형광염색 및 웨스턴블럿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EAE 유도 마우스에서 성상 세포 및 미세 아교 세포의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파이퍼롱구민 투여에 의해 그 활성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a 및 4b). 또한, 두 세포의 분화 모두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EAE 유도 마우스에서 증가하였으나 파이퍼롱구민 투여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c).
실시예 6. 파이퍼롱구민에 의한 자극제-유도의 염증 단백질 생산의 억제 효과
신경 염증의 억제에 의해 MOG 유도 마비 증상에 대한 파이퍼롱구민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염증 반응에 비례하여 발현하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및 COX-2(Cyclooxygenase 2)의 발현을 면역염색 및 웨스턴블럿팅으로 조사하였다.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최고 마비 점수가 가장 높았던 EAE 마우스의 척수 조직에서 iNOS 및 COX-2의 발현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파이퍼롱구민 투여에 의해 그 발현 정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5a 내지 5c).
또한, 다발성 경화증의 주요 원인 세포 중 하나인 대식 세포의 마우스 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염증을 유발하는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한 iNOS와 COX-2가 파이퍼롱구민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5d). 이는 다발성 경화증에서 주요 원인 세포로 생각되는 T세포의 인간 유래 세포주인 Jurkat T세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CD3/CD28 activator로 T세포의 활성을 높여주었을 때 증가한 iNOS와 COX-2의 발현이 파이퍼롱구민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도 5e).
실시예 7. 파이퍼롱구민에 의한 자극제-유도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 억제 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및 IFN-γ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우스 척수 조직으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여 ELISA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EAE 유도 마우스에서 유의적으로 사이토카인이 증가하였으며, 파이퍼롱구민 투여에 의해 EAE 유도 마우스보다 유의적으로 사이토카인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6a 및 6b).
또한, 면역 세포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및 IFN-γ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qPCR을 이용하여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LPS와 파이퍼롱구민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RAW 264.7 세포에서는 LPS에 의해 TNF-α 및 IFN-γ의 mRN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파이퍼롱구민 2.5 μM 농도를 처리한 경우 IFN-γ mRNA는 유의적인 감소가 보이지 않았으나, TNF-α mRNA는 파이퍼롱구민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6c 및 6d).
CD3/CD28 activator와 파이퍼롱구민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Jurkat T세포에서도 RAW 264.7 세포에서와 마찬가지로 activator에 의해 TNF-α 및 IFN-γ의 mRN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파이퍼롱구민 1.0 μM 또는 2.5 μM 농도를 처리한 경우 IFN-γ mRNA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TNF-α mRNA는 파이퍼롱구민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6e 및 6f).
실시예 8. 파이퍼롱구민에 의한 자극제-유도의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활성 억제 효과
NF-κB는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TNF-α, IFN-γ 등)과 염증 유전자(iNOS, COX-2 등)의 발현에 중요한 전사인자이며, NF-κB는 세포질에서 NF-κB/IκBα 복합체로 존재하다가 LPS와 같은 염증 유발 물질에 의해 IκBα가 인산화되며 NF-κB와 p-IκBα로 분리되고, 분리된 p-IκBα는 분해되고 NF-κB는 핵 안으로 이동 후 DNA에 결합하여 염증과 관련된 여러 인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IκBα와 p-IκBα의 세포질에서의 발현과 NF-κB 복합체의 기능성 서브 유닛인 p50, p65의 핵 안에서의 발현을 웨스턴블럿팅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파이퍼롱구민을 처리한 마우스 척수, RAW 264.7 세포 및 Jurkat T세포의 세포질에서는 각각의 activator를 처리한 군보다 IκBα의 발현이 증가한 반면 p-IκBα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핵에서의 p50 및 p65의 발현은 파이퍼롱구민을 처리한 군이 각각의 activator를 처리한 군보다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
실시예 9. NF-κB 억제제(inhibitor) 및 파이퍼롱구민의 병용-처리(co-treatment)에 의한 자극제-유도의 염증 반응 억제 효과
파이퍼롱구민이 NF-κB의 저해에 관련있는지 좀 더 알아보기 위해 RAW 264.7 세포와 Jurkat T세포에 NF-κB의 저해제로 사용되는 PAO(phenylarsine oxide) 및 파이퍼롱구민을 병용 처리한 뒤 qPCR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TNF-α, IFN-γ)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Activator에 의해 증가된 TNF-α 및 IFN-γ의 mRNA는 파이퍼롱구민 또는 PAO 단독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그러나 파이퍼롱구민 및 PAO 병용 처리에 의한 효과는 RAW 264.7 세포에서의 TNF-α mRNA 레벨만이 유의적이었고 RAW 264.7 세포에서의 IFN-γ mRNA 및 Jurkat T세포에서의 TNF-α 및 IFN-γ의 mRNA은 감소는 하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도 8a 내지 8d). iNOS 및 COX-2 단백질의 발현 정도는 웨스턴블럿팅으로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 및 Jurkat T세포에서 activator에 의해 증가된 iNOS 및 COX-2는 파이퍼롱구민 또는 PAO 단독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고, 파이퍼롱구민 및 PAO 병용 처리에 의해 대조군과 비슷한 정도까지 iNOS와 COX-2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e 및 8f).

Claims (5)

  1. (a) T세포에 CD3/CD28 활성제(activator)를 처리하거나 대식세포에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T세포 또는 대식세포에 후보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b)의 후보물질이 접촉된 T세포 또는 대식세포의 세포질에서 IκBα 또는 p-IκBα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b)의 후보물질이 접촉된 T세포 또는 대식세포의 핵에서 p50 또는 p65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의 IκBα 발현량을 증가시키거나 p-IκBα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의 p50 또는 p65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NF-κB 억제제(inhibitor)의 병용 처리에 의한 사이토카인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물질은 파이퍼롱구민(piperlongum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095375A 2018-08-16 2018-08-16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199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375A KR101993095B1 (ko) 2018-08-16 2018-08-16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375A KR101993095B1 (ko) 2018-08-16 2018-08-16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199A Division KR101910733B1 (ko) 2017-03-27 2017-03-27 파이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773A true KR20180109773A (ko) 2018-10-08
KR101993095B1 KR101993095B1 (ko) 2019-06-25

Family

ID=6386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375A KR101993095B1 (ko) 2018-08-16 2018-08-16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209B1 (ko) 2021-03-05 2023-08-31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유래 비사포닌 성분을 포함하는 다발성경화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7661A (ko)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추출물의 사포닌 분획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F.D. Lublin, S.C. Reingold, Defining the clinical course of multiple sclerosis: results of an international survey. National Multiple Sclerosis Society (USA) Advisory Committee on Clinical Trials of New Agents in Multiple Sclerosis, Neurology 46(4) (1996) 907-11.
[10] Son, D.J., et al., Piperlongumine inhibits atherosclerotic plaque formation and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bt suppressing PDGF receptor signaling.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12, 427(2), p.349-354
[11] Han, S.S., et al., Piperlongumin inhibits proliferation and survival of Burkitt lymphoma in vitro. Leukemia research, 2013. 37(2): p.146-154
[12] GinZburg, S., et al., Piperlongumine inhibits NF-κB activity and attenuates aggressive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state cancer cells. Prostate, 2014. 74(2): p.177-186
[2] J. Goverman, Autoimmune T cell respons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Nat Rev Immunol 9(6) (2009) 393-407.
[3] J. Patel, R. Balabanov, Molecular mechanisms of oligodendrocyte injury in multiple sclerosis and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Int J Mol Sci 13(8) (2012) 10647-59.
[4] : Yeo, S.J., J.G. Yoon, and A.K. Yi, Myeloid differentiation factor 88-dependent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cyclooxygenase-2 expression by CpG DNA: tumor necrosis factor-alpha receptor-associated factor 6, a diverging point in the Toll-like receptor 9-signaling. J Biol Chem, 2003. 278(42): p. 40590-600.
[5] : Kim, Y.M., et al., Upstream NF-kappaB site is required for the maximal expression of mous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gene in interferon-gamma plus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macrophag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7. 236(3): p. 655-60.
[6] P.L. Vieira, H.C. Heystek, J. Wormmeester, E.A. Wierenga, M.L. Kapsenberg, Glatiramer acetate (copolymer-1, copaxone) promotes Th2 cell development and increased IL-10 production through modulation of dendritic cells, J Immunol 170(9) (2003) 4483-8.
[7] I. Hwang, D. Ha, D.S. Kim, H. Joo, Y. Jee, Glatiramer acetate inhibits the activation of NFkappaB in the CNS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51(3) (2011) 217-225.
[8] Hu, N., et al., Nutrition and the risk of Alzheimer's disease. Biomed Res Int, 2013. 2013: p. 524820.
[9] Rai, L., et al., Selective killing of cancer cells by a small molecule targeting the stress response to ROS. Nature, 2011. 475(7355): p.231-234
Cold Spring Harb Perspect Biol 2009;1:a001651 *
Experimental Neurology 157, 359-365(1999) *
Front. Mol. Neurosci. 9:84(2016. 09. 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095B1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733B1 (ko) 파이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330421A1 (e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acylglycer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inhibiting blood cancer or metastasis
KR101993095B1 (ko)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1953298B1 (ko) 우르소데옥시콜산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척수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28602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US11376233B2 (en) Composition, containing sarpogrelat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sensorineural hearing loss
KR101831947B1 (ko)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0818A (ko) 초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감소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734618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soriasis containing monoacetyl diacylglycerol compound
EP3210602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ramalin
KR101705361B1 (ko) Egcg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쇼그렌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강직성척추염 또는 루프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1688B1 (ko) Taz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86429A (ko)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흥분독성 또는 시냅스 기능 장애에 의한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20190016737A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급성 폐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7240B1 (ko) 라말린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9466B1 (ko) microRNA를 이용한 전정장애 진단 및 치료
KR101491914B1 (ko) 귀전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114216B1 (ko) 보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신경계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4816B1 (ko) 구아나벤즈를 포함하는 식욕부진증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30027422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재생 및 근육 질환 치료용 조성물
Kuczyńska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novel natural plant extracts composition—Levidor
Ebiya et al. Protective Role of Nano-Quercetin and Different Natural Extracts against Cardiotoxicity Induced by Glucocorticoids (Anti-COVID-19 Drugs): Molecular and Biochemical Studies
KR101606266B1 (ko) 피트모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JP2021042198A (ja) 聴覚機能改善用組成物
CN117205187A (zh) 2,2’-亚甲基双在制备镇痛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