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698B1 -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698B1
KR101616698B1 KR1020150003709A KR20150003709A KR101616698B1 KR 101616698 B1 KR101616698 B1 KR 101616698B1 KR 1020150003709 A KR1020150003709 A KR 1020150003709A KR 20150003709 A KR20150003709 A KR 20150003709A KR 101616698 B1 KR101616698 B1 KR 101616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air
vehicle
air
transfer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태
Original Assignee
김이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태 filed Critical 김이태
Priority to KR102015000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60H2001/000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는 차량의 공조시스템에 의해 차량 내부에 공급하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차량 외부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외형은 주름진 자바라 형식의 관모양으로 형성되고, 길이와 모양이 변형 가능하며, 공조시스템에 의해 차량 내부에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로(路)가 내부에 형성된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과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 상기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차량의 공조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냉/온풍이 흘러나오는 차량 내부에 형성된 송풍구(에어벤트)와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을 연결하는 송풍구 연결수단(30); 상기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일단에 형성되며, 내부에서 공급된 냉/온풍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냉/온풍 배출수단(40);상기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의 타단(송풍구 연결수단이 형성되는 반대측)과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타단(냉/온풍 배출수단이 형성되는 반대측)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는 냉/온풍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차량 유리창과 도어틀에 의해 차량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50); 상기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일측(냉/온풍 배출수단이 형성되는 인접부분)에 형성되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배출공(60)과 외부로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여러방향으로 나누어 공급하는 분배기(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VEHICLE- MOUNTED COLD/HOT AIR OUTSIDE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냉난방 공조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의 외부로 유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냉/온풍 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의 공조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냉/온풍은 차량 내부에서만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냉/온풍을 차량 외부로 유도하여 차량외부에서도 차량 내부의 냉/온풍을 이용할수 있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 온도 조절을 위한 냉난방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가 구비되어 있다.이러한 자동차 공조장치에서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실내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하여 블로어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에어컨 장치로 통과시켜 냉각시키거나 히터 장치로 통과시켜 가열시킨 후 덕트를 통해 실내 각 위치로 공급하게 된다.이때, 운전자나 승객은 냉/온풍 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냉풍 또는 온풍을 선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냉풍 또는 온풍이 선택되면, 히터 유닛에서는 냉/온풍 절환도어가 개폐되면서 냉풍통로 또는 온풍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 블로어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냉풍통로와 온풍통로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면서 냉각되거나 가열된 후 덕트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어진다.
통상, 자동차에서는 냉풍 또는 온풍을 자동차의 크레쉬 패드 전면에 설치된 에어벤트(차량 냉/온풍 송풍구)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중대형 승용차나 RV 차량에서는 후방 시트의 냉/난방 효과를 높여주기 위해 리어 히팅 덕트(rear heating duct)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리어 히팅 덕트를 통해 냉풍 또는 온풍을 후방 시트쪽으로 안내하여 토출시키고 있다.즉, 리어 히팅 덕트란 크래쉬 패드 내부 하측으로 장착된 공조장치로부터 나온 냉풍 또는 온풍을 후방 시트로 보내는 덕트를 말하며, 이는 현재 차량 후방 시트만을 위한 별도 공조장치가 없는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차량의 냉/난방 공조장치를 통해 생성된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실내의 전방이나 후방에 설치된 에어벤트를 통해 차량 내부에만 공급함으로 차량내부에 탑승한 사람들에게 냉풍이나 온풍을 공급해 왔다. 즉, 차량의 냉/온풍 공조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탑승한 사람들에게 온풍이나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편의 장치이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차량 외부에 있는 사람들에게 냉풍이나 온풍을 공급해 주어야 할 상황에서는 기존의 차량의 공조 시스템으로는 냉/온풍을 외부로 공급하기란 불가능 했고, 차량 외부에 있는 사람이 냉풍이나 온풍이 필요한 경우 차량 내부로 탑승해 냉풍이나 열풍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외부에서 이용해야할 상황이란, 예를들어 더운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날 음주단속이나 검문검색을 장시간 교통경찰들이 하게 되는데 음주단속이나 검문검색시 단속에 직접 참여하는 경찰과 만일의 상황(단속이나 검문에 불응하고 도주하는 경우등)에 대처하기 위해 대기하는 경찰로 나뉘고, 대기하는 경찰은 시동이 켜진 대기 차량 밖에서 만일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대기하게 된다. 이때, 대기 차량은 시동이 켜진 상태로 대기하고 있게 되는데, 더운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철에는 공조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냉풍이나 온풍이 아무도 없는 차량 내부에 쓸데없이 공급되어 진다. 그러나 차량 옆에 대기하고 있는 경찰은 덥거나 추워도 차량 내부로 탑승해 냉풍이나 온풍을 이용할 수 없다.(업무 규칙상) 따라서, 만일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대기 상태로 시동이 켜진 자동차 내부에는 아무도 이용하지 않는 버려지는 냉풍이나 열풍이 존재한다.
또한, 더운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철 타이어가 펑크가 났다거나, 스노우체인을 감기 위해 사람이 차량 밖으로 이동해 일정시간 동안 추위와 더위를 이겨내가며 작업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경우 차량내부에는 열풍이나 온풍이 공급되고 있지만, 정작 차량 밖에서 작업하는 사람은 차량 내부의 열풍이나 냉풍을 공급 받을 수 없어 더위나 추위를 참아가며 작업을 해야만 했다.
이상과 같이 기존의 차량 냉/난방 공조시스템으로는 차량 내부의 탑승자들에게만 냉풍이나 온풍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차량 외부의 사람에게 냉풍이나 온풍을 제공할 수 없다는 불편함과 에너지 낭비적 요인이 있어왔다.
선행기술문헌인 공개특허 10-2005-0110134호(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는 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 편의를 위하여 종래 별개 덕트로 구비되어 시트 크로스 멤버에 끼워지던 리어 덕트를 삭제하고, 그 대신 이 리어 덕트에 해당하는 부분을 리어 히팅 덕트에 일체로 성형하되 이와 함께 중간 부분에는 자바라 구조를 일체 성형하여 구비시킨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며,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자바라 부분을 적절히 구부린 상태로 하여, 리어 히팅 덕트를 시트 크로스 멤버에 직접 삽입 고정 가능하고, 또한 보다 용이하게 히터 유닛이나 조인트 덕트에 연결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인 공개특허 10-2005-110134호는 공조시스템에서 생성된 냉풍이나 열풍의 공급 통로를 자바라 구조로 하여 차량 내부의 리어시트 부분에 공급하는 것이어서 본 발명과는 구성적 차이 뿐만 아니라,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전혀 상이하다. 또 다른 선행기술 문헌인 공개실용 1999-6817호(버스의 운전자 창문용 디프로스터 구조)는 버스의 운전자 창문용 디프로스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용 창문에 발생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 필라커버 외측면에 여러 부품이 부착됨으로써 발생되었던 종래 고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버스의 전방필라 내측면에 필라커버와 지지패널이 융착됨으로써 형성되는공간부를 냉.온풍의 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버스의 운전자 창문용 디프로스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인 공개실용 1999-6817호 역시 공조시스템에서 발생한 냉풍이나 온풍을 이용한다는 기술사상은 본 발명과 유사하지만 온풍이나 냉풍을 차량 외부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내부의 필요장소에 공급하는 것이서 기술사상이 전혀 다르고 구성적 차이와 목적에 있어서도 전혀 상이한 선행기술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공조시스템에 의해 생성되어 차량 내부에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외부로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에 공급되어지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내부뿐만 아니라 차량 외부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공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차량 외부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종래에는 버려지던 차량 내부의 냉풍이나 온풍을 외부로 공급하여 활용함으로 에너지 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 외부의 사람에게도 차량 내부의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차량 공조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온풍이나 냉풍을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는 외형은 주름진 자바라 형식의 관모양으로 형성되고, 길이와 모양이 변형 가능하며, 공조시스템에 의해 차량 내부에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로(路)가 내부에 형성된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과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 상기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차량의 공조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냉/온풍이 흘러나오는 차량 내부에 형성된 송풍구(에어벤트)와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을 연결하는 송풍구 연결수단(30); 상기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일단에 형성되며, 내부에서 공급된 냉/온풍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냉/온풍 배출수단(40);상기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의 타단(송풍구 연결수단이 형성되는 반대측)과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타단(냉/온풍 배출수단이 형성되는 반대측)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는 냉/온풍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차량 유리창과 도어틀에 의해 차량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50); 상기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일측(냉/온풍 배출수단이 형성되는 인접부분)에 형성되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배출공(6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는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이 길이와 모양이 변형된 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 스프링형태의 철심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는 송풍구 연결수단(30)이 냉/온풍이 흘러나오는 차량의 송풍구(에어벤트)와 접촉 연결되며,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에 대응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송풍구와 접하는 테두리 부분에는 탄성수단(31)이 부착되어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의 밀착력에 의한 탄성력으로 송풍구와 제1 냉/온풍 공급수단이 상호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의 냉/온풍 배출수단(40)에는 밀폐수단(41)과 힌지결합수단(42)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밀폐수단(41)과 냉/온풍 배출수단(40)은 힌지결합수단(42)에 의해 힌지결합 되어, 상기 냉/온풍 배출수단은 상기 밀폐수단에 의해 오픈되기도 하고 닫히기도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는 고정수단(50)의 상측면(도어틀과 접하는 부분)에는 제1홈(51)이, 하측면(유리창과 접하는 부분)에는 제2홈(52)이 형성되며, 제1홈은 도어틀의 폭을 수용할 수 있는 폭을 갖는 일정 깊이의 홈이고, 제2홈은 유리창의 단면을 수용할 수 있는 폭을 갖는 일정 깊이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의 복수의 배출공(60)들은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구멍 크기가 가장 큰 배출공이 냉/온풍 배출수단의 가장 가까운곳에 형성되고, 냉/온풍 배출수단에서 멀어질 수록 점점 구멍 크기가 작은순으로 배출공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는 분배기(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는 냉/온풍 배출수단(40)이 밀폐수단(41)에 의해 오픈 되었을때 냉/온풍 배출수단(40)에 연결되어, 냉/온풍을 여러 방향으로 분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의 고정수단(50)에는 냉/온풍을 차량 내부에서 외부로 강제적으로 송풍시킬수 있는 송풍수단(53)과 송풍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54), 전원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55)를 더 포함하며, 특히 상기 송풍수단(53)은 고정수단(5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공조시스템에 의해 차량 내부에 공급하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내부 뿐만 아니라 차량 외부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 에너지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고, 차량 외부에서도 차량 내부의 냉풍이나 온풍을 이용할 수 있어 추운 겨울철이나 더운 여름철 차량 외부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차량 내부의 냉풍이나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따뜻하거나 시원한 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 작업효율을 배가 시킬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송풍구 연결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냉/온풍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4a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이 제1,2 냉/온풍 이송수단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 낸 도면
도4b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배출공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분배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전체를 도시한 것으로 도1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인 냉/온풍 외부공급장치는 제1,2 냉/온풍 이송수단(10,20), 송풍구 연결수단(30), 냉/온풍 배출수단(40),고정수단(50),배출공(60), 분배기(70)(미도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냉/온풍 이송수단(10,20)은 차량의 공조시스템에서 발생되어 차량 내부로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냉/온풍의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구성수단이고, 송풍구 연결수단(30)은 차량 내부로 냉풍이나 온풍을 배출시키는 차량에 설치된 송풍구(에어밴트)에 연결되어, 공조시스템에 의해 차량내부로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본 발명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 내부로 인입 시키도록 하는 구성수단이며, 냉/온풍 배출수단(40)은 차량에 설치된 송풍구(에어벤트)에 연결된 상기의 송풍구 연결수단을 통해 인입받은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외부로 배출하여 차량 외부의 사용자가 냉/온풍을 이용할수 있도록 하는 구성수단이며, 고정수단(50)은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능과, 본 발명인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 전체가 차량에 지지되도록 차량 도어의 도어틀과 유리창 사이에 끼워지는 구성수단이며, 배출공(60)은 냉/온풍배출수단(40)과 함께 차량 외부로 냉풍이나 온풍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며, 분배기(70)는 외부로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여러 방향으로 나누어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하에서는 도1내지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수단들에 대한 기능과 구성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도면부호 10과 20 참조), 도2(도면부호10 참조), 도5(도면부호 20)는 제1,2 냉/온풍 이송수단(10,20)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차량에 설치될 시,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은 차량의 외부에 위치되며, 고정수단(50)에 의해 제1,2 냉/온풍 이송수단(10,20)은 상호 연결된다. 즉, 제1 냉/온풍 이송수단의 일단과 제2 냉/온풍 이송수단의 일단이 고정수단에 각각 연결되어진다.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의 외형은 주름진 자바라 형식의 관모양으로 형성되고, 자바라 특성에 의해 길이와 모양이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은 공조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차량 내부로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외부로 공급하는 공기로(路) 역할을 수행한다.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의 외형은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등 여러 가지로 변형가능하며, 직사각형 모양의 관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유는 후술하게될 고정수단(50)에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이 연결되어지기 때문에 고정수단의 모양(고정수단의 모양이 직사각형 모양이 바람직함은 후술하게됨)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의 외형이 구성되어짐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고정수단의 모양에 관계없이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의 외형은 원형을 포함해 여러가지로 변형 가능함을 알아야 한다.
또한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은 자바라 형식의 외형을 갖고 있어 필요에 따라 길이가 변형 가능하고, 그 모양도 직선형,C자형, S자형등 여러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1,2 냉/온풍 이송수단 내측에는 철심이 형성되어 있어(도1의 화살표 그림 참조) 길이와 모양이 변형 된후 일정하게 그 길이와 모양이 유지된다.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의 길이와 모양이 변형된 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통상 본 발명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를 차량의 도어에 고정 시키게 되면, 제1 냉/온풍 이송수단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1 냉/온풍 이송수단의 일단에 형성된 송풍구 연결수단(30)이 차량의 송풍구(에어벤트)에 접촉 연결되도록 제1 냉/온풍 이송수단의 길이와 모양을 변형시킨다. 이후 차량의 도어를 필요에 의해 열고 닫게 되는데, 이때 길이와 모양이 유지되어야 차량 도어를 열고 닫았을때 원래대로 차량의 송풍구(에어벤트)와 송풍구 연결수단(30)이 접촉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2 냉/온풍 이송수단은 차량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 모양과 길이역시 제1 냉/온풍 이송수단과 같이 필요에 따라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일단에는 후술하게될 냉/온풍 배출수단(40)이 연결되어 진다.
도2는 송풍구 연결수단(30)을 도시한 것으로, 송풍구 연결수단은 탄성수단 (31)을 포함하며, 송풍구 연결수단은 차량의 송풍구(에어밴트)에 연결된다.
송풍구 연결수단(30)은 차량 내부에 형성된 송풍구(에어벤트)와 밀착 접촉 연결되어 송풍구를 통해 흘러 나오는 냉풍이나 온풍을 제1 냉/온풍 이송수단으로 인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풍구 연결수단(30)의 모양은 제1 냉/온풍 이송수단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이고, 그 단면적은 차량의 송풍구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구 연결수단(30)의 테두리 부분(송풍구가 설치되는 차량의 대쉬보드 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송풍구 연결수단이 차량의 송풍구와 접촉시 밀착접촉력을 갖기 위한 탄성수단(3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스펀지나 고무재질로서 형성되며, 자바라 형식의 제1 냉/온풍 이송수단의 모양과 길이를 변형시켜 송풍구 연결수단을 차량의 송풍구에 접촉시키는 경우,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작용(수축작용)에 의해 제1 냉/온풍 이송수단에 연결된 송풍구 연결수단은 송풍구에 밀착하여 접촉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구와 송풍구 연결수단간 틈이 생기지 않아 냉풍이나 온풍이 온전히 제1 냉/온풍 이송수단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도3는 냉/온풍 배출수단(40)을 도시한 것으로, 냉/온풍 배출수단(40)은 제2 냉/온풍 이송수단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1,2 냉/온풍 이송수단(10,20)과 고정수단(50)을 통과한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냉/온풍 배출수단(40)에는 밀폐수단(41)과 힌지결합수단이(42) 더 형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냉/온풍 배출수단(40)은 밀폐수단(41)에 의해 오픈되거나 닫히게 된다. 상기 냉/온풍 배출수단(40)과 밀폐수단(41)은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특히 스프링에 의한 힌지결합이 바람직하다.
밀폐수단(41)에 의해 냉/온풍 배출수단이 오픈되는 경우, 냉풍이나 온풍은 주로 냉/온풍 배출수단의 열려진 단면을 통해 외부로 공급되며, 밀폐수단에 의해 냉/온풍 배출수단이 닫히는 경우 후술하게될 다수의 배출공(60)을 통해 냉풍이나 온풍이 외부로 공급된다.
도4를 통해 본 발명의 고정수단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4a는 고정수단 양측에 제1,2 냉/온풍 이송수단(10,20)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4b는 고정수단(50)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4b는 고정수단(50)을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고정수단(50)은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양측에는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냉풍이나 온풍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면에는 제1홈(51)이 하측면에는 제2홈(5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차량의 도어틀과 유리창에 의해 차량 도어에 설치되는 구성이어서 그 단면이 직사각형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특히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단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도어틀과 유리창 사이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것이어서 고정수단 높이(세로길이)만큼 창문 유리창이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고정수단 높이(세로길이)가 작을수록 차량 의 창문이 적게 내려가게 되고 유리창이 적게 내려갈수록 차량 내부의 냉/난방 효과에 덜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2홈(51,52)은 고정수단이 차량의 도어틀이나 유리창과의 상호 결합을 돕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홈(51)은 고정수단이 도어틀(차량 도어의 윗부분으로 유리창이 올려지면서 맞닿는 부분)과 접촉 결합하기 위한 부분으로 도어틀의 폭에 해당하는 폭과 일정 깊이를 갖는다. 제2홈(52)은 고정수단이 유리창과 상호 접촉 결합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 유리창의 단면에 해당하는 폭과 일정 깊이를 갖는다. 따라서 제1,2홈(51,52)이 형성된 고정수단(50)을 차량의 도어틀과 유리창 사이에 끼움 결합하고 유리창을 올리게 되면 그 압박력에 의해 도어틀은 제1홈에 유리창은 제2홈에 각각 삽입 결합하게 되어 고정수단은 차량의 도어 부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수단의 일 실시예는 고정수단에 강제로 냉풍이나 온풍을 이송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 없이 단순히 송풍구에서 흘러나오는 냉풍이나 온풍의 힘만으로 냉풍이나 온풍을 외부로 공급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하에서는 또다른 고정수단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고정수단에는 송풍수단(53)과 전원공급수단(54)과 온/오프 스위치(5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공급수단(54)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시거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송풍수단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며, 온/오프 스위치(55)는 전원공급수단에 의해 송풍수단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의 연결과 차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풍수단(53)은 전원공급수단(54)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고정수단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통해 흐르는 냉풍이나 온풍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더 강하게 흐로도록 동작한다. 차량 내부의 공조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냉풍이나 온풍은 송풍구를 통해 흘러나오게 되고 그 흘러나오는 힘만으로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을 거쳐 외부로 공급된다. 송풍구를 통해 흘러나오는 유속을 최대로 설정하더라도 제1,2 냉/온풍 이송수단을 거쳐 외부로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의 유속은 만족스럽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수단(53)을 이용하여 냉풍이나 온풍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빨리하면 냉풍이나 온풍의 유속이 빨라져 차량 외부에서 만족스런 냉풍이나 온풍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수단은 송풍팬인 것이 바람직한다.
도5는 배출공(60)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배출공은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일측, 구체적으로 말하면 냉/온풍 배출수단에 인접한 제2 냉/온풍 이송수단의 일측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은 냉/온풍 배출 수단이 밀폐수단에 의해 닫혔을때 냉풍이나 온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배출공은 복수개 형성되며 그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르다. 가장 큰 구멍이 냉/온풍 배출수단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고, 냉/온풍 배출수단에서 멀어질 수록 구멍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냉/온풍 이송수단의 외관이 직사각형 모양인 경우 동일크기의 구멍이 최소 1군데에서 최대 4군데 형성 될 수 있고, 제2 냉/온풍 이송수단의 외관이 원형이나 기타 다른 모양인 경우 필요에 의해 동일 크기의 배출공을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로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의 방향은 한 방향(배출수단의 오픈된 단면이 향하는 방향)으로만 제공된다. 여러 방향으로 냉풍이나 온풍을 제공하고자 할때, 냉/온풍 배출수단을 밀폐수단에 의해 닫히게 하면 냉풍이나 온풍은 제2 냉/온풍 이송수단의 말단 사방에 형성된 배출공들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냉풍이나 온풍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또한 배출공을 통해 냉풍이나 온풍을 배출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자바라 부분을 수축시키면 배출공을 통해 냉/온풍이 배출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2 냉/온풍 공급수단은 자바라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배출공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를 수축시키면 배출공은 자바라 구조로 인해 배출공이 사라지는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6은 분배기(7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분배기는 냉/온풍 배출수단(40)을 통해 배출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여러 방향으로 나누어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냉/온풍 배출수단(40)이 밀폐수단에 의해 오픈되면 냉풍이나 온풍은 상기에서 언급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기도 하고, 오픈된 냉/온풍 배출수단의 단면을 통해서도 배출된다
상기 분배기는 냉/온풍 배출수단에 연결되어 냉/온풍 배출수단으로 배출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여러 방향으로 나누어 냉/온풍을 제공한다.
상기 분배기(70)는 도6에 나타나 있듯이 문어발 형상의 모양으로, 냉/온풍 배출수단(40)에 연결되는 연결구(71)와 냉풍이나 온풍을 여러 방향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분배호스(7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배출공(60)이나 분배기(70)는 냉풍이나 온풍을 여러 방향으로 나누어 공급한다는 측면에서는 같은 기능을 담당하지만, 분배기(70)의 경우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냉/온풍 배출수단이 닿지 않는 미세하고 세세한 부분(예를들어 신발속이나 장갑속 등)에도 냉풍이나 온풍을 직접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배출공과 기능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과 구성적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전체적인 동작특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중 하나인 고정수단(50)을 차량의 창문틈에 끼운다음 창문 유리창을 올려 밀착 고정 설치하고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 일단에 형성된 송풍구 연결수단(30)을 차량의 송풍구(에어벤트)에 밀착 시킨다. 이때 자바라 구조인 제1 냉/온풍 이송수단의 길이와 모양을 변형시켜 송풍구 연결수단을 송풍구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차량에 본 발명인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차량 내부에 설치된 송풍구를 통해 흘러나오는 냉풍이나 온풍은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을 거쳐 고정수단(50) 내부를 관통하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제2 냉/온풍 이송수단을 거친후 최종적으로 배출공(60)이나 냉/온풍 배출수단(40)을 통해 냉/온풍이 외부로 공급된다.
필요에 따라 고정수단(50)에 설치된 송풍수단(53)을 작동시키면 송풍구에서 흘러나오는 냉풍이나 온풍의 유속보다 더 빠르게 냉풍이나 온풍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냉/온풍 배출수단(40)에 형성된 밀폐수단(41)을 이용하여 배출수단을 오픈 시킨후 분배기(70)를 연결시키면 냉/온풍을 여러 방향으로 분배하여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하고 세세한 부분인 신발이나 장갑속에도 냉/온풍을 공급할 수 있게된다. 이때 배출공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를 수축시키면(배출공이 사라지게 하면) 분배기를 통한 냉/온풍 공급의 효과가 더욱 강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외부로 공급함으로 차량 외부에서도 차량 내부의 냉풍이나 온풍을 이용할 수 있음을 기본적 기술사상으로 하며, 상술한 사항들은 예시적인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냉/온풍 이송수단, 20:제2 냉/온풍 이송수단
30:송풍구 연결수단 31:탄성수단
40:냉/온풍 배출수단 41:밀폐수단 42:힌지결합수단
50:고정수단 51:제1홈 52;제2홈 53)송풍수단
54:전원공급수단 55:온/오프 스위치
60:배출공
70:분배기 71:연결구 72:분배호스

Claims (10)

  1. 차량의 공조시스템을 통해 차량 내부에 공급되는 냉/온풍 공기를 차량 외부로 공급하여 이용하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에 있어서,
    외형은 주름진 자바라 형식의 관모양으로 형성되고, 길이와 모양이 변형 가능하며, 공조시스템에 의해 차량 내부에 공급되는 냉풍이나 온풍을 차량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로(路)가 내부에 형성된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과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
    상기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차량의 공조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냉/온풍이 흘러나오는 차량 내부에 형성된 송풍구(에어벤트)와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을 연결하는 송풍구 연결수단(30);
    상기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일단에 형성되며, 내부에서 공급된 냉/온풍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냉/온풍 배출수단(40);
    상기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의 타단(송풍구 연결수단이 형성되는 반대측)과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타단(냉/온풍 배출수단이 형성되는 반대측)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는 냉/온풍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차량 유리창과 도어틀에 의해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수단(50);
    상기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일측(냉/온풍 배출수단이 형성되는 인접부분)에 형성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배출공(6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50)의 상측면(도어틀과 접하는 부분)에는 제1홈(51)이, 하측면(유리창과 접하는 부분)에는 제2홈(52)이 형성되며, 제1홈은 도어틀의 폭을 수용할 수 있는 폭을 갖는 일정 깊이의 홈이고, 제2홈은 유리창의 단면을 수용할 수 있는 폭을 갖는 일정 깊이의 홈인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배출공(60)들은 상기 제2 냉/온풍 이송수단(20)의 일측에 연결된 자바라 부분에 형성되며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구멍 크기가 가장 큰 배출공이 냉/온풍 배출수단(40)의 가장 가까운곳에 형성되고, 냉/온풍 배출수단(40)에서 멀어질 수록 점점 구멍 크기가 작은순으로 배출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 부분의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배출공(60)들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냉/온풍 이송수단(10,20)은 길이와 모양이 변형된 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 스프링형태의 철심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 연결수단(30)은 냉/온풍이 흘러나오는 차량의 송풍구와 접촉 연결되며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송풍구와 접하는 테두리 부분에는 탄성수단(31)이 부착되어 제1 냉/온풍 이송수단(10)의 밀착력에 의한 탄성력으로 송풍구(에어벤트)와 제1 냉/온풍 이송수단이 상호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배출수단(40)에는 밀폐수단(41)과 힌지결합수단(42)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밀폐수단(41)과 냉/온풍 배출수단(40)은 힌지결합수단(42)에 의해 힌지결합 되어, 상기 냉/온풍 배출수단은 상기 밀폐수단에 의해 오픈되기도 하고 닫히기도 하는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장치는 분배기(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는 냉/온풍 배출수단(40)이 밀폐수단(41)에 의해 오픈 되었을때 냉/온풍 배출수단(40)에 연결되어, 냉/온풍을 여러 방향으로 분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은 냉/온풍을 차량 내부에서 외부로 강제적으로 송풍시킬수 있는 송풍수단(53)과 송풍수단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54)과 송풍수단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5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수단(53)은 고정수단의 내부 공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53)은 송풍팬인것에 특징이 있고 전원공급수단(54)은 차량에 설치된 시거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냉/온풍 이송수단(10,20)의 외형은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중 어느 하나인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KR1020150003709A 2015-01-09 2015-01-09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KR101616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709A KR101616698B1 (ko) 2015-01-09 2015-01-09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709A KR101616698B1 (ko) 2015-01-09 2015-01-09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698B1 true KR101616698B1 (ko) 2016-04-29

Family

ID=5591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709A KR101616698B1 (ko) 2015-01-09 2015-01-09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4921A (zh) * 2022-02-16 2022-05-10 中化国际(控股)股份有限公司 电池柜风道组件和电池柜
DE102022130408A1 (de) 2022-11-17 2024-05-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ntagefreundliche Rohrverbindungs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r fluidischen Verbindung sowie Montageverfahr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349A (ja) * 1999-09-01 2001-03-27 Shengzhou Enterp Co Ltd 自動車内の冷熱風供給装置
JP2002154316A (ja) * 2000-11-22 2002-05-28 Haiberu:Kk 送風案内吹出し装置
KR20050110134A (ko) 2004-05-18 2005-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
KR100554044B1 (ko) 1998-03-02 2006-02-22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제조용 보유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044B1 (ko) 1998-03-02 2006-02-22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제조용 보유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1080349A (ja) * 1999-09-01 2001-03-27 Shengzhou Enterp Co Ltd 自動車内の冷熱風供給装置
JP2002154316A (ja) * 2000-11-22 2002-05-28 Haiberu:Kk 送風案内吹出し装置
KR20050110134A (ko) 2004-05-18 2005-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4921A (zh) * 2022-02-16 2022-05-10 中化国际(控股)股份有限公司 电池柜风道组件和电池柜
DE102022130408A1 (de) 2022-11-17 2024-05-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ntagefreundliche Rohrverbindungs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r fluidischen Verbindung sowie Montageverfahr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89564A (en) Air-conditioning devices for automobile vehicles
KR101616698B1 (ko) 차량용 냉/온풍 외부 공급 장치
GB2070763A (en) Demisting vehicle door windows
US6902473B1 (en) Vehicle ventilation conduit system
JP438771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425084B2 (ja) 自動車のルーフサイドダクト
CN102101428A (zh) 一种设置在公共汽车上的换气系统
CN201721284U (zh) 汽车空调总成
CN109747373A (zh) 车辆用空调装置
CN210116357U (zh) 用于车辆的空调总成及具有其的车辆
US20180339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fogging windows of a motor vehicle
JPH0659109U (ja) 車両の空調装置
CN211493906U (zh) 一种车载手机冷却装置和车辆
CN213472726U (zh) 吹风装置出口、车载空调和车辆
KR20170002012A (ko) 자동차용 시트
US6439293B1 (en) Climate control curtain for automobiles
JP2005059801A (ja) 乗用車の空気案内構造
JP3231816U (ja) 車内パーティション
JPH0116687Y2 (ko)
KR100602680B1 (ko) 글로브 박스의 공조장치
CN215752226U (zh) 一种车用a立柱饰板总成
KR101936858B1 (ko) 자동차의 공조 덕트
DE102022114414A1 (de) Erweitertes Belüftungssystem für ein Elektrofahrzeug
JP4160432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面冷房構造
KR200217960Y1 (ko) 철도차량용 에어콘 확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