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858B1 - 자동차의 공조 덕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조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858B1
KR101936858B1 KR1020120046390A KR20120046390A KR101936858B1 KR 101936858 B1 KR101936858 B1 KR 101936858B1 KR 1020120046390 A KR1020120046390 A KR 1020120046390A KR 20120046390 A KR20120046390 A KR 20120046390A KR 101936858 B1 KR101936858 B1 KR 101936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inlet
air conditioner
conn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169A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6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858B1/ko
Priority to CN201310091920.4A priority patent/CN103381744B/zh
Publication of KR2013012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 덕트는, 공조기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윈드쉴드 글래스 방향으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디프 덕트, 상기 공조기와 연통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커넥트 덕트 및 상기 디프 덕트의 유입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트 덕트의 유입부와 상기 공조기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트 덕트는 상기 디프 덕트 및 보강부 보다 가볍고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공조 덕트{AIRCONDITIONER DUCT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벼운 재질로 자동차의 자중을 줄이며,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의 공조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실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기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기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실 내로 토출하는 커넥트 덕트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다.
또한,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부터 전방에는 외부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이물질, 비, 눈 및 바람 등이 차실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윈드쉴드 글래스가 배치된다.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는 에어컨을 작동시켜서 차실 내의 온도를 낮추거나 높이고 있다. 하지만, 에어컨 작동 시 차실 내와 차실 밖의 온도차로 인해,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에 습기 또는 빙설이 맺히는 경우가 있다.
디프 덕트는 윈드쉴드 글래스에 맺혀진 습기 또는 빙설을 제거하기 위해 공조기와 연결되어 윈드쉴드 글래스에 공조된 공기를 토출한다.
자동차의 연비를 위해서 커넥트 덕트는 디프 덕트 보다 가볍고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트 덕트는 가벼워서 차량의 중량을 줄이고 차량이 연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타 부품과의 조립 시에 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하고, 형상의 변형으로 다른 부품과의 결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중량이 감소되고, 강성이 강화된 자동차의 공조 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 덕트는, 공조기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윈드쉴드 글래스 방향으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디프 덕트, 상기 공조기와 연통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커넥트 덕트 및 상기 디프 덕트의 유입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트 덕트의 유입부와 상기 공조기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트 덕트는 상기 디프 덕트 및 보강부 보다 가볍고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공조 덕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커넥트 덕트가 보강부와 결합이 쉽고, 공조기와 커넥트 덕트를 연결할 때, 보강부가 연결부재 역할과 형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넥트 덕트는 가볍고 얇은 재질로 형성하셔서 차량의 자중을 줄이고,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키며, 보강부에 의해 커넥트 덕트의 강성과 형태를 유지시키며,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동시에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 덕트와 공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 덕트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공조 덕트와 결합되는 에어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차의 공조 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 덕트와 공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조기(30)는 자동차의 공조 덕트(100)를 통해서 차실내 및 원드실드 글래스(20)와 연결된다. 즉, 자동차의 공조 덕트(100)의 일단에 공조기(30)가 결합되고, 자동차의 공조 덕트(100)의 타단의 토출부를 통해서, 공조기(30)에 공조된 공기가 자동차의 공조 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흐르고, 이 자동차의 공조 덕트(100)를 흐르는 공기가 차실내 및 원드실드 글래스(20)로 토출된다. 공조기(30)에서 공급된 공기는 차실내로 공급되어서 차실내 온도, 습도 및 쾌적감을 유지시키고, 원드실드 글래스(20)로 유입되어서 원드실드 글래스(20)에 발생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원드실드 글래스(20)는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부터 전방에는 외부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이물질, 비, 눈 및 바람 등이 차실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 덕트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공조 덕트(100)는 크게 디프 덕트(110)와, 커넥트 덕트(120) 및 보강부(130)를 포함하고, 보강부(130)는 디프 덕트(110)의 유입부(1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와 결합되는 보강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트 덕트(120)는 상기 디프 덕트(110) 및 보강부(130) 보다 가볍고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프 덕트(110)는 윈드쉴드 글래스(20)로 상기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여 윈드쉴드 글래스(20)에 맺힌 습기 또는 빙설이 제거되도록 한다. 디프 덕트(110)는 공조기(30)와 연결되어 공조기(30)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111)와, 공조된 공기를 윈드쉴드 글래스 방향으로 토출하는 토출부(112)를 가진다. 또한, 디프 덕트(110)는 디프 덕트(110)의 유입부(111)와 디프 덕트(110)의 토출부(112)를 연결하는 센터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디프 덕트(11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가지게 형성되고, 디프 덕트(110)의 유입부(111)와 디프 덕트(110)의 토출부(112)가 오픈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디프 덕트(110)의 유입부(111)와 디프 덕트(110)의 토출부(112)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디프 덕트(110)의 유입부(111)에서 2개의 디프 덕트(110)의 토출부(112)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프 덕트(11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 내에 설치될 수 있고, 디프 덕트(110)의 토출부(112)는 상기 공조된 공기를 윈드쉴드 글래스(20)로 토출하기 위해서 윈드쉴드 글래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벤트홀(114)이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벤트홀(114)은 인스트루먼트 패널(1)외부로 노출되고, 크래쉬패드(40)와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은 차량의 계기판, 오디오장치, 공조장치 및 글로브박스 등이 설치되는 패널을 의미하고, 크래쉬패드(40)는 차량의 계기판, 오디오장치, 공조장치 및 글로브박스 등이 설치되는 패널의 외측 구성을 지칭한다.
디프 덕트(110)는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디프 덕트(110)의 강성은 커넥트 덕트(120)의 강성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커넥트 덕트(120)는 공조기(30)에서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여 차실내의 습도, 온도 및 쾌적감을 유지시킨다. 커넥트 덕트(120)는 공조기(30)와 연결되어 공조기(30)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121)와, 디프 덕트(110)의 유입부(111)와 연통되어서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122)를 포함한다. 즉, 커넥트 덕트(12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가지게 형성되고,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와 커넥트 덕트(120)의 토출부가 오픈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와 커넥트 덕트(120)의 토출부(122)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트 덕트(12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는 공조기(30)와 연통되어 상기 공조기(30)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역할을 한다. 내부가 빈 형상을 가지고,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는 차실내에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커넥트 덕트(1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는 보강부(1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부(130)와 대응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커넥트 덕트(120)의 토출부(122)는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와 연통되어서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한다. 커넥트 덕트(120)의 토출부(122)는 차실내의 중앙과 사이드 방향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토출구(122a,122b,122c,122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122a,122b,122c,122d)에는 에어벤트(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커넥트 덕트(120)는 디프 덕트(110) 및 보강부(130) 보다 가볍고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트 덕트(120)는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트 덕트(120)는 폼(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덕트(120)는 블로우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커넥트 덕트(120)는 블로우 성형방법에 의해 비중이 0.05 내지 0.08이고, 두께가 3 내지 5 mm 범위로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커넥트 덕트(120)는 가벼워서 차량의 중량을 줄이고 차량이 연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트 덕트(120)는 타 부품과의 조립 시에 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하고, 형상의 변형으로 다른 부품과의 결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강부(130)는 디프 덕트(110)의 유입부(1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와 결합되고, 공조기(30)에 연결된다. 보강부(130)는 커넥트 덕트(120)의 강성을 보조하고, 커넥트 덕트(12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즉, 보강부(130)는 커넥트 덕트(120)가 공조기(30)와 쉽게 연결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커넥트 덕트(120)의 강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부(130)와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가 결합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고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보강부(130)는 예를 들면,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가 끼워맞춤되는 매칭리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강부(130)는 디프 덕트(110)의 토출부(112)와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가지는 바디(131)와, 바디(131) 상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매칭리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리브(132)는 루프를 형성하는 제1리브편(132a)과, 상기 제1리브편(132a)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루프를 형성하는 제2리브편(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리브편(132a)과 제2리브편(132b)의 이격거리는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가 끼워맞춤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즉, 제1리브편(132a)과 제2리브편(132b)의 사이의 공간에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가 끼워맞춤되는 것이다. 이때,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의 형상은 매칭리브(13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30)는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와 열로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리브편(132b)에는 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트 덕트(120)가 보강부(130)와 결합이 쉽고, 공조기(30)와 커넥트 덕트(120)를 연결할 때, 보강부(130)가 연결부재 역할과 형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넥트 덕트(120)는 가볍고 얇은 재질로 형성하셔서 차량의 자중을 줄이고,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키며, 보강부(130)에 의해 커넥트 덕트(120)의 강성과 형태를 유지시키며,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동시에 갖는다.
보강부(130)는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강부(130)는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독립된 루프를 형성하는 제1보강부(130)와 제2보강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는 상기 제1보강부(130) 및 상기 제2보강부(130)와 끼워맞춤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제1보강부(130) 및 제2보강부(130)는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넥트 덕트(120)의 유입부(121)는 제1보강부(130) 및 제2보강부(130)와 끼워맞춤되도록 사각형의 관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부(130)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커넥트 덕트(120)의 강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강하고, 커넥트 덕트(120)의 형상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공조 덕트와 결합되는 에어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차실내에는 커넥트 덕트의 토출부에 연결되어서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에어벤트(10)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벤트(1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1)에 설치된다.
에어벤트(10)는 복수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구비된다. 다만, 도면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에어벤트(1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1)의 중앙부인 센터페시아에 2개가 설치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1)(1)의 좌우측에 각각 1개가 설치된다.
에어벤트(1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1) 내에 설치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윙하우징(12)과, 윙하우징(12)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거나 토출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윙(14,16)을 포함한다.
복수의 윙(14,16)은 윙하우징(12)의 내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되는 수평윙(14)과, 윙하우징(12)의 내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수직윙(16)을 포함한다.
수평윙(14)은 차실내로 노출되고, 수직윙(16)은 수평윙(14)보다 윙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수평윙(14)에는 사용자가 잡고 조작할 수 있는 윙노브(18)가 배치된다. 윙노브(14)는 수평윙(14)의 길이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윙(16)과 연결된다. 사용자가 윙노브(18)를 잡고 들어올리거나 내리면, 복수의 수평윙(14)이 윙노브(18)의 조작방향으로 일제히 회전되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의 흐름방향을 상하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윙노브(18)를 잡고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면 복수의 수직윙(16)이 일제히 좌우로 회전되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의 흐름방향을 좌우로 전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수직윙(16)이 대략 평평하게 배치되면서 공조된 공기의 토출을 폐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공조기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윈드쉴드 글래스 방향으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디프 덕트;
    상기 공조기와 연통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커넥트 덕트; 및
    상기 디프 덕트의 유입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트 덕트의 유입부와 상기 공조기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트 덕트는 상기 디프 덕트 및 보강부 보다 가볍고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커넥트 덕트의 유입부가 끼워맞춤되는 매칭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리브는,
    루프를 형성하는 제1리브편과, 상기 제1리브편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루프를 형성하는 제2리브편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커넥트 덕트의 유입부와 융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리브편에는 홈이 형성된 자동차의 공조 덕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편과 상기 제2리브편의 이격거리는 커넥트 덕트의 유입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자동차의 공조 덕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자동차의 공조 덕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가 보강부는,
    독립된 루프를 형성하는 제1보강부와 제2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트 덕트의 유입부는 상기 제1보강부 및 상기 제2보강부와 끼워맞춤되도록 구획되는 자동차의 공조 덕트.
  8. 제1항에 있어서,
    커넥트 덕트의 유입부는 상기 커넥트 덕트의 중앙에 형성되는 자동차의 공조 덕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 덕트는 폼(foam)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공조 덕트.
  10. 제1항에 있어서,
    커넥트 덕트는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공조 덕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 덕트는 비중이 0.05 내지 0.08인 자동차의 공조 덕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 덕트는 두께가 3 내지 5 mm인 자동차의 공조 덕트.
KR1020120046390A 2012-05-02 2012-05-02 자동차의 공조 덕트 KR10193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390A KR101936858B1 (ko) 2012-05-02 2012-05-02 자동차의 공조 덕트
CN201310091920.4A CN103381744B (zh) 2012-05-02 2013-03-21 汽车空调管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390A KR101936858B1 (ko) 2012-05-02 2012-05-02 자동차의 공조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169A KR20130123169A (ko) 2013-11-12
KR101936858B1 true KR101936858B1 (ko) 2019-01-09

Family

ID=4948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390A KR101936858B1 (ko) 2012-05-02 2012-05-02 자동차의 공조 덕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6858B1 (ko)
CN (1) CN1033817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73B1 (ko) * 2014-06-13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243Y1 (ko) 2004-04-28 2004-07-1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결합구조
KR100654979B1 (ko) * 2005-10-14 2006-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덕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887B1 (ko) * 2003-08-13 2005-08-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제상방지장치
JP4943266B2 (ja) * 2007-07-31 2012-05-30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エアコンユニットと空調ダクトとの取り付け構造
CN101722817A (zh) * 2009-12-21 2010-06-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中央除霜风管及与仪表板的安装结构
CN202156388U (zh) * 2011-07-08 2012-03-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前除霜除雾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243Y1 (ko) 2004-04-28 2004-07-1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결합구조
KR100654979B1 (ko) * 2005-10-14 2006-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덕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169A (ko) 2013-11-12
CN103381744B (zh) 2016-12-28
CN103381744A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4367A (zh) 用于排气装置的吸声元件
US20130145792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CN105764777A (zh) 用于机动车辆的前车体模块
CN108621742B (zh) 集成的车顶横梁和hvac管道
US9481227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s
KR101936858B1 (ko) 자동차의 공조 덕트
JP4387719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205292219U (zh) 一种带有导流板的吹脚风道
JP4381241B2 (ja) キャビン装置
JP4609282B2 (ja) 車両用天井材
CN210116357U (zh) 用于车辆的空调总成及具有其的车辆
JPH11348602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デフロスタ構造
US20170313281A1 (en) Defrost duct with acoustic material inserts
CN104010878A (zh) 机动车辆地板铺覆物
JPH11334415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CN110562208A (zh) 车内仪表盘清洁系统和方法
CN212709314U (zh) 一种用于车辆的除霜装置
CN201900963U (zh) 前置式汽车空调装置
JP201912724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3333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5995170B2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JP4378609B2 (ja) 空気ダクト
KR20130048539A (ko) 자동차의 공조 덕트
JP2019127248A (ja) 車両用空調装置
CN209852265U (zh) 一种用于车辆的前除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