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378B1 - 폴리우레탄 폼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378B1
KR101605378B1 KR1020147001896A KR20147001896A KR101605378B1 KR 101605378 B1 KR101605378 B1 KR 101605378B1 KR 1020147001896 A KR1020147001896 A KR 1020147001896A KR 20147001896 A KR20147001896 A KR 20147001896A KR 101605378 B1 KR101605378 B1 KR 10160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weight
parts
polyurethane foam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798A (ko
Inventor
세이지 오야이주
Original Assignee
로저스 이노악 코포레이션
이노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저스 이노악 코포레이션, 이노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저스 이노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4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44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29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6 or hydroxylated esters of higher fatty acid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6Hydroxylated esters of higher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9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6 or hydroxylated esters of higher fatty acid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the reacting monomers or modifying agents during the preparation or modification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66≥ 1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6CO2, N2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44Micropores, i.e. average diameter being between 0,1 micrometer and 0,1 milli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6Flexible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정포제, 촉매 및 조포용 기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원료로부터 메카니컬 프로싱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1)에 있어서, 폴리올은 25℃에서의 점도가 2000 mPa·s 이하의 피마자유계 폴리올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포함하고,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겉보기 밀도가 100 kg/m3 이상 700 kg/m3 이하이고, 100℃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20% 이하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열원 주변 부위에서의 시일재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열원부 주위,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주변이나 전자 제어부 주변, 혹은 태양 전지의 시일부 등에서의 시일재로서 실리콘 폼이나 고무 스펀지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폼으로 이루어지는 시일재는, 두께 0.8 mm 미만으로 형성하기가 어려웠다. 이 때문에, 실리콘 폼으로 이루어지는 시일재는 두꺼워서, 얇은 시일재가 요망되는 부위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원료 비용이 비싸, 염가로 제품을 제공할 수 없었다.
한편, 고무 스펀지는, 압축 잔류 왜곡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인 시일성이 낮다. 또한 고무 스펀지로부터 발생하는 유황을 포함한 가스가 전자 기판을 부식시킬 우려가 있다.
또, 메카니컬 프로싱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을 시일재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2).
메카니컬 프로싱법은, 우선 폴리우레탄 원료로서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정포제, 촉매를 포함하는 원료에 조포용 기체를 압축하여 혼입시킨다. 이 폴리우레탄 원료를, 오크스 믹서 또는 선단을 조인 노즐로부터 토출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한다. 이 폴리우레탄 원료의 토출 시에 그 때까지 압축되어 있던 조포용 기체가 팽창하여 기포를 형성하고, 그 상태에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경화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한다.
메카니컬 프로싱법으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시일재로서 적합한 얇은 시트상으로 형성된다. 또 폴리우레탄 폼 자체가 실리콘 폼보다 염가이고, 또 고무 스펀지와 비교해서 압축 잔류 왜곡이 양호하다.
그러나, 종래의 메카니컬 프로싱법으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시일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온도는 70℃ 내지 80℃ 정도이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압축 잔류 왜곡이 크기 때문에, 열원 주변 부위에서는 시일재로서 장기간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1) 분자간 가교 밀도를 올리는 방법, (2) 에스테르기나 페닐기 등의 응집성이 높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1) 방법에서는, 분자간 가교 밀도를 올리면 폴리우레탄 폼의 경도가 높아져 인열 강도가 저하되게 되고, 시일재로서의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한편, (2) 방법에서는, 에스테르기나 페닐기 등의 응집성이 높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실온에서 고체 또는 밀랍 상태인 경우가 많으며, 또한, 실온에서 액체인 것이어도 원료 점도가 높은 것이 많다. 이 때문에, 이 화합물을 폴리우레탄 원료에 대량으로 첨가하면, 메카니컬 프로싱법에서는, 폴리우레탄 폼에 보이드(핀홀이라고도 함)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1), (2)의 어느 쪽에서도,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이 고경도가 되기 쉽기 때문에, 시일재로서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2-21489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5-22739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주변 등의 열원 주변 부위에서의 시일재로서 적합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정포제, 촉매 및 조포용 기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원료로부터 메카니컬 프로싱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에서,
상기 폴리올은, 25℃에서의 점도가 2000 mPa·s 이하의 피마자유계 폴리올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상기 우레탄 폼의 겉보기 밀도가 100 kg/m3 이상 700 kg/m3 이하이고, 100℃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은,
상기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에, 폴리옥시알킬렌 중의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인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과 상기 피마자유계 폴리올과의 합계 중량부가, 5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은,
상기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4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3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우레탄 폼의 두께가 0.1 mm 이상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폼의 25% 압축 하중이 0.02 MPa 이상 0.40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폼의 평균 셀 직경이 50μm 이상 3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에서의 상기 우레탄 폼의 압축 잔류 왜곡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10℃에서의 상기 우레탄 폼의 압축 잔류 왜곡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에 의하면, 100℃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20% 이하이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작다. 따라서 열원 주변 부위에 있어서의 시일재로서도 적합한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예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방진성 시험에 사용하는 판 형상 지그의 사용 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5는, 방진성 시험에 사용하는 원통 형상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1)은, 폴리우레탄 원료로부터 메카니컬 프로싱법에 의해 얻어진다.
폴리우레탄 원료는,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정포제, 촉매 및 조포용 기체를 포함한다.
폴리올은, 25℃에 있어서의 점도(JIS Z 8803:2011 준거)가 2000 mPa·s 이하의 피마자유계 폴리올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포함한다. 또,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되어 있다. 또,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되어 있다.
25℃에서의 점도가 2000 mPa·s보다 높은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이용하면, 폴리우레탄 원료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폴리우레탄 원료를 양호하게 혼합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폴리우레탄 폼에 보이드가 발생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시일성이 저하된다.
피마자유계 폴리올이,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미만 밖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폼의 100℃에 있어서의 압축 잔류 왜곡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없다. 한편,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80 중량부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폼의 밀도가 낮아도 폴리우레탄 폼이 너무 딱딱해져 시일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압축 밀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 폴리올에는, 내가수분해성 향상의 관점에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 포함되어 있다.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미만이면, 가수분해성이 저하되어, 고습도하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없다. 한편 80 중량부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피마자유계 폴리올의 첨가량이 부족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100℃에 있어서의 압축 잔류 왜곡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없다.
피마자유계 폴리올로서는, 피마자유, 피마자유와 폴리올과의 반응물, 피마자유 지방산과 폴리올과의 에스테르화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피마자유 혹은 피마자유 지방산과 반응시키는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2가의 폴리올, 혹은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산트리올, 소르비톨 등의 3가 이상의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25℃에 있어서의 점도(JIS Z 8803:2011 준거)가 2000 mPa·s 이하의 것이 이용된다. 또한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관능기수 2 내지 3, 수평균 분자량 500 이상 1000 이하(또는 수산기가 115 mgKOH/g 이상 225 mgKOH/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티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소르비톨, 자당 등의 다가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폴리에테르폴리올 등, 폴리우레탄용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관능기수 2 내지 4, 수평균 분자량 2000 이상 4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옥시알킬렌 중의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인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하, EO 비율이라고 생략하여 표기하는 수가 있다)이 50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은 60 몰% 이상이며, 특히 70 몰% 이상이다. 또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의 상한은 10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하이다.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을 50 몰%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상, 특히 70 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2 종류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의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을 바꾸어 말하면,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중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비율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내열성이란,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커지기 어려운 정도를 의미하고 있다.
특히 폴리올은, 폴리올 100 중량부에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하고, 폴리올 100 중량부 중,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과 피마자유계 폴리올과의 합계 중량부가, 5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4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3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올로서 상기 피마자유계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외에,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과 디알킬카보네이트, 디알킬렌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등과의 탈알코올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로서 상기한 것 중에서도 특히 60℃에 있어서의 점도(JIS Z 8803:2011 준거)가 1500 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은, 관능기수가 2 내지 3, 수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 1000 이하(또는 수산기가 112 mgKOH/g 이상 224 mgKOH/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로서 상기 피마자유계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외에, 폴리에스텔계 폴리올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폴리에스텔계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린, 소르비톨, 자당 등의 저분자 폴리올과 숙신산, 아디핀산, 말레산, 푸말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무수 숙신산, 무수 말레산, 무수 푸탈산 등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텔계 폴리올로서는, 락톤에스테르로서 분류되는 카프로락톤, 메틸발레로락톤의 개환 축합물인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방향족계, 지환식, 지방족계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 1 분자 중에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2 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일 수도, 혹은 1 분자 중에 3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3 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일 수도 있다. 또, 이것들을 단독으로 혹은 복수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 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계의 것,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의 것, 부탄-1,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계의 것을 들 수 있다.
또, 3 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1-메틸벤졸-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5-트리메틸벤졸-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2,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디페닐메탄-4,6,4'-트리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디페닐메탄-2,2', 5,5'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 4”-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폴리메릭 MDI)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소시아네이트는, 각각 1종류로 한정되지 않고 1종 이상일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의 1종류와 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의 2종류를 병용할 수도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100 이상 1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폴리우레탄 폼의 압축 잔류 왜곡이 커진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폴리우레탄 원료 중에 포함되는 활성 수소기 1 몰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를 100배한 값이다.
정포제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옥시알킬렌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적합하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정포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조포용 기체가 폴리우레탄 폼에 적합한 거품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정포제의 양은 폴리올 100 중량부당 3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로서는, 폴리우레탄 폼용의 아민계 촉매, 금속 촉매(유기 금속 화합물계 촉매)가 단독 또는 병용된다. 아민계 촉매로서는, 모노아민 화합물, 디아민 화합물, 트리아민 화합물, 폴리아민 화합물, 환상 아민 화합물, 알코올 아민 화합물, 에테르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 종류일 수도 있고, 2 종류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금속 촉매로서는,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비스머스 화합물, 유기 납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 종류일 수도 있고, 혹은 2 종류 이상 사용할 수도 있다. 촉매의 양은 폴리올 100 중량부당 0.05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포용 기체로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기체, 예를 들면 건조 공기 혹은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가 적합하다. 조포용 기체는, 폴리우레탄 원료에 있어서의 혼합 비율이 31 체적% 이상 91 체적% 이하가 되도록 폴리우레탄 원료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포용 기체의 혼합 비율이란, 조포용 기체를 제외한 폴리우레탄 원료 100 체적부에 대한 조포용 기체의 체적%를 말한다.
그 밖에, 필요에 따라 가교제나 발포 조제, 충전제 등이 폴리우레탄 원료에 첨가된다.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 가능한 활성 수소 함유기를 2 내지 4개 갖는 수평균 분자량 50 이상 800 이하의 저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 사용되는 저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탄올아민,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 할 수 있다. 특히 1,4-부탄디올 혹은 에틸렌글리콜은 가교제로서 적합한 것이다.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으면 가교 밀도가 성기게 되어,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도와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가교제의 첨가량은, 폴리올 100 중량부당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조제는, 폴리우레탄 폼의 겉보기 밀도를 보다 낮게 하는 경우에 첨가되는 것으로, 적합한 발포 조제로서 물을 들 수 있다. 발포 조제로서의 물의 첨가량은, 폴리올 100 중량부당, 0.4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로서는, 폴리우레탄 원료의 점도 조절제로서의 금속 수산화물이나, 착색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100℃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20% 이하이다. 압축 잔류 왜곡은 JIS K 6400-4:2004 A법(70℃)을 100℃로 변경하여 50% 압축으로 실시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한 값은 100℃에서 10% 이하, 나아가 110℃에서 20% 이하, 특히 110℃에서 10% 이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100℃ 혹은 110℃라는 비교적 고온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작으므로, 고온에서도 시일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열원부 주변 부위에서 시일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겉보기 밀도 100 kg/m3 이상 700 kg/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겉보기 밀도는 JIS K 7222:2005에 근거하여 측정된 값이다. 겉보기 밀도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을 시일재에 적절한 경도로 할 수 있고 시일재로서 사용했을 때의 밀착성이 양호해져 시일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두께가 0.1 mm 이상 15 mm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로 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을 좁은 공간에 사용하는 시일재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25% 압축 하중이 0.02 MPa 이상, 0.40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5% 압축 하중이란, JIS K 6254:1993의 시험 조건에서, φ50 mm의 샘플을 1 mm/min의 속도로 25% 압축했을 때에 생기는 압축 응력이다.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폼의 탄성 변형이 양호해져, 폴리우레탄 폼을 시일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시일 시의 밀착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평균 셀 직경이 50μm 이상 3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셀 직경은, 폼 층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해 배율 200배로 관찰했을 때의, 25 mm의 직선에 접촉하는 셀에 대하여, 셀 직경의 누계를 셀의 개수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폼의 시일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메카니컬 프로싱법에 따라 제조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10)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장치의 일례이다. 제조 장치(10)는, 원료를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원료 M을 얻는 혼합부(31)와 기재(14)가 감겨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기재(14)를 공급하는 공급 롤(33)과 제품 회수 롤(34)로 이루어지는 롤 기구(32)와 기재(14) 상에 폴리우레탄 원료 M을 공급하는 토출 노즐(35)과 기재(14) 상의 폴리우레탄 원료 M의 두께를 제어하는 닥터 나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제어 수단(36)과 기재(14) 상의 폴리우레탄 원료 M을 가열하는 히터 등의 가열 수단(38)을 구비하고 있다.
제조 장치(10)를 사용하는 메카니컬 프로싱법에 의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은, 우선, 공급 롤(33)으로부터 공급되는 PET 필름이나 이형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14) 상에, 혼합부(31)에서 혼합된 폴리우레탄 원료 M을 토출 노즐(35)로부터 공급한다.
다음에, 기재(14) 상에 토출된 폴리우레탄 원료 M의 두께를 두께 제어 수단(36)을 이용하여 소정 두께로 만든다. 계속해서, 가열 수단(38)으로 폴리우레탄 원료 M을 가열하여 반응·경화시킨다. 기재(14) 상에 폴리우레탄 폼(1)이 형성된 적층체(20)를, 제품 회수 롤(34)에 권취한다. 그 후, 적층체(20)를 소정 치수, 형상으로 재단하고, 기재(14)를 박리하여 목적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1)을 얻는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적층체(20)를 회수하는 제품 회수 롤(34)을 들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적층체(20)로부터 폴리우레탄 폼(1)과 기재(14)를 박리하여, 각각, 폴리우레탄 폼 회수 롤로 폴리우레탄 폼(1)을 회수하고, 기재 회수 롤로 기재(14)를 회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도 3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변형예에 따른 제조 장치(10A)를 나타내고 있다. 제조 장치(10A)는, 토출 노즐(35)과 제품 회수 롤(34) 사이에 표면 보호 기구(41)가 설치되어 있다. 표면 보호 기구(41)는, 표면 보호 필름 공급 롤(42)과 표면 보호 필름 회수 롤(43)을 구비하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 공급 롤(42)은, PET 필름 등의 표면 보호 필름(16)을,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공급한다. 부호(40)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두께 제어 수단이며, 기재(14)와 표면 보호 필름(16)간의 폴리우레탄 원료 M의 두께를 제어한다.
이 제조 장치(10A)를 이용하면, 기재(14) 상에 공급한 폴리우레탄 원료 M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16)이 적층된다. 이에 따라, 기재(14)와 표면 보호 필름(16)으로 폴리우레탄 원료 M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다. 또, 적층체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6)을 박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제조 장치(10A)의 변형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기재 회수 롤을 제품 회수 롤(34)의 하부 측에 마련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폼(1)으로부터 기재(14)를 박리하여 회수하고, 제품 회수 롤(34)에는 폴리우레탄 폼(1)만을 권취하여 회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만든 폴리우레탄 원료 M으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10)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15의 폴리우레탄 폼(1)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 때, 기재(14)로서 두께 25μm 이상 125μm의 PET 필름을 이용하고, 가열 수단(38)으로 폴리우레탄 원료를 120 내지 200℃로 가열하였다. 조포용 기체로서의 질소는, 표 1 및 표 2의 혼합 비율(체적%)이 되도록, 혼합부(31)의 폴리우레탄 원료에 0.1 NL/분의 유량으로 공급하여 혼합하였다. 또, 롤 기구(32)에 있어서의 기재(14)의 공급 속도를 5 m/분으로 하였다.
또 비교를 위하여, 표 3에 나타낸 배합으로 만든 폴리우레탄 원료로부터, 비교예 1 내지 10의 폴리우레탄 폼을 얻었다. 비교예 1 내지 7은, 폴리우레탄 원료의 배합이 다른 것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14와 동일한 제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내지 10은, 조포용 기체를 배합하지 않고, 발포제로서 물을 배합한 폴리우레탄 원료를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상에 토출하여 가열하고, 화학 발포법에 의해 발포시켜 폴리우레탄 폼을 얻었다.
(표 1 내지 표 3의 원료)
· 피마자유계 폴리올 1; 이토세이유사 제조, 상품명 「H-30」, 점도(25℃) 690 mPa·s(점도(60℃) 85 mPa·s), 관능기수 2.7, 수평균 분자량 950(수산기가 160 mgKOH/g)
· 피마자유계 폴리올 2; 이토세이유사 제조, 상품명 「AC-005」, 점도(25℃) 1150 mPa·s(점도(60℃) 125 mPa·s), 관능기수 2, 수평균 분자량 550(수산기가 204 mgKOH/g)
· 피마자유계 폴리올 3; 이토세이유사 제조, 상품명 「AC-006」, 점도(25℃) 3000 mPa·s(점도(60℃) 200 mPa·s), 관능기수 2, 수평균 분자량 630(수산기가 178 mgKOH/g)
·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A; 산요 가세이 고교사 제조, 상품명 「GP-3000」, 점도(25℃) 500 mPa·s, 관능기수 3, 수평균 분자량 3000, EO 비율 0 몰%
·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B; 산요 가세이 고교사 제조, 상품명 「FA-103」, 점도(25℃) 730 mPa·s, 관능기수 3, 수평균 분자량 3300, EO 비율 70 몰%
·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C; 산요 가세이 고교사 제조, 상품명 「GL-3000」, 점도(25℃) 510 mPa·s, 관능기수 3, 수평균 분자량 3000, EO 비율 20 몰%
· 폴리에스텔계 폴리올; 구라레사 제조, 상품명 「P-510」, 점도(25℃) 540 mPa·s, 관능기수 2, 수평균 분자량 500(수산기가 224 mgKOH/g)
·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 1; 구라레사 제조, 상품명 「C-590」, 점도(60℃) 170 mPa·s, 관능기수 2, 수평균 분자량 500(수산기가 224 mgKOH/g)
·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 2; 구라레사 제조, 상품명 「C-1090」, 점도(60℃) 1800 mPa·s, 관능기수 2, 수평균 분자량 1000(수산기가 112 mgKOH/g)
· 가교제; 1,4-부탄디올
· 금속 촉매; 조호쿠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MRH110」, 옥틸산주석
· 정포제; 모멘티브사 제조, 상품명 「L-5614」,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 금속 수산화물; 쇼와 덴코사 제조, 상품명 「하이디라이트 H-10」, 수산화 알루미늄
· 조포용 기체; 질소
· 이소시아네이트: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1130」, NCO%: 31%, 크루드 MDI
[표 1]
Figure 112014007086471-pct00001
[표 2]
Figure 112014007086471-pct00002
[표 3]
Figure 112014007086471-pct00003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1 내지 15와 비교예 1 내지 10의 폴리우레탄 폼을 얻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에 대하여 두께, 겉보기 밀도, 25% 압축 하중, 압축 잔류 왜곡, 방진성, 평균 셀 직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25% 압축 하중, 압축 잔류 왜곡, 방진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에 상술한다. 측정 결과를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종합 평가는, 압축 잔류 왜곡(100℃)이 20% 이하에서 방진성 시험 결과가 ○인 경우에 ○(합격)으로 하였다. 또한, 압축 잔류 왜곡이 작고, 방진성이 높을수록 시일성이 좋다고 할 수 있다.
25% 압축 하중은, JIS K6254:1993의 시험 조건에서, φ50 mm의 샘플을 1 mm/min의 속도로 25% 압축했을 때의 압축 응력이다.
압축 잔류 왜곡은, JIS K6400-4:2004 A법(70℃)의 시험 조건에서, 샘플을 두께 방향으로 50% 압축하여, 소정 온도(80℃, 100℃, 110℃의 각 온도) 하에서 22시간 정치하고, 그 후, 상온 하에서 압축 응력을 해방하여 30분 경과 후의 샘플 두께를 측정하고,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압축 잔류 왜곡(%)=[(압축 전의 두께-해방 후의 두께)/압축 전의 두께]×100
방진성 시험은,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한다. 도 4의 (A)는 방진성 시험에 사용하는 판 형상 지그의 사용 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5는 방진성 시험에 사용하는 원통 형상 용기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4의 (A)에 나타내는 2장의 판 형상 지그(51, 52) 사이에, 도 4의 (B)에 나타내는 외측틀 치수 50 mm각, 내측틀 치수 45 mm각, 틀 폭 2.5 mm로 틀 형상으로 형성된 샘플 S를 사이에 두고, 샘플 S의 두께 방향으로 25% 압축하도록 세트한다. 또한, 샘플 S의 1면은 두께 160μm의 부직포 기재 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57)에 의해 한쪽의 판 형상 지그(51)에 접합되어 있다. 판 형상 금구(51, 52) 사이에는 스프링(53)을 개재시켜, 볼트(54)와 너트(55)로 판 형상 금구(51, 52)를 체결하였다.
샘플 S를 세트한 판 형상 지그(51, 52)를, 도 5에 나타내는 내부 직경 250 mm, 축(63) 방향의 길이가 340 mm의 원통 형상 용기(61)에 1 kg의 파우더와 함께 넣는다. 파우더는, 입경이 4μm 이상 10μm 이하의 탤크 분말이다. 원통 형상 용기(61)를 축(63)의 둘레에 60 rpm으로 10분간 회전시킨다. 원통 형상 용기(61)로부터 꺼낸 샘플 S의 안쪽에 파우더가 침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파우더가 샘플 S의 안쪽에 확인할 수 없으면 ○표로 하고, 파우더가 샘플 S의 안쪽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표로 하여 평가하였다.
표 1 및 표 2의 측정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5는 모두 80℃, 100℃, 110℃에 있어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20% 이하로 양호한 내열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로서 폴리옥시알킬렌 중의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EO 비율)이 50 몰%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 B(EO 비율 70 몰%)를 이용함과 동시에, 폴리올 100 중량부 중, EO 비율이 50 몰%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피마자유계 폴리올과의 합계 중량부가 5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인 실시예 3, 4, 6 및 13은, 80℃, 100℃, 110℃의 각 압축 잔류 왜곡이 다른 실시예보다 작고, 내열성이 매우 높다. 또, 실시예 3, 4 및 6은,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피마자유계 폴리올이 4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한편,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 3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포함되기 때문에 내열성이 매우 높다.
한편, 비교예 1, 2는, 피마자유계 폴리올의 배합량이 0 또는 적기 때문에, 압축 잔류 왜곡이 80℃는 20% 이하가 되지만, 100℃, 110℃에서는 모두 20%를 넘어 내열성이 낮다.
비교예 3은, 피마자유계 폴리올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시에 보이드가 발생하여, 방진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4는,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포함하지 않고, 그 밖의 폴리올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의 점도가 매우 높아, 교반 혼합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내열성이 낮아져, 한편 방진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5는, 피마자유계 폴리올의 배합량이 많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원료의 점도가 높아져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시에 보이드가 발생하여, 방진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6은, 폴리우레탄 폼의 겉보기 밀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경도가 저하되고, 또한 셀이 거칠어져 방진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7은, 폴리우레탄 폼의 겉보기 밀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경도가 상승하고, 압축 시의 밀착성이 손상되어 방진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8 내지 10은, 메카니컬 프로싱법이 아니고, 화학 발포법에 의한 것이기 때문애, 셀이 거칠어져 방진성이 떨어진다.
또,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사용하는 실시예 3,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1,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배합량이 20 중량부 미만의 비교예 11, 실리콘 폼, 고무 스펀지의 각각에 대하여, 120℃의 환경하 또는 70℃이고 습도 95%RH의 환경하에서 소정 시간 방치하고, 그 후에 압축 잔류 왜곡(50% 압축, 100℃×22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11은, 실시예 4의 배합에서, 폴리에테르폴리올 B의 배합량을 22 중량부로부터 18 중량부로 변경하고,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배합량을 56 중량부로부터 60 중량부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 4는 120℃ 환경하 방치 후의 압축 잔류 왜곡의 측정 결과, 표 5는 70℃이고 습도 95%RH 환경하 방치 후의 압축 잔류 왜곡의 측정 결과이다. 표 4 및 표 5에 있어서의 「시간」은 각 환경하에서의 방치 시간이다.
[표 4]
Figure 112014007086471-pct00004
[표 5]
Figure 112014007086471-pct00005
표 4 및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사용하는 실시예 3의 폴리우레탄 폼은,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폴리우레탄 폼이나 고무 스펀지보다도, 고온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작다. 또,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사용한 폴리우레탄 폼은, 실리콘 폼과 동등한, 고온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을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폴리에테르폴리올의 배합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비교예 10은,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만을 사용한 비교예 1보다 압축 잔류 왜곡이 작다. 그러나, 75℃, 95%RH로 672시간 방치 후 및 그 이후의 압축 잔류 왜곡이 20%보다 커서, 특히 고습도하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고온에서도 작은 압축 잔류 왜곡을 가지므로, 고온 환경하에서도 우수한 시일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열원 주변 부위에 있어서의 시일재로서도 적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실리콘 폼과 비교하여 염가이고, 또한 고온 환경하에서 실리콘 폼과 동등한 작은 압축 잔류 왜곡을 갖는다. 이 때문에, 종래, 내열성의 관점에서 실리콘 폼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던 고온 환경용의 시일재로서 실리콘 폼 대신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이하의 용도에 이용하면 적합하다.
<전기 자동차 배터리 셀간 완충재>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셀은, 발전·충전 시에 팽창·수축을 한다. 이 때문에, 배터리 셀간에는 일정한 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페이스에는, 사고 등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셀이 파손되지 않도록, 완충재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배터리 내부의 셀 온도는 최대 80℃ 정도까지 오르기 때문에, 완충재에는 그 이상의 내열성을 갖는 소재가 요망된다. 또, 완충재는 충격 흡수재의 역할도 하기 위해, 유연성 및 저압축 잔류 왜성을 갖는 소재가 요망된다.
이러한 성능을 갖는 소재는 일반적으로는 실리콘 폼이지만, 다른 발포 재료에 비해 가격이 매우 비싸다. 완충재는, 1대의 배터리에 대한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배터리의 저비용화를 위해서, 염가의 소재로 전환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실리콘 폼과 비교하여 염가이고, 80 내지 110℃의 압축 잔류 왜곡이 매우 작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전기 자동차 배터리 셀간 완충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완충재>
또,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팩의 완충재에는, 압축 잔류 왜곡이 작은 것이 요망된다. 실리콘 폼의 압축 잔류 왜곡은 작지만, 저분자 실록산을 많이 포함한다. 실리콘 폼으로부터는, 이 저분자 실록산에 기인하여, 실리카가 석출되는 수가 있다. 배터리 팩의 완충재로서 실리콘 폼을 사용하면, 배터리 팩에 탑재된 전자 기판상의 접점이, 이 실리카의 석출에 의해 오염되어 버려, 상기 특성이 악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배터리 팩 완충재에는 실리콘 폼은 적합하지 않다. 그 때문에, 배터리 팩 완충재로서 일반적으로는 우레탄 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레탄 폼은, 압축 잔류 왜곡이 크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실리콘 폼과 비교하여, 저분자 실록산의 양이 매우 적다. 또, 종래의 우레탄 폼보다 압축 잔류 왜곡이 충분히 작다. 이 때문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의 완충재로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면, 작은 압축 잔류 왜곡에 의해 충분한 완충성을 가지며, 또한, 실리카가 석출되지 않으므로 접점 장해를 일으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은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완충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 완충재>
태양광 패널은 옥외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태양광 패널에 이용되는 완충재에는 방수성, 작은 압축 잔류 왜곡, 및 고온 환경하에서도 압축 잔류 왜곡이 작은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성능을 갖는 소재는 일반적으로는 실리콘 폼 밖에 없지만, 다른 발포 재료에 비해 가격이 매우 비싸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실리콘 폼과 비교하여 염가이고, 80 내지 110℃의 압축 잔류 왜곡이 매우 작으며, 또, 고온 환경하에서도 압축 잔류 왜곡이 증대하지 않는다. 또, 방수성도 높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태양광 패널 완충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의료용 모니터 완충재>
의료용 모니터는, 민생용 모니터보다 고휘도가 요망되고, 모니터 내부 온도는 최대 60℃ 정도까지 된다. 민생용 모니터의 액정 유리와 케이스 프레임의 사이의 완충재에는, 일반적으로는 우레탄 폼이나 폴리올레핀 폼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우레탄 폼이나 폴리올레핀 폼은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아, 보다 고내열성, 유연성을 갖는 소재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80 내지 110℃의 압축 잔류 왜곡이 매우 작으며, 또한, 25% 압축 하중이 0.02 MPa 이상 0.40 MPa 이하로 유연성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의료용 모니터 완충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상술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셀간 완충재,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완충재, 태양광 패널 완충재, 의료용 모니터 완충재 외에, 전기 자동차 배터리 셀간 시일재,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시일재, 태양광 패널 시일재, 의료용 모니터 시일재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1년 7월 25일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특원2011-161650)에 근거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에 의하면, 100℃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20% 이하이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작다. 따라서 열원 주변 부위에 있어서의 시일재로서도 적합한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할 수 있다.
1: 폴리우레탄 폼
10: 제조 장치
14: 기재
20: 적층체
31: 혼합부
33: 공급 롤
34: 제품 회수 롤
35: 토출 노즐
36: 두께 제어 수단
38: 가열 수단
M: 폴리우레탄 원료

Claims (10)

  1.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정포제, 촉매 및 조포용 기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원료로부터 메카니컬 프로싱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25℃에서의 점도가 2000 mPa·s 이하의 피마자유계 폴리올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겉보기 밀도가 100 kg/m3 이상 700 kg/m3 이하이고, 100℃에서의 압축 잔류 왜곡이 20% 이하이고,
    상기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에, 폴리옥시알킬렌 중의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인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2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과 상기 피마자유계 폴리올과의 합계 중량부가, 5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4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포함되고,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비율이 50 몰% 이상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 중에, 3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0.1 mm 이상 15 mm 이하인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0.02 MPa 이상 0.40 MPa 이하인 25% 압축 하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50μm 이상 300μm인 평균 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100℃에서, 10% 이하의 압축 잔류 왜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110℃에서, 10% 이하의 압축 잔류 왜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9.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시일재.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완충재.
KR1020147001896A 2011-07-25 2012-07-23 폴리우레탄 폼 KR101605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1650 2011-07-25
JP2011161650 2011-07-25
PCT/JP2012/068593 WO2013015245A1 (ja) 2011-07-25 2012-07-23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798A KR20140041798A (ko) 2014-04-04
KR101605378B1 true KR101605378B1 (ko) 2016-03-22

Family

ID=4760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896A KR101605378B1 (ko) 2011-07-25 2012-07-23 폴리우레탄 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24336B2 (ko)
EP (1) EP2738193B1 (ko)
JP (1) JP5905464B2 (ko)
KR (1) KR101605378B1 (ko)
CN (1) CN103703045B (ko)
TW (1) TWI525120B (ko)
WO (1) WO2013015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0441A (zh) * 2013-07-29 2013-12-18 洛阳嘉冠化工产品有限公司 一种煤矿瓦斯抽采孔封孔用双袋发泡组分
CN104449020B (zh) * 2013-09-20 2019-01-11 陶氏环球技术有限公司 用于涂料组合物的反应性多官能添加剂
CN106661189B (zh) * 2014-08-28 2021-04-27 巴斯夫欧洲公司 抗老化聚氨酯密封条
KR102454590B1 (ko) * 2014-09-24 2022-10-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발포 시트
WO2016073396A1 (en) * 2014-11-05 2016-05-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Impact protection foam
US9853263B2 (en) 2014-11-10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assembly including structural foamed materials
KR101543974B1 (ko) * 2014-12-08 2015-08-11 이상호 박막 폴리우레탄 폼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31688B1 (ko) * 2015-08-05 2016-06-17 주식회사 에스제이폼웍스 박막 폴리우레탄 폼 테이프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CN105384910A (zh) * 2015-12-24 2016-03-09 山东一诺威新材料有限公司 可降解聚氨酯仿木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269759B (zh) * 2018-12-04 2022-04-19 北京化工大学 一种制备不同羟值蓖麻油基多元醇的方法
CN110172174A (zh) * 2019-06-13 2019-08-27 徐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环保型聚氨酯泡沫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423650A (zh) * 2019-08-12 2019-11-08 南京林业大学 一种烷氧基蓖麻油基多元醇及其制备方法、蓖麻油基聚氨酯硬泡
WO2022118974A1 (ja) * 2020-12-03 2022-06-09 日本発條株式会社 電池セル用クッション材及び電池
EP4305084A1 (en) * 2021-03-10 2024-01-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and use of same for potting products
WO2022224509A1 (ja) 2021-04-20 2022-10-27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トナーシール部材
CN113861921A (zh) * 2021-09-03 2021-12-31 惠州锂威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聚氨酯发泡胶及其制备方法及应用、软包锂离子电池
JP7320158B1 (ja) * 2021-10-18 2023-08-0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CN115368527B (zh) * 2022-08-15 2024-05-03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圆柱电池模组的聚氨酯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505089A (zh) * 2022-10-11 2022-12-23 力神(青岛)新能源有限公司 一种隔热片及其应用
CN115926101B (zh) * 2023-02-14 2023-06-09 旭川化学(苏州)有限公司 一种耐低温聚氨酯鞋底用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3808A1 (en) 2006-12-11 2008-06-1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Bio-based carpet materials
JP2008280447A (ja) 2007-05-11 2008-11-20 Bridgestone Corp ポリウレタン発泡体及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ローラ
JP2010053157A (ja) 2008-08-26 2010-03-11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2731B2 (ja) * 1991-06-26 1997-09-1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鋼板構造材充填用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形成材料
JPH09183826A (ja) * 1995-12-28 1997-07-15 Tokyo Seat Kk 一体スキン層付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品の製造方法
JP5142308B2 (ja) 2001-01-17 2013-02-13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ル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78624B2 (ja) 2004-02-10 2009-12-0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ル部材の製造方法
US7338983B2 (en) * 2004-02-10 2008-03-04 World Properties, Inc. Low density polyurethane foam, method of producing,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KR100792278B1 (ko) 2007-02-27 2008-01-07 고려상사주식회사 인산염 피막 냉간 압조용 스테인리스 강선 및 이를 이용한직결 나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3808A1 (en) 2006-12-11 2008-06-1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Bio-based carpet materials
JP2008280447A (ja) 2007-05-11 2008-11-20 Bridgestone Corp ポリウレタン発泡体及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ローラ
JP2010053157A (ja) 2008-08-26 2010-03-11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03045B (zh) 2015-11-25
JPWO2013015245A1 (ja) 2015-02-23
TWI525120B (zh) 2016-03-11
KR20140041798A (ko) 2014-04-04
JP5905464B2 (ja) 2016-04-20
CN103703045A (zh) 2014-04-02
EP2738193A1 (en) 2014-06-04
TW201313767A (zh) 2013-04-01
US20140193631A1 (en) 2014-07-10
WO2013015245A1 (ja) 2013-01-31
US9624336B2 (en) 2017-04-18
EP2738193A4 (en) 2015-06-03
EP2738193B1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378B1 (ko) 폴리우레탄 폼
CN115548552A (zh) 蓄电元件用包装材、蓄电元件用容器及蓄电元件
CN114044868B (zh) 加热可拆卸聚氨酯热熔胶和制备原料及其制备方法和粘接方法
JP5367356B2 (ja) 止水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5660975B2 (ja) シール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59711B2 (ja) 鉄道用パッドの製造方法
CN114222800A (zh) 异氰酸酯系粘接剂
JP2021099915A (ja) 蓄電デバイス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容器及び蓄電デバイス
JP6973747B2 (ja) 止水材
KR102556255B1 (ko) 방수 폴리우레탄 폼
JP5220306B2 (ja) 止水用シール材
WO2012086776A1 (ja) ウレタン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JP7373694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トナーシール部材
US11981769B2 (en) Polyurethane foam
WO2022244480A1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クッション材
JP7305103B1 (ja) 蓄電デバイス包装材用接着剤、蓄電デバイス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容器及び蓄電デバイス
JP7336481B2 (ja) 2液型ウレタン系接着剤組成物
JP2004099643A (ja) 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形成用組成物、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および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
CN115498342A (zh) 蓄电元件用包装材、蓄电元件用容器及蓄电元件
JP2023150988A (ja) ホットメルト接着シート
KR100864726B1 (ko) 저장탱크용 단열 복합 보드
JP2010236574A (ja) 筒状弾性部材、ストラットマウント、ならびに該ストラットマウントの製造方法
JP2011016892A (ja) パッキン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