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322B1 - 양하장치 - Google Patents

양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322B1
KR101603322B1 KR1020147026820A KR20147026820A KR101603322B1 KR 101603322 B1 KR101603322 B1 KR 101603322B1 KR 1020147026820 A KR1020147026820 A KR 1020147026820A KR 20147026820 A KR20147026820 A KR 20147026820A KR 101603322 B1 KR101603322 B1 KR 10160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valve
unloading
air
ai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084A (ko
Inventor
카츠미 마스다
마사요시 히노
타츠오 하스이케
Original Assignee
우베고산카이운 가부시키가이샤
우즈시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토바루크시스테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1160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033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우베고산카이운 가부시키가이샤, 우즈시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토바루크시스테무 filed Critical 우베고산카이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양하장치(100)는 분립체 운반선(1)에 설치되어 있다. 양하장치(100)는, 분립체 등의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홀드(2)의 바닥부(2a)에 설치된 동시에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접속되어, 분립체 등의 화물을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에어 슬라이더(120)를 구비한다. 분립체 운반선(1)은 복수로 수밀 상태로 구획된 홀드(2)를 구비하고, 버킷 엘리베이터(110) 및 에어 슬라이더(120)는 각 홀드(2)에 구비되어 있다.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에어 슬라이더(120)의 접속부에는, 유량조정밸브(131) 및 수동 밸브(132)를 구비한 배출 게이트(130)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양하장치{UN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멘트, 플라이애쉬, 탄산 칼슘(탄칼), 슬래그, 클링커(clinker) 등의 무기재의 분립체(粉粒體)의 화물이나, 곡물 등을 포함하는 유기재의 분립체의 화물을 반송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적용 가능한 양하장치(揚荷裝置: unloading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 플라이애쉬, 탄칼, 슬래그, 클링커나 곡물 등의 분립체의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운반선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분체 수송선이 알려져 있다. 이 분체 수송선은, 선박 바닥 구조로서, 복수로 구획된 선창(船倉) 내의 바닥부 중앙부의 분체 도입로를 향해서 포재(布材)를 구비한 경사부를 지니고, 이 포재의 바닥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취출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성을 확보하여 분체 도입로에 반송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 공기에 의해서 분체 도입로에 인도된 분체는, 분체 도입로에 설치된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서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반송되고, 수직 이송 수단에 의해 셀러 펌프(cellar pump)까지 반송된 뒤에 양하된다. 이들로부터, 이 분체 수송선은, 구획된 선창, 그 선박 바닥 구조나 분체 도입로, 반송 컨베이어 등에 의해 구성된 양하장치를 구비한다고 할 수 있다.
JP 2002-356194 A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분체 수송선에서는, 양하장치를 구성하는 분체 도입로가 복수의 선창을 연통하여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뻗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손상 시 복원성(데미지 스태빌리티(Damage Stability): DS)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예를 들어, 복수의 선창 중 적어도 하나에 바닷물이 침입해서 침수되면, 분체 도입로를 개재해서 각 선창에 바닷물이 도달해 버려, 모든 선창이 침수되어 버리므로, 선창 내에 실은 분체를 제품으로서 취급할 수 없게 되는 동시에, 손상 시 복원성이 양호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손상 시 복원성이 양호하고, 또한 선창으로부터 분립체를 안정적으로 내릴 수 있는 양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하장치는, 분립체를 복수로 구획된 선창 내에 적재해서 운반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설치되어, 상기 선창 내로부터 상기 분립체를 내리는 양하장치로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되도록 구획된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과, 상기 선창의 바닥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은 상기 선창마다 배치되고,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은 상기 선창마다 수밀 가능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양하장치는, 분립체를 복수로 구획된 선창 내에 적재해서 운반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설치되어, 상기 선창 내로부터 상기 분립체를 내리는 양하장치로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되도록 구획된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과, 상기 선창의 바닥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선창의 격벽부에, 이들의 선창에서 공유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은 상기 선창마다 수밀 가능해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의 접속부는 수밀 수단에 의해 폐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이 세로형 버킷 엘리베이터(bucket elevator) 또는 세로형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이 에어 슬라이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의 상기 수직 이송 수단으로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구동 전동기의 전류값 또는 전력량에 의거해서, 상기 에어 슬라이더의 풍량을 조절해서 상기 공급량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수직 이송 수단 내의 분립체의 수준이 소정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마찬가지로 상기 에어 슬라이더의 풍량을 조절해서 상기 공급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분립체의 양하역 시 이외에는 상기 수밀 수단을 상시 완전 폐쇄로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립체의 양하역 시에는, 선창들 중 어느 하나에 손상이 생긴 경우, 상기 수밀 수단을 완전 폐쇄로 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상 시 복원성이 양호하고, 또한 선창으로부터 분립체를 안정적으로 내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
도 2는 상기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측방향 단면도;
도 3은 상기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폭방향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
도 5는 상기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측방향 단면도;
도 6은 상기 양하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개요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상기 양하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개요를 도시한 계장 계통도(instrumentation diagram);
도 8은 상기 양하장치의 배출 게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B'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C-C' 단면도;
도 12는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에 있어서의 버킷 엘리베이터의 구동 모터의 전류값과 분립체의 수송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에 있어서의 버킷 엘리베이터의 구동 모터의 전력량과 분립체의 수송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16은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17은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18은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19는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20a는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20b는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21은 상기 양하장치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이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측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이 분립체 운반선의 폭방향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하장치(100)는 분립체 운반선(1)에 설치되어 있다. 양하장치(100)는, 예를 들어, 분립체 운반선(1)의 선창인 홀드(hold)(2) 내에 적재된 시멘트, 플라이애쉬, 탄산 칼슘(탄칼), 슬래그, 클링커 등의 무기재의 분립체나, 곡물 등을 포함하는 유기재의 분립체 등의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의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홀드(2)의 바닥부(2a)에 설치된 동시에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접속되어, 분립체 등의 화물을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수단의 에어 슬라이더(120)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분립체 운반선(1)은, 본 예에서는 선박 바닥을 구성하는 선각 밑판(3) 위에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4)와, 이 밸러스트 탱크(4)의 상판인 홀드(2)의 밑판(4a)을 구비하고, 선수부(6)와 선미부(7) 사이에, 예를 들어, 4개의 홀드(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홀드(2)는 격벽(2b)에 의해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수밀 상태로 구획되어 있다.
분립체 운반선(1)의 선적장치는, 예를 들어, 홀드(2) 내에 적재하는 화물(적하물)을 육상에서부터 분립체 운반선(1)에 받아들이는 수납 에어 슬라이드(151)를 개재해서 접속된 중앙 분배 탱크(152)와, 이 중앙 분배 탱크(152)에 접속된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와, 이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로부터 분기되는 홀드 선적부(15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납 에어 슬라이드(151)는, 분립체 운반선(1)의 상갑판(上甲板)(9)에 있어서의 중앙 분배 탱크(152)의 양 현측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 분배 탱크(152)는, 선체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수납 에어 슬라이드(151)는, 중앙 분배 탱크(152) 측으로 경사져서 흘러 내리도록 부착되어 있다.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는, 중앙 분배 탱크(152)로부터 선수부(6)의 방향 및 선미부(7)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중앙 분배 탱크(152) 측에서부터 이들 방향으로 경사져서 내려가도록 4개 설치되고, 각 홀드(2)의 상부에 설치된 홀드 선적부(154)와 중앙 분배 탱크(152)를 연결한다.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에 연결된 홀드 선적부(154)는, 각 홀드(2)에 대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고, 홀드 선적부(154)와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155)의 개방 조작에 의해, 시멘트 등의 분립체가 홀드 선적부(154) 바로 아래의 홀드(2) 내에 낙하하여, 선적된다. 이때, 분립체는 유동화된 상태로 홀드(2) 내에 낙하하므로, 적재 표면은 거의 수평화된다.
또, 수납 에어 슬라이드(151)나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 등의 구조는 공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에어 슬라이드는, 예를 들어, 덕트 내에 경사진 캔버스를 배치하고, 이 캔버스의 아래쪽에서부터 공기를 공급해서 분립체를 유동화시키면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분립체 운반선(1)의 양하장치(100)를 구성하는 홀드용의 에어 슬라이더(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홀드(2)의 밑판(4a) 위에 설치된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5)의 위쪽에 설치된다. 또한, 양하장치(100)를 구성하는 버킷 엘리베이터(110)는, 각 홀드(2)의 중앙 근처에 설치되고, 에어 슬라이더(1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송되어온 분립체를 하단 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송한다.
또한, 양하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분배 탱크(152)의 아래쪽에 있어서 선체의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셀러 펌프(160)와, 이들 셀러 펌프(160)와 각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상단 측을 접속하는 급송 에어 슬라이드(161)와, 급송 에어 슬라이드(161)로부터의 분립체를 각 셀러 펌프(160)에 분배하는 분배관(160a)과, 셀러 펌프(160) 내의 분립체를 양하시키기 위한 수송관(양하관)(160b)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5)은, 홀드(2) 내로부터의 분립체의 누설이나 밑판(4a) 측으로부터의 바닷물의 침입 등이 없도록, 수밀 구조로 홀드(2)의 바닥부(2a)의 전체 면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 슬라이더(120)는, 밑판(4a)과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5)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공기 배관이나 복수의 공기 공급 밸브(에어 슬라이더 밸브)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공기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공급 밸브를 개재해서 에어 슬라이더(120)의 에어 슬라이더 박스 내에 공급되어, 에어 슬라이더 캔버스를 통과시켜서 홀드(2) 내로 취출된다. 또한, 공기는 공기 공급 밸브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된 복수의 통기 밸브를 개재해서 홀드(2) 내에 공급된다. 통기 밸브는 홀드(2) 내의 통기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버킷 엘리베이터(110)는, 홀드(2)의 중앙부에, 격벽(2d)에 의해 둘러싸인 개소에 배치되고, 에어 슬라이더(120)와의 접속부에는 에어 슬라이더(120)로부터의 분립체의 버킷 엘리베이터(110)로의 배출용의 배출 게이트(130)가 배치되어 있다. 배출 게이트(130)는 분립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밸브(131)와, 수동 밸브(132)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슬라이더(120)는, 홀드(2)의 격벽(2c) 측으로부터 배출 게이트(130) 쪽으로 약간 경사져서 흘러 내리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유동화된 홀드(2) 내의 분립체를 배출 게이트(130)의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배출 게이트(130)의 유량조정밸브(131)의 동작 제어나, 홀드(2)로부터의 분립체의 양하역 처리 제어 등의 각종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는, 버킷 엘리베이터(110)가 각 홀드(2)에 격벽(2b), (2c), (2d)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구비되어 있어, 각 홀드(2) 내의 에어 슬라이더(120)와 버킷 엘리베이터(110)가 배출 게이트(13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홀드(2) 중 어느 것인가에 바닷물이 침입해도, 다른 홀드(2) 내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고, 손상 시 복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슬라이더(120)나 버킷 엘리베이터(110)는 기존의 구조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버킷 엘리베이터(110) 대신에, 세로형 스크류 컨베이어 등의 수직 이송 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출 게이트(130)의 유량조정밸브(131)의 동작 제어나, 홀드(2)로부터의 분립체의 양하역 처리 제어 등의 각종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이다. 도 5는 이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나타낸 측방향 단면도, 도 6은 이 양하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개요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이 양하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개요를 도시한 계장 계통도이다. 또한, 도 8은 이 양하장치의 배출 게이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B'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200)는, 버킷 엘리베이터(110)가 2개의 인접하는 홀드(2)를 구획하는 격벽(2b), (2d)에 이들 홀드(2)에서 공유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점, 그리고 배출 게이트(130)가 수밀 폐쇄 장치로서의 수밀 밸브(133)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와 상이하다.
즉, 배출 게이트(130)에 수밀 밸브(133)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에 있어서 각 홀드(2)에 각각 설치하고 있던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수를 적게 할 수 있고,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손상 시 복원성의 규칙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하고 있다. 그 밖의 버킷 엘리베이터(110)나 에어 슬라이더(120) 등의 구성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하장치(200)는, 예를 들어, 조작자 등이 양하역에 관한 각종 조작의 지시 등을 행하기 위한 하역 조작 단말(10)과, 양하장치(200)의 전체를 제어하는 하역 제어장치(20)와, 양하장치(200)에 구비된 각종 보조기계의 시동기를 제어하는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하역 조작 단말(10)은, 예를 들어, 휴먼 인터페이스·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제어부(11)와, 통신 인터페이스(이하, 「통신 I/F」라 칭함)(12)와, 입출력 I/F(13)와, 표시부(14)와, 입력부(15)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1)는 CPU, RAM, ROM 등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하역 조작 단말(10)에 관한 각종 처리를 제어한다.
통신 I/F(12)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 통신 등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로 이루어지고, 하역제어 단말(10), 하역 제어장치(20) 및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를 네트워크(19)를 개재해서 접속한다. 입출력 I/F(13)는 하역 조작 단말(10)과 외부의 기억장치나 주변기기 등을 접속한다.
표시부(14)는, 복수대의 액정 모니터 등을 포함하고, 각종 정보를 시인 가능하게 표시한다. 입력부(15)는, 복수대의 키보드, 마우스, 트랙 볼, 터치 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조작자 등으로부터의 양하역에 관한 각종 지시 등의 조작 정보를 하역 조작 단말(10)에 입력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역 제어장치(20) 및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의 제어부(21), (31), 통신 I/F(22), (32) 및 입출력 I/F(23), (33)는, 상기 하역 조작 단말(10)의 제어부(11), 통신 I/F(12) 및 입출력 I/F(13)와 같이 구성 가능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의 시동기 회로(34)는, 도시하지 않은 하역 보조기계 모터를 개재해서 각종 하역 보조기계와 접속되어, 각종 하역 보조기계의 시동·정지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각종 하역 보조기계는, 예를 들어, 컴프레서, 버그 필터, 팬, 송풍기, 조정밸브 등을 들 수 있다.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의 입출력 I/F(33)는, 버킷 엘리베이터(110) 등에 설치된 회전식의 레벨계(분면계)와 접속되어, 이 레벨계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에 입력한다. 한편, 입출력 I/F(33)는 시동기 회로(34)와 변환기(35)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고, 각종 하역 보조기계 모터의 전류값이나 전력량의 계측값을 변환기(35)에 의해 변환하여, 제어부(31)에 제공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을 구비한 양하장치(200)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계장으로 구성된다. 우선, 버킷 엘리베이터(110)에는, 예를 들어, 상단 측에 배치된 구동 모터(301)와, 하단 측에 상하에 배치된 2개의 레벨계(302), (303)가 설치되어 있다. 레벨계(302), (303)는 버킷 엘리베이터(110) 내의 분립체의 수준을 검출한다.
배출 게이트(130)는, 예를 들어, 버킷 엘리베이터(110)에 가까운 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전동 실린더(304)를 구비한 유량조정밸브(131), 수동 밸브(132) 및 수밀 밸브(13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조정밸브(131)는, 예를 들어, 부착을 위한 플랜지부(401)를 구비하는 케이싱(400)과, 전동 실린더(304)를 부착하기 위한 가대(架台)(402)를 구비한다.
또한, 유량조정밸브(131)는, 케이싱(400) 내에 형성되는 분립체의 배출 통로(490)를 개폐하기 위한 게이트부(403)와, 이 게이트부(403)와 전동 실린더(304)를 접속하는 게이트 축(404)을 구비한다. 게이트 축(404)은, 케이싱(400)에 패킹 누르개(packing gland)(406)에 의해 부착 유지된 패킹(405)에 의해서, 밀봉되고 또한 접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량조정밸브(131)는, 전동 실린더(304)의 동작에 따라서 게이트 축(404)을 개재해서 게이트부(403)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직사각 형상의 개구를 지니는 배출 통로(490)의 개구 직경을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에어 슬라이더(120)에 의해서 배출 통로(490) 내를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향해서 이동하는 분립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한편, 수동 밸브(132)는, 유량조정밸브(131)와 마찬가지의 플랜지부(501)를 구비하는 케이싱(500)과, 핸들부(507)를 부착하기 위한 가대(502)를 구비하고, 또한 케이싱(500) 내의 배출 통로(490)를 개폐하기 위한 게이트부(503)와, 게이트부(503)와 핸들부(507)를 나사봉(509)과 함께 접속하는 게이트 축(504)을 구비한다. 케이싱(500)에는, 에어 슬라이더 박스(121) 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주입구(508)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축(504)은, 패킹 누르개(506)에 의해 케이싱(500)에 부착 유지된 패킹(505)에 의해서, 밀봉되고 또한 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수동 밸브(132)는, 핸들부(507)를 수동에 의해 회전 조작함으로써, 게이트 축(504)을 개재해서 게이트부(503)를 상하 이동시켜, 직사각 형상의 개구를 지니는 배출 통로(490)의 개구 직경을 조정한다.
이 때문에, 수동 밸브(132)는, 유량조정밸브(131)와 마찬가지로, 에어 슬라이더(120)에 의해서 배출 통로(490) 내를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향해서 이동하는 분립체의 유량을 수동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게이트부(503)의 개폐량은 개방도 확인용 눈금(510)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수밀 밸브(133)는,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521)를 구비하는 케이싱(520)과, 공동식 또는 전동식의 실린더부(522)를 부착하기 위한 가대(523)를 구비하고, 배출 통로(490)를 수밀 상태로 개폐하기 위한 게이트부(524)와, 이 게이트부(524)와 실린더부(522)를 접속하는 게이트 축(525)을 구비한다. 또, 게이트부(524)는, 본 예에서는 나이프 게이트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나비형 밸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밀 밸브(133)는, 실린더부(522)의 동작에 따라서 게이트 축(525)을 개재해서 게이트부(524)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배출 통로(490)를 개폐한다. 이것에 의해, 배출 통로(490)를 폐쇄하고,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에어 슬라이더(120)를 수밀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슬라이더 박스(121)는 케이싱(520)에 의해 이 수밀 밸브(133)의 부분으로 차단되어 있다.
배출 게이트(130)는, 이들 유량조정밸브(131), 수동 밸브(132) 및 수밀 밸브(133)의 케이싱(400), (500), (520)을, 플랜지부(401), (501), (521)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수밀하게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접속부는 밀봉재 등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 배출 게이트(130)의 에어 주입구(508)와, 수밀 밸브(133) 측에 접속되는 에어 슬라이더(120)에는, 배출 통로(490) 내 및 홀드(2) 내의 통기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통기 밸브(307)가 접속되고, 에어 슬라이더(120)에 접속되는 통기 밸브(307)는, 예를 들어, 홀드(2) 내의 에어 슬라이더 캔버스의 수에 대응하는 수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슬라이더(120)의 통기 밸브(307)에는 공기 배관(308)에 접속된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가 접속되고, 공기 배관(308)은 터보송풍기(310), (311)와 접속되어 있다. 또, 통기 밸브(307)는 급송 에어 슬라이드(161)에도 접속되어 있다.
한쪽 터보송풍기(310)는, 예를 들어, 공기식 나비형 밸브 등으로 이루어진 선적 시에 개방 조작되는 선적 밸브(320)를 개재해서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와 접속되고, 또한 양하역 시 개방 조작되는 양하 밸브(321)나 청소(쳐냄: サラエ) 처리 시 개방 조작되는 청소 밸브(322)를 개재해서 공기 배관(308)과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 터보송풍기(311)는 터보송풍기 토출 밸브(317)를 개재해서 공기 배관(308)과 접속되어 있다. 이 터보송풍기(311)와 터보송풍기 토출 밸브(317) 사이에는 압력 스위치(316)가 설치되고, 터보송풍기 토출 밸브(317)의 앞서의 공기 배관(308)에는 압력 센서(3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공기 배관(308)에는, 루츠 송풍기(Roots blower)(312)가 루츠 송풍기 토출 밸브(318)를 개재해서 접속되고, 또한, 사일런서(silencer)(313)가 전동식의 개폐 모터(314a) 등을 구비한 풍량조정밸브(314)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풍량조정밸브(314)는 공기 배관(308)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또한,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양하 슈트(shoot)(330)에는, 급송 에어 슬라이드(161)와 분기되어서 홀드(2)와 접속된 귀환관(return pipe)(331)이 접속되어 있고, 이 귀환관(331)에는 오버플로(overflow) 전환 밸브(319)가 접속되어 있다. 또,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구동 모터(301)의 사용 전류나 전력량의 계측 정보는,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의 변환기(35)를 개재해서 하역 제어장치(20)에 입력되어, 양하역 처리 전체의 제어에 이용된다.
도 12는 양하장치(200)에 의한 양하역 처리에 있어서의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구동 모터(301)의 전류값과 분립체의 수송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구동 모터(301)의 전력량과 분립체의 수송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세로축에 분립체의 수송량을 표시하고, 가로축에는 각각 전류값, 전력량을 표시하고 있다.
양하장치(200)는, 하역 제어장치(20)에 의해서, 이들 도 12 및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구동 모터(301)의 소비 전류나 전력량(즉, 구동 모터(301)의 부하)에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하역 보조기계 등의 시스템 각 부를 하역 조작 단말(10) 및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와 함께 협동해서 제어함으로써, 양하역 처리를 실행한다.
양하역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도 14 내지 도 21은 양하장치(200)에 의한 양하역 처리를 표시한 순서도이다. 또, 도 14는, 예를 들어, 양하역 보조기계 시동으로부터 자동 양하역 처리 종료까지를 나타내고, 도 15는 에어 슬라이더(120)의 자동 제어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은 인터록 판단 처리를 나타내고, 도 17은 유량조정밸브(131)의 자동 제어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8은 풍량조정밸브(314)의 자동 제어 처리를 나타내고, 도 19는 배출 게이트(130)에 있어서의 자동 초기 배출 제어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0a 및 도 20b는 자동 배출 제어 처리를 나타내고, 도 21은 통기 밸브(307) 및 수밀 밸브(133)의 자동 개폐 제어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의 처리에 있어서는, 조작자에 의한 인적 조작 등의 스텝을 될 수 있는 한 생략해서 기재하고 있지만, 이러한 인적 조작을 포함해서 마찬가지로 수동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역 조작 단말(10), 하역 제어장치(20) 및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의 전원이 온(ON)이 되고, 배출 게이트(130)의 수동 밸브(132)를 개방 상태로 한 후,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양하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양하역 보조기계의 자동시동이 선택되어, 양하역 보조기계의 시동이 개시될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100의 "아니오"), 양하역 보조기계의 시동이 개시되면(스텝 S100의 "예"), 양하역 보조기계의 자동 운전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102).
이 스텝 S102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제어용 컴프레서, 백필터 펄스 제어용 컴프레서, 백필터 펄스, 백필터 팬, 터보송풍기(310), (311), 버킷 엘리베이터(110), 레벨계(302), (303)나, 선적 밸브(320), 양하 밸브(321) 및 청소 밸브(322) 등의 양하역 보조기계가 자동 운전된다. 또, 선적 밸브(320) 및 청소 밸브는 폐쇄 상태, 양하 밸브(321)는 개방 상태로 된다.
자동 운전 처리가 실행되면,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홀드(2)의 바닥부(2a)에 있어서의 에어 슬라이더(120)의 제어 모드로서 자동 제어가 선택되어서 개시될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104의 "아니오"), 자동 제어가 개시되면(스텝 S104의 "예"), 유량조정밸브(131)의 자동 제어를 개시한다(스텝 S106).
이 스텝 S106에 있어서는,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각 홀드(2) 중, 예를 들어, 조작자가 하역 조작 단말(10)을 조작함으로써 양하역 설정된 홀드(2) 측의 배출 게이트(130)에 있어서의 유량조정밸브(131)의 동작이 자동 제어된다.
유량조정밸브(131)의 자동 제어가 개시되면, 풍량조정밸브(314)의 자동 제어를 개시하는(스텝 S108) 동시에, 홀드(2)의 바닥부(2a)에 있어서의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 및 수밀 밸브(133)의 자동 제어를 개시한다(스텝 S110). 또, 스텝 S108에 있어서는, 홀드(2)의 바닥부(2a)의 통기 밸브(307)가, 인접하는 각 홀드(2)에서 공용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텝 S110에 있어서는, 터보송풍기 토출 밸브(317), 도시하지 않은 홀드 마스터 밸브 및 배출 게이트(130)의 하부의 통기 밸브(307)도 자동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각 부의 자동 제어가 개시되면, 자동 양하역 처리가 실행되고(스텝 S112), 양하장치(200)의 스테이터스가 「자동 양하역 중」이 된다. 그 후,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홀드(2)의 바닥부(2a)에 있어서의 에어 슬라이더(120)의 자동 제어의 정지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14), 정지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4의 "아니오")에는, 스텝 S112로 이행해서 자동 양하역 처리가 계속된다.
한편, 정지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4의 "예")에는,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 및 수밀 밸브(133)의 자동 제어를 정지하여(스텝 S116), 유량조정밸브(131)의 자동 제어를 정지한다(스텝 S118). 스텝 S116에 있어서는, 터보송풍기 토출 밸브(317), 도시하지 않은 홀드 마스터 밸브 및 배출 게이트(130) 하부의 통기 밸브(307)의 자동 제어도 정지된다.
또한, 풍량조정밸브(314)의 자동 제어를 정지해서(스텝 S120), 배출 게이트(130)의 수동 밸브(132)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자동 양하역 처리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2). 자동 양하역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2의 "아니오")에는, 하역 조작 단말(10)의 조작에 의해 다른 양하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스텝 S124), 다른 양하역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4의 "예")에는, 상기 스텝 S104로 이행해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자동 양하역 처리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122의 "예"), 그리고 다른 양하역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4의 "아니오")에는,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양하역 보조기계의 자동 운전의 정지가 선택된 후에, 양하역 보조기계의 자동 운전이 정지되고(스텝 S126),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가 종료한다. 또, 제어용 컴프레서가 자동 정지하지 않는 유형의 것이라면, 스텝 S126 후에,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이 자동 정지를 선택하고, 하역 조작 단말(10), 하역 제어장치(20) 및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30)의 전원을 오프(OFF)로 하도록 해도 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슬라이더(120)의 자동 제어 처리는, 스테이터스가 「자동(또는 수동) 양하역 중」일 때에, 인터록이 "오케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200), "오케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200의 "예")에는, 양하하는 분립체 등의 화물의 품종이 선창(홀드(2))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품종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2).
스텝 S200의 인터록의 판단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스텝 S202의 품종 판단 처리는, 예를 들어,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미리 입력된 선창 품종에 관한 정보와, 양하역 시 입력된 양하 품종에 관한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 등을 판단함으로써 행해진다. 품종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02의 "예")에는, 에어 슬라이더(120)의 자동 제어 처리를 실행하여(스텝 S206),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인터록이 "오케이"는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200의 "아니오") 그리고 품종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02의 "아니오")에는, 에어 슬라이더(120)의 자동 제어를 정지하여(스텝 S204),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 자동 제어 처리는, 상기 스텝 S206의 전 단계에 있어서,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제어 모드로서 자동 제어가 선택된 후에 실행되어도 되고, 자동 제어의 정지는, 마찬가지로 품종이 동일하다고 판단한(스텝 S202의 "예") 후에,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자동 제어의 정지가 선택된 상태에서 실행되어도 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록의 판단 처리는, 스테이터스가 「자동(또는 수동) 양하역 중」일 때에, 다음과 같은 각 판단에 의거해서 행해진다. 즉, 도시하지 않은 비상 정지 버튼 등이 눌려, 비상 정지가 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300), 버킷 엘리베이터(110)가 이상 정지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302),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구동 모터(301)가 과부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4).
또한, 터보송풍기(310), (311)가 이상 정지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306), 레벨계(302), (303)가 이상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8). 이들 각 스텝 S300 내지 S308은, 순서가 교체되어도 되고, 이들 판단에서 각각 정지했다고 판단하거나, 과부하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이상을 검출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300 내지 S308의 "예")에는, 스텝 S300으로 이행해서 재차 판단을 반복한다.
한편, 이들 판단에서 각각 정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거나, 과부하가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이상을 검출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300 내지 S308의 "아니오")에는, 인터록이 "오케이"로 되어(스텝 S310),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 인터록의 판단 처리에서는, 그 외, 필요에 따라서 판단 항목을 추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텝 S308에서의 판단은, 예를 들어, 레벨계의 상한을 넘었을 경우에는 이상을 검출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게이트(130)의 유량조정밸브(131)의 자동 제어 처리는, 스테이터스가 「양하역 보조기계 자동 운전 중」일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양하 품종이 선창 품종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해서(스텝 S400), 동일하다고 판단할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400의 "아니오"), 동일하다고 판단하면(스텝 S400의 "예"), 인터록이 "오케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02).
인터록이 "오케이"라고 판단할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402의 "아니오"), "오케이"라고 판단하면(스텝 S402의 "예"),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유량조정밸브(131)의 제어 모드로서 자동 제어가 선택된 상태에서 유량조정밸브(131)의 자동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404).
자동 제어 처리가 실행되면, 인터록이 "오케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406), "오케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406의 "예")에는, 양하 품종이 선창 품종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08).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08의 "예")에는, 에어 슬라이더(120)의 자동(또는 수동) 제어가 정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410), 자동 제어가 정지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10의 "예")에는, 미리 입력된 양하역에서의 수송량과 전류계(111)로부터의 전류값(및 이것에 의거해서 산출한 전력량)에 의거해서, 유량조정밸브(131)의 밸브 개방도를 산출한다(스텝 S412).
그리고, 산출한 밸브 개방도에 의거해서, 유량조정밸브(131)의 밸브 개방도를 설정해서(스텝 S414), 상기 스텝 S406으로 이행해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인터록이 "오케이"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406의 "아니오"), 품종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08의 "아니오") 그리고 자동 제어가 정지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10의 "아니오")에는, 유량조정밸브(131)의 밸브 개방도를 0에 설정하고(스텝 S416),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 밸브 개방도는,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임의의 값을 입력해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량조정밸브(314)의 자동 제어 처리는, 스테이터스가 「양하역 보조기계 자동 운전 중」일 때에, 예를 들어,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풍량조정밸브(314)의 제어 모드로서 자동 제어가 선택되어, 자동 제어가 행해질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500의 "아니오"), 자동 제어가 행해지면(스텝 S500의 "예"), 압력 센서(315)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는 홀드(2) 내의 통기 압력이나, 유량조정밸브(131)의 현재 상태의 밸브 개방도 등에 따라서 풍량조정밸브(314)의 밸브 개방도를 산출한다(스텝 S502).
밸브 개방도를 산출하면, 풍량조정밸브(314)의 밸브 개방도를 설정하고(스텝 S504),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S504에서 설정되는 풍량조정밸브(314)의 밸브 개방도는, 예를 들어, 유량조정밸브(131)의 밸브 개방도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된다. 그 외, 밸브 개방도는, 하역 조작 단말(10)에서 임의의 값을 입력해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게이트(130)에 있어서의 분립체의 자동 초기 배출 제어 처리는, 스테이터스가 에어 슬라이더(120)의 「자동 제어 중」일 때에, 우선, 에어 슬라이더(120)가 자동 제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0). 자동 제어 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00의 "아니오")에는,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자동 제어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00의 "예")에는, 인터록이 "오케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602), "오케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602의 "예")에는, 양하 품종이 선창 품종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4).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04의 "예")에는, 분립체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상한 설정값(고유량 설정값 [t/h])보다도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6).
유량이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06의 "예")에는, 각 홀드(2)의 하부에 있는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를 개방 상태로 해서, 배출 게이트(130)를 개재한 분립체의 자동 초기 배출을 개시한다(스텝 S608). 그 후, 분립체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하한 설정값(저유량설정값 [t/h])보다도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12).
유량이 하한 설정값보다도 적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12의 "예")에는, 미리 설정된 자동 배출 확인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614의 "아니오"), 자동 배출 확인 시간이 경과하면(스텝 S614의 "예"), 자동 초기 배출을 정지해서(스텝 S616),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를 폐쇄 상태로 한 상태에서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 자동 초기 배출을 개시하면, 병행 처리로서, 미리 설정된 초기 배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610의 "아니오"), 초기 배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스텝 S610의 "예"), 상기 스텝 S616으로 이행한다.
또, 인터록이 "오케이"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602의 "아니오"), 양하 품종이 선창 품종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04의 "아니오") 그리고 유량이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지 않다(상한 설정값 이상이다)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606의 "예")에는,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를 폐쇄한 상태에서(스텝 S618), 상기 스텝 S600으로 이행해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유량이 하한 설정값보다도 적지 않다(하한 설정값 이상이다)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612의 "아니오")에도, 상기 스텝 S600으로 이행한다.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배출 제어 처리는, 도 19에 나타낸 자동 초기 배출 처리에 의한 자동 초기 배출이 완료할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700의 "아니오"), 완료하면(스텝 S700의 "예"), 에어 슬라이더(120)가 자동 제어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02).
자동 제어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02의 "아니오")에는, 모든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해서(스텝 S750),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자동 제어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02의 "예")에는, 인터록이 "오케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704), "오케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04의 "예")에는, 양하 품종이 선창 품종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06).
품종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06의 "예")에는, 분립체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08). 유량이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08의 "예")에는, 각 홀드(2)의 하부에 있는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의 밸브 개방도를, 제N단계의 개방도에서의 개방 상태로 하여(스텝 S710), 자동 시퀀스 제어 실행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자동 시퀀스 설정 횟수로부터 1을 감한 횟수보다도 적은지의 여부를(즉, 자동 시퀀스 제어가 최종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12). 또, 스텝 S710에 있어서의 제N단계의 N은, 단계 제어의 현재의 단계수를 나타내고, 스텝 S712에 있어서의 자동 시퀀스 설정 횟수는, 초기 설정에서 2로 되어 있다. 자동 시퀀스 제어는, 1 내지 N단계까지 일주해서 1회로 카운트된다.
한편, 인터록이 "오케이"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04의 "아니오"), 품종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06의 "아니오") 그리고 유량이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지 않다(상한 설정값 이상이다)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08의 "아니오")에는,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의 밸브 개방도를, 제N단계의 개방도에서의 폐쇄 상태로 해서(스텝 S728), 상기 스텝 S702로 이행해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자동 시퀀스 제어 실행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자동 시퀀스 설정 횟수로부터 1을 감한 횟수보다도 적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12의 "예")에는, 유량이 미리 설정된 하한 설정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14). 유량이 하한 설정값 이하가 아니다(하한 설정값보다도 많다)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14의 "아니오")에는, 상기 스텝 S702로 이행한다.
자동 시퀀스 제어 실행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자동 시퀀스 설정 횟수로부터 1을 감한 횟수보다도 적지 않다(이상이다)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12의 "아니오")에는, 분립체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제로 설정값(제로 유량설정값)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30). 유량이 제로 설정값 이하가 아니다(제로 설정값보다도 많다)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0의 "아니오")에는, 상기 스텝 S702로 이행한다.
유량이 하한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14의 "예") 그리고 유량이 제로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0의 "예")에는, 자동 배출 확인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716의 "아니오"), 자동 배출 확인 시간이 경과하면(스텝 S716의 "예"),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밸브 개방도의 단계를 증분(N=N+1)시킨다(스텝 S718).
그리고, 단계제어의 현재의 단계수가 최대 단계수인지의 여부(N=Nmax?)를 판단하여(스텝 S720), 최대 단계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20의 "아니오")에는, 상기 스텝 S702로 이행한다. 최대 단계수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20의 "예")에는, 자동 시퀀스 제어 실행 횟수를 증분시키고(스텝 S722), 자동 시퀀스 제어 실행 횟수와 자동 시퀀스 설정 횟수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24).
자동 시퀀스 제어 실행 횟수와 자동 시퀀스 설정 횟수가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24의 "아니오")에는, 상기 스텝 S702로 이행한다. 이들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24의 "예")에는, 자동 시퀀스 제어를 완료하는 동시에, 청소 처리를 시작한다(스텝 S726). 청소 처리는, 홀드(2) 내에 분립체가 잔존하지 않도록 쳐내는 처리로, 통기 밸브(307)로부터의 공기에 의한 통기를 적당히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그 후, 재차 에어 슬라이더(120)가 자동 제어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732), 자동 제어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2의 "아니오")에는, 상기 스텝 S750으로 이행한다. 자동 제어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2의 "예")에는, 인터록이 "오케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734), "오케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4의 "예")에는, 양하 품종이 선창 품종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36).
품종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6의 "예")에는, 분립체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38). 유량이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8의 "예")에는, 모든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하고(스텝 S740), 분립체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제로 설정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42).
한편, 인터록이 "오케이"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4의 "아니오"), 품종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6의 "아니오") 그리고 유량이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지 않다(상한 설정값 이상이다)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38의 "아니오")에는, 모든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해서(스텝 S748), 상기 스텝 S732로 이행해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유량이 제로 설정값 이하가 아니다(제로 설정값보다 많다)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42의 "아니오")에는, 상기 스텝 S732로 이행한다. 유량이 제로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742의 "예")에는, 자동 배출 확인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려서(스텝 S744의 "아니오"), 자동 배출 확인 시간이 경과하면(스텝 S744의 "예"), 모든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해서(스텝 S746),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여, 자동 배출을 완료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게이트(130)에 있어서의 통기 밸브(307)(에어 슬라이더 밸브(309)를 포함함) 및 수밀 밸브(133)의 자동 개폐 제어 처리는, 스테이터스가 「자동(또는 수동) 양하역중」일 때에, 에어 슬라이더(120)의 제어가 정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800), 정지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800의 "예")에는, 수밀 밸브(133) 및 통기 밸브(307)를 각각 폐쇄하고(스텝 S812), 본 순서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에어 슬라이더(120)의 제어가 정지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800의 "아니오")에는, 인터록이 "오케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802), "오케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802의 "예")에는, 양하 품종이 선창 품종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04).
품종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804의 "예")에는, 분립체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06). 유량이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806의 "예")에는, 수밀 밸브(133) 및 통기 밸브(307)를 각각 개방하고(스텝 S808), 상기 스텝 S800으로 이행해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인터록이 "오케이"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802의 "아니오"), 품종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804의 "아니오") 그리고 유량이 상한 설정값보다도 적지 않다(상한 설정값 이상이다)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806의 "아니오")에는, 수밀 밸브(133) 및 통기 밸브(307)를 각각 폐쇄해서(스텝 S810), 상기 스텝 S800으로 이행한다. 또, 이들 수밀 밸브(133), 통기 밸브(307) 및 에어 슬라이더 밸브(309) 등은, 하역 조작 단말(10)을 개재해서 수동에 의해 개폐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20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수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손상 시 복원성을 높이면서도, 더욱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25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200)는, 버킷 엘리베이터(110)가, 4개의 인접하는 홀드(2)의 격벽(2b), (2e)의 모서리부가 집중하는 부분에, 이들 4개의 홀드(2)로 공유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점, 미분체 운반선(1)의 홀드(2)가 8개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200)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200)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하는 홀드(2) 사이에 상기 양상에서 각각 설치되어 있던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수를 더욱 적게 할 수 있어,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손상 시 복원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실시형태]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홀드(2)에 대해서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1개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 게이트(130)에 수밀 밸브(133)를 설치하는 일 없이 각 홀드(2)를 수밀 상태로 구획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2개 또는 4개의 복수의 홀드(2)에 대해서 1개의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 게이트(130)에 수밀 밸브(133)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또한 6개, 8개 등의 복수의 홀드(2)에 대해서 1개의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분립체 운반선 2: 선창(홀드)
2a: 바닥부 2b: 격벽
3: 선각 밑판 4: 밸러스트 탱크
4a: 밑판 5: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
6: 선수부 7: 선미부
9: 상갑판 10: 하역 조작 단말
20: 하역 제어장치 30: 하역 보조기계 시동기 제어장치
100: 양하장치 110: 버킷 엘리베이터
120: 에어 슬라이더 130: 배출 게이트
131: 유량조정밸브 132: 수동 밸브
133: 수밀 밸브 307: 통기 밸브
309: 에어 슬라이더 밸브 314: 풍량조정밸브

Claims (5)

  1. 분립체(粉粒體)를 복수로 구획된 선창 내에 적재해서 운반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설치되어, 상기 선창 내로부터 상기 분립체를 내리는 양하장치(揚荷裝置: unloading apparatus)로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되도록 구획된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 및
    상기 선창의 바닥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에어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은 상기 선창마다 배치되고,
    상기 에어 슬라이더는 상기 선창마다 수밀 가능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에어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접속부에, 유량조정밸브를 구비하는 배출 게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하장치.
  2. 분립체를 복수로 구획된 선창 내에 적재해서 운반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설치되어, 상기 선창 내로부터 상기 분립체를 내리는 양하장치로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되도록 구획된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 및
    상기 선창의 바닥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직접 접속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에어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선창의 격벽부에, 이들의 선창에서 공유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에어 슬라이더는 상기 선창마다 수밀 가능해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상기 에어 슬라이더의 접속부는 수밀 나비형 밸브에 의해 폐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은 세로형 버킷 엘리베이터 또는 세로형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의 상기 수직 이송 수단으로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구동 전동기의 전류값 또는 전력량에 의거해서, 상기 에어 슬라이더의 풍량을 조절해서 상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분립체의 양하역 시 이외에는 상기 배출 게이트 또는 수밀 나비형 밸브를 상시 완전 폐쇄로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립체의 양하역 시에는, 선창들 중 어느 하나에 손상이 생긴 경우에, 상기 배출 게이트 또는 수밀 나비형 밸브를 완전 폐쇄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하장치.
KR1020147026820A 2012-03-05 2012-03-05 양하장치 KR101603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5574 WO2013132578A1 (ja) 2012-03-05 2012-03-05 揚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084A KR20140146084A (ko) 2014-12-24
KR101603322B1 true KR101603322B1 (ko) 2016-03-14

Family

ID=4911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820A KR101603322B1 (ko) 2012-03-05 2012-03-05 양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14460B2 (ko)
KR (1) KR101603322B1 (ko)
CN (1) CN104254479B (ko)
WO (1) WO2013132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5299B2 (ja) * 2015-05-15 2017-06-28 宇部興産海運株式会社 揚荷装置
CN108909949A (zh) * 2018-06-12 2018-11-30 长沙盛谷仓储物流有限公司 新型自动化散装粉料运输船
CN109367708A (zh) * 2018-11-29 2019-02-22 广州发展瑞华新能源电动船有限公司 一种应用于千吨级以上纯电动散货船的plc控制系统
CN110395359A (zh) * 2019-08-16 2019-11-01 杭州云天港口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自装自卸船及其装船卸船方法
CN114933112B (zh) * 2022-03-16 2024-04-02 冀东水泥璧山有限责任公司 一种水泥入库状态展示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278A (ja) * 2007-09-14 2009-04-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粉粒体運搬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9780U (zh) * 1986-12-03 1987-09-09 彭志平 自卸式散装物料运输船
JP3491165B2 (ja) * 1992-09-04 2004-01-26 株式会社 商船三井 ばら積船のセルフアンローディングシステム
JP3383681B2 (ja) * 1992-11-13 2003-03-04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粉体貨物を荷役輸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7215273A (ja) * 1993-12-28 1995-08-15 Fuji Kaiji Kogyo Kk 粉粒状貨物運搬船
JP3523612B2 (ja) * 2001-05-31 2004-04-26 双栄海運株式会社 粉体輸送船
CN101239652A (zh) * 2007-02-06 2008-08-13 周兆弟 自卸散装货船及散装料的自卸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278A (ja) * 2007-09-14 2009-04-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粉粒体運搬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14460B2 (ja) 2015-11-17
CN104254479A (zh) 2014-12-31
CN104254479B (zh) 2016-10-05
KR20140146084A (ko) 2014-12-24
JPWO2013132578A1 (ja) 2015-07-30
WO2013132578A1 (ja)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322B1 (ko) 양하장치
KR0170757B1 (ko) 초미세분말의 정량 뱃치 공급방식 및 그 장치
KR101603323B1 (ko) 양하장치
JP3022448B2 (ja) 密閉系用粉粒体供給装置
JP4315747B2 (ja) 石炭灰船積設備における灰流量制御装置
JP5905204B2 (ja) 粉体搬送システム
JP4699618B2 (ja) ばら物運搬船
CN107983258B (zh) 一种物料输送设备与物料搅拌系统
JP4562646B2 (ja) 粉体積載船の船体構造
CN103857280A (zh) 应用于运输大量动物的船上的进行装填、保存和分配饲料的系统
JPH0852342A (ja) 粉粒体ミキサープラントにおける粉粒体の移送制御方法とこれに用いられる装置
CN218901747U (zh) 混合加料系统
JP6155299B2 (ja) 揚荷装置
CN213201624U (zh) 一种可提高防尘效率的料斗
CN220114845U (zh) 一种全自动真空灌装系统
JP6056034B2 (ja) 揚荷装置
CN219216804U (zh) 一种散料发放时的定量控制装置
JP7388210B2 (ja) 粉粒体空気送出システム、粉粒体空気送出方法
CN213942762U (zh) 一种物料混合装置
CN110406935B (zh) 一种石膏粉干料供料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565013B (zh) 鱼类输送机
JP6484211B2 (ja) 揚荷装置
JP2006044347A (ja) 船倉内ばら物の搬出装置
JP2017124925A (ja) 粉体供給装置および粉体供給機構
JP4552172B2 (ja) ばら物運搬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