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334B1 - 철도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334B1
KR101598334B1 KR1020107000806A KR20107000806A KR101598334B1 KR 101598334 B1 KR101598334 B1 KR 101598334B1 KR 1020107000806 A KR1020107000806 A KR 1020107000806A KR 20107000806 A KR20107000806 A KR 20107000806A KR 101598334 B1 KR101598334 B1 KR 101598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ilting
recess
rail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006A (ko
Inventor
티에리 쿠브레우어
미첼 렌스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에프 홀딩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에프 홀딩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에이치에프 홀딩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0003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32Fastening on steel sleepers with clamp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04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out clamp members
    • E01B9/10Screws or bolts for sl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 철도레일(10)을 지지대(4) 상에 고정하며, 주요 요소(101) 및 부차적인 요소(102)를 포함하는 고정 디바이스(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차적인 요소(102)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와, 스크류 몸체(82) 및 스크류 헤드를 갖는 하나의 스크류(9)를 포함하는 너트/볼트 고정자들에 대응된다. 상기 주요 요소(101)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1, 2)을 포함하는데, 상기 부품은 상기 스크류(9)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0)에 의하여 그 두께가 횡단된다. 상기 개구부(80)는 상기 부품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리세스(8)와, 상기 부품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리세스(8)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부품의 상부면은 제1 슬로프(12)를 따라 경사지고 상기 상부 부품의 하부면은 상기 제2 슬로프(14)를 따라 경사지는데, 상기 제1 슬로프 및 상기 제2 슬로프는 상보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부품은 상기 스크류를 기울이기 위한 수단(81)을 포함하는데, 상기 수단은 상기 제1 리세스의 가장자리들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철도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 for fastening railway rails}
본 발명은 철도(또는 선로)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 크레인 또는 항만 크레인을 위한 레일과 같은 매우 큰 하중에 종속되는 철도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정하는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에 관한 것이고, 추가적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특히, 적어도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철도 레일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커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 레일들 또는 차로들과 같은 레일들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은 잘 알려져 있다. 그것들은 바람직하게는 쌍으로서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평면형 지지대의 표면에 그것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쌍의 디바이스들은 상기 레일들의 말단의 각각에 측면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최근 기술에 따르면, 고정하는 디바이스들의 서로 다른 종류들, 볼트 체결되는 고정 디바이스들 및 용접되는 고정 시스템들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특히, 볼트 체결되는 고정 디바이스의 범주 내에 있으며, 보다 상세히는 소위 유연한 고정 디바이스들의 범주 내에 있다. 후자는 “고정 클립들”이라고 통상 일컬어지는데, 적어도 두 개의 요소들, 소위 “주요 요소” 및 “부차적인 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요 요소”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지지대 상에서 지지되고 거기서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레일의 구속(confinement)을 허용하는데, 특히 상기 레일의 바닥(sole) 또는 상기 레일의 말단을, 예를 들어, 상기 레일의 바닥 또는 말단과 접촉을 이루는 위로 뻗은(overhanging) 측면을 가짐으로써, 구속하게 된다.
상기 “부차적인 요소”는 여기서는 고정의 종류를 정의하는데, 상기 제1 및 제2 부품들을 서로 간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하는데, 그것의 헤드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 내에 존재하는 개구부 내로 삽입되고 그 위에 너트가 고정된다. 어떤 너트 및 볼트 고정자들은, 특히 그것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와셔(들)을 포함하는데, 부차적인 요소들로서 더욱 전체적으로 그룹화된다.
또한, 상기 주요 요소의 제2 부품의 측면은 위로 뻗고 상기 레일의 바닥 또는 말단과 접촉을 이루는데, 탄성중합체 돌출부(elastomeric nose)를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의 존재는, 수직의 유연성을 허용하는데, 상기 수직의 유연성은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차량들의 롤러들의 통과에 의하여 유도되는 응력들(stresses)을 흡수하도록 특별히 조절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클립들의 사용에 의하여, 상기 레일은 완전히 억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옆으로 단단히 유지되고 어떤 한계 내에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주요 요소는 단일 부품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그 후, 상기 스크류(부차적인 요소)는 이러한 부품이 의지하는 지지대를 가로질러야 한다. 상기 지지대는 통상 금속 보(beam)인데, 이러한 목적으로 보링될(bored) 수 있다.
이러한 클립들의 사용과 함께 상기 레일의 지지대 하에 위치하는 연속적인 고무 스트립 또는 패드의 사용은, 동작 조건들 하에서, 다소 간의 상기 레일의 수직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데에 기여하고 따라서, 상기 레일의 유연한 고정을 얻는다.
상기 레일을 그 지지대에 완전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임을 보장하는 적절한 어셈블리를 얻기 위하여, 상기 고정 수단을 매우 정밀하게 위치시키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들의 장점은 조절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쉽게 분해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솔루션은 특히, 상당한 하중이 있는 경우, 또는 크레인들의 연속적인 동작과 같이 특별히 심한 사용 비율이 있는 경우에 장점이 있다.
그 문제에 대하여, 크레인들 또는 교량 크레인들의 특별한 경우에, 이러한 종류의 고정은 이러한 응용들에 대한 새로운 추가적인 특정 제약조건의 발생과 연관하여, 다소 간의 기술적 단점들을 추가적으로 갖는다.
사실, (항만) 크레인들 및 교량 크레인들은 과거에 비하여 현재에는, 더 무겁고 더 높고 부피도 더 크다. 또한, 그것들은 보다 신속하게 움직이고 작동한다. 상대적으로, 휘일들의 수와 그것들의 직경은 비례적으로 커지지 않으며, 따라서 그러한 크레인들 및 교량 크레인들의 휘일 당 하중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레일들 및 상기 고정 시스템들은, 그것들이 대응할 수 있어야만 하는, 본질적으로 진동들로부터 기인한 새로운 기계적인 응력들을 작용 받는다.
구체적인 조건에 있어서, 상기 진동들은 상기 레일의 회전을 유발하는데, 이는 고정 시스템들에서 응력들, 움직임(고정되지 않고 흔들거림)을 유발하고 나아가서는 상기 부품들의 마모나 나사풀림(unscrewing)을 유발할 수도 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고정 시스템들 및 상기 레일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유발하는 설치 동안의 결함들(상기 레일에 잘못 적용된 클립, 상기 스크류의 잘못 맞물림 등)이 이러한 기계적인 응력들에 더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결함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극복하는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새로운 클립, 적합한 너트 및 볼트 고정자들을 포함하는 고정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는 특히 큰 하중, 특별히 100톤 이상의 하중을 갖는 크레인들 및/또는 교량 크레인들을 위한 레일들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대한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쉽고 간단하게 조립/분해될 수 있는, 이러한 레일들(레일트랙들 또는 차로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트랙들)을 위한 고정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최소의 부피를 갖는 고정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주요 요소 및 부차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의하여 충족된다.
본 발명은, 철도 레일(차로, 레일트랙 또는 트랙)을 지지대 상에서 고정하기 위한, 주요 요소 및 부차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유연한) 고정 디바이스(또는 클립)에 관련된다. 상기 부차적인 요소는 너트 및 볼트 고정자들과 관련된다. 상기 부차적인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 및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는 스크류 몸체 및 스크류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주요 요소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은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하여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의하여 그 두께가 횡단된다.
상기 개구부는 제1 리세스, 즉, 상기 부품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의 스크류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소위 “상부 리세스”와, 제2 리세스, 즉, 상기 부품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소위 “하부 리세스”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리세스의 가장자리들 상에는, 상기 스크류를 기울이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상부면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면의 다소 간의 슬로프를 따라서 기울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류를 기울이는 수단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레일 상에서 고정될 때, 상기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에 작용하는 상기 힘의 수평 성분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크류의 기울임 자체는 상기 레일을 향하여 상기 주요 요소를 슬라이딩(푸싱)하는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요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질 수 있는 두 개의 부품들(하나는 소위 “하부 부품”이고 하나는 소위 “상부 부품”임)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부품과 상기 하부 부품의 각각은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다. 상기 상부 부품 및 상기 하부 부품은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하여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의하여 그 두께가 횡단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부 부품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의 스크류 몸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리세스와, 상기 하부 부품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 헤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리세스에 의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부품의 상부면은 제1 슬로프를 따라 경사지고, 상기 상부 부품의 하부면은 제2 슬로프를 따라 경사진다. 상기 제1 슬로프 및 상기 제2 슬로프는 모두, 상보적인 경사면을 갖는다.
상기 상보적인 경사면(상보적인 슬로프)이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슬로프를 보상하는 하나의 슬로프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일단 장착되면 상기 스크류 상에 본질적으로 수직의(상기 지지대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힘을 작용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바람직한 수평 성분의 발생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어서, 상기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를 기울이고(그것이 의지하도록 만듬) 따라서 상기 레일의 방향으로 상기 주요 요소를 슬라이드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을 그 지지대에 보다 잘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리세스의 축과 상기 하부 리세스의 축은 일치한다(두 리세스들에 대하여 동일한 공통 중심 축을 가짐).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류를 기울이는 수단은, 1°에서 약 45° 사이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 및 약 30°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1° 및 약 15°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5° 및 약 45°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및 30°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및 15° 사이에 속하는 각도로 상기 스크류를 기울이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슬로프의 각도는, 상기 지지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을 기준으로 할 때, 1° 및 45° 사이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및 30° 사이, 바람직하게는 1° 및 15°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및 45°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및 30°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및 15° 사이에 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슬로프의 경사 각도 및 틸팅(tilting: 기울임) 수단에 의한 상기 스크류의 틸트(tilt) 각도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각도들은 서로 다른 값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틸팅 수단(상기 틸팅 요소)은 상기 (상부) 부품의 상부면의 필수적 부품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틸팅 수단(상기 틸딩 요소)은 상기 주요 요소를 형성하는 부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 대응된다.
상기 스크류를 기울이는 수단은 따라서, 상기 상부 부품과 일체의 조각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크류를 기울이는 수단은 상기 상부 부품으로부터 구별되는(즉, 제거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틸팅 요소(포지셔닝 수단)는 서로 다른 형상들을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틸팅 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부품의 상부면의 가장자리들(상기 제1 리세스의 가장자리들) 상에 존재하는 볼록한 형상을 지닌다.
상기 틸팅 요소는 상기 (상부) 부품의 상부면의 가장자리들(상기 제1 리세스의 가장자리들) 상에 존재하는 스프링 형상을 지닐 수도 있다.
바이어스 심들(shims) 또는 압축 심과 같은, 상기 틸팅 수단에 대한 추가적인 다른 형상들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가 장착될 때, 상기 제2 리세스는 상기 스크류의 헤드를 블로킹하도록 구성된 받침대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들은 상기 수평에 대하여 또는 상기 하부 부품 또는 지지대의 베이스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슬로프를 따라 경사진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크류를 기울이는 수단은 상기 틸팅 요소의 경사진 슬로프에 평행한 약간 경사진 슬로프를 따라 경사지는 상기 받침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부품의 상부면은 상기 부품의 하부면을 넘어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레일에 고정될 때 상기 레일의 바닥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레일에 고정될 때 상기 레일의 바닥과 접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유연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로 된 부재를 갖는다. 당업자는 본 출원인의 WO01/66858호 문서에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의 디바이스를 참조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제2) 리세스는 상기 스크류가 초기 위치에서 관통하여 상기 리세스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 영역과, 상기 스크류의 블로킹 및 조임을 허용하는 상기 스크류의 최종 위치에 대응되는 조임 영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를 상기 하부 리세스 내로, 상기 삽입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임 영역으로 통과시키는 것은 회전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를 상기 하부 리세스 내로, 상기 삽입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임 영역으로 통과시키는 것은 병진운동에 의하여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크류를 상기 하부 리세스 내로, 상기 삽입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임 영역으로 통과시키는 것은 회전 및 병진운동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철도 레일을 지지대 상에 고정하기 위한, 주요 요소 및 부차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유연한) 고정 디바이스(또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차적인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와 스크류 몸체 및 스크류 헤드를 갖는, 하나의 스크류 너트 및 볼트 고정자들에 대응된다. 상기 주요 요소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부품은 상기 스크류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의하여 그 두께가 횡단된다.
상기 개구부는 제1 리세스, 즉, 상기 부품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의 스크류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소위 “상부 리세스”와, 제2 리세스, 즉, 상기 부품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소위 “하부 리세스”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부 리세스는 상기 스크류가 초기 위치에서 관통하여 상기 리세스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 영역과, 상기 스크류의 블로킹 및 조임을 허용하는 상기 스크류의 최종 위치에 대응되는 조임 영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의 하부 리세스는 상기 조임 영역(21)에 위치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장착될 때 상기 스크류의 헤드를 블로킹하도록 고안된 받침대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를 상기 하부 리세스 내로, 상기 삽입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임 영역으로 통과시키는 것은 회전, 병진운동 또는 회전 및 병진운동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요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질 수 있는 두 개의 부품들, 상기 하부 리세스가 위치하는 소위 “하부 부품”이라고 불리는 부품과, 상기 상부 리세스가 위치하는 소위 “상부 부품”이라고 불리는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틸팅 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가 상기 레일을 향하여 경사질 때, 상기 레일을 향하여 슬라이딩(푸싱)되는 것은 상기 상부 부품이라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차적인 요소의 스크류는 육각형 헤드 스크류 또는 사각형 헤드 스크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각형 스크류 헤드는 다소 간의 폭을 갖는 사각형 베이스와, 상기 사각형 베이스의 위에, 즉 상기 사각형 베이스와 상기 스크류 몸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폭을 가지는 정사각형 베이스를 갖는다.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두 개의 상부 리세스들과 두 개의 하부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래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하부 부품 또는 상부 부품에 대응되는 지지대에 철도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유연한) 디바이스를 위한 하프-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크류 몸체 및 사각형 스크류 헤드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을 지지대 상에 고정하는 (유연한) 디바이스를 위한 스크류가 제공된다. 상기 사각형 스크류 헤드는 다소 간의 폭을 갖는 사각형 베이스와, 상기 사각형 베이스의 위에, 즉 상기 사각형 베이스와 상기 스크류 몸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폭을 가지는 정사각형 베이스를 갖는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에서 식별된 바와 같은 주요 요소의 상부 부품 또는 하부 부품인 하프-클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레일들 및) (항만) 크레인들 및/또는 교량 크레인들을 포함하는 설비에서 상기 식별된 바와 같은, 디바이스 및/또는 하프-클립 및/또는 스크류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디바이스, 및 철도 레일 및/또는 상기 레일을 위한 지지대 및/또는 패드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커버한다.
상기 “패드”는 상기 레일의 지지대 아래에 위치하는 일반적으로 고무로 된, 연속적인 스트립을 의미한다.
보다 더 일반적인 방식으로, 상기 주요 요소(상기 주요 요소의 상부 부품)를 상기 레일에 대하여 푸싱하는 기능을 갖는 틸팅 수단은, 이러한 어셈블리(고정 디바이스만이 아니라)의 다른 요소들 상에, 특히 상기 레일의 지지대(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의 아래에 위치하는 압축 심(shim) 또는 스프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은, 상기 레일 또는 그 지지대 상에 장착된 또는 장착되며(분해도), 하부 부품, 상부 부품 및 너트/볼트 고정자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의 사시도에 대응된다.
도 2는 상기 레일에 장착된 상기 디바이스의 측면도에 대응된다.
도 3, 4 및 5-7은 이러한 동일한 디바이스의 사시도, 상면도, 측면도에 각각 대응된다.
도 8a 및 8b는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부 부품의 사시도 및 측면도에 각각 대응된다.
도 9는 상기 디바이스의 하부 부품의 사시도를 보여주는데, 상기 디바이스의 리세스들은 도 10에서 도시될 사각형 헤드 스크류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조절된다.
도 11 및 12는 이러한 동일한 부품의 저면도 및 상면도를 각각 보여준다.
도 13a는 서로 다른 각도들 하에서 이러한 동일한 하부 부품의 서로 다른 사시도들을 보여준다.
도 13b 및 13c는, 거기서 발견되는 테이퍼 진 형태를 보다 특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부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부 부품의 상부 및 저면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5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부품의 상부 및 저면 사시도를 보여준다. 상기 디바이스의 리세스들은 도 18에서 도시될 육각형 헤드 스크류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조절된다.
도 16은 이러한 동일한 부품의 상면도에 대응된다.
도 17은 상기 부품의 리세스들 중 하나의 상세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청구항을 제외한 어떤 것에 의해서도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되는 도면들은 단지 도식적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도면들에서, 어떤 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한 용도로 과장될 수 있으며 스케일에 맞추어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치수들 및 상대적인 치수들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실제의 축도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의하여 커버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들과 수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들은 유사한 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사용되고, 반드시 순차적 또는 시간적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들은 적절한 환경들 하에서는 상호 교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기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것과 다른 순서로 동작될 수도 있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상부(top), 바닥(bottom), 좌측(left), 우측(right), 위측(over), 아래측(under) 등의 용어들은 설명적인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고 반드시 상대적인 위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들은 적절한 환경들 하에서는 상호 교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기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것과 다른 동작들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은 이러한 요소의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포함한다(comprising)는 용어는 그 이후에 열거된 수단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그것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단 A 및 B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라는 표현의 범주는 구성요소 A 및 B 만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그것은 본 발명에 관하여 A 및 B는 상기 디바이스의 적절한 구성요소들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숫자 값들은, 양의 한정 또는 치수의 결과에 관하여 주어진다. 그 값들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는, 불순물, 치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법들, 사람의 실수, 통계적 차이 등으로 인한 변화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숫자 값들의 범위는 하부 한계 및 상부 한계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정해진다. 상기 숫자 값들의 범위는 특별히 다르게 기술하고 있지 않는 한, 상기 하부 한계 및 상기 상부 한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의 서로 다른 요소들(서로 다른 부품들)이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지지대(4)에 대하여, 레일(10)에 대하여 특히 바닥(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배치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보여주는 도 1 및 2를 참조한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4) 상에서 철도 레일(10)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100)는, 상기 바닥 또는 상기 레일(10)의 말단(5)을 한정하도록 고안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요소(101)와, 상기 주요 요소(101)가 상기 지지대(4)에 고정되도록 허용하는 부차적인 요소(1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요소(101)는 단일의 동일한 부품으로 구성되거나, 하부 부품 1(제1 부품) 및 상부 부품 2(제2 부품)과 대응되는 두 개의 겹쳐질 수 있는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부차적인 요소(102)는 상기 주요 요소(101)의 부품들(1 및 2)을 단단히 고정하는 기능도 가질 수 있다.
도면들에서, 디바이스들의 예들이 도시되며, 상기 주요 요소(101)는 두 개의 부품들(1, 2)를 포함하지만, 상기 부품들(1, 2)은 단일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은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디바이스는 특허 BE 843,657호에 설명된 고정 디바이스의 주요 특징을 포함하고, 특별히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추가적으로 갖는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가 상기 레일 상에, 즉 동작 조건들 하에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부품(2)은 상기 하부 부품(1) 상에 겹쳐진다. 상기 하부 부품(제1 부품)(1)은 상기 지지대(4) 상에서 지지되고, 볼트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하여 거기서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상부 부품(제2 부품)(2)은 상기 레일(10), 보다 자세하게는 서로 다른 수준들에서 상기 레일(10)의 바닥 내지 말단(5)의 구속을 허용한다. 한편으로, 상기 제2 부품(2)은 상기 레일(10)의 말단(5)의 옆면과 접촉하게 될 수 있는 측면(7)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2 부품(2)은 위로 뻗도록 고안되고 탄성 부재(6)(탄성중합체 돌출부)을 통하여 상기 레일(10)의 바닥 또는 말단(5)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3)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에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제공하면서, 상기 레일(10)의 수직의 움직임들을 제한한다.
상기 제1 부품의 상부면(11)은 경사 각도라고 불리는 다소 간의 각도로 제1 슬로프(12)를 따라서 경사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100)가 동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경사면(상기 낮은 위치를 향한 높은 위치)은 상기 레일을 향하여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사 각도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또는 부품(1)의 베이스 평면, 즉 지지대(4)의 평면에 대하여,) 1° 내지 45°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1° 및 15°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5° 및 45°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5° 및 30°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5° 및 15° 사이에 포함된다.
평면의 경사면의 각도들은 상기 레일의 종축 방향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품(2)의 하부면(13)(사실상, 상기 부품(2)의 베이스)은 상기 제1 부품(1)의 상부면(11)의 반사된 경사 각도에 대응되는 제2 슬로프(14)를 따르는 다소 간의 각도도 경사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100)가 상기 동작 위치에 있을 때, 이 표면(13)의 경사면은 상기 레일의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2 부품(2)의 상기 하부면(13)은 상기 제1 부품(1)의 상부면(11)과 최적의 접촉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사 각도는 (상기 슬로프(12)에 관한 동일한 참조 평면에 대하여,) 1° 및 45°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1° 및 30°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5° 및 45°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5° 및 30°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5° 및 15° 사이에 포함된다.
상기 제1 슬로프(12) 및 상기 제2 슬로프(14)는 상보적(서로 간에 보상함)이고, 상기 주요 요소(101)는 상기 동작 위치에 있을 때(즉, 상기 레일 상에서 장착될 때), 상기 레일(10)의 지지대(4)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탄성 부재(6)를 갖는 상기 슬로프들(12 및 14)의 보충성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에 본질적으로 수직의 저항력을 제공한다. 상기 수직 저항력으로 인하여, 상기 레일(10)은 다소 효율적으로 그 지지대(4)에 고정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상기 클립을 상기 레일에 대항하게 하는 효과와, 두 부품들 사이에서의 움직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주요 요소(101)의 각각의 부품(1 및 2)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하우징)(8' 및 8)을 갖는다. 상기 리세스 하우징(8' 및 8)는, 상기 주요 요소(101)의 상기 제1 부품(1) 및 상기 제2 부품(2)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고정 디바이스(100)의 상기 부차적인 요소(102)를 형성하는 너트 및 볼트 고정자들로부터 스크류(9)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도면들에 의하여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부품(1 및 2)은 하우징들(8' 및 8)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부품(1) 상에 위치한 리세스(8')는 상기 스크류(9)의 헤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상기 리세스(8)는 이러한 스크류(9)의 몸체에 의하여 횡단된다.
스크류들(9)의 서로 다른 종류들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각형 헤드를 갖는 육각형 헤드 스크류 또는 스크류(9)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품(1)에 위치하는 리세스(8')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일종의 스크류에 맞도록조절된다. 도 1, 9, 11, 12 및 13a는 리세스(8')가 사각형 헤드 스크류들(9)에 적합하게 조절되는 고정 디바이스의 예를 보여주는 반면, 도 15 내지 17은 리세스(8')가 육각형 헤드를 갖는 스크류들(9)에 적합하게 조절되어 아치 형상(아크 형상)을 갖게 되는 고정 디바이스의 예를 보여준다.
육각형 헤드 스크류들을 사용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은 상기 선행 기술의 고정 디바이스들 내에서 발생되는 부피의 문제에 대한 특별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상대적으로, 사각형 헤드 스크류들의 실시예들은, 상기 스크류 헤드 및 리세스(8')사이의 상기 접촉 표면들이 거기서 최적화되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들(9)의 조임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하며, 상기 디바이스의 요소들의 조립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한다.
상기 제1 부품(1)(하부 부품)의 리세스(8')는 그 두께 내에서, 상기 스크류 헤드(9)가 그 사이에 삽입된 후에 블로킹되도록(멈추도록) 허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받침대들(84)을 갖는다.
보다 자세히는, 상기 리세스(8')는, 초기 위치(20)에서 상기 스크류(9)가 상기 리세스(8') 내로 삽입되는 삽입 영역(20)과, 상기 스크류(9)의 최종 위치(21)에 대응되는 조임 영역(21)을 갖는다. 상기 조임 영역(21)은 후자가 그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류(9)의 블로킹(멈춤) 및 조임을 확실하게 한다.
상기 스크류(9)를 상기 리세스(8') 내에서 상기 삽입 영역(20)(초기 위치(20))로부터 상기 조임 영역(21)(최종 위치(21))로 통과시키는 것은, 서로 다른 방법들로 수행될 수 있다: 단순한 병진운동이나 회전에 의하여, 또는 회전 및 병진운동에 의하여.
상기 리세스(8')가 아치 형상인 경우에, 상기 스크류를 상기 리세스(8') 내부로 움직임에 의하여, 그리고 상기 리세스(8')의 실제의 아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9)는 자발적으로(자동으로) 상기 리세스(8')의 바닥(조임 영역 및 최종 위치(21))으로 푸시된다.
리세스(8')의 상기 조임 영역(21)에서 상기 스크류(9)를 블로킹하는 것은, 스크류(9)가 인접하여 거기서 블로킹되도록 하는 받침대들(84)의 존재에 의하여 제공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헤드와 상기 리세스(8') 간의 접촉 표면들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러한 목적으로 특수하게 고안된 사각형 헤드 스크류들의 사용이 제공될 수 있다. 후자는 상기 사각형 베이스(91) 위에, 즉, 사각형 베이스(91)와 상기 스크류(9)의 실제 몸체(92) 사이에 위치하는 정사각형 베이스(90)을 갖는 스크류 헤드를 특별히 가진다(조절된 스크류들(9)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받침대들(84)의 블로킹 효과를 강화함).
특히 흥미있는 방식으로, 이러한 디바이스 내에서,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고정 디바이스들 내에서, 상기 주요 요소(101)의 제2 부품(2)의 리세스(8)는 상기 표면에서, 즉 상기 제2 부품(2)의 상부면에서, 상기 요소(81)의 틸트가 동작 위치 내에서 상기 레일(10)의 반대 방향으로 돌려지는 방식으로 정렬되는 다소 간의 각도의 슬로프(82)를 갖는 틸팅 요소(81)를 갖는다. 상기 슬로프(82)의 틸트는 동작 조건하에 상기 스크류에 작용하는 힘의 수평 성분을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 위치에서, 이러한 스크류(9) 및 상기 주요 요소(101)의 제2 부품(2)은 상기 레일(10)에 대항하여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또는 부품(1)의 베이스 평면, 즉 지지대(4)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상기 슬로프의 틸트 각도는 1° 및 45°, 바람직하게는 1° 및 30°, 바람직하게는 1° 및 15°, 바람직하게는 5° 및 30°, 바람직하게는 5° 및 15° 내에 존재한다.
상기 틸팅 요소(81)의 효과하의 이러한 스크류(9)의 틸트는, 상기 주요 요소(101), 보다 자세히는 상기 상부 부품(2)을 상기 레일을 향하여 슬라이딩(푸싱)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스크류의 틸팅은, 상기 스크류 헤드를 상기 레일의 방향으로 스크류 헤드를 틸팅(또는 기대기)하고 상기 스크류 몸체를 상기 레일의 반대 방향으로 틸팅(또는 기대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틸팅 요소는 상기 스크류를 틸팅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틸팅 요소는, 상기 스크류 축이 상기 슬로프(82)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하는 방향을 취하도록 상기 스크류(및 상기 너트)에 힘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크류 축은 어떤 각도로 경사진다. 상기 각도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또는 부품(1)의 베이스 평면 또는 지지대(4)에 대하여 수직인 라인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및 45° 사이, 바람직하게는 1° 및 30° 사이, 바람직하게는 1° 및 15°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및 30°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및 15° 사이의 범위에 존재한다. 상기 틸트 각도는 상기 레일의 종축 방향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주요 요소(101)의 부품들(1 및 2)에서 슬로프들(12 및 14)을 갖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특허 BE 843,657호에 설명된 디바이스의 본질적 특징을 그대로 따르는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요소(81)의 슬로프(82)의 틸트는 상기 슬로프들(12 및 14)의 틸트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요소(81)의 틸트 각도(슬로프 (82))는 상기 슬로프들(12 및 14)의 틸트 각도로부터 독립적인 방식 또는 종속적인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틸팅 요소(81)는, 이러한 틸팅 요소(81)가 슬로프(82)를 가지고 상기 동일한 기술적 효과(동작 조건 하에서 상기 스크류(9)에 작용하는 힘의 수평 성분의 생성)가 얻어진다면, 상기 디바이스에 따른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틸팅 요소(81)는 상기 부품(2)의 필수 부품이거나(동일한 구성), 상기 부품(2)의 필수 요소(동일한 구성 또는 다른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틸팅 요소(81)는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8)의 가장자리들에 위치하는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틸팅 요소(81)는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리세스(8)의 가장자리들 상에 위치하는 스프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2)에서, 상기 리세스(8)의 방향은 상기 부품(2)의 표면(13) 및 상기 부품(1)의 표면(11)의 상대적인 방향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틸팅 요소(81)에 의하여, 상기 레일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의 틸팅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은 특허 BE 843,657호에 설명된 디바이스와 유사한 디바이스를 위한 리세스(8) 방향의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도면들에서, 상기 리세스(8)는 따라서 개구부(80)를 갖는 특징을 갖는데, 상기 개구부(8)의 주요 축은 상기 제1 부품(하부 부품)의 베이스에 대하여 수직으로 몇도 정도 시프트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상기 레일(10)에 대항하여 상기 스크류(9)의,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주요 요소(101)의 제2 부품(2)의 측방향 틸팅 효과에 기여한다. 상기 리세스(8)는 상기 슬로프(14)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그것들의 블로킹 기능에 더하여, 상기 받침대들(84)은 상기 리세스(8)에서, 상기 레일(10)에 대항하여 상기 스크류(9)의 틸팅(정렬) 기능(상기 틸팅 요소(81)의 기능에 부가될 것임)을 가질 수 있다(동작 조건 하에서 상기 스크류(9)에 작용하는 힘의 수평 성분을 생성함에 의하여).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받침대들(84)은 상기 틸팅 요소(81)의 슬로프(82)에 평행한 틸트 평면에서 선택될 수 있는 틸트를 가질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10)을 그 지지대(4)에 고정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주요 요소(101)의 상기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은 하나 이상의 리세스(8), 즉 두 개 또는 세 개 또는 필요하다면 그 보다도 많은 리세스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요 요소의 제2 부품의 측면은, 위로 뻗어서 상기 레일의 바닥 또는 말단과 접촉하는데, 탄성중합체 돌출부(6)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의 존재는, 상기 레일 상에서 차량 철도의 롤러들을 통과시킴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력들을 흡수하도록 특별히 조절되는, 다소의 수직 방향 유연성을 제공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클립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레일은 완전히 구속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단단히 옆으로 고정되지만, 수직으로는 다소 간의 비율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도 보유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클립들의 사용과 함께, 상기 레일의 지지대 하에 위치하는 패드라고 불리는 연속적인 고무 스트립의 사용은, 동작 조건 하에서 상기 레일의 다소간의 수직 유연성을 제공하고 따라서 상기 레일의 유연한 고정을 획득 데에 기여한다.

Claims (24)

  1. 주요 요소(101)와 부차적인 요소(102)를 포함하는, 지지대(4) 상으로 철도 레일(10)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부차적인 요소(102)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와 스크류 몸체(92) 및 스크류 헤드를 갖는 스크류(9)를 포함하는 너트 및 볼트 고정자에 대응되며,
    상기 주요 요소(10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질 수 있는 하부 부품(1) 및 상부 부품(2)을 포함하는데, 상기 부품들의 각각은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지며, 상기 부품들은 상기 스크류(9)를 수용하도록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0)에 의하여 그 두께가 횡단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부 부품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의 상기 스크류 몸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리세스(10)와, 상기 하부 부품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 헤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리세스(8')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품의 상부면은 제1 슬로프(12)를 따라서 경사를 이루고 상기 상부 부품의 하부면은 제2 슬로프(14)를 따라서 경사를 이루며, 상기 제1 슬로프 및 상기 제2 슬로프는 상보적이며,
    상기 상부 부품은 상기 제1 리세스의 가장자리들 상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류를 틸팅하는 수단(81)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를 틸팅하는 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에 수직인 라인에 대하여, 1° 및 45° 사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각도로 상기 스크류를 틸팅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를 틸팅하는 수단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레일 상에 고정될 때, 상기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상에 작용하는 힘의 수평 성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를 틸팅하는 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에 수직인 라인에 대하여, 1° 및 15° 사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각도로 상기 스크류를 틸팅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로프의 경사 각도는,
    상기 지지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1° 및 45° 사이의 범위에 존재하는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로프의 경사 각도와 상기 틸팅하는 수단에 의한 상기 스크류의 틸트 각도는 다른 값을 갖는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로프의 경사 각도와 상기 틸팅하는 수단에 의한 상기 스크류의 틸트 각도는 같은 값을 갖는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하는 수단은 상기 상부 부품(2)을 구성하는 부품인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하는 수단은, 상기 상부 부품(2)으로부터 제거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의 부품들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하는 수단은 상기 제1 리세스의 상기 가장자리들 상에서 볼록한 형상을 지니는 디바이스.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세스(8')는, 상기 디바이스가 장착될 때 상기 스크류(8)의 헤드를 블로킹하도록 구성되는 받침대들(84)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들은 상기 스크류를 동일한 각도로 틸팅하기 위하여, 상기 틸팅하는 수단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하는 수단 및 상기 받침대들의 각각은 경사진 평면을 포함하는데, 양자가 갖는 상기 경사진 평면들은 상기 디바이스가 동작 조건에 있을 때, 서로에 대하여 평행한 디바이스.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세스(8')는 상기 스크류가 초기 위치(20)에 있을 때 상기 스크류(9)를 그 내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삽입 영역(20)과, 상기 스크류가 최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크류(9)를 블로킹하고 조이도록 형성되는 조임 영역(21)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역 및 상기 조임 영역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최종위치로 통과할 때 상기 스크류에 회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역 및 상기 조임 영역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최종위치로 통과할 때 상기 스크류에 병진운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역 및 상기 조임 영역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최종위치로 통과할 때 상기 스크류에 회전 및 병진운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9)는 육각형 헤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9)는 사각형 헤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헤드는,
    사각형 베이스(91)와, 상기 사각형 베이스의 길이보다 더 작은 측면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 베이스(90)를 가지며, 상기 정사각형 베이스는 상기 사각형 베이스(91) 및 상기 스크류(9)의 상기 몸체(92) 사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
  21. 삭제
  22. 크레인 및 교량 크레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설비로서,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설비.
  2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철도 레일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2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2)은, 상기 레일(10)의 말단(5)의 옆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측면(7) 및 탄성 부재(6)을 포함하는 일 부분(3)을 가지고, 상기 일 부분(3)은 상기 레일의 말단 위로 뻗도록 배치되는 디바이스.
KR1020107000806A 2007-07-20 2008-07-18 철도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598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2883.9 2007-07-20
EP20070112883 EP2017385A1 (fr) 2007-07-20 2007-07-20 Dispositif de fixation de rails de rou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006A KR20100034006A (ko) 2010-03-31
KR101598334B1 true KR101598334B1 (ko) 2016-02-29

Family

ID=3874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806A KR101598334B1 (ko) 2007-07-20 2008-07-18 철도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205803B2 (ko)
EP (2) EP2017385A1 (ko)
KR (1) KR101598334B1 (ko)
CN (1) CN101720371B (ko)
AU (1) AU2008280214B2 (ko)
BR (1) BRPI0812622B1 (ko)
CA (1) CA2691210C (ko)
ES (1) ES2584508T3 (ko)
HU (1) HUE027845T2 (ko)
MY (1) MY151911A (ko)
PL (1) PL2173947T3 (ko)
PT (1) PT2173947T (ko)
RU (1) RU2482235C2 (ko)
UA (1) UA98659C2 (ko)
WO (1) WO2009013239A1 (ko)
ZA (1) ZA2009091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18005B2 (en) * 2013-02-12 2017-08-31 Hf Holding Sa Adjustable rail fastening assembly
USD756844S1 (en) * 2013-03-15 2016-05-24 L.B. Foster Company Curve block
CN103231985B (zh) * 2013-04-03 2015-0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起重轨道结构
US10132044B2 (en) * 2014-04-28 2018-11-20 Hf Holding S.A. Rail clip assembly
DE102017106422A1 (de) * 2017-03-24 2018-09-27 Vossloh-Werke Gmbh Unterlegplatte zum Abstützen einer Schiene für ein Schienenfahrzeug und Befestigungspunkt mit einer solchen Unterlegplatte
AT519566B1 (de) * 2017-09-21 2018-08-15 Hans Kuenz Gmbh Unterteil für eine Klemmvorrichtung
WO2020046771A1 (en) * 2018-08-26 2020-03-05 Molyneux Godfrey Improvement to rail clips
RU2734702C2 (ru) * 2019-01-09 2020-10-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Промежуточн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утей
RU2714463C1 (ru) * 2019-07-10 2020-02-17 Константин Валентинович Мигалин Способ форсирования двухконтурного эжекторного пульсирующего воздушно-реактивного двигателя и форсированный двухконтурный эжекторный пульсирующий воздушно-реактивный двигатель
CN111608027B (zh) * 2020-05-29 2021-12-28 南宁学院 一种无缝铁轨与地面的连接固定装置
TR202100487A2 (tr) * 2021-01-13 2021-02-22 Beket Ray Baglanti Sistemleri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Ki̇li̇tli̇ ray bağlanti si̇stem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245A (en) 1911-01-21 1911-12-12 James M Rafter Rail-faste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99581A (en) * 1932-04-27 1933-10-12 Ernest John Thornber Roe Improvements in anchor bolt or like metal fittings for floors, ceilings and walls
US2636687A (en) * 1948-07-28 1953-04-28 Cleveland Frog & Crossing Co Rail brace
FR1467809A (fr) * 1965-11-30 1967-02-03 Boulon à tête marteau perfectionné
GB1451639A (ko) * 1973-03-09 1976-10-06
GB1544633A (en) * 1975-06-30 1979-04-25 Kins Developments Ltd Rail clip assemblies
US4193544A (en) * 1975-06-30 1980-03-18 Kins Developments Limited Rail clip assemblies
GB1599873A (en) * 1977-04-19 1981-10-07 Kins Developments Ltd Rail clip assemblies
GB2123511B (en) * 1982-07-13 1986-05-29 Acrow T-bolt
GB8630068D0 (en) * 1986-12-17 1987-01-28 Cranequip Ltd Rail clip assembly
EP1132522A1 (fr) * 2000-03-08 2001-09-12 Gantry S.A. Dispositif de fixation de rails de rou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245A (en) 1911-01-21 1911-12-12 James M Rafter Rail-faste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3947B1 (en) 2016-04-27
US20100193598A1 (en) 2010-08-05
MY151911A (en) 2014-07-31
AU2008280214B2 (en) 2014-09-25
EP2017385A1 (fr) 2009-01-21
EP2173947A1 (en) 2010-04-14
AU2008280214A1 (en) 2009-01-29
BRPI0812622A2 (pt) 2015-03-24
HUE027845T2 (en) 2016-11-28
US8205803B2 (en) 2012-06-26
KR20100034006A (ko) 2010-03-31
CN101720371A (zh) 2010-06-02
BRPI0812622B1 (pt) 2018-12-04
RU2482235C2 (ru) 2013-05-20
CA2691210A1 (en) 2009-01-29
WO2009013239A1 (en) 2009-01-29
CN101720371B (zh) 2014-05-14
PL2173947T3 (pl) 2016-11-30
CA2691210C (en) 2015-12-08
ES2584508T3 (es) 2016-09-28
RU2010105365A (ru) 2011-08-27
UA98659C2 (ru) 2012-06-11
ZA200909124B (en) 2011-02-23
PT2173947T (pt)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334B1 (ko) 철도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US8887463B2 (en) Cover assembly for structural members
CA1331593C (en) Device for securement of railroad rails to a bearing member
KR101627778B1 (ko)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
US9290888B2 (en) Rail-fastening system
EP3137681B1 (en) Rail clip assembly
JP6013855B2 (ja) 枕木の固定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継材及び座金
KR101530965B1 (ko) 전단하중 유도용 외함을 구비한 레일 체결장치
CA3057955C (en) Boltless rail brace
JP4553747B2 (ja) 鋼製まくらぎのレール継目用絶縁締結装置
JP5539277B2 (ja) ラダー型マクラギを使用した車両用軌道における応急締結装置
JP3081826B2 (ja) レールの無螺釘弾性締結装置
JP2003184005A (ja) 磁気浮上式リニアモーターカー用軌道
JPH07247502A (ja) 分岐器レールの弾性締結構造
JP3222785U (ja) ボルトレス型座屈防止装置
JPH0732563Y2 (ja) レールブレスの無螺釘弾性締結構造
JP4842758B2 (ja) 線ばねクリップによるレール締結方法
JP5932559B2 (ja) 無道床軌道用脱線防止ガード
JPH0254001A (ja) 鉄道用レール固定装置
GB2437733A (en) Bracket for attaching a railway rail to a base plate
JP2005213946A (ja) レール締結装置
JPH0617401A (ja) レールの挫屈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