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710B1 -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710B1
KR101593710B1 KR1020107016262A KR20107016262A KR101593710B1 KR 101593710 B1 KR101593710 B1 KR 101593710B1 KR 1020107016262 A KR1020107016262 A KR 1020107016262A KR 20107016262 A KR20107016262 A KR 20107016262A KR 101593710 B1 KR101593710 B1 KR 10159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air
pipe
circuit
convey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842A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075951A external-priority patent/FI123383B/fi
Priority claimed from FI20075950A external-priority patent/FI20075950L/fi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0010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1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mean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r for removal of depos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지점(61), 상기 공급 지점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 반송되는 물질이 반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요소(20), 및 최소한 상기 물질의 반송 동안 상기 반송 파이프(100) 안에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을 포함하는, 쓰레기 반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방법이다.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는, 반송 공기가 최소한 상기 물질의 상기 반송 동안 순환하는 회로의 섹션으로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방법에서, 상기 반송 공기 순환이, 가능한 폐색을 바람직하게 제거하기 위한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최소한 상기 회로의 섹션 안에 정상 반송 방향에 관하여 반대 방향으로, 적어도 일시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CONVEYANCE METHOD AND CONVEYANCE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7에 따른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진공 반송 시스템과 같은 압축 공기에 의한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 쓰레기를 반송하는 것과 같이, 쓰레기를 수집하고 반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가 배관에서 흡인을 이용하여 반송되는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들에서, 쓰레기는 흡입에 의해 배관에서 긴 거리에 대해 반송된다. 그 중에서도, 다른 단체에서 쓰레기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들이 사용된다. 전형적인 것은 진공 펌프 또는 이젝터 장치와 같은, 진공 생성기를 이용하여 상기 반송 파이프에 장치 부압이 제공되는, 압력차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공 장치이다. 상기 반송 파이프에는, 전형적으로 열고 닫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 파이프 안으로 오는 보충 공기(make-up air) 흡입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부재가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진공 반송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다음의 문제들이 있다: 높은 에너지 소비, 배관에서의 높은 공기 흐름, 출구 파이프에서의 소음, 먼지와 미세 입자와 관련된 문제. 더욱이, 종래 기술의 장치들은 습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습기는 반송 과정을 방해할 우려가 있거나 반송되어야 할 물질을 손상시키는 등 배관에 종종 접근한다. 비오는 날씨에는, 종래 기술의 장치들은 외부 공기로부터 흡인시에 예를 들면 1000리터의 물을 흡인할 수 있다. 이것은 부식과 폐색 관련 문제를 야기한다. 더욱이, 큰 시스템은 시스템의 복잡성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여러 별도의 보충 공기 밸브를 배치해야 한다. 쓰레기 반송 시스템에서, 매우 다른 유형의 물질들을 반송할 수도 있다. 그것들은 상당히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어떤 물질들에서는, 폐색을 유발할 민감성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폐기 종이 같은 것은 습기찰 때 상기 배관에 달라붙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배치의 단점을 피함으로써 물질 반송 시스템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신규의 배치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질 공급의 소음 문제를 줄일 수 있게 함으로써 진공 반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이 목적은 이전보다 쉽게 반송 배관에 형성된 폐색을 깨끗이 하고 제거할 수 있는 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의 배출 공기의 양과, 동시에 먼지와 미세 입자의 배출과 가능한 악취 문제를 줄일 수 있는 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반송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반송 공기의 순환 방향이 바뀔 수 있는 회로에 속하는 물질 반송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 사상의 기초를 두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 방법은, 상기 반송 배관의 적어도 일부가, 최소한 물질의 반송 동안 반송 공기가 순환되는 회로의 섹션(section)으로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반송 방법에서, 반송 공기 순환은 최소한 상기 회로의 섹션에서, 상기 정상(normal) 반송 방향에 관하여 반대 방향으로 최소한 일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의 섹션은 가능한 폐색을 바람직하게 제거하기 위한 상기 반송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송 방법은 청구항 2 내지 16에 기재된 것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는, 회로 반송 공기가 순환가능한 반송 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반송 공기 순환을 최소한 상기 회로의 섹션에서 정상 반송 방향과 관련하여 반대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은 가능한 폐색을 가장 바람직하게 제거하기 위한 반송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는 청구항 18 내지 28에 기재된 것에 의해 더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는 상당히 의미있는 장점을 갖는다. 반송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순환하는 곳에 회로를 포함하도록 시스템의 배관을 배치함으로써, 배출 공기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가 최소화된다. 부압과 동시에 송풍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회로에서 반송 공기의 효과적인 순환과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의 효과적인 반송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로, 배출 공기의 양을 상당히 줄이고 동시에 출구 파이프에서 먼지와 미세 입자와 관련된 문제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는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야기되는 소음 문제를 상당히 줄인다. 배관에 누적되는 습기가 최소화되고 상기 배관은 그 안에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건조될 수 있다. 안으로 빨아들여지는 공기의 양이 줄어듬에 따라, 또한 에너지 소비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공급 지점을 열고 닫음으로써, 상기 물질은 상기 반송 파이프 안에서 효과적인 이동과 반송이 제공되고, 동시에, 상기 시스템의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소음 영향은 최소화될 수 있다. 작동 구간, 즉 부분 회로를 구성하도록 물질 반송 시스템의 반송 파이프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반송 배관에서 물질의 반송을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반송 파이프로의 공급 지점을 비우는 것이 가능하다. 반송 공기 순환을 반대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폐색의 효과적인 제거가 제공된다. 원형의 배관에서, 반대 방향으로 상기 반송 공기 순환의 변화를 배치하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공기 순환 방향 및/또는 압력 및/또는 공기 흐름율을 바꿈으로써, 폐색의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써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부를 단순하게 나타낸다.
도 2는 제2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제3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제4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치에도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 모드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 특히 쓰레기 반송 시스템을 단순화된 개략적 다이어그램으로서 나타낸다. 상기 도면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공급 지점(61)을 따라 적어도 하나 배치된 물질 반송 파이프(100)를 나타낸다. 상기 공급 지점(61)은, 그 지점으로부터 상기 물질, 특히 반송되어질 가정 쓰레기와 같은 쓰레기 물질이 상기 반송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반송되어질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공급 스테이션이다. 상기 시스템은 반송되어질 상기 물질이 그것으로부터 반송 배관(100, 100A, 100B, 100C, 100D, 100E)으로 공급되는 여러 공급 스테이션(61)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 스테이션(61)은 상기 도면에서 지점으로 표시되는 데, 이로 인해 상기 공급 스테이션과 연계하여 게이트 요소를 열고 닫는 것에 의해, 물질은 상기 공급 지점(61)으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100)로 반송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급 지점(61)과 그것의 출구 밸브(60)를 자세히 나타낸다. 상기 공급 지점은 상기 밸브 쪽에서 상기 반송 파이프(100) 또는 그것과 관련되는 파이프에 연결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반송 배관은 여러 분기 반송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고 다시 여러 공급 스테이션(61)이 연결될 수 있는 주 반송 파이프(1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된 물질은 상기 반송 배관 (100, 100A, 100B, 100C, 100D)을 따라, 예를 들면, 적하 속도와 원심력으로 인하여, 반송되는 물질이 반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장치(20)로 반송된다. 상기 분리된 물질은 상기 분리 장치(20)로부터 쓰레기 용기(51)와 같은 물질 용기로 또는 추가적인 처리로, 예를 들면 요구된 때, 치워지게 된다. 상기 물질 용기는,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물질이 압축에 의해 작은 크기로 다져지고, 상기 쓰레기 용기(51)로 더 반송되는 쓰레기 분쇄 압축기(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기구(20)에는 물질 출구 요소(21,24)가 제공된다. 상기 분리 기구 (20)로부터, 반송 공기 유통로(105)는 반송 파이프에서 부압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3)으로 이끈다. 도1의 실시예에서, 부압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진공 펌프 유니트와 같은 펌프 장치(3)를 포함한다. 부압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물질을 반송하는 데에 요구되는 부압이 상기 반송 배관(100) 및/또는 그것의 섹션에 제공된다. 상기 진공 펌프 유니트(3)는 엑츄에이터(31)에 의해 작동되는 진공 펌프 (30)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회로에서 반송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그것의 섹션은 상기 반송 배관(100, 100A, 100B, 100C, 100D, 100E)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반송 배관(100)은 밸브 요소 (VB,VC,VD), 즉 구간 밸브에 의해 작동 구역 또는 부분 회로로 나눠진다.
도 1은 상기 밸브 요소(VD)가 닫혀짐으로써, 반송 공기가 상기 회로에서 순환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반송 공기 유통로(105)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리기 기구(20,20')에 직접 연결되는 상기 진공 생성기(3)의 흡인쪽은 다시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전송 끝에 연결된다. 부압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 도 1에서 밸브(VD)와 분리기 기구(20) 사이에서 물질 반송 방향으로 최소한 상기 회로의 섹션으로 상기 반송 파이프에 제공된다. 물질의 반송 방향과 공기의 이동 방향은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다. 부압은 또한 상기 분리기 기구(20)와 상기 진공 생성기 (3) 사이의 상기 회로의 일부에, 즉 상기 반송 공기 유통로(105)에 팽배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또한 부압은 제 2 분리기 기구(20'), 즉 먼지 분리기와 그것으로부터 상기 진공 생성기(3)로 확장되는 공기 유통로(105)의 섹션에 팽배한다. 도면에 따른 경우에, 상기 공급 지점(61)에서 그것의 밸브 요소(60)가 열릴 때, 반송되어질 물질 부분이 상기 반송 파이프(100)로, 도면에서 상기 분리기 기구(20)로 더 반송되어지는 상기 반송 파이프의 섹션(100D)으로 반송된다.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가능한 보충 공기(make-up air)는 상기 밸브(60)가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열릴 때, 예를 들면, 상기 공급 지점(61)을 통하여 온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 기구(3)의 진공 펌프(30)의 송풍 쪽은 문제의 작동 모드에서 이젝터 기구(9)에 송풍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젝터 기구(9)는 상기 펌프 기구(3)와 상기 반송 배관(100) 사이에 배치됨으로 해서 상기 이젝터 기구 (9)의 이젝터 노즐(91)이 상기 펌프 기구의 송풍쪽으로부터 오는 유통로(110)에 연결된다. 그 다음에, 상기 이젝터(9)의 작동 매체가 반송 매체, 전형적으로, 진공 생성기와 같은 상기 펌프 기구(3)의 송풍 쪽의 공기를 동작시킨다. 상기 이젝터 기구(9)는 매체 분사를 인도하도록 배치되는 이젝터 노즐(91)이 구비된 이젝터 파이프(92)를 포함한다. 상기 이젝터 기구는, 상기 이젝터 노즐(91)과 상기 이젝터 파이프(92)의 제1단과, 그것을 통하여 챔버 공간(94) 밖으로의 연결을 열고 닫을 수 있는 피팅(93)이 배치된 챔버 공간(94)을 포함한다. 상기 이젝터 노즐(91)이 상기 이젝터 파이프(92)에 있는 매체를 분사할 때, 상기 피팅(93)을 통하여 그것과 함께 추가적인 공기를 끌어들이는 흡인이 제공된다. 상기 이젝터 기구(9)의 송풍쪽(95)은 상기 반송 파이프(100) 또는 상기 반송 파이프로 이끄는 상기 유통로(110)에 연결된다. 상기 이젝터 기구의 작동 원리는 당업자에게 공지로 여겨지므로 자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이젝터(9)의 영향으로부터, 상기 피팅(93)을 통한 추가의 공기 흐름때문에 상기 펌프 기구(3)에 의해 송풍된 메인 흐름에, 전형적으로 20-60%의 범위에서, 상당한 증가가 제공된다. 상기 펌프 기구(3)와 상기 이젝터(9)의 결합으로, 상기 펌프의 송풍 쪽에 정압(overpressure) 및/또는 부압 (underpressure) 및/또는 상기 펌프 기구의 흡인 쪽에 흡인 효과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으로 해서 반송 공기 흐름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피팅(93)에는 밸브 요소(96)와, 먼지 필터와 같은 필터 요소(97)가 배치된다. 특정 경우에, 상기 피팅 (93)은 출구 유통로로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이젝터(9)의 송풍 쪽으로부터 예를 들어 상기 공기 유통로(110)를 통하여 그것의 공급 쪽에 상기 반송 파이프(100)로의 연결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 쪽의 상기 공기 유통로(110)에는, 닫혔을 때,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일반적인 공급 쪽으로 상기 송풍 쪽의 연결을 방지하는 밸브 요소(122)가 배치된다.
상기 시스템의 작동은, 원하는 작동 구간의 공급 지점을 비우기 위해,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상기 작동 구간에 관하여 상기 물질 반송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반송 공기의 공급 쪽, 즉 흡인 쪽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열림으로써, 상기 흡인이 상기 작동 구간의 상기 반송 파이프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제어된다. 도면에 따른 배치에서, 상기 반송 파이프 구간(100D)의 공급 지점(61)이 비게 되는 것을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반송 파이프(100)(도면에서 상기 반송 파이프의 상기 섹션 (100D))에서 상기 분리기 요소(20)와 상기 작동 구간 사이의 모든 구간 밸브들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열린다(도면에서 밸브(126)). 그러면, 적어도 하나의 진공 생성기(3)에 의해서 제공되는 흡인은 상기 작동 구간에서 상기 반송 배관(100D)에 팽배한다.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송풍 쪽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VD)가 닫힘으로써, 상기 작동 구간에 흡인만이 팽배한다. 상기 작동 구간의 공급 지점(61) 또는 그것들의 적어도 일부는 비어짐으로써 상기 반송 파이프의 반송 방향으로 전송 끝단 가까이에서, 즉, 도면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기 기구(20) 가까이에서, 상기 반송 파이프(100D)로의 상기 공급 지점(61)(Ⅰ)의 연결은 처음으로 열리는 데, 이로 인해 상기 물질은 제 1 공급 지점으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에 반송될 수 있고, 상기 반송 파이프로의 제 1 공급 지점(Ⅰ)의 연결이 닫히기 전에, 상기 반송 파이프로의 다음 공급 지점(61)(Ⅱ)이 열린다. 도면의 상기 실시예에서, 이것은, 상기 물질 반송 방향과 반대로 이동할 때, 상기 다음 공급 지점(61)(Ⅱ)은 비워지려고 한다. 이 후에, 상기 제 1 공급 지점(61)(Ⅰ)의 연결은 상기 반송 파이프로 닫힌다. 마찬가지로, 상기 반송 파이프로 비워지려고 하는 제 3 공급 지점(61)(Ⅲ)의 연결은 상기 반송 파이프로의 제 2 공급 지점(61)(Ⅱ)의 연결이 닫히기 전에 열린다. 이 작동은 모든 원하는 공급 지점들이 비워질 때까지 반복된다. 도면에서, 이것은 상기 반송 파이프 구간(100D)의 모든 상기 공급 지점(61)들을 비우는 것으로 여겨지는 데, 이로 인해 상기 반송 파이프(100,100D)로의 그들의 비움 절차는 도면에서 괄호 안의 부호에 의해 지정된다: (Ⅰ),(Ⅱ),(Ⅲ),(Ⅳ),(Ⅴ),(Ⅵ),(Ⅶ),(Ⅷ),(Ⅸ),(Ⅹ),(XI), 및 (XII). 상기 작동 구간에서, 상기 반송 파이프(100)로 비워지려고 하는 마지막 공급 지점(61)의 상기 통로가 열릴 때, 상기 물질은 상기 반송 파이프(100,100D)로 반송되고, 상기 작동 구간과, 상기 반송 파이프(100)로 송풍되는 상기 펌프 기구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요소(VD)를 오픈함으로써 상기 송풍 쪽으로부터 상기 작동 구간의 상기 반송 파이프(100D)에 연결이 열린다. 그러면, 강화된 반송 효과(흡인과 송풍이 함께)가 상기 반송 파이프(100, 100A, 100B, 100C,100D)에 전송된 반송되어질 물질에 대해 제공된다. 상기 반송 공기는 상기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루트에서 순환하는 데, 이로 인해 상기 반송 배관에서, 상기 공급 지점으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로 반송된 물질 부분은, 반송되는 물질이 반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분리기 기구(20)로 더 반송한다. 상기 도면에서, 상기 작동 구간의 상기 반송 파이프(100E)의 상기 구간 밸브(VE)는 닫히는 데, 이로 인해 반송 공기는 상기 작동 구간의 상기 반송 파이프(100E)에 접근할 수 없고, 100A, 100B, 100C, 100D를 통하여 상기 구간의 상기 반송 파이프의 상기 루트에서 순환한다. 다른 작동 구간의 비워짐과 연계하여, 상기 작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분리기 기구(20)와 같은 전송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물질 반송 루트는 상기 원하는 반송 루트를 따라 상기 구간 밸브가 열리게 유지시킴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도 2는 반송 공기가 상기 회로 안에서 순환할 수 있으며, 그 섹션이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기 기구(20), 상기 반송 공기 유통로(105), 가능한 제 2 분리기 기구(20'), 및 상기 진공 생성기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상기 공급 쪽에 상기 공기 유통로(110)에 속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나타낸다. 상기 진공 생성기(3)는 상기 회로 안에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반송 파이프(100) 안에, 최소한 그 전송 말단, 즉 상기 분리기 요소(20) 측의 끝에서 상기 반송 방향으로 흡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 생성기(3)는 또한 상기 도면에서 상기 공기 유통로(100)와 상기 이젝터 기구(9)를 통하여, 상기 반송 파이프 안에 송풍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반송 파이프 (1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간 밸브, 상기 도면에서 구간 밸브(VB,VC,VD)와 상기 밸브(122,126)는 열림 위치에 있는데, 이로 인해 반송 공기는 상기 회로 안에 순환할 수 있고 그 섹션이 상기 공급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반송 파이프 안에 공급된 물질 부분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급 스테이션(61)으로부터 상기 분리기 기구(20)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젝터 기구에서, 상기 주 흐름과 혼합되는, 상기 피팅(93)으로부터 상기 이젝터로, 상기 이젝터 기구에 의해 제공된 흡인으로 인해, 인도된 상기 피팅(93)으로부터 오는 추가적인 흐름이, 상기 펌프 기구에 의해 생성된 주 흐름에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이젝터와 함께 상기 펌프 기구로, 상당히 효과적인 송풍 효과가 상기 회로 안에서 그 공급 쪽에, 흡인 효과가 상기 분리기 요소 쪽에, 즉 상기 복귀 쪽에 제공된다.
도 3은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젝터(9)의 상기 피팅(93)인 상기 출구 유통로로의 연결이 상기 밸브(96)를 이용하여 닫히는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나타낸다. 그때, 상기 펌프 기구(3)의 상기 송풍 쪽으로부터 상기 공기 유통로(110)를 통하여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공급 쪽에 연결이 있게 된다. 상기 펌프 기구는 그 섹션이 상기 반송 배관에 의해 형성된 회로 안에 공기를 순환시킨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그것을 오픈함으로써 상기 회로의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공기가 상기 펌프 기구(3)의 상기 흡인 쪽에 유입될 수 있는 밸브(128,128')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팅(107,107')이 또한 배치된다. 상기 밸브(128,128')를 오픈함으로써 요구된다면 상기 반송 파이프 안에 공기의 압력을 높이고, 상기 회로 안에 송풍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팅(107,107')의 상기 배관(128,128')이 열리는 데, 이로 인해 상기 회로의 외부로부터 상기 펌프 기구(3)의 상기 흡인 쪽에 추가적인 공기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밸브(128,128')를 오픈함으로써, 요구된다면 상기 반송 파이프 안에 공기의 압력을 높이고 반송 공기의 반송률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의 실시예는 특히 상기 배관의 상기 공기 씻음에 잘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로, 상기 배관을 건조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진공 생성기로 상기 흡인 쪽보다 상기 압력 쪽으로 더 큰 흐름률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압축할 때 공기가 뜨거워지는 데, 이로 인해 건조 과정이 또한 강화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기 기구(20)와, 상기 진공 생성기(3)와 같은 상기 펌프 기구 사이에, 공기의 순환 방향으로 상기 입구 공기 피팅 (107)이 있다. 상기 밸브(128)를 오픈함으로써, 요구된다면 상기 반송 파이프 안에 공기의 압력을 높이고 증가된 흐름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공 유니트의 진공 펌프에서와 같이 압축될 때 공기는 뜨거워지는 데, 이로 인해 뜨거워진 공기가 상기 배관 안에 순환할 때 상기 건조 과정은 동시에 강화된다. 공기 씻음과 건조에 의해, 상기 반송 배관 안에 물질 입자의 반송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물질의 상기 반송을 방해하는 상기 반송 파이프 안 습기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게다가, 그것들을 상기 분리기 기구(20,20')와 더 나아가 상기 물질 용기(51)로 보다 효과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 안에 잔존하는 물질 입자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가능한 악취 골칫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강화된 공기 씻음을 이용하여 상기 배관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쉽다. 상기 공기 씻음은 또한 가능한 파이프의 세척 후에 상기 장치의 재동작(re-commissioning)을 빠르게 한다. 응용의 대상에 의존하여, 여러 펌프 기구들이 상기 배관을 송풍 및/또는 빨아들이도록 연결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배관 안에 공기 순환을 더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반송 공기의 순환 방향이 최소한 상기 회로의 섹션 안에서 역전될 수 있는 작동 모드가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 반송 배관(100,100A,100B,100C,100D,100E) 안에 폐색이 형성되는 가능한 오작동 상황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반송 파이프 안에, 상기 분리기 요소가 상기 펌프 기구(3)의 상기 송풍 쪽이 연결될 수 있는 공기 유통로(113)에 배치되는 것과 관련하여 그 반대쪽에, 상기 분리기 기구(20)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기 공급 쪽에 밸브 요소(126)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송풍 쪽의 상기 공기 유통로(110) 안에, 닫힐 때,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일반적인 공급 쪽으로 적어도 상기 펌프 기구(3)의 상기 송풍 쪽의 연결을 방지하는 상기 밸브 요소(122)가 배치된다. 진공 유니트와 같은 상기 펌프 기구(3)의 상기 송풍 쪽으로부터, 그것의 역전된 공급 쪽에 상기 반송 배관(100)으로 상기 공기 유통로(113)와 같은 매체 (medium) 통로가 배치된다. 상기 반송 파이프 안에, 상기 밸브 요소(126)와 상기 분리기 기구(20) 사이의 섹션 안에 있는 상기 반송 파이프에, 또는 상기 분리기 기구에 직접 연결되는 유통로 섹션(114)이 형성되는 데, 이로 인해 반송 공기의 상기 순환 방향은 상기 회로의 섹션 안에서만, 주로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상기 섹션 안에서 역전된다. 그러면, 상기 정상 순환 방향과 관련하여 가능한 폐색은, 그것들의 공급 지점과 관련하여 그리고 상기 정상 반송 방향과 관련하여 "거꾸로" 흡인된다. 상기 반송 방향을 뒤와 앞으로 바꿈으로써, 폐색을 제거하고 상기 시스템을 상기 통상적인 모드로 다시 복귀시키는 것을 돕는, 상기 반전 방향으로부터 가능한 폐색 지점에 펄스(pulses)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지점(61), 상기 공급 지점(61)에 연결된 물질 반송 파이프(100), 반송되는 물질이 반공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기구(20), 및 최소한 상기 물질의 반송 동안 상기 반송 파이프(100) 안에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을 포함하는, 쓰레기 반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반송 배관(100)의 적어도 일부는 최소한 상기 물질의 반송 동안 반송 공기가 순환되는 회로의 섹션으로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반송 방법에서, 반송 공기 순환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정상 반송 방향과 관련하여 반대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가능한 폐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된 최소한 상기 회로의 섹션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추가적인 공기가 상기 회로로 들어오는 이젝터 기구(9)를 통하여 순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펌프 기구(3)의 송풍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젝터 기구(9)의 작동 매체로서 채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 공급 단계에서, 상기 공급 지점으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로 상기 반송 배관(100)의 적어도 일부로 펌프 기구로써 부압이 제공됨으로 해서, 피팅(93)과 같은, 상기 펌프 기구(3)의 송풍 쪽의 출구 공기 유통로는 열린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펌프(3)의 송풍 쪽에 있는 공기의 적어도 주 부분이 상기 회로에서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공급 쪽에 순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법에서, 바람직하게 밸브 요소(128, 128',9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107,107',93)을 통하여 보충 공기 (make-up air)가 회로로 들어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법은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요소(96)와 같은 게이트/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피팅(93)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를 통하여 상기 회로에서 공기가 없어지는 작동 모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배관(10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상기 회로에서 공기의 순환은, 상기 회로에 배치된 밸브 요소(122,124,125, 126,127,VB,VC,VD)와 같은 게이트/조절 요소에 의해 조절되고 및/또는 제어되고 및/또는 열리거나 또는 닫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법에서, 그 흡인 쪽이 상기 분리기 요소 (20)에 또는 그것으로 통하는 공기 유통로(105)를 통하여 상기 반송 파이프(1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펌프 기구(3)로써 상기 회로에 부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법에서, 그것의 송풍 쪽이 상기 회로 안에 송풍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펌프 기구(3)로써 상기 회로에 압력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법에서, 반송 공기 순환의 방향은 최소한 그 섹션이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회로의 섹션에서 교대로 역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법에서, 반송 공기는 또한 진공 생성기 및/또는 송풍기와 같은 상기 펌프 기구(3)로 상기 회로에 송품함으로써 상기 회로에서 또한 순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법은, 상기 회로에 상기 반송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특히 상기 펌프 기구(3)로 상기 회로에 송풍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배관(100)의 적어도 일부가 물로 씻기고 및/또는 건조되는 작동 모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법에서, 물질은 쓰레기 통(waste bins) 또는 쓰레기 활송기(waste chutes)와 같은 쓰레기 공급 지점인 상기 물질 공급 지점(61)으로부터 공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 공급 지점(61)과 상기 반송 파이프 (100)의 사이에는, 그것의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반송 파이프에 물질 및/또는 보충 공기의 공급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요소(60)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 공급 지점(61)과 상기 반송 파이프 (100) 사이의 상기 밸브 요소(60)는, 다음 공급 지점(61)의 밸브가 열렸을 때 이전의 공급 지점의 밸브(60)도 열리도록, 열리고 나서 특정 시간 후에 바람직하게 닫힌다.
본 발명은 또한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지점(61), 상기 공급 지점(61)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 반송되는 물질이 반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기구(30), 및 최소한 상기 물질의 반송 동안 상기 반송 파이프(100)에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을 포함한다. 상기 반송 장치는 회로 반송 공기가 순환가능한 상기 반송 배관(10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장치는 최소한 그 섹션이 가장 바람직하게 가능한 폐색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반송 파이프 (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회로의 섹션에서 정상 반송 방향에 관하여 반대 방향으로 반송 공기 순환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113,114,122,124,125, 126)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회로에서 상기 펌프 기구(3)와 상기 반송 파이프(100) 사이에서 상기 펌프 기구(3)의 송풍 쪽에 배치된 이젝터 기구(9)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 기구의 작동 매체는 상기 펌프 기구(3)의 송풍 공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젝터 기구는 상기 작동 매체 흐름에 다른 매체 흐름을 이끌기 위한 피팅(93)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 공급 단계에서, 부압은 상기 공급 지점으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로 상기 반송 배관(100)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펌프 기구에 의해 제공되는 데, 이에 의해 상기 피팅(93)과 같은, 상기 펌프 기구(3)의 송풍 쪽의 출구 공기 유통로는 열리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에, 반송 공기의 순환이 조절되고 및/또는 제어되고 및/또는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이용하여 밸브 요소(122,121,122, 125,126,127,VB,VC,VD,)와 같은 게이트/조절 요소들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반송 배관(100)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장치는 그 외부로부터 상기 회로로 공기를가져오기 위한 밸브 요소(128,128',96)를 바람직하게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107,107',93)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회로로부터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상기 밸브 요소(96)와 같은 게이트/조절 요소를 바람직하게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93)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은, 그 흡인쪽이 상기 분리기 요소(20) 또는 그것으로 통하는 공기 유통로(10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펌프 기구(3)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기구(3)와 상기 회로로 송풍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펌프 기구의 송풍 쪽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장치는 공기로 상기 반송 배관(100)의 적어도 일부를 씻어내기 위한 및/또는 상기 회로에 상기 반송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특히 송풍시킴으로써 건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 공급 지점(61)은 쓰레기 통이나 쓰레기 활송기와 같은 쓰레기 공급 지점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 지점(61)과 상기 반송 파이프(100) 사에는, 그것의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반송 파이프로의 상기 물질 및/또는 보충 공기의 공급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요소(60)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법에서, 최소한 그 섹션이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회로의 섹션에서 반송 공기 순환의 방향은 교대로 역전된다. 다음에, 폐색의 제거를 가능케 하는 펄스가 가능한 폐색에 제공된다. 폐색의 제거를 강화시키기 위한 상기 공기 순환의 방향 전환과 함께 달라질 수 있는 압력과 흐름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진공 유니트(30)에 의해 상기 반송 파이프(100)로 제공된 흡인은, 상기 분리기 요소(20) 쪽으로부터의 도면에서, 상기 송풍보다 바람직하게 더 큰 데, 이로 인해 반송이 부압에 일어난다. 송풍보다 흡인이 크므로, 부압이 상기 배관에 제공되고, 이로 인해 쓰레기는 상기 공급 스테이션(61)의 깔때기로부터 상기 배관 안으로 흡인될 수 있다.
송풍보다 흡인이 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대상이 되는, 상기 반송 파이프로 공급된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은 압축되고 다져질 수 없고, 반송 공기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반송되는 물질이 폐색을 형성할 가능성은 송풍이 흡인보다 큰 상황보다 상당히 낮아지는데, 이로 인해 반송되는 물질이 축적되고 반송 파이프를 막히게 할 위험이 있다. 더욱이, 상기 반송 방향 쪽에 반송되는 물질 부분에 대하여 부분적인 부압조차도 다른 것들 사이에서 에어 드래그(air drag)를 상당히 감소시키기 때문에, 부압은 상기 물질을 반송하는 데에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킨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상기 작동 모드에서 배관 안의 공기의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공급 지점(61)의 상기 출구 밸브(60)가 열리고 닫힘으로 해서, 적당한 크기의 물질 부분이 상기 공급 지점(61)으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100)로 반송된다. 쓰레기 용기와 같은 상기 공급 지점(61)으로부터 공급된 물질은, 상기 용기가 꽉 차고 난 후일 때, 상기 출구 밸브(60)는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열린다.
송풍보다 흡인이 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대상이 되는, 상기 반송 파이프로 공급된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은 압축되고 다져질 수 없고, 반송 공기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반송되는 물질이 폐색을 형성할 가능성은 송풍이 흡인보다 큰 상황보다 상당히 낮아지는데, 이로 인해 반송되는 물질이 축적되고 반송 파이프를 막히게 할 위험이 있다. 더욱이, 상기 반송 방향 쪽에 반송되는 물질 부분에 대하여 부분적인 부압조차도 다른 것들 사이에서 공기 끌림을 상당히 감소시키기 때문에, 부압은 상기 물질을 반송하는 데에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킨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상기 작동 모드에서 배관 안의 공기의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공급 지점(61)의 상기 출구 밸브(60)가 열리고 닫힘으로 해서, 적당한 크기의 물질 부분이 상기 공급 지점(61)으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100)로 반송된다. 쓰레기 용기와 같은 상기 공급 지점(61)으로부터 공급된 물질은, 상기 용기가 꽉 차고 난 후일 때, 상기 출구 밸브(60)는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열린다.
상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적어도 하나의 분리기 기구(20,20')의 출구 해치(21,21')가 닫히고 상기 주 반송 파이프(100)와 상기 분리기 기구(20) 사이의 밸브(126)가 열린다. 상기 펌프 유니트(3)는 상기 주 반송 파이프(100)에서 부압을 유지한다.
상기 공급 지점 즉, 쓰레기 용기의 부근에서 모든 출구 밸브(60)들은 닫힌다. 시작 상황(100)에서, 상기 밸브(VD)는 닫힌다.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상기 작동 구간(100D)의 상기 회로에 속하는 상기 공급 지점(61)의 쓰레기 용기가 비었다고 가정한다. 비우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구 밸브(60)는 일시적으로, 예를 들어 2-10초 동안, 열리는 데, 이로 인해 쓰레기 물질과 같은 반송되는 물질은 부압의 효과로 반송 파이프(100D)에 반송된다. 상기 출구 밸브(60)는 상기 시작 상황 후 몇 초 후에 전형적으로 닫힌다. 상기 진공 펌프 기구(3)는 원하는 부압을 유지한다. 상기 밸브(VD)가 열림으로 해서, 상기 회로에 공기 순환과 가능하게 또한 송풍 효과, 즉, 압력 효과와 배관을 따라 상기 분리기 기구(20)로 반송되는 물질 부분을 반송하는 흡인 효과가 제공된다. 하나 또는 그 이사의 공급 지점(61)은 비워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 방향으로 상기 분리기 기구(20)에 가까운 원하는 작동 구간의 상기 공급 지점 중의 하나가 처음으로 비워지고, 그리고나서 원하는 공급 지점들이 비워질 때까지 다음으로 가까운 공급 지점 등이 비워진다.
상기 분리기 기구(20)가 꽉 찼을 때,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상기 밸브 (126)는 닫히고 제어 밸브(23)는 열리는 데, 이로 인해 상기 분리기 기구의 출구 해치(21)의 엑츄에이터(24)는 상기 출구 해치(21)를 열고 상기 분리기 기구에 축적된 물질은 상기 압축기 기구(50)와 게다가 상기 쓰레기 용기(51)에서 비워진다. 상기 분리기 기구(20)의 출구 해치(21)는 닫히고 상기 밸브(126)는 열린다.
이 후에, 상기 시작 상황은 복귀되고 상기 비우는 과정은 반복될 수 있고 몇몇 다른 공급 지점/공급 지점들의 비움은 실현될 수 있다.
쓰레기 화물 용기와 같은 상기 쓰레기 용기(51)는 그것이 꽉 찼을 때 교체되거나 비워진다.
상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상기 물질의 종류 또는 상기 시스템의 용량에 근거하여 물질 운송이 제어되는 여러 분리기 기구들(20,20')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안에서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필요한 때에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하여 이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또한 서로 따로따로 실시될 수도 있다.

Claims (28)

  1.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지점(61)과, 상기 공급 지점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와, 반송되는 물질이 반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요소(20), 및 최소한 상기 물질의 반송 동안 상기 반송 파이프(100) 안에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을 포함하는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는, 최소한 상기 물질의 상기 반송 동안 반송 공기가 순환되는 회로의 섹션으로서 연결될 수 있고,
    발생 가능한 폐색(possible blockage)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상기 회로의 섹션에서 상기 반송 공기 순환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정상(normal)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반송 공기의 순환방향은, 물질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 요소(20)보다 전의 상기 반송 파이프(100) 부분에서만 상기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로에 추가적인 공기를 도입하는 이젝터 기구(9)를 통하여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의 송풍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젝터 기구(9)의 작동 매체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의 상기 공급 지점(61)으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에 의하여 부압이 제공됨으로 인해,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의 송풍 쪽의 출구 공기 유통로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의 송풍 쪽에 있는 공기의 적어도 주요 부분이 상기 회로 안에서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공급 쪽에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밸브 요소(128,128',9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107,107',93)를 통하여 상기 회로에 보충 공기가 유입되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게이트/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를 통하여 상기 회로로부터 공기가 제거되는 작동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회로에서 공기의 순환은, 상기 회로에 배치된 게이트/조절 부재에 의해 조절되거나 제어되고, 또는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에 의하여 상기 회로 내에 부압이 제공되고,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의 흡인 쪽이, 상기 분리기 요소(20)에 또는 상기 분리기 요소(20)로 이어지는 공기 유통로(105)를 통하여 상기 반송 파이프(1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에 의하여 상기 회로에 압력이 제공되고,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의 송풍 쪽이 상기 회로에 송풍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최소한 상기 회로의 섹션에서 상기 반송 공기의 순환방향이 교대로 역전(逆轉)되며, 상기 섹션은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으로 상기 회로에 송풍함으로써 상기 회로 내에 반송 공기가 더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내에 반송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로 씻겨지고 또는 건조되는 작동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물질이 쓰레기 공급 지점인 공급 지점(61)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지점(61)과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 요소(60)가 있고, 상기 밸브 요소(60)를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의 물질 또는 보충 공기의 공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지점(61)과 상기 반송 파이프(100) 사이의 밸브 요소(60)는, 열리고나서 특정 시간 후에 닫힘으로써, 다음의 공급 지점(61)의 밸브 요소(60)가 열렸을 때 이전의 공급 지점의 밸브 요소(60)는 계속해서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17.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지점(61)과, 상기 공급 지점 (61)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와, 반송되는 물질이 반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요소(20), 및 최소한 상기 물질의 반송 동안 상기 반송 파이프(100) 안에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을 포함하는,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회로 반송 공기가 순환 가능한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발생 가능한 폐색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상기 회로의 섹션에서 상기 반송 공기 순환을 정상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단(113,114,122,124,125,126)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 공기의 순환방향은, 물질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 요소(20)보다 전의 상기 반송 파이프(100) 부분에서만 상기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에서,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과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사이에 또한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의 송풍 쪽에 배치되는 이젝터 기구(9)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 기구의 작동 매체는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의 송풍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기구(9)는 다른 매체 흐름을 상기 작동 매체 흐름으로 이끌기 위한 피팅(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의 상기 공급 지점으로부터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에 의하여 부압이 제공됨으로 인해,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의 송풍 쪽의 출구 공기 유통로가 열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1.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는 상기 회로에, 상기 반송 공기의 순환이 조절되거나 제어되고, 또는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게이트/조절 요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2.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의 외부로부터 상기 회로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밸브요소(128,128',96)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107, 107', 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3.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로부터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게이트/조절 요소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4.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 기구의 흡인 쪽이 상기 분리기 요소(20)에 또는 상기 분리기 요소(20)로 통하는 공기 유통로(10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5.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은, 적어도 하나의 하나의 펌프 기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 기구의 송풍 쪽을 상기 회로에 송풍하도록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6.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를 공기로 씻어내거나 상기 회로에 상기 반송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건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7.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지점(61)은 쓰레기 공급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8.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지점(61)과 상기 반송 파이프(10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 요소(60)가 있고, 상기 밸브 요소(60)를 열고 닫음에 의해 상기 반송 파이프에 물질 또는 보충 공기의 공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KR1020107016262A 2007-12-21 2008-12-18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KR101593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75950 2007-12-21
FI20075951 2007-12-21
FI20075951A FI123383B (fi) 2007-12-21 2007-12-21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075950A FI20075950L (fi) 2007-12-21 2007-12-21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085144 2008-02-18
FI20085144A FI124408B (fi) 2007-12-21 2008-02-18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842A KR20100103842A (ko) 2010-09-28
KR101593710B1 true KR101593710B1 (ko) 2016-02-12

Family

ID=3914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262A KR101593710B1 (ko) 2007-12-21 2008-12-18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00278596A1 (ko)
EP (1) EP2227425B1 (ko)
JP (1) JP5567493B2 (ko)
KR (1) KR101593710B1 (ko)
CN (1) CN101903266B (ko)
AR (1) AR069951A1 (ko)
AU (1) AU2008339860A1 (ko)
BR (1) BRPI0821322A2 (ko)
CA (1) CA2708126A1 (ko)
DK (1) DK2227425T3 (ko)
ES (1) ES2628942T3 (ko)
FI (1) FI124408B (ko)
TW (1) TW200934714A (ko)
WO (1) WO2009080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873B (fi) * 2009-10-06 2015-02-27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2673B (fi) 2010-11-01 2012-05-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20106150A0 (fi) * 2010-11-03 2010-11-03 Maricap Oy Menetelm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123720B (fi) 2011-10-17 2013-10-15 Maricap Oy Pneumaattis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uslaite ja menetelmä
CN103826999B (zh) * 2011-11-25 2016-01-20 三菱日立电力系统株式会社 储藏室系统及炭回收装置
FI123719B (fi) * 2012-03-21 2013-10-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n jätteensiirtojärjestelmän ulospuhallusilman käsittelemiseksi
FI124109B (fi) 2012-09-05 2014-03-14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savun ja palokaasujen poistamiseksi
FI124207B (fi) * 2012-10-22 2014-05-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uljetta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piste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124487B (fi) 2013-01-25 2014-09-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syöttökuilusta
FI124837B (fi) 2013-07-30 2015-02-13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FI125194B (fi) 2013-07-30 2015-06-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FI125219B (fi) 2013-11-26 2015-07-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syöttöpiste sekä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
FI125218B (fi) 2013-11-26 2015-07-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syöttöpiste sekä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
CN106068233A (zh) * 2013-12-20 2016-11-02 恩华特公司 容器压实
FI126379B (fi) 2015-03-09 2016-10-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pneumaattisessa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ja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
FI127098B (fi) 2016-01-07 2017-11-15 Maricap Oy Menetelmä, laitteisto ja järjestelmä jäte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CN108355949A (zh) * 2018-02-05 2018-08-03 新乡市高服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自吸式直排筛筛分除杂系统
FI20197011A1 (fi) 2019-01-25 2020-07-26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siirtämiseksi
CN111959998A (zh) * 2020-08-14 2020-11-20 湖北松为科技有限公司 一种具疏通功能的气力垃圾管道收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2862A (en) 1947-02-13 1951-10-30 Ray S Israel Pneumatic conveying system and method
US2814531A (en) 1956-04-27 1957-11-26 Clough Equipment Co Balanced pneumatic conveying systems for pulverulen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9109A (en) * 1945-08-06 1951-01-23 Iron Fireman Mfg Co Coal conveying system
US2514333A (en) * 1947-03-18 1950-07-04 Allen Sherman Hoff Co Automatic dust handling system
GB1199917A (en) * 1966-07-29 1970-07-22 Centralsug Ab Conveyance of Material Requiring Hygienic Disposal
US3694037A (en) * 1970-04-30 1972-09-26 Wedco Closed circuit pneumatic conveying
FR2271140A1 (en) * 1974-05-13 1975-12-12 Testut Aequitas Automatic waste disposal system - feed waste to storage point above shredder and separates too hard particles
JPS5522001Y2 (ko) * 1974-10-25 1980-05-27
DK137634B (da) * 1975-03-21 1978-04-10 Bruun & Soerensen As Skraldsugeanlæg.
JPS5262981A (en) * 1975-11-19 1977-05-24 Nippon Kokan Kk <Nkk> Pneumatic transfer method of garbage
JPS5511464A (en) * 1978-07-10 1980-01-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Operating of pipeline conveying apparatus of wastes
JPS5917404A (ja) * 1982-07-16 1984-01-2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都市ごみの空気輸送における輸送管内ごみ凍結付着防止装置
JPS6093034A (ja) * 1984-07-11 1985-05-24 共栄造機株式会社 固形物移送装置
DD226349A1 (de) * 1984-07-26 1985-08-21 Orgreb Inst Kraftwerk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vermeidung von kohlenstaubablagerungen in einer kohlenstaubgewinnungs- und foerderanlage
JPS6413311A (en) * 1987-07-08 1989-01-18 Shin Meiwa Ind Co Ltd Method for removing clogging in conveyance pipe of refuse container conveyance system
US4995765A (en) * 1986-12-22 1991-02-26 Shimizu Construction Co., Ltd. Method of collecting wastes and system therefor
JPH03287924A (ja) * 1990-04-03 1991-12-18 Ube Ind Ltd 半流動物質の混気圧送装置
JP2811375B2 (ja) * 1991-01-01 1998-10-15 株式会社鶴見製作所 厨芥処理方法及び装置
US6017195A (en) * 1993-02-12 2000-01-25 Skaggs; Bill D. Fluid jet ejector and ejection method
JPH07309437A (ja) * 1994-05-18 1995-11-28 Kawasaki Steel Corp 空気輸送配管の詰まり解除方法および解除装置
JP3174219B2 (ja) 1994-07-12 2001-06-11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ゴミ吸引輸送装置
JP3122056B2 (ja) * 1997-01-22 2001-01-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空気輸送装置の閉塞防止方法
US6079461A (en) * 1998-08-17 2000-06-27 The Heil Co. Use of inert gas in transfer of comminuted product to tank
WO2002079016A1 (en) * 2000-07-21 2002-10-10 Pearson William R Railroad hopper car unloader
JP2003012152A (ja) 2001-07-02 2003-01-15 Nippon Meat Packers Inc エアコンベアにおける詰り除去用エア回路
DE102004007967A1 (de) * 2004-02-18 2005-09-08 Dürr Systems GmbH Pulverförderpumpe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DE102004014058A1 (de) * 2004-03-23 2005-10-13 Bay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neumatischen Förderung von feinteiligen Schüttgütern
JP4768472B2 (ja) * 2006-02-23 2011-09-07 福岡精米機器株式会社 穀物吸引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2862A (en) 1947-02-13 1951-10-30 Ray S Israel Pneumatic conveying system and method
US2814531A (en) 1956-04-27 1957-11-26 Clough Equipment Co Balanced pneumatic conveying systems for pulverulent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24408B (fi) 2014-08-15
WO2009080884A1 (en) 2009-07-02
EP2227425A1 (en) 2010-09-15
FI20085144A (fi) 2009-06-22
JP2011506232A (ja) 2011-03-03
EP2227425A4 (en) 2015-07-01
US20100278596A1 (en) 2010-11-04
CA2708126A1 (en) 2009-07-02
CN101903266B (zh) 2015-08-05
KR20100103842A (ko) 2010-09-28
BRPI0821322A2 (pt) 2015-06-16
AU2008339860A1 (en) 2009-07-02
FI20085144A0 (fi) 2008-02-18
EP2227425B1 (en) 2017-04-26
DK2227425T3 (en) 2017-07-10
AR069951A1 (es) 2010-03-03
ES2628942T3 (es) 2017-08-04
TW200934714A (en) 2009-08-16
JP5567493B2 (ja) 2014-08-06
CN101903266A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710B1 (ko)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KR101593709B1 (ko)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반송방법 및 반송장치
KR20100097745A (ko) 공압식 물질반송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공압식 물질반송 시스템
KR20100103839A (ko) 공압식 물질반송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KR101648988B1 (ko)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물질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KR20100101153A (ko) 공압 물질 반송 시스템 내의 방법 및 장치
KR20100101152A (ko)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JP2011506234A (ja) 空気圧式材料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