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943B1 -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943B1
KR101587943B1 KR1020090041778A KR20090041778A KR101587943B1 KR 101587943 B1 KR101587943 B1 KR 101587943B1 KR 1020090041778 A KR1020090041778 A KR 1020090041778A KR 20090041778 A KR20090041778 A KR 20090041778A KR 101587943 B1 KR101587943 B1 KR 101587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solenoid
projector
crankshaft
typ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873A (ko
Inventor
요이치 타츠미
요시아키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1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8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the screen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15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1)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솔레노이드(13)의 온도가 올라가는 우려를 줄이면서, 쉐이드(3)와 투영렌즈(4)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을 제공한다. 전조등은, 광원(1)과, 리플렉터(2)와, 쉐이드(3)와, 투영렌즈(4)를 구비한다. 또한,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은, 쉐이드(3)가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쉐이드 회전축(11)과, 쉐이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12)와,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는 솔레노이드(13)와, 솔레노이드(13)와 쉐이드(3)를 구동연결하는 크랭크축(14)을 더 설치한다. 또한,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이동방향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이 되도록 솔레노이드(13)를 배치하고, 솔레노이드(13)의 거의 바로 위에 쉐이드(3)를 배치하였다.
차량용 전조등, 솔레노이드, 리플렉터, 쉐이드

Description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Projector type vehicle headligh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solenoid)에 의해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회전운동하는 쉐이드(shade)를 구비하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온도가 올라가는 우려를 줄이면서, 쉐이드와 투영(投影)렌즈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광원과,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기 위한 리플렉터(reflector)와, 리플렉터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쉐이드와, 쉐이드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광을 투영하기 위한 투영렌즈를 구비하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의 예로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일본특허공개 2007-213938호 공보의 도 1 및 도 4)에 기재된 것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전조등에 관하여 설명하는 경우에 방향은, 이것을 통상의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의 전후, 좌우, 상하방향을 그대로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은, 상기 기본구성요소에 더하여,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의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쉐이드 회전축과, 쉐이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쉐이드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와,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와 쉐이드를 구동연결하기 위한 크랭크축(crankshaft)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솔레노이드의 오프(off)시에 쉐이드가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리플렉터로부터의 광의 일부가 쉐이드에 의해 차단되고, 하향광선용 배광패턴이 형성된다.
한편, 솔레노이드가 온(on)되면, 솔레노이드의 플런저(plunger)가 격납되고, 그 플런저에 의해 크랭크축이 회전된다. 더욱이, 크랭크축에 의해 쉐이드가 회전운동된다. 그 결과, 쉐이드가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에 배치되고, 주행빔용 배광패턴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의 이동방향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의 좌우방향이 되도록 솔레노이드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런저의 이동방향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의 전후방향이 되도록 솔레노이드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전조등의 전후방향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더욱이, 쉐이드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보다 앞쪽에 솔레노이드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베이스 부재보다 뒤쪽에 솔레노이드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광원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온도가 상승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쉐이드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 재보다 앞쪽에 솔레노이드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쉐이드와 투영렌즈의 간격이 넓어진다.
상기 문제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온도가 올라가는 우려를 줄이면서, 쉐이드와 투영렌즈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은 아래의 것을 구비한다:
광원(1)과, 광원(1)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기 위한 리플렉터(2)와, 리플렉터(2)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쉐이드(3)로서,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쉐이드 회전축(11)을 구비하는 쉐이드(3)와, 쉐이드(3)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광을 투영하기 위한 투영렌즈(4)와, 쉐이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12)와,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13a)를 구비하고 플런저(13a)의 이동방향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이 되며, 또한 쉐이드(3)의 거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솔레노이드(13)와, 솔레노이드(13)와 쉐이드(3)를 구동연결하기 위한 크랭크축(crankshaft)(14).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 크랭크축(14)은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상하방향으 로 뻗은 회전중심축선(CL)을 가지고, 베이스 부재(12)에는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를 사이에 끼우고 상하로 배치되는 크랭크축(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부(12e, 12f)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는 그 한쪽, 특히 뒤쪽이 개구된 홈(13a1)을 가지고, 크랭크축(14)은 플런저(13a)의 홈(13a1)에 끼워져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 쉐이드(3)는 크랭크축(14)에 맞닿는 맞닿음부(3d)를 가지고,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대략 반원기둥의 대략 반원통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13)의 오프시에 쉐이드(3)가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에 배치되고, 리플렉터(2)로부터의 광의 일부가 쉐이드(3)에 의해 차단되어, 하향광선용 배광패턴이 형성된다.
한편, 솔레노이드(13)가 온되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가 격납되고, 플런저(13a)에 연결된 크랭크축(14)이 회전된다. 더욱이, 크랭크축(14)이 맞닿는 쉐이드(3)가 회전운동되어, 쉐이드(3)가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행빔용 배광패턴이 형성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이동방향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 등(100)의 좌우방향이 되도록 솔레노이드(13)가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이동방향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전후방향이 되도록 솔레노이드(1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전후방향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더욱이, 솔레노이드(13)의 거의 바로 위에 쉐이드(3)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쉐이드(3)보다 뒤쪽에 솔레노이드(1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광원(1)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솔레노이드(13)의 온도가 올라가는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쉐이드(3)보다 앞쪽에 솔레노이드(1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쉐이드(3)와 투영렌즈(4)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광원(1)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솔레노이드(13)의 온도가 올라가는 우려를 줄이면서, 쉐이드(3)와 투영렌즈(4)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크랭크축(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부(12e, 12f)가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위쪽에만 또는 아래쪽에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크랭크축(14)의 축방향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크랭크축(14)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솔레노이드(13)가 온/오프되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가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회전중심축선(CL)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는 크랭크축(14)과, 솔레노이드(13)의 직동식(直動式) 플런저(13a)와의 접점의 궤적은, 회전중심축선(CL)을 중 심으로 하는 대략 원호(圓弧)가 된다.
만약, 도 2(일본특허공개 2007-213938호 공보의 도 4)에 기재된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과 같이, 크랭크축이 솔레노이드의 직동식 플런저의 원통형상 구멍에 끼워지면, 크랭크축과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와의 접점이 원호 위를 이동할 수 없어, 크랭크축이 부드럽게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상기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한쪽, 특히 뒤쪽이 개구된 홈(13a1)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크랭크축(14)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홈(13a1)에 끼워져 있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3)가 온/오프되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가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크랭크축(14)의 입력부(14c)는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홈(13a1) 안에서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에 대하여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따르면, 크랭크축(14)과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와의 접점이 대략 원호 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크랭크축(14)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솔레노이드(13)가 온/오프되어 크랭크축(14)이 회전되면, 크랭크축(14)과 쉐이드(3)와의 접점의 궤적은 평면에서 보거나 측면에서 보아도 대략 원호가 된다.
만약, 도 2(일본특허공개 2007-213938호 공보의 도 4)에 기재된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과 같이, 크랭크축이 쉐이드의 홈에 끼워지면, 크랭크축과 쉐이드와의 접점의 궤적이 원호 위를 이동할 수 없어, 크랭크축 및 쉐이드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상기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크랭크축(14)에 맞닿는 쉐이드(3)의 맞닿음부(3d)가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대략 반원기둥의 대략 반원통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3)가 온/오프되어 크랭크축(14)이 회전되면, 크랭크축(14)의 출력부(14d)가 쉐이드(3)의 맞닿음부(3d)의 대략 반원통면 위를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따르면, 크랭크축(14)의 출력부(14d)와 쉐이드(3)의 맞닿음부(3d)와의 접점의 궤적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호로 하는 동시에, 크랭크축(14)과 쉐이드(3)의 맞닿음부(3d)와의 접점의 궤적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대략 원호로 할 수 있어, 이로 인해 크랭크축(14) 및 쉐이드(3)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개략단면도로서, 전후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예를 들어, 밸브와 같은 광원(1)과, 광원(1)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기 위한 리플렉터(2)와, 리플렉터(2)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쉐이드(3)와, 쉐이드(3)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광을 투영하기 위한 투영렌즈(4)가 설치되어 있다.
리플렉터(2)는 예를 들어, 수지재료의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알루미늄이 증착된 반사면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대신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등과 같은 금속재료에 의해 리플렉터(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쉐이드(3)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대신 예를 들어, 판금 등과 같은 임의의 재료에 의해 쉐이드(3)를 형성할 수도 있다.
투영렌즈(4)는 유리, 투명수지재료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플렉터(2)와 투영렌즈(4)는 베이스 부재(12) 및 렌즈홀더(1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대신 예를 들어, 수지재료 등과 같은 임의의 재료에 의해 베이스 부재(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렌즈홀더(15)는 예를 들어, 수지재료의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대신 예를 들어, 금속재료 등과 같은 임의의 재료에 의해 렌즈홀더(1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쉐이드(3)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쉐이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베이스 부재(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쉐이드(3) 및 쉐이드 회전축(11)은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대신 하나의 부재로서 쉐이드(3) 및 쉐이드 회전축(11)을 구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도 3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13)가 베이스 부재(12)의 시트(seat)부(12d)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1), 리플렉터(2), 베이스 부재(12), 쉐이드(3), 솔레노이드(13), 렌즈홀더(15), 투영렌즈(4) 등이 조립체를 구성한다. 이 조립체가 하우징(101)과 커버렌즈(102)에 의해 구분되는 램프실(103) 안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체와 하우징(101)이 에이밍 스크류(aiming screw)(104) 및 볼소켓 연결부(ball and socket joint)(10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조립체와 하우징(101) 사이의 접속이 상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광축을 좌우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한 조명 가변형 전조등(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을 조립체와 하우징(101)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3에 도시한 쉐이드(3)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는, 도 4a는 쉐이드(3) 등의 배면도(쉐이드(3) 등을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장착하고 뒤쪽에서 본 도면), 도 4b는 쉐이드(3)의 우측면도(쉐이드(3)를 도 4a의 왼쪽에서 본 도면), 도 4c는 도 4a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베이스 부재(12)의 배면도(전조등에 베이스 부재(12)를 장착한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을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3에 도시한 솔레노이드(13)의 부품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는 솔레노이드(13)의 우측면도(솔레노이드(13)를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장착하고 오른쪽에서 본 도면), 도 6b는 솔레노이드(13)의 배면도(솔레노이드(13)를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장착하고 뒤쪽에서 본 도면), 도 6c는 솔레노이드(13)의 저면도(솔레노이드(13)를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장착하고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와 쉐이드(3)를 구동연결하기 위한 크랭크축(14)의 부품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a는 크랭크축(14)의 평면도(크랭크축(14)을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장착하고 위쪽에서 본 도면), 도 7b는 크랭크축(14)의 우측면도(크랭크축(14)을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장착하고 오른쪽에서 본 도면), 도 7c는 크랭크축(14)의 배면도(크랭크축(14)을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장착하고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도 3 및 도 4a, 도 4b,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쉐이드(3)의 윗가장자리(3a)에 의해 하향광선용 배광패턴의 커트라인이 형성된다. 또한, 쉐이드 회전축(11)이 쉐이드(3)의 쉐이드 회전축 삽입구멍(3b)에 삽입되어 있다. 더욱이,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가압하기 위한 코일스프링(16)의 한쪽 끝이, 쉐이드(3)의 코일스프링 걸림부(3c)에 걸려있다.
또한,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하여, 크랭크축(14)의 출력부(14d)(도 7a, 도 7b, 도 7c)가 쉐이드(3)의 맞닿음부(3d)(도 4a, 도 4b, 도 4c 참조)에 맞닿는다.
베이스 부재(12)는 그 대략 중앙부에 개구(12a)를 구비한다(도 5a 참조). 따라서, 리플렉터(2)로부터의 반사광은 베이스 부재(12)의 개구(12a)를 투과한다.
쉐이드 회전축(11)의 오른쪽 단부가 베이스 부재(12)의 홈(12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쉐이드 회전축(11)의 왼쪽 단부가 베이스 부재(12)의 홈(12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쉐이드 회전축(11)의 오른쪽 단부가 베이스 부재(12)의 홈(12b)에 삽입되고, 쉐이드 회전축(11)의 왼쪽 단부가 베이스 부재(12)의 홈(12c)에 삽입된 후, 덮개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베이스 부재(12)의 홈(12b, 12c)이 덮인다.
한편, 크랭크축(14)은, 도 7a, 도 7b,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부(14c)와, 그 양끝부에 이어지는 상측 피(被)지지부(14a) 및 하측 피지지부(14b)와, 출력부(14d)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피지지부(14a)는 베이스 부재(12)의 홈(12e)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측 피지지부(14b)는 베이스 부재(12)의 홈(12f)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8 참조). 예를 들어, 크랭크축(14)의 상측 피지지부(14a)가 베이스 부재(12)의 홈(12e)에 삽입되고, 크랭크축(14)의 하측 피지지부(14b)가 베이스 부재(12)의 홈(12f)에 삽입된 후, 덮개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베이스 부재(12)의 홈(12e, 12f)이 덮인다.
더욱이,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가압하기 위한 코일스프링(16)의 다른 쪽 끝이, 베이스 부재(12)의 코일스프링 걸림부(12g)에 걸려있다(도 4a, 도 5, 도 8 참조).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이밍 스크류(104)의 숫나사부와 베이스 부재(12)의 암나사부(12h)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볼소켓 연결부(105)의 일부가 베이스 부재(12)의 볼부(12i)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7a, 도 7b, 도 7c, 도 8 및 도 9b,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14)의 입력부(14c)는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홈(13a1)에 끼워져 있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는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9a는 쉐이드(3)가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쉐이드(3) 및 크랭크축(14)의 우측면도(쉐이드(3)가 광로의 일부를 차폐), 도 9b는 쉐이드(3)가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크랭크축(14) 및 솔레노이드(13)의 평면도, 도 9c는 쉐이드(3)가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쉐이드(3) 및 크랭크축(14)의 우측면도(쉐이드(3)가 광로의 일부로부터 벗어남), 도 9d는 쉐이드(3)가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크랭크축(14) 및 솔레노이 드(13)의 평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하향광선용 배광패턴을 형성할 때 솔레노이드(13)가 오프되어 있다(도 9b 참조). 그 때문에,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가 격납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에는, 쉐이드(3)가 코일스프링(16)(도 4a 참조)에 의해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도 9a에 나타내는 위치)로 가압되어 있다. 그 결과, 도 3 및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쉐이드(3)의 윗가장자리(3a)가 리플렉터(2)로부터의 반사광의 광로 위에 배치되고, 하향광선용 배광패턴의 커트라인이 쉐이드(3)의 윗가장자리(3a)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이, 주행빔용 배광패턴을 형성할 때는, 솔레노이드(13)가 온된다(도 9d 참조). 그 때문에, 도 9d에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에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가 격납된다. 그 결과, 도 9d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14)이 회전중심축선(CL)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크랭크축(14)의 출력부(14d)에 의해 쉐이드(3)의 맞닿음부(3d)가 눌려 움직이고, 도 9c에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쉐이드(3)가 쉐이드 회전축(11)(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한다. 그 결과, 쉐이드(3)의 윗가장자리(3a)가 리플렉터(2)로부터의 반사광의 광로 위에서 벗어나고, 주행빔용 배광패턴이 형성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이동방향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도 3의 지면 앞쪽-안쪽방향, 도 9b 및 도 9d의 좌우방향)이 되도록, 솔레노이드(13)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 의 이동방향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전후방향(도 3의 좌우방향)이 되도록 솔레노이드(1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전후방향(도 3의 좌우방향)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3)의 거의 바로 위에 쉐이드(3)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쉐이드(3)보다 뒤쪽(도 3의 오른쪽)에 솔레노이드(1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광원(1)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솔레노이드(13)의 온도가 올라가는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쉐이드(3)보다 앞쪽(도 3의 왼쪽)에 솔레노이드(1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쉐이드(3)와 투영렌즈(4)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따르면, 광원(1)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솔레노이드(13)의 온도가 올라가는 우려를 줄이면서, 쉐이드(3)와 투영렌즈(4)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크랭크축(14)의 회전중심축(CL)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다. 또한, 크랭크축(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부로서 기능하는 홈(12e, 12f)이 베이스 부재(12)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위쪽과 아래쪽에 축받이부로서 기능하는 홈(12e, 12f)이 배치되어 있다(도 8 참조).
그 때문에, 크랭크축(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부가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위쪽에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나, 아래쪽에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구성에 의해 크랭 크축(14)의 축 주위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크랭크축(14)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솔레노이드(13)가 온/오프되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가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도 9b 및 도 9d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회전중심축선(CL)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상하방향(도 9b 및 도 9d의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크랭크축(14)과, 솔레노이드(13)의 직동식 플런저(13a)와의 접점의 궤적은, 회전중심축선(CL)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호가 된다.
만약, 도 2(일본특허공개 2007-213938호 공보의 도 4)에 기재된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과 같이, 크랭크축이 솔레노이드의 직동식 플런저의 원통형상 구멍에 끼워지면, 크랭크축과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와의 접점이 원호 위를 이동할 수 없어, 크랭크축이 부드럽게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도 9b 및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도 9b 및 도 9d의 아래쪽)이 개구된 홈(13a1)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크랭크축(14)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홈(13a1)에 끼워져 있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3)가 온/오프되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가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도 9b 및 도 9d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크랭크축(14)의 입력부(14c)는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의 홈(13a1) 안에서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에 대하여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 등(100)의 전후방향(도 9b 및 도 9d의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따르면, 크랭크축(14)과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와의 접점이 대략 원호 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크랭크축(14)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13)가 온/오프되어 크랭크축(14)이 회전되면, 크랭크축(14)과 쉐이드(3)와의 접점의 궤적을 평면에서 보거나 측면에서 보아도 대략 원호가 된다.
만약, 도 2(일본특허공개 2007-213938호 공보의 도 4)에 기재된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과 같이, 크랭크축이 쉐이드의 홈에 끼워지면, 크랭크축과 쉐이드와의 접점의 궤적이 원호 위를 이동할 수 없어, 크랭크축 및 쉐이드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서는,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14)의 출력부(14d)(도 9a, 도 9b, 도 9c, 도 9d 참조)에 맞닿는 쉐이드(3)의 맞닿음부(3d)가,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도 4b 및 도 4c의 지면 앞쪽-안쪽 방향)으로 뻗어 있는 대략 반원기둥의 대략 반원통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3)가 온/오프되어 크랭크축(14)이 회전되면, 크랭크축(14)의 출력부(14d)가 쉐이드(3)의 맞닿음부(3d)의 대략 반원통면 위를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1 실시예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에 따르면, 크랭크 축(14)의 출력부(14d)와 쉐이드(3)의 맞닿음부(3d)와의 접점의 궤적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호로 하는 동시에, 크랭크축(14)의 출력부(14d)와 쉐이드(3)의 맞닿음부(3d)와의 접점의 궤적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대략 원호로 할 수 있어, 이에 의해 크랭크축(14) 및 쉐이드(3)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의 쉐이드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을 오른쪽에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한 쉐이드(3)의 부품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한 쉐이드(3)의 부품도이다.
도 4c는 도 3에 도시한 쉐이드(3)의 부품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베이스 부재(12)의 배면도(베이스 부재(12)를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6a는 도 3에 도시한 솔레노이드(13)의 부품도이다.
도 6b는 도 3에 도시한 솔레노이드(13)의 부품도이다.
도 6c는 도 3에 도시한 솔레노이드(13)의 부품도이다.
도 7a는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와 쉐이드(3)를 구동연결하기 위한 크랭크축(14)의 부품도이다.
도 7b는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와 쉐이드(3)를 구동연결하기 위한 크랭크축(14)의 부품도이다.
도 7c는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와 쉐이드(3)를 구동연결하기 위한 크랭크축(14)의 부품도이다.
도 8은 베이스 부재(12), 솔레노이드(13) 및 크랭크축(14)을 조립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c는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d는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광원 2: 리플렉터
3: 쉐이드 4: 투영렌즈
11: 쉐이드 회전축 12: 베이스 부재
13: 솔레노이드 13a: 플런저
14: 크랭크축 15: 렌즈홀더
100: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Claims (5)

  1. 광원(1);
    광원(1)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기 위한 리플렉터(2);
    리플렉터(2)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쉐이드(3)로서,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쉐이드 회전축(11)을 구비하는 쉐이드(3);
    쉐이드(3)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광을 투영하기 위한 투영렌즈(4);
    쉐이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12);
    하향광선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부터 주행빔용 배광패턴 형성위치로 쉐이드(3)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13a)를 구비하고 플런저(13a)의 이동방향이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이 되며, 또한 쉐이드(3)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솔레노이드(13); 및
    솔레노이드(13)와 쉐이드(3)를 구동연결하기 위한 크랭크축(14);을 구비하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으로써,
    상기 크랭크축과 플런저의 접점 궤적이 회전중심축선(CL)을 중심으로 원호 위를 이동하도록 하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2. 제 1 항에 있어서,
    크랭크축(14)은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상하방향으로 뻗은 회전중심축선(CL)을 가지고,
    베이스 부재(12)는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를 사이에 끼우고 상하로 배치되는 크랭크축(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부(12e, 12f)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13a)는 한쪽이 개구된 홈(13a1)을 가지고,
    크랭크축(14)은 플런저(13a)의 홈(13a1)에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4. 제 3 항에 있어서,
    홈(13a1)은 뒤쪽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쉐이드(3)는 크랭크축(14)에 맞닿는 맞닿음부(3d)를 가지고,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100)의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반원기둥의 반원통면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KR1020090041778A 2008-05-14 2009-05-13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KR101587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7264A JP5570705B2 (ja) 2008-05-14 2008-05-14 プロジェクタ型車両用前照灯
JPJP-P-2008-127264 200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873A KR20090118873A (ko) 2009-11-18
KR101587943B1 true KR101587943B1 (ko) 2016-02-02

Family

ID=4144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778A KR101587943B1 (ko) 2008-05-14 2009-05-13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51559B2 (ko)
JP (1) JP5570705B2 (ko)
KR (1) KR101587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4246B2 (ja) * 2008-11-19 2014-02-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2012104260A (ja) 2010-11-08 2012-05-31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US9094110B2 (en) 2011-05-27 2015-07-28 uBeam Inc. Sender transduc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10148131B2 (en) 2011-05-27 2018-12-04 uBeam Inc. Power density control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722671B2 (en) 2011-05-27 2017-08-01 uBeam Inc. Oscillator circuit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819399B2 (en) 2011-05-27 2017-11-14 uBeam Inc. Beam interaction control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537322B2 (en) 2011-05-27 2017-01-03 uBeam Inc. Sub-apertures with interleaved transmit element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831920B2 (en) 2011-05-27 2017-11-28 uBeam Inc. Motion predi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288069B1 (ko) * 2011-11-14 2013-07-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프로젝터를 이용한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2012101434B4 (de) * 2012-02-23 2023-05-04 HELLA GmbH & Co. KGaA Linsenhalter zur Aufnahme einer Linse in einem Scheinwerfer
US9983616B2 (en) 2013-03-15 2018-05-29 uBeam Inc. Transducer clock signal distribution
US9278375B2 (en) 2013-03-15 2016-03-08 uBeam Inc. Ultrasonic transducer control
US9707593B2 (en) 2013-03-15 2017-07-18 uBeam Inc. Ultrasonic transducer
US9242272B2 (en) 2013-03-15 2016-01-26 uBeam Inc. Ultrasonic driver
KR101683969B1 (ko) 2014-07-01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등화 장치
US10099253B2 (en) 2014-12-10 2018-10-16 uBeam Inc. Transducer with mesa
US9736579B2 (en) 2015-05-20 2017-08-15 uBeam Inc. Multichannel waveform synthesis engine
JP6392821B2 (ja) * 2016-09-08 2018-09-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ユニット
JP7155357B2 (ja) 2019-11-13 2022-10-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ユニ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9506A (ja) * 2000-05-10 2001-11-16 Stanley Electric Co Ltd 配光切換型前照灯
JP2002056707A (ja) 2000-08-07 2002-02-22 Ichikoh Ind Ltd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JP2007213938A (ja) * 2006-02-08 2007-08-23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前照灯及びその遮光シャッタ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556A (ja) * 1994-04-19 1995-10-31 Naito Shokai:Kk パチンコ機の入賞装置
JP3995919B2 (ja) * 2001-11-08 2007-10-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193713B2 (ja) * 2004-02-02 2008-12-10 市光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ランプ
JP4339213B2 (ja) * 2004-09-10 2009-10-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2006202694A (ja) * 2005-01-24 2006-08-0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4389895B2 (ja) * 2006-04-21 2009-12-2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4669434B2 (ja) * 2006-04-24 2011-04-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2008027768A (ja) 2006-07-21 2008-02-0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9506A (ja) * 2000-05-10 2001-11-16 Stanley Electric Co Ltd 配光切換型前照灯
JP2002056707A (ja) 2000-08-07 2002-02-22 Ichikoh Ind Ltd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JP2007213938A (ja) * 2006-02-08 2007-08-23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前照灯及びその遮光シャッタ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8100A1 (en) 2010-01-14
JP2009277490A (ja) 2009-11-26
KR20090118873A (ko) 2009-11-18
JP5570705B2 (ja) 2014-08-13
US8251559B2 (en)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943B1 (ko) 프로젝터형 차량용 전조등
JP5414246B2 (ja) 車両用前照灯
US7690825B2 (en) Vehicle lamp
JP6437263B2 (ja) 多機能ledヘッドランプ
EP1739346B1 (fr) Dispositif projecteur antibrouillard avec lentille de projection
EP2949988B1 (en) Vehicle lighting unit, and vehicle headlight
JP2010108867A (ja) 車輌用前照灯
US11092308B2 (en) Vehicle headlamp
WO2018190191A1 (ja) 車両用灯具
JP5086190B2 (ja) 車両用前照灯
US8007153B2 (en) Projector type vehicle ligh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06177B2 (ja) 車輌用前照灯
EP2103870B1 (en) Vehicle headlamp
JP2011175920A (ja) 車両用前照灯
JP6550934B2 (ja) 車両用前照灯
JP7404480B2 (ja) 車輌用灯具ユニット
JP4536474B2 (ja) 車両用前照灯
JP2011175857A (ja) 車両用前照灯
JP6376533B2 (ja) 車両用灯具
JP6550935B2 (ja) 車両用前照灯
JP6197660B2 (ja) 車両用前照灯
JP4525659B2 (ja) 車両用前照灯
JP5170559B2 (ja) 車幅灯内蔵型ヘッ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