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870B1 -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 Google Patents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870B1
KR101586870B1 KR1020107020092A KR20107020092A KR101586870B1 KR 101586870 B1 KR101586870 B1 KR 101586870B1 KR 1020107020092 A KR1020107020092 A KR 1020107020092A KR 20107020092 A KR20107020092 A KR 20107020092A KR 101586870 B1 KR101586870 B1 KR 101586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rolo
dihydro
isoquinoline
methoxy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279A (ko
Inventor
리즌 라첼 데보라 반
휴베르트 잔 조제프 루젠
코르넬리스 마리우스 팀메르스
데르 벤 라르스 안데르스 반
윌렘 프레데릭 조한 카르스텐스
Original Assignee
머크 샤프 앤 도메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크 샤프 앤 도메 비.브이. filed Critical 머크 샤프 앤 도메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0012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71/18Bridg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docri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및 피롤로[2,1-a]이소퀴놀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불임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DIHYDRO)PYRROLO[2,1-A]ISOQUINOLINES}
본 발명은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및 피롤로[2,1-a]이소퀴놀린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불임 치료를 위한 약제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고나도트로핀은 신질대사, 온도 조절 및 생식 과정을 비롯한 다양한 인체 기능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고나도트로핀은 특정 생식선 세포 유형에 작용하여 난소 및 고환 분화 및 스테로이드 합성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뇌하수체 고나도트로핀 FSH(여포 자극 호르몬)은 여포 발달 및 발육의 자극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LH(황체형성 호르몬)은 배란을 유도한다[Sharp, R.M. Clin Endocrinol. 33,787-807(1990); Dorrington and Armstrong, Recent Prog . Horm . Res . 35, 301-342(1979)]. 현재, FSH는 배란 촉진, 즉, 시험관 수정(IVF)을 위한 배란 과촉진 및 불임 무배란성 여성에서의 배란 유도[Insler, V., Int. J. Fertility 33, 85-97(1988), Navot and Rosenwaks, J. Vitro Fert . Embryo Transfer 5, 3-13(1988)]뿐만 아니라 남성 성선기능 저항증 및 남성 불임에서 임상적으로 적용된다.
고나도트로핀 FSH는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및 에스트로겐의 영향 하에 뇌하수체 전엽으로부터, 및 임신 중 태반으로부터 방출된다. 여성에게는, FSH는 여포의 난소 촉진 발달 상에 작용하고, 에스트로겐 분비를 조절하는 주요 호르몬이다. 남성에게는, FSH는 세정관의 온전성을 담당하고 배우자형성을 지지하는 세르톨리 세포에 작용한다. 정제된 FSH는 여성의 불임 및 일부 유형의 남성의 정자형성 실패를 치료하는 데 임상적으로 이용된다. 치료 전용의 고나도트로핀은 인간 소변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으며 순도가 낮다[Morse et al, Amer . J. Reproduct . Immunol . and Microbiology 17, 143(1988)]. 대안적으로, 이는 재조합형 고나도트로핀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형 인간 FSH는 시판되고 있으며, 의학적 도움을 받는 생식(assisted reproduction)에 사용된다[Olijve et al. Mol . Hum . Reprod. 2, 371-381(1996); Devroey et al . Lancet 339, 1170-1171(1992)].
FSH 호르몬 작용은 큰 군의 G 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의 일원인 특정 멤브레인 수용체에 의해 매개된다. 상기 수용체는 7개의 투막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을 갖는 단일 폴리펩티드로 구성되며, Gs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의 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
FSH 수용체(FSHR)는 난소 여포 성장 과정에서 매우 특별한 표적이며, 난소에서 배타적으로 발현된다. 낮은 분자량의 FSHR 작용제는 천연 FSH와 동일한 임상 목적, 즉, 불임 치료 및 시험관 내 수정 진행에서의 난소 과촉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유도체는 작용제 또는 길항제 특성을 갖는 FSHR 조절 물질로서 국제 출원 WO 2003/004028(AKZO NOBEL N.V.)에 현재 개시되어 있다.
작용제 특성을 갖는 저분자량의 FSH 모방체가 국제 출원 WO 2000/08015(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WO 2004/031182(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WO 2002/09706(Affymax Research Institute); WO 2005/087765(Arena Pharmaceuticals, Inc); WO 2006/117368(AKZO NOBEL N.V.); WO 2006/117370(AKZO NOBEL N.V.); WO 2006/117371(AKZO NOBEL N.V.) 및 WO 2006/117023(AKZO NOBEL N.V.)에 개시되어 있다.
FSH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저분자량의 호르몬 모방체에 대한 필요성이 분명히 존재한다.
이러한 목적에 대해서, 본 발명은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및 피롤로[2,1-a]이소퀴놀린 유도체를 제공한다.
특정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뿐만 아니라 이의 불포화 동족체 피롤로[2,1-a]이소퀴놀린이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라멜라린, 다방향족 피롤 알칼로이드 군(이의 일부는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또는 피롤로[2,1-a]이소퀴놀린 스카폴드를 함유함(구조 A 및 B 참조))이 문헌[C. Bailly, Curr . Med . Chem . Anti - Cancer Agents, 4, 363-387(2004) and Fan, H. et al Chem . Rev., 108, 264-287(2008)]에서 검토되었다. 상기 화합물의 일부는 시험관 내 종양 세포에 대해서 잠재적인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낸다.
문헌[D. Pla et al ., J. Med . Chem ., 49, 3257(2006)]에 기술된 개방 사슬 라멜라린 D 동족체는 화학식 (C)를 함유하고 낮은 마이크로몰 범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01
화학식 (D) 및 화학식 (E)의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및 피롤로[2,1-a]이소퀴놀린은 WO 2006/089815; WO 2006/075012; WO 2005/002579; WO 2005/003129; WO 2005/003130; WO 2003/051877; WO 2003/014115; WO 2003/014116; WO 2003/014117 및 WO 2002/48144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은 포소디에스테레아제 10A(PDE10A)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02
R3 = H, 포르밀, (치환된) 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알킬카르보닐 또는 아민
Figure 112010058509945-pct00003
R6 = H, 포르밀, 아미노 또는 (치환된) 알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관련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04
I
상기 식 중, R1~R10은 하기 정의를 가진다:
C5-C6 위치에서의 결합(화학식 (I)에서의 점선)은 포화되거나 불포화될 수 있다.
R1은 할로겐, 시아노, (1-6C)알킬, (2-6C)알케닐, (2-6C)알키닐, (3-6C)시클로알킬, (5-6C)시클로알케닐, 또는 페닐 또는 (1-5C)헤테로아릴이며, 상기 페닐 및 헤테로아릴 부분 각각은 독립적으로 R13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R2는 H, 시아노, 할로겐, (1-4C)알킬, (1-4C)알콕시(1-4C)알킬, 히드록시(1-4C)알킬, 포르밀, (1-4C)알킬카르보닐 또는 C=N-OH, C=N-OCH3이다.
R3는 R15,R16-아미노이거나,
R3는 (1-6C)알킬, (3-6C)시클로알킬, (디)[(1-4C)알킬]아미노(1-4C)알킬이거나,
R3는 (2-6C)헤테로시클로알킬(1-4C)알킬이거나(상기 (2-6C)헤테로시클로알킬 부분은 임의로 (1-4C)알킬카르보닐 또는 (3-6C)시클로알킬카르보닐에 의해 치환될 수 있음),
R3
Figure 112010058509945-pct00005
Figure 112010058509945-pct00006
또는
Figure 112010058509945-pct00007
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R7은 H, 할로겐 또는 메틸이다.
R8은 H, 할로겐, (1-4C)알킬, (1-4C)알콕시, (1-4C)알콕시(1-4C)알킬 또는 히드록시이다.
R9은 H, 포르밀, 할로겐, 히드록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2-6C)알키닐, (3-6C)시클로알콕시, (2-6C)헤테로시클로알콕시, (2-5C)헤테로아릴옥시,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복시, (1-6C)알킬카르보닐, (1-4C)알콕시카르보닐,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 (2-6C)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 (디)[(1-4C)알킬]아미노, (2-6C)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 (2-5C)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1-4C)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디)[(1-4C)알킬]아미노설포닐아미노, (1-4C)알킬설포닐아미노, 1-이미다졸리딘일-2-온, 3-옥사졸리딘일-2-온 또는 1-피롤리디닐-2-온이거나,
R9은 (1-6C)알킬, (1-6C)알콕시, (2-6C)알케닐, (1-6C)알킬카르보닐아미노 또는 (2-6C)헤테로시클로알킬, (2-5C)헤테로아릴아미노카르보닐이며, 상기 알킬, 알콕시, 알케닐,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 각각은 독립적으로 R14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거나,
R9은 (1-5C)헤테로아릴, 페닐 또는 페녹시이고, 상기 헤테로아릴, 페닐 및 페녹시 각각은 독립적으로 R13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R10은 H, 메톡시, 할로겐 또는 메틸이다.
다른 R 기들 중 하나에서 언급되는 R11∼R18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R11은 H, (1-6C)알킬 또는 (3-4C)알케닐이다.
R12는 (1-4C)알킬카르보닐 또는 (3-6C)시클로알킬카르보닐이며, 둘 모두는 R13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R13은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1-4C)알킬, (1-4C)알콕시, (1-4C)알킬티오 또는 (디)[(1-4C)알킬]아미노이다. R13의 각각의 경우에서, 특정 기에 대한 각각의 정의는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R14는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 아지도, 시아노, (1-4C)알킬, (1-4C)알콕시, (1-4C)알킬티오, (디)[(1-4C)알킬]아미노, (3-6C)시클로알킬, (2-6C)헤테로시클로알킬, (1-4C)알킬카르보닐아미노,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1-4C)알킬설포닐아미노, (1-4C)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1-4C)알킬카르보닐, (1-4C)알콕시카르보닐, (1-4C)알킬설폭시, (2-6C)헤테로시클로알콕시,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 (1-4C)알킬설포닐, (3-6C)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1-4C)알킬][(1-4C)알킬카르보닐]아미노이다.
R3 중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H, 또는 (1-6C)알킬, (3-6C)시클로알킬, (2-6C)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디)[(1-4C)알킬]아미노로부터 선택되며, 이들 모두는 임의로 히드록시, (1-4C)알킬, (1-4C)알콕시, (1-4C)알킬카르보닐, (1-4C)알콕시카르보닐, (3-6C)시클로알킬카르보닐, (디)[(1-4C)알킬]아미노,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 또는 (디)[(1-4C)알콕시(1-4C)알킬]아미노에 의해 치환된다.
대안적으로, R3 중 R15, R16-아미노는 결합되어 R18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3-8C)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R3 중 R15,R16-아미노는 또한 결합되어 (4-8C)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 또는 (4-6C)헤테로시클로알케닐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둘 모두의 고리는 하나의 질소를 함유하고, 상기 각각의 고리는 독립적으로 R17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다른 R 기들 중 하나에서 언급되는 R17 및 R18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R17은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 (1-4C)알킬,(1-4C)알콕시, (디)[(1-4C)알킬]아미노, (1-4C)알킬카르보닐아미노,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1-4C)알킬설포닐아미노, (1-4C)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1-4C)알킬설폭시, (3-6C)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 [(1-4C)알킬][(1-4C)알킬카르보닐]아미노이거나,
R17은 페닐 및 (2-5C)헤테로아릴이고, 이들 둘 모두는 R13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R18은 (1-4C)알킬, (3-6C)시클로알킬, (4-6C)시클로알케닐카르보닐,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 (1-4C)알킬설포닐, (디)[(1-4C)알킬]아미노설포닐, (2-6C)헤테로시클로알킬설포닐, (2-5C)헤테로아릴, 페닐카르보닐, (1-4C)알킬카르보닐, (3-6C)시클로알킬카르보닐, (2-5C)헤테로아릴카르보닐, 페닐, 페닐설포닐, (2-5C)헤테로아릴설포닐 및 (2-6C)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이며, 이들 중 상기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 부분은 R13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및 피롤로[2,1-a]이소퀴놀린 유도체는 잠재적인 FSH 수용체 활성화제이며, 이는 작용제와 같이 거동하기 때문에 천연 FSH와 동일한 임상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합성 제조될 수 있고 변경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이하게 투여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FSH-수용기 작용제는 생식 장애의 치료, 예를 들어 난소 자극 및 IVF 과정 조절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의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1-4C)알킬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형 또는 비분지쇄형 알킬기,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ert-부틸을 의미한다.
용어 (1-6C)알킬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형 또는 비분지쇄형 알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tert-부틸, n-페틸 및 n-헥실을 의미한다. (1-5C)알킬기가 바람직하고, (1-4C)알킬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어 (1-4C)알킬카르보닐은 알킬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1-4C)알킬설포닐은 알킬설포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1-4C)알킬티오는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티오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1-4C)알킬설폭시는 알킬설폭시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1-4C)알킬설포닐아미노는 알킬설포닐아미노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1-6C)알킬카르보닐아미노는 알킬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2-6C)알케닐은 2∼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형 또는 비분지쇄형 알케닐기, 예컨대 에테닐, 2-부테닐 및 n-펜테닐을 의미한다.
용어 (2-6C)알키닐은 2∼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형 또는 비분지쇄형 알키닐, 예컨대 에티닐, 프로피닐 및 n-펜티닐을 의미한다.
용어 (3-6C)시클로알킬은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 예컨대 시클로프로필, 에틸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메틸시클로부틸, 시클로페틸 및 시클로헥실을 의미한다.
용어 (3-6C)시클로알킬카르보닐은 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시클로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3∼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5-6C)시클로알케닐은 5∼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케닐기를 의미하고, 시클로펜테닐, 메틸시클로페틸 및 시클로헥세닐이다.
용어 (5-6C)시클로알케닐카르보닐은 시클로알케닐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시클로알케닐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5∼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2-6C)헤테로시클로알킬은 가능한 경우 질소를 통해 또는 탄소 원자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N, O 및/또는 S로부터 선택된 이종 원자를 포함하고 2∼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로알킬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이종 원자는 N 또는 O이다. 이종 원자의 바람직한 수는 1 또는 2이다. 피페리딘-1-일, 모르폴린-4-일, 피롤리딘-1-일 및 피페라진-1-일이 가장 바람직하다.
R3에서 용어 (4-8C)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하나의 질소를 포함하고 질소를 통해 결합되는 4∼8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피페리딘-1-일 및 피롤리딘-1-일이 가장 바람직하다.
R3에서 용어 (3-8C)헤테로시클로알킬은 가능한 경우 질소를 통해 또는 탄소 원자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N, O 및/또는 S로부터 선택된 2∼3개의 이종 원자를 포함하고 3∼8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로알킬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이종 원자는 N 또는 O이다. 이종 원자의 바람직한 수는 N,N 또는 N,O와 같이 2이다. [1,4]디아자시클로헵탄일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어 (2-6C)헤테로시클로알콕시는 탄소 원자를 통해 외향고리 산소 원자에 결합된,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2∼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헤테로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2-6C)헤테로시클로알킬(1-4C)알킬은 헤테로시클로알킬알킬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의미를 갖고 2∼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상기 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2-6C)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은 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2∼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2-6C)헤테로시클로알킬설포닐은 헤테로시클로알킬설포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의미를 갖고 2∼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2-6C)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는 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를 의미한며, 이의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2∼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4-6C)헤테로시클로알케닐은 가능한 경우 질소를 통해 또는 탄소 원자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N, O 및/또는 S로부터 선택된 1∼3개의 이종 원자를 포함하고 4∼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로알케닐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이종 원자는 N 또는 O이다. 이종 원자의 바람직한 수는 1 또는 2이다.
용어 (1-5C)헤테로아릴은 1∼5개의 탄소 원자 및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이종 원자를 갖는 방향족 기, 예컨대 이미다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리디닐, 티에닐,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또는 푸릴을 의미한다. 이종 원자의 바람직한 수는 1 또는 2이다. 바람직한 헤테로아릴기로는 티에닐, 옥사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푸릴 및 피리디닐이 있다. 티에닐, 푸릴 및 피리디닐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1-5C)헤테로아릴기는 가능한 경우 탄소 원자 또는 질소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용어 (2-5C)헤테로아릴은 2∼5개의 탄소 원자 및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3개의 이종 원자를 갖는 방향족기, 예컨대 이미다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리디닐, 티에닐 또는 푸릴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헤테로아릴기로는 티에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푸릴 및 피리디닐이 있다. 상기 (2-5C)헤테로아릴기는 가능한 경우 탄소 원자 또는 질소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용어 (2-5C)헤테로아릴카르보닐은 헤테로아릴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 및 선호를 갖고 2∼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2-5C)헤테로아릴아미노카르보닐은 헤테로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 및 선호를 갖고 2∼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2-5C)헤테로아릴설포닐은 헤테로아릴설포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앞서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 및 선호를 갖고 2∼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2-5C)헤테로아릴옥시는 헤테로아릴옥시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탄소 원자를 통해 외향고리 산소 원자에 결합되고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 및 선호를 갖고 2∼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1-4C)알콕시는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를 의미하며, 상기 알킬 부분은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1-3C)알콕시기가 바람직하다.
용어 (1-4C)알콕시카르보닐은 알콕시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콕시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1-2C)알콕시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다.
용어 (1-4C)알콕시(1-4C)알킬은 알콕시알킬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콕시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이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에 결합된다.
용어 (1-4C)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는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콕시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본 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히드록시(1-4C)알킬은 히드록시알킬기를 의미하며, 이의 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본 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 (디)[(1-4C)알킬]아미노는 알킬기(들)에 의해 일치환 또는 이치환되는 아미노기를 의미하며, 이의 각각은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앞서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용어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은 (디)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들)은 각각 앞서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디)[(1-4C)알킬]아미노설포닐은 (디)알킬아미노설포닐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들)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는 (디)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는 (디)알킬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본 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 (디)(1-4C)알킬아미노(1-4C)알킬은 (디)알킬아미노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이는 상기 아미노기를 통해,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에 연결된다.
용어 (디)[(1-4C)알킬]아미노설포닐아미노는 (디)알킬아미노설포닐아미노기를 의미하며, 이의 상기 알킬기(들) 각각은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앞서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상기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상기 '치환된'이란 특정 원자 상의 1 이상의 수소가 명시된 기에서 선택된 것으로 치환되며,단, 기존 환경 하의 상기 특정 원자의 정상 원자가가 초과되지 않으며, 상기 치환으로 안정한 화합물을 유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치환기 및/또는 변경물의 조합은 상기 조합이 안정한 화합물을 유도하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안정한 화합물' 또는 '안정한 구조'로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유용한 정도의 순도로의 단리 및 효과적인 치료제로의 제조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력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임의로 치환된'이란 특정 기, 라디칼 또는 부분에 의한 임의의 치환을 의미한다.
다작용성 기와 관련한 상기 정의에서, 상기 결합점은 마지막 기이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염증, 알레르기 반응 등 없이 인간 및 저급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는 데 적합하고 합당한 이익/위험 비율에 상응하는 상기 염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단리 및 정제 중에, 또는 개별적으로 자유 염기 작용기를 적합한 무기산, 예컨대 염산, 인산 또는 황산과, 또는 유기산,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프로피온산, 아세트산, 메탄설폰산 등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산 작용기는 유기 또는 무기 염기,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리튬과 반응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C5-C6 결합이 포화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R1이 R13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1-5C)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2가 H, 시아노, 할로겐, (1-4C)알콕시(1-4C)알킬 또는 히드록시(1-4C)알킬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2가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는 R3가 R15,R16-아미노 또는
Figure 112010058509945-pct00008
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3가 R15,R16-아미노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7이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R8이 (1-4C)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9이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2-6C)알키닐, (3-6C)시클로알콕시, (2-5C)헤테로시클로알콕시, (2-5C)헤테로아릴옥시, (디)[(1-4C)알킬]아미노카르보닐, (2-6C)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 또는 (디)[(1-4C)알킬]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R9은 또한 (1-6C)알킬, (1-6C)알콕시, (2-6C)알케닐, (1-6C)알킬카르보닐아미노 또는 (2-5C)헤테로아릴아미노카르보닐일 수 있다. 후자의 기 모두는 독립적으로 R14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R9은 R13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5C)헤테로아릴 또는 페녹시일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9이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2-6C)알키닐 또는 (디)[(1-4C)알킬]아미노이거나, R9이 (1-6C)알킬,(1-6C)알콕시, (2-6C)알케닐 또는 (1-6C)알킬카르보닐아미노이거나(상기 기 각각은 독립적으로 R14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됨), R9이 R13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5C)헤테로아릴인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9이 (2-6C)알키닐이거나, R9이 (1-6C)알킬, (1-6C)알콕시, (2-6C)알케닐 또는 (1-6C)알킬카르보닐아미노이거나(상기 기 각각은 독립적으로 R14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됨), R9이 R13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5C)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10이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R1이 R13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5C)헤테로아릴이고, R2가 H이며, R3가 R15,R16-아미노이고, R7이 H이며, R8이 (1-4C)알콕시이고 R10이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14이 (2-6C)헤테로시클로알킬, 히드록시, (1-4C)알콕시 또는 (디)[(1-4C)알킬]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15 및 R16이 (1-6C)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3이 (1-4C)알킬카르보닐 또는 (3-6C)시클로알킬카르보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4 디아자시클로헵탄-1-일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15이 메틸이고 R16tert-부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3가 2,2-디메틸피롤리딘-1-일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서 R1∼R18에 대한 구체적인 모든 정의가 화학식 (I)의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의 정의 내에서 임의의 조합으로 이뤄지는 상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든 화합물은 EC50가 10 μm 미만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EC50이 100 nM 미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EC50이 10 nM 미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실시예 1-4, 7c, 7d, 8, 10, 11, 12a, 12b, 14a, 14d, 16, 20, 21, 36, 39-43, 51, 55, 58b, 58c, 59, 61-62, 64, 65d, 65f, 69, 70d, 81-84, 85b, 91a, 91d, 92-94, 96-98, 100, 101, 104, 111a, 111b, 121a, 121b, 122 및 123에 기술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 2, 7d, 14a, 58b, 91d, 100 및 123에 기술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용어 EC50은 상기 화합물의 최대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한 최대의 반(50%)의 자극을 유도하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를 의미한다. 상기 수치는, 예를 들어 FSH 수용체 유전자에 의해 트랜스펙팅되고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cAMP 반응성 원소/촉진제에 의해 코트랜스펙팅되는 세포계에서 측정할 수 있다. 수치는 MathIQ(버젼 2.0, ID Business Solutions Limited)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화합물 3-아세틸-피롤로[2,1-a]이소퀴놀린-1-카르보니트릴은 본 발명으로부터 배제된다.
상기 배제는 문헌[Database CA, accession no 1994:655585]에서의 개시물과 관련이 있다.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및 피롤로[2,1-a]이소퀴놀린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방법이 하기 개략되어 있다.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이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특정 동종체에 대한 화학적인 접근이 피롤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는 전체 합성 후, 브롬화/유기금속 매개된 아릴화 반응을 포함한다. 다른 합성 절차는 Pictet-Spengler 유형의 화학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치환된 1-메틸렌-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을 유도하며, 이후 필요한 디히드로-피롤로이소퀴놀린 유도체로의 Michael 유형의 축합을 유도하거나, 1,3-이극성 고리화 부가 반응을 수반한다. 한 보고서는 아세틸렌의 고리화 부가 반응을 통한 몇몇 디히드로-피롤로이소퀴놀린의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 N-산화물로의 합성 후, 내부 매개되어 형성된 Δ4-이속사졸린의 열적 재배열로써 가장 연관된(하기 참조) 화합물 1-페닐-8,9-디메톡시-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산출하는 것을 기술한다.
관련 문헌으로 문헌[M. Alvarez et al ., tetrahedron Lett ., 46, 2041(2005); M. Alvarez et al ., J. Org . Chem., 70, 8231(2005); S. Handy, J. Org . Chem., 69, 2362(2004); M. Vennemann et al .,(Altana Pharma A.G) WO 05/003130; Niewoehner et al .(Bayer AG), WO 02/48144; Banwell et al . WO 99/67250. W. Anderson et al ., J. Med . Chem., 27, 1321(1984); S. Eguchi et al ., tetrahedron 52, 12049(1996)]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원에서 본 발명자는 이에 공지되지 않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더욱 구체적으로는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본아미드, 1-(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알킬-1-온, 시클로알킬-(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메타논 및 관련 2-아미노-1-(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에타논뿐만 아니라 이의 불포화 동족체 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본아미드, 1-(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알킬-1-온, 시클로알킬-(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메타논 및 2-아미노-1-(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에타논(화학식 I(R3 =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 I-a 및 I-b)을 기술한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09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상기 새로운 구체적으로 치환된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은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노-1-카르복실산(Ⅲ)으로부터 유도된 반응성 머치논(muchnone) 중간생성물과 아세틸렌의 1,3-이극성 고리화 부가 반응을 통해 접속가능하게 된다. 상기 화학에 대한 기본 원리가 문헌[R. Huisgen et al., Chem . Ber., 103, 2611(1970), 및 F. Hershenson, J. Org . Chem., 40, 740(1975)에 의해 추가 예시됨]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즉, C-3에서의 카르보닐기의 도입)을 위해, 상기 방법론은 예를 들어, 아미드(I-a)에 대한 전구체로서, 필요한 3-카르복실산 에스테르(V)를 직접적으로 되게 하는, 옥살레이트(Ⅳ)와의 1,3-이극성 고리화 부가 반응을 실시하여 변경하였다. 화학식 (Ⅲ)의 중간생성물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노-1-카르복실산(옥살레이트(Ⅳ) 제조에 필요함)을 공지된 절차(S. Bajusz et al ., WO 93/12091)에 따라 적절히 치환된 페넬틸 아민(Ⅱ)으로부터 글리옥실산에 의한 Bishler-Napieralski 유형의 종결로 합성하였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0
특정 화합물 ( Ia) 및 (I-b)의 합성을 위해(하기 참조), 상기 명시된 전반적인 접근을 적용하고, 테일러(tailor) 형성되고 작용기화된 중간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치환기 R1-R10(여기서, R-숫자는 스카폴드(scaffold)에서의 원자 넘버링을 의미함)에 따라, 상기 요구되는 치환기는 합성 초기에 투입되거나(즉, R1 = R1', R2 = R2' 등), 화학식 (I)의 생성물의 합성 과정에서 용이하다고 판단되는 임의의 단계에서 투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경우에서, R1'-R10'과 같이 명시되는 대안적인 작용기가 우선 도입되고, 이는 1 이상의 추가적인 조작에서 소정의 R1-R10으로의 전환을 위해 허용되며, R1-R10은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방향족 고리(R7-R10) 상의 치환은 흔히 페네틸 아민 전구체(Ⅱ)에 이미 도입될 수 있으며, 추가 합성 과정 전반에 걸쳐 변함 없이 이를 운반한다. 구조(Ⅱ)의 적절한 페네틸 아민은 시판되거나, 적절히 치환된 벤젠의 클로로메틸화 후, 시아노메틸 유도체로의 전화 및 니트릴 작용기의 환원으로 소정의 페네틸 아민을 산출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한다. 페네틸 아민(Ⅱ)은 또한 문헌에 잘 문서화된 절차에 따라 적합하게 치환된 방향족 알데히드의 니트로알칸과의 Henry 반응 후, 수화물 시약(LiAlH4, 보란 등)에 의한 환원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소정의 R7-R10은 잠재 작용기(앞서 언급함)를 통해 도입되어 합성 절차(하기 참조)에서 추가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페네틸 아민(Ⅱ)의 중간생성물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카르복실산(Ⅲ)으로의 후속 전환은 우선 상기 페네티 아민(Ⅱ)을 카르바메이트 유도체(Ⅶ)로 전환시키고 글리옥실산과의 후속 반응(Ⅷ 유도) 후, 상기 카르바메이트 보호기를 탈보호시켜 3 단계 절차로 효율적으로 이뤄진다. 알록시카르보닐(Alloc) 기(Ⅶ-a→Ⅷ-a→Ⅲ 참조)가 이의 용이한 제거로 인해 본 원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Alloc-보호 및 제거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환원 조건 하의 최종 탈보호가 유해한 경우, 대안적인 카르바메이트 보호기, 예컨대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Fmoc)이 또한 효과적이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1
화학식 (Ⅲ)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시스템을 형성하는 대안적인 절차는 페네틸 아민(Ⅱ)을 에틸 옥살릴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옥살아미드(Ⅸ)를 얻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탈수화 조건 하에서 강산, 예를 들어 메탄설폰산 및 오산화인으로 처리할 시에 디히드로이소퀴놀린(X)으로의 고리화로 처리될 수 있다. 화학식 (X)의 유도체는 이후, 예를 들어 산성 조건 하에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에 의한 환원으로 상응하는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XI)으로 환원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조건 하의 테트라히드로퀴놀린(XI)의 비누화는 화학식 (Ⅲ)의 유도체를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I 또는 V)의 유도체의 페닐 부분 상의 치환기 R7-R10을 다양화시키기 위해서, 할로겐 원자(주로 브롬 및 요오드)는, 리튬화 후 친전자성 시약과의 반응으로 카르복실레이트, 카르복스알데히드(후속 Witting 반응을 통한 올레핀을 위한, 또한 환원성 아민화를 위한 전구체로서 작용함) 또는 히드록시메틸 기(및 유도된 에테르 및 에스테르)의 형성을 통해 상기 합성의 나중 단계에서 다양한 표적 치환기(R7-R10)로 전환되는 마스킹된 작용기(R7'-R10')로서 작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릴 할로겐(R7'-R10')은 공지된 유기금속 반응을 위한 반응성 기재, 예컨대 Ullmann, Suzuki-, Stille-, Sonogashira-, Heck- 및 Buchwald 프로토콜로서 적용하여 새로운 탄소-탄소 단일, 이중 및 삼중 결합, 탄소 질소 결합(아닐린 유도체) 및 니트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작용화, 예컨대 모노- 및 디히드록실화(알켄으로부터), 또는 트리아졸로의(아세틸로부터; '클릭 화학') 및 테트라졸로의(니트릴로부터) 전환을 위한 기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전자성 시약, 예컨대 BCl3에 의한 이소프로폭시 에테르(R7'-R10')의 선택적 분열에 의한 페놀계 OH기의 데마스킹(Demasking) 후, 반응성 설포네이트 에스테르(예를 들어, 트리플레이트)로 전환시켜 할로겐화 아릴기로부터 출발하여 전술한 프로토콜과 유사한, 헤테로아릴 보론산 또는 유기주석 유도체를 통한 이종환 구조의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아릴 할로겐(R7'-R10')의 보론산으로의 전환(리튬화 또는 전이 금속 매개된 붕소화) 후, 산화로 대안적인 산화 작용기를 도입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탈보호된 알콕시 에테르로부터 발생한 페놀계 작용기는 또한 보론산 및 (헤테로)아릴 할라이드와의 Cu 매개된 커플링을 통한 아릴-아릴 및 아릴-헤테로아릴 에테르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의 의미 및 적용은 하기 개괄되는 일부 선택된 문헌 공급원에서 충분히 설명된다.
최근 참조를 위해, 예를 들어 문헌[A. Suzuki, Chem . Comm., 4759(2005); Bach et al ., tetrahedron, 61, 2245(2005); R. Rossi et al ., Synthesis, 2419(2004)]을 참조할 수 있다.
페놀계 트리플레이트(R7'-R10')는 (브롬화아릴에 대해서 기술된 바와 유사하게; 상기 참조) Buchwald-Hartwig 아민화 반응에서 공지된 방법에서 카르바메이트, 카본아미드, 이민 및 실릴 아미드의 팔라듐 매개된 커플링에 의해 상기 벤젠 고리 상에 아민 및 아미드 작용기(R7-R10)를 도입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합성의 이른 단계에서 도입된 니트로기(R7'-R10')로 아민 및 아미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표적 분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1,3-이극성 고리화 부가 반응(IV→V)을 통한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골격의 조립은 시약으로서 아세틸렌(VI)을 필요로 한다. 상기 단계는 소정의 C-1 및 C-2 치환기의 도입 가능성을 제공한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2
일반적으로, 상기 반응은 우수한 위치선택성(regioselectivity)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가장 부피가 큰 치환기는 R1'/R2'가 충분히 상이한 경우 최종 스카폴드의 1번 위치에서 선호된다. 결과적으로, 일정 범위의 화학식(V)의 생성물이 R1'=(헤테로)아릴(예컨대, 2-티에닐, 3-티에닐, 3-피리딜 등) 및 R2'=H에 의해 얻을 수 있다. R2'=H인 경우, 친수성 시약, 예컨대 N-클로로숙신이미드(NCS) 또는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와의 후속 반응은 Cl 또는 CN 치환기가 상기 골격(V, R2'= CN 또는 Cl)의 C2-위치에 도입되도록 한다.
실릴화된 아세틸렌(VI-a)를 사용하여 C1-실릴화된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V, R1'=트리메틸실릴)을 제공하여, 이는 산 처리 및 브롬화 시 1-브로모 유도체(V, R1'=Br)를 산출한다. 이는 앞서 기술된 1,3-이극성 고리화 부가 반응을 이용하여 얻을 수 없는 화학식 (V)의 다양한 1-치환된 동족체의 합성을 허용하며; 이는 예를 들어 R1' = 시아노, 에티닐 또는 에테닐인 디히드로-피롤로이소퀴놀린 V의 제조에서의 일부 기재의 상기 반응 조건과의 불상용성 또는 적절한 아세틸렌 VI의 불량한 이용가능성에 기인한다. 치환기 R7'-R10' 내지 R7-R10을 공정 처리하는 것에 대해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상기 참조), (헤테로)아릴 붕소 또는 (헤테로)아릴 주석 유도체에 의한 1-브로모-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의 처리는 1-(헤테로)아릴화된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예컨대 1-옥사졸릴, 1-티아졸릴 및 1-피리딜 유도체)를 제공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얻기 어려운 R1에서의 이종환 치환기는 또한 C-1에서의 적합한 작용기로부터의 소정의 이종환 구조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응하는 1-브로마이드(V, R1'= Br)의 시아나이드 치환에 의해 얻어지는 1-시아노-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V, R1'=CN)은, 예를 들어 실릴 아지드와의 축합에 의한 1-테트라졸릴-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으로의 진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1-에티닐-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V, R1'=에티닐)은 트리메틸실릴 아지드와의 반응에 의해 1-트리아졸로-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아세틸렌 VI-b과 IV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1-아세틸-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V-b)은 이후 염화티오닐 및 히드라존과의 반응에 의해, 예를 들어 1-티아디아졸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V, R1'=5-티아디아졸릴)로 변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3
아세틸렌이 사용되고 보호된 알데히드 작용기(예를 들어, VI-c)가 구비되는 경우, 상응하는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V-c)이 얻어지며, 이는 C-2에서 치환기를 갖는 화학식 (I)의 유도체, 예컨대 옥심, 알데히드, 아미노알킬, 알케닐,(알콕시, 히드록시)알킬 및 알키닐 기로 추가 공정 처리될 수 있다.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V) 중 C-3에서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의 상응하는 아미드(I-a)로의 전환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2 단계 공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디옥산 또는 THF와 같은 적합한 용매에서, 예를 들어 수성 NaOH에 의해 비누화하여 각각의 3-카르복실산을 얻은 후, (시판되는) 펩티드 커플링제, 예컨대 DCC, TBTU, HATU, EEDC 등의 존재 하에 소정의 아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화학식 (V)의 에틸 에스테르는 상기 아민의 금속 유도체를 통한 상응하는 아미드(I-a)로 바로 전환될 수 있으나(Bodroux 반응으로서 문헌에 공지된 반응), 변경예가 또한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문헌[Bassett et al ., J. Chem . Soc., 1188(1954; Singh et al., tetrahedron Lett., 321(1971))]를 참조할 수 있다. C-3에서의 아미드로의 에스테르 변형이 발생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합성의 궁극적인 단계가 아니나, 또한 개괄된 상기 변형 중에 실질적인 것으로 사료되는 임의의 시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학식 (I-a)의 화합물 중 C-3에서의 아미드 작용기는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중간생성물 단계에서 이미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펩티드 커플링 조건 하의 적절하게 작용화된 모노-아미드화된 옥살산 유도체(XIII)와의 화학식 (XI)의 화합물의 반응 후, 잔류하는 에틸 에스테르 부분의 비누화는 화학식 (XII)의 옥살아미드를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XIII)의 요구되는 옥살산 아미드는 상기 적절한 아민을 에틸 옥살릴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고 표준 조건 하에 에틸 에스테르의 비누화를 확보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VI)의 적합히 작용기화된 아세틸렌의 존재 하의 후속 옥살아미드(XⅡ)의 1,3-이극성 고리화 부가 반응은 화학식 (I-a)의 소정의 유도체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4
C-5 및 C-6 사이의 추가 이중 결합의 구조(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의 이의 방향족 동족체 피롤로[2,1-a]이소퀴놀린으로의 전환 참조)는 일반적으로 탈수소화/방향족화에 영향을 미치는 시약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DDQ)이 이러한 목적으로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화학식 (I-b)의 3-아미노메틸 케톤, 실질적으로 전술한 아미드(I-a)의 C1 동족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적용되는 전반적인 접근은 다소 유사하다. 화학식 (XV)의 화합물(본 경우에 R3 = 카르복실레이트 대신에 H)에 존재하는 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골격은 N-포르밀 치환된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XIV)을 아세트산 무수물 및 적절히 보호된 화학식 (VI)의 아세틸렌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C-3에서 소정의 작용기를 도입하기 위해, 적절히 작용기화된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의한 Friedel-Crafts 유형의 아실화를 우선 실시하여 화학식 (XVI)의 화합물(X=작용기, 예컨대 할로겐) 또는 화학식 (XVII)의 화합물(R3 =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을 유도한다. 피롤 상의 상기 반응의 예는 문헌에 충분히 문서화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M. Kakushima, et al., J. Org . Chem., 48, 3214(1983); R.M. Silverstein, et al., J. Org . Chem., 20, 668(1955)]을 참조할 수 있다. 적합한 아민과의 에타논(XVI)의 이후 반응은 화학식 (I-b)의 유도체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5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충전된 화합물이 물로 동결건조되는 경우 수화된 화학종을 형성하거나 적절한 유기 용매를 갖는 용액으로 농축되는 경우 용매화된 화학종을 형성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기재된 화합물의 프로드러그,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프로드러그의 논의가 문헌[T. Higuchi and V. Stella, Pro-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1987) 14 of the A.C.S. Symposium Series, and in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1987) Edward B. ROCHe, ed.,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에 제공된다. 용어 '프로드러그'란 생체 내에서 변형되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산출하는 화합물(예를 들어, 약물 전구체)를 의미한다. 상기 변형은 다양한 메카니즘(예를 들어, 신진 대사 또는 화학 과정에 의함), 예컨대 혈액 내 가수분해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드러그의 용도의 논의가 문헌[T. Higuchi and W. Stella, "Pro-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 Vol. 14 of the A.C.S. Symposium Series, and in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ed. Edward B. ROC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에서 제시된다.
본 발명의 1 이상의 화합물이 비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용매화된 형태로 물, 에탄올 등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와 함께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둘 모두의 용매화된 및 비용매화된 형태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매화물'이란 1 이상의 용매 분자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물리적 연관성을 의미한다. 상기 물리적 연관성은 수소 결합을 비롯한 이온 및 공유 결합의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예에서, 상기 용매화물은, 예를 들어 1 이상의 용매 분자가 상기 결정질 고체의 결정 격자에 포함되는 경우에 단리가 가능하게 된다. '용매화물'은 용액상 및 단리가능한 용매화물 둘 모두를 포괄한다. 적합한 용매화물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에탄올레이트, 메탄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수소화'는 용매 분자가 H2O인 용매화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원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참조는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이의 염의 참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원에서 적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염(들)'은 무기 및/또는 유기 산으로 형성된 산성 염뿐만 아니라 무기 및/또는 유기 염기로 형성된 염기성 염을 의미한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염기성 부분, 예컨대 비한정적으로 피리딘 또는 이미다졸, 및 산성 부분, 예컨대 비한정적으로 카르복실산 둘 모두를 함유하는 경우, 쯔비터이온('내부 염')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염(들)' 내에 포함된다. 다른 염이 또한 유용하지만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즉, 비독성,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을,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일정량의 산 또는 염기, 예컨대 당량과, 상기 염이 침전하는 것과 같은 매질에서 또는 수용성 매질에서 반응시킨 후 동결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비대칭 또는 키랄 센터를 함유하고, 따라서 상이한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이성질체 형태뿐만 아니라 라세미 혼합물을 비롯한 이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기하 및 위치 이성질체를 포괄한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이중 결합 또는 융합된 고리를 포함하는 경우, 시스 형태 및 트랜스 형태 둘 모두뿐만 아니라 혼합물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괄된다.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컨대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분별 결정에 의해 이의 물리적 화학적 차이를 기반으로 이의 개별 부분입체 이성질체로 분리할 수 있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그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을 적절한 광학 활성 화합물(예를 들어, 키랄 보조제, 예컨대 키랄 알콜 또는 Mosher 산 염화물)과의 반응으로써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 전환시키고, 그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분리하며, 그 개별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상응하는 순수 거울상 이성질체로 전환(예를 들어, 가수분해)시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의 일분 화합물은 회전장애 이성질체(atropisomer)(예를 들어, 치환된 비아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부로 고려된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또한 키랄 HPLC 칼럼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상이한 호변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괄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의 모든 케토-에놀 및 이민-엔아민 형태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이성질체(예를 들어, 기하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 등)(그 화합물의 염, 용매화물, 에스테르 및 프로드러그뿐만 아니라 그 프로드러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에스테르의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함), 예컨대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비대칭 탄소 부재에도 존재할 수 있음), 회전 이성질체 형태, 회전장애 이성질체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치환기 상의 비대칭 탄소로 인해 존재할 수 있는 입체이성질체가, 위치 이성질체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개별적인 입체이성질체는, 예를 들어 다른 이성질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거나, 라세미체로서 또는 다른 모든 또는 다른 선택된 위치이성질체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랄 센터는 IUPAC 1974 권고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S 또는 R 배치를 보유할 수 있다. 용어 '염', '용매화물', '에스테르' 및 '프로드러그' 등의 사용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회전이성질체, 호변체, 위치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프로드러그의 염, 용매화물, 에스테르 및 프로드러그에 동등하게 적용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발명의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화합물은 FSH 수용체를 자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나도트로핀의 수용체 결합 측정 방법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는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분석은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발현된 수용체는 시험하려는 화합물과 함께 항온 처리되며, 결합 또는 자극 또는 기능 반응의 억제를 측정한다.
기능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서, FSH 수용체 유전자, 바람직하게는 인간 수용체를 인코딩하는 단리된 DNA는 적합한 숙주 세포에서 발현된다. 이러한 세포는 중국 햄스터 난소 세포일 수 있으나, 다른 세포가 또한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는 포유류 기관이다(Jia et al, Mol . Endocrin., 5, 759-776,(1991)).
재조합형 FSH 수용체 발현 세포주의 형성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수용체의 발현은 소정의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DNA의 발현으로 얻어진다. 부위 지정 돌연변이(site directed mutagenesis), 추가 서열의 결합, PCR 및 적합한 발현 시스템의 형성을 위한 방법이 모두 지금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소정의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DNA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준 고체상 기법을 이용하여 합성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제한 부위를 포함한다. 포함된 코딩 서열의 전사 및 번역을 위한 적합한 제어 원소가 상기 DNA 인코딩 서열에 제공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원핵세포 숙주, 예컨대 박테리아 및 진핵세포 숙주, 예컨대 이스트, 식물 세포, 곤충 세포, 포유류 세포, 조류 세포 등을 비롯한 다양한 숙주와 상용가능한 발현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수용체를 발현시키는 세포를 시험 화합물과 함께 항온 처리하여 상기 시험 화합물의 결합 또는 기능 반응의 자극을 관찰한다.
대안적으로, 발현된 수용체를 함유하는 단리된 세포막을 사용하여 시험 화합물의 결합을 측정할 수 있다.
결합 측정을 위해, 방사성 또는 형광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대안으로서, 또한 경쟁 결합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또다른 분석은 수용체 매개된 cAMP 축적의 자극을 측정하여 FSH 수용체 작용성 화합물에 대해 스크리닝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숙주 세포 내 수용체 발현 및 그 세포의 시험 화합물로의 노출을 포함한다. 이어서, cAMP의 양을 측정한다. cAMP 수준은 상기 수용체에 결합 상의 시험 화합물의 효과를 촉진시켜 증가하게 된다.
내재성 활성의 측정을 위해, 인간 재조합형 FSH를 참조 화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에 노출된 cAMP 수준의 직접적인 측정 이외에, FSH 수용체를 인코딩하는 DNA의 트랜스펙팅 이외에 발현이 cAMP 수준에 반응하는 보고 유전자를 인코딩하는 제2 DNA에 의해 또한 트랜스펙팅되는 세포주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고 유전자는 cAMP 유도성일 수 있거나, 새로운 cAMP 반응성 원소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고 유전자 발현은 cAMP 수준 변화에 반응하는 임의의 반응 원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적합한 보고 유전자로는, 예를 들어 LacZ,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반딧불이 루시페라제(firefly luciferase) 및 녹색 형광 단백질이 있다. 이러한 전이활성 분석의 원리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문헌[Stratowa, Ch., Himmler, A. and Czernilofsky, A.P., Curr . Opin . Biotechnol., 6, 574-581(1995)]에 기술되어 있다.
LMW FSH 수용체 작용제가 난소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미성숙 래트를 3 일 동안 매일 2회 경구 처리할 수 있고, 최종 파라미터로서 난소 중량 증가를 수득하였다(제4 일에 측정). 안드로겐 생성물을 최대화하기 위해 고정량의 hCG를 함께 투여하여(또한 플라시보 동물에서), 상기 시험은 시험된 화합물의 FSH 활성에 대해서 매우 선택적이었다. 임의의 LH 활성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hCG 활성에 의해 반박된다. 상기 시험은 재조합형 FSH의 방출에 이용되는 Steelman Pohley 분석으로부터의 적용이다(Steelman and Pohley, 1953).
여포 성장 상의 LMW FSH 수용체 작용제의 효과를 GnRH 길항제 처리된 시클릭 래트를 이용한 모델에서 추가로 조사할 수 있다. 난소 자극은 증가된 난소 중량 및 배란된 난자의 수(hCG에 의한 배란 유도 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에스트라디올 및 Inhibin B와 같은 임상적으로 관련 있는 생물학적 지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모델에서, FSH(작용제)에 의한 자극은 과배란(15 이상의 배란)을 유도하게 된다.
난모 세포의 질의 조사를 위해, 상기 동물을 또한 배란 유도 후 메이팅할 수 있고, 생식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을 갖는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및 임의로 다른 치료제와 혼합하여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조제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상용가능하고 이의 수취자에 대해서 해롭지 않다는 관점에서 '허용가능'해야 한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구, 설하, 피하, 정맥 내, 근육 내, 비강, 국부 또는 직장 투여 등에 적합하고 모두 투여용 단위 제형인 것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를 위해, 상기 활성 성분은 개별 단위, 예컨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용액, 현탁액 등으로 존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위 투여량 또는 단위 투여량 용기,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양의 주사액, 예를 들어 밀봉된 바이알 및 앰플로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전에 살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물만을 필요로 하는 동결 건조(lyophilized) 조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참조 문헌[Gennaro, A.R. et al.,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특히 Part 5 참조: Pharmaceutical Manufacturing]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와 혼합하여, 상기 활성제는 고체 투약 단위, 예컨대 알약, 정제로 압착되거나, 캡슐 또는 좌약으로 가공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액체에 의해, 상기 활성제는 액체 조성물로서, 예를 들어 주사 제제로서 액체, 현탁액, 에멀션의 형태로, 또는 스프레이, 예를 들어 비강 스프레이로서 적용될 수 있다.
고체 투약 단위를 제조하기 위해서, 통상의 첨가제, 예컨대 충전제, 착색제, 중합체 결합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제가 고체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로는 적합한 양으로 사용되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등 또는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분산제 및/또는 습윤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 등장액 및 주사가능한 살균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에 적합한 포장 물질을 병용하여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 물질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용도를 위한 조성물의 사용 지침서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 또는 이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대한 정확한 투여량 및 처방은 특정 화합물, 투여 경로, 약제가 투여되는 개별 대상체의 연령 및 컨디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경구 투여는 흡수에 더욱 의존적인 다른 투여 방법에 비해 보다 낮은 투여량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인간에 대한 적합한 투여량은 체중 1 kg당 0.05∼25 mg일 수 있다. 소정 투여량은 하나의 투여량 또는 하루 전반에 걸쳐 적절한 간격으로 투여되는 다중 하위 투여량으로서, 또는 여성 수취자의 경우에 월경 주기 전반에 걸쳐 적절한 1일 간격으로 투여되는 투여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투여량뿐만 아니라 투여의 처방도 여성 및 남성 수취자 간에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요법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천연 FSH와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FSH 수용체 매개된 경로에 반응하는 장애의 치료, 바람직하게는 생식 장에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적합량을 투여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불임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배란(OI) 또는 제어된 난소 자극(COS) 프로토콜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일반적인 언급:
하기 약어가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DIPEA =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ATU =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 N' , N' -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Fmoc =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Fmoc-Cl =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 Alloc = 알릴옥시카르보닐,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E = 1,2-디메톡시에탄, THF = 테트라히드로푸란, Boc = t-부톡시카르보닐, NMP = N-메틸피롤리돈, TBTU =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부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OBt =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히드레이트, DMAP =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하기 실시예의 모든 최종 생성물은 물/1,4-디옥산, 물/tert-부탄올 또는 물/아세토니트릴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화합물이 TFA 염으로서 제조되는 경우, 상기 산은 동결건조 전에 상기 용매에 적절한 양으로 첨가된다.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최종 생성물의 명칭은 Beilstein Autonom 프로그램(버젼: 2.02.304)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하기 분석용 HPLC 방법을 체류 시간의 측정을 위해 이용하였다:
방법 1: 칼럼: 5 μm Luna C-18(2) 150 x 4.6 mm; 유량: 1 ml/min; 탐지: 210 nm; 칼럼 온도: 40℃; 용매 A: CH3CN/H2O = 1/9(v/v); 용매 B: CH3CN; 용매 C: 0.1 M 수성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C = 65/30/5∼10/85/5(v/v/v), 이어서, A/B/C = 10/85/5(v/v/v)에서 추가 10.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2: 적용된 구배 이외에 방법 1과 동일함: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C = 75/20/5∼15/80/5(v/v/v), 이어서, A/B/C = 15/80/5(v/v/v)에서 추가 10.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3: 적용된 구배 이외에 방법 1과 동일함: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C = 35/60/5∼10/85/5(v/v/v), 이어서 A/B/C = 10/85/5(v/v/v)에서 추가 10.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4: 적용된 구배 이외에 방법 1과 동일함: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C = 95/0/5∼15/80/5(v/v/v), 이어서 A/B/C = 15/80/5(v/v/v)에서 추가 10.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5: 적용된 구배 이외에 방법 1과 동일함: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C = 75/25/0∼0/100/0(v/v/v), 이어서 A/B/C = 0/100/0(v/v/v)에서 추가 10.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6: 적용된 구배 이외에 방법 1과 동일함: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C = 60/40/0∼0/100/0(v/v/v), 이어서 A/B/C = 0/100/0(v/v/v)에서 추가 10.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7: 칼럼: 3 μm Luna C-18(2) 100 x 2 mm(Phenomenex); 유량: 0.25 ml/min; 탐지: 210 nm; 칼럼 온도: 40℃; 용매 A: CH3CN/H2O = 1/9(v/v); 용매 B: CH3CN;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 = 65/35∼10/90(v/v), 2.00 분에서 A/B = 0/100(v/v), 이어서, A/B = 0/100(v/v)에서 추가 8.00 분 동안 일정하고, 이어서 1.00 분에서 A/B = 65/35(v/v), 최종적으로 A/B = 65/35(v/v)에서 추가 15.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8: 적용된 구배 이외에 방법 7과 동일함: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 = 40/60∼0/100(v/v), 2.00 분에서 A/B = 0/100(v/v), 이어서 A/B = 0/100(v/v)에서 추가 8.00 분 동안 일정하고, 이어서 1.00 분에서 A/B = 40/60(v/v), 최종적으로 A/B = 40/60(v/v)에서 추가 15.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9: 적용된 구배 이외에 방법 7과 동일함: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 = 100/0∼50/50(v/v), 2.00 분에서 A/B = 0/100(v/v), 이어서 A/B = 0/100(v/v)에서 추가 8.00 분 동안 일정하고, 이어서 1.00 분에서 A/B = 100/0(v/v), 최종적으로 A/B = 100/0(v/v)에서 추가 15.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10: 칼럼: 3 μm Luna C-18(2) 100 x 2 mm(Phenomenex); 유량: 0.25 ml/min; 탐지: 210 nm; 칼럼 온도: 40℃; 용매 A: CH3CN/H2O/TFA = 1/9/0.0035(v/v); 용매 B: CH3CN/TFA = 1/0.0035(v/v);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 = 65/35∼10/90(v/v), 2.00 분에서 A/B = 0/100(v/v), 이어서 A/B = 0/100(v/v)에서 추가 8.00 분 동안 일정하고, 이어서 1.00 분에서 A/B = 65/35(v/v), 최종적으로 A/B = 65/35(v/v)에서 추가 15.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11: 적용된 구배 이외에 방법 10과 동일함: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 = 40/60∼0/100(v/v), 2.00 분에서 A/B = 0/100(v/v), 이어서 A/B = 0/100(v/v)에서 추가 8.00 분 동안 일정하고, 이어서 1.00 분에서 A/B = 40/60(v/v), 최종적으로 A/B = 40/60(v/v)에서 추가 15.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12: 적용된 구배 이외에 방법 10과 동일함: 구배: 30.00 분에서 용매 A/B = 100/0∼50/50(v/v), 2.00 분에서 A/B = 0/100(v/v), 이어서 A/B = 0/100(v/v)에서 추가 8.00 분 동안 일정하고, 1.00 분에서 A/B = 100/0(v/v), 최종적으로 A/B = 100/0(v/v)에서 추가 15.00 분 동안 일정함.
방법 13: UPLC/MS(Acquity Ultra Performance LC; 물): 칼럼: Acquity UPLC BEH C18 2.1 x 100 mm 1.7 μl; 유량: 0.65 ml/min; 탐지: 210 nm; MS: 100-1000 AMU; 칼럼 온도: 40℃; 용매 A: CH3CN/H2O = 1/9(v/v); 용매 B: CH3CN; 구배: 3.0 분 에서 용매 A/B = 60/40∼20/80(v/v), 0.2 분에서 A/B = 0/100(v/v), 이어서 0.49 분 동안 A/B = 0/100(v/v), 이어서 0.1 분 동안 A/B = 60/40(v/v), 최종적으로 A/B = 60/40(v/v)에서 1.3 분 동안.
하기 분취용 HPLC 시스템을 정제를 위해 이용하였다:
시스템 1: 물/아세토니트릴 혼합물을 갖고 임의로 0.1% 수성 TFA의 존재 하에 상기 명시된 구배를 이용하는 5 μm Luna C18(2) 150 x 21.2 mm 칼럼: 유량: 20 ml/min: 탐지: 210 nm: 실행 시간: 30 분.
시스템 2: 물/아세토니트릴 혼합물을 갖고 임의로 0.1% 수성 TFA의 존재 하에 상기 명시된 구배를 이용하는 10 μm Luna C18(2) 250 x 50.00 mm 칼럼: 유량: 50 ml/min: 탐지: 210 nm: 실행 시간: 60 분.
마이크로파 반응을 오토샘플러가 구비된 Biotage(모델: Initiator) 마이크로파 오븐 상에서 실시하였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를 Merck TLC 플레이트(5 x 10 cm) 실리카 겔 60 F254 상에서 실시하였다.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6
실시예 1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테 트라히 드로-푸란-2-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a) 4- 이소프로폭시 -3- 메톡시 - 벤즈알데히드
DMF(500 ml) 중 4-히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히드(100 g), 탄산칼륨(182 g), 2-브로모프로판(81 ml)의 혼합물을 6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24 g. 1H NMR(CDCl3): δ 1.40(s, 6H), 3.95(s, 3H), 4.7(m, 1H), 6.98(d, 1H), 7.43(m, 2H), 9.85(s, 1H)
(b) 1- 이소프로폭시 -2- 메톡시 -4-((E)-2-니트로-비닐)-벤젠
실시예 1a의 생성물(16.1 g), 니트로메탄(120 ml) 및 아세트산암모늄(6.1 g)의 혼합물을 7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주의, 고온에서 반응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는 폭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권고되지 않음). 실온에서 침전물을 여과시켰다. 상기 침전물을 물 및 저온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에서 취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3.54 g. 1H NMR(CDCl3): δ 1.40(s, 6H), 3.9(s, 3H), 4.65(m, 1H), 6.9(d, 1H), 7.0(d, 1H), 7.15(dd, 1H), 7.52(d, 1H), 7.95(d, 1H)
(c) 2-(4- 이소프로폭시 -3- 메톡시 - 페닐 )- 에틸아민
화학식 lb의 생성물(20 g)을 THF(80 ml)에 용해시키고, 건조 에테르(70 ml) 및 건조 THF(70 ml) 중 수소화알루미늄리튬(12.8 g)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상기 첨가 완료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THF(50 ml) 중 물(15 ml)의 첨가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수성 NaOH 용액(30 ml 2 N) 및 H2O(4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취하고 HCl 수용액(2 N)로 세척하였다. 고체 NaOH를 pH=10까지 상기 수층에 첨가하였다. 상기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3.8 g. LC/MS-ESI: [M+H]+ = 210.1
(d) [2-(4-이소프로폭시-3-메톡시-페닐)-에틸]-세라믹산 알릴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00 ml) 중 알릴 클로로포르메이트(25 ml)을 0℃의 디클로로메탄(400 ml) 중 실시예 lc의 생성물(44.9 g) 및 DIPEA(75 m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2 N), 물, 포화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3/2(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7 g. LC/MS-ESI: [M+H]+ = 294.1
(e) 7- 이소프로폭시 -6- 메톡시 -3,4- 디히드로 -1 H -이소퀴놀린-1,2-디카르복실산 2-알릴 에스테르
황산(120 ml)을 실시예 1d의 생성물(45.6 g), 글리옥실산(21.5 g) 및 아세트산(350 m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3.5 g. LC/MS-ESI: [M+H]+ = 350.2
(f) 7- 이소프로폭시 -6- 메톡시 -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실시예 1e의 생성물(43.5 g), 디메돈(26.2 g) 및 Pd(PPh3)4(500 mg)의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환류로 THF에서 교반하였다. 에테르(300 ml) 및 물(20 ml)을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침전물을 여과시키며, 진공 건조시켰다(50℃)
산출량: 27 g. LC/MS-ESI: [M+H]+ = 266.2
(g) 2- 에톡시옥살릴 -7- 이소프로폭시 -6- 메톡시 -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에틸 옥살릴 클로라이드(1.85 ml)를 환류하는 THF(200 ml) 중 실시예 1f의 생성물(2.2 g)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30 분 동안 환류에서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메탄올/디클로로메탄[1/9(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75 g. LC/MS-ESI: [M+H]+ = 366.2
(h)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THF(5 ml) 중 실시예 1g의 생성물(601 mg), 아세트산 무수술(5 ml) 및 에티닐티오펜(178 mg)의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사를 15 분 동안 이용하여 140℃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포화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에탄올에 현탁시키고, 침전물을 여과시키며, 진공 건조시켰다(50℃)
산출량: 1.34 g. LC/MS-ESI: [M+H]+ = 412.2
(i)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KOH(1.2 g)를 EtOH/H2O 1/1(v/v)(80 ml) 중 실시예 lh의 생성물(2.8 g)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NaOH 수용액(2 N)으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HCl 수용액(2 N)으로 산성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2.6 g. LC/MS-ESI: [M+H]+ = 384.2
(j) 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00 ml) 중 실시예 1i의 생성물(1 g), HATU(1.47 g) 및 tert-부틸 1,4-디아제판-1-카르복실레이트(564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1 N)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2/3(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4 g. LC/MS-ESI: [M+H]+ = 566.2
(k) [1,4] 디아제판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TFA(3 ml)를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실시예 1j의 생성물(1.4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NaOH 수용액(2 N)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3 g. LC/MS-ESI: [M+H]+ = 466.2
(l)(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 테트라히드로 -푸란-2-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디클로로메탄(2 ml) 중 실시예 2k의 생성물(100 mg), 2-테트라히드로푸란 카르복실산(31 μl), HATU(160 mg) 및 DIPEA(110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분취용 HPLC(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20 mg. LC/MS-ESI: [M+H]+ = 564.2; 분석 HPLC: Rt = 18.71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0.9 nM.
실시예 2
1-[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2- 메틸설파닐 - 에타논
(메틸티오)아세트산(33 mg)에 의한 실시예 lk의 생성물(100 mg)의 아미드 형성을 실시예 1l)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50 mg. LC/MS-ESI: [M+H]+ = 554.2; 분석 HPLC: Rt = 20.36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0.5 nM
실시예 3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티오펜-2- 설포닐 )-[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디클로로메탄(2 ml) 중 실시예 1k의 생성물(60 mg), 트리에틸아민(54 μml) 및 2-티오펜설포닐 클로라이드(29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H2O 및 HCl 수용액(1 N)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5 mg LC/MS-ESI: [M+H]+ = 612.2; 분석 HPLC: Rt = 26.14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4.6 nM
실시예 4
3,3,3- 트리플루오로 -2-히드록시-1-[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프로판-1-온
디클로로메탄(2.5 ml) 중 실시예 1k의 생성물(50 mg), 3,3,3-트리플루오로락트산(32 mg), DIPEA(90 μl) 및 BOP(114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7 mg. LC/MS-ESI: [M+H]+ = 592.3; 분석 HPLC: Rt = 21.77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1.3 nM
실시예 5
3-아미노-1-[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프로판-1-온
(a) {3-[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3-옥소-프로필}- 카르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60 mg)에 의한 실시예 1k의 생성물(100 mg)의 커플링을 실시예 1l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53 mg. LC/MS-ESI: [M+H]+ = 637.2; HPLC: Rt = 21.63 min(방법 2)
(b) 3-아미노-1-[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프로판-1-온
디클로로메탄 중 실시예 5a의 생성물(40 mg) 및 TFA(100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분취용 HPLC(0→90% 아세토니트릴, 0.1%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4 mg. LC/MS-ESI: [M+H]+ = 537.2; HPLC: Rt = 9.97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1400 nM
실시예 6
1-[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2- 메틸아미노 - 에타논
(a) {2-[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2-옥소-에틸}- 메틸 - 카르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N-tert-부톡시카르보닐-사르코신(64 mg)에 의한 실시예 1k의 생성물(100 mg)의 커플링을 실시예 1l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64 mg. LC/MS-ESI: [M+H]+ = 637.2; 분석 HPLC: Rt = 23.69 min(방법 2)
(b) 1-[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2- 메틸아미노 - 에타논
실시예 6a의 생성물(40 mg)의 Boc 탈보호를 실시예 5b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32.7 mg. LC/MS-ESI: [M+H]+ = 537.2; 분석 HPLC: Rt = 10.11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264.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7
실시예 7
3-(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카르보닐)-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2- 카르보니트릴 및 (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a) 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시클로부탄카르보닐 클로라이드(3.7 ml) 및 트리에틸아민(14 ml)을 디클로로메탄(175 ml) 중 [1,4]디아제판-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4.9 m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HCl 수용액(1 N),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7 g. LC/MS-ESI: [M+H]+ = 283.4
(b) 시클로부틸 -[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염산염
디클로로메탄 중 실시예 7a의 생성물(7 g) 및 HCl 용액(33 ml, 디옥산 중 4 N)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처리하고, 침전물을 여과시키며, 진공 건조시켰다(50℃)
산출량: 4.76 g(HCl-염으로서)
(c)(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DMF(3 ml) 중 실시예 li의 생성물(250 mg), 시클로부틸-[1,4]디아제판-1-일-메타논, 염산염(214 mg), HATU(373 mg) 및 DIPEA(0.25 ml)의 혼합물을 5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0/0 → 95/5(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55 mg. LC/MS-ESI: [M+H]+ = 548.1; hFSHRago(CHO luc) EC50 = 1.7 nM
(d) 3-(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카르보닐)-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2- 카르보니트릴
-78℃에서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0.112 ml)를 THF(3 ml) 중 실시예 7c의 생성물(35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78℃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DMF(3 m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40→6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2)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4 mg. MS-ESI: [M+H]+ = 573.5; 분석 HPLC: Rt = 14.18 min 1(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0.3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8
실시예 8
[4-(1- 브로모 -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a) 1- 브로모 - 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NaOH 수용액(10 ml, 2 N) 중 1-브로모-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1.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HCl 수용액(2 N)으로 산성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952 mg
(b) [4-(1- 브로모 -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디클로로메탄(3 ml) 중 BOP(580 mg), DIPEA(540 μl) 및 실시예 8a의 생성물(280 μl)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12 ml) 중 실시예 1k의 생성물(33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시트르산 수용액(5%)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아세톤[1/0 → 9/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29 mg. LC/MS-ESI: [M+H]+ = 626.3/628.3(1:1); 분석 HPLC: Rt = 26.32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6.8 nM
실시예 9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1- 메틸설파닐 -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에탄올(5 ml) 중 실시예 8b의 생성물(42 mg) 및 나트륨 티오메톡시드(35 mg)의 혼합물을 40℃에서 4 시간 동안, 실온에서 2 일 동안, 최종적으로 5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NaOH 수용액(0.5 N)에서 취득하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아세톤[1/0 → 9/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0 mg. LC/MS-ESI: [M+H]+ = 594.3; 분석 HPLC: Rt = 26.36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16.4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19
실시예 10
[4-(1-히드록시-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a) 1-히드록시- 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n-부틸리튬(14 ml, 헵탄 중 1.6 M)을 THF(30 ml) 중 디이소프로필 아민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30 분 후, 반응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THF(10 ml) 중 시클로부탄 카르복실산(960 μ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산소를 1 시간 동안 통과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산소 분위기 하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HCl 수용액(2 N)으로 산성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2x)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690 mg
(b) 4-(1-히드록시-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5 ml) 중 실시예 10a의 생성물(340 mg), tert-부틸 1,4-디아제판-1-카르복실레이트(694 μl), DIPEA(2.4 ml) 및 BOP(1.9 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시트르산 수용액(5%)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톨루엔/아세톤[1/0 → 7/3(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32 mg
(c) [1,4] 디아제판 -1-일-(1-히드록시- 시클로부틸 )- 메타논 , 염산염
디클로로메탄(18 ml) 중 HCl 용액(2 ml, 에테르 중 2.0 M) 및 실시예 10b의 생성물(420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330 mg
(d) [4-(1-히드록시-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디클로로메탄(15 ml) 중 실시예 10c의 생성물(330 mg), DIPEA(830 μl), BOP(530 mg) 및 실시예 1k의 생성물(383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시트르산 수용액(5%)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2x)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아세톤[1/0 → 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538 mg. LC-MS: [M+H]+ = 564.4; hFSHRago(CHO luc) EC50 = 1.4 nM
실시예 11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1-메톡시-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DMF(3 ml) 중 실시예 10d의 생성물(82 mg), 수산화나트륨(14 mg, 오일 중 60% 분산액) 및 요오도메탄(70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아세톤[1/0 → 9/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6 mg. LC-MS: [M+H]+ = 578.4; 분석용 HPLC 24.57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5.4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0
실시예 12
1-[4-(2- 클로로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에타논 및 2-아세틸-9-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a) 2-아세틸-9-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산 에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1i의 생성물(160 mg), N-아세틸호모피페라진(89 mg), DIPEA(370 μl) 및 HATU(192 mg)의 혼합물을 4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0.2 M),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0 → 8/2(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30 mg; hFSHRago(CHO luc) EC50 = 5.2 nM
(b) 1-[4-(2- 클로로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에타논
DMF(3 ml) 중 실시예 12a의 생성물(230 mg) 및 N-클로로술신이미드(64 mg)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2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아세트산에틸[0→10% 이소프로필아민(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50 mg. MS-ESI: [M+H]+ = 542.2; 분석 HPLC Rt = 10.98(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1.9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1
실시예 13
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5-온
BOP(111 mg), 2,3,6,7-테트라히드로-(1H)-1,4-디아제핀-5(4H)-온(50 mg) 및 DIPEA(0.2 ml)를 디클로로메탄(4 ml) 중 실시예 1i의 생성물(8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0.5 N)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8 mg. LC/MS-ESI: [M+H]+ = 480.2; 분석 HPLC: Rt = 15.51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106.0 nM
실시예 14
4-부틸-1-[9-(2-히드록시-2- 메틸 - 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5-온, 4-부틸-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카르보닐)-[1,4] 디아제판 -5-온 및 [3-(4-부틸-5-옥소-[1,4] 디아제판-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디히드로-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일옥시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a) 4-부틸-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카르보닐)-[1,4] 디아제판 -5-온
수소화나트륨(160 mg, 오일 중 60% 분산액)을 DMF(24 ml) 중 실시예 13의 생성물(767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 분 동안 교반한 후, 1-요오도부탄(1.46 ml)을 첨가하고 60℃에서 18 시간 동안 연속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0/0 →90/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26 g. LC/MS-ESI: [M+H]+ = 536.4; hFSHRago(CHO luc) EC50 = 0.8 nM
(b) 4-부틸-1-(9-히드록시-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5-온
0℃에서 트리클로로보란(3.2 ml)를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실시예 14a의 생성물(857 m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 처리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0/0 →90/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18 mg. LC/MS-ESI: [M+H]+ = 494.3.
(c) [3-(4-부틸-5-옥소-[1,4] 디아제판-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피 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일옥시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DMF(6 ml) 중 실시예 14b의 생성물(100 mg), 탄산세슘(198 mg) 및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27 ml)의 혼합물을 9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3 mg. LC/MS-ESI: [M+H]+ = 580.3; 분석 HPLC: Rt = 11.76 min(방법 10) ; hFSHRago(CHO luc) EC50 = 11 nM.
(d) 4-부틸-1-[9-(2-히드록시-2- 메틸 - 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5-온
0℃에서 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61 ml)를 THF(2 ml) 중 실시예 14c의 생성물(36 m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킨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5.8 mg. LC/MS-ESI: [M+H]+ = 566.3; 분석 HPLC: Rt = 9.15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1.5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2
실시예 15
(2,5- 디히드로 -피롤-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HATU(74.5 g), 2,5-디히드로-1H-피롤(30 ml) 및 DIPEA(0.114 ml)를 DMF(2 ml) 중 실시예 1i의 생성물(5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50℃ 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포화 NH4Cl 수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6.5 mg. MS-ESI: [M+H]+ = 435.3; 분석 HPLC: Rt = 20.78 min(방법 1); hFSHRago(CHO luc) EC50 = 249.0 nM
실시예 16
1-[5-(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5] 디아조칸 -1-일]- 에타논
(a) [1,5] 디아조칸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1,5-디아자시클로옥탄을 문헌[Richman and Atkins protocols: J.E. Richman, T.J. Atkins, J. Am. Chem. Soc. 96, 2268,(1974); R.C. Hoye, J.E. Richman, G.A. Dantas, M.F. Lightbourne, L. Scott Shinneman, J. Org. Chem. 66, 2722(2001); G. Ewin, J.O. Hill., J. Chem. Res(M), 3501(1985); J.A. Halfen, H.L. Moore, D.C. Fox, Inorg. Chem. 41, 3935(2002)]을 기초로 하는 문헌에 기술되고 잘 문서화된 거대고리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DMF(2 ml) 중 실시예 1i의 생성물(170 mg)과 [1,5]디아조칸.HBr(140 mg), N-에틸모르폴린(200 μl) 및 HATU(250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8/1 →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5 mg. LC/MS-ESI: [M+H]+ = 480.5; TLC Rf = 0.45(디클로로메탄/메탄올 8/2)
(b) 1-[5-(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5] 디아조칸 -1-일]- 에타논
피리딘(0.3 ml) 중 실시예 16a의 생성물(75 mg)의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75 mg) 및 DMAP(10 m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6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2 N)에 의해 pH 4로 산성화시키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아세톤[9/1 →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50 mg. Mp 153-155℃; LC/MS-ESI: [M+H]+ = 522.5; TLC Rf = 0.35(디클로로메탄/아세톤 8/2); hFSHRago(CHO luc) EC50 = 5.0 nM
실시예 17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5-(톨루엔-4- 설포닐 )- 퍼히드로 -1,5- 디아조신 -1-일]- 메타논 .
DMF(1.5 ml) 중 1-(톨루엔-4-설포닐)-퍼히드로-1,5-디아조신.히드로브로마이드(60 mg) 및 실시예 1i의 생성물(50 mg)의 혼합물에 N-에틸모르폴린(50 μl) 및 TBTU(100 mg)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NH4Cl 수용액(5%)에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며,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 중 실리카 겔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산출량: 45 mg. TLC Rf = 0.60(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634.5. 1H NMR(DMSO-d6) 6.40(s, 1H, H2-피롤), 6.85, 6.72(2xs, 2H, H7 및 H107.40, 7.64( 2x dd, 4, tosyl), 2.38(s, 3, CH3-토실), 4.13(t, 2, H5), 2.95(t, 2, H6), 3.75(s, 3, CH3O), 1.08(d, 6, iPr); hFSHRago(CHO luc) EC50 = 914.0 nM
실시예 18
3-(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카르보닐)-1,2,3,4,5,6- 헥사히드로 -1,5- 메타노 - 피리도[1,2- a ][1,5]디아조신 -8-온
DMF(2 ml) 중 실시예 1i의 생성물(125 mg)과 라세미 시티신(80 mg)의 혼합물, N-에틸모르폴린(50 μl) 및 TBTU(200 mg)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아세톤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30 mg. Mp 260℃; Tlc: TLC Rf = 0.50(디클로로메탄/ 아세톤 1/1) LC/MS-ESI: [M+H]+ = 556.
1H NMR(DMSO-d6) 6.16(bd, 1H), 6.25(dd, 1H), 7.35(dd, 1H)에서 피리돈 고리의 신호; hFSHRago(CHO luc) EC50 = 37.3 nM
실시예 19
3-(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데카히드로 -1,5- 메타노 - 피리도[1,2- a ][1,5]디아조신 -8-온
시티신은 문헌[M.J. Johansson, L. Schwartz, S. Mamedjkouh, N. Kann, Tetrahedron Asymmetry, 15, 3531(2004)]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수소화시켰다. Mp 98-102℃.
DMF(2 ml) 중 실시예 1i의 생성물(125 mg)의 혼합물, N-에틸모르폴린(50 μl) 및 TBTU(225 mg)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아세톤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한 후, 디에틸 에테르에서 분쇄하였다.
산출량: 130 mg. Mp 207-208℃; TLC Rf = 0.64(디클로로메탄/아세톤 1/1); LC/MS-ESI: [M+H]+ = 560; hFSHRago(CHO luc) EC50 = 29.4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3
실시예 20
(a) 7-(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카르보닐)-3,7- 디아자 - 비시클로[3.3.1]노난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2 ml) 중 실시예 li(150 mg)과 3,7-디아자-비시클로[3.3.1]노난-3-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177 mg) [문헌(O. Huttenloch, E. Laxman, H. Waldmann, Chem. Eur. J., 8(20), 4767(2002))에 따라 제조]의 혼합물을 TBTU(188 mg) 및 디이소프로필아민(350 μl)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은 NH4Cl 수용액(5%)을 첨가하여 워크업 처리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톨루엔/아세톤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53 mg. 1H NMR(CDCl3) δ 1.18(d, 6H, 이소프로폭시), 1.4(bs, 9H, tert.-Bu), 6.45(s, 1H, H-2, 피롤), 6.69(s, 1H, H7-Ar), 6.93(s, 1H, H-9 Ar), 7.04, 7.27(m, 3H, 티에닐) TLC Rf = 0.62(톨루엔/아세톤 3/2) LC/MS-ESI: [M+H]+ = 592
(b) 3,7- 디아자 - 비시클로[3.3.1]논 -3-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염산염.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실시예 20b의 생성물(150 mg)의 용액에 HCl 용액(3 ml, 에테르 중 2.0 M)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10 mg(미정제) TLC Rf = 0.23(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c) 1-[7-(9- 이소포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3,7- 디아자 - 비시클로[3.3.1]논 -3-일]- 에타논
디클로로메탄(2 ml) 중 실시예 20b)의 미정제 생성물(66 mg)의 용액을 디이소프로필아민(100 μl) 및 염화아세틸(12 μl)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시트르산 수용액(10%)으로 희석시키며,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100 %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9 mg. TLC Rf = 0.70(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LC/MS-ESI: [M+H]+ = 534. 1H NMR(CDCl3) δ 1.18(m, 6H, 이소프로필), 2.18(s, 3H, 아세틸), 3.85(s, 3H, MeO), 3.0(t, 2H, C6H2 4.04(t, 2H, C5H2), 6.33(s, 1H, 피롤 H), 6.69(3, 1H, Ar H7), 6.92(s, 1H, Ar H10); hFSHRago(CHO luc) EC50 = 8.2 nM.
실시예 21
1-[7-(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3,7- 디아자 - 비시클로[3.3.1]논 -3-일]-2- 메틸설파닐 - 에타논
실시예 20b의 생성물(55 mg)의 메틸설파닐-염화아세틸과의 반응을 실시예 10c)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36 mg. LC/MS-ESI: [M+H]+ = 580. 1H NMR(CDCl3) δ 1.18(m, 6, 이소프로필), 2.16(s, 3, SCH3), 3.85(s, 3, MeO), 3.0(t, 2, C(6)H2) 4.04(t, 2, C(5)H2), 6.35( s, 1, 피롤 H), 6.70(3, 1H, Ar H7), 6.92( s, 1, Ar H10); ); hFSHRago(CHO luc) EC50 = 77.8 nM
실시예 22
(7- 시클로부탄카르보닐 -3,7- 디아자 - 비시클로[3.3.1]논 -3-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실시예 20b의 생성물(55 mg)의 시클로부탄 카르보닐 클로라이드와의 커플링을 실시예 20c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20 mg. LC/MS-ESI: [M+H]+ = 574. hFSHRago(CHO luc) EC50 = 8.9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4
실시예 23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2-아세틸- 옥타히드로 - 시클로펜타[ c ]피롤 -5(엔도)-일)-아미드
(a) (3aS,5R,6aR)-5-아미노-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 c ]피롤-2-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c]피롤-5-일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카르복사미드의 합성을 위해, 잘 문서화된 절차(Pauson-Khand 반응)를 이용하여 알릴-프로파르길아민으로부터 출발하여 5-옥소-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c]피롤-2-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제조하였으며; 문헌[S.W. Brown, P.L. Pauson, J. Chem. Soc. Perkin Trans I 1205(1990); D.P. Becker, D.L. Flynn, Tetrahedron Lett., 34(10) 2087(1993); D.P. Decker, D.L. Flynn, Tetrahedron, 49(23), 5047(1993); Y. Li, T. Marks, J. Am. Chem. Soc., 120, 1757(1998)]을 참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케토 작용기를 유도된 벤질 이민을 통해 공지된 환원 아민화 절차 후, Na(OAc)3BH 환원 및 촉매 탈벤질화(Pearlmans 촉매)에 의해 엔도아민으로 전환시켰다.
(b) 5-(엔도)[(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카르보닐)-아미노]- 헥사히드로 - 시클로펜타[ c ]피롤 -2-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DMF(1.5 ml) 중 실시예 li의 생성물(220 mg) 및 실시예 23a의 생성물(145)의 혼합물에 N-에틸모르폴린(100 μl) 및 TBTU(200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5 ml)을 첨가한 후, 침전물을 여과 및 건조시켰다. 헵탄/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분쇄하여 생성물을 산출하였다.
산출량: 260 mg. Mp 199-200℃; TLC Rf = 0.35(헵탄/아세트산에틸 1/1)
(c)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옥타히드로 - 시클로펜타[ c ]피롤 -5(엔도)-일)-아미드, 염산염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실시예 23b의 생성물(250 mg)의 용액에 HCl 용액(4 ml, 에테르 중 2 M)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농축시켰다. 잔류물은 에테르로 처리하여 백색 고체를 생성하였다.
산출량: 210 mg. Mp 140-142℃.
(d)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2-아세틸- 옥타히드로 - 시클로펜타[ c ]피롤 -5(엔도)-일)-아미드
아세트산에틸(10 ml) 중 실시예 23c의 생성물(210 mg)의 용액을 포화 NaHCO3 용액으로 처리하여 이의 HCl 염으로부터 아민을 유리시켰다. 상기 유기 용액을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피리딘(2 ml)에서 취하고 아세트산 무수물(150 μl) 및 DMAP(5 mg)로 처리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66℃ 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남아있는 잔류물을 에테르로 처리하였다.
산출량: 170 mg. Mp 207-208℃; LC/MS-ESI: [M+H]+ = 534.5; TLC Rf = 0.45(디클로로메탄/아세톤 1/1); hFSHRago(CHO luc) EC50 = 787.0 nM
실시예 24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2-아세틸- 옥타히드로 - 시클로펜타[ c ]피롤 -5(엔도)-일)- 메틸 -아미드
건조 DMF(1 ml) 중 실시예 23d의 생성물(50 mg)의 용액을 수산화나트륨(17 mg, 오일 중 60% 분산액)으로 처리하고, 65℃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요오드화메틸(35 μl)을 첨가하였다. 30 분 후, 메틸화가 완결되었다. 반응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아세톤 중 실리카 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비결정질 백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산출량: 170 mg. TLC Rf = 0.45(디클로로메탄/아세톤 1/1); LC/MS-ESI: [M+H]+ = 548.5; hFSHRago(CHO luc) EC50 = 191.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5
실시예 25
N -[-2-(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옥타히드로 - 시클로펜타[ c ]피롤 -5-엔도-일]- 아세트아미드
(a) 5-엔도- N -( 옥타히드로 - 시클로펜타[ c ]피롤 -5-일)- 아세트아미드
실시예 23a의 생성물(100 mg)을 피리딘 중 아세트산 무수물로 아세틸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중 HCl에 의해 탈보호시켜 하이그로스코픽 염산염을 제공하였다.
산출량: 105 mg. LC/MS-ESI: [M+H]+ = 169.3
(b) N -[-2-(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옥타히드로 - 시클로펜타[ c ]피롤 -5-엔도-일]- 아세트아미드
건조 DMF(2 ml) 중 실시예 li의 생성물(153 mg) 및 실시예 25a의 생성물(75 mg)의 혼합물을 N-에틸모르폴린(200 μl) 및 TBTU(160 mg)로 처리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며,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아세톤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30 mg. Mp 106-112℃; LC/MS-ESI: [M+H]+ = 534.5; TLC Rf = 0.52(디클로로메탄/아세톤 1/1); hFSHRago(CHO luc) EC50 = 45.4 nM
실시예 26
N -[2-(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옥타히드로 - 시클로펜타[ c ]피롤 -5-일]- N- 메틸 - 아세트아미드
실시예 25b의 생성물(50 mg)의 메틸화를 실시예 24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35 mg. TLC Rf = 0.58(디클로로메탄/아세톤 1/1); LC/MS-ESI: [M+H]+ = 548.3; hFSHRago(CHO luc) EC50 = 173.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6
실시예 27
(2-에틸- 피롤리딘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실시예 1i의 생성물(168 mg), 2-에틸-피롤리딘(130 mg), N-에틸모르폴린(170 μl) 및 TBTU(260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2)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50 mg. LC/MS-ESI: [M+H]+ = 465.3 ; hFSHRago(CHO luc) EC50 = 16.2 nM
실시예 28
[2-(3- 플루오로 - 페닐 )- 피롤리딘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i의 생성물(168 mg) 및 2-(3-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으로부터 실시예 27에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187 mg. LC/MS-ESI: [M+H]+ = 531.3 ; hFSHRago(CHO luc) EC50 = 752.0 nM
실시예 29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2-피리딘-3-일- 피롤리딘 -1-일)- 메타논,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i의 생성물(168 mg) 및 3-피롤리딘-2-일-피리딘으로부터 실시예 27에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2)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74 mg. LC/MS-ESI: [M+H]+ = 514.3; hFSHRago(CHO luc) EC50 = 624.0 nM
실시예 30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 메틸 -아미드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li(60 mg) 및 2-메틸-2-메틸아미노-프로판-1-ol[문헌(S.G. Kuznetsov, A.V. Eltsov, J. Gen. Chem. USSR, 32, 502(1962))에 따라 제조됨]로부터 실시예 27에 대해서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14 mg. LC/MS-ESI: [M+H]+ = 469.5; Mp 150-152℃; hFSHRago(CHO luc) EC50 = 1.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7
실시예 31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트리메틸히드라지드
(a)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N ' , N ' -디메틸- 히드라지드
디클로로메탄(2 ml) 중 실시예 1i의 생성물(75 mg), DIPEA(0.171 ml), HATU(112 mg) 및 1,1-디메틸히드라진(19.5 μl)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7/3 → 1/1(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5 mg. LC/MS-ESI: [M+H]+ = 426.1
(b)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트리메틸히드라지드
요오드화메틸(11 ml)을 아세톤(5 ml) 중 실시예 31a의 생성물(72 mg) 및 KOH(1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포화 NH4Cl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0.1%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2 mg. LC/MS-ESI: [M+H]+ = 440.1; 분석 HPLC: Rt = 17.61 min(방법 4); hFSHRago(CHO luc) EC50 = 241.0 nM
실시예 32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메틸 - 피롤리딘 -1-일-아미드
(a)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피롤리딘 -1- 일아미드
피롤리딘-1-일아민. 염산염(31 mg)에 의한 실시예 li의 생성물(75 mg)의 히드라지드 형성을 실시예 31a)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94 mg. LC/MS-ESI: [M+H]+ = 452.1
(b)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메틸 - 피롤리딘 -1-일-아미드
실시예 32a의 생성물(94 mg)의 메틸화를 실시예 31b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51 mg. LC/MS-ESI: [M+H]+ = 466.1; 분석 HPLC: Rt = 18.92 min(방법 4); hFSHRago(CHO luc) EC50 = 55.2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8
실시예 33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 놀린-3- 카르복실산 ((R)-1- 시클로부탄카르보닐 -피페리딘-3-일)-에틸-아미드 및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R)-1- 시클로부탄카르보닐 -피페리딘-3-일)-아미드
(a)((R)-1- 시클로부탄카르보닐 -피페리딘-3-일)- 카르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시클로부틸 카르보닐클로라이드(0.342 ml)에 의한 (R)-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300 mg)의 아실화를 실시예 20c에 대해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잔류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산출량: 423 mg.
(b)((R)-3-아미노-피페리딘-1-일)- 시클로부틸 - 메타논
실시예 33a의 생성물(423 mg)의 탈보호를 실시예 7b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327 mg(HCl-염으로서)
(c)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R)-1- 시클로부탄카르보닐 -피페리딘-3-일)-아미드
실시예 li의 생성물(250 mg)에 의한 실시예 33b의 생성물(214 mg)의 아미드 형성을 실시예 13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톨루엔/아세톤[100/0 → 6/4(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16 mg. MS-ESI: [M+H]+ = 548.5; 분석 HPLC: Rt = 25.16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252 nM.
(d)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R)-1- 시클로부탄카르보닐 -피페리딘-3-일)-에틸-아미드
요오드화에틸(80 μl) 및 수산화나트륨(12.6 mg, 오일 중 60% 분산액)을 DMF(1 ml) 중 실시예 33c의 생성물(69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5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6.4 mg. MS-ESI: [M+H]+ = 576.5; 분석 HPLC: Rt = 26.46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279 nM
실시예 34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R)-1-아세틸-피페리딘-3-일)- 메틸 -아미드 및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R)-1-아세틸-피페리딘-3-일)-아미드
(a)((R)-1-아세틸-피페리딘-3-일)- 카르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염화아세틸(0.214 ml)에 의한 ((R)-1-아세틸-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300 mg)의 아실화를 실시예 20c에 대해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잔류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산출량: 348 mg.
(b) 1-((R)-3-아미노-피페리딘-1-일)- 에타논
실시예 34a의 생성물(348 mg)의 탈보호를 실시예 7b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256 mg(HCl-염으로서)
(c)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R)-1-아세틸-피페리딘-3-일)-아미드
실시예 li의 생성물(250 mg)에 의한 실시예 34b의 생성물(175 mg)의 아미드 형성을 실시예 13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톨루엔/아세톤[100/0 → 4/6(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2 mg. MS-ESI: [M+H]+ = 508.3; 분석 HPLC: Rt = 18.32 min(방법 1); hFSHRago(CHO luc) EC50 = 251 nM.
(d)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R)-1-아세틸-피페리딘-3-일)- 메틸 -아미드
요오드화메틸(62.3 μl)에 의한 실시예 34c의 생성물(50 mg)의 알킬화를 실시예 33d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36.6 mg. MS-ESI: [M+H]+ = 522.5; 분석 HPLC: Rt = 18.45 min(방법 1); hFSHRago(CHO luc) EC50 = 496.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29
실시예 35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피리딘-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피리딘-2-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a)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피리딘-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DMF(5 ml) 중 실시예 lf의 생성물(800 mg) 및 에틸 옥살릴 클로라이드(0.4 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0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아세트산 무수물(5 ml) 중 잔류물 및 2-에티닐-피리딘(340 μ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4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수용액, 염수로 추출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60 mg. MS-ESI: [M+H]+ = 407.5
(b)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피리딘-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에탄올(15 ml)과 물(15 ml) 중 실시예 35a의 생성물(850 mg) 및 고체 KOH(500 mg)의 혼합물을 8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pH = 6-7까지 HCl 수용액(1.0 M)으로 중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673 mg. MS-ESI: [M+H]+ = 379.3
(c) 4-(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피리딘-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 디아제판- 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35b의 생성물(473 mg), DIPEA(1.0 ml) 및 [1,4]디아제판-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370 μl)의 용액에 HATU(950 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75% 아세토니트릴; 0.1 % TFA; 시스템 2)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68 mg. MS-ESI: [M+H]+ = 561.5
(d) [1,4] 디아제판 -1-일-(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피리딘-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실온에서, TFA(1 ml)를 디클로로메탄(9 ml) 중 실시예 35c의 생성물(768 m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630 mg. MS-ESI: [M+H]+ = 461.3
(e)(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피리딘-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피리딘-2-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35d의 생성물(105 mg), DIPEA(200 μl), 피리딘-2-카르복실산(57 mg) 및 HATU(350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75% 아세토니트릴; 0.1 %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6 mg. MS-ESI: [M+H]+ = 566.5; 분석 HPLC Rt = 15.08 min(방법 4); hFSHRago(CHO luc) EC50 = 244.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0
실시예 36
9-(2-히드록시-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197 mg)을 톨루엔(10 ml) 중 실시예 65d의 생성물(376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7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2)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00 mg. LC/MS-ESI: [M+H]+ = 453.2; 분석 HPLC: Rt = 15.79 min(방법 11); hFSHRago(CHO luc) EC50 = 2.5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1
실시예 37
1- 시아노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및 1- 브로모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아세트산 무수물(15 ml) 중 실시예 1g의 생성물(6.5 g) 및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3.3 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4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3/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8 g. LC/MS-ESI: [M+H]+ = 330.1.
(b) 1- 브로모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N-브로모숙신이미드(980 mg)를 DMF(20 ml) 중 실시예 37a의 생성물(1.8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4/1 → 1/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65 g. LC/MS-ESI: [M+H]+ = 408.1/410.1(1:1)
(c) 1- 브로모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NaOH 수용액(8 ml, 2N)을 에탄올(50 ml) 중 실시예 37b의 생성물(1.6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7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작은 부피로 농축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며, HCl 수용액(2 N)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DMF(10 ml)에 용해시키고, HATU(2.1 g), N-메틸-N-tert-부틸-아민(3.4 ml) 및 DIPEA(3.1 m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에 투입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며,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고체는 아세트산에틸로 취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76 g. LC/MS-ESI: [M+H]+ = 409.1/412.1(1:1); hFSHRago(CHO luc) EC50 = 234.0 nM
(d) 1- 시아노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NMP(10 ml) 중 실시예 37c의 생성물(485 mg), 요오드화구리(I)(21 mg), sym-디메틸에틸렌 디아민(236 ml) 및 시안화구리(I)(197 mg)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200℃에서 20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포화 수성 NaCl / 포화 수성 NH4Cl(1:1)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26 mg. LC/MS-ESI: [M+H]+ = 330.1; 분석 HPLC: Rt = 15.88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67.1 nM
실시예 38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1 H - 테트라졸 -5-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크실렌(200 μl) 중 실시예 37g의 생성물(22.5 mg) 및 아지도트리부틸주석(20 μl)의 혼합물을 110℃에서 4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6/4(v/v)] 중 실리카 상에서 직접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6 mg. LC/MS-ESI: [M+H]+ = 439.3; 분석 HPLC: Rt = 11.49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1640.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2
실시예 39
2- 포르밀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2-(3,3- 디에톡시 - 프로프 -1- 이닐 )-티오펜
디이소프로필아민(8 ml) 중 프로파르길알데히드 디에틸 아세탈(405 mg)의 용액에 2-요오도티오펜(1.2 g) 및 구리(II) 아세테이트 일수화물(66.4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N2의 스트림으로 플러싱하였다. Pd(PPh3)4(75 mg)를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재차 플러싱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55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이 형성되었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이소프로필아민(6 ml)으로 희석시키고 교반을 계속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17/3(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680 mg.
(b) 2- 포르밀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아세트산 무수물(6.5 ml) 중 실시예 1g의 생성물(300 mg) 및 실시예 39a의 생성물(350 mg)의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140℃에서 12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3/2(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83 mg. LC/MS-ESI: [M+H]+ = 440.2.
(c) 2- 포르밀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카르복실산( 나트륨 염 )
NaOH 수용액(5 ml, 2 N)을 에탄올(10 ml) 중 실시예 39b의 생성물(22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6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216 mg.
(d) 2- 포르밀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HATU(103 mg), N-메틸-N-tert-부틸-아민(125 μl) 및 DIPEA(182 μl)을 NMF(5 ml) 중 실시예 39c의 생성물(86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2x)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45 mg. LC/MS-ESI: [M+H]+ = 481.2; 분석 HPLC: Rt = 16.90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2.7 nM
실시예 40
2- 히드록시메틸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수산화붕소나트륨(3.6 mg)을 메탄올(5 ml) 중 실시예 39d의 생성물(38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가량의 수산화붕소나트륨(3.6 mg)를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7 mg. LC/MS-ESI: [M+H]+ = 482.3; 분석 HPLC: Rt = 14.77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8.8 nM
실시예 41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2- 메톡시메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TMF(2.5 ml) 중 실시예 40의 생성물(20 mg), 수산화나트륨(3.3 mg, 오일 중 60% 분산액) 및 요오도메탄(13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2 mg. LC-MS: [M+H]+ = 497.3; 분석용 HPLC 20.40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2.8 nM
실시예 42
2-( 히드록시이미노 - 메틸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피리딘(1.5 ml) 중 실시예 39d의 생성물(74 mg) 및 히드록실아민 염산염(21.5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3/7(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0 mg. MS: [M+H]+ = 496.3; 분석용 HPLC 15.33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1.2 nM
실시예 43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2-( 메톡시이미노 - 메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메틸히드록실아민 염산염(26.4 mg)에 의한 실시예 39d의 생성물(76 mg)의 메톡심 형성을 실시예 42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60 mg. MS-ESI: [M+H]+ = 452.1; 분석용 HPLC 22.60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4.3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3
실시예 44
2-(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에타논
(a) 2- 포르밀 -7- 이소프로폭시 -6- 메톡시 -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아세트산 무수물(8.9 ml)를 5℃에서 포름산(35.5 ml)에 용해된 실시예 1f의 생성물(5 g)의 냉각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수로 희석하고,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28 g. LC/MS-ESI: [M+H]+ = 294.3
(b)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테트라히드로푸란/아세트산 무수물 = 1:1(v/v)(10 ml) 중 실시예 44a의 생성물(400 mg) 및 2-에티닐티오펜(134 μ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4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중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7/3(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09 mg. LC/MS-ESI: [M+H]+ = 340.2
(c) 2- 브로모 -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일)- 에타논
브로모아세틸 브로마이드(902 μl)를 디옥산(50 ml) 중 실시예 44b의 생성물(1.17 g)의 교반된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1 시간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물과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Na2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209 mg. LC/MS-ESI: [M+H]+ = 460.0/462.0
(d) 2-(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에타논
THF(4 ml) 중 실시예 44c의 생성물(105 mg), DIPEA(200 μl) 및 실시예 7b의 생성물(125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Na2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100% 아세토니트릴; 0.1%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5 mg(TFA 염으로서) LC/MS-ESI: [M+H]+ = 562.3; 분석 HPLC: Rt = 13.47(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1120.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4
실시예 45
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3,3-디메틸-부탄-1-온
디옥산(4 ml) 중 실시예 44b의 생성물(100 mg), 3,3-디메틸부티릴 클로라이드(102 μl) 및 AlCl3(촉매량)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6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수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3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56 mg. LC/MS-ESI: [M+H]+ = 438.1; 분석 HPLC: Rt = 27.07(방법 3); hFSHRago(CHO luc) EC50 = 65.1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5
실시예 46
시클로페틸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디옥산(4 ml) 중 실시예 44b의 생성물(100 mg), 시클로펜탄카르보닐 클로라이드(90 μl) 및 AlCl3(40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수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Na2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3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9 mg. LC/MS-ESI: [M+H]+ = 436.1; 분석 HPLC: Rt = 26.71(방법 3); hFSHRago(CHO luc) EC50 = 78.2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6
실시예 47
2-디메틸아미노-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프로판-1-온
(a) 2- 브로모 -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일)-프로판-1-온
2-브로모프로피오닐 브로마이드(0.625 ml)를 디옥산(20 ml) 중 실시예 44b의 생성물(500 m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700 mg. LC/MS-ESI: [M+H]+ = 474/476.
(b) 2-디메틸아미노-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프로판-1-온
실시예 47a의 생성물(50 mg) 및 디메틸아민(0.133 ml, 수중 40% WT)의 혼합물을 6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0.1%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0 mg. LC/MS-ESI: [M+H]+ = 439.1; hFSHRago(CHO luc) EC50 = 149.0 nM
실시예 48
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2-모르폴린-4-일-프로판-1-온
모르폴린(38 μl)에 의한 실시예 47a의 생성물(68 mg)에서의 브롬의 치환을 실시예 47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32 mg. MS-ESI: [M+H]+ = 481.3; 분석 HPLC: Rt = 18.64(방법 4); hFSHRago(CHO luc) EC50 = 89.4 nM
실시예 49
2-(4-아세틸-[1,4] 디아제판 -1-일)-1-(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프로판-1-온
1-[1,4]디아제판-1-일-에타논(0.106 ml)에 의한 실시예 47a의 생성물(75 mg)에서의 브롬의 치환을 실시예 47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28 mg. MS-ESI: [M+H]+ = 536.5; 분석 HPLC: Rt = 18.37(방법 4); hFSHRago(CHO luc) EC50 = 200.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7
실시예 50
1- 시클로페틸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tert -부틸아미드
실시예 lg의 생성물(270 g) 및 에티닐-시클로펜탄(100 mg)을 실시예 1에 기술한 것과 유사한 조건으로 처리하여 1-시클로페틸-9-이소프로폭시-8-메톡시-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을 산출하였다. 상기 산(18 mg)을 실시예 1j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HATU에 의한 표준 아미드 커플링 조건 하에 t-부틸아민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0 → 100% 이소프로필아민(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9 mg. LC/MS-ESI: [M+H]+ = 425; hFSHRago(CHO luc) EC50 = 220.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8
실시예 51
9- 이소프로필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9-히드록시-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삼염화붕소(100 ml)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400 ml) 중 실시예 lh의 생성물(51.2 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30→5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4.3 g.
(b) 8- 메톡시 -1-티오펜-2-일-9-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산 무수물(982 μl)를 0℃에서 피리딘(5 ml) 중 실시예 51a의 생성물(716 m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 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1 N)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875 mg. LC/MS-ESI: [M+H]+ = 502.1
(c) 9- 이소프로필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51b의 생성물(100 mg), 이소프로필아민(42 μ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5 mg), 제3인산칼륨(130 mg) 및 2-(디-t-부틸포스피노)비페닐(10 mg)의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150℃에서 1 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하였다.
산출량: 73 mg. LC/MS-ESI: [M+H]+ = 411.1
(d) 9- 이소프로필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탄올/물[1/1(2 ml)] 중 실시예 51c의 생성물(73 mg) 및 KOH(과량)의 혼합물을 환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시트르산 수용액(1 M)으로 산성화시키며,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58 mg. LC/MS-ESI: [M+H]+ = 383.2
(e) 9- 이소프로필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3 ml) 중 실시예 51d의 생성물(58 mg), DIPEA(79 μl), HATU(86 mg) 및 N-메틸-N- tert -부틸-아민(187 μl)의 혼합물을 4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9.7 mg. MS-ESI: [M+H]+= 452.3; 분석용 HPLC: Rt = 6.99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4.2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39
실시예 52
9-히드록시-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에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THF 중 2 M, 50.8 ml)를 건조 THF(250 ml) 중 N-메틸-N-tert-부틸-아민(13.4 m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65℃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건조 THF(100 ml) 중 실시예 51a의 생성물(7.5 g)의 용액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으로 켄칭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시켰다.
산출량: 6.2 g. LC/MS-ESI: [M+H]+ = 411.2; hFSHRago(CHO luc) EC50 = 356.0 nM
실시예 53
9-(4-아세틸-피페라진-1-일)-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트리플루오로 - 메탄설폰산 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디 드로-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 에스테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3-(tert-부틸-메틸-카르바모일)-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9-일 에스테르(53a)의 합성을(52)(6.2 g)에서 출발하여 실시예 5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7.45 g. LC/MS-ESI: [M+H]+ = 543.1
(b) 9-(4-아세틸-피페라진-1-일)-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1-아세틸피페라진(60 mg)에 의한 실시예 53a의 생성물(100 mg)의 반응을 실시예 51c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22 mg. MS-ESI [M+H]+ = 521.5; 분석 HPLC: Rt = 8.71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678.0 nM
실시예 54
8- 메톡시 -9-(4- 메틸 -피페라진-1-일)-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1-메틸피페라진(46 mg)에 의해 실시예 53a의 생성물(100 mg)의 트리플레이트 부분의 치환을 실시예 51c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38 mg. MS-ESI [M+H]+ = 493.5; 분석 HPLC: Rt = 27.45 min(방법 12); hFSHRago(CHO luc) EC50 = 455.0 nM
실시예 55
8- 메톡시 -9-(1 H - 피라졸 -4-일)-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DME(2 ml) 중 실시예 53a의 생성물(25.5 mg)의 용액을 질소에 의해 살포하였다. Pd(PPh3)4(0.5 mg)를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질소로 재차 살포하였다. 이어서, K2CO3(25.5 mg), 1H-피라졸-4-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26.8 mg) 및 물(200 μ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90% 아세토니트릴; 0.1%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0 mg. LC/MS-ESI: [M+H]+ = 561.2 분석 HPLC: Rt = 36.38 min(방법 12); hFSHRago(CHO luc) EC50 = 1.1 nM
실시예 56
8- 메톡시 -9-모르폴린-4-일-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모르폴린(110 μl)에 의한 실시예 53a의 생성물(274 mg)의 치환을 실시예 51c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65 mg. LC/MS-ESI [M+H]+ = 480.3 분석 HPLC: Rt = 12.89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15.7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0
실시예 57
8- 메톡시 -9-모르폴린-4-일-1-피리딘-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a)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피리딘-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피리딘-3-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57a)의 합성을(1f)(1.5 g) 및 3-에티닐-피리딘에서 출발하여 실시예 35a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2.08 g. MS-ESI: [M+H]+ = 407.4
(b) 9-히드록시-8- 메톡시 -1-피리딘-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9-히드록시-8-메톡시-1-피리딘-3-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57b)의 합성을 57a(634 mg)에서 출발하여 실시예 51a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613 mg. LC/MS-ESI: [M+H]+ = 365.2
(c) 8- 메톡시 -1-피리딘-3-일-9-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DMF(10 ml) 중 실시예 57b의 생성물(220 mg), Cs2CO3(787 mg) 및 1,1,1-트리플루오로-N-페닐-N-[(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메탄설폰아미드(647 mg)의 혼합물을 8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40 mg. LC/MS-ESI: [M+H]+ = 497.1
(d) 8- 메톡시 -9-모르폴린-4-일-1-피리딘-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DME(1 ml) 중 실시예 57c의 생성물(140 mg), 모르폴린(61 μl), 2-(디-t-부틸포스피노)비페닐(촉매량), 제3인산칼륨(180 mg)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 디팔라듐(0)(촉매량)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50℃에서 1 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3 → 0: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01 mg. LC/MS-ESI: [M+H]+ = 434.4
(e) 8- 메톡시 -9-모르폴린-4-일-1-피리딘-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에탄올(3 ml) 및 물(3 ml) 중 실시예 57d의 생성물(101 mg), 고체 KOH의 혼합물을 78℃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pH = 5-6까지 시트르산 수용액(0.5 M)으로 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92 mg. LC/MS-ESI: [M+H]+ = 406.1
(f) 8- 메톡시 -9-모르폴린-4-일-1-피리딘-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HATU(129 mg)을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57e의 생성물(92 mg), DIPEA(198 μl) 및 N-메틸-N- tert -부틸-아민(54 μ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100% 아세토니트릴; 0.1 %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6 mg. 분석 HPLC Rt = 17.90 min(방법 12) ); hFSHRago(CHO luc) EC50 = 276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1
실시예 58
9-이소부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및 8- 메톡시 -9-(2- 메틸 - 프로페닐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2,4,6- 트리스 -(2- 메틸 - 프로페닐 )- 시클로트리보록산 . 피리딘
THF(536 ml 0.5 M) 중 2-메틸-1-프로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70℃에서 THF(320 ml) 중 트리메틸 보레이트(54 m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7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HCl 수용액(2 N)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H를 HCl 수용액(2 N)에 의해 4로 조절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테르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뮬을 피리딘(80 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건조시키고, 잔류 피리딘을 톨루엔과 함께 공증류시켜 제거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진공(3 mm) 건조시켰다.
산출량: 27.5 g.
(b) 8- 메톡시 -9-(2- 메틸 - 프로페닐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DME(150 ml) 중 실시예 53a의 생성물(5.39 g)의 용액을 2 분 동안 질소에 의해 살포하였다. Pd(PPh3)4(585 mg)를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질소(g)에 의해 재차 2 분 동안 살포한 후, 실시예 58a의 생성물(4.98 g), K2CO3(2 g) 및 물(3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질소 하에 9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헵탄/아세트산에틸[0→5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 g. LC/MS-ESI [M+H]+: 449.2; hFSHRago(CHO luc) EC50 = 0.7 nM
(c) 9-이소부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탄소 상의 10% 팔라듐(20 mg)을 아세트산에틸(4 ml) 및 메탄올(4 ml) 중 실시예 58b의 생성물(4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8 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아세트산 에틸로 세척하며, 여과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37 mg. LC/MS-ESI [M+H]+: 451.2; 분석 HPLC: Rt = 31.03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4.3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2
실시예 59
8- 메톡시 -9-(2- 메틸 - 프로페닐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2- 트리메틸실라닐에티닐 -티아졸
50℃에서, 2-브로모티아졸(3 ml, 새롭게 증류됨)을 디이소프로필 아민(200 ml, 질소에 의해 살포됨) 중 Pd(PPh3)4(462 mg), Cu(OAc)2(429 mg) 및 에티닐 트리메틸실란(10.5 m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5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데칼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톨루엔/아세트산에틸[9/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1 g. LC/MS-ESI: [M+H]+ = 182.1
(b) 2- 에티닐 -티아졸
KOH 수용액(0.5 ml, 0.1N)을 메탄올(5 ml) 중 실시예 59a의 생성물(1.1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작은 부피로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650 mg.
(c) 9- 이소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아세트산 무수물(10 ml) 중 실시예 59b의 생성물(650 mg) 및 실시예 1g의 생성물(1.46 g)의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14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9/1 → 7/3(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580 mg. MS-ESI: [M+H]+ = 413.1
(d) 9-히드록시-8- 메톡시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0℃에서 삼염화붕소(2.52 ml)를 디클로로메탄(12 ml) 중 실시예 59c의 생성물(520 m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478 mg. LC/MS-ESI: [M+H]+ = 371.2
(e) 8- 메톡시 -1-티아졸-2-일-9-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 -5,6- 디히드로 -피롤로[ 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DMF(25 ml) 중 1,1,1-트리플루오로-N-페닐-N-[(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메탄설폰아미드(901 mg), Cs2CO3(822 mg) 및 실시예 59d의 생성물(467 mg)의 혼합물을 8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7/3 → 3/2(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601 mg. LC/MS-ESI: [M+H]+ = 503.2.
(f) 8- 메톡시 -9-(2- 메틸 - 프로페닐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산 에틸 에스테르
DME(3 ml, 질소에 의해 살포됨) 중 Pd(PPh3)4(11 mg), K2CO3(60 mg), 실시예 58a의 생성물(194 mg) 및 실시예 59e의 생성물(200 mg)의 혼합물을 9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7/3(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27 mg. LC/MS-ESI: [M+H]+ = 409.2
(g) 8- 메톡시 -9-(2- 메틸 - 프로페닐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NaOH 수용액(4 ml, 1N)을 에탄올(8 ml) 중 실시예 59b의 생성물(127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6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포화 시트르산 수용액(2 M),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17 mg. LC/MS-ESI: [M+H]+ = 381.3.
(h) 8- 메톡시 -9-(2- 메틸 - 프로페닐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HATU(175 mg), N-메틸-N-tert-부틸-아민(55 ml) 및 DIPEA(0.286 ml)를 DMF(5 ml) 중 실시예 59g의 생성물(117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HCl 수용액(2 N), 물 및 포화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63 mg. LC/MS-ESI: [M+H]+ = 450.3; 분석 HPLC: Rt = 20.41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2.6 nM
실시예 60
9-이소부틸-8- 메톡시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실시예 59h의 생성물(55 mg) 및 활성 탄소 상의 팔라듐(6 mg)의 혼합물을 Parr 장치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18 시간 동안 흔들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데칼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50 mg. LC/MS-ESI: [M+H]+ = 452.3; 분석 HPLC: Rt = 22.92 min(방법 5); hFSHRago(CHO luc) EC50 = 19.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3
실시예 61
8-히드록시-9-이소부틸-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8- 메톡시 -9-(2- 메틸 - 프로페닐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DME(20 ml) 중 실시예 51b의 생성물(0.7 g)의 용액을 5 분 동안 질소에 의해 살포하였다. Pd(PPh3)4(82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질소(g)에 의해 재차 1 분 동안 살포한 후, 실시예 58a의 생성물(0.7 g), K2CO3(0.3 g) 및 물(4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첨가량의 실시예 58a의 생성물(200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85℃ 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헵탄/아세트산에틸[0→4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519 mg. LC/MS-ESI [M+H]+ = 408.2
(b) 8- 메톡시 -9-(2- 메틸 - 프로페닐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탄소 상의 10% 팔라듐(25 mg)을 아세트산에틸(4 ml) 및 메탄올(4 ml) 중 실시예 61a의 생성물(155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3.2 bar의 압력) 하에서 흔들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아세트산 에틸로 세척하며, 여과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헵탄/아세트산에틸[0→4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02 mg.
(c) 8-히드록시-9-이소부틸-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삼브롬화붕소(118 μl)를 -20℃에서 디클로로메탄(3 ml) 중 실시예 61b의 생성물(10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메탄올로 켄칭시키며,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헵탄/아세트산에틸[0→5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8 mg.
(d) 8-히드록시-9-이소부틸-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419 μl, THF 중 25 중량%)을 THF(250 ml) 중 N-메틸-N-tert-부틸-아민(146 μl)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75℃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THF(2 ml)에 용해된 실시예 61c의 생성물(48 mg)을 적가하였다. 1 시간 동안 환류한 후,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2 mg. LC/MS-ESI: [M+H]+ = 437.2; 분석 HPLC: Rt = 23.06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5.2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4
실시예 62
N -[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 이소부티르아미드
(a) 9- 이소부티릴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디옥산(15 ml, 질소 하에 살포됨) 중 실시예 51b(1 g), 이소부티르아미드(347 mg), Cs2CO3(1.9 g),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196 mg) 및 Pd2(dba)3(310 mg)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50℃에서 1 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0/0 → 7/3(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60 mg. LC/MS-ESI: [M+H]+ = 439.2.
(b) 9- 이소부티릴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KOH(588 mg)를 에탄올/물(24 ml, 2/1(v/v)) 중 실시예 62a의 생성물(46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80℃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시트르산 수용액(10%)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462 mg.
(c) N -[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 이소부티르아미드
HATU(66 mg), 2,2-디메틸피롤리딘(50 mg) 및 DIPEA(0.120 ml)를 디클로로메탄(3 ml) 중 실시예 62b의 생성물(3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시트르산 수용액(10%)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7 mg. LC/MS-ESI: [M+H]+ = 492.3; 분석 HPLC: Rt = 17.90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3.7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5
실시예 63
[3-( tert -부틸-메틸-카르바모일)-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9-일옥시]-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DMF(10 ml) 중 실시예 52의 생성물(250 mg), 브로모-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81 μl) 및 Cs2CO3(595 mg)의 혼합물을 9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이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한 후, 물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HCl 수용액(0.5 M),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70 mg. LC/MS-ESI: [M+H]+ = 497.1; LC/MS Rt = 4.60 min; hFSHRago(CHO luc) EC50 = 252.0 nM
실시예 64
8- 메톡시 -9- 메틸카르바모일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일옥시 ]-아세트산
에탄올(5 ml)과 물(5 ml) 중 실시예 63의 생성물(150 mg) 및 고체 KOH(51 mg)의 혼합물을 78℃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pH = 1-2까지 HCl 수용액(1.0 M)으로 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19 mg. LC/MS-ESI: [M+H]+ = 469.0
(b) 8- 메톡시 -9- 메틸카르바모일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3 ml) 중 실시예 64a의 생성물(50 mg), DIPEA(93 μl), HATU(61 mg) 및 메틸아민 염산염(5.3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며, HCl 수용액(0.5 M),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8 mg. MS-ESI: [M+H]+ = 482.5; 분석 HPLC: Rt = 11.73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3.1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6
실시예 65
9-(2- 아지도 -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8- 메톡시 -9-[2-(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 에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9-(2-히드록시-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및 메탄설폰산 2-[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일옥시 ]-에틸 에스테르.
(a) 8- 메톡시 -9-[2-(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 에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피롤로[ 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DMF(15 ml) 중 실시예 51a의 생성물(600 mg), Cs2CO3(1.32 g) 및 2-(2-브로모-에톡시)-테트라히드로피란(294 μl)의 혼합물을 10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31 mg. MS-ESI: [M+H]+ = 498.3
(b) 8- 메톡시 -9-[2-(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 에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피롤로[ 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탄올(10 ml)과 물(10 ml) 중 실시예 65a의 생성물(731 mg) 및 고체 KOH(250 mg)의 혼합물을 78℃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pH = 5-6까지 시트르산 수용액(2 M)으로 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682 mg. MS-ESI: [M+H]+ = 468.1
(c) 8- 메톡시 -9-[2-(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 에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피롤로[ 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실시예 65b의 생성물(682 mg), DIPEA(1.27 ml), N-메틸-N-tert-부틸-아민(348 μl) 및 HATU(827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26 mg. MS-ESI: [M+H]+ = 539.5; hFSHRago(CHO luc) EC50 = 102.0 nM
(d) 9-(2-히드록시-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HCl 수용액(2 ml, 5 M)을 메탄올(50 ml) 중 실시예 65c의 생성물(716 mg)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2(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14 mg. LC/MS-ESI: [M+H]+ = 455.0; hFSHRago(CHO luc) EC50 = 1.3 nM
(e) 메탄설폰산 2-[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피롤로[ 2,1- a ]이소퀴놀린 -9- 일옥시 ]-에틸 에스테르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85 μl)을 디클로로메탄(25 ml) 중 실시예 65d의 생성물(414 mg) 및 트리에틸아민(380 μ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2(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65 mg. LC/MS-ESI: [M+H]+ = 533.0; hFSHRago(CHO luc) EC50 = 15 nM
(f) 9-(2- 아지도 -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DMF(15 ml) 중 실시예 65e의 생성물(250 mg) 및 아지드화나트륨(92 mg)의 혼합물을 9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2회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10 mg. LC/MS-ESI: [M+H]+ = 480.0; 분석 HPLC: Rt = 24.73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7.1 nM
실시예 66
{2-[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일옥시 ]-에틸}- 카르밤산 메틸 에스테르
(a) 9-(2-아미노-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THF(5 ml) 및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65f(210 mg), 트리페닐포스핀 중합체 결합물(290 mg; 3 mmol/g수지 로딩), 물(1 ml)의 혼합물을 환류 하에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며,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97 mg. LC/MS-ESI: [M+H]+ = 454.1
(b) {2-[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일옥시 ]-에틸}- 카르밤산 메틸 에스테르
메틸클로로포르메이트(15 μl)을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66a의 생성물(66 mg) 및 DIPEA(76 μ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0.5 M),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2 mg. MS-ESI: [M+H]+ = 512.5; 분석 HPLC: Rt = 15.50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31.3 nM
실시예 67
9-(2- 아세틸아미노 -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염화아세틸(13 μl)을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66a의 생성물(66 mg) 및 DIPEA(76 μ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0.5 M),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9 mg. MS-ESI: [M+H]+ = 496.3; 분석 HPLC: Rt = 10.67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36.5 nM
실시예 68
9-(2- 메탄설포닐아미노 -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5 μl)을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66a의 생성물(66 mg) 및 DIPEA(76 μ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0.5 M)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9 mg. MS-ESI: [M+H]+ = 532.5; 분석 HPLC: Rt = 13.94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16.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7
실시예 69
8- 메톡시 -9-(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8- 메톡시 -9-(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0℃에서, 2,3-디히드로피란(50 μl) 및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촉매량)을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51a의 생성물(100 mg)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00 mg. LC/MS-ESI: [M+H]+ = 454.0
(b) 8- 메톡시 -9-(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탄올(4 ml)과 물(4 ml) 중 실시예 69a의 생성물(100 mg) 및 고체 KOH(37 mg)의 혼합물을 78℃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pH=5로 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00 mg. MS-ESI: [M+H]+ = 426.3
(c) 8- 메톡시 -9-(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69b의 생성물(100 mg), DIPEA(205 μl), N-메틸-N-tert-부틸-아민(56 μl) 및 HATU(134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85 mg. MS-ESI: [M+H]+ = 495.5; 분석 HPLC Rt: 23.59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6.9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8
실시예 70
9-(3-아미노- 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8- 메톡시 -9-[3-(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 프로폭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메틸-아미드, 9-(3-히드록시- 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메탄설폰산 3-[3-( tert -부틸-메틸-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a]이소퀴놀린 -9- 일옥시 ]-프로필 에스테르 및 9-(3- 아지도 - 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8- 메톡시 -9-[3-(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 프로폭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DMF(45 ml) 중 실시예 51a의 생성물(1.31 g), K2CO3(12.3 g) 및 2-(1-브로모-3-프로폭시)-테트라히드로피란(1.21 ml)을 60℃에서 2 시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83 g. LC/MS-ESI: [M+H]+ = 512.1.
(b) 8- 메톡시 -9-[3-(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 프로폭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KOH(1 g)를 에탄올/물(60 ml, 1/1(v/v)) 중 실시예 70a의 생성물(1.83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8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시트르산 수용액(10%)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63 g.
(c) 8- 메톡시 -9-[3-( 테트라히드로 -피란-2- 일옥시 )- 프로폭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HATU(1.93 g), N-메틸-N-tert-부틸아민(2.02 ml) 및 DIPEA(2.79 ml)를 DMF(20 ml) 중 실시예 70b의 생성물(1.63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5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분리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9 g. MS-ESI: [M+H]+ = 553.1; hFSHRago(CHO luc) EC50 = 155.0 nM
(d) 9-(3-히드록시- 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메탄올(30 ml) 중 실시예 70c의 생성물(1.83 g) 및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942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0/0 → 0/10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28 g. MS-ESI: [M+H]+ = 469.2; hFSHRago(CHO luc) EC50 = 1.3 nM
(e) 메탄설폰산 3-[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피롤로[ 2,1-a]이소퀴놀린 -9- 일옥시 ]-프로필 에스테르
메실 클로라이드(0.99 ml) 및 트리에틸아민(0.443 ml)을 디클로로메탄(25 ml) 중 실시예 70d의 생성물(50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0/0 → 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503 mg. MS-ESI: [M+H]+ = 547.1
(f) 9-(3- 아지도 - 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나트륨 아지드(179 mg)를 DMF(25 ml) 중 실시예 70e의 생성물(503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452 mg. MS-ESI: [M+H]+ = 494.1; hFSHRago(CHO luc) EC50 = 10.9 nM
(g) 9-(3-아미노- 프로폭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물(3 ml) 및 트리페닐포스핀 중합체 결합물(613 mg; 3 mmol/g 수지 로딩)을 THF/디클로로메탄(30 ml, 1/1(v/v)) 중 실시예 70f의 생성물(454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4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산출량: 442 mg. MS-ESI: [M+H]+ = 468.2; hFSHRago(CHO luc) EC50 = 111.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49
실시예 71
8- 메톡시 -9-(2- 메틸설파닐 - 에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DMF(5 ml) 중 실시예 65e의 생성물(124 mg) 및 나트륨 메틸 설파이드(32 mg)의 혼합물을 5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2(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7 mg. LC/MS-ESI: [M+H]+ = 485.2; 분석 HPLC Rt = 22.30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26.3 nM
실시예 72
9-(2- 메탄설포닐 -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3 ml) 중 실시예 71의 생성물(30 mg) 및 3-클로로퍼벤조산(45.8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2 mg. MS-ESI: [M+H]+ = 517.5; 분석 HPLC: Rt = 15.23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16.9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50
실시예 73
9-(2-디메틸아미노-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DMF(5 ml) 중 실시예 52의 생성물(50 mg), Cs2CO3(120 mg) 및(2-클로로-에틸)-디메틸-아민(20 mg)의 혼합물을 10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하도록 하며,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100% 아세토니트릴; 0.1%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2 mg. MS-ESI: [M+H]+ = 482.5 ; 분석 HPLC: Rt = 11.98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118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51
실시예 74
N - tert -부틸-8- 메톡시 -9-(3- 메톡시페녹시 )- N - 메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사미드
(a) 에틸 8- 메톡시 -9-(3- 메톡시페녹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51a의 생성물(150 mg), 3-메톡시페닐 보론산(140 mg), 디클로로메탄(2.5 ml), Cu(OAc)2(80 mg), 피리딘(250 μl), 4Å 분자체(2 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포화 NH4Cl 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Hyflo 통해 여과시키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 용액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을 이용하는 짧은 실리카 칼럼을 통해 여과시켰다.
산출량: 160 mg. TLC Rf = 0.55(헵탄/아세트산에틸 1/1); 1H NMR(DMSO-d6) 3.70(s,3,OCH3), 3.78(s, 3, OCH3), 3.10(t, 2, C(6)H2), 4.55(t, 2, C(5)H2), 6.85(s, 1, H(3); LC/MS-ESI: [M+H]+ = 476.
(b) 8- 메톡시 -9-(3- 메톡시페녹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
실시예 74a의 생성물(160 mg), 디옥산(2 ml), 물(2 ml) 및 KOH(100 mg)의 혼합물을 100℃에서 90 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작은 부피로 진공 농축시키고, 수성 시트르산(1 M)에 의해 pH 3~4로 산성화시켰다. 백색 결정질 물질로 침전된 생성물을 진공 건조시켰다(50℃)
산출량: 120 mg. Mp:172-174℃(분해); TLC Rf = 0.15(헵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448.
(c) N- tert -부틸-8- 메톡시 -9-(3- 메톡시페녹시 )- N - 메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사미드 .
실시예 74b의 생성물(120 mg), N-에틸모르폴린(120 μl), N-메틸-N-tert-부틸아민(120 μl), DMF(1 ml), HOBt(20 mg) 및 TBTU(160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5 mg. Mp: 176-177℃; TLC Rf = 0.53(헵탄/아세톤 1/1); LC/MS-ESI: [M+H]+ = 517; hFSHRago(CHO luc) EC50 = 203.0 nM
실시예 75
9-(3- 플루오로 - 페녹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에틸 9-(3- 플루오로페녹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레이트 .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51a의 생성물에서 출발하여 실시예 74a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Mp: 139-140℃; TLC Rf = 0.60(헵트/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446.
(b) 9-(3- 플루오로페녹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75a의 생성물(130 mg)로부터 실시예 74a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100 mg. Mp:179-183℃(탈탄화); TLC Rf = 0.15(헵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436.
(c) 9-(3- 플루오로 - 페녹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75b의 생성물(200 mg)로부터 실시예 74c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120 mg. Mp: 158-159℃; 1H NMR(DMSO-d6) δ 6.38(s, 1H, H2), 6.96(s, 1H, H7), 7.18(s, 1H, H10), 7.38(dd, 1H, 티오펜), 6.98(dd, 1H, 티오펜), 6.92(m, 1H, 티오펜), 7.30 , 6.85, 6.62(m, 4H, 4F-Phe), 3.75(s, 3H, OCH3), 4.18(t, 2H, H6), 3.05(m, 5H, H6 + NMe), 1.41(s, 9H, tert-부틸) ; LC/MS-ESI: [M+H]+ = 505.5; hFSHRago(CHO luc) EC50 = 16.3 nM
실시예 76
N - tert -부틸-8- 메톡시 - N - 메틸 -9-(피리미딘-2- 일옥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사미드
(a) 에틸 8- 메톡시 -9-(피리미딘-2- 일옥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레이트 .
DMF(2 ml) 중 실시예 51a의 생성물(100 mg), 2-브로모피리미딘(50 mg), Cs2CO3(300 mg), Cu 분말(9 mg)의 혼합물을 140℃에서 2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짧은 실리카 패드(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에 통과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에 의해 분쇄하여 백색 결정을 제공하였다.
산출량: 145 mg. TLC Rf = 0.20(헵탄/아세트산에틸 1/1) TLC Rf 출발 물질 = 0.40; Mp:163-164℃; LC/MS-ESI: [M+H]+ = 448.
(b) 8- 메톡시 -9-(피리미딘-2- 일옥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76a의 생성물(140 mg)로부터 실시예 74b)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95 mg. TLC Rf = 0.30(디클로로메탄/아세톤 1/1 v/v); Mp: 227℃.
(c) N- tert -부틸-8- 메톡시 - N - 메틸 -9-(피리미딘-2- 일옥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피롤로[ 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사미드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76b의 생성물(90 mg)로부터 실시예 74c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65 mg. Mp: 164-165℃; TLC Rf = 0.45(헵탄 / 아세톤 1/1); LC/MS-ESI: [M+H]+ = 489.3; hFSHRago(CHO luc) EC50 = 18.9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52
실시예 77
1-[4-(9- 시클로프로필메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카르보닐)- 퍼히드로 -1,4- 디아제핀 -1-일]- 에타논
(a) 1-[4-(9-히드록시-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퍼히드로 -1,4- 디아제핀 -1-일]- 에타논.
디클로로메탄(20 ml) 중 실시예 12a의 생성물(315 mg)의 용액에 -10℃에서 삼염화붕소의 용액(디클로로메탄 1M 5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은 15 분 후에 완결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분리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아세톤/에테르에 의해 분쇄하였다.
산출량: 284 mg. LC/MS-ESI: [M+H]+ = 366.
(b) 1-[4-(9- 시클로프로필메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카르보닐)- 퍼히드로 -1,4- 디아제핀 -1-일]- 에타논
DMF(1 ml) 중 실시예 77a의 생성물(36 mg), K2CO3(70 mg) 및 시클로프로필메틸 브로마이드(30 mg)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22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 반응기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키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5 mg. LC/MS-ESI: [M+H]+ = 520; hFSHRago(CHO luc) EC50 = 57.6 nM
실시예 78
1-{4-[8- 메톡시 -9-( 테트라히드로 -푸란-2- 일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퍼히드로 -1,4- 디아제핀 -1-일}- 에타논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77a의 생성물(15 mg)로부터 실시예 77b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2.2 mg. LC/MS-ESI: [M+H]+ = 550; hFSHRago(CHO luc) EC50 = 96.2 nM
실시예 79
1-[4-(9- 시클로페틸옥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퍼히드로 -1,4- 디아제핀 -1-일]- 에타논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77a의 생성물(15 mg)로부터 실시예 77b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4.4 mg. LC/MS-ESI: [M+H]+ = 534; hFSHRago(CHO luc) EC50 = 14.2 nM
실시예 80
1-{4-[8- 메톡시 -9-(3- 메틸 -부톡시)-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퍼히드로 -1,4- 디아제핀 -1-일}- 에타논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77a의 생성물(215 mg)로부터 실시예 77b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60 mg. LC/MS-ESI: [M+H]+ = 536; hFSHRago(CHO luc) EC50 = 101.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53
실시예 81
9-이소부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 메틸 -아미드
(a) 9-이소부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61b의 생성물(3.19 g)에서 출발하여 실시예 1i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3.2 g. LC/MS-ESI: [M+H]+ = 382.2
(k) 9-이소부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2 ml) 중 실시예 18a의 생성물(215 mg)의 슬러리를 옥살릴클로라이드 용액(디클로로메탄 중 2M 400 μl)으로 처리하였다. DMF 방울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2 ml)에 재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2-메틸-2-메틸아미노-프로판-1-올(175 mg; 문헌[S.G. Kuznetsov, A.V. Eltsov, J. Gen. Chem. USSR, 32, 502(1962)]에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함)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NaHCO3 수용액(5%)에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헵탄/아세트산에틸로 분쇄시켜 결정질 물질을 제공하였다.
산출량: 80 mg. Mp 114-116℃; LC/MS-ESI: [M+H]+ = 476.5; hFSHRago(CHO luc) EC50 = 6.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54
실시예 82
(9- 브로모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a) 3- 메톡시 -4-니트로- 벤즈알데히드
DMF(250 ml) 중 3-히드록시-4-니트로벤즈알데히드(51.3 g), 요오도메탄(38.3 ml) 및 K2CO3(85 g)의 혼합물을 6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600 ml)에 투입하였다.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건조시켰다(50℃)
산출량: 49.7 g.
(b) 4-아미노-3- 메톡시 - 벤즈알데히드
철(112 g)을 에탄올(500 ml) 및 물(500 ml) 중 실시예 82a의 생성물(49.7 g) 및 염화암모늄(103 g)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78℃에서 2 시간 동안 기계적 교반기에 의해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에틸 에테르(3 x 500 ml)로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진공 농축시키고, 물(400 ml)을 상기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건조시켰다(50℃)
산출량: 38.3 g.
(c) 4- 브로모 -3- 메톡시 - 벤즈알데히드
아세토니트릴(600 ml) 중 실시예 82b의 생성물(38.3 g)의 용액을 아세토니트릴(1300 ml) 중 n-부틸 니트라이트(43.1 ml) 및 브롬화구리(I) (63.6 g)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1 N)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7.4 g. LC/MS-ESI: [M+H]+ = 215.1 / 217.0.
(d) 1- 브로모 -2- 메톡시 -4-((E)-2-니트로-비닐)-벤젠
아세트산(125 ml) 중 실시예 82c의 생성물(27.4 g), 아세트산암모늄(10.8 g) 및 니트로메탄(35 ml)의 혼합물을 80℃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 l)에 투입하였다.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디클로로메탄(2 l)에 용해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29.8 g.
(e) 2-(4- 브로모 -3- 메톡시 - 페닐 )- 에틸아민
0℃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보란-THF 착물의 용액(262 ml 1M)을 THF(250 ml) 중 실시예 82d의 생성물(15 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첨가 후, 얼음조를 제거하였다. 수산화붕소나트륨(0.11 g)을 첨가하였다(약간의 발열 반응이 일어남). 질소 분위기 하의 65℃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HCl 수용액(250 ml 2 M)에 투입하였다. 70℃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2회 추출하였다. 상기 수성층을 pH = 10까지 고체 NaOH에 의해 염기성으로 만들고, 아세트산에틸로 3회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3.5 g. LC/MS-ESI: [M+H]+ = 230.1/232.1
(f) [2-(4- 브로모 -3- 메톡시 - 페닐 )-에틸]- 카르밤산 9 H - 플루오렌 -9- 일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00 ml) 중 9-플루오레닐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29.2 g)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300 ml) 중 실시예 82e의 생성물(22.4 g) 및 DIPEA(51 m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1 M),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에 취하고,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건조시켰다(50℃)
산출량: 35.1 g. LC/MS-ESI: [M+H]+ = 454.1
(g) 7- 브로모 -6- 메톡시 -3,4- 디히드로 -1 H -이소퀴놀린-1,2-디카르복실산 2-(9 H - 플루오렌 -9-일메틸) 에스테르
0℃에서 농축 황산(140 ml)을 아세트산(700 ml) 중 실시예 82f의 생성물(35.1 g) 및 글리옥실산 수화물(8.57 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으깨진 얼음 상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HCl 수용액(0.2 M),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잔류 용매를 톨루엔에 의한 공증류(2회)로 제거하였다.
산출량: 39.8 g. LC/MS-ESI: [M+H]+ = 508.1/510.1
(h) 7- 브로모 -6- 메톡시 -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DMF(350 ml) 중 실시예 82g의 생성물(37.8 g) 및 피페리딘e(36.7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THF(200 ml) 및 디에틸 에테르(200 ml)로 취하였다.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건조시켰다(50℃)
산출량: 18.5 g
(i) 9- 브로모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THF(25 ml) 중 실시예 82h의 생성물(3 g) 및 에틸 옥살릴 클로라이드(1.4 ml)의 혼합물을 65℃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키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아세트산 무수물(10 ml) 중 잔류물 및 2-에티닐-티오펜(1.24 ml)의 혼합물을 14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 포화 NaHCO3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2/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82 g. LC/MS-ESI: [M+H]+ = 432.0/434.0
(j) 9- 브로모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탄올(4 ml) 및 물(1 ml) 중 실시예 82i의 생성물(200 mg) 및 고체 KOH(100 mg)의 혼합물을 8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6 M)으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80 mg.
(k) (9-브로모-8-메톡시-1-티오펜-2-일-5,6,6a,10a-테트라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3-일)-(4-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메타논
실시예 82j의 생성물(50 mg), DIPEA(150 μl), BOP(137 mg) 및 시클로부틸-[1,4]디아제판-1-일-메타논(55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추출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3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2 mg. LC/MS-ESI: [M+H]+ = 568.1/570.1; 분석 HPLC Rt = 23.89 min; hFSHRago(CHO luc) EC50 = 5.8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55
실시예 83
9- 시아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9- 시아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NMP(1 ml) 중 실시예 80i의 생성물(48 mg), 시안화구리(I)(20 mg) 및 요오드화구리(I)(2.1 mg)의 혼합물을 18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1 mg. MS-ESI: [M+H]+ = 379.3
(b) 9- 시아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탄올(2 ml)과 물(2 ml) 중 실시예 83a의 생성물(41 mg) 및 고체 KOH(18 mg)의 혼합물을 8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시트르산 수용액(2 M)으로 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43 mg. LC/MS-ESI: [M+H]+ = 351.1
(c) 9- 시아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HATU(70 mg)을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83b의 생성물(43 mg), DIPEA(107 μl) 및 N-메틸-N- tert -부틸-아민(29 μ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혼합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며, HCl 수용액(0.5 M),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6 mg. LC/MS-ESI: [M+H]+ = 420.2; 분석 HPLC: Rt = 19.52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4.3 nM
Figure 112010060660979-pct00056
실시예 84
3-(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a)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9-디카르복실산 9-에틸 에스테르
-70℃에서, n-부틸리튬(1.26 ml, 헵탄 중 1.6 M)을 THF(15 ml) 중 실시예 80j의 생성물(370 m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7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0.4 ml)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00 mg.
(b) 3-(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디히드로-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7b의 생성물(50 mg) 및 실시예 84a의 생성물(50 mg)의 아미드 형성을 실시예 13에 대해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52 mg. LC/MS-ESI: [M+H]+ = 548.2; 분석 HPLC: Rt = 17.3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2.9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57
실시예 85
8- 메톡시 -9- 프로프 -1- 이닐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및 9- 브로모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9- 브로모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THF(6 ml)에 용해된 에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6.6 ml, THF 중 25% WT)를 THF(6 ml) 중 N-메틸-N- tert -부틸-아민(2.3 ml)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75℃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THF(3 ml)에 용해된 실시예 82i의 생성물(1.1 g)을 적가하였다. 75℃에서 추가 1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최소량의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소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얼음조에서 냉각시킨 후, 침전물을 여과시켰다.
산출량: 667 mg. LC/MS-ESI: [M+H]+ = 473/475; hFSHRago(CHO luc) EC50 = 11.3 nM
(b) 8- 메톡시 -9- 프로프 -1- 이닐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톨루엔(1 ml, 질소에 의해 살포됨) 중 실시예 85a의 생성물(50 mg), Pd(PPh3)4(12.2 mg) 및 트리부틸(1-프로피닐)주석(104 mg)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50℃에서 20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0 mg. LC/MS-ESI: [M+H]+ = 433.2; 분석 HPLC: Rt = 24.47 min(방법 5); hFSHRago(CHO luc) EC50 = 2.7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58
실시예 86
8-메톡시 -9-(모르폴린-4-카르보닐)-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피롤로[ 2,1- a ]이소퀴놀린 -9- 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0 ml DMF 및 10 ml 메탄올 중 실시예 53a의 생성물(1 g), 트리에틸아민(0.771 ml) 및 1,3-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184 mg)의 혼합물을 CO(g)에 의해 10 분 동안 플러싱하였다. 이어서, 팔라듐(II)아세테이트(103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CO(g) 분위기 하의 70℃ 에서 7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헵탄/아세트산에틸[0→50% 아세트산에틸]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76 mg. LC-MS-ESI: [M+H]+ = 453.2
(b) 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카르복실산
실시예 86a의 생성물(500 mg)을 메탄올(10 ml) 및 물(10 ml)에 현탁시켰다. KOH(620 mg)를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시트르산 수용액(2 N)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485 mg LC-MS-ESI: [M+H]+ = 439.2
(c) 8- 메톡시 -9-(모르폴린-4-카르보닐)-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 [2,1- a ]-이소퀴놀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86b의 생성물(60 mg), HATU(86 mg), DIPEA(70 μl) 및 모르폴린(36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1 mg. LC/MS-ESI: [M+H]+ = 508.2; 분석 HPLC: Rt = 1.95 min(방법 13); hFSHRago(CHO luc) EC50 = 69.4 nM
실시예 87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9-디카르복실산 3-(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9-[(2-히드록시-에틸)-아미드]
디클로로메탄(5 ml) 중 실시예 86b의 생성물(60 mg), HATU(186 mg), DIPEA(70 μl) 및 에탄올아민(25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0 mg. LC/MS-ESI: [M+H]+ = 482.2; 분석 HPLC: Rt = 1.55(방법 13); hFSHRago(CHO luc) EC50 = 23.9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59
실시예 88
9-(2-옥소- 피롤리딘 -1-일)-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옥산/NMP [0.5 ml 9/1(v/v)] 중 실시예 85a의 생성물(25 mg), 9,9-디메틸-4,5,-비스(디페닐포스피노)-크산텐(6 m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5 mg), Cs2CO3(20 mg) 및 2-피롤리디논(24 mg)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5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2/8 → 7/3(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 mg. LC/MS-ESI: [M+H]+ = 448; hFSHRago(CHO luc) EC50 = 310.0 nM
실시예 89
9-(2-옥소- 옥사졸리딘 -3-일)-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85a의 생성물(25 mg)에서 출발하여 실시예 88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5 mg. LC/MS-ESI: [M+H]+ = 450; hFSHRago(CHO luc) EC50 = 245.0 nM
실시예 90
9-(2-옥소- 이미다졸리딘 -1-일)-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85a의 생성물(25 mg)에서 출발하여 실시예 88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산출량: 5 mg. LC/MS-ESI: [M+H]+ = 449; hFSHRago(CHO luc) EC50 = 218.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0
실시예 91
9-(3-히드록시-프로필)-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및 9- 포르밀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9- 포르밀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에틸 에테르(12 ml) 및 THF(3 ml)의 혼합물 중 실시예 85a의 생성물(1.27 g)의 현탁액에 n-부틸리튬의 용액(헵탄 중 1.6 M 2 ml)을 -60℃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DMF(300 μl)로 처리하였다. 상기 냉각 장치를 제거하고, 상온에서 30 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물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짧은 실리카 칼럼(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을 통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헵탄/디이소프로필에테르에 의해 분쇄하였다.
산출량: 650 mg. Mp 193-194℃; TLC Rf = 0.35(헵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423.3; hFSHRago(CHO luc) EC50 = 6 nM.
(b)(E)-3-[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 -[2,1- a ]이소퀴놀린-9-일]-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THF(2 ml) 중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200 μl)의 용액을 수소화나트륨(60 mg, 오일 중 60% 분산액)으로 처리하였다. 20 분 동안 교반한 후, 실시예 91a의 생성물(400 mg)을 적은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은 30 분 후 완료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짧은 실리카 칼럼을 통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헵탄으로 분쇄하여 백색 결정질 물질을 산출하였다.
산출량: 350 mg. Mp 163-164℃; TLC Rf = 0.28(헵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493.5
(c) 3-[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 및 아세트산에틸 [20 ml 1/2(v/v)] 중 실시예 91b의 생성물(350 mg)의 용액을 10% Pd/C(200 mg)의 존재 하에 2 bar 압력에서 수소화시켰다. 48 시간 후, 느린 수소화가 거의 완료되었다. 상기 반응 생성물을 짧은 실리카 칼럼을 통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헵탄으로 분쇄하여 백색 결정질 물질을 산출하였다.
산출량: 170 mg. Mp 127-128℃ TLC Rf = 0.50(헵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495.5
(d) 9-(3-히드록시-프로필)-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 -퀴놀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THF(2 ml) 중 실시예 91c의 생성물(60 mg)의 용액을 LiAlH4(6 mg)에 의해 처리하였다. 60 분 동안의 교반 후, 환원이 완료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2SO4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실리카 칼럼을 통한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 1/1)에 의해 정제한 후, 아세트산에틸/디에틸 에테르로 처리하여 백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산출량: 45 mg. Mp 163-164℃. TLC Rf = 0.30(헵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453.5; hFSHRago(CHO luc) EC50 = 0.4 nM
실시예 92
9-(3-히드록시-3- 메틸 -부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THF(2 ml) 중 실시예 91c의 생성물(85 mg)의 용액을 실온에서 메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THF 중 2M 용액 200 μl)로 처리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 후, 상기 반응이 완결되었다. 포화 NH4Cl 수용액의 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짧은 실리카 칼럼을 통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한 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시켜 백색 고체를 생성하였다.
산출량: 70 mg. Mp 153-154℃ TLC Rf = 0.24(헵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481.5; hFSHRago(CHO luc) EC50 = 6.0 nM
실시예 93
(9-(2,2- 디플루오로 -비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건조 THF(2 ml) 중 디이소프로필아민(50 μl) 및 n-부틸리튬(헵탄 중 1.6 M 200 μl)으로부터 제조된 LDA의 용액에 -70℃에서 THF(0.5 ml) 중 디플루오로메틸디페닐포스핀 옥시드(75 mg; 디브로모디플루오로메탄 및 트리페닐포스핀으로부터 제조됨)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20 분 동안 교반한 후, 0.5 ml의 건조 THF 중 실시예 91a의 생성물(125 m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고, 80℃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실리카 상의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 2/1)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저온 헵탄에 의해 분쇄하였다.
산출량: 55 mg. Mp 111-112℃. TLC Rf = 0.47(헵탄/아세트산에틸 1/1), TLC Rf 출발 물질 = 0.30; hFSHRago(CHO luc) EC50 = 3.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1
실시예 94
8- 메톡시 -9-니트로-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N -[2-(3- 메톡시 - 페닐 )-에틸]- 옥살람산 에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5 ml) 중 에틸 옥살릴 클로라이드(1.5 ml)의 용액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40 ml) 중 3-메톡시페네틸아민(2.0 ml) 및 DIPEA(4.8 m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시트르산 수용액(2 M),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76 g. LC/MS-ESI: [M+H]+ = 252.2
(b) 6- 메톡시 -3,4- 디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20 ml)에 용해된 실시예 94a의 생성물(10 g)을 80 ℃에서 메탄설폰산(40 ml) 중 오산화인(10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8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고체 NaHCO3에 투입하고, 빙수로 희석하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9.3 g. LC/MS-ESI: [M+H]+ = 234.2
(c) 6- 메톡시 -7-니트로-3,4- 디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질산칼륨(3.59 g)을 0℃에서 황산(50 ml) 중 실시예 94b의 생성물(9.2 g)의 교반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투입하고, NaHCO3에 의해 중화시키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2/8(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6.04 g. LC/MS-ESI: [M+H]+ = 279.1
(d) 6- 메톡시 -7-니트로-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10.64 g)를 아세트산(100 ml) 중 실시예 94a의 생성물(6.04 g)의 교반액에 분액으로 15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투입하고, Na2CO3에 의해 염기성으로 만들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진공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2/8(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6 g. LC/MS-ESI: [M+H]+ = 281.1
(e) N - tert -부틸- N- 메틸 - 옥살람산 에틸 에스테르
메틸 tert-부틸아민(13.2 ml)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140 ml) 중 메틸 옥살릴 클로라이드(9.2 ml) 및 피리딘(10.5 m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2 M)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7.3 g.
(f) N - tert -부틸- N- 메틸 - 옥살람산
메탄올(100 ml)에 용해된 수산화칼륨(6.2 g)을 0℃에서 메탄올(120 ml) 중 실시예 94e의 생성물(17.3 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물(50 ml)에 용해시키고, 황산 수용액(10%)에 의해 pH=4로 산성화시키며, 여과시키고, 진공 건조시켰다.
산출량: 7 g.
(g) 2-( tert -부틸- 메틸 - 아미노옥살릴 )-6- 메톡시 -7-니트로-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50 ml) 중 실시예 94d의 생성물(3.2 g), 실시예 94f의 생성물(2.0 g), TBTU(5.5 g) 및 DIPEA(9.94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3/7(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79 g. LC/MS-ESI: [M+H]+ = 422.2
(h) 2-( tert -부틸- 메틸 - 아미노옥살릴 )-6- 메톡시 -7-니트로-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테트라히드로푸란(100 ml) 및 물(50 ml) 중 실시예 94g의 생성물(3.78 g) 및 수산화칼륨(1.0 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10%)으로 산성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3.11 g. LC/MS-ESI: [M+H]+ = 394.2
(i) 8- 메톡시 -9-니트로-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아세트산 무수물(15 ml) 중 실시예 94h의 생성물(2.62 g) 및 2-에티닐티오펜(0.779 ml)의 혼합물을 14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수에 투입하고, NaHCO3에 의해 염기성화시키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2/8(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51 g. LC/MS-ESI: [M+H]+ = 440.1; 분석 HPLC: Rt = 19.67(방법 12); hFSHRago(CHO luc) EC50 = 3.0 nM
실시예 95
9-아미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아세트산(0.39 ml)을 0℃에서 THF(10 ml) 중 실시예 94의 생성물(300 mg)의 용액에 분액으로 첨가한 후, 아연(893 mg)을 분액으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데칼라이트 상에서 여과시켰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포화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59 mg. LC/MS-ESI: [M+H]+ = 410.2; 분석 HPLC: Rt = 26.18 min(방법 12); hFSHRago(CHO luc) EC50 = 44.8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2
실시예 96
9-(2-디메틸아미노- 아세틸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9-(2- 브로모 - 아세틸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브로모아세틸 브로마이드(0.137 ml)를 디클로로메탄(20 ml) 중 실시예 95의 생성물(500 mg) 및 DIPEA(0.425 ml)의 교반액에 6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산출량: 648 mg. LC/MS-ESI: [M+H]+ = 530.1/ 532.1
(b) 9-(2-디메틸아미노- 아세틸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6a,10a- 테트라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THF(4 ml) 중 실시예 96a의 생성물(100 mg), DIPEA(0.165 ml) 및 N,N-디메틸아민 염산(66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80% 아세토니트릴; 0.1%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3 mg(TFA-염으로서) LC/MS-ESI: [M+H]+ = 495.2; 분석 HPLC: Rt = 24.61(방법 12); hFSHRago(CHO luc) EC50 = 2.8 nM
실시예 97
9-(2- 아제티딘 -1-일- 아세틸아미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THF(4 ml) 중 실시예 96a의 생성물(100 mg), DIPEA(0.165 ml) 및 아제티딘(37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80% 아세토니트릴; 0.1%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1 mg. LC/MS-ESI: [M+H]+ = 507.3; 분석 HPLC: Rt = 25.06(방법 12); hFSHRago(CHO luc) EC50 = 4.0 nM
실시예 98
8- 메톡시 -9-(2- 메톡시 - 아세틸아미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실시예 95의 생성물(30 mg), 트리에틸아민(10.2 μl) 및 메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6.7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6 mg. MS-ESI [M+H]+ = 482.5; 분석 HPLC: Rt = 35.92 min(방법 12); hFSHRago(CHO luc) EC50 = 1.4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3
실시예 99
[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 카르밤산 에틸 에스테르
(a)(2,2-디메틸- 피롤리딘 -1-일)-옥소-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메틸 옥살릴 클로라이드(5 ml)을 0 ℃에서 디클로로메탄(50 ml) 중 2,2-디메틸피롤리딘(8.11 g) 및 피리딘(5.7 m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2 N)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6.62 g.
(b)(2,2-디메틸- 피롤리딘 -1-일)-옥소-아세트산
메탄올(100 ml)에 용해된 KOH(2.20 g)를 0℃에서 메탄올(120 ml) 중 실시예 99a의 생성물(6.62 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물(30 ml)에 용해시키고, H2SO4 수용액(10%)에 의해 pH=4로 산성화시키며, 여과시키고, 진공 건조시켰다.
산출량: 3.35 g.
(c) 2-[2-(2,2-디메틸- 피롤리딘 -1-일)-2-옥소-아세틸]-6- 메톡시 -7-니트로-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50 ml) 중 실시예 94d의 생성물(3.0 g), 실시예 99b의 생성물(2.2 g), TBTU(5.16 g) 및 DIPEA(9.3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0 → 0/1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37 g. LC/MS-ESI: [M+H]+ = 434.2
(d) 2-[2-(2,2-디메틸- 피롤리딘 -1-일)-2-옥소-아세틸]-6- 메톡시 -7-니트로-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THF(100 ml) 및 물(50 ml) 중 실시예 99c의 생성물(4.37 g) 및 수산화칼륨(1.13 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2 N)으로 산성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3.18 g. LC/MS-ESI: [M+H]+ = 406.2
(e)(2,2-디메틸- 피롤리딘 -1-일)-(8- 메톡시 -9-니트로-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아세트산 무수물(15 ml) 중 실시예 99d의 생성물(3.18 g) 및 2-에티닐티오펜(1.82 ml)의 혼합물을 14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수에 투입하고, NaHCO3에 의해 중성화시키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결정화시켰다.
산출량: 2.28 g. LC/MS-ESI: [M+H]+ = 452.2
(f)(9-아미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2,2-디메틸- 피롤리딘 -1-일)- 메타논
아연(29.0 g)을 0℃에서 THF(500 ml) 및 아세트산(12.7 ml) 중 실시예 99e의 생성물(10.0 g)의 용액에 분액으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데칼라이트 상에서 여과시켰다. 상기 여과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10.36 g: LC/MS-ESI: [M+H]+ = 422.18
(g) [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 카르밤산 에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2 ml) 중 실시예 99f의 생성물(50 mg), DIPEA(0.041 ml) 및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0.011 ml)의 용액을 2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8 mg. LC/MS-ESI: [M+H]+ = 494.1; 분석 HPLC: Rt = 15.28(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22 nM
실시예 100
N -[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 메탄설폰아미드
디클로로메탄(2 ml) 중 실시예 99f의 생성물(50 mg), DIPEA(0.041 ml) 및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0.011 ml)의 용액을 2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8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5 mg. LC/MS-ESI: [M+H]+ = 500.1; 분석 HPLC: Rt = 21.15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1.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4
실시예 101
N -[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2-모르폴린-4-일- 아세트아미드
(a) 2- 브로모 - N -[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 아세트아미드
브로모아세틸 브로마이드(0.155 ml)를 디클로로메탄(20 ml) 중 실시예 99f의 생성물(500 mg) 및 DIPEA(0.413 ml)의 교반액에 6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산출량: 643 mg. LC/MS-ESI: [M+H]+ = 542.0/544.0
(b) N -[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2-모르폴린-4-일- 아세트아미드
THF(4 ml) 중 실시예 101a의 생성물(100 mg), DIPEA(0.165 ml) 및 모르폴린(62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80% ACN; 0.1% TFA;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5 mg(TFA 염으로서) LC/MS-ESI: [M+H]+ = 549.2; 분석 HPLC: Rt = 27.19 min(방법 12); hFSHRago(CHO luc) EC50 = 2.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5
실시예 102
8- 메톡시 -9-[(피리딘-3-카르보닐)-아미노]-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피리딘(1 ml) 중 실시예 95의 생성물(50 mg), 피리딘-3-카르복실산(30 mg), TBTU(150 mg), DIPEA(300 μl) 및 HOBt(20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미정제 물질을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톤 1/1 v/v)에 의해 정제하고, 디에틸 에테르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산출량: 30 mg. Mp 223-224℃, TLC Rf = 0.25(헵탄/아세톤 1/1); LC/MS-ESI: [M+H]+ = 515,3; hFSHRago(CHO luc) EC50 = 13.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6
실시예 103
9- 디메틸아미노설포닐아미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9-아미노-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톨루엔(20 ml) 중 9-브로모-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500 mg), LiHMDS(THF 중 20% 용액 1.25 ml),(tertBu)3P(3 mg), Pd2(dba)3(10 mg)의 용액을 질소로 플러싱한 후, 100℃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NaOH 용액(10 ml 2N) 및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실리카 상의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53 mg. LC/MS-ESI: [M+H]+ = 380.
(b) 9- 디메틸아미노설포닐아미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1 ml) 중 실시예 103a의 생성물(36 mg), 트리에틸아민(20 mg) 및 디메틸설파모일 클로라이드(15 mg)의 용액을 교반하고, 14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2 N) 및 NaHCO3 수용액(10%)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톨루엔/EtOAc(2/1 v/v)을 이용하는 짧은 실리카 칼럼에 통과시켜 정제하였다.
산출량: 13 mg. LC/MS-ESI: [M+H]+ = 487; hFSHRago(CHO luc) EC50 = 756.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7
실시예 104
(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1- 메틸 -시클로부탄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a) 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민으로부터 출발하는 8,9-디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합성은 실시예 li에 대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3.16 g. MS-ESI: [M+H]+ = 356.0
(b) 1- 메틸 - 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0℃에서, n-부틸리튬(13.75 ml, 헵탄 중 1.6 M)을 THF(30 ml) 중 디이소프로필아민(3.08 m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킨 후, THF(10 ml, 건조)에 용해된 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0.956 ml)을 적가하여 대략 0.25 M의 음이온 용액을 산출하였다. 0℃에서, 요오드화메틸(1.0 ml)을 새롭게 제조한 음이온 용액(20 ml, 0.25M)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에 의해 켄칭시키고, 작은 부피로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NaOH 수용액(5%)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상기 수층을 산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470 mg.
(c) 4-(1- 메틸 -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HATU(1.71 g), [1,4]디아제판-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0.813 ml) 및 DIPEA(3.58 ml)를 디클로로메탄(20 ml) 중 실시예 104b의 생성물(47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시트르산 수용액(10%)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톨루엔/아세톤[100/0 → 3/1(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591 mg. LC/MS-ESI: [M+H]+ = 297.4
(d) [1,4] 디아제판 -1-일-(1- 메틸 - 시클로부틸 )- 메타논 , 염산염
HCl 용액(4 ml, 디옥산 중 4 N)을 디클로로메탄(25 ml) 중 실시예 104c의 생성물(58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473 mg(HCl-염으로서)
(e)(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1- 메틸 -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실시예 104a의 생성물(64 mg)에 의한 실시예 104d의 생성물(85 mg)의 아미드 형성을 실시예 104c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60.4 mg. LC/MS-ESI: [M+H]+ = 534.3; 분석 HPLC: Rt = 18.67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3.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8
실시예 105
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S)-1-(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드
(a) [(S)-1-(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피페리딘-3-일]- 카르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실시예 104a의 생성물(200 mg)에 의한 (S)-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168 mg)의 아미드 형성을 실시예 104c에 대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 → 0/100(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45 mg. MS-ESI: [M+H]+ = 538.4
(b)((S)-3-아미노-피페리딘-1-일)-(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실시예 105a의 생성물(302 mg)의 탈보호화를 실시예 104d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245 mg(HCl-염으로서) LC/MS-ESI: [M+H]+ = 438.2
(c) 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S)-1-(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피페리딘-3-일]-아미드
디클로로메탄(2 ml) 중 BOP(280 mg), DIPEA(0.276 ml), 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45.7 μl) 및 실시예 105b의 생성물(150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89 mg. MS-ESI: [M+H]+ = 520.4; 분석 HPLC: Rt = 20.88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1730.0 nM
실시예 106
3-[(R)-1-(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피롤리딘 -3-일]-1,1-디메틸- 우레아
(a) [(R)-1-(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실시예 104a의 생성물(400 mg)에 의한 (R)-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428 mg)의 아미드 형성을 실시예 104c에 대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720 mg.
(b)((R)-3-아미노- 피롤리딘 -1-일)-(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실시예 106a의 생성물(715 mg)의 탈보호화를 실시예 104d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494 mg(HCl-염으로서) LC/MS-ESI: [M+H]+ = 424.2
(c) 3-[(R)-1-(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피롤리딘 -3-일]-1,1-디메틸- 우레아
N,N-디메틸카르바모일 클로라이드(48 mg)에 의한 실시예 106b의 생성물(50 mg)의 아실화는 실시예 107c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0/0 →95/5(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7.4 mg. LC/MS-ESI: [M+H]+ = 495.2; 분석 HPLC: Rt = 12.25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755.0 nM
실시예 107
N -[(R)-1-(8,9-디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3-카르보닐)-피페리딘-3-일]- N- 메틸-아세트아미드
(a) [(R)-1-(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피페리딘-3-일]- 카르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실시예 104a의 생성물(200 mg)에 의한 (R)-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168 mg)의 아미드 형성은 실시예 104c에 대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메탄올 95/5) [1/1 →0/1(v/v)]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03 mg. MS-ESI: [M+H]+ = 538.4
(b)((R)-3-아미노-피페리딘-1-일)-(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실시예 107a의 생성물(300 mg)의 탈보호화를 실시예 104d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265 mg(HCl-염으로서) LC/MS-ESI: [M+H]+ = 438.2
(c) N -[(R)-1-(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피페리딘-3-일]- 아세트아미드
염화아세틸(29.9 μl) 및 트리에틸아민(116 μl)을 디클로로메탄(2 ml) 중 실시예 107b의 생성물(132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2 mg. MS-ESI: [M+H]+ = 480.4; 분석 HPLC: Rt = 16.18 min(방법 2)
(d) N -[(R)-1-(8,9-디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3-카르보닐)-피페리딘-3-일]- N- 메틸-아세트아미드
요오드화메틸(62.3 μl) 및 수소화나트륨(7.3 mg, 오일 중 60% 현탁액)을 DMF(1 ml) 중 실시예 107c의 생성물(35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5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 몇 방울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5.6 mg. MS-ESI: [M+H]+ = 494.4; 분석 HPLC: Rt = 18.51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30.9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69
실시예 108
(1- 브로모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 시클로부탄 -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및 (1- 브로모 -8,9- 디메톡시 -5,6- 히드로-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 시클로부탄 -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a) 1- 브로모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2-에톡시옥살릴-6,7-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을 실시예 1g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THF(10 ml) 중 2-에톡시옥살릴-6,7-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3.4 g), 트리메틸실리아세틸렌(2 g) 및 아세트산 무수물(10 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50℃에서 5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탄산나트륨으로 중화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0 → 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DMF(20 ml) 중 단리된 생성물의 혼합물에 NBS(1.9 g)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 에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 및 HCl 수용액(0.2 M)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켰다.
산출량: 2.6 g. MS-ESI: [M+H]+ = 380/382. 분석 HPLC Rt = 2.47(방법 10)
(b)(1- 브로모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4- 시클로부탄 -카르보닐-[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실시예 108a의 생성물(2.6 g) 및 수산화리튬 수용액(3 M)/디옥산 [2:1(v/v) 15 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5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6 M)에 의해 pH=5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단리시켰다.
산출량: 2.3 g; hFSHRago(CHO luc) EC50 = 99.2 nM
(c) 2-아세틸-9-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실시예 108b의 생성물(1.06 g), DIPEA(2.6 ml) 및 HATU(1.37 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시예 7b의 생성물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HCl 수용액(0.2 M),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아세트산에틸[0→10% 이소프로필아민(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4 g. LCMS-ESI: [M+H]+ = 517/519. 분석 HPLC Rt = 2.92 min(방법 10); hFSHRago(CHO luc) EC50 = 100 nM
실시예 109
(4-벤조일-[1,4]디아제판-1-일)-(1-에티닐-8,9-디메톡시-5,6-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3-일)-메타논
(a) 4-(1- 브로모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1,4]디아제판-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30 ml) 중 실시예 108b의 생성물(1.0 g), HATU(1.61 g), 트리에틸아민(0.8 ml) 및 tert-부틸 1,4-디아제판-1-카르복실레이트(1.1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시트르산 수용액(3%)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Na2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0→10%(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39 g. LC/MS-ESI: [M+H]+ = 536.0
(b)(1- 브로모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1,4] 디아제판 -1-일- 메타논 , 염산염
HCl(6.3 ml, 디옥산 중 4 N)을 디옥산(50 ml) 중 실시예 109a의 생성물(1.34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 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산출량: 972 mg.
(c)(4-벤조일-[1,4]디아제판-1-일)-(1-브로모-8,9-디메톡시-5,6-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3-일)-메타논
디클로로메탄(50 ml) 중 실시예 109b의 생성물(972 mg), DIPEA(740 μl) 및 벤조일 클로라이드(338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2 N),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0→5%(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08 g. LC/MS-ESI: [M+H]+ = 536.0
(d) (4-벤조일-[1,4]디아제판-1-일)-(1-에티닐-8,9-디메톡시-5,6-디히드로-피롤로[2,1- a ]이소퀴놀린-3-일)-메타논
톨루엔(3 ml) 중 실시예 109c의 생성물(61 mg)의 용액에 트리부틸에티닐 스탄난(67 μ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질소에 의해 5 분 동안 살포하고, Pd(PPh3)4(9 mg)을 첨가하며, 상기 용액을 10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0→5%(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가장 순수한 분류를 수집하고, 농축시키며, 분취용 HPLC(20%→7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산출량: 15 mg. LC/MS-ESI: [M+H]+ = 484.3; 분석 HPLC: Rt = 14.36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76.2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0
실시예 110
1- 시클로헥스 -1- 에닐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1- 시클로헥스 -1- 에닐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THF(15 ml) 중 2-에톡시옥살릴-6,7-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5 g)(실시예 1g와 유사하게 제조됨), 1-에티닐-시클로헥센(14 mmol) 및 아세트산 무수물(5 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2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 및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N)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9 → 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 화합물은 백색 고체로서 단리되었다.
산출량: 1.8 g. MS-ESI: [M+H]+ = 440
(b) 1- 시클로헥스 -1- 에닐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LiOH 수용액(2 M)/디옥산 [1:1(v/v) 40 ml] 중 실시예 110a의 생성물(935 mg)의 혼합물을 환류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pH=5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갈색 고체로 단리시켰다.
산출량: 680 mg.
(c) 1- 시클로헥스 -1- 에닐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1 ml) 중 실시예 110b의 생성물(25 mg), N-메틸-N- tert -부틸-아민, HATU(40 mg) 및 DIPEA(61 μ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0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적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시트르산 수용액(3%)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0 → 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 mg. MS-ESI: [M+H]+ = 423; hFSHRago(CHO luc) EC50 = 76.5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1
실시예 111
(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및 (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a)(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실시예 104a의 생성물(70 mg)에 의한 실시예 7b의 생성물(30 mg)의 아미드 형성을 실시예 7c에 대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1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0 mg. MS-ESI: [M+H]+ = 520.4; 분석 HPLC: Rt = 20.15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2.9 nM
(b)(4- 시클로부탄카르보닐 -[1,4] 디아제판 -1-일)-(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일)- 메타논
실시예 111a의 생성물(15 mg)의 산화를 실시예 36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아세트산에틸 중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2.7 mg. LC/MS-ESI: [M+H]+ = 518.2; 분석 HPLC: Rt = 2.64 min(방법 2); hFSHRago(CHO luc) EC50 = 4.9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2
실시예 112
2-아세틸-9-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a) 2-아세틸-9-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산 에틸 에스테르
7-에톡시-2-에톡시옥살릴-6-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을 실시예 1g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THF(15 ml) 중 7-에톡시-2-에톡시옥살릴-6-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5 g), 4-티오펜-2-일-부트-3-인-2-온(14 mmol) 및 아세트산 무수물(5 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2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 및 NaOH 수용액(1 N)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9 → 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산출량: 1.8 g. MS-ESI: [M+H]+ = 440
(b) 2-아세틸-9-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실시예 112a의 생성물(840 mg) 및 LiOH 수용액(2M)/디옥산 [1:1(v/v) 4 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5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pH=5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백색 고체로 단리시켰다.
산출량: 776 mg. MS-ESI: [M+H]+ = 354
(c) 2-아세틸-9- 에톡시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디클로로메탄(1 ml) 중 실시예 112b의 생성물(20 mg), N-에틸-이소프로필아민(12 μl), CIP(20 mg) 및 DIPEA(42 μl)의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10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적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0%→9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TFA는 상기 생성물을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산출량: 9 mg. MS-ESI: [M+H]+ = 481; HPLC: Rt = 3.36 min(방법 1); hFSHRago(CHO luc) EC50 = 200.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3
실시예 113
9- 디플루오로메톡시 -8- 메톡시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 르복실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4- 디플루오로메톡시 -3- 메톡시 - 벤즈알데히드
DMF(50 ml) 중 4-히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히드(6 g), Cs2CO3(25.7 g) 및 메틸 2-클로로-2,2-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5 ml)의 혼합물을 9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2회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1 g. LC/MS-ESI: [M+H]+ = 203.1
(b) 1- 디플루오로메톡시 -2- 메톡시 -4-((E)-2-니트로-비닐)-벤젠
니트로메탄(15 ml) 중 실시예 113a의 생성물(2.1 g) 및 아세트산암모늄(0.76 g)의 혼합물을 10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상기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2/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36 g. LC/MS-ESI: [M+H]+ = 246.0
(c) 2-(4- 디플루오로메톡시 -3- 메톡시 - 페닐 )- 에틸아민
0℃에서, 건조 THF(5 ml) 중 실시예 113b의 생성물(1.36 g)의 용액을 건조 THF(10 ml) 및 디에틸 에테르(10 ml) 중 리튬 알루미늄 수화물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6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이 실온에 도달하도록 하고, THF(12 ml) 중 5 ml의 물로 켄칭하였다. NaOH 수용액(2.5 ml 2 M) 및 물(1.3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데칼라이트 상에서 여과시켰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HCl 수용액(1 M)으로 2회 세척하였다. 수층을 NaOH 수용액(2 M)으로 pH=10까지 염기성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760 mg. MS-ESI: [M+H]+ = 218.3
(d) [2-(4- 디플루오로메톡시 -3- 메톡시 - 페닐 )-에틸]- 카르밤산 알릴 에스테르
0℃에서, 디클로로메탄(5 ml) 중 알릴 클로로포르메이트(450 μl)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25 ml) 중 실시예 113c의 생성물(760 mg) 및 DIPEA(0.9 m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1 M), 포화 NaHCO3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2/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669 mg. MS-ESI: [M+H]+ = 302.3
(e) 7- 디플루오로메톡시 -6- 메톡시 -3,4- 디히드로 -1 H -이소퀴놀린-1,2-디카르복실산 2-알릴 에스테르
0℃에서 농축 황산(2.5 ml)을 아세트산(8 ml) 중 실시예 113d의 생성물(670 mg) 및 글리옥실산 일수화물(307 mg)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투입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613 mg.
(f) 7- 디플루오로메톡시 -6- 메톡시 -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THF(5 ml) 및 물(0.5 ml) 중 실시예 113e의 생성물(610 mg), 디메돈(359 mg) 및 Pd(PPh3)4(1.97 g)의 혼합물을 65℃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탁해졌다. 실온에서, 디에틸 에테르(5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얼음조에서 냉각시켰다.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18 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켰다(50℃)
산출량: 350 mg
(g) 9- 디플루오로메톡시 -8- 메톡시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THF(2 ml) 중 실시예 113f의 생성물(85 mg) 및 에틸 옥살릴 클로라이드(38 μ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0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아세트산 무수물(3 ml) 중 잔류물 및 2-에티닐-티아졸(102 mg)의 혼합물을 14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2/1(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8 mg. MS-ESI: [M+H]+ = 421.1
(h) 9- 디플루오로메톡시 -8- 메톡시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탄올(2 ml)과 물(2 ml) 중 실시예 113g의 생성물(48 mg) 및 고체 KOH(19 mg)의 혼합물을 8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시트르산 수용액(1.0 M)으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37 mg. MS-ESI: [M+H]+ = 392.9
(i) 9- 디플루오로메톡시 -8- 메톡시 -1-티아졸-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3 ml) 중 실시예 113h의 생성물(37 mg), DIPEA(82 μl), tert-부틸-메틸-아민(23 μl) 및 HATU(54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0.1 N)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분취용 HPLC(20%→100% 아세토니트릴; 시스템 1)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8 mg. MS-ESI: [M+H]+ = 462.3; 분석 HPLC: Rt = 17.31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39.6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4
실시예 114
8,9- 디메톡시 -7- 메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a) 7- 브로모 -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7-브로모-8,9-디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를 2-(2-브로모-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민으로부터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2-(2-브로모-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민의 제조는 문헌[J. Weinstock, et al., J. Med. Chem., 29, 2315(1986); J.E. Toth, P.R. Hamann and P.L. Fuchs, J. Org. Chem., 53, 4694(1988)]에서 확인할 수 있다.
1H NMR(CDCl3) 1.28(9H, 3 x CH3), 3.15(t, 2H, H-6), 4.20(t, 2H, H-5), 4.65(m, 1H, CH-이소프로필), 6.40(s, 1H, H2-피롤), 6.97(s, 1H, H9), 3.48(s, 3H, OCH3), 3.84(s, 3H, OCH3); LC/MS-ESI: [M+H]+ = 504.
(b) 8,9- 디메톡시 -7- 메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건조 THF(2 ml) 중 실시예 114a의 생성물(50 mg)의 용액에 -70℃에서 n-부틸리튬 용액(헵탄 중 1.6 M 70 μ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요오드화메틸(100 μ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30 분 및 상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 v/v)을 적용하여 짧은 실리카 칼럼에 통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
산출량: 25 mg. LC/MS-ESI: [M+H]+ = 439; hFSHRago(CHO luc) EC50 = 321.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5
실시예 115
7- 플루오로 -8,9- 디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상기 생성물을 2-(2-플루오로-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민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앞서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D.L. Ladd and J. Weinstock, J. Org . Chem., 46, 203(1981)
LC/MS-ESI: [M+H]+ = 442; hFSHRago(CHO luc) EC50 = 937.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6
실시예 116
10- 플루오로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a) 2-(3- 플루오로 -4,5- 디메톡시 - 페닐 )- 에틸아민
상기 생성물을 시판되는 3-플루오로-5-히드록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로부터 통상의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K.L. Kirk, D. Cantacuzene, B. Collins, G.T. Chen, Y. Nimit, C.R. Creveling, J. Med. Chem., 25, 680,(1982); J. Dixon, F. Ince, A.C. Tinker, Eur. Pat. App. 0.142.283(1984). 대안적으로는, 문헌[M.T. Clark, D.D. Miller, Tetrahedron Lett., 26, 4299(1985)]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2-알릴옥시-1-플루오로-3-메톡시-벤젠으로부터 제조한다.
(b) [2-(3- 플루오로 -4,5- 디메톡시 - 페닐 )-에틸]- 카르밤산 에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20 ml) 중 2-(3-플루오로-4,5-디메톡시-페닐)-에틸아민(576 mg) 및 트리에틸아민(0.8 ml)의 용액에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300 μl)를 0℃에서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냉수에 투입하며, NaHCO3에 의해 중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짧은 실리카 칼럼(용리액으로서는 헵탄/아세트산에틸)을 통해 여과시켰다.
산출량: 210 mg. 1H NMR(CDCl3): δ 6.54(2, m, ArH's), 4.65(s, 1, NH), 4.1 및 2.75(t, 2, -CH2-), 3.4(m, 2, -CH2-), 1,2(t, 3, 에틸), 4.1(q, 2, 에틸), 3.86, 및 3.90(2xs, 6, OCH3)
(c) 8- 플루오로 -6,7- 디메톡시 -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아세트산(3 ml) 중 실시예 116b의 생성물(210 mg)에 글리옥실산 일수화물(80 mg)를 첨가하였다. 0℃에서, 황산(1 ml)을 적가하였다.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19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LiOH 수용액(3 ml 3 M)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카르바메이트를 가수분해시켰다. 상기 반응의 pH를 5.5로 조절하고, 상기 혼합물을 동결 건조시켰다.
산출량: 520 mg.
(d) 10- 플루오로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THF(3 ml) 중 실시예 116c의 생성물(500 mg) 및 에틸옥살릴 클로라이드(250 mg)의 혼합물을 10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적용하면서 교반하여 N-옥살레이트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아세트산 무수물(1 ml) 및 3-에티닐-티오펜(220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40℃ 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고, 15 분 동안 교반하며,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중성화될 때까지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60 mg.
(e) 10- 플루오로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실시예 116d의 생성물을 디옥산-물(1:1 v/v) 중 LiOH에 의해 비누화시키고, 실시예 105c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에틸디이소프로필 아민과 커프링시켰다.
산출량: 9 mg. 1H NMR(CDCl3) δ 6.43(s, 1H, 피롤 H), 6.65(br s, 1H, H7-Ar), 3.78(s, 3H, OCH3), 3.90(s, 3H, OCH3), 2.98(t, 2H, H-6), 4.20(t, 2H, H5), 1.25(9H, 이소프로필 및 에틸 CH3), 4.70(m, 1H, 이소프로필 CH), 3.45(m, 2H, NCH2); LC/MS-ESI: [M+H]+ = 442; hFSHRago(CHO luc) EC50 = 318.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7
실시예 117
8- 브로모 -9- 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a) [2-(3- 브로모 -4- 메톡시 - 페닐 )-에틸]- 카르밤산 에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20 ml) 중 3-메톡시-4-브로모펜에틸아민(2.3 g) 및 트리에틸아민(2.7 ml)의 용액에 0℃에서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1.5 ml)를 적가하였다. 3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 및 10% NaHCO3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1(v/v)]을 이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9 g. TLC Rf = 0.35(헵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302/304.
(b) 6- 브로모 -7- 메톡시 -3,4- 디히드로 -1 H -이소퀴놀린-1,2-디카르복실산 2-에틸 에스테르
아세트산(12 ml) 중 실시예 117a의 생성물(2.7 g) 및 글리옥실산(1.1 g)의 용액을 5-10℃에서 황산(4 ml)에 의해 처리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빙수에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건조시키며(MgSO4),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2.9 g. TLC Rf = 0.31(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LC/MS-ESI: [M+H]+ = 358 /360.
(c) 6- 브로모 -7- 메톡시 -1,2,3,4- 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1- 카르복실산
물(12 ml) 중 실시예 117b의 생성물(2.9 g)의 혼합물을 LiOH(1.2 g)로 처리하고, 200℃에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5 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pH 5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잔류하는 고체를 진공 건조시켰다.
산출량: 1.29 g. LC/MS-ESI: [M+H]+ = 286/288
(d) 8- 브로모 -9- 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THF(4 ml) 중 실시예 117c의 생성물(645 mg)의 현탁액에 에틸옥살릴 클로라이드(250 μl)를 적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10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켰다. 아세트산 무수물(2 ml) 및 3-티에닐 아세틸렌(220 μ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고, 140℃ 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재차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 40 ml로 희석시키며, NaOH 용액(2 M) 및 물로 연속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00 mg.
(e) 8- 브로모 -9- 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디옥산(5 ml) 중 실시예 117e의 생성물(900 mg)의 현탁액을 LiOH 용액(2 ml 3 M)으로 처리하고, 180℃에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5 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2 N HCl에 의해 pH 4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침전물을 건조시켰다.
산출량: 850 mg.
(f) 8- 브로모 -9- 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이소프로필-아미드
디클로로메탄(8 ml) 중 실시예 117c의 생성물(850 mg)의 현탁액에 2-클로로-1,3-디메틸이미다졸린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877 mg), N-에틸-N-이소프로필-아민(1.5 ml) 및 DIPEA(0.5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375 mg. 1H NMR(CDCl3): δ 7.13, 7.27, 7.38(3 m. 티에닐-H), 7.35(s, C7-H), 6.87(s, C10-), 6.36(s, C2-H), 4.65(m, 1, 이소프로필), 4.21(t, 2, H5), 2.98(t, 2, H6), 3.44(q, 2, 에틸), 3.51(s, 3, 메톡시), 0.88(t, 3, 에틸), 1.26(m, 6, 이소프로필); hFSHRago(CHO luc) EC50 = 110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8
실시예 118
1-(2,4- 디플루오로 - 페닐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1-(2,4- 디플루오로 - 페닐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THF(3 ml) 중 2-에톡시옥살릴-6,7-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1 g), 1-에티닐-2,4-디플루오로-벤젠(450 mg) 및 아세트산 무수물(1 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20℃에서 1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 및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N)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 화합물은 백색 고체로서 단리되었다.
산출량: 980 mg. MS-ESI: [M+H]+ = 414
(b) 1-(2,4- 디플루오로 - 페닐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실시예 118a의 생성물(980 mg) 및 LiOH 수용액(3 M)/디옥산 [1:1(v/v) 6 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5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염화암모늄 수용액(10 ml 4N)을 첨가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생성물은 백색 고체로서 단리되었다.
산출량: 881 mg. MS-ESI: [M+H]+ = 386
(c) 1-(2,4- 디플루오로 - 페닐 )-8,9- 디메톡시 -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1 ml) 중 실시예 118b의 생성물(25 mg), N-메틸-N- tert -부틸-아민, HATU(37 mg) 및 DIPEA(57 μ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10℃에서 5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시트르산 수용액(3%)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0 → 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14 mg. MS-ESI: [M+H]+ = 455; 분석용 HPLC: Rt = 2.56 min(방법 1); hFSHRago(CHO luc) EC50 = 48.3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79
실시예 119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이소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 메틸 ]- 메틸 -아미드 및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 메틸 -아미노]-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a)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8,9-디메톡시-1-티오펜-3-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119a)의 합성을 2-에톡시옥살릴-6,7-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lh에 대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산출량: 14.95 g. LC/MS-ESI: [M+H]+ = 384.0
(b)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실시예 119a의 생성물(4.45 g) 및 디옥산 중 LiOH 용액(88 ml 2M)의 혼합물을 환류 하에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HCl 수용액(2 N)에 의해 pH=6으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건조시켰다.
산출량: 4 g. LC/MS-ESI: [M+H]+ = 356.1
(c)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00 ml) 중 실시예 119b의 생성물(500 mg), 트리에틸아민(1.98 ml), CIP(1.96 g) 및 사르코신 에틸 에스테르 염산염(866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98/2(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430 mg. LC/MS-ESI: [M+H]+ = 455.1; hFSHRago(CHO luc) EC50 = 42 nM
(d)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보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실시예 119c의 생성물(430 mg) 및 디옥산(4.8 ml) 중 LiOH 수용액(4.8 ml 2 M)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2 N)으로 pH=6까지 산성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360 mg. LC/MS-ESI: [M+H]+ = 427.1
(e) 8,9-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이소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 메틸 ]- 메틸 -아미드
디클로로메탄(1 ml) 중 실시예 119d의 생성물(15 mg), HATU(15 mg), DIPEA(12 μl) 및 N-메틸-N-이소부틸-아민(4 mg)의 혼합물을 48 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40→100 % 아세트산에틸]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6 mg. LC/MS-ESI: [M+H]+ = 496.1; hFSHRago(CHO luc) EC50 = 108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80
실시예 120
8,10- 디메톡시 -1-티오펜-3-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상기 생성물을 3,5-디메톡시페네틸아민으로부터 출발하여 앞서 실시예 1a~1g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TLC Rf = 0.34(CH2Cl2-아세톤 8/2); 1H NMR(CDCl3) δ 3.83 , 3.22(2xs, 6H, OCH3), 6.4(d, 1H, 2H-피롤), 6.28, 6.44(2xbd, 2H, H7 및 H9), 6.84, 7.02, 7.20(3xm, 3H, H3,H4,H5-티오펜), 2.98(m, 2H, H6), 4.20(m, 2H, H5); hFSHRago(CHO luc) EC50 = 699.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81
실시예 121
8- 메톡시 -9- 메톡시메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 린-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및 9- 히드록시메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a) 9- 히드록시메틸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THF 및 메탄올의 혼합물[10 ml 1/1(v/v)] 중 실시예 91a의 생성물(450 mg)의 용액에 NaBH4(80 mg)를 분액으로 첨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분쇄시켜 결정질 물질을 제공하였다.
산출량: 290 mg. Mp 146-150℃. TLC Rf = 0.30(헵탄/아세트산에틸 1/1) LC/MS-ESI: [M+H]+ = 425.2. 1H NMR(CDCl3) δ 4.47(s, 2H, CH2OH), 7.33 및 6.45(2xs, 2H, H7 및 H10), 6.75(s, 1H, H2 피롤); hFSHRago(CHO luc) EC50 = 10 nM
(b) 8- 메톡시 -9- 메톡시메틸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DMF(3 ml) 중 실시예 121a의 생성물(156 mg)의 용액에 NaH(50 mg; 오일 중 60%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한 후, 요오드화메틸(200 μ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추가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에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 중 실리카 겔 상에서 정제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헵탄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산출량: 75 mg. Mp 128-130℃. LC/MS-ESI: [M+H]+ = 439.2. 1H NMR(CDCl3) δ 3.22 및 3.85(2xs, 6H, 2xOCH3), 3.17(s, 3H, NCH3), 6.73(s, 1H, H2 피롤), 6.45 및 7.40(2xs, 2H, H7 및 H10); hFSHRago(CHO luc) EC50 = 1.6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82
실시예 122
1-[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 에타논
(a) 9-아세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톨루엔(4 ml) 중 실시예 82i의 생성물(115 mg) 및 1-에톡시비닐트리-n-부틸주석(288 mg)의 혼합물을 질소 기체에 2 분 동안 통과시켜 탈산소화시켰다.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7.5 mg)를 첨가하고, 상기 현탁액을 다시 탈산소화시키고, 11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아세트산에틸(4 ml) 및 HCl 수용액(1 N)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 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층들을 분리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9/1 → 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95 mg. LC/MS-ESI: [M+H]+ = 396.1.
(b) 9-아세틸-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 카르복실산
NaOH 수용액(1 ml, 2N)을 에탄올(10 ml) 중 실시예 122a의 생성물(9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6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시트르산 수용액(10 %)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산출량: 84 mg. LC/MS-ESI: [M+H]+ = 368.2.
(c) 1-[3-(2,2-디메틸- 피롤리딘 -1-카르보닐)-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일]- 에타논
TBTU(110 mg)를 NMP(5 ml) 중 실시예 122b의 생성물(84 mg), DIPEA(200 μl) 및 2,2-디메틸피롤리딘 염산염(62 μ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용액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헵탄/아세트산에틸[1/0 → 6/4(v/v)]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출량: 76 mg. LC/MS-ESI: [M+H]+ = 449.2; 분석 HPLC: Rt = 20.08 min(방법 7); hFSHRago(CHO luc) EC50 = 2.0 nM
Figure 112010058509945-pct00083
실시예 123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9-디카르복실산 3-(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9-[1,3,4] 티아디아졸 -2- 일아미드
(a) 3-( tert -부틸- 메틸 - 카르바모일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9- 카르복실산
t-부탄올(15 ml), 디옥산(2 ml) 및 2-메틸-2-부텐(0.5 ml)의 혼합물 중 실시예 91a의 생성물(220 mg)의 용액을 물(2 ml) 중 NaClO2(200 mg) 및 NaH2PO4(350 mg)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 후, 상기 반응이 완결되었다. 물(30 ml)을 첨가한 후, 포화 나트륨티오설페이트(2 ml) 및 NaH2PO4(0.5 g)를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며, 여과시키고,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처리하여 엷은 오렌지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산출량: 200 mg. Mp: 215-217℃(아세트산에틸); Rf 0.42(톨루엔/아세톤 1/1); NMR(DMSO-d 6 ) δ 12.4(bs, 1 , COOH), 7.78(s, 1, H10), 7.12(s, 1, H7), 6.4(s, 1, 피롤 H3), 3.83(s, 3,OCH3), 3.04(s, 3, NCH3); MS-ESI: [M+1]+ 439.1
(b) 8- 메톡시 -1-티오펜-2-일-5,6- 디히드로 - 피롤로[2,1- a ]이소퀴놀린 -3,9-디카르복실산 3-( tert -부틸- 메틸 -아미드) 9-1,3,4- 티아디아졸 -2- 일아미드
실시예 123a의 생성물(45 mg), 2-아미노티아디아졸(25 mg), N-에틸모르폴린(40 μ), TBTU(40 mg) 및 DMF(1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NH4Cl 수용액에 투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 진공 농축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톨루엔/아세톤 중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에테르로 분쇄시켜 백색 결정을 제공하였다.
산출량: 26 mg. Mp:149-152℃; MS-ESI: [M+H]+ 522.14; NMR(DMSO-d6) δ 12.1(s, 1, NH), 9.20(s, 1, 티아디아졸), 7.83(s, 1, H10), 7.25(s, 1, H7), 6.42(s, 1, H3-피롤), 3.97(s, 3,OCH3), 3.07(s, 3, NCH3); Rf(톨루엔/아세톤 1/1) 0.34; hFSHRago(CHO luc) EC50 = 1 nM.
실시예 124
CHO 세포에서 발현되는 인간 FSH 수용체에서의 화합물의 작용제 활성
인간 FSH 수용체에서의 화합물의 작용제 활성은 인간 FSH 수용체에 의해 안정적으로 트랜스펙팅되고 cAMP 반응성 원소(CRE)/반딧불이 루시페라제 보고 유전자의 발현과 관련된 촉진제에 의해 코트랜스펙팅되는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에서 측정하였다. Gs 단백질 커플링된 FSH 수용체와의 상기 화합물의 결합은 cAMP의 증가를 유도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루시페라제 보고자의 전이 활성 증가를 유도하게 된다. 세포(384개의 웰 플레이트 7,500 세포/웰)를 Dulbecco의 최소 필수 F12 변성된 매질(Invitrogen)에서 항온 처리하고, 소 인슐린 1 μg/ml, 인간 아포트랜스페린 5 μg/ml, 페니실린 G 80 U/ml 및 스트렙토마이신 80 μg/ml를 시험 화합물(농도 0.0316 nM 및 10.0 μM)과 함께 습윤 분위기(95%) 및 CO2 5∼7% 및 37℃에서 이중으로 보충하였다. DMSO의 최종 농도는 1%였다. 항온 처리 4 시간 후, 플레이트가 1 시간 동안 실온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Luclite(PerkinElmer) 용액을 상기 웰에 첨가하고, 세포가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용해되도록 하였다. 이후, 루시페라제 활성을 발광 카운터에서 특정하였다. 상기 신호를 초당 카운트(cps)로 표시하였다. 상기 화합물의 EC50(화합물의 최대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비해 최대의 반(50%)의 루시페라제 자극을 발휘하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 및 효과 수치(재조합형 인간 FSH의 최대 효과의 백분율로서 시험 화합물의 최대 효과)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MathIQ(버젼 2.0, ID Business Solutions Limite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EC50 데이타는 합성 실시예에서 명시한다.

Claims (25)

  1.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112015049611708-pct00084
    화학식 (I)
    상기 식 중,
    C5-C6 결합은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으며,
    R1은 할로겐, 시아노,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6)시클로알킬, (C5-C6)시클로알케닐, 또는 페닐 또는 (C1-C5)헤테로아릴이고, 상기 페닐 및 헤테로아릴 부분 각각은 독립적으로 R13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며;
    R2는 H, 시아노,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콕시(C1-C4)알킬, 히드록시(C1-C4)알킬, 포르밀, (C1-C4)알킬카르보닐 또는 C=N-OH, C=N-OCH3이고;
    R3는 R15,R16-아미노이거나,
    R3는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디)[(C1-C4)알킬]아미노(C1-C4)알킬이거나,
    R3는 (C2-C6)헤테로시클로알킬(C1-C4)알킬이고, 이것의 (C2-C6)헤테로시클로알킬 부분은 (C1-C4)알킬카르보닐 또는 (C3-C6)시클로알킬카르보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거나,
    R3
    Figure 112015049611708-pct00085

    Figure 112015049611708-pct00086
    또는
    Figure 112015049611708-pct00087

    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R7은 H, 할로겐 또는 메틸이고;
    R8은 H,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콕시, (C1-C4)알콕시(C1-C4)알킬 또는 히드록시이며;
    R9은 H, 포르밀, 할로겐, 히드록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C2-C6)알키닐, (C3-C6)시클로알콕시, (C2-C5)헤테로시클로알콕시, (C2-C5)헤테로아릴옥시, (디)[(C1-C4)알킬]아미노카르복시, (C1-C6)알킬카르보닐, (C1-C4)알콕시카르보닐, (디)[(C1-C4)알킬]아미노카르보닐, (C2-C6)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 (디)[(C1-C4)알킬]아미노, (C2-C6)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C1-C4)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아미노, (C1-C4)알킬설포닐아미노, 1-이미다졸리딘일-2-온, 3-옥사졸리딘일-2-온, 1-피롤리디닐-2-온이거나
    R9은 (C1-C6)알킬, (C1-C6)알콕시, (C2-C6)알케닐, (C1-C6)알킬카르보닐아미노 또는 (C2-C6)헤테로시클로알킬,(C2-C5)헤테로아릴아미노카르보닐이며, 상기 알킬, 알콕시, 알케닐,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 각각은 독립적으로 R14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거나
    R9은 (C1-C5)헤테로아릴, 페닐 또는 페녹시이고, 이들 모두는 독립적으로 R13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며;
    R10은 H, 메톡시, 할로겐 또는 메틸이고;
    R11은 H,(C1-C6)알킬 또는 (C3-C4)알케닐이며;
    R12는 (C1-C4)알킬카르보닐 또는 (C3-C6)시클로알킬카르보닐이고, 이들 둘 모두는 R13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며;
    R13은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C1-C4)알킬,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또는 (디)[(C1-C4)알킬]아미노이고;
    R14은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 아지드, 시아노, (C1-C4)알킬,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디)[(C1-C4)알킬]아미노, (C3-C6)시클로알킬, (C2-C6)헤테로시클로알킬, (C1-C4)알킬카르보닐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C1-C4)알킬설포닐아미노, (C1-C4)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C1-C4)알킬카르보닐, (C1-C4)알콕시카르보닐, (C1-C4)알킬설폭시, (C2-C6)헤테로시클로알콕시, (디)[(C1-C4)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C4)알킬설포닐, (C3-C6)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C4)알킬][(C1-C4)알킬카르보닐]아미노이며;
    R15,R16-아미노 중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2-C6)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디)[(C1-C4)알킬]아미노로부터 선택되고, 이들 모두는 히드록시, (C1-C4)알킬, (C1-C4)알콕시, (C1-C4)알킬카르보닐, (C1-C4)알콕시카르보닐, (C3-C6)시클로알킬카르보닐, (디)[(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카르보닐 또는 (디)[(C1-C4)알콕시(C1-C4)알킬]아미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거나;
    R15,R16-아미노는 R18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C3-C8)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에서의 결합기이거나,
    R15,R16-아미노는 (C4-C8)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 또는 (C4-C6)헤테로시클로알케닐 고리에서의 결합기이고, 이들 둘 모두는 하나의 질소를 함유하고 R17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며;
    R17은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콕시, (디)[(C1-C4)알킬]아미노, (C1-C4)알킬카르보닐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C1-C4)알킬설포닐아미노, (C1-C4)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C1-C4)알킬설폭시, (C3-C6)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C4)알킬][(C1-C4)알킬카르보닐]아미노이거나,
    R17은 페닐 및 (C2-C5)헤테로아릴이고, 이들 둘 모두는 R13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며;
    R18은 (C1-C4)알킬, (C3-C6)시클로알킬, (C4-C6)시클로알케닐카르보닐, (디)[(C1-C4)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C4)알킬설포닐, (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 (C2-C6)헤테로시클로알킬설포닐, (C2-C5)헤테로아릴, 페닐카르보닐, (C1-C4)알킬카르보닐, (C3-C6)시클로알킬카르보닐, (C2-C5)헤테로아릴카르보닐, 페닐, 페닐설포닐, (C2-C5)헤테로아릴설포닐 및 (C2-C6)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이고, 상기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 부분은 R13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단, 상기 화합물은 3-아세틸-피롤로[2,1-a]이소퀴놀린-1-카르보니트릴이 아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5-C6 결합은 포화되는 것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R13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C1-C5)헤테로아릴인 것인 화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는 H, 시아노, 할로겐, (C1-C4)알콕시(C1-C4)알킬 또는 히드록시(C1-C4)알킬인 것인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R2는 H인 것인 화합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는 R15,R16-아미노 또는
    Figure 112015049611708-pct00088

    인 것인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R3는 R15,R16-아미노인 것인 화합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7은 H인 것인 화합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8은 (C1-C4)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인 것인 화합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9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2-C6)알키닐, (C3-C6)시클로알콕시, (C2-C5)헤테로시클로알콕시, (C2-C5)헤테로아릴옥시, (디)[(C1-C4)알킬]아미노카르보닐, (C2-C6)헤테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 또는 (디)[(C1-C4)알킬]아미노이거나,
    R9은 (C1-C6)알킬, (C1-C6)알콕시, (C2-C6)알케닐, (C1-C6)알킬카르보닐아미노 또는 (C2-C5)헤테로아릴아미노카르보닐이고, 상기 알킬, 알콕시, 알케닐 또는 헤테로아릴 기 각각은 독립적으로 R14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거나,
    R9은 (C1-C5)헤테로아릴 또는 페녹시이고, 둘 모두는 독립적으로 R13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R9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C2-C6)알키닐 또는 (디)[(C1-C4)알킬]아미노이거나,
    R9은 (C1-C6)알킬, (C1-C6)알콕시, (C2-C6)알케닐 또는 (C1-C6)알킬카르보닐아미노이고, 상기 알킬, 알콕시 또는 알케닐 기는 독립적으로 R14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거나,
    R9은 R13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C1-C5)헤테로아릴인 것인 화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R9은 (C2-C6)알키닐이거나,
    R9은 (C1-C6)알킬, (C1-C6)알콕시, (C2-C6)알케닐 또는 (C1-C6)알킬카르보닐아미노이고, 상기 알킬, 알콕시 또는 알케닐 기는 독립적으로 R14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거나,
    R9은 R13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C1-C5)헤테로아릴인 것인 화합물.
  13. 제12항에 있어서, R9은 (C1-C6)알킬인 것인 화합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0은 H인 것인 화합물.
  15. 제10항에 있어서, R1은 R13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C1-C5)헤테로아릴이고, R2는 H이며, R3는 R15,R16-아미노이고, R7은 H이며, R8은 (C1-C4)알콕시이고, R10은 H인 것인 화합물.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4은 (C2-C6)헤테로시클로알킬 히드록시, (C1-C4)알콕시 또는 (디)[(C1-C4)알킬]아미노인 것인 화합물.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C1-C6)알킬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것인 화합물.
  18. 제17항에 있어서, R15은 메틸이고, R16tert-부틸인 것인 화합물.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는 (C1-C4)알킬카르보닐 또는 (C3-C6)시클로알킬카르보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1,4 디아자시클로헵탄-1-일인 것인 화합물.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는 2,2-디메틸피롤리딘-1-일인 것인 화합물.
  21. (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4-(테트라히드로-푸란-2-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메타논;
    1-[4-(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2-메틸설파닐-에타논;
    (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4-(티오펜-2-설포닐)-[1,4]디아제판-1-일]-메타논;
    3,3,3-트리플루오로-2-히드록시-1-[4-(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프로판-1-온;
    (4-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메타논;
    (d) 3-(4-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카르보닐)-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2-카르보니트릴;
    [4-(1-브로모-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메타논;
    [4-(1-히드록시-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메타논;
    (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4-(1-메톡시-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메타논;
    2-아세틸-9-에톡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4-(2-클로로-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에타논;
    4-부틸-1-(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보닐)-[1,4]디아제판-5-온;
    4-부틸-1-[9-(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보닐]-[1,4]디아제판-5-온;
    1-[5-(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보닐)-[1,5]디아조칸-1-일]-에타논;
    7-(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보닐)-3,7-디아자-비시클로[3.3.1]노난-3-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7-(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보닐)-3,7-디아자-비시클로[3.3.1]논-3-일]-2-메틸설파닐-에타논;
    9-(2-히드록시-에톡시)-8-메톡시-1-티오펜-2-일-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2-포르밀-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2-히드록시메틸-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이소프로폭시-8-메톡시-2-메톡시메틸-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2-(히드록시이미노-메틸)-9-이소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이소프로폭시-8-메톡시-2-(메톡시이미노-메틸)-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이소프로필아미노-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8-메톡시-9-(1H-피라졸-4-일)-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8-메톡시-9-(2-메틸-프로페닐)-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이소부틸-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8-메톡시-9-(2-메틸-프로페닐)-1-티아졸-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8-히드록시-9-이소부틸-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N-[3-(2,2-디메틸-피롤리딘-1-카르보닐)-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9-일]-이소부티르아미드;
    8-메톡시-9-메틸카르바모일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2-히드록시-에톡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2-아지도-에톡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8-메톡시-9-(테트라히드로-피란-2-일옥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3-히드록시-프로폭시)-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이소부틸-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메틸-아미드;
    (9-브로모-8-메톡시-1-티오펜-2-일-5,6,6a,10a-테트라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4-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메타논;
    9-시아노-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3-(4-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카르보닐)-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9-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8-메톡시-9-프로프-1-이닐-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포르밀-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3-히드록시-프로필)-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3-히드록시-3-메틸-부틸)-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2,2-디플루오로-비닐)-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8-메톡시-9-니트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8-메톡시-1-티오펜-2-일-5,6,6a,10a-테트라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9-(2-아제티딘-1-일-아세틸아미노)-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8-메톡시-9-(2-메톡시-아세틸아미노)-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N-[3-(2,2-디메틸-피롤리딘-1-카르보닐)-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9-일]-메탄설폰아미드;
    N-[3-(2,2-디메틸-피롤리딘-1-카르보닐)-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9-일]-2-모르폴린-4-일-아세트아미드;
    (8,9-디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4-(1-메틸-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메타논;
    (4-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8,9-디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메타논;
    (4-시클로부탄카르보닐-[1,4]디아제판-1-일)-(8,9-디메톡시-1-티오펜-2-일-피롤로[2,1-a]이소퀴놀린-3-일)-메타논;
    9-히드록시메틸-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8-메톡시-9-메톡시메틸-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tert-부틸-메틸-아미드;
    1-[3-(2,2-디메틸-피롤리딘-1-카르보닐)-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9-일]-에타논 ; 및
    8-메톡시-1-티오펜-2-일-5,6-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3,9-디카르복실산 3-(tert-부틸-메틸-아미드) 9-[1,3,4]티아디아졸-2-일-아미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1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생식 장애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생식 장애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25. 삭제
KR1020107020092A 2008-02-08 2009-02-06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KR101586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06208P 2008-02-08 2008-02-08
US61/027,062 2008-02-08
EP08151199 2008-02-08
EP08151199.0 2008-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279A KR20100124279A (ko) 2010-11-26
KR101586870B1 true KR101586870B1 (ko) 2016-01-19

Family

ID=3951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092A KR101586870B1 (ko) 2008-02-08 2009-02-06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8394789B2 (ko)
EP (1) EP2252611B1 (ko)
JP (1) JP5620823B2 (ko)
KR (1) KR101586870B1 (ko)
CN (1) CN102216297B (ko)
AR (1) AR070345A1 (ko)
AT (1) ATE527260T1 (ko)
AU (1) AU2009211296B2 (ko)
BR (1) BRPI0906937A2 (ko)
CA (1) CA2713173C (ko)
CL (1) CL2009000281A1 (ko)
CO (1) CO6241120A2 (ko)
DK (1) DK2252611T3 (ko)
EC (1) ECSP10010303A (ko)
ES (1) ES2373022T3 (ko)
HK (1) HK1150597A1 (ko)
HR (1) HRP20110942T1 (ko)
IL (1) IL206378A0 (ko)
MX (1) MX2010008717A (ko)
NZ (1) NZ587164A (ko)
PE (1) PE20091413A1 (ko)
PL (1) PL2252611T3 (ko)
PT (1) PT2252611E (ko)
RU (1) RU2495037C2 (ko)
SI (1) SI2252611T1 (ko)
TW (1) TW200944523A (ko)
WO (1) WO2009098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1587B2 (en) * 2009-05-27 2011-12-06 N. V. Organon (Dihydro)imidazoiso[5,1-A]quinolines
TWI461426B (zh) * 2009-05-27 2014-11-21 Merck Sharp & Dohme (二氫)咪唑並異〔5,1-a〕喹啉類
WO2011061318A1 (en) 2009-11-23 2011-05-26 N.V. Organon Heterocylic compounds as antagonists of the orexin receptors
US20120174381A1 (en) 2011-01-10 2012-07-12 David Messick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crimping
WO2012112958A2 (en) * 2011-02-19 2012-08-23 The Broad Institute, Inc High-throughput assays to probe leukemia within the stromal niche
EP2763986B1 (en) 2011-09-22 2017-06-07 Merck Sharp & Dohme B.V. Fsh receptor antagonists
RS57621B1 (sr) * 2011-12-21 2018-11-30 Jiangsu Hengrui Medicine Co Derivat šestočlanog heteroaril prstena pirola, postupak njegove pripreme i njegova medicinska upotreba
CN102718695B (zh) * 2012-06-25 2014-04-02 华东师范大学 一种氮杂双环[3.3.0]辛烷衍生物的合成方法
BR112015012366A8 (pt) 2012-11-29 2019-10-01 Chemocentryx Inc antagonistas de cxcr7, uso dos mesmos, composição farmacêutica, bem como métodos para detectar níveis elevados de cxcr7 em uma amostra e para imagear um tumor, órgão, ou tecido
RU2550366C1 (ru) * 2014-05-22 2015-05-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ружбы народов" (РУД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5,6-ДИГИДРОПИРРОЛО[2,1-a]ИЗОХИНОЛИНОВ
SG11202105889YA (en) 2018-12-12 2021-07-29 Chemocentryx Inc Cxcr7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10540519B (zh) * 2019-09-05 2022-12-02 宁波大学 一种1,6-烯炔类化合物与酮类化合物的自由基环化反应方法
CN113999103A (zh) * 2021-11-26 2022-02-01 八叶草健康产业研究院(厦门)有限公司 一种α-羟基-环丁烷甲酸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8015A2 (en) 1998-08-07 2000-02-17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Fsh mimetics for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18980D0 (en) * 1987-08-11 1987-09-16 May & Baker Ltd Compositions of matter
DE4343649A1 (de) * 1993-12-21 1995-06-22 Boehringer Ingelheim Kg Neue Pyridazino[4',5':3,4]pyrrolo-[2,1-a]isochinoline und deren Verwendung für die Herstellung von pharmazeutischen Zubereitungen
FR2761358B1 (fr) * 1997-03-27 1999-05-07 Adir Nouveaux composes de n-aryl piperid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WO2000048144A1 (fr) 1999-02-15 2000-08-17 Medailles Souvenirs Dispositif de personnalisation et de distribution de medailles
AU2001278006A1 (en) 2000-07-27 2002-02-13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Agonist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ctivity
EP1347973A1 (en) * 2000-12-13 2003-10-01 Bayer Aktiengesellschaft Pyrrolo (2.1-a) dihydroisoquinolines and their use as phosphodiesterase 10a inhibitors
KR100908468B1 (ko) 2001-07-02 2009-07-21 엔.브이.오가논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유도체
WO2003014116A1 (en) 2001-08-06 2003-02-20 Bayer Corporation Pyrrolo[2.1-a]isoquinoline derivatives
WO2003014115A1 (en) 2001-08-06 2003-02-20 Bayer Aktiengesellschaft 3-substituted pyrrolo (2.1-a) isoquinoline derivatives
AU2002366362A1 (en) * 2001-12-18 2003-06-30 Bayer Aktiengesellschaft 2-substituted pyrrolo(2.1-a)isoquinolines against cancer
CA2499732A1 (en) 2002-09-20 2004-04-15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Piperazi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US20070105840A1 (en) 2003-06-30 2007-05-10 Altana Pharma Ag Pyrrolo-dihydroisoquinoline derivatives as pde10 inhibitors
AU2004253694A1 (en) 2003-06-30 2005-01-13 4Sc Ag Novel pyrrolodihydroisoquinolin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cancer
WO2005087765A1 (en) 2004-03-04 2005-09-22 Arena Pharmaceuticals, Inc. Ligand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06205797A1 (en) 2005-01-12 2006-07-20 4Sc Ag Pyrrolodihydroisoquinolines as antiproliferative agents
US20080161338A1 (en) 2005-01-12 2008-07-03 Altana Pharma Ag Novel Pyrrolodihydroisoquinolines as Pde 10 Inhibitors
UA92007C2 (ru) 2005-05-04 2010-09-27 Н.В. Органон Производные 4-фенил-5-оксо-1,4,5,6,7,8-гексагидрохинолина для лечения бесплодности
UA92009C2 (ru) 2005-05-04 2010-09-27 Н.В. Органон Производные 4-фенил-5-оксо-1,4,5,6,7,8-гексагидрохинолина для лечения бесплодия
ES2361674T3 (es) 2005-05-04 2011-06-21 N.V. Organon Derivados de dihidropiridina.
UA92008C2 (en) 2005-05-04 2010-09-27 Н.В. Органон 4-PHENYL-5-OXO-l,4,5,6,7,8-HEXAHYDROQUINOLINE DERIVATIVES AS MEDICAMENTS FOR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8015A2 (en) 1998-08-07 2000-02-17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Fsh mimetics for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6241120A2 (es) 2011-01-20
ES2373022T3 (es) 2012-01-30
US8394789B2 (en) 2013-03-12
WO2009098283A1 (en) 2009-08-13
DK2252611T3 (da) 2012-01-30
AU2009211296A1 (en) 2009-08-13
CL2009000281A1 (es) 2009-06-26
TW200944523A (en) 2009-11-01
AU2009211296B2 (en) 2014-01-30
CA2713173C (en) 2016-04-19
MX2010008717A (es) 2010-09-24
IL206378A0 (en) 2010-12-30
HRP20110942T1 (hr) 2012-01-31
JP5620823B2 (ja) 2014-11-05
EP2252611B1 (en) 2011-10-05
CN102216297A (zh) 2011-10-12
BRPI0906937A2 (pt) 2016-04-19
NZ587164A (en) 2011-06-30
ECSP10010303A (es) 2010-07-30
PL2252611T3 (pl) 2012-03-30
PE20091413A1 (es) 2009-09-23
SI2252611T1 (sl) 2012-02-29
CA2713173A1 (en) 2009-08-13
EP2252611A1 (en) 2010-11-24
PT2252611E (pt) 2011-12-20
RU2495037C2 (ru) 2013-10-10
AR070345A1 (es) 2010-03-31
RU2010136057A (ru) 2012-03-20
KR20100124279A (ko) 2010-11-26
HK1150597A1 (ko) 2012-01-06
JP2011511041A (ja) 2011-04-07
ATE527260T1 (de) 2011-10-15
CN102216297B (zh) 2014-06-25
US20110039832A1 (en)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870B1 (ko) (디히드로)피롤로[2,1-a]이소퀴놀린
USRE39680E1 (en) Substituted heterocycle fused gamma-carbolines
KR101864561B1 (ko) Jak 억제제
US6777406B2 (en) Substituted pyrroloquinolines and pyridoquinolines as serotinin agonists and antagonists
EP0808318B1 (en) Tricyclic substituted hexahydrobenz[e]isoindole alpha-1 adrenergic antagonists
US20060148808A1 (en) Substituted heterocycle fused gamma-carbolines
JP6594571B2 (ja) マルチキナーゼ阻害剤化合物、並びにその結晶形及びその使用
SK2592002A3 (en) Tricyclic inhibitors of poly(adp-ribose) polymerases
KR20100099742A (ko) 안드로겐 수용체 관련 병태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환식 유도체
WO2005105082A1 (en) Substituted hexahydro-pyridoindole derivatives as serotonin re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JP4890446B2 (ja) ドーパミンd3受容体に対してアフィニティー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
BR112013027121B1 (pt) Compostos heterocíclicos bicíclicos,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compreendendo os mesmos,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os ditos compostos e usos terapêuticos dos mesmos
EP1966220A2 (en) Mglur1 anatgonists as therapeutic agents
JPS60215683A (ja) 新規縮合ジアゼピノン
BRPI0807602A2 (pt) Compostos 6' substituídos com afinidade pelo receptor 5-ht6.
KR20050044652A (ko) 고리 축합된 피라졸 유도체
IE920751A1 (en) New meso-azacyclic aromatic acid amides and esters as novel¹serotonergic agents
CA1321996C (en) Condensed diazepinon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se compounds
SK71799A3 (en) Benzopyranopyrrole and benzopyranopyridine alpha-1 adrenergic compounds
TW201116531A (en) Ring-annulated dihydropyrrolo[2,1-a]isoquinolines
JP2002501517A (ja) 1,6−ナフチリジン抗痙攣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