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088B1 -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088B1
KR101582088B1 KR1020090034213A KR20090034213A KR101582088B1 KR 101582088 B1 KR101582088 B1 KR 101582088B1 KR 1020090034213 A KR1020090034213 A KR 1020090034213A KR 20090034213 A KR20090034213 A KR 20090034213A KR 101582088 B1 KR101582088 B1 KR 101582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osed
driving
base plat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573A (ko
Inventor
이승환
변광석
이경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4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088B1/ko
Priority to DE102010015990A priority patent/DE102010015990A1/de
Priority to GB1004555.7A priority patent/GB2469716B/en
Priority to US12/750,273 priority patent/US8269840B2/en
Priority to CN201010154504.0A priority patent/CN101867722B/zh
Publication of KR2010011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가 개시된다. 상기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로서, 보정렌즈를 장착하고 광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가동되는 구동 플레이트, 구동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에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 조임의 정도를 조정하여 구동 플레이트의 틸팅을 보정하기 위한 틸트 보정 플레이트 및 구동 플레이트에 고정된 일단과 틸트 보정 플레이트에 고정된 타단을 갖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탄성 재질의 서스펜션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흔들림을 상쇄하기 위한 보정동작의 오류적인 틸팅을 손쉽게 바로잡을 수 있도록 별도의 교정 기구가 마련되며, 보정동작을 대칭적인 위치에서 제어 구동함으로써 보정동작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Driving assembly for image stabilization of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해주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을 포착하여 영상 데이터화하고 적정의 파일 형태로 기록하는 것으로, 촬영자의 손떨림이나 주변 진동에 의한 흔들림 등이 촬영된 이미지 내에 그대로 반영되면 영상이 번지거나 흐려지는 등의 화질 저하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삼각대와 같은 지지대 상에 카메라를 거치시킴으로써 촬영 이전에 영상 안정화를 꾀할 수 있었으나, 최근 기술발전에 수반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소형 박형화되는 추세에 있고,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카메라나 캠코더의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별도의 지지대를 결합시키지 않고 촬영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자동으로 보정해주는 다양한 영상 안정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카메라의 흔들림에 상응하는 적정의 이동량만큼 보정렌즈를 구동 제어하는 광학식 방식과, 보정렌즈 대신에 이미 지 센서를 구동 제어하는 전자식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흔들림을 상쇄하기 위한 보정동작의 오류적인 틸팅을 손쉽게 바로잡을 수 있도록 별도의 교정 기구가 마련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정동작을 대칭적인 위치에서 제어 구동함으로써 보정동작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로서,
보정렌즈를 장착하고 광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가동되는 구동 플레이트;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에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 조임의 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틸팅을 보정하기 위한 틸트 보정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고정된 일단과 상기 틸트 보정 플레이트에 고정된 타단을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탄성 재질의 서스펜션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는 상호 나사체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 는 서로 다른 제1 내지 제3 위치에서 나사체결을 이룬다.
이때,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 사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를 걸어주는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나사 부재가 끼워지는 조립공이 형성된 원통형 중공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재는 나사 부재가 끼워지는 조립공이 형성된 판 부재와, 상기 판 부재에서 연장되며 탄성 굴절되는 레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위치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확보해주는 강성의 보스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어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VCM 마그네트와 VCM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VCM 마그네트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VCM 코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VCM 마그네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VCM 코일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VCM 마그네트는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의 쌍과, 제2 마그네트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제1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제2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VCM 마그네트는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통합 마그네트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마그네트는 제1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부분과 제2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부분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상기 VCM 코일은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코일의 쌍과, 제2 코일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로서,
보정렌즈를 장착하고 광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가동되는 구동 플레이트;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서스펜션 와이어;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구동력을 생산하는 제1 방향 구동부와 제2 방향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구동부와 제2 방향 구동부 각각은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어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VCM 마그네트와 VCM 코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VCM 마그네트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코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VCM 마그네트 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VCM 코일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VCM 마그네트는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의 쌍과, 제2 마그네트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제1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제2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VCM 마그네트는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통합 마그네트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마그네트는 제1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부분과 제2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부분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상기 VCM 코일은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코일의 쌍과, 제2 코일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에서는 보정렌즈와 함께 가동되는 구동 플레이트의 틸팅을 손쉽게 바로잡을 수 있는 별도의 교정기구가 마련됨으로써 손떨림에 대응하는 보정동작을 광축에 수직한 면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립과정에서 통상적으로 발생되는 오류적인 틸팅을 즉시 교정할 수 있고, 보정동작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 왜곡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정동작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에서는 광축에 수직한 x,y 방향으로 구동 플레이트를 가동하는 x-구동부와 y-구동부를 광축의 양편에 설계함으로써 과도한 보정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구동 플레이트의 운동을 양편의 구속하여 보정동작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가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다수의 광학렌즈들을 포함하여 피사체 영상을 촬상면에 대해 결상시키기 위한 광학 유닛(100), 상기 광학 유닛(100)을 경유한 피사체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120), 상기 이미지 센서(120)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프론트엔드(130, Analog Front End; AFE) 회로, 영상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도록 영상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DRAM(140, Dynamic Ramdom Access Memory),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가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기록매체(170), 그리고 전반적인 데이터 흐름과 각 구성부분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카메라 DSP(150,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유닛(100)은 광축(C)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줌 렌즈(102), 이미지 센서(120)로의 노광시간 및 입사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셔터(104)와 조리개(106), 그리고 피사체의 영상을 이미지 센서(120) 상에 결상시키고 손떨림에 대한 보정동작을 수행하는 보정렌즈(110)를 포함한다. 상기 보정렌즈(110)는 손떨림으로 발생되는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 광축(C)에 수 직한 x-y 평면상에서 이동하면서 손떨림에 의해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추적하고 피사체의 결상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보정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보정렌즈(110)를 장착하고 있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200)는 보정렌즈(110)를 목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카메라 DSP(1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보정렌즈를 수평 축(x축)과 수직 축(y축)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보정렌즈(110)와 인접하여서는 보정렌즈(110)의 현 위치에 관한 수평 축(x축)의 좌표값과 수직 축(y축)의 좌표값을 검출해내기 위한 홀 센서(113)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113)는 단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해내고, 2개의 홀 센서(113) 중에서 하나는 수평 축(x축)에 대한 보정렌즈(110)의 좌표를 검출해내는 한편으로, 다른 하나는 수직 축(y축)에 대한 보정렌즈(110)의 좌표를 검출해낸다. 상기 홀 센서(113)에서 출력되는 보정렌즈(110)의 현 위치에 관한 좌표신호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필요 대역의 성분만을 추출해내는 적정의 홀 필터(118)를 거쳐서 카메라 DSP(150)로 전달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120)는, 예를 들어,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서, 광학 유닛(100)을 경유하여 입사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은 타이밍 생성기(미도시,Timing Generator;TG)를 개재하여 카메라 DSP(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130, AFE 회로)는 이미지 센서(120)의 출력 신호에 대해, 높은 신호-잡음 비율(Signal to Noise ratio)이 유지되도록 상호 연 관된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방식으로 샘플 홀드를 행하고, AGC(Auto Gain Control)에 의해 화상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고, ADC(Analog Digital Conversion)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인코더/디코더(160)로 전달되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등의 규정된 압축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된 후 기록매체(170)에 저장된다. 상기 DRAM(140, 또는 SDRAM)은 각종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160)와 카메라 DSP(150)는 DRAM(140)을 작업영역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 DSP(150)는 EEPROM(155,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디지털 카메라의 각 구성요소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게 되며,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카메라 DSP(150)는 영상 안정화를 위한 보정동작을 수행하여, 카메라의 흔들림을 상쇄하기 위한 보정렌즈(110)의 목표위치를 계산하고,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200)에 대해 제어된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보정렌즈(110)가 목표위치에 접근하도록 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의 일 측에는 카메라의 각 속도를 포착하기 위한 수평 자이로 센서(181) 및 수직 자이로 센서(18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평 자이로 센서(181) 및 수직 자이로 센서(182)는 각각 수평 축(x축)과 수직 축(y축)에 대한 카메라의 각 속도를 측정한다. 자이로 센서(181,182)의 출력 측에는 특정대역에 대해 선택특성을 갖는 자이로 필터(185)가 배치되어 필요성분만을 추출해내고, 이어 서 배치된 연산기(188)에서 적정의 적분처리를 거치면 카메라의 흔들림 양이 산출된다. 카메라 DSP(150)는 계산된 흔들림 양을 참조하고, 이를 상쇄하기 위해 반대방향으로 보정렌즈(110)가 이동해야될 목표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보정렌즈(110)의 목표위치와 홀 센서(118)에서 출력된 현재위치를 입력으로 하여, PID(Proportional Integrated Derivative) 제어를 수행하며,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200)에 대해 제어된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보정렌즈(110)를 목표위치로 근접시키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구동조립체(200)는 경통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통의 프론트 프레임(190)과 이미지 센서(120) 사이의 광축(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조립체(200)는 전후방으로 배치되고 서스펜션 와이어(240)를 통하여 조립되어 있는 구동 플레이트(210)와,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210), 베이스 플레이트(250) 및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에는 전방의 프론트 프레임(190)을 통하여 유입되는 피사체 영상이 후방의 이미지 센서(120)로 도달될 수 있도록 광축(C)을 따라 광 투과공(210`,250`,280`)이 마련되고, 이들 광 투과공(210`,250`,280`)을 따라 피사체의 광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210)의 광 투과공(210`)에는 보정렌즈(110)가 장착되고, 광축(C)에 수직한 x-y 평면상에서 구동되면서 보정동작을 수행하는 구동체가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21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경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경통 내부에 장착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는 구동 플레이트(210)와의 사이에 전자기력이 미치는 유격을 두고 서로 대면되게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구동 플레이트(210)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서스펜션 와이어(240)는 x-y 평면상에서 병진 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210)를 추종하여 유연하게 휘어지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구동력이 제거된 구동 플레이트(210)는 서스펜션 와이어(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정 위치로 되돌아온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210)는 미도시된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210)와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서로 대면하는 일 편에는 각기 VCM 코일(미도시)과 VCM 마그네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VCM 코일과 VCM 마그네트 간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 플레이트(210)는 광축에 수직한 x-y 평면상에서 병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210)에 일단부가 고정된 서스펜션 와이어(240)는 베이스 플레이트(250)를 관통하여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로 연장되며, 그 연장 단부는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240)의 일단은 구동 플레이트(210)의 이탈을 저지하는 체결용 걸림턱(240a)과 함께 적정의 결합구(미도시)에 구속되어 구동 플레이트(210)에 고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240)의 타단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의 이탈을 저지하는 체결용 걸림턱(240a)과 함께 적정의 결합구(미도시)에 구속되어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240)는 광축(C)에 대해 대칭적 배열을 이루도록 다수 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레 이트(210,250,280)의 4 코너 부분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후방에는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가 배치되며,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를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나사체결되는 나사 부재(271,275)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를 상호 나사체결시킬 수 있다. 이때, 서로 대면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 간의 제1 길이(L1)는 나사 체결의 조임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구동 플레이트(210) 사이를 이격시켜주는 서스펜션 와이어 부분(제2 길이 부분, L2)을 신장 또는 단축시킴에 따라 구동 플레이트(210)의 틸팅이 보정될 수 있고, 구동 플레이트(210)의 면이 광축(C)에 수직한 x-y 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의 조립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50)를 기준으로, 전방에는 구동 플레이트(210)가 배치되고, 후방에는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구동 플레이트(21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는 가장자리 부분을 관통하여 조립되는 서스펜션 와이어(240)에 의해 하나의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240)는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에 고정되는 일단부와, 구동 플레이트(210)에 고정되는 타단부를 가지고,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체결용 걸림턱(240a)이 제공될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210)와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미도시된 VCM 액츄에이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구동 플레이트(210)는 VCM 액츄에이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광축(C)에 수직한 평면상에서 병진 운동할 수 있다. 서스펜션 와이어(24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플레이트(210)의 강제구동을 추종하여 탄성적으로 휨 변형되며, 구동력(F)이 제거됨과 동시에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여 구동 플레이트(210)를 정 위치시킴으로써 보정렌즈(110)의 중심(C)을 광축 상에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240)는 100~200μm의 직경을 갖는 금속 세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는 서로 다른 3 개소에서 서로에 대해 나사체결되어 있는데, 그 중 2 개소에는 보정용 나사 부재(271)가 체결되고, 나머지 1 개소에는 기준확보용 나사 부재(275)가 체결된다. 상기 보정용 나사 부재(271)는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를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대해 나사 체결되며, 나사체결의 조임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 간의 제1 길이(L1)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체결의 조임을 강하게 함으로써 제1 길이(L1)를 단축하고, 상대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구동 플레이트(210) 간의 제2 길이(L2)를 신장시킬 수 있다. 반대로, 나사체결의 조임을 약하게 함으로써 제1 길이(L1)를 신장시키고, 상대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구동 플레이트(210) 간의 제2 길이(L2)를 단축시킬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구동 플레이트(210) 사이에서 연장되는 서스펜션 와이어(240)의 길이(상기 제2 길이 L2에 해당)를 변화시킴으로써 구동 플레이트(210)의 틸팅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210)가 광축(C)에 수직한 x-y 평면 내에 배치되지 않고 x-y 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갖는 기울어진 상 태로 조립된다면, 구동 플레이트(210)와 함께 일체적으로 가동되는 보정렌즈(110)는 기울어진 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정확한 흔들림 보정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미지 왜곡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구동 플레이트(210)의 틸팅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적어도 2 개소 이상에서 보정용 나사 부재(271)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플레이트(210)의 기울어진 틸팅된 면을 서로 독립적인 2 방향에서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2 개소에서 보정용 나사 부재(271)가 체결된다. 보정용 나사 부재(271)가 체결되는 위치에는 탄성부재(261)가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61)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 사이에 개재되어 보정용 나사 부재(271)의 조임에 따라 나사 체결력에 의해 압착되면서 탄성 변형된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를 서로에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상기 보정용 나사 부재(271)와 함께 보상 면의 기준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용도로 기준확보용 나사 부재(27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준확보용 나사 부재(275)는 구동 플레이트(210)의 기울어진 틸팅 면을 광축(C)에 수직한 보상 면으로 보정해줄 때, 보상 면의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보상 면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 사이에 개재되어 그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확보해주는 보스부재(265)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기준확보용 나사 부재(275)는 상기 보스부재(265)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보스부재(265)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 간의 나사 체결력에 대항하여 변 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강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동 플레이트(210)의 평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플레이트(210)의 중앙에는 보정렌즈(110)가 끼워 조립되고, 광축(C)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는 VCM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제2 마그네트 쌍(211,21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마그네트 쌍(211,212)은 마주하는 VCM 코일(미도시)과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마그네트 쌍(211)은 x축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어 x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쌍(212)은 y축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어 y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제2 마그네트(211,212)는 영구자석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보정동작이 요구되는 구동 플레이트(210) 상에 별도의 신호배선이 요구되지 않는 마그네트(211,212)를 배치함으로써, 동적 요소에 대한 전원공급이나 신호전달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미 설명된 도면부호 210``는 서스펜션 와이어(240)가 끼워지는 조립공을 나타낸다.
도 6에는 도 5의 구동 플레이트(210)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평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피사체의 영상이 통과하며 광 경로를 제공하는 광 투과공(250`)이 마련되고, 광축(C)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는 VCM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제2 코일 쌍(251,25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코일 쌍(251,252)은 마주하는 제1, 제2 마그네트 쌍(211,212, 도 5)과의 전자기적 인 상호 작용을 통하여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코일 쌍(251,252)은 대략 장방형 형태를 따라 권취되어 있는 도전성 와이어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전성 와이어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을 정방향/역방향으로 반전시킴에 따라 전후방으로 N-S 극 또는 S-N 극을 유도할 수 있고, 마주하고 있는 마그네트 쌍(211,212)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동일 극성에 대해서는 전자기적인 척력을 제공하고, 반대 극성에 대해서는 전자기적인 인력을 제공함으로써 구동 플레이트(21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 쌍(251)은 대략 y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x 방향을 따라 극성이 반전되는 제1 마그네트 쌍(211)에 대한 극성의 선택특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제2 코일(252) 쌍은 대략 x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y 방향을 따라 극성이 반전되는 제2 마그네트 쌍(212)에 대한 극성의 선택특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코일(251,252)의 양단은 카메라 본체에 마련된 카메라 DSP(150, 도 1)의 제어신호를 적정의 구동신호로 변환해주는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회로기판은 베이스 플레이트(250)를 포함하여 카메라 내부 여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적으로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250) 상에 구동신호의 배선이 요구되는 제1, 제2 코일(251,252)을 배치하고, 보정동작이 요구되는 구동 플레이트(210) 상에는 신호배선이 요구되지 않는 제1, 제2 마그네트(211,212)를 배치함으로써 동적 움직임에 따른 배선의 간섭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고 안정적인 신호전달을 도모한다. 한편, 미 설명된 도면부호 250``는 서스펜션 와이어(240)가 끼워지는 조립공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쌍(211)과 제1 코일 쌍(251)이 조합되어 VCM 액츄에이터의 x-방향 구동부를 구성하게 된다. 제1 마그네트(211)와 제1 코일(251)이 광축(C)에 대해 쌍을 이루어 배치됨으로써 보정렌즈(110)의 x-방향 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영상의 흔들림을 상쇄하기 위한 보정동작은 영상 안정화를 위한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도한 보정동작은 오히려 이미지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VCM 액츄에이터의 x-방향 구동부를 1 개소에 설계하지 않고, 광축(C)에 대해 대칭적으로 2개소에 설계함으로써 보정렌즈(110)의 운동궤적을 구속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이룰 수 있다. 유사하게,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 쌍(212)과 제2 코일 쌍(252)이 조합되어 VCM 액츄에이터의 y-방향 구동부를 구성하게 된다. VCM 액츄에이터의 y-방향의 구동부를 1개소에 설계하지 않고 광축(C)에 대해 대칭적으로 2개소에 설계함으로써 보정렌즈(110)의 운동궤적을 구속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이룰 수 있다.
도 7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의 평면 구조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의 중앙위치에는 피사체 영상이 통과되며 광 경로를 제공하는 대략 장방형의 광 투과공(28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공(280`)의 주변에는 각기 기준확보용 나사 부재(275)와 보정용 나사 부재(271)가 관통하는 제1, 제2 체결공(275`,271`)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확보용 나사 부재(275)는 제1 체결공(275`)을 통하여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의 좌측 편에 조립될 수 있고, 보정용 나사 부재(271)는 제2 체결공(271`)을 통하여 상측과 우측 편에 조립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 7의 VIII-V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우측 편에 조립되는 보정용 나사 부재(271)의 조임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제1 회전방향(My)으로 틸팅을 바로잡을 수 있다. 도 9에는 도 7의 IX-IX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상측에 조립되는 보정용 나사 부재(271)의 조임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제2 회전방향(Mx)으로 틸팅을 바로잡을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261)의 일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탄성부재(261)는 가운데가 비어있는 원통형 중공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고무재질 또는 유연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61)의 중공 부분(261`)에는 보정용 나사 부재(271)가 끼워질 수 있고, 탄성부재(261)를 관통한 보정용 나사 부재(271)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가 서로 나사체결되며, 나사체결력(P)에 의해 탄성부재(261)는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상기 탄성부재(261)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므로, 탄성 변형의 한계가 높은 경성의 탄성 재료가 선호될 수 있다. 탄성 변형의 한계를 초과하여 탄성력을 상실하게 되면, 구동 플레이트(250)의 기울어짐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탄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 된 탄성부재(361)는 탄성적으로 굴절되는 레그 부분(361a)과, 중앙에 보정용 나사 부재(271)가 끼워지는 조립공(361b`)이 마련되어 있는 판 부재(361b)를 포함하고, 보정용 나사 부재(271)의 조임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280) 사이에서 나사 체결력(P)에 의해 압착되면서 레그 부분(361a)이 탄성적으로 굴절된 형태로 탄성 바이어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동 플레이트(310)와 베이스 플레이트(350)의 평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구동 플레이트(310) 상에는 VCM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제2 코일 쌍(311,312)이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350) 상에는 제1, 제2 코일 쌍(311,312)과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구동력을 생산하는 제1, 제2 마그네트 쌍(351,352)이 배치된다. 상대적으로 저 중량의 제1, 제2 코일 쌍(311,312)을 구동 플레이트(310) 상에 배치함으로써 보정동작의 가속 성능과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호 인가와 동시에 신속한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플레이트(310) 상에 배치된 제1, 제2 코일(311,312)의 양단은 베이스 플레이트(350) 상에 배치된 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신호배선을 이용하거나 또는 구동 플레이트(310)와 베이스 플레이트(350)를 연결해주는 서스펜션 와이어(미도시)의 도전성을 이용하여 이를 신호배선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제1, 제2 코일(311,312)의 양단은 카메라 본체의 카메라 DSP(150, 도 1)와 직접 연결된 연성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되어 구동신호를 인가받을 수도 있다. 한편, 미 설명된 도면부호 310`, 350`는 피사체 영상의 광 경로를 제공하는 광 투과공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310``,350``는 서스펜션 와이어가 끼워지는 조립공을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동 플레이트(410)와 베이스 플레이트(450)의 평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구동 플레이트(410)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보정렌즈(110)가 끼워 조립되고, 광축(C)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는 VCM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마그네트 쌍(415)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그네트의 착자를 변경함으로써 하나의 통합된 2축 구동형 마그네트(415)를 이용하여 x-방향을 따르는 극성 반전과 y-방향을 따르는 극성 반전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즉, x-방향을 따라 극성이 반전되는 제1 자성요소(415a) 및 제2 자성요소(415b)를 이용하여 x-방향 구동이 가능하고, y-방향을 따라 극성이 반전되는 제3 자성요소(415c) 및 제4 자성요소(415d)를 이용하여 y-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 2축 구동형 마그네트 쌍(415)과 함께 VCM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제1, 제2 코일 쌍(451,45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제2 코일 쌍(451,452)을 포함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5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사실상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2축 구동형 마그네트(415)와 제1, 제2 코일(451,452)을 각기 구동 플레이트(410)와 베이스 플레이트(450)에 배치하지 않고, 2축 구동형 마그네트(451)는 베이스 플레이트(450) 상에 배치하고, 제1, 제2 코일(451,452)는 구동 플레이트(410) 상에 배치하는 변형도 가 능함은 물론이다.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2축 구동형 마그네트(415)의 일부(415a,415b)와 제1 코일 쌍(451)이 조합되어 VCM 액츄에이터의 x-방향 구동부를 구성하고, 2축 구동형 마그네트(415)의 다른 일부(415c,415d)와 제2 코일 쌍(452)이 조합되어 VCM 액츄에이터의 y-방향 구동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x-방향 구동부와 y-방향 구동부를 1개소에 설계하지 않고, 광축(C)에 대해 쌍을 이루도록 배치함으로써 보정렌즈(110)의 운동궤적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미 설명된 도면부호 410`,450`는 피사체 영상의 광 경로를 제공하는 광 투과공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410``,450``는 서스펜션 와이어가 끼워지는 조립공을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VCM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제1, 제2 마그네트(211,212,351,352)와 제1, 제2 코일(251,252,311,312,451,452)이 광축(C)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광축(C)의 대칭 위치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제2 마그네트(211,212,351,352)와 제1, 제2 코일(251,252,311,312,451,452)이 광축(C)의 양편에 배치되어 균형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가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의 조립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보정동작에 따른 서스펜션 와이어의 변형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동 플레이트의 평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구동 플레이트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틸트 보정 플레이트의 평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도 7의 VIII-VIII 선 및 IX-IX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의 일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탄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동 플레이트의 평 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도 12의 구동 플레이트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동 플레이트의 평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도 14의 구동 플레이트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학 유닛 102 : 줌 렌즈
104 : 셔터 106 : 조리개
110 : 보정렌즈 113 : 홀 센서
118 : 홀 필터 120 : 이미지 센서
130 :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 140 : DRAM
150 : 카메라 DSP 155 : EEPROM
160 : 인코더/디코더 170 : 기록매체
181 : 수평 자이로 센서 182 : 수직 자이로 센서
185 : 자이로 필터 188 : 연산기
190 : 경통의 프론트 프레임 200 :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210,310,410 : 구동 플레이트 211,351 : 제1 마그네트
212,352 : 제2 마그네트 240 : 서스펜션 와이어
240a : 체결용 걸림턱 250,350,450 : 베이스 플레이트
251,311,451 : 제1 코일 252,312,452 : 제2 코일
261,361 : 탄성부재 265 : 보스부재
271 : 보정용 나사 부재 271` : 제2 체결공
275 : 기준확보용 나사 부재 275` : 제1 체결공
280 : 틸트 보정 플레이트 415 : 통합 마그네트
210`,250`,280`,310`,350`,410`.450`: 광 투과공
415a,415b,415c,415d : 제1 ~ 제4 자성요소

Claims (21)

  1.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로서,
    보정렌즈를 장착하고 광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가동되는 구동 플레이트;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에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 조임의 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틸팅을 보정하기 위한 틸트 보정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고정된 일단과 상기 틸트 보정 플레이트에 고정된 타단을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탄성 재질의 서스펜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는 상호 나사체결되어 있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제1 내지 제3 위치에서 나사체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 사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를 걸어주는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나사 부재가 끼워지는 조립공이 형성된 원통형 중공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나사 부재가 끼워지는 조립공이 형성된 판 부재와, 상기 판 부재에서 연장되며 탄성 굴절되는 레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확보해주는 강성의 보스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어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VCM 마그네트와 VCM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CM 마그네트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VCM 코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CM 마그네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VCM 코일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CM 마그네트는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의 쌍과, 제2 마그네트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제1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제2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CM 마그네트는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통합 마그네트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마그네트는 제1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부분과 제2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부분을 함께 갖도록 착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CM 코일은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코일의 쌍과, 제2 코일의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14.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로서,
    보정렌즈를 장착하고 광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가동되는 구동 플레이트;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서스펜션 와이어;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구동력을 생산하는 제1 방향 구동부와 제2 방향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구동부와 제2 방향 구동부 각각은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틸트 보정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어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VCM 마그네트와 VCM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VCM 마그네트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VCM 코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VCM 마그네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VCM 코일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VCM 마그네트는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의 쌍과, 제2 마그네트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제1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제2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VCM 마그네트는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통합 마그네트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마그네트는 제1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부분과 제2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부분을 함께 갖도록 착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VCM 코일은 광축의 양편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코일의 쌍과, 제2 코일의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KR1020090034213A 2009-04-20 2009-04-20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KR101582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213A KR101582088B1 (ko) 2009-04-20 2009-04-20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DE102010015990A DE102010015990A1 (de) 2009-04-20 2010-03-16 Bildstabilisierungs-Antriebsanordnung
GB1004555.7A GB2469716B (en) 2009-04-20 2010-03-18 Image stabilization driving assembly
US12/750,273 US8269840B2 (en) 2009-04-20 2010-03-30 Image stabilization driving assembly
CN201010154504.0A CN101867722B (zh) 2009-04-20 2010-03-31 图像稳定驱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213A KR101582088B1 (ko) 2009-04-20 2009-04-20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573A KR20100115573A (ko) 2010-10-28
KR101582088B1 true KR101582088B1 (ko) 2016-01-04

Family

ID=4222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213A KR101582088B1 (ko) 2009-04-20 2009-04-20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9840B2 (ko)
KR (1) KR101582088B1 (ko)
CN (1) CN101867722B (ko)
DE (1) DE102010015990A1 (ko)
GB (1) GB24697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9272A (ja) * 2010-06-10 2011-12-22 On Semiconductor Trading Ltd デジタルフィルタ
KR101184812B1 (ko) 2011-03-02 2012-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용 서스펜션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장치
KR101247974B1 (ko) * 2011-08-19 2013-04-03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의 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US8698952B2 (en) 2011-10-31 2014-04-15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GB201206490D0 (en) 2012-04-12 2012-05-30 Cambridge Mechatronics Ltd Compact camera
US9518566B2 (en) 2012-05-25 2016-12-13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GB201221306D0 (en) 2012-11-27 2013-01-09 Cambridge Mechatronics Ltd Suspension system for a camera lens element
KR102123582B1 (ko) * 2012-12-14 2020-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253280B2 (ja) * 2013-07-04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606963B1 (ko) * 2013-12-19 2016-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학식 손떨림 보정 장치의 액추에이터 제어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식 손떨림 보정 장치
KR20150106734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용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JP6448218B2 (ja) * 2014-05-12 2019-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927711B1 (ja) * 2014-06-19 2016-06-01 アキム株式会社 レンズ素子搬送機構、コントローラ、光軸調整装置並びに、光学モジュール製造設備及びその製造方法
JP6448380B2 (ja) * 2015-01-19 2019-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6613619B2 (ja) * 2015-05-20 2019-12-04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GB201517202D0 (en) 2015-09-29 2015-11-11 Cambridge Mechatronics Ltd OIS actuator improvements
CN116017121A (zh) 2015-10-28 2023-04-25 剑桥机电有限公司 提供光学图像稳定的相机组件
CN106855652B (zh) * 2015-12-09 2019-08-06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模块
US20180067335A1 (en) * 2016-09-07 2018-03-08 Google Inc.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or folded optics camera modules
KR20200089999A (ko) * 2019-01-18 2020-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230020160A (ko) * 2021-08-03 2023-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383A (ja) 2001-10-26 2003-05-09 Victor Co Of Japan Ltd 撮像装置
JP2004260645A (ja) 2003-02-27 2004-09-16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JP2007047494A (ja) 2005-08-10 2007-02-22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07199388A (ja) 2006-01-26 2007-08-09 Canon Inc 振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3410B2 (ja) * 1998-05-28 2006-06-07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補正光学装置
US7679647B2 (en) * 2004-07-21 2010-03-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suspension for image stabilization
JP4857021B2 (ja) * 2006-05-08 2012-01-18 株式会社タムロン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
KR101255207B1 (ko) * 2006-06-19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모듈
KR20090034213A (ko) 2007-10-02 2009-04-07 에스지티코리아 (주) 유체 분사 장치
US7962023B2 (en) * 2008-07-03 2011-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tabiliz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383A (ja) 2001-10-26 2003-05-09 Victor Co Of Japan Ltd 撮像装置
JP2004260645A (ja) 2003-02-27 2004-09-16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JP2007047494A (ja) 2005-08-10 2007-02-22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07199388A (ja) 2006-01-26 2007-08-09 Canon Inc 振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69716B (en) 2012-12-12
GB201004555D0 (en) 2010-05-05
KR20100115573A (ko) 2010-10-28
DE102010015990A1 (de) 2010-10-28
US20100265343A1 (en) 2010-10-21
US8269840B2 (en) 2012-09-18
CN101867722A (zh) 2010-10-20
CN101867722B (zh) 2015-02-04
GB2469716A (en)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08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JP5259851B1 (ja) 位置制御装置
JP4706105B2 (ja) 撮影装置
CN107515477B (zh) 镜头驱动装置
US20090237517A1 (en) Optical module, camera, and mobile terminal device
JP5594456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US8184167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magnet member
KR101728590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4320B1 (ko)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JP5776820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JP2013205550A (ja)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制御装置
KR100996053B1 (ko) 방진 제어 회로 및 방진 제어 회로를 구비한 촬상 장치
TWI483055B (zh) 相機模組
WO2013046816A1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6206456B2 (ja) 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JP5446321B2 (ja) 振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KR101329741B1 (ko)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KR101521527B1 (ko)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JP2013073201A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5788280B2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WO2007136053A1 (ja) ブレ補正装置、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その製造方法及び操作方法
JP2016057386A (ja) 像ぶれ補正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光学機器
KR20090086755A (ko)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장치
US11962904B2 (en)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imaging device, and lens device
WO2024070587A1 (ja) ブレ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