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160A -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160A
KR20230020160A KR1020210101885A KR20210101885A KR20230020160A KR 20230020160 A KR20230020160 A KR 20230020160A KR 1020210101885 A KR1020210101885 A KR 1020210101885A KR 20210101885 A KR20210101885 A KR 20210101885A KR 20230020160 A KR20230020160 A KR 2023002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xis
lens group
unit
len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인
권재욱
오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160A/ko
Priority to CN202280054966.6A priority patent/CN117813828A/zh
Priority to PCT/KR2022/011141 priority patent/WO2023013979A1/ko
Publication of KR2023002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Abstract

실시 예는 고정 렌즈군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렌즈군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고정 렌즈군과 제1 렌즈군을 통과한 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 고정 렌즈군에 광을 조사하고 제1축과 수직인 제2축 또는 제3축을 기준으로 틸트 가능한 광학 부재, 및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의 틸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A CAMERA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장치이며, 휴대용 디바이스,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카메라 장치는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영상 안정화(Image Stabilization, IS) 기능, 예컨대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오토포커싱(Auto Focusing, AF) 기능, 및/또는 주밍(zooming)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는 렌즈 어셈블리 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광축(또는 광심(optical center))의 편차(또는 틸트)를 보정할 수 있고, 이미지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고, 해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고정 렌즈군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렌즈군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고정 렌즈군과 상기 제1 렌즈군을 통과한 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고정 렌즈군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 또는 제3축을 기준으로 틸트 가능한 광학 부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의 틸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정값은 상기 고정 렌즈군의 중심과 상기 제1 렌즈군의 중심의 틀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상기 광학 부재의 초기 위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한 변위를 감지하는 제1 위치 센서; 및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3축을 기준으로 한 변위를 감지하는 제2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값은 상기 광학 부재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위치 센서의 출력에 관한 데이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값은 상기 제1 렌즈군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의 상기 틸트량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군은 줌 배율 변환을 위한 렌즈일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줌 렌즈의 상기 줌 배율들 중에서 최고 배율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줌 렌즈의 상기 줌 배율들 중에서 최저 배율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줌 렌즈의 상기 줌 배율들 중에서 최고 배율과 최저 배율 사이의 중간 배율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틸트를 제어하여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틸트가 제어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줌 또는 오토 포커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렌즈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드라이버; 및 상기 보정값을 저장하고,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틸트를 제어하는 제2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값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촬상 영역의 중앙의 좌표값과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틀어짐에 기인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광축이 정렬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촬상 영역의 제1 위치의 좌표값과의 편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고정 렌즈군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고정 렌즈군과 상기 이동 렌즈군을 통과한 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 또는 제3축을 기준으로 틸트 가능한 광학 부재; 및 상기 이동 렌즈군에 대한 줌 배율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의 틀어짐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틸트를 제어한다.
상기 이동 렌즈군은 줌 렌즈군와 포커스 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고정 렌즈군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렌즈군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고정 렌즈군과 상기 제1 렌즈군을 통과한 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고정 렌즈군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 또는 제3축을 기준으로 틸트 가능한 광학 부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의 틸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는 제2 액추에이터의 광학 부재의 틸트를 조정함으로써, 제1 액추에이터의 렌즈 어셈블리로 조사되는 광의 수평 경로를 변경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렌즈 어셈블리 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광심(optical center)의 편차(또는 틸트)를 보정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렌즈 어셈블리 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광심(optical center)의 편차(또는 틸트)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심의 틸트에 기인한 이미지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이미지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센서의 해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카메라 장치의 도 1의 A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액추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홀더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6b는 홀더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c는 홀더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7은 홀더, 이동자 플레이트, 및 자성체 지지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a는 광학 부재, 이동자 플레이트 및 OIS 마그네트가 결합된 홀더와 자성체 지지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b는 광학 부재, 이동자 플레이트, OIS 마그네트, 및 자성체 지지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1 하우징의 제1 사시도이다.
도 9b는 제1 하우징의 제2 사시도이다.
도 9c는 제1 하우징과 제2 자성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a는 제1 하우징, 홀더, 광학 부재, 제1 회로 기판, 및 커버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제1 내지 제3 OIS 마그네트들과 제1 내지 제3 코일 유닛들 간의 상호 작용에 따른 전자기력과 이동자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제2 액추에이터의 도 4의 C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제2 액추에이터의 도 4의 EF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제1 액추에이터 및 이미지 센싱부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2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이미지 센싱부의 제1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2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이미지 센싱부의 제2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2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이미지 센싱부의 ab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2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이미지 센싱부의 cd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액추에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a는 제2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b는 제2 하우징의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17a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과 렌즈부의 제1 사시도이다.
도 17b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과 렌즈부의 제2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 및 렌즈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기능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주밍 및 AF 수행 또는 손떨림 보정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21은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값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렌즈 어셈블리 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하는 편차 및 OIS 이동부의 움직에 의한 편차의 보정을 나타낸다.
도 2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주밍 및 AF 수행 또는 손떨림 보정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24는 줌 배율 정보에 대응되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5는 도 24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획득된 샘플링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편차 또는 틸트량을 나타낸다.
도 26a는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보정값의 공급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6b는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보정값의 공급에 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6c는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보정값의 공급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6d는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보정값의 공급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7은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광학 기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개의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대응하는" 등의 용어는 "대향하는" 또는 "중첩되는" 의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상,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장치은 데카르트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좌표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도 있으며,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OA) 방향인 Z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광축(OA) 방향인 Z축 방향을 '제1 방향'이라 칭하고, X축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칭하고, Y축 방향을 '제3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Y축을 "제1축"이라 칭하고, Y축 방향을 "제1축 방향"이라 칭할 수 있고, X축을 "제2축"이라 칭하고, X축 방향을 "제2축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이하 "단자(terminal)"라는 표현은 패드, 전극, 또는 도전층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코드값"은 데이터, 또는 디지털값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2개의 구성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돌기와 홀 간의 결합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구성이 결합 돌기(또는 결합홀)일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한쪽이 이에 대응하여 결합홀(또는 결합 돌기)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손떨림 보정 기능, 오토 포커싱 기능, 및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 기능'은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또는 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를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광축으로 기준으로 렌즈를 틸트시키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싱 기능'이란,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기 위하여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일 수 있다. '줌 기능'은 줌 배율 변환을 위한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주밍(zooming) 기능일 수 있다.
이하 "카메라 장치"은 "카메라", "카메라 모듈", "촬상기" 또는 "촬영기"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장치(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카메라 장치의 도 1의 A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장치(200)은 제1 액추에이터(310), 제2 액추에이터(320), 및 이미지 센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320)는 광학 부재(40)를 움직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OIS(Optical Image Stabiliz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구동부", 또는 "OIS 구동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320)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액추에이터(320)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학 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320)는 광로 변경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제1 액추에이터(310)는 렌즈 어셈블리들(622, 624)을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오토 포커스 및/또는 줌(Zoom)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구동부" 또는 "AF 및 줌 구동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310)는 "제2 액추에이터"로 표현될 수 있고, 제2 액추에이터(320)는 "제1 액추에이터"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액추에이터(310)는 제2 액추에이터(320) 후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액추에이터(32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미지 센싱부(330)는 제2 액추에이터(320)의 광학 부재(40) 및 제1 액추에이터(310)의 렌즈 어셈블리들(640, 622, 624)을 통과한 빛을 수신하여 감지하고 감지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커버 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판(301) 및 측판(302)을 포함하는 상자 형태일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카메라 장치(200)는 제1 액추에이터(310), 제2 액추에이터(320) 및 이미지 센싱부(330)를 수용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의 상판(301)에는 광학 부재(40)의 입사면을 노출시키는 개구(303) 또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200)는 제1 액추에이터(310), 제2 액추에이터(320) 및 이미지 센싱부(330)를 수용하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제1 액추에이터(310), 제2 액추에이터(320), 및 이미지 센싱부(330)를 수용하기 위한 홀 또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의 측부 또는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의 측판(302)에는 브라켓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04)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304)는 측판(302)으로부터 광축과 수직한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0)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커버 부재(300)의 상판(301)에 배치되고, 커버 부재(300)의 개구(303)를 덮는 보호 필름(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24)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물질이 카메라 장치(2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 등으로부터 광학 부재(4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200)는 보호 필름(24)과 상판(301) 사이에 배치되고 보호 필름(24)을 상판(301)에 부착시키기 위한 보호 테이프(2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액추에이터(32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 액추에이터(3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홀더(3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6b는 홀더(30)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6c는 홀더(30)의 하방 사시도이고, 도 7은 홀더(30), 이동자 플레이트(61), 및 자성체 지지부(64)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a는 광학 부재(40), 이동자 플레이트(61) 및 OIS 마그네트(31)가 결합된 홀더(30)와 자성체 지지부(64)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b는 광학 부재(40), 이동자 플레이트(61), OIS 마그네트(31), 및 자성체 지지부(64)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9a는 제1 하우징(50)의 제1 사시도이고, 도 9b는 제1 하우징(50)의 제2 사시도이고, 도 9c는 제1 하우징(50)과 제2 자성체(63)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a는 제1 하우징(50), 홀더(30), 광학 부재(40), 제1 회로 기판(250A), 및 커버 플레이트(50A)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제1 내지 제3 OIS 마그네트들(31A,31B,32)과 제1 내지 제3 코일 유닛들(230A 내지 230C) 간의 상호 작용에 따른 전자기력과 이동자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a는 제2 액추에이터(320)의 도 4의 CD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1b는 제2 액추에이터(320)의 도 4의 EF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제2 액추에이터(320)는 커버 부재(300)의 개구(303)를 통과하여 광을 제1 액추에이터(310)로 입사되도록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학 부재(40) 및 광학 부재(40)를 광축 방향(예컨대, Z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예컨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부재(40)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학 부재(40)는 광을 반사시키는 프리즘(pris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미러(mirror)일 수도 있다.
광학 부재(40)는 입사광의 광 경로를 렌즈부의 중심축(Z)에 평행한 광축으로 변경시켜 입사광을 평행광으로 변경시킬 수 있고, 평행광은 제1 렌즈 어셈블리(640), 제2 렌즈 어셈블리(622) 및 제3 렌즈 어셈블리(624)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540)에 도달할 수 있다.
예컨대, 광학 부재(40)는 입사면(8A), 및 출사면(8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사면(8A)으로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출사면(8B)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예컨대, 광학 부재(40)는 입사면(8A), 반사면(8C), 및 출사면(8B)을 포함하는 직각 프리즘일 수 있다. 예컨대, 입사면(8A)과 출사면(8B) 사이의 내각은 직각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입사면(8A)과 반사면(8C) 사이의 제1 내각과 출사면(8B)과 반사면(8C) 사이의 제2 내각 각각은 30도 ~ 60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각과 제2 내각 각각은 45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광학 부재(40)에 의한 광로 변경으로 인하여 광학 부재(40)의 입사면(8A)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카메라 장치(2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카메라 장치(200)가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 또는 단말기(200A)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액추에이터(320)는 제1 하우징(50), 제1 하우징(50) 내에 배치되는 홀더(30), 홀더(30) 내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40), 홀더(30)와 하우징(5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60), 및 제2 구동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홀더(30)는 광학 부재(40)가 배치 또는 장착되기 위한 안착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04)는 홈 형태일 수 있고, 광학 부재(40)의 반사면(8C)이 배치되기 위한 장착면(104a)(또는 안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장착면(104a)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예컨대, 홀더(30)의 장착면(104a)에 광학 부재(40)를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면(104a)에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104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홀더(30)는 광학 부재(40)의 입사면(8A)을 노출하는 제1 개구 및 광학 부재(40)의 출사면(8B)을 노출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구는 홀더(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개구는 제1 액추에이터(310)의 렌즈 어셈블리(예컨대, 640)를 마주보는 홀더(30)의 일 측면(전방 외측면, 31a)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에 장착된 광학 부재(40)의 출사면(8B)은 제1 액추에이터(310)의 렌즈 어셈블리(예컨대, 64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의 상면(18)은 제1면(18A) 및 제1면(18A)과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2면(1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18A)은 홀더(30)의 후방 외측면(31b)에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면(18B)은 홀더(30)의 전방 외측면(31a)에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면(18B)은 제1면(18A)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면(18B)은 제1면(18A)보다 홀더(30)의 하면(19)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면(18B)이 제1면(18A)과 단차를 갖기 때문에, 홀더(30)가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틸트 또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때, 홀더(30)와 제1 하우징(50) 간의 공간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홀더(30)의 상면(예컨대, 제2면(18B))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38)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8)는 홀더(30)의 상면(예컨대, 제2면(18B))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또는 돌출부일 수 있다. 예컨대, 홀더(30)의 제1 및 제2 측부들 각각의 상면에 스토퍼(38)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8)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의 홀더(30)의 틸트 또는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38)의 상면의 높이는 제1면(18A)의 높이보다 낮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홀더(3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측부들(또는 외측면들)(31c, 31d)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부(104)는 홀더(30)의 제1 측부(31c)와 제2 측부(31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부(31c)와 제2 측부(31d)는 제3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거나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홀더(30)의 제1 및 제2 측부들(31c, 31d) 각각은 제1 외측면(19A) 및 제1 외측면(19A)과 제3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2 외측면(19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면(19A)은 홀더(30)의 후방 외측면(31b)에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 외측면(19B)은 홀더(30)의 전방 외측면(31a)에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외측면(19B)은 제1 외측면(19A)보다 홀더(30)의 내측면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홀더(30)의 제2 외측면(19B)이 제1 외측면(19A)과 단차를 갖기 때문에, 홀더(30)가 제3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틸트 또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때, 홀더(30)와 제1 하우징(50) 간의 공간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홀더(30)의 제1 및 제2 측부들(예컨대, 제2 외측면(19B))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39A)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9A)는 홀더(30)의 제1 및 제2 측부들(31c,31d) 각각의 외측면(예컨대, 제2 외측면(19B))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또는 돌출부일 수 있다. 스토퍼(39A)에 의하여 제3 방향으로의 홀더(30)의 틸트 또는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외측면(19B)을 기준으로 스토퍼(39A)의 돌출 높이는 제1 외측면(19A)과 제2 외측면(19B) 간의 단차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홀더(30)의 하면(17)은 제1면(17A) 및 제1면(17A)과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2면(1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17A)은 홀더(30)의 전방 외측면(31a)에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면(17B)은 홀더(30)의 후방 외측면(31b)에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면(17A)은 제2면(17B)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면(17B)은 제1면(17A)보다 홀더(30)의 상면(18)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홀더(30)의 하면(17)의 제2면(17B)이 제1면(17A)과 단차를 갖기 때문에, 홀더(30)가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틸트 또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때, 홀더(30)와 제2 OIS 코일(230C) 간의 공간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홀더(30)의 하면(예컨대, 제2면(17B))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41)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1)는 홀더(30)의 하면(예컨대, 제2면(17B))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또는 돌출부일 수 있다. 스토퍼(41)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의 홀더(30)의 틸트 또는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면(17B)을 기준으로 스토퍼(38)의 돌출 길이는 홀더(30)의 하면(17)의 제1면(17A)과 제2면(17B) 간의 단차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홀더(30)는 제1 OIS 마그네트(31)를 배치 또는 안착시키기 위한 제1 안착홈(16A) 및 제2 OIS 마그네트(32)를 배치 또는 안착시키기 위한 제2 안착홈(16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착홈(16A)은 홀더(30)의 제1 및 측부들(31c, 31d) 각각의 외측면(예컨대, 제1 외측면(19A))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착홈(16A)은 홀더(30)의 제1 및 측부들(31c, 31d) 각각의 제1 외측면(19A)으로부터 함몰된 홈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안착홈(16B)은 홀더(30)의 하면(17)(예컨대, 제2면(16B))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안착홈(16B)은 홀더(30)의 하면(17)(예컨대, 제2면(16B))으로부터 함몰된 홈 형태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홀더(30)의 후방 외측면(31b)은 제1면(21a), 제1 측부(31c)에 인접하거나 접하는 제2면(21b) 및 제2 측부(31d)에 인접하거나 접하는 제3면(21c)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에서 바라볼 때, 제1면(21a)은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제2면(21b)은 제1면(21a)의 제1면(21a)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3면(21c)은 제1면(21a)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면(21b)과 제3면(21c) 각각은 제1 방향(예컨대, Z축 방향)으로 제1면(21a)과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면(21a)은 제2면(21b)과 제3면(21c) 각각보다 홀더(30)의 내측면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면(21b)과 제3면(21c)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제1면(21a)과 제2면(21b) 간의 단차는 제1면(21a)과 제3면(21c) 간의 단차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양자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홀더(30)의 후방 외측면(31c)에는 이동자 플레이트(mover plate, 61)를 안착 또는 수용하기 위한 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홈(106)은 후방 외측면(31c)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후방 외측면(31c)으로부터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홀더(30)는 후방 외측면(31c)의 제1면(21a)에 형성되고, 이동자 플레이트(61)의 적어도 2개의 전방 돌기들(61B1, 61B2)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홈들(36A, 36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홀더(30)의 적어도 2개의 홈들(36A, 36B)은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홈(106)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홀더(30)는 후방 외측면(31c)의 제1면(21a)에 형성되는 제1홈(36A) 및 제1홈(36A)과 이격되고 제1홈(36A) 위에 위치하는 제2홈(36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홈이 제2홈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홈(36A)은 바닥면 및 복수의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6A)의 복수의 측면들 각각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b에서 제1홈(36A)의 측면들의 수는 4개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5개 이상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1홈(36A)의 복수의 측면들의 면적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홈(36A)의 복수의 측면들은 제2 방향 및 제3 방향으로 서로 대칭적일 수 있다. 예컨대, 제1홈(36A)의 바닥면은 정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홈(36B)은 바닥면 및 복수의 측면들(1A 내지 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36B)의 복수의 측면들(1A 내지 1D) 중 적어도 하나의 면적은 제2홈(36B)의 복수의 측면들(1A 내지 1D)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면적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홈(36B)의 2개의 측면들(1C,1D)은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2개의 측면들(1C,1D)의 면적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홈(36B)의 2개의 측면들(1A,1B)은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2개의 측면들(1A,1B)의 면적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홈(36B)의 측면들(1C, 1D) 각각의 제1 면적은 제3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홈(36B)의 측면들(1A, 1D) 각각의 제2 면적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면적은 제2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면적은 제2면적보다 클 수도 있다. 예컨대, 제2홈(36B)의 바닥면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30)의 제1 및 제2홈들이 모두 도 6b에 도시된 제1홈(36A)의 형상을 가질 경우, 홀더(30)의 제1 및 제2홈들 또는/및 이동자 플레이트(61)의 전방 돌기들에 관한 제조 공차가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이동자 플레이트(61)의 전방 돌기들이 홀더(30)의 제1 및 제2홈들에 적합하게 또는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제2홈(36B)의 형상을 제1홈(36A)과 다르게 함으로써, 이동자 플레이트(61)의 전방 돌기들(61B1, 61B2)과 홀더(30)의 제1 및 제2 홈들(36A, 36B) 간의 결합 마진을 높일 수 있다. 즉 상술한 제조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제2홈(36B)에 의하여 이동자 플레이트(61)의 전방 돌기들(61B1,61B2)이 홀더(30)의 제1 및 제2홈들(36A,36B)에 적합하게 또는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안정적인 OIS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제1홈(36A)과 제2홈(36B) 주위에는 돌출부(22A) 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A)는 후방 외측면(31c)의 제1면(21a)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전방 돌기들(61B1, 61B2)과 제1 및 제2홈들(36A, 36B) 사이에는 윤활제가 배치될 수 있는데, 돌출부(22A)는 윤활제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30)의 후방 외측면(31c)에는 자성체 지지부(64)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05A, 105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홀더(30)는 후방 외측면(31c)의 제2면(21b)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05A), 및 제3면(21c)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105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결합홈들(105A, 105B) 각각의 측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A)(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돌기(2A)는 자성체 지지부(64)의 적어도 하나의 홈(7B)에 대응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7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홈들(105A, 105B) 각각의 측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제가 배치되기 위한 홈들(4A)이 형성될 수 있다. 홈들(4A)에 의하여 접착제 및 자성체 지지부(64)와의 접착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홀더(30)와 자성체 지지부(64)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홀더(30)는 후방 외측면(31c)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37)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37)는 후방 외측면(31c)의 제2면(21b) 및 제3면 (21c)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또는 돌출부 형태일 수 있다.
제1 하우징(50)은 커버 부재(3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50)과 커버 부재(300)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쉴드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하우징(50)은 커버 부재(300)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홀더(30)는 제1 하우징(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50)은 홀더(3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홀더(30)에 배치된 광학 부재(40)의 입사면(8A)과 출사면(8B)을 노출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예컨대, 제1 하우징(50)은 광학 부재(40)의 입사면(8A)을 노출하기 위한 제1 개구(53A)(또는 제1홀) 및 광학 부재(40)의 출사면(8B)을 노출하기 위한 제2 개구(53B)(또는 제2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50)은 상부(27A), 하부(27B), 및 상부(27A)와 하부(27)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부들(28A 내지 28D)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27A)와 하부(27B)는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마주보거나 또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50)은 제1 측부(28A), 제2 측부(28B), 제3 측부(28C), 및 제4 측부(28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50)의 제1 측부(28A)는 제1 액추에이터(310)의 렌즈 어셈블리(예컨대, 640)와 대향하거나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53A)는 상부(27A)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구(53B)는 제1 측부(28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부(28B)는 제1 방향으로 제1 측부(28A)와 마주보거나 또는 제1 측부(28A)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측부(28C)와 제4 측부(28D)는 제1 측부(28A)와 제2 측부(28D)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거나 또는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측부(28C)는 제1 측부(28A)의 일단과 제2 측부(28B)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고, 제4 측부(28D)는 제1 측부(28A)의 타단과 제2 측부(28B)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50)은 제1 OIS 코일 유닛(230A)을 안착 또는 배치하기 위하여 제3 측부(28C)에 형성되는 제1홀(54A), 제2 OIS 코일 유닛(230B)을 안착 또는 배치하기 위하여 제4 측부에 형성되는 제2홀(54B), 및 제3 OIS 코일 유닛(230C)을 안착 또는 배치하기 위하여 하부(27B)에 형성되는 제3홀(54C)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홀들(54A 내지 54C) 각각은 관통홀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홈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하우징(50)의 제3 측부(28C)(또는 제4 측부(28D))에는 제2 드라이버(260)가 배치 또는 안착되기 위한 홈(56)(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홈(56)은 제1홀(54A)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50)은 제3 측부(28C), 및 제4 측부(28D)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돌기(51)는 제3 측부(28C) 및 제4 측부(28D) 각각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50)은 제1 측부(28A)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52A)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돌기(52A)는 제1 측부(28A)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50)은 하부(28B)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5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돌기(52B)는 하부(28B)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50)의 제3 측부(28C)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회로 기판(250A)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59A, 59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50)의 제4 측부(28D)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회로 기판(250B)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50)의 제2 측부(28B)에는 이동자 플레이트(61)의 적어도 2개의 후방 돌기들(61C1, 61C2)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홈들(58A, 58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50)의 적어도 2개의 홈들(58A, 58B)은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홈들(58A, 58B) 주위에도 돌출부 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 돌기들과 홈들(58A, 58B) 사이에는 윤활제가 배치될 수 있고, 돌출부(22A)에 대한 설명이 적용 또는 준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50)은 제2 측부(28B)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측부(28A)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57)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57)에는 이동자 플레이트(61)의 후방 돌기들(61C1, 61C2)에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는 제1홈(58A) 및 제2홈(58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57)는 제2 측부(28B)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부분(57A) 및 제1 부분(57A)과 제1 하우징(50)의 하부(27B)를 연결하는 제2 부분(5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50)의 제1홈(58A) 및 제2홈(58B)은 돌출부(57)의 제2 부분(57B)의 내측면(또는 전면(front surface))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57)의 후면(rear surface)에는 제2 자성체(63)를 배치 또는 안착시키기 위한 홈(44A)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30)의 제1 및 제2홈들(36A, 36B)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제1 하우징(50)의 제1 및 제2홈들(58A, 58B)에 적용 또는 준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제1 하우징(50)의 제2홈(58B)의 형상을 제1홈(58A)과 다르게 함으로써, 이동자 플레이트(61)의 후방 돌기들(61C1, 61C2)과 제1 하우징(50)의 제1 및 제2 홈들(58A, 58B) 간의 결합 마진을 높일 수 있다. 즉 이동자 플레이트(61)의 후방 돌기들과 제1 하우징의 제1 및 제2홈들에 대한 제조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제2홈(58B)에 의하여 이동자 플레이트(61)의 후방 돌기들(61C1,61C2)이 제1 하우징(50)의 제1 및 제2홈들(58A, 58B)에 적합하게 또는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안정적인 OIS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b에서는 제1 하우징(50)을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1홈(58A)이 좌측에 위치하고 제2홈(58B)이 우측에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홈(58A)이 우측에 위치하고, 제2홈(58B)이 좌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50)의 제2 측부(28B)에는 자성체 지지부(64)가 배치되기 위한 개구(5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50)의 제2 측부(28B)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50)의 제2 측부(28B)에는 제1 관통홀(55A) 및 제2 관통홀(55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50)의 후방에서 바라볼 때, 제1 관통홀(55A)은 제1 하우징(50)의 돌출부(57)의 일측(예컨대,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관통홀(55B)은 돌출부(57)의 다른 일측(예컨대,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부(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부(60)는 홀더(30)와 제1 하우징(5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하우징(50)에 대하여 홀더(3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60)는 홀더(30)와 제1 하우징(50)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자 플레이트(61, mover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자 플레이트(61)는 홀더(30)와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전방 돌기들(61B1, 61B2) 및 제1 하우징(50)과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후방 돌기들(61C1, 61C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2개의 전방 돌기들(61B1, 61B2)은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전방 돌기들(61B1, 61B2) 각각은 홀더(30)의 제1 및 제2홈들(36A,36B)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2개의 후방 돌기들(61C1, 61C2)은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후방 돌기들(61C1, 61C2) 각각은 제1 하우징(50)의 제1 및 제2홈들(58A,58B)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자 플레이트(61)는 홀더(30)의 홈(106) 내에 배치되는 몸체(61A), 몸체(61A)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전방 돌기들(61B1, 61B2), 및 몸체(61A)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후방 돌기들(61C1,61C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방 돌기(61B1,61B2)와 후방 돌기(61C1, 61C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전방 돌기들(61B1, 61B2) 각각은 곡면 형상, 반구 형상, 돔 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컨대, 후방 돌기들(61C1, 61C2) 각각은 곡면 형상, 반구 형상, 돔 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방 돌기들 대신에 이동자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전방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후방 돌기 대신에 이동자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후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더에는 제1 및 제2홈들(36A, 36B) 대신에 이동자 플레이트의 전방 홈들과 결합하기 위한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하우징에는 제1 및 제2홀들(58A, 58B) 대신에 이동자 플레이트의 후방 홈들과 결합하기 위한 돌기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동자 플레이트(61)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와 같은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동자 플레이트(61)는 금속, 예컨대, SUS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동자 플레이트(61)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에에서는 이동자 플레이트는 자성체일 수도 있다.
지지부(60)는 홀더(30)에 결합되는 제1 자성체(62) 및 제1 하우징(40)에 결합되는 제2 자성체(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0)는 제1 자성체(62)가 배치되고, 홀더(30)와 결합되는 자성체 지지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성체 지지부(64)는 제1 하우징(40)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여 홀더(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자성체 지지부(64)는 제1 자성체(62)가 배치되는 몸체(93), 몸체(9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하우징(50)의 제1 관통홀(55A)을 통과하여 홀더(30)의 제1 결합홈(105A)에 결합되는 제1 연장부(94a), 및 몸체(93)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하우징(50)의 제2 관통홀(55B)을 통과하여 홀더(30)의 제2 결합홈(105B)에 결합되는 제1 연장부(94b)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 지지부(64)의 몸체(93)의 전면에는 제1 자성체(62)가 안착 또는 배치되기 위한 홈(64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제에 의하여 제1 자성체(62)는 자성체 지지부(64)의 홈(64a)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접착제에 의하여 자성체 지지부(64)의 연장부(94a, 94b)는 홀더(30)의 결합홈(105A,105B)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자성체(63)는 제1 하우징(50)의 제2 측부(28B)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자성체(63)는 제1 하우징(50)의 돌출부(57)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자성체(63)는 제1 하우징(50)의 돌출부(57)의 홈(44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제에 의하여 제2 자성체(63)는 제1 하우징(50)의 홈(44a)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자성체(62)와 제2 자성체(63)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거나 또는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성체(63)는 제1 자성체(62)와 이동자 플레이트(6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이동자 플레이트(61)는 제1 자성체(62)와 제2 자성체(63)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제1 자성체(62) 및 제2 자성체(64) 모두가 이동자 플레이트(61)를 기준으로 이동자 플레이트(61)의 일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자성체(62)와 제2 자성체(63) 간의 이격 거리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1 자성체(62)와 제2 자성체(63) 간의 자기력(예컨대, 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체들(62, 63) 간의 척력에 의하여 이동자 플레이트(61)는 홀더(30) 및/또는 제1 하우징(50)에 가압될 수 있고, 홀더(30) 및/또는 제1 하우징(50)에 밀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제1 자성체(62)와 제2 자성체(63) 간의 자기력(예컨대, 척력)이 크기 때문에, 이동자 플레이트(61)가 홀더(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정적인 OIS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자성체(62)의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자성체(63)의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자성체(62)의 제3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자성체(63)의 제3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자성체(62)의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자성체(63)의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고, 제1 자성체(62)의 제3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자성체(63)의 제3 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자성체(63)와 마주보는 제1 자성체(62)의 제1면의 면적은 제1 자성체(62)를 마주보는 제2 자성체(63)의 제1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자성체의 제1면의 면적은 제2 자성체의 제1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도 있다.
제1 자성체(62)와 제2 자성체(63)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제1 자성체(62)는 제1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자성체(63)는 제1 마그네트와 척력이 작용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자성체(62)는 제1 마그네트와 대응되고, 홈(64a) 내에 배치되는 제1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자성체(63)는 제2 마그네트와 대응되고 제1 하우징(50)의 홈(44A) 내에 배치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요크와 제2 요크는 제1 자성체(62)와 제2 자성체(63)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예컨대, 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성체(62)와 제2 자성체(63)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동일한 극성(N극 또는 S극)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서로 반대 극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구동부(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구동부(70)는 홀더(30)를 제2 방향 또는 제3 방향으로 틸트시키거나 또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제2 구동부(70)는 OIS 마그네트(31), OIS 코일(230), OIS 위치 센서부(240), 및 제1 기판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OIS 마그네트(31)는 홀더(3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OIS 마그네트(31)는 제1 OIS 마그네트(31A, 31B) 및 제2 OIS 마그네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OIS 마그네트는 홀더(30)의 제1 측부(31c)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유닛(31A) 및 홀더(30)의 제2 측부(31d)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 유닛(3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 유닛(31A)은 제3 방향으로 제2 마그네트 유닛(31B)과 대향하거나 오버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 유닛(31A)은 홀더(30)의 제1 측부(31c)의 제1 안착홈(16A)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마그네트 유닛(31B)은 홀더(30)의 제2 측부(31d)의 제1 안착홈(16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OIS 마그네트는 홀더(30)의 하면(17)에 배치되는 제3 마그네트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마그네트 유닛(32)은 홀더(30)의 제2 안착홈(16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마그네트 유닛들(31A,31B,32) 각각은 1개의 N극과 1개의 S극을 갖는 단극 착자 마그네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N극과 2개의 S극을 갖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마그네트 유닛들(31A,31B,32) 중 적어도 하나는 단극 착자 마그네트일 수 있고, 나머지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일 수도 있다.
OIS 코일(230)은 OIS 마그네트(31)에 대응 또는 대향하여 제1 하우징(5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OIS 코일(230)은 제3 방향으로 제1 OIS 마그네트(31A, 31B)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는 제1 OIS 코일(230A, 230B) 및 제2 방향으로 제2 OIS 마그네트(32)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는 제2 OIS 코일(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OIS 코일은 제3 방향으로 제1 마그네트 유닛(31A)과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는 제1 OIS 코일 유닛(230A) 및 제3 방향으로 제2 마그네트 유닛(31B)과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는 제2 OIS 코일 유닛(23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OIS 코일은 제2 방향으로 제3 마그네트 유닛(32)과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는 제3 OIS 코일 유닛(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OIS 코일 유닛(230A)은 제1 하우징(50)의 제3 측부(28C)(예컨대, 제1홀(34A))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OIS 코일 유닛(230B)은 제1 하우징(50)의 제4 측부(28D)(예컨대, 제2홀(54B))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OIS 코일 유닛(230C)은 제1 하우징(50)의 하부(28B)(예컨대, 제3홀(54C))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OIS 코일 유닛(230A)은 중공 또는 홀을 포함하는 폐곡선 또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OIS 코일 유닛(230A)은 제3 방향과 평행한 제3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감긴 코일 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OIS 코일 유닛(230B)은 중공 또는 홀을 포함하는 폐곡선 또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OIS 코일 유닛(230B)은 제3 방향과 평행한 제3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감긴 코일 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OIS 코일 유닛(230C)은 중공 또는 홀을 포함하는 폐곡선 또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OIS 코일 유닛(230C)은 제2 방향과 평행한 제2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감긴 코일 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OIS 마그네트(31A,31B)와 제1 OIS 코일(230A, 230B)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 전자기력(F21, F22, F31, F32)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1 마그네트 유닛(31A)와 제1 OIS 코일 유닛(230A) 간의 상호 작용 및 제2 마그네트 유닛(31B)와 제2 OIS 코일 유닛(230B)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 전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 유닛(31A)와 제1 OIS 코일 유닛(230A)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1 전자기력(F22, F32)이 발생될 수 있고, 제2 마그네트 유닛(31B)와 제2 OIS 코일 유닛(230B)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2 전자기력(F21, F31)이 발생될 수 있고, 제1 전자기력은 제1-1 전자기력(F22, F32)과 제1-2 전자기력(F21, F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OIS 마그네트(32)와 제3 OIS 코일 유닛(230C)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2 전자기력(F1, F2)이 발생될 수 있다.
제1 전자기력(F21, F22, F31, F32)에 의하여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는 제2축(예컨대, X축) 틸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축(X축) 틸팅은 제2축(X축)을 기준으로 OIS 가동부가 틸트되거나 또는 제2축(X축)을 회전축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OIS 이동부가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전자기력(F1, F2)에 의하여 OIS 이동부는 제3축(예컨대, Y축) 틸팅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축(Y축) 틸팅은 제3축을 기준으로 OIS 이동부가 틸트되거나 또는 제3축을 회전축으로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OIS 이동부가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OIS 가동부는 홀더(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OIS 가동부는 홀더(30)에 결합 또는 장착되는 구성, 예컨대, OIS 마그네트(31A, 31B, 32), 요크(33), 및 자성체 지지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IS 가동부는 이동자 플레이트(61) 및 제1 자성체(6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OIS 코일 유닛(230A)과 제2 OIS 코일 유닛(230B)은 제3 방향(Y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고, 제1 OIS 마그네트(31A)과 제2 OIS 마그네트(31B)은 제3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홀더(30)의 제1 측부(31c) 및 제4 측부(31d)에 전자기력이 균형있게 가해짐으로써, X축 틸트가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OIS 마그네트(31A,31B)와 제1 OIS 코일(230A, 230B)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는 제3축(예컨대, Y축) 틸팅될 수 있고, 제2 OIS 마그네트(32)와 제3 OIS 코일 유닛(230C)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는 제2축(예컨대, X축) 틸팅될 수도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OIS 마그네트(31, 32)에 배치되는 요크(33: 33A, 33B, 3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요크(33)는 제1 마그네트 유닛(31A)에 배치되는 제1 요크(33A), 제2 마그네트 유닛(31B)에 배치되는 제2 요크(33B), 및 제3 마그네트 유닛(32)에 배치되는 제3 요크(33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요크(33A)는 홀더(30)의 제1 측부(31c)의 제1 안착홈(16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요크(33A)는 제1 마그네트 유닛(31A)보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요크(33B)는 홀더(30)의 제2 측부(31d)의 제1 안착홈(16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요크(33B)는 제2 마그네트 유닛(31B)보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요크(33C)는 홀더(30)의 제2 안착홈(16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요크(33C)는 제3 마그네트 유닛(32)보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크(33A) 및 제2 요크(33B)는 제1 전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3 요크(33C)는 제2 전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요크들(33A 내지 33C) 중 적어도 하나(예컨대, 제3 요크(33C))에는 홈(35a)이 형성될 수 있고, 홀더(30)의 안착홈들(16A, 16B) 중 적어도 하나에는 홈(35a)에 대응되는 돌기(35b)가 형성될 수 있다(도 6c 참조). 홈(35a)과 돌기(35b)는 요크(33)와 홀더(3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기판부(250)는 제1 하우징(5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판부(250)는 제1 하우징(5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판부(250)는 OIS 코일(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OIS 코일(23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OIS 코일 유닛(230A)과 제2 OIS 코일 유닛(230B)은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제1 기판부(250)는 제1 구동 신호를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OIS 코일 유닛들(230A, 230B)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부(250)는 제2 구동 신호를 제3 OIS 코일 유닛(230C)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기판부(250)는 제1 하우징(50)의 제3 측부(28C)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250A), 제1 하우징(50)의 제4 측부(28D)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250B), 및 제1 하우징(50)의 하부(27B)에 배치되는 제3 회로 기판(250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회로 기판(250A)이 제3 회로 기판(250C)과 이격된 것으로 보이지만, 제1 내지 제3 회로 기판들(250A 내지 250C)은 하나의 일체형 기판일 수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회로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들과 일체형이 아닐 수 있고, 양자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회로 기판(250A)에는 제1 하우징(50)의 제3 측부(28C)의 결합 돌기(51)와 결합되기 위한 홀(25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 기판(250A)은 복수의 단자들(2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코일 유닛(230A)은 제1 회로 기판(250A)의 제1면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고, 복수의 단자들(251)은 제1 회로 기판(250A)의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50A)의 제1면은 제1 하우징(50)의 제3 측부(28C)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50A)의 제2면은 제1 회로 기판(250A)의 제1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제1 기판부(250)는 제2 회로 기판(250B)과 제3 회로 기판(250C) 사이 및 제1 회로 기판(250A)과 제3 회로 기판(250C) 사이를 연결하는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250B)에는 제1 하우징(50)의 제4 측부(28D)의 결합 돌기(51)와 결합되기 위한 홀(25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회로 기판(250C)에는 제1 하우징(50)의 하부(28B)의 결합 돌기(52B)와 결합되기 위한 홀(251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OIS 코일 유닛(230B)은 제2 회로 기판(250B)의 제1면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250B)의 제1면은 제1 하우징(50)의 제4 측부(28C)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3 OIS 코일 유닛(230C)은 제3 회로 기판(250C)의 제1면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제3 회로 기판(250C)의 제1면은 제1 하우징(50)의 하부(28B)의 외면에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판부(250)는 경성 인쇄 회로 기판(Rigid 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CB), 또는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RigidFlexible 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부(250)는 제1 내지 제3 회로 기판들(250A, 250B, 250C)에 배치된 구성들과 복수의 단자들(25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제1 기판부(250)에 배치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이로 센서(82)는 2축, 3축, 또는 5축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각속도 센서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제1 기판부(250)에 배치되는 제2 드라이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회로 기판(250A)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하우징(5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하우징(50)의 제1 회로 기판(250A)의 제1면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OIS 코일(230A, 230B) 및 제2 OIS 코일(230C)과 전기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OIS 위치 센서(240A, 240B) 및 제2 OIS 위치 센서(240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OIS 위치 센서(240A, 240B) 및 제2 OIS 위치 센서(240C) 각각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OIS 위치 센서(240A, 240B)의 제1 출력 신호 및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OIS 코일(230A, 230B)에 제1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전류 또는 구동 전압)를 공급할 수 있고, 제1 OIS 위치 센서(240A, 240B)의 제1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구동 신호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제2 OIS 코일(230C)에 제2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전류 또는 구동 전압)를 공급할 수 있고,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2 구동 신호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OIS 드라이버", 제2 드라이버 IC", 또는 "OIS 제어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200)는 제1 하우징(50)의 제2 측부(28B)에 배치되고, 제1 하우징(50)의 개구(55)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0A)는 제1 하우징(50)의 제2 측부(28B)의 외측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있고, 이물질이 제1 하우징(5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IS 위치 센서부(240)는 OIS 가동부의 이동에 따른 OIS 가동부의 제2 방향 또는/및 제3 방향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OIS 위치 센서부(240)는 "제2 위치 센서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OIS 위치 센서부(240)는 복수의 개의 위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OIS 위치 센서부(240)는 제1 OIS 위치 센서(240A, 240B) 및 제2 OIS 위치 센서(2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위치 센서(240A,240B)는 제2축(예컨대, X축)을 기준으로한 OIS 이동부(예컨대, 광학 부재(40))의 변위(또는 틸트 또는 틸트량)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OIS 위치 센서(240C)는 제3축(예컨대, Y축)을 기준으로한 OIS 이동부(예컨대, 광학 부재(40))의 변위(또는 틸트 또는 틸트량)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OIS 위치 센서(240A, 240B)의 적어도 일부는 제3 방향으로 제1 OIS 마그네트(31)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고, 제1 OIS 마그네트(31)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OIS 위치 센서는 제1 회로 기판(250A)에 배치 또는 실장되는 제1 센서(240A) 및 제2 회로 기판(240B)의 제1 기판(250-1)에 배치 또는 실장되는 제2 센서(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240A)는 제1 OIS 코일 유닛(230A)의 중공(또는 홀)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센서(240B)는 제2 OIS 코일 유닛(230B)의 중공(또는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240A)와 제2 센서(240B) 각각은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 및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제1 센서(240A)의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과 제2 센서(240B)의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은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및 제2 센서들(240A, 240B)의 병렬 연결된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에 구동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센서(240A)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과 제2 센서(240B)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은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센서들(240A,240B)의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의 양단으로부터 제1 출력 신호가 출력될 수 있고, 제1 출력 신호는 제2 드라이버(26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방향으로 제2 OIS 마그네트(32)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고, 제2 OIS 마그네트(32)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OIS 위치 센서(240C)는 제3 회로 기판(250C)에 배치 또는 실장되는 제3 센서(240C1) 및 제4 센서(240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240C1) 및 제4 센서(240C2)는 제2 방향으로 제3 OIS 마그네트(32)와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센서(240C1) 및 제4 센서(240C2)는 제3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센서(240C1) 및 제4 센서(240C)는 제3 OIS 코일 유닛(230C)의 중공(또는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센서(240C1)와 제4 센서(240C2) 각각은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 및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제3 센서(240C1)의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과 제4 센서(240B)의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은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제2 드라이버(260)는 제3 및 제4 센서들(240C1, 240C2)의 병렬 연결된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에 구동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3 센서(240C1)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과 제4 센서(240C2)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은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제3 및 제4 센서들(240C1,240C2)의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의 양단으로부터 제2 출력 신호가 출력될 수 있고, 제2 출력 신호는 제2 드라이버(260)로 전송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1 및 제2 센서들(71A,71B)과 제1 회로 기판(192)에 대한 설명 또는 제3 및 제4 센서들(72A, 27B)과 제2 회로 기판(194)에 대한 설명은 도 5의 제1 및 제2 센서들(240A, 240B), 제3 및 제4 센서들(240C1, 240C2)과 제1 기판부(250)에 적용되거나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센서들 각각의 출력 단자들은 연결되지 않고 서로 독립적일 수 있고, 독립적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및 제4 센서들 각각의 출력 단자들은 연결되지 않고 서로 독립적일 수 있고, 독립적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OIS 위치 센서는 하나의 위치 센서(예컨대, 홀 센서 또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IC)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OIS 위치 센서는 하나의 위치 센서(예컨대, 홀 센서 또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I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제1 액추에이터(310) 및 이미지 센싱부(330)의 사시도이고, 도 13a는 도 12의 제1 액추에이터(310) 및 이미지 센싱부(330)의 제1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2의 제1 액추에이터(310) 및 이미지 센싱부(330)의 제2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a는 도 12의 제1 액추에이터(310) 및 이미지 센싱부(330)의 ab 단면도이고, 도 14b는 도 12의 제1 액추에이터(310) 및 이미지 센싱부(330)의 cd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1 액추에이터(31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6a는 제2 하우징(61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6b는 제2 하우징(610)의 몸체(612)의 사시도이고, 도 17a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 614B)과 렌즈부(620)의 제1 사시도이고, 도 17b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 614B)과 렌즈부(620)의 제2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130A, 130B) 및 렌즈부(62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액추에이터(310)는 제2 하우징(610), 제2 하우징(610) 내에 배치되는 렌즈부(620) 및 렌즈부(620)를 제1 방향(예컨대, 광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620)는 "렌즈 어셈블리"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렌즈부(620)는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8에서는 렌즈부(620)는 2개의 렌즈 어셈블리들(622, 624)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렌즈 어셈블리(622) 및 제3 렌즈 어셈블리(624)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310)는 렌즈부(620)와 제2 액추에이터(3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어셈블리(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렌즈 어셈블리(640)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 고정 렌즈 어셈블리일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640)는 제1 렌즈 어레이(642)(또는 제1 렌즈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렌즈 어셈블리(640)는 제1 렌즈 어레이(642)와 결합되는 렌즈 배럴(6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어셈블리(640)는 렌즈 배럴(641)과 결합되는 제3 하우징(6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643)은 제2 하우징(610)과 제1 하우징(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610)과 제1 하우징(5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하우징(643)의 전면에는 제2 하우징(610)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46A)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홀(64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하우징(643)의 후면에는 제1 하우징(50)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52A)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640)는 제1 액추에이터(310)에 포함되는 것으로 표현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액추에이터(310)에 포함되지 않도록 표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렌즈 어셈블리(6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에에서는 640, 622, 624 중 어느 하나는 "제1 렌즈 어셈블리"로 표현될 수 있고, 640, 622, 624 중 다른 하나는 "제2 렌즈 어셈블리"로 표현될 수 있고, 640, 622, 624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제3 렌즈 어셈블리"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 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640)는 고정 렌즈군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렌즈 어셈블리(622) 및 제3 렌즈 어셈블리(624)는 이동 렌즈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렌즈 어셈블리(640)은 평행광을 특정 위치에 결상하는 집광자(foc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어셈블리(622)는 집광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640)에서 결상된 상을 다른 곳에 재결상 시키는 변배자(vari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렌즈 어셈블리(622)에서는 피사체와의 거리 또는 상거리가 많이 바뀌어서 배율이 크게 변화될 수 있고, 변배자인 제2 렌즈 어셈블리(622)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또는 배율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변배자인 제2 렌즈 어셈블리(6220)에서 결상되는 상점은 위치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 어셈블리(624)는 변배자에 의해 결상된 상에 대한 위치 보상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렌즈 어셈블리(624)는 변배자인 제2 렌즈 어셈블리(622)에서 결상된 상점을 이미지 센서(540)의 화소에 정확히 결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상자(compens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어셈블리(622)는 주밍 기능을 수행하는 줌 렌즈 어셈블리일 수 있으며, 제3 렌즈 어셈블리(624)는 초점 기능을 수행하는 포커스 렌즈 어셈블리일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610)은 제1 하우징(50)과 이미지 센서부(330)(예컨대, 센서 베이스(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610)은 "베이스" 또는 "홀더" 등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제2 하우징(610)은 커버 부재(300)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렌즈부(620)와 제1 구동부(630)를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을 갖는 다면체(에컨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하우징(610)은 상부(142A)(또는 상판), 하부(142B)(또는 하판), 상부(142A)와 하부(142B)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부들(141-1 내지 141-4)을 포함하는 몸체(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610)의 상부(142A)는 커버 부재(300)의 상판(301)에 대향할 수 있고, 측부들(141-1 내지 141-4)은 커버 부재(300)의 측판(302)에 대향할 수 있다.
측부들(141-1 내지 141-4)은 "측판들" 또는 "측벽들"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부(141-1)와 제2 측부(141-2)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거나 또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측부(141-3)와 제4 측부(141-3)는 제3 방향으로 서로 마부보거나 또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우징(610)의 제1 측부(141-1)에는 렌즈부(620)의 일단을 노출하기 위한 제1 개구(41A)(또는 제1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610)의 제2 측부(141-2)에는 렌즈부(620)의 다른 일단을 노출하기 위한 제2 개구(41B)(또는 제2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610)의 제3 측부(141-3)에는 제1 코일(120A)이 배치 또는 안착되기 위한 제3 개구(41C)(또는 제3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610)의 제4 측부(141-4)에는 제2 코일(120B)이 배치 또는 안착되기 위한 제4 개구(41C)(또는 제3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및 제4 개구들(41C, 41D) 각각은 관통홀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 형태일 수도 있다.
제2 하우징(610)의 제3 측부(141-3)에는 제2 기판부(190)의 제1 회로 기판(192)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 돌기(45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 돌기(45A)는 제3 측부(141-3)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하우징(610)의 제4 측부(141-1)에는 제2 기판부(190)의 제2 회로 기판(194)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 돌기(45B)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 돌기(45B)는 제4 측부(141-4)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610)의 제2 측부(14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결합 돌기(46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610)은 제1 가이드부(614A) 및 제2 가이드부(6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614A)는 주밍(zooming) 동작에 의하여 렌즈부(620)가 이동할 때 제2 렌즈 어셈블리(622)를 지지하고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614B)는 주밍(zooming) 동작에 의하여 렌즈부(620)가 이동할 때, 제3 렌즈 어셈블리(624)를 지지하고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614A)는 렌즈부(620)와 제3 측부(141-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가이드부(614b)는 렌즈부(620)와 제4 측부(14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부(614A)는 제2 하우징(610)의 제3 측부(141-3)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가이드부(614B)는 제2 하우징(610)의 제4 측부(141-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부(614A)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홈(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614B)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홈(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홈은 "레일(rail)" 또는 "홈"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부(614A) 및 제2 가이드부(614B) 각각은 몸체(63A) 및 몸체(63A)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출부(63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 홈(212A)은 제1 가이드부(614A)의 몸체(63A)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홈(212B)은 제2 가이드부(614B)의 몸체(63A)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 614B) 각각의 몸체(63A)의 내측면은 렌즈부(620)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서는 하나의 제1 가이드 홈(212A)이 제1 가이드부(614A)의 몸체(63A)의 내측면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나의 제2 가이드 홈(212B)이 제2 가이드부(614B)의 몸체(63A)의 내측면의 상측에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 각각의 몸체의 내측면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212A, 212B) 각각은 몸체(64A)의 내측면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614A) 및 제2 가이드부(614B) 각각의 돌출부(63B)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이 연장되는 방향(예컨대,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부(614A)의 돌출부(63B)와 제2 가이드부(614B)의 돌출부(63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63B)는 제1 가이드부(614A) 및 제2 가이드부(614B) 각각의 후면 또는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 614B) 각각의 돌출부(63B)에는 제2 하우징(610)의 몸체(612)의 후단과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68)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63B)의 홀(68)은 제2 하우징(610)의 몸체(612)의 결합 돌기(46A)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돌기(46A)는 돌출부(63B)의 홀(68)을 통과하여 제3 하우징(643)의 제1 결합홀(643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614A) 및 제2 가이드부(614B) 각각의 전면 또는 전단에는 제2 하우징(610)의 몸체(612)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6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하우징(610)의 몸체(612)의 내면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 614B)의 결합 돌기(6A)와 결합하는 결합홀(6B)이 형성될 수 있다(도 16B 참조).
도 16b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610)의 몸체(612)의 내면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 614B)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들(44A 내지 44D)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 돌기(44A)는 제2 하우징(610)의 하부(142B)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돌기(44B)는 제2 방향으로 제1 가이드 돌기(44A)에 대응하여 제2 하우징(610)의 상부(142A)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614A)는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들(44A, 44B)과 제2 하우징(610)의 제3 측부(141-3) 사이의 공간(49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3 가이드 돌기(44C)는 제2 하우징(610)의 하부(142B)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가이드 돌기(44D)는 제2 방향으로 제3 가이드 돌기(44C)에 대응하여 제2 하우징(610)의 상부(142A)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614B)는 제3 및 제4 가이드 돌기들(44C, 44D)과 제2 하우징(610)의 제4 측부(141-4) 사이의 공간(49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돌기들(44A 내지 44D)에 의하여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 614B)은 제2 하우징(610)의 몸체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충격 등에 의하여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 614B)이 본래 자리에서 이탈되거나 렌즈부(62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614A)는 제1 마그네트(130A)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는 제1 개구(67A)(또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구(67A)는 제1 마그네트(130A)와 제1 코일(12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614B)는 제2 마그네트(130B)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는 제2 개구(67B)(또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구(67B)는 제2 마그네트(130B)와 제2 코일(12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들(67A, 67B)에 의하여 제1 마그네트(130A)와 제1 코일(120A)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 및 제2 마그네트(130B)와 제2 코일(120B)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서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614B)와 제2 하우징(610)의 몸체(612)가 각각 별도의 사출물로 형성되고, 별개의 사물물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인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은 제2 하우징의 몸체와 하나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하우징(610)의 몸체(612)의 상부(142A)에는 렌즈부(620)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6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610)은 개구(621)를 덮는 커버(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개구(62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커버(614)가 생략될 수도 있다.
렌즈부(620)는 제1 가이드부(614A)를 따라 이동하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 및 제2 가이드부(614B)를 따라 이동하는 제3 렌즈 어셈블리(6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a, 도 17b,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2 렌즈 어셈블리(622)는 제1 렌즈 홀더(29) 및 제1 렌즈 홀더(29)에 배치되는 제2 렌즈 어레이(49)(또는 제2 렌즈군)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는 "보빈(bobbin)"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레이(49)는 단일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홀더(29)는 제2 렌즈 어레이(49)가 배치되는 제1 렌즈 배럴(29A) 및 제1 렌즈 배럴(29A)과 결합되는 제1 지지부(29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렌즈 배럴(29A)은 경통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렌즈 어레이(49)가 결합되기 위한 개구(29C)(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9B)의 제1 측면(또는 제1면)은 제1 렌즈 배럴(29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9B)는 제3 방향으로 제1 가이드부(614A)의 몸체(63A)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9B)의 제2 측면(또는 제2면)에는 제1 마그네트(130A)가 배치 또는 안착되기 위한 제1 안착부(3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9B)의 제2 측면(또는 제2면)은 제1 가이드부(614A)를 마주보는 면일 수 있고, 제1 지지부(29B)의 제1 측면(또는 제1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착부(30A)는 제1 지지부(29B)의 제2 측면(또는 제2면)의 일 영역(예컨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안착면(11A) 및 제1 안착면(11A)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돌기(1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제1 안착부(30A)는 제1 지지부(29B)의 제2 측면의 4개의 코너들에 형성되는 4개의 제1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며, 4개의 제1 지지 돌기들은 제1 마그네트(130A)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안착부의 제1 지지 돌기의 수가 1개 또는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1 지지부(29B)는 제1 구름 부재(12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홈(13A)(또는 제1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제1홈(13A)은 제1 가이드부(614A)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홈(212A)에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착부(30A)의 안착면(11A) 위에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제1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면(11B) 아래에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제1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안착면(11B)의 위 또는 아래에 형성되는 2개의 홈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홈들의 수는 볼들(B11 내지 B14)의 개수와 일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렌즈 어셈블리(624)는 제2 렌즈 홀더(39) 및 제2 렌즈 홀더(39)에 배치되는 제3 렌즈 어레이(59)(또는 제3 렌즈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렌즈 어레이(59)는 단일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3 렌즈 어레이들(49, 59)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렌즈들은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및 제3 렌즈 어레이들(49, 59) 각각은 다양한 형태의 광학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및 제3 렌즈 어레이들(49, 59) 각각은 양의 파워를 갖는 프론트 렌즈(front) 렌즈 및 음의 파워를 갖는 리어 렌즈(rear len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630)에 의하여 제2 렌즈군과 제3 렌즈군 사이의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는 가변될 수 있다.
제2 렌즈 홀더(39)는 제3 렌즈 어레이(59)가 배치되는 제2 렌즈 배럴(39A) 및 제2 렌즈 배럴(39A)과 결합되는 제2 지지부(39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렌즈 배럴(39A)은 경통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렌즈 어레이(49)가 결합되기 위한 개구(39C)(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39B)의 제1 측면(또는 제1면)은 제2 렌즈 배럴(39A)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9B)는 제3 방향으로 제2 가이드부(614B)의 몸체(63A)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9B)의 제2 측면(또는 제2면)에는 제2 마그네트(130B)가 배치 또는 안착되기 위한 제2 안착부(3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9B)의 제2 측면(또는 제2면)은 제2 가이드부(614B)를 마주보는 면일 수 있고, 제2 지지부(39B)의 제1 측면(또는 제1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안착부(30B)는 제2 지지부(39B)의 제2 측면(또는 제2면)의 일 영역(예컨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안착면 및 제2 안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9B)의 제1 안착면(11A)과 제1 지지 돌기(11B)에 대한 설명은 제2 지지부(29B)의 제2 안착면 및 제2 지지 돌기에 적용 또는 준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9B)는 제2 구름 부재(12B)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홈(13B)(또는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제2홈(13B)은 제2 가이드부(614B)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홈(212B)에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0A)의 제1홈(13A)에 대한 설명은 제2 지지부(30B)의 제2홈(13B)에 적용 또는 준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212A, 212B) 및 제1 및 제2홈들(13A,13B) 각각은 V 또는 U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B11 내지 B14, B21 내지 B24)과 2점 이상 접촉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212A, 212B) 및 제1 및 제2홈들(13A,13B)에 의하여 제2 및 제3 렌즈 어셈블리들(622, 624)이 이동시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렌즈 어레이들 간의 얼라인(align)이 잘 맞추어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 발생이 방지되어 카메라 장치(200)의 화질이나 해상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310)는 제2 하우징(610)과 렌즈부(620)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 부재(12A, 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구름 부재(12A,12B)는 제2 하우징(610)의 가이드부(614A, 614B)와 렌즈부(620)의 지지부(39A, 39B)의 홈(13A, 1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름 부재는 "볼 부재", "볼(Ball), 또는 "볼 베어링"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구름 부재(12A, 12B)는 적어도 하나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름 부재(12A, 12B)는 제2 하우징(610)과 렌즈부(620)에 접촉될 수 있고, 렌즈부(620)를 지지할 수 있다. 렌즈부(6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구름 부재(12A, 12B)는 렌즈부(620)와 제2 하우징(610) 사이에서 구름 운동을 함으로써, 렌즈부()와 제2 하우징(61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즉 구름 부재(12A,12B)의 구름 운동에 의하여, 렌즈부(620)는 구름 부재(12A,12B)에 접촉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614A, 614B)을 따라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형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구름 부재는 제1 구름 부재(12A) 및 제2 구름 부재(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름 부재(12A)는 제2 하우징(610)의 제1 가이드부(614A)와 제2 렌즈 어셈블리(622)(예컨대, 제1 지지부(29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름 부재(12B)는 제2 하우징(610)의 제2 가이드부(614B)와 제3 렌즈 어셈블리(624)(예컨대, 제2 지지부(39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름 부재(12A)는 복수의 볼들(B11 내지 B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구름 부재(12B)는 복수의 볼들(B21 내지 B24)을 포함할 수 있다. 볼들(B11 내지 B14, B221 내지 B24) 각각은 금속 재질,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볼들(B11 내지 B14, B221 내지 B24) 각각은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렌즈부(620)의 이동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사이즈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구동부(630)를 설명한다.
제1 구동부(630)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3 렌즈 어셈블리(624)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동부(63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군, 예컨대, 제2 렌즈군 또는 제3 렌즈군을 제1 방향 또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630)는 렌즈부(620)에 배치되는 마그네트(130) 및 제2 하우징(610)에 배치되는 코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마그네트(130)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130A) 및 제3 렌즈 어셈블리(624)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130A)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제1 렌즈 홀더(29)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마그네트(130B)는 제3 렌즈 어셈블리(624)의 제2 렌즈 홀더(39)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130A)는 제1 렌즈 홀더(29)의 제1 지지부(29B)의 제1 안착부(30A)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마그네트(130B)는 제2 렌즈 홀더(39)의 제2 지지부(39B)의 제2 안착부(30B)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130A, 130B) 각각은 1개의 N극과 1개의 S극을 포함하는 단극 착자 마그네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130A, 130B) 각각은 2개의 N극과 2개의 S극을 포함하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일 수도 있다.
코일(120)은 제3 방향으로 제1 마그네트(130A)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고 제2 하우징(610)의 제3 측부(142-3)에 배치되는 제1 코일(120A) 및 제3 방향으로 제2 마그네트(130B)와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되고 제2 하우징(610)의 제4 측부(142-4)에 배치되는 제2 코일(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120A) 및 제2 코일(120B) 각각은 중공(또는 홀)을 갖는 폐곡선 또는 링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120A) 및 제2 코일(120B) 각각은 제3 방향과 평행한 제3축을 기준으로(또는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감긴 코일 링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130A)의 N극과 S극은 제1 코일(12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마그네트(130B)의 N극과 S극은 제2 코일(120B)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코일들(120A,120B) 각각의 중공 또는 홀은 제3 방향으로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130A,130B)에 대향할 수 있다.
제1 코일(120A)에는 제1 구동 신호(예컨대, 제1 전류)가 인가될 수 있고, 제2 코일(120B)에는 제2 구동 신호(예컨대, 제2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제1 코일(120A)과 제1 마그네트(130A)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1 렌즈 어셈블리(622)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120B)과 제2 마그네트(130B)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2 렌즈 어셈블리(624)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구동 신호 및 제2 구동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제1 렌즈 어셈블리(622)와 제2 렌즈 어셈블리(624) 각각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622)와 제2 렌즈 어셈블리(624) 각각의 이동이 제어됨에 따라 제1 렌즈 어셈블리(622)와 제2 렌즈 어셈블리(624) 각각의 위치(또는 변위)가 제어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카메라 장치(200)의 주밍(zooming) 및 오토 포커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구동부(630)는 제1 렌즈 홀더(29)에 배치되는 제1 요크(19-1) 및 제2 렌즈 홀더(39)에 배치되는 제2 요크(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크(19-1)는 제1 마그네트(130A)와 제1 코일(120A)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2 요크(19-2)는 제2 마그네트(130B)와 제2 코일(120B)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요크들(19-1,19-2)에 의하여 렌즈부(6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요크(19-1)는 제1 마그네트(130A)와 제1 렌즈 홀더(29)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요크(19-2)는 제2 마그네트(130B)와 제2 렌즈 홀더(3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요크(19-1)는 제1 지지부(29B)의 제1 안착부(30A)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요크(19-2)는 제2 지지부(39B)의 제2 안착부(30B)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요크(19-1)는 제3 방향으로 제1 마그네트(130A)와 대향하고 제1 안착면(11A)에 배치되는 제1 부분(19A) 및 제1 부분(19A)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19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부분(19B)은 제1 마그네트(130A)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2-1 부분 및 제1 마그네트(130A)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630)는 제1 코일(120A) 및 제2 코일(1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기판부(190)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제2 기판부(190)는 제2 하우징(6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기판부(190)는 제2 하우징(610)의 제3 측부(142-3)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192) 및 제2 하우징(610)의 제4 측부(142-4)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19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 기판(192)은 제2 하우징(61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 돌기(45A)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192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회로 기판(194)은 제2 하우징(610)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 돌기(45B)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19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20A)은 제1 회로 기판(192)의 제1면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로 기판(192)의 제1면은 제3 방향으로 제2 하우징(610)의 제3 측부(142-3)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2 코일(120B)은 제2 회로 기판(194)의 제1면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로 기판(194)의 제1면은 제3 방향으로 제2 하우징(610)의 제4 측부(142-4)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92)은 제1 코일(1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 기판(192)의 제1면에는 제1 코일(1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패드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 기판(192)은 복수의 단자들(254A)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단자들(254A)은 제1 회로 기판(192)의 제2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 기판(192)의 제2면은 제1 회로 기판(192)의 제1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단자들(254A) 중 2개의 단자들은 제1 코일(120A)과 연결되는 제1 회로 기판(192)의 2개의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코일(1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94)은 제2 코일(1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로 기판(194)의 제1면에는 제2 코일(1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패드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 기판(194)은 복수의 단자들(254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단자들(254b)은 제2 회로 기판(194)의 제2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로 기판(194)의 제2면은 회로 기판(192)의 제1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도 15에서는 단자(254b)를 구제적으로 볼 수는 없지만, 제1 회로 기판(192)의 단자들(254a)과 동일한 형태로 단자들(254B)이 제2 회로 기판(194)의 제2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단자들(254B) 중 2개의 단자들은 제2 코일(120B)과 연결되는 제2 회로 기판(194)의 2개의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코일(1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부(70)는 정확한 주밍 및 AF 동작을 위한 피드백 구동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위치 센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부(170)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위치 또는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위치 센싱부(71) 및 제3 렌즈 어셈블리(624)의 위치 또는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위치 센싱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싱부(71)는 제1 회로 기판(192)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고, 제1 회로 기판(1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위치 센싱부(72)는 제2 회로 기판(194)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고, 제2 회로 기판(18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싱부(71)는 제1 회로 기판(192)의 제1면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고, 제2 위치 센싱부(72)는 제2 회로 기판(194)의 제1면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싱부(71)는 제1 코일(120A)의 중공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위치 센싱부(72)는 제2 코일(120B)의 중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싱부(71)는 제3 방향으로 제1 마그네트(130A)와 마주보거나 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싱부(71)는 제1 마그네트(130A)의 반대편에 배치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30A)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싱부(71)는 광축 방향으로의 제1 마그네트(130A)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위치 센싱부(72)는 제3 방향으로 제2 마그네트(130B)와 마주보거나 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위치 센싱부(72)는 제2 마그네트(130B)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130B)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위치 센싱부(72)는 광축 방향으로의 제2 마그네트(130B)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싱부(71)는 제1 센서(71A) 및 제2 센서(7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센서들(71A, 71B) 각각은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71A)와 제2 센서(71B)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위치 센싱부(72)는 제3 센서(72A) 및 제4 센서(7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및 제4 센서들(72A, 72B) 각각은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예컨대, 제3 센서(72A)와 제4 센서(72B)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도 15에서 제1 위치 센싱부(71) 및 제2 위치 센싱부(72) 각각은 2개의 센서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위치 센싱부 및 제2 위치 센싱부 각각은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때 하나의 센서는 홀 센서 또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IC 형태일 수도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제2 기판부(190)에 배치되는 메모리(59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596)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일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596)는 제2 회로 기판(194)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고, 제2 회로 기판(19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610, 620)에 대한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액추에이터의 구동 특성을 검사하는 단품 공정 검사가 수행된다. 이때 구동 특성에 관한 검사는 홀 캘리브레이션(hall calibration), 렌즈 검사, 또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를 액티브 얼라인하기 위한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검사는 렌즈 조립 및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면서 해상도를 확인하는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특성을 검사를 위한 관련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가 필요한데, 액추에이터(610, 620)에 대한 단품 공정 검사 단계에서는 제1 드라이버(542)가 카메라 장치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596)는 액추에이터(610, 620)의 구동 특성에 관한 검사하는데 필요한 값들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596)은 구동부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는 제1 구동부(630) 및 제2 구동부(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596)은 제2 렌즈군의 이동 범위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센싱부(71)의 데이터 및 제3 렌즈군의 이동 범위에 대응되는 제2 위치 센싱부(72)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위치 센싱부(71)의 데이터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하여 획득된 제2 렌즈군의 이동 범위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센싱부(71)의 출력에 관한 데이터(또는 기준 코드값)일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 센싱부(72)의 데이터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하여 획득된 제3 렌즈군의 이동 범위에 대응되는 제2 위치 센싱부(72)의 출력에 관한 데이터(또는 기준 코드값)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596)는 OIS 가동부의 제2축(X축) 틸팅 범위에 대응되는 제1 OIS 위치 센서(240A,240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OIS 위치 센서(240A,240B)의 데이터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하여 획득된 OIS 가동부의 제2축(X축) 틸팅 범위에 대응되는 제1 OIS 위치 센서(240A,240B)의 출력에 관한 기준 코드 값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596)는 OIS 가동부의 제3축(Y축) 틸팅 범위에 대응되는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데이터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하여 획득된 OIS 가동부의 제3축(Y축) 틸팅 범위에 대응되는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출력에 관한 기준 코드 값일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상기 액티브 얼라인 공정 수행 완료 후에 카메라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액추에이터(610, 620)의 구동 특성에 관한 검사하는데 필요한 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액추에이터에 실장, 배치, 또는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에 포함된 액추에이터에 대한 단품 공정 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596) 단품 공정 검사를 종료한 후 제품에 그대로 존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메모리(596)는 제품 출하 이전에 최종 제품에서 제거되어 생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메모리(596)는 제2 회로 기판(194)의 복수의 단자들(254B) 중 적어도 1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제2 기판부(190)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5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 센서(566)는 카메라 장치(200) 또는 카메라 장치(20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른 온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액추에이터(310)는 렌즈부(620)의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glass, 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글래스(115)는 제2 하우징(610)의 제1 개구(41A)를 덮도록 제2 하우징(61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렌즈부(620)를 보호하고 이물질이 제2 하우징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지 센싱부(330)는 제2 액추에이터(320)의 광학 부재(40) 및 제1 액추에이터(310)의 렌즈 어셈블리들(640, 622, 624)을 통과한 빛을 수신하여 감지하고 감지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540)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촬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 영역은 유효 영역, 수광 영역, 또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촬상 영역은 이미지가 결상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싱부(330)는 이미지 센서(5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기판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부(530)는 제2 하우징(6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기판부(530)는 센서 기판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제2 하우징(610)을 기준으로 제1 기판부(250)는 제2 하우징(6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기판부(530)는 제2 하우징(6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기판부(190)는 제2 하우징(61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기판부(190)는 제2 하우징(610)의 제1측(예컨대,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 기판(192)는 제2 하우징(610)의 제1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회로 기판(192)는 제2 하우징(610)의 제3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부(530)는 제2 하우징(610)의 제2측(예컨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부(250)는 제2 하우징(610)의 제4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과 제3측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측과 제4측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판부(530)는 이미지 센서(540)가 배치 또는 실장되는 제1 기판(5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540)는 제1 기판(531)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판(531)의 제1면은 제1 액추에이터(310), 또는 렌즈부(620)에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1 기판(531)은 "센서 기판"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제1 기판(531)은 복수의 제1 단자들(253A) 및 복수의 제2 단자들(25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1 단자들(253A)은 이미지 센서(540)와 제1 기판(531)의 제1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단자들(253B)은 이미지 센서(540)와 제1 기판(531)의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부는 제2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1 단자들(253A)은 제1 방향으로 제1 회로 기판(192)의 복수의 단자들(254A)과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고, 솔더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제1 회로 기판(192)의 복수의 단자들(25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솔더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들(254A)이 형성되는 제1 회로 기판(192)의 단부(또는 제1단) 또는 단자부는 절곡되거나 휘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단자들(254A)이 형성된 제1 회로 기판(192)의 단자부는 안쪽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된 경사긴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2 단자들(253B)은 제1 방향으로 제2 회로 기판(194)의 복수의 단자들(254B)과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고, 솔더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제2 회로 기판(194)의 복수의 단자들(25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솔더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들(254B)이 형성되는 제2 회로 기판(194)의 단부(또는 제1단) 또는 단자부는 절곡되거나 휘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단자들(254B)이 형성된 제2 회로 기판(194)의 단자부는 안쪽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된 경사긴 부분일 수 있다.
제3 기판부(530)은 제1 기판(531)과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기판(5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532)은 복수의 단자들(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부(250)는 제3 기판부(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전도성 접착제 또는 납땝에 의하여 제2 기판(532)의 복수의 단자들(252)은 제1 기판부(250)의 제1 회로 기판(250A)의 복수의 단자들(2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2 기판(532)은 제3 방향으로 제1 회로 기판(192)과 마주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회로 기판(192)의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기판부(530)는 제1 기판(532)과 제2 기판(532) 사이에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부(530)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 또는 소켓를 포함하는 커넥터(5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포트 또는 소켓은 커넥터의 상부(상면) 또는 하부(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부(530)는 제2 기판(532)과 커넥터(534)를 연결하는 제3 기판(5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부(530)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기판들(531, 532, 533) 각각은 경성 기판(rigid substrate) 및 연성 기판(flexible subst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기판(532) 및 커넥터(534)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 있고, 포트 또는 소켓은 제1 기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포트 또는 소켓은 제1 내지 제3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싱부(330)는 제3 기판부(530)에 배치되는 제1 드라이버(5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제1 기판(531)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드라이버(542)는 이미지 센서(540)와 복수의 제2 단자들(25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 및 제2 드라이버(260) 각각은 "제어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542, 260) 각각은 저장부, 또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부(530)에는 회로 소자, 수동 소자, 능동 소자, 또는 회로 패턴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싱부(330)는 제3 기판부(530)와 제1 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550) 및 센서 베이스(550)에 배치되는 필터(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베이스(550)는 제3 기판부(530)의 제1 기판(531)과 제2 하우징(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545)에 의하여 센서 베이스(550)는 제1 기판(531)의 제1면에 결합,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550)의 하부 또는 하면은 접착제(545)에 의하여 제1 기판(531)의 제1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베이스(550)의 하면 또는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55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기판(531)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551)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530A)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550)는 필터(610)를 배치 또는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550A)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부(550A)는 센서 베이스(550)의 제1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550)의 제1면은 제1 방향으로 제2 하우징(610)을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예컨대, 안착부(500A)는 센서 베이스(550)의 제1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홈(recess), 캐비티(cavity), 또는 홀(hole)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안착부는 센서 베이스(550)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형태일 수 있다. 센서 베이스(550)는 "홀더(Holder)"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필터(560)는 센서 베이스(550)의 안착부(550A)에 배치된다. 예컨대, 센서 베이스(550)의 안착부(550A)는 내측면과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고, 필터(560)는 센서 베이스(550)의 안착부(500A)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550)는 필터(56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540)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552)(또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552)는 이미지 센서(550)(예컨대, 촬상 영역)에 대응, 대향, 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예컨대, 개구(552)는 안착부(550A)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552)의 면적은 필터(560)의 상면 또는 하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560)는 렌즈부(620)를 통과하는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54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56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필터(560)는 제1 방향과 수직한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560)는 UV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센서 베이스(550)의 안착부(550A)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필터(560)와 이미지 센서(540)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싱부(330)는 제3 기판부(530)에 배치되는 보강재(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강재(510)는 제1 기판(531)의 제2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기판(531)의 제2면은 제1 기판(531)의 제1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보강재(510)는 열전도도가 높은 전도성 물질, 예컨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재(510)는 SUS,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보강재(510)는 제3 기판부(530)의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ESD(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로부터 카메라 장치(200)를 보호하기 위한 그라운드(Ground)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싱부(330)는 보강재(510)에 배치 또는 부착되는 방열 부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열 부재(52)는 제1 기판(531) 및 보강재(51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위치 센싱부(71)와 제2 위치 센싱부(7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센서(71A)는 제1 입력 단자, 제2 입력 단자,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는 제1 입력 단자, 제2 입력 단자,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71A)의 제1 입력 단자와 제2 센서(71B)의 제1 입력 단자는 음(-)의 입력 단자일 수 있고, 제1 센서(71A)의 제2 입력 단자와 제2 센서(71B)의 제2 입력 단자는 양(+)의 입력 단자일 수 있다. 여기서 양의 단자과 음의 단자는 극성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극성이라도 상대적인 크기의 차이가 있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센서(71A)의 제1 출력 단자와 제2 센서(71B)의 제1 출력 단자는 음(-)의 출력 단자일 수 있고, 제1 센서(71A)의 제2 출력 단자와 제2 센서(71B)의 제2 출력 단자는 양(+)의 출력 단자일 수 있다.
제1 센서(71A)의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과 제2 센서(71B)의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1 센서(71A)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과 제2 센서(71B)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71A)의 제2 출력 단자와 제2 센서(71B)의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제1 출력 신호, 예컨대, 제1 출력 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력 신호는 제1 센서(71A)의 출력과 제2 센서(71B)의 출력을 합한 결과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싱부(71)의 센싱 범위는 제1 센서(71A)의 센싱 범위와 제2 센서(71B)의 센싱 범위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출력 신호(V1)는 회로 기판(192)의 제1 및 제2 단자들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회로 기판(192)의 제3 및 제4 단자들은 제1 코일(1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들(71A, 71B)의 출력 단자들은 서로 직렬 연결되기 때문에, 제1 출력 신호의 크기는 하나의 센서의 출력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센서들(71A, 71B)의 출력 단자를 직렬 연결시킴으로써, 제1 방향으로의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이동 범위(변위 또는 스트로크 구간)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센싱부(71)의 제1 출력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연속 주밍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긴 스트로크 범위 또는 이동 범위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며, 긴 스트로크 범위(또는 이동 범위)에 대하여 용이한 제어를 위해서는 제2 렌즈 어셈블리의 변위를 감지하는 홀 센서의 출력이 커야 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식에 의하여 홀 센서의 출력을 강제로 높일 경우, 노이즈로 인하여 피드백 제어 특성이 나빠져서 주밍 및 포커싱 동작의 신뢰성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홀 센서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증폭기를 카메라 장치에 배치시킬 경우, 아날로그 증폭기 설치에 따른 공간적 제약이 발생될 수 있어 카메라 장치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가 나빠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2개의 홀 센서들(71A,71B)의 출력 단자들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제1 위치 센싱부(71)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렌즈 어셈블리(622)에 대한 제1 액추에이터(310)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력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므로 제1 위치 센싱부(71)의 제1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코드 값(또는 데이터)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움직임에 대한 제1 위치 센싱부(71)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카메라 장치의 해상도(resolution)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코드 값은 캘리블레이션(caolibration)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코드 값(또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센서(71A)와 제2 센서(71B) 각각의 입력 단자들, 출력 단자들, 및 제1 위치 센싱부(71)의 출력 신호, 제1 코일(120A), 제1 회로 기판(192)의 단자들과의 전기적 연결 관계에 대한 설명은 제3 센서(72A)와 제4 센서(72B), 제2 위치 센싱부(72)의 출력 신호, 제2 코일(120B) 및 제2 회로 기판(194)의 단자들과의 전기적 연결 관계에도 적용되거나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센서(72A)와 제4 센서(72B)의 직렬 연결된 출력 단자들로부터 제2 출력 신호, 예컨대, 제2 출력 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센서들(72A, 72B)의 출력 단자들은 서로 직렬 연결되기 때문에, 제2 출력 신호의 크기는 하나의 센서의 출력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실시 예에서는 제3 및 제4 센서들(72A, 712)의 출력 단자를 직렬 연결시킴으로써, 제1 방향으로의 제3 렌즈 어셈블리(624)의 이동 범위(또는 변위, 또는 스트로크 구간)에 대응되는 제2 위치 센싱부(72)의 제2 출력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위치 센싱부(71)의 제1 출력 신호의 크기의 증가에 따른 상술한 효과는 제2 위치 센싱부(72)에도 적용 또는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596)는 제2 코일(120B)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596)는 제2 코일(120B)의 중공 밖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94)은 메모리(596)가 실장 또는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단자부(또는 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자부는 코일(120B) 외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코일(120B)의 중공 밖에 위치할 수 있다.
메모리(596)는 2개의 입력 단자들, 데이터 단자, 및 클럭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단자들은 제2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596)는 2개의 입력 단자들, 데이터 단자, 및 클럭 단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테스트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예컨대, I2C 통신을 이용하여 메모리(596)는 테스트 단자들을 통하여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는 액추에이터 단품 공정 검사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예컨대, 구동부(630, 7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9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200)의 기능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카메라 장치(200)는 제1 기판부(250), 제2 기판부(190), 제3 기판부(530), 제1 액추에이터(310), 제2 액추에이터(320), 제어부(810), 및 이미지 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810)는 제1 드라이버(542) 및 제2 드라이버(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또는 제2 렌즈군)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다. 제1 드라이버(542)는 제3 렌즈 어셈블리(624)(또는 제3 렌즈군)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제1 구동 신호를 제1 코일(120A)에 인가할 수 있고, 제2 구동 신호를 제2 코일(120B)에 인가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구동 신호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된 제1 코일(120A)과 제1 마그네트(130A)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2 렌즈 어셈블리(622)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된 제2 코일(120B)과 제2 마그네트(130B)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3 렌즈 어셈블리(624)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OIS 이동부(예컨대, 광학 부재(40))를 제2축 또는/및 제3 축을 기준으로 틸트 또는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드라이버(260)는 보정값을 저장할 수 있고, 보정값을 이용하여 광학 부재(40)의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OIS 구동 신호를 제1 OIS 코일(230A, 230B)에 인가할 수 있다. 제1 OIS 구동 신호가 인가된 제1 OIS 코일(230A, 230B)과 제1 OIS 마그네트(31A,31B)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2축(예컨대, X축)을 회전축으로하여 OIS 이동부(예, 홀더(30))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드라이버(260)는 제2 OIS 구동 신호를 제2 OIS 코일(230C)에 인가할 수 있다. 제2 OIS 구동 신호가 인가된 제2 OIS 코일(230C)과 제2 OIS 마그네트(32)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3축(예컨대,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OIS 이동부(예, 홀더(30))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광학 부재(40)와 결합된 홀더(30)의 움직임에 의하여 광학 부재(40)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가 제1축(광축 또는 Z축)과 수직인 평면(예컨대, XY 평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이미지 센서(540)에 결상되는 영상을 X축 방향 또는/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에컨대, 광학 부재(40)는 X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틸트 가능하거나 또는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즉 홀더(30)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실시 예는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하여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 시 카메라 장치에 흔들림에 기인하는 이미지의 번짐 또는 동영상의 흔들림 등을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드라이버(542) 및 제2 드라이버(260) 각각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증폭기, PID 제어기, 또는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제1 위치 센서부(170)의 제1 위치 센싱부(71)의 제1 출력 신호 및 제1 위치 센서부(170)의 제2 위치 센싱부(72)의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제1 위치 센싱부(71)로부터 수신된 제1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결과에 따른 제1 코드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코드 값과 제1 타겟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코일(120A)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타겟값은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목표하는 줌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코드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드라이버(542)는 제2 위치 센싱부(72)로부터 수신된 제2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결과에 따른 제2 코드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코드 값과 제2 타겟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코일(120B)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타겟값은 제3 렌즈 어셈블리(624)의 목표하는 포커스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코드 값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위치 센싱부들(71, 72) 각각의 출력에 관한 기준 코드 값(또는 데이터)은 캘리브레이션을 통하여 미리 설정되어 제1 드라이버(542)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기준 코드 값은 광학 기기(200A)의 메모리부(76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제2 위치 센서부(240)의 제1 OIS 위치 센서(240A, 240B)의 제1 출력 신호 및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수신된 제1 OIS 위치 센서(240A,240B)의 제1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결과에 따른 제3 코드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3 코드 값과 제3 타겟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구동부(70)의 제1 OIS 코일(230A, 230B)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드라이버(260)는 수신된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제2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결과에 따른 제4 코드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4 코드 값과 제4 타겟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OIS 코일(230C)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타겟값은 제2 액추에이터(320)의 OIS 가동부의 목표하는 제2축(X축) 틸팅 위치에 대응되는 제1 OIS 위치 센서(240A,240B)의 출력에 관한 기준 코드 값(또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4 타겟값은 제2 액추에이터(320)의 OIS 가동부의 목표하는 제3축(Y축) 틸팅 위치에 대응되는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출력에 관한 기준 코드 값(또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OIS 위치 센서(240A,240B) 및 제2 OIS 위치 센서(240C) 각각의 출력에 관한 기준 코드 값(또는 데이터)은 캘리브레이션을 통하여 미리 설정되어 제2 드라이버(26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기준 코드 값은 광학 기기(200A)의 메모리부(76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1 액추에이터(310)에 포함된 제1 위치 센서부(170)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변위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결과에 따른 제1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센서부(170)는 제3 렌즈 어셈블리(624)의 변위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에 따른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OIS 위치 센서의 제1 및 제2 센서들(240A, 240B) 각각은 홀더(30)의 제3축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센서들(240A, 240B)의 입력 단자들은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센서들(240A,240B)의 출력 단자들은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직렬 연결된 출력 단자들의 양단으로부터 하나의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2 OIS 위치 센서(240C)는 홀더(30)의 제2축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타겟 위치 및 제3 렌즈 어셈블리(624)의 타겟 위치에 기초하여 카메라 장치(200)의 초점이 정확히 맞춰질 수 있다.
이미지 센싱부(330)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540)는 빛을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 및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이미지 센서(540)는 디지털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온도 보상을 위한 온도 센서(5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566)는 카메라 장치(200)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에 따른 온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온도 센서(566)의 온도 정보는 제3 렌즈 어셈블리(624)의 포커싱 동작에 대한 온도 보상에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온도 정보에 대응되는 보상값은 제1 드라이버(542)의 메모리(226B)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주밍(Zooming)을 담당하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는 유저가 설정한 배율에 따라서 움직이기 때문에,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또는 조건)에서, 오토 포커싱을 담당하는 제3 렌즈 어셈블리(624)에 대한 온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주밍 및 AF 수행 또는 손떨림 보정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81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810)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또는 틸트)에 기인한 광축(또는 광심)의 편차(또는 틸트)를 보정하거나 또는 보상하기 위한 보정값을 획득한다(S110). 예컨대, 도 20에서 제어부(810)는 제2 드라이버(260)일 수 있다. 보정값은 "보상값", 또는 "설정값"으로 대체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획득한다'의 의미는 '수신한다, '추출한다', '선택한다', 또는 '읽는다(rea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정값은 렌즈 어셈블리, 예컨대, 고정 렌즈군의 중심, 이동 렌즈군의 중심의 틀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40)의 초기 위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보정값은 광학 부재(4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40)의 변위를 감지하는 OIS 위치 센서(240; 제1 OIS 위치 센서(240A과 240B), 및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출력에 대응되는 데이터값(또는 코드값)일 수 있다.
예컨대, 보정값은 광학 부재(40)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센서(240A,240B)의 출력에 관한 데이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정값은 광학 부재(40)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센서(240C)의 출력에 관한 데이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보정값을 이용하여 OIS 액추에이터(320)의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를 움직여서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광축(또는 광심)의 편차(또는 틸트)를 보정한다(S120).
다음으로 광축(또는 광심)의 편차(또는 틸트)를 보정한 상태에서, 줌/오토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한다(S130).
보정값은 제어부(810) 내부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810)는 내장된 메모리로부터 보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보정값은 제어부(810)와 별도로 구비되는 메모리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예컨대, 광심 또는 광축의 편차는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광축(또는 광심)이 틀어지거나 틸트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위치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이 없는 경우의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광축(또는 광심)이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에 정렬되는 기설정된 위치(또는 좌표값)일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위치(또는 기설정된 좌표값)은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의 중앙(또는 중앙의 좌표값, 예컨대, 원점(0,0)일 수 있다.
예컨대, 편차(또는 틸트량)은 틀어지거나 틸트된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광축(또는 광심)이 정렬되는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의 제1 위치의 좌표값과 기설정된 좌표값과의 차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보정값은 상기 편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또는 틸트)가 없는 경우에는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또는 광심)은 이미지 센서(540)의 기준 위치(또는 기설정된 좌표값)에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어셈블리의 틀어짐(또는 틸트)가 있는 경우에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광축(또는 광심)은 이미지 센서(540)의 기준 위치에 정렬되지 않고, 기준 위치가 아닌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의 제1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편차 또는 틸트량은 기준 위치와 제1 위치 간의 차이일 수 있다. 예컨대, 편차는 기준 위치와 제1 위치 간의 좌표값의 차이일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의 틀어짐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그 원인은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배럴(29A, 39A)의 형상, 가이드 홈(212A, 212B)의 형상(예컨대, 휘어진 정도), 또는 렌즈 어셈블리에 포함된 렌즈들의 설치에 따른 중심의 틀어짐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줌 카메라 장치는 2개 이상의 렌즈 어셈블리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광축 방향으로의 렌즈 어셈블리(예컨대, 줌 렌즈)의 스트로크 또는 이동 거리가 길기 때문에, 렌즈 어셈블리의 이동에 기인하는 렌즈의 틀어짐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틀어짐(또는 틸트)는 스태틱 틸트(static tilt) 및 다이나믹 틸트(dynamic til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태틱 틸트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특정 위치(예컨대, 줌 위치 또는 포커스 위치)에서의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틸트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이나믹 틸트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어느 2개의 특정 위치들(예컨대, 2개의 줌 위치들 또는 2개의 포커스 위치들)에서의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틀어짐의 대상이 되는 렌즈 어셈블리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또는 제2 렌즈군) 및 제3 렌즈 어셈블리(624)(또는 제3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틀어짐의 대상이 되는 렌즈 어셈블리는 제1 렌즈 어셈블리(62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틀어짐의 대상은 렌즈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렌즈군, 렌즈, 또는 렌즈 배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적으로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또는 틸트)가 없는 경우에 광학 부재(40)의 초기 위치는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1 위치 센서(240A, 240B) 및 제2 위치 센서(240C)의 출력들에 대응되는 데이터값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기설정된 위치는 제1 센서(240A)의 중심과 제1 마그넷 유닛(31A)의 중심이 서로 정렬되거나 중첩되는 위치일 수 있고, 제2 센서(240B)의 중심과 제2 마그넷 유닛(31B)의 중심이 서로 정렬되거나 중첩되는 위치일 수 있고, 제3 센서(240C)의 중심이 제3 마그넷 유닛(31C)의 중심과 서로 정렬되거나 중첩되는 위치일 수 있다.
예컨대, 보정값에 의하여 제어된 광학 부재(40)의 초기 위치에서 제1 내지 제3 센서들 각각의 중심은 제1 내지 제3 마그넷 유닛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중심에 정렬되지 않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또는 틸트)가 없는 경우에 기설정된 위치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또는 틸트)와 상관없는 광학 부재(40)의 특정 위치에 관한 제1 위치 센서(240A, 240B) 및 제2 위치 센서(240C)의 출력들에 대응되는 데이터값들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810)는 보정값을 이용하여 광학 부재(40)의 틸트를 제어할 수 있고,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줌 및/또는 오토포커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810)는 보정값을 이용하여 광학 부재(40)의 틸트를 제어하여 광학 부재(4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광학 부재(40)의 틸트가 제어된 상태에서 OIS 이동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2 및 제3 렌즈 어셈블리들(622, 624)에 대한 줌 동작 또는/및 오토 포커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810)는 줌 렌즈인 제2 렌즈 어셈블리(622)를 제1 줌 위치로 이동시킨다(S210). 예컨대, 제1 줌 위치는 텔레(tele) 위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줌 위치는 와이드(wide) 위치일 수도 있다.
예컨대, 와이드 위치는 카메라 장치(200)의 구현 가능한 줌 배율들 중에서 최저배율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고, 텔레 위치는 카메라 장치(200)의 구현 가능한 줌 배율들 중에서 최고 배율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예컨대, 와이드 위치는 1배 줌 위치일 수 있고, 텔레 위치는 5배 줌 위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줌 위치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810, 780)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줌 위치는 텔레 위치와 와이드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배율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제1 줌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인 제3 렌즈 어셈블리(624)를 이동시켜 피사체에 관한 초점을 맞춘다(S220).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제2 액추에이터(320)을 구동하여,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S230).
예컨대,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의 초기 위치는 광학 부재(40)의 출사면(8b)이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과 평행이 되도록하는 위치일 수 있다.
또는 예컨대,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의 초기 위치는 이상적으로 렌즈 어셈블리에 틀어짐에 없어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이 이미지 센서(540)의 기설정된 위치(예컨대, 촬상 영역의 중앙)에 정렬된다면, 광학 부재(40)의 출사면(8b)의 중앙이 렌즈 어셈블리의 중앙(또는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이 서로 정렬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는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의 초기 위치는 동일한 조건에서 광학 부재(40)의 출사면(8b)과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하는 위치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의 초기 위치에서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또는 틸트)에 기인한 편차(또는 틸트량)를 측정한다(S240).
예컨대, S110 단계에서 설명한 편차의 정의에 따라 OIS 이동부의 초기 위치에서의 편차를 측정할 수 있다. 편차 측정에 대해서는 도 22에서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측정된 편차(또는 틸트량)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저장한다(S250). 예컨대, 보정값은 제2 드라이버(26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보정값은 제1 드라이버(542)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는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광학 기기(200A)의 제어부(780)의 메모리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2는 렌즈 어셈블리 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하는 편차 및 OIS 이동부의 움직에 의한 편차의 보정을 나타낸다.
도 22의 (a)는 렌즈 어셈블리 또는 렌즈에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의 (a)에서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광심(또는 광축(OA))이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의 중앙(540A)에 정렬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에 감지된 피사체(48)의 이미지(48A)는 피사체(48)의 원본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피사체(48)의 이미지(48A)의 중앙(48C)은 이미지 센서(540)의 중앙(540A)에 정렬될 수 있다.
도 22의 (b)는 렌즈 어셈블리 또는 렌즈에 틀어짐이 발생한 경우이다. 도 22의 (b)에서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광심(또는 광축(OA1))이 이미지 센서(540)의 중앙(540A)에 정렬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렌즈 어셈블리 또는 렌즈에 틀어짐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540)에 감지된 피사체(48)의 이미지(48B)의 중앙(48C)은 이미지 센서(540)의 중앙(540A)과 일치하지 않으며, 이미지 센서(540)의 중앙(540A)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광심(optical center)의 틀어짐, 또는 틸트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22의 (b)에서는 피사체(48)의 이미지(48B)는 왜곡이 발생될 수 있고, 해상력이 저하될 수 있다.
예컨대, 편차는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의 중앙(540A)의 좌표값과 틀어진 광축(OA1)이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과 만나거나 또는 정렬되는 지점(48C)의 좌표값 간의 차이일 수 있다. 예컨대, 편차는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의 중앙(540A)의 좌표값과 피사체(48B)의 중앙(48C)의 좌표값 사이의 차이일 수 있다.
도 22의 (c)에서는 편차에 해당하는 보정값에 기초하여 OIS 이동부의 광학 부재(40)를 이동 또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또는 틸트시킴으로써, 광축과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이 만나는 지점을 이미지 센서(540)의 중앙(540A)과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미지 센서(540)에 감지된 피사체(48)의 영상의 중앙은 이미지 센서의 중앙에 정렬될 수 있고,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피사체(48)의 이미지의 왜곡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해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의 실시 예에서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가 텔레 위치에 있을 때 측정된 편차를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다른 줌 위치에서도 이용한다. 물론 제2 렌즈 어셈블리(622)가 다른 줌 위치에 있을 때, 편차가 다를 수 있지만, 텔레 위치가 고배율에 해당하기 때문에,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편차에 따른 이미지 왜곡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여기서 보정값은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을 보정 또는 보상하기 위하여 제2 액추에이터(320)의 OIS 이동부를 타겟 위치까지 이동시키거나 또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정값은 후술하는 광축(또는 광심)과 이미지 센서(540)의 촬상 영역이 만나는 지점을 이미지 센서(540)의 중앙(540A)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광학 부재(40)를 타겟 위치까지 회전 또는 틸트시키기 위한 값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OIS 위치 센서부(240)를 이용한 피드백 구동에 의하여 OIS 이동부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보정값은 타겟 위치에 대응하는 OIS 위치 센서부(240)의 출력에 관한 코드값(또는 데이터값)일 수 있다. 예컨대, 보정값은 타겟 위치에서의 OIS 위치 센서부(240)의 출력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정값은 타겟 위치에 대응하는 제1 OIS 위치 센서(240A, 240B)의 출력에 관한 제1 보정 코드 값(제1 데이터값) 및 타겟 위치에 대응하는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출력에 관한 제2 보정 코드 값(제2 테이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편차는 x축 방향으로의 x축 편차 및 y축 방향으로의 y축 편차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x축 편차는 중앙(540A)의 x 좌표값과 지점(48C)의 x 좌표값의 차이일 수 있고, y축 편차는 중앙(540A)의 y 좌표값과 지점(48C)의 y 좌표값의 차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보정 코드 값들은 x축 편차 및 y축 편차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정 코드 값은 x축 편차 및 y축 편차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제2 보정 코드 값은 x축 편차 및 y축 편차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810),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OIS 위치 센서(240)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결과에 따른 코드값(또는 데이터값) 및 보정값을 이용하여 OIS 코일(23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OIS 코일(23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OIS 이동부, 또는 광학 부재(40)를 타겟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실시 예는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광심(optical center)의 편차(또는 틸트)를 보정할 수 있고, 이미지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고, 해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결과에 따른 코드값(또는 데이터값)이 보정값에 수렴하도록 제어부(810)는 OIS 코일(23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810),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제1 OIS 위치 센서(240A, 240B)의 제1 출력 신호와 제2 OIS 위치 센서(240C)의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1 및 제2 출력 신호들 각각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결과에 따른 코드값들(또는 데이터값들)이 제1 및 제2 보정 코드값들에 수렴하도록 OIS 코일(23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주밍 및 AF 수행 또는 손떨림 보정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81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줌 배율 정보(또는 줌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310). 줌 배율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810)는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된 줌 배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줌 배율 정보는 광학 기기(200A)의 제어부(78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810),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줌 배율 정보에 대응되는 렌즈의 틀어짐을 보정하거나 또는 보상하기 위한 보정값을 획득한다(S320).
다음으로 보정값을 이용하여 OIS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광심의 편차를 보정한다(S330).
다음으로 광축(또는 광심)의 편차를 보정한 상태에서, 획득된 줌 배율 정보에 따른 줌 위치에서 줌/오토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한다(S340).
도 24는 줌 배율 정보에 대응되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하는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부(810)는 줌 배율 정보에 대응되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줌 위치에 관한 제1 내지 제N(N>1인 자연수) 샘플링 포인트들을 설정한다(S410).
예컨대, 줌 배율 정보는 제M 배율일 수 있고, M은 양의 유리수일 수 있다. 예컨대, 줌 배율 정보는 제1 배율, 제3 배율, 또는 제5 배율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샘플링 포인트는 줌 배율 정보에 매칭되는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줌 위치일 수 있다. 예컨대, 샘플링 포인트는 텔레 위치 및 와이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제1 액추에이터(310)를 구동하여 제2 렌즈 어셈블리(622)를 제1 샘플링 포인트로 이동시킨다(S420).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제1 액추에이터(310)를 구동하여 제3 렌즈 어셈블리(624)를 이동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춘다(S430).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제2 액추에이터(320)을 구동하여,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S440). OIS 이동부의 초기 위치는 도 21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OIS 이동부(예컨대, 홀더(30))의 초기 위치에서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또는 틸트)에 기인한 편차(또는 틸트량)를 측정한다(S450). S240에서의 설명은 S450에 적용되거나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측정된 편차(또는 틸트량)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저장한다(S460). S250에서의 설명은 S460에 적용되거나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현재 샘플링 포인트가 제N 샘플링 포인트와 동일한지 판단한다(S470).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현재 샘플링 포인트가 제N 샘플링 포인트와 동일하지 않으면, 샘플링 포인트를 1 증가시키고(S475), 제2 렌즈 어셈블리(622)를 증가된 샘플링 포인트로 이동시킨다(S476).
다음으로 S430 내지 S470을 반복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어부(810)는 현재 샘플링 포인트가 N 샘플링 포인트와 동일하면, 제1 내지 제N 샘플링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저장된 보정값들을 이용하여 보정식을 생성하고 저장한다(S480).
도 25는 도 24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획득된 샘플링 포인트들(ZP1 내지 ZP4)에 대응되는 편차(또는 틸트량)을 나타낸다. 도 25에서 ZP1은 와이드 위치일 수 있고, ZP4는 텔레 위치일 수 있다. 도 25에서는 샘플링 포인트들의 개수가 4개일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도 24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따라 각 샘플링 포인트들(ZP1 내지 ZPN, N=4)에 대응하는 편차들(K1 내지 K4)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810, 780)는 보간법을 이용하여 샘플링 포인트들(ZP1 내지 ZP4)에 대응되는 편차들(K1 내지 K4)을 보간하고, 보간한 결과에 기초하여 편차에 관한 보간식 또는 보간 데이터를 획득, 계산, 또는 산출할 수 있다. 보간식 또는 보간 데이터에 의하여 샘플링 포인트들(ZP1 내지 ZPN, N=4) 이외의 줌 위치들에서의 편차가 추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간법은 다양한 보간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간법은 선형 보간법(Linear Interpolation), 다항식 보간법(Polynomial interpolation), 스플라인 보간법(Spline Interpolation), 지수 보간법(Exponential Interpolation), 로그_선형보간법(Log_linear Interpolation), 라그랑지 보간법(Lagrange Interpolation), 뉴튼 보간법(Newton Interpolation) 및 2차원 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접하는 2개의 샘플링 포인트들(예컨대, ZP1과 ZP2)에 대응되는 2개의 편차들(예컨대, K1과 K2)을 보간하고, 보간한 결과에 따른 제1 보간식을 획득할 수 있다. ZP1과 ZP2 사이의 구간에서는 제1 보간식을 이용하여 ZP1과 ZP2 사이의 줌 위치들에 관한 편차들을 추정할 수 있다. 도 25에서는 줌 위치는 ZP1과 ZP2 사이의 제1 구간, ZP2와 ZP3 사이의 제2 구간, 및 ZP3와 ZP4 사이의 제3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간들에 대응되는 보간식을 획득, 계산, 또는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간식을 이용하여 각 구간에 대응되는 편차를 획득,계산, 추정, 또는 산출할 수 있다.
도 25는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갈수록 편차가 증가하는 경우를 나타내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갈수록 편차가 감소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어떤 구간에서는 편차가 증가하고 다른 어떤 구간에서는 편차가 감소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어떤 구간에서는 편차가 유지될 수도 있다.
도 25에서 설명한 바에 따른 연속적인 줌 위치들에 대응하여 편차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도 21 및 도 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5에서 획득된 편차들에 대응되는 보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1에서는 제어부(810)는 하나의 보정값을 저장하지만, 도 25에서는 제어부(8100는 연속적인 줌 위치들에 대한 보정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5에서 획득된 보정값들은 알고리즘 또는 수학식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고, 제어부(81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알고리즘 또는 수학식에 의하여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줌 위치 또는 줌 배율 정보에 대응되는 보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6a는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AZP) 및 보정값(OCS)의 공급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6a를 참조하면, 광학 기기(200A)의 제어부(780)는 줌 위치(또는 줌 배율)과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AZP) 및 보정값(OSC)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AP(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기기(200A)는 줌 위치(또는 줌 배율)과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AZP) 및 보정값(OSC)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6A)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6A)는 제어부(780)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어부(78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광학 기기(200A)의 제어부(780)는 카메라 장치(200)의 제2 드라이버(260)에 보정값(OCS)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제어부(780)로부터 수신한 보정값을 이용하여 OIS 이동부(홀더(30) 및 광학 부재(40))의 이동 또는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드라이버(260)는 제어부(780)로부터 수신한 보정값을 이용하여 제2 액추에이터(320)의 OIS 코일(23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광학 기기(200A)의 제어부(780)는 카메라 장치(200)의 제1 드라이버(542)에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 및 포커스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제어부(780)로부터 수신한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를 이용하여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포커스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3 렌즈 어셈블리(624)의 이동을 제어하 수 있다.
예컨대, 제1 드라이버(542)는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를 이용하여 제1 코일(120A)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고, 포커스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코일(120B)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예컨대, I2C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부(780)는 제1 드라이버(542) 및 제2 드라이버(260) 각각과 데이터, 예컨대, 줌 배율 정보(또는 줌 위치 정보) 및 포커스 위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6b는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보정값의 공급에 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6b를 참조하면,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와 포커스 위치 정보, 및 보정값(OSC)을 저장하는 주체는 제1 드라이버(542)일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와 포커스 위치 정보, 및 보정값(OSC)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메모리(226B)에 저장된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를 이용하여 제2 렌즈 어셈블리(62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6B) 에 저장된 포커스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3 렌즈 어셈블리(624)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의 기능은 도 26a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 또는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는 보정값(OSC)을 제어부(780)로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780)는 제1 드라이버(542)로부터 수신된 보정값(OSC)을 제2 드라이버(26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260)의 기능은 도 26a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 또는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도 26c는 도 26b는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보정값의 공급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6c를 참조하면,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와 포커스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주체는 제1 드라이버(542)일 수 있고, 보정값(OSC)을 저장하는 주체는 제2 드라이버(260)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드라이버(542)는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와 포커스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드라이버(260)는 보정값(OSC)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542)의 기능은 도 26b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 또는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메모리(226C)에 저장된 보정값(OSC)을 이용하여 OIS 이동부(홀더(30) 및 광학 부재(40))의 이동 또는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의 기능은 도 26a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 또는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도 26c에서는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와 포커스 위치 정보가 제1 드라이버(542)에 저장되고, 보정값(OSC)이 제2 드라이버(260)에 저장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542, 260)이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들(310, 320)을 구동하는 구동 속도가 빠를 수 있다.
도 26d는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보정값의 공급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6d를 참조하면,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AZP), 및 보정값(OSC)을 저장하는 주체는 제2 드라이버(260)일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줌 위치 정보(또는 줌 배율)와 포커스 위치 정보, 및 보정값(OSC)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AZP)를 제어부(780)로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780)는 제2 드라이버(260)로부터 수신된 줌 위치 및 포커스 위치에 관한 정보(AZP)를 제1 드라이버(26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260)의 기능은 도 26a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 또는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는 메모리(226C)에 저장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OIS 이동부(홀더(30) 및 광학 부재(40))의 이동 또는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260)의 기능은 도 26a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 또는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으로 인하여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광심이 이미지 센서(540)의 중앙과 일치하지 않으면, 이미지 센서(540)에서 감지되는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카메라 장치의 해상력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OIS 이동부(또는 광학 부재(40))의 이동(또는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렌즈 어셈블리(또는 렌즈)의 틀어짐에 기인한 광심의 틀어짐 또는 광심의 편차를 보정하거나 보상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카메라 장치의 해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200)는 빛의 특성인 반사, 굴절, 흡수, 간섭, 회절 등을 이용하여 공간에 있는 물체의 상을 형성시키고, 눈의 시각력 증대를 목표로 하거나, 렌즈에 의한 상의 기록과 그 재현을 목적으로 하거나, 광학적인 측정, 상의 전파나 전송 등을 목적으로 하는 광학 기기(opticla instrument)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도 27은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200A)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광학 기기(200A)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광학 기기(200A, 이하 휴대용 "단말기"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몸체(850)는 바(bar)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ve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850)는 프론트(front) 케이스(851)와 리어(rear) 케이스(85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단말기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단말기(200A)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A)와 단말기(200A)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1)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200A)의 방위, 단말기(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A)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단말기(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7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단말기(200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단말기(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781)은 제어부(7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7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광학 부재(40)의 입사면(8A)이 몸체(850)의 일면(예컨대, 뒷면 또는 앞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카메라 장치(200)은 휴대용 단말기(200A)의 몸체(85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200A)의 몸체(85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제2 액추에이터(320), 제1 액추에이터(310), 및 이미지 센싱부(330)가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도 27의 배치에서 카메라 장치가 90도 회전한 형태일 수도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200A)의 몸체(850)의 제1 장측면에서 제2 장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액추에이터(320), 제1 액추에이터(310), 및 이미지 센싱부(330)가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실시 예는 휴대용 장치(200A)에 카메라 장치(200)를 장착할 때, 공간적 제약을 줄일 수 있고, 휴대용 장치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고정 렌즈군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렌즈군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고정 렌즈군과 상기 제1 렌즈군을 통과한 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고정 렌즈군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 또는 제3축을 기준으로 틸트 가능한 광학 부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의 틸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고정 렌즈군의 중심과 상기 제1 렌즈군의 중심의 틀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상기 광학 부재의 초기 위치에 관한 것인 카메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한 변위를 감지하는 제1 위치 센서; 및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3축을 기준으로 한 변위를 감지하는 제2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값은 상기 광학 부재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위치 센서의 출력에 관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제1 렌즈군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의 상기 틸트량에 대응하는 값인 카메라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줌 배율 변환을 위한 렌즈인 카메라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줌 렌즈의 상기 줌 배율들 중에서 최고 배율에 해당하는 위치인 카메라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줌 렌즈의 상기 줌 배율들 중에서 최저 배율에 해당하는 위치인 카메라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줌 렌즈의 상기 줌 배율들 중에서 최고 배율과 최저 배율 사이의 중간 배율에 해당하는 위치인 카메라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틸트를 제어하여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틸트가 제어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줌 또는 오토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렌즈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드라이버; 및
    상기 보정값을 저장하고,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틸트를 제어하는 제2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촬상 영역의 중앙의 좌표값과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틀어짐에 기인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광축이 정렬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촬상 영역의 제1 위치의 좌표값과의 편차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카메라 장치.
  13. 고정 렌즈군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고정 렌즈군과 상기 이동 렌즈군을 통과한 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 또는 제3축을 기준으로 틸트 가능한 광학 부재;
    상기 이동 렌즈군에 대한 줌 배율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의 틀어짐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틸트를 제어하는 카메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렌즈군은 줌 렌즈군와 포커스 렌즈군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15. 고정 렌즈군과 제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렌즈군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고정 렌즈군과 상기 제1 렌즈군을 통과한 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고정 렌즈군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 또는 제3축을 기준으로 틸트 가능한 광학 부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의 틸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1020210101885A 2021-08-03 2021-08-03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30020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85A KR20230020160A (ko) 2021-08-03 2021-08-03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CN202280054966.6A CN117813828A (zh) 2021-08-03 2022-07-28 相机装置和包括该相机装置的光学装置
PCT/KR2022/011141 WO2023013979A1 (ko) 2021-08-03 2022-07-28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85A KR20230020160A (ko) 2021-08-03 2021-08-03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60A true KR20230020160A (ko) 2023-02-10

Family

ID=8515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885A KR20230020160A (ko) 2021-08-03 2021-08-03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20160A (ko)
CN (1) CN117813828A (ko)
WO (1) WO20230139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088B1 (ko) * 2009-04-20 2016-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US10114272B2 (en) * 2014-11-12 2018-10-30 Actuator Solutions GmbH Camera module autofocus actu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781985B (zh) * 2017-03-09 2022-11-01 美商康寧公司 具有自動對焦與光學圖像穩定功能的相機模組
KR102412291B1 (ko) * 2017-08-18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렌즈부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143971A (ko) * 2019-06-17 2020-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979A1 (ko) 2023-02-09
CN117813828A (zh)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144997B (zh) 透镜移动设备、包括该设备的相机模块和光学仪器
US11650394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CN113678428B (zh) 相机模块
CN113711581B (zh) 相机模块及光学装置
KR2017011674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1000006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30067596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광학 기기
KR20220133050A (ko) 액추에이터 장치
KR20220156494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10100429A (ko) 프리즘 액츄에이터
KR20220129322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30020160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30024092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30119511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40002426A (ko)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KR10253964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20129327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US20220311914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129321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20129326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10244641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20152748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TW202307522A (zh) 透鏡驅動裝置
KR20220155055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20150577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