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212B1 -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 Google Patents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212B1
KR101580212B1 KR1020107012703A KR20107012703A KR101580212B1 KR 101580212 B1 KR101580212 B1 KR 101580212B1 KR 1020107012703 A KR1020107012703 A KR 1020107012703A KR 20107012703 A KR20107012703 A KR 20107012703A KR 101580212 B1 KR101580212 B1 KR 10158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arpet
arm
mat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154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쿠르틴
라우렝 휴에
제시 젠센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7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resiliently biased interlocking component or seg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984Cavity having specific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는 캡(6)과 암 아이릿(5)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매트를 끼우기 위한 암 부재(3)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2)는 암 부재(3)와 맞물릴 수 있으며 카페트를 고정하기 위한 카페트 고정 배열을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2)는 환형 그루브(40)를 구비하는 확대된 헤드(33)를 포함한다. 암 아이릿(3)은 내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스터드(10)와 변형 가능한 아암(11)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 가능한 아암(11) 각각은 베이스 부재(2)의 헤드(33)를 암 아이릿(3)으로 미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2개의 인접한 스터드(10)들 사이에 연장한다. 각 아암(11)은 암 부재(3)가 베이스 부재(2)와 맞물릴 때에 환형 그루브(40)에 배치된 중앙 부분(19)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FASTENER FOR FIXING A MAT TO A CARPET}
본 발명은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에서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알려진 패스너는 카페트를 끼우는 베이스 부재와 매트를 끼우는 암 부재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는 카페트로부터 돌출하는 헤드를 구비하며 암 부재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의 헤드와 맞물리도록 적응된다.
DE 196 17 408은 그러한 패스너를 기술한다. 베이스 부재의 헤드는 버섯 형상을 이루며 쇼울더를 구비한다. 암 부재는 일련의 치형부를 구비하며 이 치형부 중 일 단부는 암 부재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며 이 치형부의 자유 단부는 후크 형상을 한다. 이 치형부는 벤딩가능하게 하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암 부재가 베이스 부재 쪽으로 이동될 때 그리하여 치형부가 헤드 쪽으로 이동될 때, 자유 단부는 다시 밀리고 이후 쇼울더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것에 비해 개선된 성능의 패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로서,
- 수 아이릿과 고정 링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로서, 상기 수 아이릿은 플랜지와, 환형 그루브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의 제 1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버섯 형상의 헤드와,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쪽 상기 플랜지의 제 2 면에 배치된 스커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카페트의 제 1 면 상에 위치하도록 적응되며, 상기 고정 링은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쪽 상기 카페트의 제 2 면 상에 위치하도록 적응된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스커트와 상기 링은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상기 카페트를 끼우기 위한 상호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와;
- 암 아이릿과 캡을 구비하는 암 부재로서, 상기 암 아이릿은 환형 리브와, 상기 리브의 일 단부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장하며 상기 매트의 제 1 면 상에 위치하도록 적응된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캡은 스커트와, 상기 스커트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제 1 면의 반대쪽 상기 매트의 제 2 면 상에 위치하도록 적응된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 리브와 상기 스커트는 상기 각 플랜지들 사이에 상기 매트를 끼우기 위한 상호 부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암 부재는 암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와는 반대쪽에 배치되는 해제 위치와, 암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헤드 위에 배치되는 고정 위치를 구비하는, 암 부재
를 포함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에 있어서,
상기 암 부재는 상기 환형 리브의 내부면 상에 내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스터드와 변형 가능한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 각각은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로 상기 암 부재를 미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2개의 연속하는 스터드들 사이에 연장하며, 상기 아암 각각은 상기 암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환형 그루브에 배치되는 중앙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 각각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한 후 상기 환형 그루브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미는 동안 변형되도록 적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제공한다.
이들 아암은 암 아이릿의 나머지 부분에 양 단부가 부착되지만 아암이 놓이는 평면에서 변형되도록 적응되어, 아암이 헤드에 접촉하자마자 밀릴 때 아암은 변형되며 그 중심 부분은 리브의 내부 면 쪽으로 이동한다. 일단 헤드를 지나면, 아암의 중앙 부분은 나머지 위치를 재점유하며 환형 그루브에 위치한다.
그리하여 아암의 두께는 베이스 부재의 헤드에 있는 그루브의 두께로 제한되며 이는 패스너의 일반적인 두께를 제한하는 것을 돕는다. 고정을 위해 아암이 약간 변형되는 것으로 충분하며 이는 뽑아내는 힘이 충분히 높게 유지되면서 최소 힘을 요구한다.
사용시만큼이나 제조시에도 특히 간단하고 편리한 구현 특징에 따라,
- 상기 헤드는 상기 그루브를 한정하는 베이스와 캡을 포함한다;
- 암 아이릿에 있는 상기 아암은 상기 플랜지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배치된다;
- 상기 스터드들 각각은, 상기 내부면과 평행하고 상기 내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있는 전방 면과, 상기 플랜지에 인접한 횡방향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면과 상기 횡방향 면 사이에 형성된 코너는 둥글다;
- 상기 내부면과 상기 전방 면 사이에 상기 스터드 각각의 두께는 상기 암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로 지나갈 때 상기 헤드가 상기 전방 면들 사이에 접하는 방향(tangentially)으로 지나가도록 결정된다;
- 상기 스터드 각각은 2개의 측방향 면을 구비하며, 각 측방향 면은 상기 리브의 내부면과 상기 전방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아암 각각은 상기 측방향 면들중 하나에 각 단부가 부착된다;
- 상기 아암 각각의 각 단부는 그 단부가 부착되는 상기 측방향 면에 인접한 상기 내부 면의 부분에 더 부착된다;
- 상기 암 아이릿은 하나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 상기 캡의 상기 스커트의 상기 내부면과 상기 암 아이릿의 상기 리브의 외부면은 각각 상기 암 부재의 상호 부착 수단에 속하는 일련의 노치를 구비한다;
- 상기 아암 각각은 반달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며, 단면으로 볼 때 직선인 면은 상기 내부면을 향하고, 단면으로 볼 때 곡선인 면은 상기 직선인 면과는 반대쪽에 위치한다;
- 상기 암 아이릿은 상기 환형 리브의 상기 내부면에 걸쳐 규칙적으로 분배된 3개의 스터드를 구비한다;
- 상기 아암 각각은 약간 곡선이며, 그 볼록한 면이 상기 내부면을 향한다;
- 상기 링의 상기 플랜지는 중앙 오리피스 주위로 연장하며, 상기 링은 내부로 돌출하는 뾰족한 단부를 구비하는 일련의 치형부를 상기 중앙 오리피스와 접경하는 외주에 더 구비하며, 상기 수 아이릿의 상기 스커트의 외부면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플랜지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노치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호 부착 수단은 상기 치형부와 상기 노치를 구비하며; 및/또는
- 상기 고정 링, 상기 수 아이릿, 상기 암 아이릿 및 상기 캡은 플라스틱 재질로 하나의 부품으로 각각 성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는,
캡과 암 아이릿을 구비하며 그 사이에 매트를 끼우기 위한 암 부재와;
암 부재와 맞물릴 수 있으며 스냅 연결부를 구비하여 베이스 부재 상에 카페트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 상기 베이스 부재(2)는 상기 카페트(4)의 제 1 면 상에 위치된 제3 플랜지(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 부재(3)는 상기 매트(4)의 제 2 면을 향하는 제1 플랜지(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냅 연결부는,
상기 제3 플랜지(32)의 바닥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레그(52a, 52b)와;
상기 카페트(4)가 스냅 연결부(50)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 1 레그(52a)의 일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 2 레그(52b)와 맞물리는 아암(56)
을 더 포함한다;
- 상기 아암(56)은 카페트(4)와 맞물리기 위해 아암(56)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치형부(58)를 더 포함한다;
- 상기 제 1 레그(52a)의 단부는 이 단부에 대해 아암(56)이 선회되도록 하기 위해 벤딩가능한 플렉시블한 부분(54)에 의해 아암(56)과 연결된다;
- 상기 제 2 레그(52b)는 아암(56)의 일 단부에 장착된 루프(62)에 스냅 동작을 통해 수용가능한 탄성 후크(6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는,
캡과 암 아이릿을 구비하며 그 사이에 매트를 끼우기 위한 암 부재와;
상기 암 부재와 맞물릴 수 있으며 카페트를 고정하기 위한 카페트 고정 배열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환형 그루브를 구비하는 확대된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암 아이릿은, 내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스터드와; 변형 가능한 아암을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변형 가능한 아암 각각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헤드를 상기 암 아이릿 안으로 미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2개의 인접한 상기 스터드들 사이에 연장하며, 상기 아암 각각은 상기 암 부재가 베이스 부재와 맞물릴 때 상기 환형 그루브에 배치된 중앙 부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아암의 두께가 베이스 부재의 헤드에 있는 그루브의 두께로 제한되어 패스너의 일반적인 두께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고정시 아암이 약간 변형되는 것만으로 뽑아내는 힘이 충분히 높게 유지되면서 최소 힘을 요구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의 특징과 잇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하지만 제한하지 않는 예로써 주어진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암 부재가 베이스 부재 위 고정 위치에 있는 제 1 실시예의 패스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패스너의 분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암 아이릿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아이릿의 저면도.
도 5는 상기 아이릿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라인 Ⅵ-Ⅵ을 따라 취한 상기 아이릿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예의 캡의 축방향 단면도.
도 8은 제 1 실시예의 수 아이릿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수 아이릿의 저면도.
도 10은 수 아이릿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라인 XI-XI를 따라 취한 상기 아이릿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패스너의 방향이 도 1에서 아래로부터 본 고정 링의 측면도.
도 13은 도 1의 패스너의 축방향 단면도.
도 14는 고정 위치에 있는 제 2 실시예의 분해도.
도 15는 해제 위치에 있는 제 2 실시예의 베이스 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고정 위치에 있는 제 2 실시예의 좌측면 분해도.
도 1 내지 도 13의 제 1 실시예에서, 매트(mat)를 고정하는 패스너(1)는 베이스 부재(base element)(2)와 암 부재(female element)(3)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2)는 카페트(carpet)(4)에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오리피스(orifice)의 외주(perimeter)에 카페트(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암 부재(3)는 암 아이릿(female eyelet)(5)과 캡(cap)(6)을 구비한다.
패스너(1)와 그 여러 부품들은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다.
암 아이릿(5)은 그 외주를 따라 환형 리브(8)가 연장해 있는 중앙 원형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평평한 환형 제1 플랜지(7)를 구비한다. 리브(8)는 제1 플랜지(7)의 일 측에만 존재한다. 리브(8)는 제1 플랜지(7)의 구께와 상응하는 두께와 제1 플랜지(7)의 두께의 약 2배인 높이를 가진다. 리브(8)의 외부면에는 노치(notch)가 형성되며 {일련의 노치(18)는 톱니 윤곽(profile)을 가진다} 리브(8)의 내부면(9)은 평탄하다.
리브(8)는 제1 플랜지(7)의 반대쪽에 있는 말단 단부와 제1 플랜지(7)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 근접 단부를 구비한다.
암 아이릿(5)은 3개의 스터드(stud)(10)와 3개의 아암(arm)(11)을 더 포함한다.
각 스터드(10)는 리브(8)의 내부면(9)에 부착되며; 3개의 스터드(10)는 이 내부면(9) 상에 규칙적으로 분배되는데, 즉, 이 3개의 스터드(10)는 120°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스터드(10)는 말단 단부로부터 근접 단부로 연장하는 평행6면체 형상을 가진다.
각 스터드(10)는 리브(8)와 평행하게 이 리브(8)로부터 이격 배치된 전방 면(12)과, 제 1 횡방향 면(13)과 제 2 횡방향 면(14)을 구비하며, 제 1 횡방향 면(13)은 리브(8)의 말단 단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놓여 있는 반면, 제 2 횡방향 면(14)은 리브(8)의 근접 단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놓여있다.
전방 면(12)과 제 2 횡방향 면(14) 사이에 형성된 코너(corner)는 각 스터드(10)가 경사부(15)를 구비하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각 스터드(10)는, 제 1 횡방향 면(13)으로부터 제 2 횡방향 면(14)으로 가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제 1 횡방향 면(13) 위로 개방되어 있는 오리피스(16)를 더 구비한다. 이 오리피스는 암 아이릿(5)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양을 제한하며, 대응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에 주름 마크(shrink mark)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스터드(10)의 약간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각 스터드(10)는 2개의 측방 면(17)을 구비한다.
암 아이릿(5)은 3개의 아암(11)을 더 포함한다. 각 아암(11)은 2개의 연속하는 스터드(10) 사이를 연장한다.
각 아암(11)은 2개의 단부를 구비하며, 각 단부는 스터드(10)의 측방 면(17) 위에 그리고 이 측방 면(17)에 인접한 리브(8)의 내부면(9) 부분에 부착된다.
이들 아암(11)은 제1 플랜지(7)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두께를 가지며, 또 이들 아암은 제1 플랜지(7)와 동일한 레벨에 리브(8)에 의해 한정된 원통형 공간 내에 존재한다.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아암은, 단면이 곡선 모양인 측방 면과, 리브(8)와 평행하고 이 리브(8) 쪽을 향해 있는, 단면이 평평한 측방 면을 갖는, 단면으로 볼 때 반달(half-moon)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들 아암(11)의 곡선 모양인 면은 암 아이릿(5)의 축 쪽을 향하는 면이다.
각 아암(11)은 하나의 스터드(10)로부터 그 다음 스터드(10)로 연장하되 각 아암(11)의 중앙 부분(19)이 리브(8)에 더 가까이 존재하도록 하는 아주 약간의 곡률을 갖는 가상의 직선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스터드(10)의 3개의 전방 면(12)에 내접하는 원(inscribed circle)(20)은 아암(11)에 접하는 것이 아니며; 이들 아암(11)의 중앙 부분(19)의 곡선 모양의 면 측은 내접하는 원(20) 내에 위치된다.
리브(8)의 외부면은 리브(8)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일련의 겹쳐있는 환형 노치를 구비하며, 각 노치는 각 노치의 직경이 말단 단부로부터 근접 단부로 가는 방향으로 그 다음 노치의 시작을 한정하는 제2 플랜지(22)와 환형 스커트(annular skirt)(23)를 구비한다. 제2 플랜지(22)는 속이 꽉찬 디스크 형상(solid disc shape)을 구비하며 제2 플랜지(22)의 원형 윤곽(circular contour)은 제1 플랜지(7)의 직경과 동등한 직경을 가진다. 제2 플랜지(22)의 두께는 제1 플랜지(7)의 두께와 전체적으로 동등하다. 여기서 제2 플랜지(22)는 그 중심이 약간 둥근 돔(dome) 형상을 가진다.
삭제
리브(8)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환형 스커트(23)는 제2 플랜지(22)의 오목 면 상에 부착된다.
스커트(23)의 내부면(9)은 리브(8)의 외부면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다.
4개의 일련의 노치(24)는 스커트(23)의 내부면(9)에 제공된다. 이들 일련의 노치(24)는 리브(8)의 노치 형성된 외부면과 맞물리도록 적응된 겹쳐있는 경사부와 쇼울더로 구성된다. 스커트(23)의 내부면(9)은 이들 일련의 노치(24)와 평탄한 부분을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구비한다.
미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노치는 스커트(23)의 내부면(9)의 전체 외주 상에 걸쳐 연장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의 일련의 노치들, 예를 들어, 3개의 노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캡(6)이 암 아이릿(5) 상에 놓일 때, 플린지(7)와, 스커트(23)에 대해 돌출하는 제2 플랜지(22)의 환형 부분은 스커트(23)의 외부면과 함께 외주 그루브(25)를 형성하며, 이 외주 그루브(25)는 매트(26)의 원형 오리피스와 접(border)하는 매트(26)의 에지(edge)를 수용하도록 하는 높이를 가진다.
베이스 부재(2)는 수 아이릿(male eyelet)(30)과 고정 링(locking ring)(31)을 구비한다.
수 아이릿(30)은 제3 플랜지(32), 버섯 형상의 헤드(33) 및 스커트(34)를 구비한다.
제3 플랜지(32)는 평평하며 제1 플랜지(7)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또 제1 플랜지(7)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 제3 플랜지(32)는 암 아이릿(5)의 중앙 오리피스보다 더 작은 중앙 원형 오리피스 주위에 연장한다. 제3 플랜지(3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헤드(33)는 이 중앙 오리피스의 외주에 부착된다.
헤드(33)는 리브(8)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다.
헤드(33)는 제3 플랜지(32)의 평면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방향 벽으로 구성된 베이스(35)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35)는 원통형이며 제3 플랜지(32)의 두께에 전체적으로 상응하는 높이를 가진다.
헤드(33)는 캡(36)을 더 구비한다. 이 캡(36)은 베이스(35)에 대하여 방사방향으로 돌출한다. 제3 플랜지(32) 쪽을 향하는 캡(36)의 면(37)은 베이스(35)에 대해서는 횡방향이다.
캡(36)은 평평한 상부면(38)과 하부면(37)에 대해서는 횡방향인 환형 측방 면(39)을 구비한다. 상부면(38)과 측방 면(39) 사이에 형성된 코너는 둥글며 그래서 베이스(35)와 캡(36)은 버섯 형상을 가진다. 면(37)은 캡(36)과 베이스(35) 사이에 쇼울더를 형성한다.
수 아이릿(30)은 캡(36), 베이스(35) 및 제3 플랜지(32)에 의해 한정된 환형 그루브(40)를 포함한다.
제3 플랜지(32)의 중심에 있는 원형 오리피스는 헤드(33) 안으로 연장하며 그리하여 캡(36)은 제3 플랜지(32)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만을 가진다.
스커트(34)는 헤드(33)가 연장하는 면의 반대쪽의 제3 플랜지(32)의 면으로부터 연장한다.
이 스커트(34)는 여기서 헤드(33)의 높이의 2배 정도인 높이를 가진다. 이 스커트(34)는 원통형이며 캡(36)의 외부 직경에 전체적으로 대응하는 내부 직경을 가지고 있다.
이 스커트(34)의 내부면은 평탄한 반면, 그 외부면은 그 전체 높이에서 제3 플랜지(32)에 인접한 제 1 절반부에는 평탄한 면을 구비하며 그 전체 높이의 나머지 면 위에는 암 아이릿(5)의 리브(8)의 것들과 유사한 경사부와 쇼울더의 연속물을 구비하는 노치(41)들을 구비한다. 경사부는 직경이 제3 플랜지(32) 쪽으로 가면서 증가하도록 배열된다.
이 스커트(34)는 스커트(34)의 외부면의 2개의 직경방향으로 반대쪽 부분들 각각 위에 평평한 부분을 구비한다. 이들 노치(41)는 평평한 부분에서는 중단되며 그래서 이들 노치(41)는 환형이 아니라 단순히 가상적으로 반원형이다.
고정 링(31)(도 12)은 암 아이릿(5)의 제1 플랜지(7)와 유사한 제4 플랜지(42)를 구비하며 이 제4 플랜지(42)는 수 아이릿(30)의 스커트(34)의 외부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형 오리피스 주위에 연장한다.
제4 플랜지(42)의 일 측에는 6개의 치형부(teeth)(43)들이 부착되며, 이 치형부(43)는 제4 플랜지(42)의 내부 오리피스의 외주를 따라 규칙적으로 연장한다. 각 치형부(43)는 인접한 치형부(43)와 작은 갭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이 치형부(43)는 제4 플랜지(42)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큰 높이에 걸쳐 연장한다. 이 치형부(43)는 제4 플랜지(42)의 윤곽을 따르도록 하기 위해 약간 둥글다.
각 치형부(43)는 링(3)의 축 쪽을 향하게 배열된 뾰족한 부분(pointed section)에서 종료한다. 따라서, 각 치형부(43)는, 평평하고 제4 플랜지(42)의 평면에 평행한, 제4 플랜지(42)와 대향하는 에지 면(44)을 구비한다.
치형부(43)의 내부면, 즉 링(31)의 축 쪽을 향하는 면은 에지 면(44)에 예각으로 경사져 있는 제 1 부분(45)을 구비하는 반면, 제4 플랜지(42)와 동일한 측에 있는 치형부(43)의 내부면은 제4 플랜지(42)에 대해 횡방향으로 있는 제 2 부분(46)을 구비한다.
제4 플랜지(42)의 내부 오피리스의 직경과 치형부(43)의 뾰족한 단부들의 방사방향 위치는 수 아이릿(30)의 스커트(34)의 경사부와 쇼울더 사이에 형성된 동일한 뾰족한 오목부에 있는 노치들(41) 사이에 이들 뾰족한 단부들이 수용될 수 있게 설계된다.
고정 링(31)이 수 아이릿(30) 상에 놓일 때, 수 아이릿(30)과 링(31)은 제3 플랜지(32), 제3 플랜지(32)와 동일한 측에 배치된 스커트(34) 부분 및 제4 플랜지(42)를 통해 카페트(4)에서 원형 오리피스와 접경하는 카페트(4)의 에지를 수용하도록 적응된 외주 그루브(48)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매트(26)를 카페트(4)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장착하는 것이 설명되며, 매트(26)와 카페트(4)는 이를 위해 원형 오리피스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2)를 장착하기 위해, 수 아이릿(30)이 카페트(4) 위에 배치되며, 이때 스커트(34)는 카페트(4)에 있는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스커트(34)와 동일한 측에 있는 제3 플랜지(32)의 면이 카페트(4)와 접촉하게 된다.
두께 방향으로 카페트(4)는 그 외부면이 평탄한 스커트(34) 부분을 차지한다.
스커트(34)의 노치 형성된 면은 카페트(4)의 다른 면으로부터 돌출하며 링(31)은 카페트(4) 상에 제4 플랜지(42)를 위치지정하는 것에 의해 스커트(34)에 고정되며, 치형부(43)는 스커트(34)의 노치 형성된 면과 맞물린다. 치형부(43)의 뾰족한 단부는 카페트의 두께에 따라 스커트(34)에 제공되는 노치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노치 내에 위치를 차지한다.
그리하여 베이스 부재(2)의 외주 그루브(48)는 카페트(4)에 있는 오리피스의 외주를 수용하여, 카페트(4)는 플랜지들(32,42) 사이에 끼워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링(31)이 카페트(4)에 있는 오리피스 주위에 놓인 후 수 아이릿(30)이 그 오리피스 쪽으로 이동하며, 이후 제3 플랜지(32)가 카페트(4) 상에 위치지정될 때까지 스커트(34)를 오리피스와 링(31)을 지나게 하여 치형부(43)가 스커트(34)의 노치들에 배치되게 한다.
암 부재(3)를 매트(26)에 장착하기 위해, 캡(6)의 스커트(23)는 매트(26)를 통과하고 제2 플랜지(22)가 매트(26)에 있는 오리피스의 윤곽 상에 위치지정되는 것으로 매트(26)는 플랜지들(7,22)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일단 캡(6)이 올바르게 위치지정되면(이는 매트(26)에 있는 오리피스를 통해 매트(26)의 타측으로부터 봄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외부면에 있는 리브(8)의 노치들이 캡(6)의 스커트(23)의 내부면(9)의 노치들과 맞물리며 리브(8)는 스커트(23) 안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암 부재(3)의 외주 그루브(25)는 매트(26)에 있는 오리피스의 외주를 수용한다.
매트(26)를 카페트(4)에 장착하기 위해, 암 부재(3)는 베이스 부재(2) 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암 부재(3)는 해제 위치에 있는 반면, 암 부재가 베이스 부재의 헤드 위에 위치하면, 암 부재는 고정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이동 동안, 헤드(33)와 아암(11)과 스터드(10)는 먼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암 부재(3)가 2개의 부재(2,3)에 공통인 축을 따라 베이스 부재(2) 쪽으로 이동되면, 아암(11)은 헤드(33)의 캡(36)의 측방 면(39)과 접촉하게 된다.
스터드(10)의 전방 면(12)은 이들 면(12)에 내접하는 원이 헤드(33)의 가장 큰 직경에 대응하도록, 즉 헤드(33)와 베이스(35) 사이에 쇼울더의 레벨에 있는 직경에 대응하도록 위치지정된다.
헤드(33) 쪽 전방으로 이동할 때, 아암(11)의 중앙 부분(19)은 캡(36)의 측방 면(39)의 둥근 형상으로 인해 면(39)의 하부 에지{즉, 제3 플랜지(32)와 동일한 측에 있는}에서 도달되는 최대 분리 간격으로 약간 멀어지게 이동한다.
이들 아암(11)이 헤드(33)를 넘어 이동하여 베이스(35)를 향하면, 쇼울더로 인해 헤드(33)의 전체 사이즈는 감소하며 아암(11)은 헤드(33)의 가장 큰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원에 내접하지 않는 휴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들 아암은 환형 그루브(40) 내에 배치되게 된다.
캡(36)의 하부면(37)이 평면이고 아암(11)의 상부면은 평면 부분(아암의 단면 모양이 반달 형상으로 되게 하는 벤딩 전에)을 구비하며 아암(11)의 중앙 부분(19)에 서로 접촉하여 존재하므로, 패스너(1)의 축을 따라 당기는 것은 아암(11)을 변형시키지 않으므로 암 부재(3)가 베이스 부재(2)에 대해 뽑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터드(10)가 리브(8)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므로, 그 전방 면(12)은 캡(36)의 측방 면(39) 부분과 접촉을 유지하게 되며 이것은 수 아이릿(30)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암 아이릿(5)을 고정시킨다.
암 부재(3)가 2개의 부재(2,3)의 축들 사이에 오프셋을 두고 베이스 부재(2) 쪽으로 이동되면, 스터드들(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경사면(15)을 통해 캡(36)과 접촉하게 된다.
경사부(15)와 캡(36)의 버섯 형상으로 인해, 베이스 부재(2)에 대해 암 부재(3)에 가해지는 압력은 캡(36)과 접촉하는 스터드(10)를 캡(36)의 주변 쪽으로 이동하게 하되 스터드(10)의 전방 면(12)이 캡(36)의 측방 면(39)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이동하게 한다.
이들 스터드(10) 각각의 전방 면(12)은 이후 측방 면(39)과 접촉하게 되고 나머지 고정 공정은 이전과 동일하다.
2개의 스터드(10)가 캡(36)과 접촉하게 되면, 2개의 경사부(15)의 효과는 이전과 동일한 결과를 가지는데, 다시 말해 2개의 스터드(10)가 캡(36)의 주변 쪽으로 향하게 될 것이다.
이런 형태의 조립체 덕분에, 암 아이릿(5)을 수 아이릿(30)에 고정하는 힘, 즉 암 부재(3)를 베이스 부재(2)에 고정하는 힘이 뽑히는 것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이 보장되면서도 적당하게 된다.
암 아이릿(5)의 제1 플랜지(7)의 평면에 놓여 있고 이 평면에서 변형되는 아암(11)으로 인해, 패스너는 제한된 두께를 가진다.
패스너(1)에 전단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터드(10)의 존재로 인해 하나 또는 2개의 아암(11)이 부서지는 것이 방지되며 그리하여 암 부재(3)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마지막 아암(11)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미도시된 실시예에서, 수 아이릿(30)을 링(31)에 고정하고 암 아이릿(5)을 캡(6)에 고정하는 면에 제공되는 노치는 상이한 형상과 상이한 수의 노치를 가지는데, 예를 들어 더 적은 수의 노치를 가진다.
다른 변형예에서, 나사 고정을 위한 내부 나사산과 외부산에 의하여 암 아이릿은 캡(6)에 고정되고 수 아이릿은 링(31)에 고정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이한 수의 스터드들이 제공되며, 예를 들어 암 부재의 리브의 내부면(9)에 규칙적으로 분배된 4개의 스터드들이 제공되거나 2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터드들이 제공된다. 2개의 스터드들이 제공되는 경우에, 아암은 반원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리브의 내부면의 원주의 절반에 가까운 길이를 가진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실시예에서, 암 부재(3)는 암 아이릿(5)과 캡(6a)을 구비하며, 이 캡(6a)은 중앙 원형 오리피스(68)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제 1 실시예의 캡(6)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부재(2)는 제3 플랜지(32), 버섯 형상의 헤드(33) 및 스냅 결합부(50)를 구비한다.
제3 플랜지(32)는 제1 플랜지(7)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와 제1 플랜지(7)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평평하다.
스냅 결합부(50)는 제3 플랜지(32)의 바닥에 고정된 2개의 평행한 레그(52a,52b)와, 상기 제 1 레그(52a)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레그(52b)에 스냅 동작에 의해 고정가능한 아암(56)을 구비한다.
레그(52a,52b)의 높이는 플로어(floor) 카페트(4)의 두께에 대응한다. 제 1 레그(52a)의 일 단부는 제3 플랜지(32)의 바닥에 고정되며 제 1 레그(52a)의 타 단부는 아암(56)의 일 단부에 연결된 얇은 플렉시블하며 벤딩가능한 부분(54)을 구비한다.
제 2 레그(52b)의 일 단부는 제3 플랜지(32)의 바닥에 고정되고 제 2 레그(52b)의 타 단부는 탄성 후크(64)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2)를 플로어 카페트(4)에 고정하기 위하여, 아암(56)은 제 2 레그(52)의 탄성 후크(64)와 맞물릴 수 있는 루프(62)를 구비한다. 루프(62)는 상부면과, 좌측 면과 우측면에 각각 3개의 개구를 구비한다. 상부 개구(66)는 특히 아암(56)이 플로어 카페트(4)를 고정하기 위해 후크(64)에 스냅 결합될 때 탄성 후크(6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아암(56)은 플로어 카페트(4)를 붙잡기 위해 아암(56)의 상부면에 배치된 복수의 치형부(58)를 구비하며 그 중앙 라인을 따라 아암(56)의 바닥면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보강 리브 부재(60)를 더 구비한다. 일부 배열에서, 제3 플랜지(32), 버섯 형상 헤드(22) 및 스냅 결합부(50)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2)의 전체는 일체로 성형된다. 다른 배열에서, 베이스 부재(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로 성형되며, 여기서 아암(56)과 후크(64)는 베이스 부재(2)가 카페트(4)를 통과하여 장착될 때까지는 서로 스냅 결합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매트(26)를 카페트(4)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장착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재(2)는 카페트(4)에 놓이고 레그(52a, 52b)는 카페트(4)에 있는 2개의 오리피스를 통과한다. 2개의 오리피스들 사이에 있는 카페트(4) 부분은 절단되지 않고 후크(64)에 고정될 때 아암(56)에 의해 죄여질 수 있다. 아암(56)은 또한 오리피스들 중 하나의 오리피스를 통과한다. 제3 플랜지(32)의 하부면은 카페트(4)와 접촉하게 된다. 아암(56)은 아암(56)의 치형부(58)가 카페트(4)의 바닥과 접촉하여 카페트(4)와 또 후크(64)가 루프(62)의 개구(66)를 통과하게 하도록 벤딩된다. 후크(64)는 개구(66)의 에지에 의해 변형되며 후크(64)가 루프(62)에 완전히 수용된 후에는 에지와 맞물리게 다시 복귀한다. 그 결과, 카페트(4)는 스냅 결합부(50)에 의해 고정된다.
매트(26)는 캡(6a)과 암 아이릿(5) 사이에 끼워지며 암 부재(2)는 제 1 실시예에 대해 본질적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수 부재(3) 상에 위치된다. 헤드(33)는 매트(26)의 오리피스를 통과하며 매트(26) 상에 노출된다.
카페트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와 매트에 고정된 암 부재를 구비하는 패스너가 기술되었으나, 이 패스너는 일반적으로 여러 층들 중 하나에 대하여 다른 하나의 층의 위치나 특성에 대한 편견 없이 제 1 층에 베이스 부재를 고정하고 제 2 층에 암 부재를 고정하는데 적합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언급되었으나, 다른 배열도 가능하며 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본질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여러 변경, 변형 및 대체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매트 고정 패스너 2 : 베이스 부재
3 : 암 부재 4 : 카페트
5 : 암 아이릿 6 : 캡
7 : 평평한 환형 플랜지 8 : 환형 리브
9 : 내부면 10 : 스터드
11 : 아암 12 : 전방 면
13 : 제 1 횡방향 면 14 : 제 2 횡방향 면
15 : 경사부 16 : 오리피스
17 : 측방 면 18 : 노치
19 : 중앙 부분 20 : 내접하는 원
22 : 플랜지 23 : 환형 스커트
24 : 노치 25 : 외주 그루브
26 : 매트 30 : 수 아이릿
31 : 고정 링 32 : 플랜지
33 : 버섯 형상 헤드 34 : 스커트
35 : 베이스 36 : 캡
37 : 하부면 38 : 상부면
39 : 측방 면 40 : 환형 그루브
41 : 노치 42 : 플랜지
43 : 치형부 44 : 에지면
45 : 제 1 부분 46 : 제 2 부분
48 : 외주 그루브 50 : 스냅 결합부
52a : 레그 52b : 레그
54 : 플렉시블하며 벤딩가능한 부분 56 : 아암
58 : 치형부 60 : 보강 리브 부재
62 : 루프 64 : 탄성 후크
66 : 상부 개구 68 : 중앙 원형 오리피스

Claims (20)

  1.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로서,
    - 수 아이릿(30)과 고정 링(31)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2)로서, 상기 수 아이릿(30)은 제3 플랜지(32)와, 환형 그루브(40)를 구비하며 상기 제3 플랜지(32)의 제 1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버섯 형상의 헤드(33)와,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쪽 상기 제3 플랜지(32)의 제 2 면에 배치된 스커트(34)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플랜지(32)는 상기 카페트(4)의 제 1 면 상에 위치하도록 적응되며, 상기 고정 링(31)은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쪽 상기 카페트(4)의 제 2 면 상에 위치하도록 적응된 제4 플랜지(42)를 구비하며, 상기 스커트(34)와 상기 링(31)은 상기 플랜지들(32,42) 사이에 상기 카페트(4)를 끼우기 위한 상호 부착 수단(41,43)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2)와;
    - 암 아이릿(5)과 캡(6)을 구비하는 암 부재(3)로서, 상기 암 아이릿(5)은 환형 리브(8)와, 상기 리브(8)의 일 단부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장하며 상기 매트(26)의 제 1 면 상에 위치하도록 적응된 제1 플랜지(7)를 구비하며, 상기 캡(6)은 스커트(23)와, 상기 스커트(23)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쪽 상기 매트(26)의 제 2 면 상에 위치하도록 적응된 제2 플랜지(22)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 리브(8)와 상기 스커트(23)는 상기 각 플랜지들(7,22) 사이에 상기 매트(26)를 끼우기 위한 상호 부착 수단(18,24)을 구비하며, 상기 암 부재(3)는 암 부재(3)가 상기 베이스 부재(2)와는 반대쪽에 배치되는 해제 위치와, 암 부재(3)가 상기 베이스 부재(2)의 상기 헤드 위에 배치되는 고정 위치를 구비하는, 암 부재(3)
    를 포함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에 있어서,
    상기 암 부재(3)는 상기 환형 리브(8)의 내부면(9) 상에 내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스터드(10)와 변형 가능한 아암(11)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 각각은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로 상기 암 부재(3)를 미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2개의 연속하는 스터드(10)들 사이에 연장하며, 상기 아암 각각은 상기 암 부재(3)가 상기 베이스 부재(2) 위에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환형 그루브(40)에 배치되는 중앙 부분(19)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11) 각각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한 후 상기 환형 그루브(40)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미는 동안 변형되도록 적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33)는 상기 그루브(40)를 한정하는 베이스(35)와 캡(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아이릿(5)에 있는 상기 아암(11)은 상기 제1 플랜지(7)와는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 각각은, 상기 내부면(9)에 평행하고 상기 내부면(9)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있는 전방면(12)과, 상기 제1 플랜지(7)와 인접하는 횡방향 면(14)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 면(12)과 상기 횡방향 면(14) 사이에 형성된 코너는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9)과 상기 전방면(12) 사이에 있는 상기 스터드(10) 각각의 두께는 상기 암 부재(3)가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로 지나갈 때 상기 헤드(33)가 상기 전방 면들 사이에 접하는 방향으로 지나게 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 각각은 2개의 측방 면(17)을 구비하며, 각 측방면은 상기 리브(8)의 상기 내부면(9)과 상기 전방면(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암(11) 각각은 상기 측방 면(17)들 중 하나 상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11) 각각의 각 단부는 상기 단부가 부착되는 측방향 면(17)에 인접한 상기 내부면(9) 부분에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아이릿(5)은 하나의 부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6)의 상기 스커트(23)의 상기 내부면과 상기 암 아이릿(5)의 상기 리브(8)의 외부면 각각은 상기 암 부재(3)의 상기 상호 부착 수단에 속하는 일련의 노치(18,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11) 각각은 반달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며, 단면으로 볼 때 직선인 면은 상기 내부면(9)을 향하고, 단면으로 볼 때 곡선인 면은 상기 직선인 면과는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아이릿(5)은 상기 환형 리브(8)의 상기 내부면(9)에 걸쳐 규칙적으로 분배된 3개의 스터드(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11) 각각은 곡선을 이루고 그 볼록한 면이 상기 내부면(9)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31)의 상기 제4 플랜지(42)는 중앙 오리피스 주위에 연장하며, 상기 링(31)은 내부로 돌출하는 뾰족한 단부를 가지는 일련의 치형부(43)를 상기 중앙 오피리스와 접경하는 외주면에 더 구비하며, 상기 수 아이릿(30)의 상기 스커트(34)의 외부면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제3 플랜지(32)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노치(41)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2)의 상기 상호 부착 수단은 상기 치형부(43)와 상기 노치(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31), 상기 수 아이릿(30), 상기 암 아이릿(5) 및 상기 캡(6)은 플라스틱 재질로 하나의 부품으로 각각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에 있어서,
    캡과 암 아이릿을 구비하며 그 사이에 매트를 끼우기 위한 암 부재와;
    상기 암 부재와 맞물릴 수 있으며 카페트를 고정하기 위한 카페트 고정 배열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환형 그루브를 구비하는 확대된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암 아이릿은,
    내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스터드와;
    변형 가능한 아암
    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 가능한 아암 각각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헤드를 상기 암 아이릿으로 미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2개의 인접한 상기 스터드들 사이에 연장하며, 상기 아암 각각은 상기 암 부재가 베이스 부재와 맞물릴 때 상기 환형 그루브에 배치된 중앙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KR1020107012703A 2007-12-13 2008-12-09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KR101580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9813A FR2925133B1 (fr) 2007-12-13 2007-12-13 Attache de fixation d'un sur-tapis a un tapis
FR0759813 2007-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154A KR20100096154A (ko) 2010-09-01
KR101580212B1 true KR101580212B1 (ko) 2016-01-04

Family

ID=3957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703A KR101580212B1 (ko) 2007-12-13 2008-12-09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02605B2 (ko)
EP (1) EP2222504B1 (ko)
JP (1) JP5395093B2 (ko)
KR (1) KR101580212B1 (ko)
CN (1) CN101918244B (ko)
ES (1) ES2536098T3 (ko)
FR (1) FR2925133B1 (ko)
WO (1) WO20090763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2280B2 (en) 2018-11-23 2022-04-26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carpet and mat fix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US11642996B2 (en) 2021-10-07 2023-05-09 Tarboy LLC Vehicle floor cove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2507B2 (en) * 2008-05-15 2011-08-23 The Boeing Company Connector assembly for attaching a threaded fastener to a slotted surface
US20100122429A1 (en) * 2008-11-14 2010-05-20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Three piece floor mat retention system
JP5453699B2 (ja) * 2009-02-25 2014-03-26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フロアマットをカーペットに固定する固定装置
FR2950295B1 (fr) * 2009-09-21 2011-12-09 Itw De France Attache de fixation d'un sur-tapis a un tapis
FR2950296B1 (fr) 2009-09-21 2011-12-09 Itw De France Attache de fixation d'un sur-tapis a un tapis
EP2511130A4 (en) * 2009-12-11 2013-10-30 A Jin Industry Co Ltd MAT FIXING CLAMP FOR VEHICLES
CN101947926A (zh) * 2010-09-26 2011-01-19 浙江煜华车饰有限公司 汽车脚垫的安全卡扣及其汽车脚垫
FR2970446B1 (fr) 2011-01-14 2013-02-22 Itw De France Attache de fixation d'un sur-tapis a un tapis
US9016756B2 (en) * 2011-08-30 2015-04-28 Honda Access Corp. Vehicle floor mat
JP5568065B2 (ja) * 2011-08-30 2014-08-06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両用フロアマット
US9669745B2 (en) 2011-12-27 2017-06-06 Piolax, Inc. Mat fastener
US8991006B2 (en) * 2012-04-27 2015-03-31 Macneil Ip Llc Two-piece vehicle floor cover retention device
US8690222B2 (en) * 2012-05-25 2014-04-08 Winfield Consumer Products, Inc. Vehicle floor mat or floor liner kit having a clip
KR101317082B1 (ko) * 2012-09-05 2013-10-1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플로어 매트 록킹장치
KR101234765B1 (ko) * 2012-10-08 2013-02-19 세일인텍 주식회사 자동차 보조매트용 후크장치
KR101362056B1 (ko) * 2012-11-22 2014-02-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후크장치
US8757698B1 (en) * 2013-08-01 2014-06-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oor mat system for vehicle
KR101447630B1 (ko) *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101447637B1 (ko) *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US9273707B2 (en) * 2014-01-07 2016-03-01 Seong Hwan Lee Female-male combination type ornament
ES2541651B1 (es) * 2014-01-22 2016-04-26 Illinois Tool Works Inc. Dispositivo de fijación de alfombrillas en un vehículo
WO2016109249A1 (en) * 2015-01-04 2016-07-07 Marin Anibal Interchangeable button system technology
US9610880B2 (en) * 2015-07-29 2017-04-04 Macneil Ip Llc Multi-vehicle retention grommet
US9517712B1 (en) 2015-07-29 2016-12-13 Macneil Ip Llc Multi-vehicle retention grommet
US10011207B2 (en) 2015-07-29 2018-07-03 Macneil Ip Llc Vehicle floor mat with watertight capped grommets
DE102016205291B4 (de) * 2016-03-31 2019-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festigungsanordnung zur Anbringung einer Fußmatte
US10070697B1 (en) * 2016-09-20 2018-09-11 Phoebe James, Inc. Pop-twist lock fastener
US10723252B2 (en) 2017-09-25 2020-07-28 Thermoflex Corporation Floor mat with integral grommet
CN110652077A (zh) * 2018-06-29 2020-01-07 圣州企业股份有限公司 鸡眼结构
TWI674208B (zh) * 2018-06-29 2019-10-11 聖州企業股份有限公司 雞眼結構
USD873754S1 (en) 2018-09-11 2020-01-28 Husky Liners, Inc. Vehicle floor liner
US10864836B2 (en) * 2018-10-24 2020-12-15 Fca Us Llc Vehicle having grommet apparatus
US11499583B2 (en) 2019-03-12 2022-11-15 Earl Allen Size, JR. Fastener assembly
US11168729B2 (en) 2019-03-12 2021-11-09 Earl Allen Size, JR. Multi-piece anti-vibration locking fastener
US11236778B2 (en) 2019-03-12 2022-02-01 Earl Allen Size, JR. Multi-piece anti-vibration locking fastener having coaxially arranged inner and outer opposite threaded bolts in combination with successive and opposite threaded profiles within a thickened base layer
JP7405538B2 (ja) * 2019-09-06 2023-12-26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D962045S1 (en) * 2019-12-26 2022-08-30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US11155189B2 (en) * 2020-02-13 2021-10-26 Honda Motor Co., Ltd. Bumper assembly for vehicle seat
CN111609002B (zh) * 2020-06-01 2021-06-1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地毯固定卡扣
US11723438B2 (en) * 2020-08-25 2023-08-15 Illinois Tool Works Inc. Adjustment buckle assembly
US11131102B1 (en) * 2021-01-27 2021-09-28 Apparatus Llc Modular floor covering system
WO2023132894A1 (en) 2022-01-06 2023-07-13 Illinois Tool Works Inc. Adaptive re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19023A1 (de) * 1979-05-11 1980-11-20 Itw Ateco Gmbh Druckknopf aus kunststoff
DE19617408C2 (de) * 1996-02-21 2003-02-20 Saxonia Franke Gmbh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 Zusatzmatte
US5775859A (en) * 1997-06-06 1998-07-07 National Molding Corp. Mat fastener
IT1314102B1 (it) * 1999-12-02 2002-12-04 I T W Fastex Italia Spa Dispositivo di montaggio rapido di un tappettino su una moquettefissata sul pavimento di un veicolo.
JP4493210B2 (ja) * 2000-12-27 2010-06-30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マット用固定具
DE20021880U1 (de) * 2000-12-29 2001-03-22 Weller Heidrun Befestigungsmittel für Fußmatten in Kraftfahrzeugen
KR20020089057A (ko) * 2001-05-22 2002-1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구
JP4139593B2 (ja) * 2001-12-27 2008-08-27 住江織物株式会社 車輌用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044406B2 (ja) * 2002-09-30 2008-02-06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留め具
JP4628893B2 (ja) * 2005-07-15 2011-02-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自動車用フロアマットの固定具
DE102007017886A1 (de) * 2007-04-13 2008-10-16 Saxonia-Franke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Zusatzmatten in einem Kraftfahrzeug
US8122567B2 (en) * 2007-07-05 2012-02-28 Connor Jr Mark A Floor mat clip assembly
US7546661B2 (en) * 2007-07-05 2009-06-16 Connor Jr Mark A Floor mat clip assembly
KR100957094B1 (ko) * 2007-12-12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매트
US7945992B2 (en) * 2007-12-17 2011-05-24 Illinois Tool Works Inc. Mat fastening system
US20100122429A1 (en) * 2008-11-14 2010-05-20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Three piece floor mat retention system
JP5453699B2 (ja) * 2009-02-25 2014-03-26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フロアマットをカーペットに固定する固定装置
FR2950296B1 (fr) * 2009-09-21 2011-12-09 Itw De France Attache de fixation d'un sur-tapis a un tapi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2280B2 (en) 2018-11-23 2022-04-26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carpet and mat fix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US11642996B2 (en) 2021-10-07 2023-05-09 Tarboy LLC Vehicle floor cove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87748A1 (en) 2010-11-18
EP2222504B1 (en) 2015-02-18
WO2009076333A1 (en) 2009-06-18
JP5395093B2 (ja) 2014-01-22
EP2222504A1 (en) 2010-09-01
KR20100096154A (ko) 2010-09-01
ES2536098T3 (es) 2015-05-20
US8402605B2 (en) 2013-03-26
JP2011506179A (ja) 2011-03-03
CN101918244A (zh) 2010-12-15
FR2925133A1 (fr) 2009-06-19
FR2925133B1 (fr) 2013-06-28
CN101918244B (zh)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212B1 (ko)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하는 패스너
TWI446883B (zh) Mother buckle
JP5388775B2 (ja) クリップ及びシートカバー被覆構造
AU2003240144B2 (en) Snap fastener for use with fabrics
CN110612039B (zh) 按扣
KR200181170Y1 (ko)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맞물림식 파스너
EP1844674B1 (en) Hook fastener structures
US20090113678A1 (en) Catch base for attaching catch of snap fastener
EP3405063B1 (en) A fastening device and a fastening system
US3534446A (en) Fastener with ornamental front
WO2011033486A1 (en) A fastener for fixing a mat to a carpet
US2644213A (en) Locking stud type molding fastener
US7254874B2 (en) Molded surface fasteners and attachment methods
KR20150066567A (ko) 체결구 부재
CN113939409A (zh) 轮胎
EP0155089B1 (en) Fasteners
EP3884815B1 (en) Clip for attachment of floor carpet
EP3589876B1 (en) Quick connector
US5530998A (en) Twist and snap fastener made of identical mating parts
JP3025139U (ja) くるみボタン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ボタン部材
US2402629A (en) Cap for snap fasteners
JPS63134303A (ja) ホイ−ルカバ−
US3267538A (en) Grip or snap-on fasteners
JPH066964Y2 (ja) ホイ−ルカバ−
JPH0994107A (ja) スナップボタ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