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170Y1 -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맞물림식 파스너 - Google Patents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맞물림식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170Y1
KR200181170Y1 KR2019940019652U KR19940019652U KR200181170Y1 KR 200181170 Y1 KR200181170 Y1 KR 200181170Y1 KR 2019940019652 U KR2019940019652 U KR 2019940019652U KR 19940019652 U KR19940019652 U KR 19940019652U KR 200181170 Y1 KR200181170 Y1 KR 200181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member
fastener
stem
base
h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430U (ko
Inventor
하토리지로
도리고에신지
시바하라노리히토
사와지리오사무
마쯔모토히데오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950005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08Combined with divers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75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opposed structure formed from distinct filaments of diverse shape to those mating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2개의 파스너 부재와 타스너 부재에 대한 한파스너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구조를 포함하는 맞물림식 파스너가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설정 구조는 일방의 파스너 부재로 부터 돌출하는 돌기와 타방의 파스너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맞물림식 파스너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제2a도는 맞물리기 전의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를, 제1 파스너 부재가 뒤집혀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중심 관통 단면도.
제2b도는 맞물리기 전의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를, 제1 파스너 부재가 뒤집혀 있고 또 중심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도시한 중심 관통 단면도.
제3도는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를, 제1 파스너 부재가 뒤집혀서 제2 파스너 부재와 맞물린 상태에서 도시한 중심 관통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제5도는 맞물리기 전의 제2 실시예의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를, 제1 파스너 부재가 뒤집힌 상태에서 도시한 중심 관통 단면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기 통상적인 파스너를 맞물리기 전과 맞물린 후에 도시한 통상적인 파스너의 측면도.
제8a도는 맞물림식 파스너의 한가지 용법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8b도는 제8a도에 도시된 파스너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파스너 부재 14, 16 : 베이스
18, 20 : 머리붙이 스템 22 : 스템
24 : 머리 28 : 돌출부
30 : 돌출측 표면 34, 40 : 개구부
42 : 클립 60 : 벽 형태의 돌출부
본 고안의 2개의 파스너 부재와, 일방의 파스너 부재에 대하여 타방의 파스너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구조를 포함하는 맞물림식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형태의 파스너는, 각기 베이스 및 그 베이스로부터 상호 인접하여 돌출한 복수의 머리붙이 스템(headed stem)을 갖는 2개의 거의 동일한 파스너 부재를 포함한다. 그 파스너 부재 및 이러한 파스너 부재가 부착되는 물품은 파스너 부재들을 눌러서 결합시킴으로써 상호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파스너는 그것들을 결합시키는 데 드는 힘은 비교적 작고, 각각의 머리붙이 스템간의 간섭 때문에 분리하는 데 드는 힘은 비교적 크므로 유리하다.
전술된 형태의 통상적인 파스너가 제7a도 및 제7b도에 예시되어 있다. 그 파스너는 제1 파스너 부재(1)와 제2 파스너 부재(2)를 포함하는데, 각 파스너 부재는 중합체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에는 각기 대체로 평탄한 베이스(3,4 : base)와 이 베이스 위에 예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머리붙이 스템(5)이 구비되어 있다. 각 머리붙이 스템(5)은 베이스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스템(6)과 그 스템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7)를 갖는다. 각각의 머리는 적어도 한 지점에의 직경이 스템의 직경보다 더 크다. 각 머리붙이 스템(5)의 머리(7)는 그 스템(6)에 인접하여 스템(6)의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대체로 평단한 맞물림면(8)과, 이 맞물림면 반대측의 곡선형 정부(頂部)(9)를 갖는다.
제1 파스너 부재(1)와 제2 파스너 부재(2)는, 제7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것들의 베이스(3,4)가 상호 거의 평행함과 동시에 머리붙이 스템들(5)이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각 베이스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일방의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5)의 머리(7)가 그 정부에서 타방의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5)의 스템(6)이 구부러지고, 따라서 각각의 파스너 부재의 머리는,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방의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5)간의 공간내로 도입한다. 일방의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5)은 그 맞물림면(8)에서 타방의 파스너 부재의 맞물림면(8)과 맞물린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 파스너 부재(1)와 제2 파스너 부재(2)는 상호 부착된다.
전술된 통상의 맞물림식 파스너는 모든 머리붙이 스템이 상호 일치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파스너 부재들은 각각의 파스너 부재의 몇개의 머리붙이 스템만이라도 상호 맞물리기만 하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형태의 파스너는, 2개의 독립된 물품들이 어떤 위치 관계에서도 상호 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그 파스너 부재의 베이스를 물품에 부착할 수 있어서, 물품의 외형이 손상되지 않는다.
몇 가지 파스닝(fastening) 용법의 경우, 파스너 부재는 그 파스너가 맞물린 상태에서 작업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용법을 "블라인드(blind)" 파스닝 용법이라 칭하며, 그 파스닝 용법의 일례가 제8a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도면은 천장 라이너를 자동차의 천장에 부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3개의 파스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파스너의 파스너 부재는 천장 라이너를 설치하고 있는 작업자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그 파스너들이 맞물렸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 맞물렸는지를 작업자가 볼 수 없기 때문에, 그 제1 파스너 부재(1)와 제2 파스너 부재(2)는,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중 일부만이 상호 맞물린 상태로도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오정렬에 의해 천장 라이너가 부정확하거나 약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천장 라이너의 외형과 기능 모두를 손상시킬 수 있다.
로봇으로 파스너 부착 공정을 실행하는 경우, 파스너 부재들이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그 파스너 부재들이 상호 정해진 거리 내에 있을 때에만 맞물릴 수 있는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정밀도가 떨어지는 로봇이 파스너를 만족스럽게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스너 부재가 면적이 5㎠이고, 제2 파스너 부재의 면적이 10㎠인 경우, 제1 파스너 부재의 전체 영역이 제2 파스너 부재와 맞물린 경우에만 로봇 장치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상의 점을 고려할 때, 전술된 일반적인 형태의 파스너 부재를 구비하고, 작업자가 아무런 파스너 부재도 볼 수 없는 경우에도 일방의 파스너 부재에 대한 타방의 파스너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구조를 또한 포함하는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규정된 범위의 허용가능한 맞물리 위치를 갖는 2개의 파스너 부재를 구비하는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범위에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에서 돌출하는 인접한 복수 개의 머리붙이 스템을 갖는 마주한 파스너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가 포함되며, 이들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는 예정된 간격으로 상기 베이스 위에 배열되어 각기 상기 베이스로부터 인접하여 돌출되는 스템과 그 스템의 말단부에 연결된 머리를 구비하는 복수의 머리붙이 스템과, 각 파스너 부재의 맞물림을 촉진하기 위하여 마주하는 파스너 부재에 대하여 예정된 위치에 상기 파스너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을 구비한다. 그 위치 설정 수단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몇 가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돌출된 머리붙이 스템을 포함하는 2개의 파스너 부재를 구비한 형태의 파스너에 관한 것인데, 이들 파스너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 부재는 각 파스너 부재의 맞물림을 촉진하기 위하여 한 파스너 부재의 위치를 그것과 유사한 마주한 파스너 부재에 대하여 예정된 위치에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스너 부재의 위치 설정 수단은, 베이스의 주표면 위의 예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머리붙이 스템의 높이보다 더 높게 돌출하는 돌출측 표면을 포함한다. 그 돌출측 표면은 베이스의 주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a도는 맞물림식 파스너의 제1 파스너 부재(10)를, 그리고 제1b도는 제2 파스너 부재(12)를 보여준다.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를 각각 중합체 재료로 단일체로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들은 대체로 평탄한 베이스(14,16)와, 각 베이스상에 예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머리붙이 스템(18,20)을 구비한다. 각 머리붙이 스템은 베이스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인접 돌출하는 스템(22)과, 그 스템(22)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24)를 갖는다. 그 머리는 적어도 한 지점의 직경이 스템의 직경보다 더 크다. 머리붙이 스템의 스템(22)과 머리(24)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붙이 스템(18, 20)의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배열되고 그 치수가 정해진다.
제1a도 및 제1b도의 실시예에서, 제1 파스너 부재(10)는 베이스(14)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하나의 돌출부(28)를 갖는다. 그 돌출부(28)는 머리붙이 스템(18)의 높이 보다는 더 높은 높이까지 돌출하는 원통형의 돌출측 표면(30)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기둥 형상의 돌출부(28)의 돌출측 표면(30)의 높이는 제1 파스너 부재(10)의 머리붙이 스템(18)의 전체 높이에다 제2 파스너 부재(12)의 머리붙이 스템(20)의 높이를 더한 것보다 더 크게 설계된다.
제2 파스너 부재(12)는 베이스(16) 주표면(32)의 거의 중앙에 하나의 개구부(34)를 형성하는 경계면(36)을 갖는다. 그 경계면(36)은 베이스(16)의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뻗는다. 개구부(34)는 주표면(26)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취한 돌출부(28)의 단면적의 최대 값보다 예정된 값만큼 더 큰 면적을 갖는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스너 부재(10)와 제2 파스너 부재(12)가 상호 결합될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 이들 파스너 부재의 베이스(14, 16)는 실질적으로 상호 평행하게 위치되는 한편, 머리붙이 스템(18, 20)의 머리들은 마주한 관계로 유지된다. 이 위치에서, 제1 파스너 부재(10)의 돌출부(28)의 말단부가 제2 파스너 부재(12)의 개구부(34)내에 삽입되므로, 그 돌출부(28)의 돌출측 표면(30)은 개구부(34)의 경계면(36)내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돌출부(28)가 개구부(34)에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제2 파스너(12)가 고착되는 물품(38)(그 일부분만이 도며에 도시됨)에 개구부(34)에 대응하는 개구부(40)를 형성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각 베이스(14, 16)에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각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18)에 있는 머리(24)가 서로 마주한 상태로 미끌어져서 스템(22)을 탄성적으로 굴곡시키며, 이렇게 하여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의 머리(24)가 다른 파스너 부재의 인접한 스템(11) 사이의 공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파스너 부재들(10, 12)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제2a도와 제2b도, 그리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스너 부재(12)의 개구부(34)를 형성하는 경계면(36)의 일부에 베이스(16)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클립(42)과 같은 접속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물품(38)의 개구부 일연부에 눌러 끼울 수 있는 클립(42)이 파스너 부재(12)를 물품(38)상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시된 제1 파스너 부재(10)의 경우처럼 베이스(14)의 후면상에 도포된 접착층(44)을 매개로 하여, 혹은 어떤 기계적 또는 화학적 수단을 사용하여 파스너 부재를 물품(46)상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맞물리게 하는 과정에서, 제1 파스너 부재(10)의 돌출부(28) 말단부가 제2 파스너 부재(12)의 개구부(34) 내에 삽입되지 못하는 대신에 베이스(16)의 표면(32)에 맞닿으면, 머리붙이 스템의 머리(24)는 상호 접촉할 수 없다. 그 이유는 돌출부(28)가 머리붙이 스템(18, 20)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길어서 파스너 부재(10, 12)의 맞물림이 규제되기 때문이다. 한편, 돌출부(28)의 말단부가 개구부(34)에 삽입되는 경우, 제1 파스너 부재(10)와 제2 파스너 부재(12)간의 관계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상대적으로 정렬된) 상태, 또는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상대적으로 오정렬된) 상태에서도, 이들 파스너 부재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28) 및 개구부(34)는 돌출측 표면(34)과 경계면(36)의 상호간의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 정해진 공차 내의 예정된 위치 관계에서만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사이의 맞물림을 허용한다. 따라서, 맞물림에 앞서 일방의 파스터 부재에 대한 타방의 파스너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구조를 파스너에 마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스너 부재의 정밀한 위치 설정이 필요한 경우, 개구부(34)의 면적을 돌출부(28)의 최대 면적과 같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34) 둘레에 제2 파스너 부재(12)의 베이스(16)의 주표면 위에서 예정된 높이 만큼 연직 상방으로 돌출하여 경계면(36)의 높이를 증대시키는 융기부를 형성하면, 제1 파스너 부재(10)의 돌출부(28)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파스너 부재(10)와 제2 파스너 부재(12)에 복수 개의 돌출부 및 그에 대응하는 개구부(3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4a도는 본 고안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의 제1 파스너 부재(48)를, 그리고 제 4(b)도는 제2 파스너 부재(5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 파스너 부재 각각에는 각기 대체로 평탄한 베이스(52, 54)와 그 베이스로부터 거의 수직 상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머리붙이 스템(18, 20)이 마련되어 있다. 각 머리붙이 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템(22) 및 머리(24)를 갖는다.
제1 파스너 부재(48)는 베이스(52)의 주표면(56) 주연부(58)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대체로 연직 상방으로 연장하는 벽 형태의 돌출부(60)를 갖는다. 베이스(52)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면도로 도시했을 때 대체로 장방형 형상으로서, 그것의 4개의 직선형 주연부(周緣部)(58) 위에는 예정된 두께의 벽형태의 돌출부(60)가 마련되어 있다. 그 벽 형태의 돌출부(60)는 머리붙이 스템(18)의 돌출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까지 돌출하는 돌출 내표면(62)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벽 형태의 돌출부(60)의 돌출 내표면(62)의 높이는 제1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의 전체 높이에 제2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의 높이를 합한 것보다 더 높도록 설계된다.
제2 파스너 부재(50)는 베이스(54)의 주연부를 형성하는 경계면(64)을 가지고 있다. 경계면(64)은 베이스(54)의 주표면(66)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연장한다. 베이스(54)는 평면도로 도시했을 때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일 수 있는바, 이는 제1 파스너 부재(48)의 베이스(52)의 그것과 유사한 것이다. 베이스(54)의 연부들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합치되는 마주한 벽 형태의 돌출부(60)간의 거리보다 예정된 값 L(비록 L이 0일 수도 있지만)만큼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것은, 제2 파스너 부재(50)의 베이스(54)가 제2 파스너 부재(12)의 베이스(16)보다 더 두꺼운 것이다. 이는, 제1 및 제2 파스너 부재(48, 50)가 상호 부착된 경우, 제1 파스너 부재(48)의 벽 형태의 돌출부(60)의 말단부가 제2 파스너 부재(50)의 베이스(54) 후면을 벗어나 돌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 파스너 부재(48)와 제2 파스너 부재(48, 50)가 상호 부착된 경우, 내표면(62)의 경계면(64), 벽 형태의 돌출부(60) 및 베이스(54)와의 기하학적으로 상대적인 관계에서 정해진 공차를 허용하면서도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를 예정된 위치 관계에 있도록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스너 부재(48)와 제2 파스너 부재(50)에는 일방의 부재에 대하여 타방의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는, 비록 도면에 예시되지 않았지만, 제2 파스너 부재(50)의 베이스를 좀더 얇게 형성하고, 제2 파스너 부재(50)로 고정되는 물품 위의 제2 파스너부재(50)의 경계면(64)에 인접한 위치에, 벽 형태의 돌출부(60)를 수납하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개구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벽 형태의 돌출부(60)와 개구부를 상호 이동시킴으로써 제1 파스너 부재(48)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6a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의 제1 파스너 부재(68)를, 그리고 제6b도는 그 제2 파스너 부재(7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파스너 부재(68)와 제2 파스너 부재(70)는 각기 대체로 평탄한 베이스(72, 74)와 그 베이스로부터 대체로 직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머리붙이 스템(18, 20)을 구비하고 있다. 각 머리붙이 스템은 제1a도와 제1b도, 그리고 제4a도와 제4b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같은 구조이다.
제1 파스너 부재(68)는 베이스(72)의 전체 주연부에서 거의 연직 상방으로 돌출하는 벽(76)을 가진다. 그 벽(76)은 머리붙이 스템(18)의 높이 보다 더 높게 그 높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내표면(78)을 갖는다. 제2 파스너 부재(70)는 베이스(74)의 전체 주연부에서 머리붙이 스템(20)의 높이 방향으로 거의 연직 상방으로 연장하는 벽(80)을 가진다. 그 벽(80)은 머리붙이 스템(18)의 높이보다 더 낮은 거리만큼 그 높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외표면(82)을 갖는다. 그 벽(80)의 외표면(82)은 본 고안에 있어서 경계면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파스너 부재(68)의 벽(76)과 제2 파스너 부재(70)의 벽(80)의 높이를 합한 전체 높이는 제1 파스너 부재(68)의 머리붙이 스템(18)과 제2 파스너 부재(70)의 머리붙이 스템(20)의 높이를 합한 전체 높이보다 더 길다. 제2 파스너 부재(70)의 베이스는 평면도로 도시했을 때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제1 파스너 부재(68)의 베이스(72)와 유사한 것으로서, 베이스(74)의 각 연부는 벽(76)의 한 쌍의 상호 합치하는 부분간의 거리보다 예정된 값만큼 더 짧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 파스너 부재(70) 역시도 예정된 위치 관계에서 상호 부착될 수 있는 한편으로, 그 벽(76)의 내표면(78)이 벽(80)의 외표면(82)과 접촉함으로써 제한되는 공차를 갖는다. 제1 파스너 부재(68)의 벽(76)이 제1도의 돌출부(20)나 제4도의 벽 형상 돌출부(60)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중의 파스너의 치수가 최소화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벽(76)이 제1 파스너 부재(68)의 머리붙이 스템(18)을 에워싸기 때문에, 그 머리붙이 스템(18)이 보관 중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는 어떤 치수나 어떤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14, 50, 72; 16, 54, 74)는 그것들이 머리붙이 스템(18, 20), 돌출부(28), 벽 형태의 돌출부(60), 혹은 벽(80)을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어떤 치수, 어떤 형상으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붙이 스템(18)도 어떤 치수, 어떤 형상으로든 형성될 수 있다. 스템(22)은 원통형, 각기둥형 혹은 절두원추형(截頭圓錐形) 형상일 수 있으며, 스템과 베이스간의 접속 영역에는 응력 집중을 방지할 목적으로 둥근 만곡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스템에 한 개의 머리붙이 스템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머리(24)는 도시된 반구형 형상이 아닌 탄알이나 볼 형상일 수도 있다. 특히, 맞물림 과정중의 긁힘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머리(24)에서 예리한 연부를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머리(24)는 그것의 맞물림 작업에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슬릿이나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맞물림 과정 중에 변형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28), 벽 형상 돌출부(60) 및 벽(80)도, 그 파스너 부재들의 위치가 에정된 위치 관계로 될 수 있게 하는 어떤 치수, 어떤 형상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 따른 파스너 부재는 여러 가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중합체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탁월한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사출성형의 적합성 때문에, 폴리아미드 수지가 바람직한 재료이다. 가소제나 보강재를 부가함으로써, 재료의 탄성 변형률을 적절히 개선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부직포나 직물을 이용함으로써, 파스너 부재에 적절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베이스(12)의 뒷면에 금속층을 제공하면, 파스너 부재를 소정 물품에 부착해야 하는 경우, 물품에 파스너 부재를 부착할 여지(ground) 를 확보할 수 있고, 접착층의 접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머리붙이 스템(18, 20), 돌출부(28), 벽 형태의 돌출부(60) 및 벽(80)을 베이스의 것과 동일한 중합체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의 파스너 부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파스너 부재를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28), 벽 형태의 돌출부(60), 또는 벽(80)을 접착이나 융착과 같은 적절한 방법으로 파스너 부재에 부착되는 별도의 몸체로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성형의 정확성이나 공정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파괴 가능한 스템 주형을 이용하는 사출성형 공법으로 베이스, 머리붙이 스템 및 돌출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유리하다. 파괴 가능한 스템 주형을 이용하는 일체적 성형법의 일례가 미국 특허 제 5,242,646 호(Torigoe 등)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파괴 가능한 스템 주형이라 함은 금속 주형 내에 코어로 이용되고 초음파 진동, 용해, 물이나 용매에 의한 분해, 혹은 분쇄 등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주형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파괴가능한 스템 주형은 스템 및 돌출부용 주형으로서 이용되며, 그것들은 베이스 및 머리붙이 스템의 머리와 함께 일체로 성형한 후, 적절한 방법으로 제거된다.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스너 부재 중 하나 혹은 양자 모두 일방의 파스너 부재에 대한 타방의 파스너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수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령 자동차의 천장 라이너 설치 작업과 같이 육안 검사가 어려운 상황 하에서 고정 대상 물품의 위치 조정이 필요한 지점에서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위치 관계에 필수적인 공차를 파스너에 용이하게 부여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자동화 장치에 의한 정밀도에 개의치 않고 부착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제까지 몇 가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했다.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함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구조로 한정되기 보다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조 및 그 균등물까지 포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를 구비하는 파스너로서, 상기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는 각기 베이스와 이 베이스상에 예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머리붙이 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머리붙이 스템은 각기 상기 베이스에 접속되어 그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스템과 그 스템의 말단부에 접속된 머리로 구성되며, 각 파스너 부재의 맞물림을 촉진할 목적으로 상기 제2 파스너 부재에 대하여 예정된 지점에 상기 제1 파스너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스너 부재와 제2 파스너 부재의 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파스너 부재의 상기 머리붙이 스템들이 에워싸는 위치에 배열된 돌출부와, 상기 제2 파스너 부재의 상기 머리붙이 스템이 에워싸는 위치에 배열되어 상기 돌출부와 마주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2 파스너 부재상의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1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과 상기 제2 파스너 부재의 머리붙이 스템의 높이를 더한 전체 높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의 최대 단면적보다 예정된 값만큼 더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파스너 부재의 베이스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파스너 부재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파스너 부재의 상기 베이스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KR2019940019652U 1993-08-03 1994-08-03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맞물림식 파스너 KR2001811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40693A JP3636735B2 (ja) 1993-08-03 1993-08-03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とそのファスナー部材を備えたファスナー
JP93-192406 1993-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430U KR950005430U (ko) 1995-03-20
KR200181170Y1 true KR200181170Y1 (ko) 2000-05-15

Family

ID=1629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652U KR200181170Y1 (ko) 1993-08-03 1994-08-03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맞물림식 파스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79562A (ko)
JP (1) JP3636735B2 (ko)
KR (1) KR200181170Y1 (ko)
DE (2) DE9412451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111A (en) * 1994-07-27 1998-02-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having reduced engagement force
AT2327U1 (de) * 1997-07-24 1998-08-25 Gehring Gmbh Maschf Mehrteilige randleiste
AT410011B (de) * 1999-12-16 2003-01-27 Fruit Security Matzer U Pfeiff Anordnung zum lösbaren anbringen eines verbindungsstücks zum verbinden von flächigen gebilden
AU2001257630A1 (en) * 2000-05-03 2001-11-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Attachment mechanism
US6656563B1 (en) * 2000-05-23 2003-12-02 Velcro Industries B.V. Segmented separable fastener
US6617420B2 (en) 2000-08-11 2003-09-09 Nippon Shokubai Co., Ltd. Process for reducing monomer content in N-vinyl compound polymers
US6687962B2 (en) 2002-01-16 2004-02-10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element patterning
US20090106953A1 (en) * 2007-10-24 2009-04-30 Wittig Wayne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by capturing protruding members in corresponding flexible openings
DE102008007913A1 (de) * 2008-02-06 2009-08-20 Gottlieb Binder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US8882203B2 (en) 2009-03-27 2014-11-11 Kuraray Fastening Co., Ltd. Locking connection member of cover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ed cushion formed body
JP5325132B2 (ja) * 2010-01-28 2013-10-23 株式会社ニフコ ファスナ
DE102010027394A1 (de) * 2010-07-16 2012-01-19 Gottlieb Binder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CN103327845B (zh) * 2010-11-17 2016-01-20 维尔克工业有限公司 触摸紧固产品面配置
JP5862072B2 (ja) * 2011-06-30 2016-02-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8875356B2 (en) 2011-10-06 2014-11-0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Mechanical and adhesive based reclosable fasteners
JP6157084B2 (ja) * 2012-10-09 2017-07-0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ァスナ部材
US9474338B2 (en) * 2013-10-11 2016-10-25 Aplix Fastener
US10188179B2 (en) * 2013-10-11 2019-01-29 Aplix Fastener
DE102013018876A1 (de) * 2013-11-12 2015-05-13 BIAS Bremer Institut für angewandte Strahltechnik GmbH Verbindungspartner zum Herstellen einer Verbindung mit einem weiteren Verbindungspartn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Verbindungspartners
US9944445B2 (en) * 2015-05-14 2018-04-17 Gerald C Altomare Apparatus and method of embedding articles within reclosable fastener systems
JP2017169616A (ja) * 2016-03-18 2017-09-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23634A (zh) * 2016-05-16 2019-07-16 Jam.控股股份公司 封闭构件
JP6667009B2 (ja) * 2016-12-14 2020-03-18 Ykk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
US11453193B2 (en) * 2017-07-17 2022-09-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vature limiting film
US20210267321A1 (en) * 2020-02-19 2021-09-02 Leonard A. Duffy Self-Sealing Closur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3429A (en) * 1966-11-09 1968-10-01 Smith George Walter Henry Strip fastening means
US4290832A (en) * 1976-08-13 1981-09-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fasteners
US4290174A (en) * 1976-08-13 1981-09-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eparable fastener and article for making same
US4216257A (en) * 1979-04-20 1980-08-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ip material for forming flexible backed fasteners
US4322875A (en) * 1980-03-31 1982-04-06 Minnesota Mining And Manfacturing Company Two strip materials used for forming fasteners
US4454183A (en) * 1982-02-26 1984-06-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ip material with heat-formed hooked heads
US4710414A (en) * 1984-07-10 1987-12-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astener assembly with heat shrinkable film cover
US4563380A (en) * 1984-07-10 1986-0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astener assembly with improved temporary attachment layer
JPS62150907U (ko) * 1986-03-19 1987-09-24
US4784890A (en) * 1986-06-20 1988-11-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astener assembly with peripheral temporary attachment layer
US4706914A (en) * 1986-07-25 1987-11-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ttaching assembly
JPH0637711Y2 (ja) * 1987-04-23 1994-10-05 株式会社クラレ 留 具
JPH0358109U (ko) * 1989-03-06 1991-06-05
JP2799759B2 (ja) * 1989-10-19 1998-09-21 株式会社ニフコ 圧着、剥離型プラスチック製ファスナ、及びその製造方法
US5058245A (en) * 1989-10-31 1991-10-22 Kuraray Co., Ltd. Fastening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adherend by using the same
JP2969753B2 (ja) * 1990-03-28 1999-11-02 スズキ株式会社 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US5179767A (en) * 1990-07-16 1993-01-19 Allan Robert M Connector apparatus
US5077870A (en) * 1990-09-21 1992-0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shroom-type hook strip for a mechanical fastener
JPH04263802A (ja) * 1991-02-19 1992-09-18 Toyota Motor Corp 二段係合ファスナー
US5212853A (en) * 1992-03-10 1993-05-25 Nifco Inc. Separable plastic faste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US5235731A (en) * 1992-03-26 1993-08-17 Kuraray Co., Ltd. Molded-resin separable fastener and fasten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US5242646A (en) * 1992-05-07 1993-09-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59606A (ja) 1995-03-07
US5579562A (en) 1996-12-03
DE4427284A1 (de) 1995-03-02
KR950005430U (ko) 1995-03-20
DE9412451U1 (de) 1994-12-08
JP3636735B2 (ja)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1170Y1 (ko)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맞물림식 파스너
KR100289824B1 (ko) 상호 결합 파스너 부재와 이 부재를 구비한 파스너
US3841044A (en) Resilient buffer assembly
JP3471430B2 (ja) クリップ
KR940006314B1 (ko) 죔쇠 부재
US5267667A (en) Plug adapted to be fixed by means of hot melt adhesive into an opening in a plate such as an automobile body
EP0228293A2 (en) Fastener with tape
US20060125286A1 (en) Ea member attaching construction
KR200181169Y1 (ko)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US6089349A (en) Sound absorber mat with integrally molded retainer
US3401434A (en) Snap fastener assembly
KR20160070754A (ko) 파스너
KR100318023B1 (ko) 파스너 테이프의 하단부 정지 부착체 및 그를 포함하는슬라이드 파스너 체인
EP0360473B1 (en) Attaching device for garment fastener element
US20050251970A1 (en) Garment clos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EP0577270B1 (en) Fastener assembly
JPH028088Y2 (ko)
KR200181168Y1 (ko)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JP2518569Y2 (ja) 留め具
JPH066963Y2 (ja) ホイ−ルカバ−
JPH038302B2 (ko)
JPS5925211Y2 (ja) 合成樹脂製ホツク
JPH08312618A (ja) リベット
JPH0218259B2 (ko)
JP3407322B2 (ja) 面ファス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