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168Y1 -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 Google Patents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168Y1
KR200181168Y1 KR2019940022770U KR19940022770U KR200181168Y1 KR 200181168 Y1 KR200181168 Y1 KR 200181168Y1 KR 2019940022770 U KR2019940022770 U KR 2019940022770U KR 19940022770 U KR19940022770 U KR 19940022770U KR 200181168 Y1 KR200181168 Y1 KR 200181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ead
stem
fastener memb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865U (ko
Inventor
하토리지로
도리고에신지
시바하라노리히토
사와지리오사무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950007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A44B18/0065Male or hook elements of a mushroom type

Landscapes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은 베이스(12)와, 이 베이스상에 배열된 다수의 헤드 스템(14)를 구비한다. 각각의 헤드 스템(14)는 베이스(12)로 부터 수직하게 돌출 및 인접하는 스템(16)과, 그리고 스템(16)의 선단부에 인접하는 헤드(18)을 구비한다. 연장부(28)은 베이스(12)를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시키기 위해 베이스(12)의 배면(26)상에 형성된다. 이 연장부(28)은 대상물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채택된 록킹부(32)를 구비한다. 연장부(28)은 파스너 부재(10)의 성형 작업중에 베이스(12)를 형성하기 위해 주형내에서 베이스(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장부(28)은 베이스(12)에 견고히 인접하며 양호한 재생산성을 지니며, 그 결과 균일한 부착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a도는 평면도; 제1b도는 대상물의 단면을 도시하기 위해 제1a도의 화살표 b에서 바라본 측면도; 그리고 제1c도는 제1a도의 화살표 c에서 바라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a도는 측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화살표 b에서 바라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3a도는 평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화살표 b에서 바라본 측면도; 그리고 제3c도는 제3a도의 화살표 c에서 바라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4a도는 평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화살표 b에서 바라본 측면도; 그리고 제4c도는 제4a도의 화살표 c에서 바라본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의 수직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에 사용된 고정용 부재의 사시도,
제7도는 제2도에 도시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7a도는 주형의 단면도; 그리고 제7b도는 성형된 파스너 부재 및 스템 주형의 수직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
제9도는 한쌍의 파스너 부재를 구비하는 종래의 파스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9a도는 맞물림이 실시되기 전의 대략적인 측면도; 제9b도는 맞물림이 실시된 후의 대략적인 측면도,
제10도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종래의 파스너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0a도는 평면도; 제10b도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스너 부재 12 : 기부
14 : 헤드 스템 18 : 반구형 헤드
28 : 연장부 30 : 원통부
32 : 잠금부
[기술분야]
본 고안은 일체형 고정 수단이 구비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종래의 맞물림식 파스너의 일형태에는 기부의 주요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헤드 스템(headed stem)이 각각 구비되는 2개의 파스너 부재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파스너 부재 중 하나에는 섬유성 기부와, 이 기부에 직조된 복수개의 필라멘트 헤드 스템이 포함된다. 또한, 수지성 재료로 기부와 복수개의 헤드 스템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파스너 부재들은 동일한 파스너 부재 또는 그밖의 형상이 다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의 조합이 포함되어 있는 종래의 파스너의 일례가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각 파스너 부재(1)는 기부(2)와, 이 기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헤드 스템(3)이 구비되어 있다. 각 헤드 스템(3)은 기부(2)의 주요면(4)에 접속되고 이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스템(5)과, 이 스템(5)의 말단부에 접속된 헤드(6)가 구비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1)를 서로 고정하기 위해, 각 기부(2)는 서로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고, 헤드 스템(3)의 헤드(6)는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된 상태로 서로 접촉된다. 이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압축력이 기부(2)에 가해질 때 한쪽 파스너 부재(1)의 헤드 스템(3)의 헤드(6)는 정점(7)에서 다른쪽 파스너 부재(1)의 헤드 스템(3)의 헤드(6)에 대해 미끄러진다. 양쪽 파스너 부재의 스템(5)은 탄력적으로 휘어지며, 따라서 각 헤드는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쪽 파스너 부재(1)의 인접한 스템(5)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한쪽 파스너 부재(1)의 헤드 스템(5)들은 이들 각각의 바닥면 또는 맞물림면(8)에서 다른쪽 파스너 부재(1)의 맞물림면(8)과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서로 맞물린 파스너 부재(1)는 기부(2)에 미리 정해진 분리 작용력을 양방향으로 가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으며, 스템(5)은 탄성적으로 휘어져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는 일반적으로 접착제, 압착성 양면 접착제 테이프, 볼트 또는 클립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된다. 통상적으로 파스너 부재는 접착제 또는 압착성 양면 접착제 테이프를 주요면 반대쪽의 기부 배면에 부착함으로써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된다. 대상물 표면에 파스너 부재를 고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분리형 수지성 클립을 초음파 용접 또는 고주파 용접법에 의해 기부에 고정하는 방법, 또는 분리형 금속 클립을 압착 끼워 맞춤 또는 코킹(caulking)으로 기부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접착제 또는 압착성 양면 접착 테이프가 기부의 배면에 도포될 때, 접착제와 기부 간에 적절한 접착력을 얻기 위해 기부의 배면에 초벌 도포(primer)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많은 파스너 부재에 초벌 도포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초벌 도포를 일정한 두께로 반복적으로 도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파스너 부재에 일정한 접착 특성이 제공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가 접착제 또는 압착성 양면 접착제 테이프로 고정될 경우, 접착제가 경화되거나 접착제 테이프의 안정된 접착 상태를 발생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고정 후 바로 파스너 부재를 사용하기 어렵다.
분리형 수지 클립이 초음파 용접 또는 고주파 용접법에 의해 기부에 고정될 경우에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용접 작업에는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고, 숙련된 작업자가 작업하더라도 종종 용접 품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파스너 부재의 각 그룹에는 서로 다른 고정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분리형 금속 클립이 압착 끼워 맞춤 또는 코킹에 의해 기부에 접속될 경우, 이 금속 클립은 일반적으로 기부의 외주부에 가까운 부분에 고정되며, 헤드 스템이 그 부분에 배치되지 않는다. 파스너 부재가 이러한 금속 클립에 의해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때, 기부의 외주부만이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되므로 기부의 중앙부는 파스너 부재에 분리력이 가해질때 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따라서, 파스너 부재의 고정 특성이 손상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파스너 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파스너 부재(1')는 기부(2')로부터 돌출하고, 그곳에 배치된 복수개의 헤드 스템(3')과, 기부(3')를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하기 위해 기부의 주요면(3') 반대쪽의 기부(2') 표면에 접속된 고정 수단(9)을 포함한다. 이 고정 수단(9)은 기부(2')가 파스너 부재(1')의 사출 성형법에 따라 성형될 때 기부(2')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부(2')와 접속된 고정 수단(9)에 있어서, 기부(2')는 대상물 표면에 쉽게 고정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법은 신뢰성이 있기 때문에 고정 특성이 비교적 일정한 많은 파스너 부재(1')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법에 사용되는 주형의 종류로 인해 전술한 파스너 부재(1')에는 헤드(6')가 반구형이 아닌 헤드 스템(3')이 포함된다. 헤드 스템의 배치를 도시된 종횡 배열과 다르게 하는 것은, 접속된 헤드 스템 간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분리 작용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곤란하다. 헤드 스템(3')의 헤드(6)는 각 스템(5')의 동일한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부터 형성되며, 이 돌출부는 맞물림면(8')을 형성한다. 이 맞물림면(8')의 면적은 반구형 헤드의 맞물림면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충분히 큰 분리 작용력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전술한 곤란한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고정 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반구형 헤드가 구비되는 파스너 부재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 스템이 구비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 파스너 부재에는 기부를 대상물의 표면에 쉽게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이 포함되므로, 분리 작용력을 감소시키지 않고 고정 능력이 일정한 일군의 파스너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고안의 개요]
본 고안은 주요면이 구비되는 기부와, 기부의 주요면에 접속되고 이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스템 및 이 스템의 전체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맞물림면이 구비되는 헤드로 각각 구성되고, 미리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면서 기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헤드 스템이 포함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로서, 기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대상물의 표면에 기부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된다.
이러한 파스너 부재에 있어서, 기부, 스템, 헤드 그리고 기부를 고정하는 수단은 파괴 가능한 스템 주형을 이용하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부를 고정하는 수단에는 기부와 일체로 성형된 연장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연장부는 대상물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기부를 고정하는 수단에는 기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주형 내에서 삽입물로 배치된 고정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기부와 일체로 성형된다. 고정용 부재는 대상물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다. 파스너 부재가 고정될 대상물의 표면에 전기 접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기부와 헤드 스템은 전도성 중합체 재료로, 그리고 고정용 부재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구성요소들을 여러 각도에서 바라보고, 동일 부품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이 파스너 부재(10)에는 대체로 평평한 기부(12)와, 이 기부(12) 상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헤드 스템(14)이 구비되어 있다. 각 헤드 스템(14)에는 기부(12)에 접속되고 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스템(16)과, 이 스템(16)의 말단부에 형성된 반구형 헤드(18)가 구비되어 있다. 이 헤드의 적어도 한 위치에서의 직경은 스템의 직경보다 더 크다. 스템(16)에는 기부(12)의 주요면(20)에 접속된 기부쪽 단부(22)와 헤드(18)가 접속된 말단부(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헤드(18)에는 스템의 전체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물림면(25)이 구비되어 있다.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에는 파스너 부재를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에는 기부(12)의 배면(26)의 중심에 접속된 연장부(28)가 포함되어 있다. 이 연장부(28)는 파스너 부재(10)의 성형 공정 중에 기부(12)의 성형에 사용된 주형 내에서 기부(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연장부(28)에는 기부(12)의 배면(26)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원통부(30)와, 이 원통부(30)의 반대쪽 표면에 배치된 한 쌍의 잠금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잠금부(32)의 밑면 단부(32a)는 원통부(30)의 바닥에 가까운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잠금부(32)의 상단부(32b)는 자유단이 되고, 이에 따라 이 잠금부(32)는 중합체인 구성 재료의 탄력성에 의해 밑면 단부(32a)를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될 수 있다.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가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때, 연장부(28)는 제1b도 및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8)를 수용하기 위해 대상물에 형성된 개구(H)로 삽입된다. 잠금부(32)는 원통부(30)의 중심을 향해 탄력적으로 선회된다. 파스너 부재(10)의 기부(12)의 배면(26)이 대상물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면, 잠금부(32)는 제1b도에 도시된 위치로 탄력적으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잠금부(32)의 상부면은 개구(H)의 가장자리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기부(12)의 성형 공정 중에 주형 내에 연장부(28)를 기부(12)와 함께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그 결과, 연장부(28)는 기부(12)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파스너 부재에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일정한 고정 능력이 이들 파스너 부재에 부여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듯이, 연장부(28)를 기부와 일체로 성형하는 데에는 여러 방법들 중 어느 한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중합체 재료로 기부(12)와 연장부(28)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 성형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연장부(28)는 용융점이 기부(12)의 용융점보다 더 높은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단일의 파스너 부재를 성형하기 전에 기부 주형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를 도시한 것이다. 이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에는 제1도의 파스너 부재(10)와 유사한 기부(12) 및 헤드 스템(14)이 구비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10')에는 기부(12)의 배면(26)의 중앙에 접속된 연장부(34) 형태의 고정 수단도 구비되어 있다. 이 연장부(34)는, 기부(12)가 성형될 때 기부 주형 내에서 기부(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부(34)에는 기부(12)의 배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대체로 원통형인 원통부(36)와, 이 원통부(36)의 밑면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잠금부(38)가 구비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10')는 연장부(34)의 잠금부(38)를 대상물의 표면에 형성된 T형 슬롯(도시 생략) 내로 활주 삽입함으로써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40)를 도시한 것이다. 파스너 부재(40)에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사각형 기부(42)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기부(42)에 배치된 복수개의 헤드 스템(44)이 구비되어 있다. 각 헤드 스템(44)에는 기부(42)의 주요면(46)에 접속되고 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스템(48)과, 이 스템(48)의 말단부에 형성된 반구형 헤드(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헤드의 직경은 스템(48)의 직경보다 더 크다.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40)에는 연장부(54)의 형태로 되어 있는 고정 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이 수단은 기부(42)의 한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기부(42)의 배면(52)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연장부(54)는 파스너 부재(40)의 성형 공정 중에 기부(42)의 성형에 사용된 주형 내에서 기부의 재질과 동일한 재료로 기부(42)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연장부(54)에는 기부(42)의 배면(5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인 벽부(56)와, 이 벽부(56)의 밑면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그것과 평행하지만 배면(52)에 점차로 가까워지는 잠금부(58)가 구비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40)는 대상물의 가장자리부를 기부(42)의 배면(52)과 연장부(54)의 잠금부(58)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함으로써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된다. 잠금부(58)의 자유단(60)은 대상물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하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이 가장자리부는 잠금부(58)의 탄성력에 의해 기부(42)와 잠금부(58)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제4도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40')에는 제3도의 파스너 부재(40)와 유사한 기부(42) 및 헤드 스템(44)이 포함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40')에는 기부(42)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기부(42)의 배면(5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한쌍의 연장부(62) 형태로 되어있는 고정 수단도 구비되어 있다. 성형 작업 중에, 이 연장부(62)는 기부(42)를 성형하기 위한 주형 내에서 기부의 재료와 동일한 중합체 재료로 기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 연장부(62)에는 기부(42)의 배면(5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64)와, 이 벽부(62)의 밑면 가장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배면과 평행하지만 배면(52)에 점차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잠금부(66)를 구비한다. 전술한 파스너 부재(40)와 유사하게, 이 파스너 부재(40')는 대상물의 가장자리부를 기부(42)의 배면(52)과 연장부(62)의 잠금부(6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함으로써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파스너 부재(40)의 경우에 비해 보다 얇은 대상물의 가장자리에 파스너 부재(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기부(42)의 반대편 가장자리에는 파스너 부재의 고정을 보조하는 후크(68)가 존재한다.
제5도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7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파스너 부재(70)에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기부(72)와, 상기 기부(72)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헤드 스템(74)이 구비되어 있다. 각 헤드 스템(74)에는 기부(72)의 주요면(76)에 접속되고 이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된 스템(78)과, 이 스템(78)의 말단부에 접속된 반구형 헤드(80)가 구비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70)에는, 대상물의 표면에 기부(72)를 고정하기 위해 기부(72)와 인접하고 고정용 부재(82) 형태인 고정 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부재(82)에는 기부(72)에 내장되는 지지부(84)와, 이 지지부(84)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벽부(86)와, 이 벽부(86)의 밑면 단부로부터 지지부(8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잠금부(88)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용 부재(82)는 금속 박판으로부터 양호하게 압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구멍(90)과 후크(92)는 각각 지지부(84)와 잠금부(88)에 형성된다. 고정용 부재(82)는 파스너 부재(70)의 성형 작업 중에 기부(72)를 성형하는 주형 내에서 삽입물로서 배치되며, 중합체 재료로 기부(72)를 성형함으로서 기부(72)와 일체로 성형된다. 중합체 재료가 지지부(84)의 구멍(90)속으로 유입되어, 고정용 부재(82)는 기부(72) 내에 내장 된다.
파스너 부재(70)는 대상물의 가장자리부를 기부(72)의 배면(94)가 고정용 부재(82)의 잠금부(88)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함으로써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잠금부(88)의 후크(92)는 대상물의 가장자리에 의해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그 가장자리부는 푹(92)의 탄성력에 의해 기부(72)와 잠금부(88)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 부재의 치수 및 형상은 어떠한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부(12)는 도시된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 스템(14)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치수 및 형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기부(12)의 두께는 0.5 내지 5.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연장부(28)는 고정 수단으로 작용한다면 어떤 적당한 치수 및 형상이라도 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28)는 기부(12)의 어떤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연장부(28)가 하나의 기부(1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파스너 부재(10)는 대상물의 표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헤드 스템(14)의 스템(16)은 원통형, 프리즘 또는 절두된 원추형과 같은 여러 형상이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템이 각 헤드(18)에 제공될 수 있으며, 더욱이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의 굴곡형 코너(34)가 스템(16)의 기부측 단부(22)와 기부(12)의 주요면(20) 사이의 접속 영역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헤드 스템(14)의 휨에 의해 야기되는 접속 영역 내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게 된다. 헤드(18)에는 도시된 반구형 외에 구형, 파라미드형 또는 우산형과 같은 여러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 스템(16)과 반구형 헤드(18)가 구비되어 있는 헤드 스템(14)에서 스템(16)의 직경은 충분한 분리 작용력을 얻기 위해 헤드(18) 직경의 20 내지 7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18)의 외주부 가장자리는 헤드가 대향된 헤드 스템의 헤드와 맞물릴 때 발생되는 긁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날카로운 가장자리 부분 없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헤드(18)에는 맞물림력을 줄이기 위해 형성된 홈부 또는 오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 부재는 여러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파스너 부재(40)의 기부(42) 및 연장부(54)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아세틸 수지 등과 같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뛰어난 열적 내구성, 기계적 강도 및 사출 성형 작업의 용이성 때문에 적합한 재료로 알려져 있다. 헤드 스템(44)은 기부(42)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헤드 스템(44)의 스템(48)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부(42)와 헤드(50)의 재료와 다른 고강도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기부(42), 헤드 스템(44), 연장부(54)는 ASTM 테스트 방법 D790에 근거하여 측정시 약 103kgf/cm2의 탄성 굽힘 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부(42), 헤드 스템(44) 및 연장부(54)의 탄성 계수를 적당히 수정하기 위해, 중합체 재료에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등의 보강 부재를 첨가하거나, 가소제 및 고무 등을 첨가시킬 수 있다.
파스너 부재(70)에 있어서, 기부(72)와 헤드 스템(74)은 전도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고정용 부재(82)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스너 부재(70)는 이것이 금속성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때 대상물을 위한 접지 부재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탄소 섬유가 직조되어 있는 전도성 카페트(carpet)가 자동차 바닥에 설치될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며, 이는 파스너 부재가 카페트에 대한 고정 기능과 접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이다. 금속성 대상물의 표면이 페인트로 피복되어 있는 경우라도, 고정용 부재(82)의 잠금부(88)의 후크(92)가 금속면과 접촉되도록 페인트층을 파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지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는 여러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독특한 형상을 지니는 헤드 스템을 쉽게 형성하기 위해, 파괴 가능한 스템 주형을 이용하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 기부와 헤드 스템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법은 미국 특허 제5,242,646호[토리고에(Torigoe) 등에 허여]에 개시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서 인용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로 포함되며, 이하에서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7도는 파스너 부재(10')의 제조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의 기부(12) 및 연장부(34)의 성형을 위한 기부 주형(100)과, 헤드 스템(14)의 스템(16)을 성형하기 위한 스템 주형(102)과, 헤드 스템(14)의 헤드(18)를 성형하기 위한 헤드 주형(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부 주형(100)은 파괴되지 않고 성형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주형으로 구성되며, 기부(12) 및 연장부(34)에 대응되는 공동부(106)를 구비하고 있다. 스템 주형(102)은 아래의 설명된 방법으로 성형된 파스너 부재(10')로부터 파괴되어 제거될 수 있는 파괴 가능한 주형이며, 스템(16)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공동부(108)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주형(104)은 성형된 파스너 부재(10')으로부터 파괴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는 주형이며, 헤드(18)와 일치하는 복수개의 공동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동부(106,108,1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부(12), 연장부(34), 스템(16) 및 헤드(18)의 희망하는 형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스템 주형(102)은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를 형성하기 위한 사출 성형법에서 코어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며, 파스너 부재(10')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다양한 수단에 의해 성형된 파스너 부재(10')로부터 파괴되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템 주형(102)은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용매(물 또는 알코올 등)를 이용한 용해법, 용융법, 분해법, 분쇄법(shattering)(예를 들어, 초음파를 이용) 또는 절단법 등과 같은 다양한 기계적 및 화학적 방법으로 스템(16)의 외주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템 주형(102)은 수용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 경우, 스템 주형(102)은 이를 물에 침수시키고 진동을 가함으로써 파스너 부재(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된 수용성 재료는 유럽 특허 출원 제314,156호, 미국 특허 제4,990,146호 및 제4,870,1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스템 주형(102)은 통상의 사출 성형법에 의해 희망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주형(102)은 기부 주형(100)과 헤드 주형(104) 사이에 배치된다. 기부 주형(100)의 공동부(106), 스템 주형(102)의 공동부(108) 및 헤드 주형(104)의 공동부(110)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가 이들을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용융된 중합체 재료는 기부 주형(100)에 형성된 유입구 통로(112)를 통과하여 공동부(106)로 유동한다. 용융된 재료가 공급되는 유입구 통로는 공동부(108 또는 110)와 연통되도록 스템 주형(102) 또는 헤드 스템(104)에 제공될 수 있다.
기부 주형(100)의 공동부(106)로 유동되는 용융된 재료는 각각, 공동부(106)에 채워져 기부(12)와 연장부(34)를 성형하고, 스템 주형(102)의 공동부(108)에 채워져 스템(16)을 성형하며, 헤드 주형(104)의 공동부(110)에 채워져 헤드(18)를 성형한다. 그후, 용융된 중합체 재료가 고형화됨에 따라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가 일체로 성형되며, 이 파스너 부재에는 고정 수단으로서 기부(12)와 일체로 성형되는 연장부(34)가 구비된다.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의 성형이 완료되면, 기부 및 헤드 주형(100), (104)은 성형된 파스너 부재(10')로부터 제거되고, 반면 스템 주형(102)은 제7b도에 도시된 위치에 남아있게 된다. 스템 주형(102)은 전술한 여러 수단에 의해 헤드 스템(14)의 스템(16)으로부터 파괴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10')가 형성된다.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형태의 파스너 부재를 만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제7도의 방법과 유사하게, 파스너 부재(70)의 기부(72)를 성형하기 위한 기부 주형(120)과, 헤드 스템(74)의 스템(78)을 성형하기 위한 스템 주형(122)과, 헤드 스템(74)의 헤드(80)를 성형하기 위한 헤드 주형(124)이 마련되어 있다. 기부 주형(120)은 파괴되지 않고 성형된 파스너 부재(7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주형(들)이며, 기부(72)에 대응하는 공동부(126)가 구비되어 있다. 스템 주형(122)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성형된 파스너 부재(70)로부터 부서져 제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스템(78)과 일치하는 복수개의 공동부(128)가 마련되어 있다. 헤드 주형(124)은 파괴되지 않고 성형된 파스너 부재(7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헤드(80)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공동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기부 주형(120)에는 고정용 부재(82)를 배치 및 지지하기 위한 부분(132)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70)를 성형하기 전에, 고정용 부재(82)는 기부 주형(12)의 상기 부분(132)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고정용 부재(82)의 지지부(84)는 공동부(126)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다. 그 다음, 스템 주형(122)은 기부 주형(120)과 헤드 주형(124)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한편, 기부 주형(120)의 공동부(126), 스템 주형(122)의 공동부(128), 그리고 헤드 주형(124)의 공동부(130)는 유체가 관통되도록 상호 연결된다. 용융된 중합체 재료가 기부 주형(120) 등에 형성된 유입구 통로(134)를 관통하는 공동부(126)로 유동하게 된다. 그후, 용융된 중합체 재료가 고형화됨에 따라, 기부(72)에 접속된 고정용 부재(82)를 구비하게 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70)는 기부 주형(120), 스템 주형(122) 및 헤드 주형(124) 내에서 일체로 성형된다.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70)의 성형이 완료되면, 기부 및 헤드 주형(100),(104)은 성형된 파스너 부재(70)로부터 제거되고, 반면에 스템 주형(122)은 그대로 남겨져 파괴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70)가 형성된다.
이상, 본 고안은 여러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며, 본 고안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전술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되고 그리고 이러한 구성요소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5)

  1. 주요면이 구비된 기부와, 기부의 주요면에 접속되고 이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된 스템 및 이 스템의 말단부에 접속되고 스템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맞물림면이 구비되는 헤드로 각각 구성되고,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기부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헤드 스템이 포함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로서, 상기 기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대상물의 표면에 상기 기부를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와, 상기 헤드 스템의 상기 스템과, 상기 헤드 스템의 상기 헤드 및 상기 기부를 고정하는 수단은 파괴 가능한 스템 주형을 이용하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를 고정하는 수단에는 상기 기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연장부가 포함되며, 상기 연장부는 대상물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를 고정하는 수단에는 기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고정용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고정용 부재는 대상물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와 상기 헤드 스템은 전도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고정용 부재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KR2019940022770U 1993-09-06 1994-09-05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KR20018116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21234A JPH0779813A (ja) 1993-09-06 1993-09-06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93-221234 1993-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865U KR950007865U (ko) 1995-04-15
KR200181168Y1 true KR200181168Y1 (ko) 2000-05-15

Family

ID=1676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770U KR200181168Y1 (ko) 1993-09-06 1994-09-05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779813A (ko)
KR (1) KR200181168Y1 (ko)
DE (1) DE9414444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6563B1 (en) * 2000-05-23 2003-12-02 Velcro Industries B.V. Segmented separable fastener
US9474338B2 (en) * 2013-10-11 2016-10-25 Aplix Fastener
DE102014205021B4 (de) * 2014-03-18 2023-0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unststoffspritzgießbauteil mit darin integriertem Klett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9414444U1 (de) 1995-01-12
KR950007865U (ko) 1995-04-15
JPH0779813A (ja) 199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8610A (en)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affixation member with such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US5671511A (en)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having fabric layer
US4861540A (en) Method for forming a molded assembly with an embedded part
JPS62251509A (ja) パネル組立体を支持体に固着するファスナ
KR200181170Y1 (ko)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맞물림식 파스너
JPS6039530Y2 (ja) フアスナ
JPH03113108A (ja) 保持クリップ
JP5243659B2 (ja) リブ付フランジ部を有するファスナ
US5713111A (en) Method for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having reduced engagement force
JPH0749801B2 (ja) 基板と発泡部分とから成る内装パネル用のパネル固定素子支持フエル−ル
KR200181169Y1 (ko)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KR200181168Y1 (ko)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US4797983A (en) Connectors for insert moulding in panels
KR20030077433A (ko) 몰드-인 성형용 걸림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지성형체의제조방법
US5662853A (en) Affixation member for decorating or protecting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18037068A1 (en) Fastener
US5799378A (en) Fastening system
JP2611989B2 (ja) ホイールカバー取付装置
KR200162711Y1 (ko) 보강 부재를 구비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KR200163494Y1 (ko) 분리가능한 부분을 구비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JP3645301B2 (ja)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
US4251101A (en) Molding holder for a windshield of a motor vehicle
KR950030906A (ko) 대면 계합 파스너, 대면 계합 파스너의 부착 방법 및 대면 계합 파스너의 제조 방법
JP4140955B2 (ja) 面ファスナー付き車両用ウインドウ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79809A (ja)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