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169Y1 -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 Google Patents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169Y1
KR200181169Y1 KR2019940018791U KR19940018791U KR200181169Y1 KR 200181169 Y1 KR200181169 Y1 KR 200181169Y1 KR 2019940018791 U KR2019940018791 U KR 2019940018791U KR 19940018791 U KR19940018791 U KR 19940018791U KR 200181169 Y1 KR200181169 Y1 KR 200181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tem
fastener member
base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751U (ko
Inventor
하토리지로
도리고에신지
시바하라노리히토
사와지리오사무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950002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1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A44B18/0065Male or hook elements of a mushroo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22Multi-cavity moulds
    • B29C33/0027Multi-cavity moulds with deep narrow cavities, e.g. for mak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5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soluble or fu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결합 과정에 요구되는 결합력을 증가시키지 않는 반면에, 해제력을 증강시키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저부(12) 및 다수의 헤드 스템(14)를 포함하는 파스너 부재(10)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헤드스템(14)는 기저부(12)의 표면과 인접하고 그것으로 부터 직렬로 돌출하는 스템(16) 및 스템(16)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18)을 포함한다. 헤드(18)은 스템(16)에 인접하고 스템(16)의 외측 외주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닥표면(20) 및 스템(16)으로 부터 바닥면(20)의 맞대한 측면에 배치된 정점(24)를 구비한다. 결합력 감소 수단은 각가의 헤드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헤드가 스템에 인접한 구역내의 각각의 헤드 스템내에 형성된 언더컷 형태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파스너 부재의 헤드 스템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파스너 부재의 헤드 스템의 확대 평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파스너 부재의 헤드 스템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제4도에 도시된 형태의 변형 헤드 스템의 평면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8a도 및 제8b도는 상호 결합되기 전후의 한 쌍의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를 각각 구비하는 종래 파스너 부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2,48 : 파스너 부재 12 : 기부
14 : 헤드 스템 16 : 스템
18 : 헤드 20 : 바닥면
22 : 외주 연부 24 : 정점
26 :수평부 28 : 경사부
30 : 언더컷(undercut) 36,38 : 벽부
42 :리브 46 :코너
[기술 분야]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마주한 파스너 부재와 결합되는 형태의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interengaging fastener member)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의 한 형태의 파스너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기부(base)에 인접하여 그 기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헤드 스템이 구비된 2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파스너 부재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파스너 부재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각 기부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한 채 헤드 스템을 마주하게 하고, 기부에 압축력을 가하여 헤드 스템이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파스너 부재를 결합하는 데 필요한 힘(결합력)은 파스너 부재를 해제하는 데 필요한 힘(해제력)보다 작으며, 이는 파스너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 요소가 쉽고도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정합하는 파스너 부재의 제조 비용은 암수 파스너 부재를 제조하는 비용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은데, 이 또한 장점이 된다.
전술한 형태의 종래 파스너 부재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파스너는 제1 파스너 부재(1)와 제2 파스너 부재(2)를 포함하고, 각 부재는 중합체로 일체로 성형된다. 제1 파스너 부재 및 제2 파스너 부재에는 대체로 평탄한 기부(3, 4)가 마련되어 있고, 그 기부에는 복수개의 헤드 스템(5)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헤드 스템(5)에는 기부(3, 4)로부터 대체로 직각으로 돌출되는 스템(6)과 이 스템(6)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7)가 포합되어 있다. 헤드의 직경은 적어도 일부분에서 스템(6)의 직경보다 크다. 각 헤드 스템(5)의 헤드(7)에는 스템(6)에 인접하고 스템(6)의 외주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대체로 평탄한 바닥면(8)이 있다. 각 헤드에는 바닥면(8)에 대해 스템(6) 반대쪽에 위치된 정수리부(9)도 있다.
상기 제1 파스너 부재(1) 및 제2 파스너 부재(2)는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스템(5)이 상호 마주한 상태로서 기부(3, 4)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위치된다. 파스너 부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되어 맞물리면, 한 파스너 부재의 헤드 스템(5)의 헤드(7)는 다른 파스너 부재의 헤드 스템(5)의 헤드(7)와 접촉하면서 미끄러진다. 각 파스너 부재의 스템은 굴곡되고 헤드(7)는 서로 우회하여,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한 스템(6)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한 파스너 부재의 헤드 스템(5)의 바닥면(8)은 다른 파스너 부재의 헤드(7)의 바닥면(8)과 맞물린다. 이런 방식으로, 제1 파스너 부재(1) 및 제2 파스너 부재(2)가 서로 부착된다.
몇몇 파스너 용례에 있어서, 파스너 부재를 서로 해제하는 데 필요한 해제력을 최대화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그와 같은 용례의 파스너는 해제력을 증가시키도록 변형되었는데, 그러한 변형예로는 각 헤드 스템상의 헤드의 크기를 증가시켜, 상호 맞물린 헤드의 바닥면 사이에 야기되는 마찰을 증가시키는 것이 있었다. 다른 변형예로는 각 헤드에 2개 이상의 스템을 부착하여 헤드 스템의 가요성을 감소시켜서 파스너의 해제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있었다.
상기 변형된 파스너에서는 해제력이 증가되기는 하지만, 파스너 부재를 결합하는 데 필요한 힘도 증가되었다. 결합력이 증가하게 되면 헤드 스템이 손상될 수 있고, 해제력을 더 증가시키기 보다는 낮출 수도 있다. 또한, 파스너 부재가 반복적으로 결합되고 해제되면, 헤드 스템이 마모되어 해제력이 감소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사한 형태의 종래 파스너 보다 해제력이 크지만 결합력이 종래 파스너 보다 실질적으로 크지 않은 2개의 파스너 부재를 포함하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에는 기부, 이 기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기부에 인접하여 그 기부로부터 돌출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말단부에 결합된 헤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헤드 스템, 마주한 유사 파스너 부재와 상기 파스너 부재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헤드 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으로 휠 수 있도록 해주는 결합력 감소 수단이 포함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력 감소 수단에는 상기 헤드 표면에 의해 상기 스템에 인접하여 형성된 중공부(hollow portion)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력 감소 수단에는 상기 헤드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groove)이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는 파괴가능한 스템 주형(destructible stem mold)으로 사출 성형함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의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에는 기부, 복수개의 헤드 스템 및 상기 파스너 부재와 마주한 유사 파스너 부재와 결합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결합력 감소 수단이 포함된다. 상기 결합력 감소 수단은 대응 파스너 부재의 헤드 스텐의 마주한 헤드가 인접한 헤드 스템의 스템들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때 헤드의 탄성적인 휨을 용이하게 해준다. 따라서, 헤드 크기를 확대하거나 스템의 탄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파스너 부재의 해제력이 증가되더라도 결합력은 헤드의 휨으로 인해 증가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10)가 도시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10)는 중합체 재료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체로 평평한 기부(12) 및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기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헤드 스템(1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 스템은 정렬된 행 및 열을 이룬 배열, 사인곡선형 배열(sinusoidal column), 편의된 배열(offset column), 무작위형 배열(random colunm) 또는 그 밖의 적합한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각 헤드 스템(14)에는 기부(12)의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스템(16)이 마련되고, 이 스템의 말단부에는 헤드(18)가 결합되어 있다. 헤드의 직경은 적어도 일지점에서 스템의 직경보다 크다. 비평면 기부, 비선형 스템, 기부로부터 소정 각도를 두고 돌출되는 스템 등이 마련된 파스너와 같은 변형된 파스너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제2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스템(14)의 헤드(18)에는 스템(16)에 인접하여 스템(16)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닥면(20)과, 이 바닥면(20)의 외주 연부(22)로부터 연장되어 스템(16)으로부터 바닥면(20) 반대측에서 끝나는 곡선형의 정수리부(curved apex)(24)가 포함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헤드 스템은 헤드가 언더컷(undercut) 되었다는 점에서, 즉 헤드의 일부가 상기 헤드의 가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외주 연부와 스템 사이에서 제거되었다는 점에서 종래의 헤드 스템과 상이하다. 헤드(18)의 바닥면(20)에는 스템(16)을 에워싸도록 외주 연부(22)로부터 중심을 향해 기부(12)의 표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26)와, 이 수평부(26)의 내측 연부로부터 정수리부(24)를 향해 연장되고 스템(16)의 외주면과 인접되는 경사부(28)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닥면(20)의 형상에 따라, 기부(12)와 대면하는 헤드(18) 쪽에는 스템(16)의 상단부를 에워싸도록 언더컷(30)이 형성된다. 헤드(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0)과 상부면(24)에 의해 형성되는 보통 반구형 외관을 지닌 우산 형상이고, 바닥면(20)의 중심부는 스템(16)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헤드(18)의 외관은 도시된 형상에 제한 받지 않고 높이가 더 큰 총알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헤드 스템(14)의 헤드(18)의 크기는 바닥면의 수평부(26)에 평행하게 주어진 평면에서 최대로 돌출된 직경이 예컨대, 0.5 mm 내지 4.0 mm 사이에 있도록 정해진다. 또한, 바닥면(20)의 수평부(26)의 반경 방향 거리(D)는 0.1 mm 내지 0.6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언더컷(30)의 개방 면적은 상기 반경 방향 거리에 따른다. 제2도에서 "H"로 표시된 언더컷(30)의 높이는 경사부(28)가 헤드(18)의 상부면(24)에 이르지 않도록 선택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닥면(20)의 경사부(28)는 단면이 거의 선형이지만, 곡선형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파스너 부재(10)에 있어서, 마주한 유사 파스너 부재의 헤드 스템의 헤드가 인접 헤드 스템(14)의 스템(16)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면, 헤드 스템(14)의 헤드(18)는 헤드(18)에 형성된 언더컷(30)으로 인해 탄성적으로 휜다. 이 경우, 헤드(18)는, 압력이 바닥면(20)으로부터 상부면(24)을 향해 가해지는 경우(해제)보다 압력이 상부면(24)으로부터 바닥면(20)을 향하여 가해지는 경우(결합)에 보다 쉽게 휜다. 따라서, 상기 파스너 부재(10)를 사용하는 파스너의 해제력을 증강할 목적으로 헤드(18)의 최대 돌출 직경을 확장하거나 스템(16)의 탄성을 감소시키더라도, 언더컷(30)으로 인해 결합력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고, 언더컷(30)의 크기를 적절히 선택하면 결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언더컷(30)의 작용 때문에, 해제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결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호 결합 과정중에 헤드 스템(14)의 헤드(18)의 마모 또는 마멸을 제어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32)가 도시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32)에는 제1도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헤드 스템(14')이 구비되어 있고, 각 헤드 스템에는 바닥면(20')과 상부면(24') 사이에서 홈(34)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헤드(18')가 마련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홈(34)은 바닥면(20')의 외주 연부(22')로부터 바닥면(20')과 스템(16') 사이의 연결부까지 연장되고, 그 대향하는 양쪽 벽(36)은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반경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34)은 언더컷(30')과 함께 헤드(18')의 휨 정도를 증대시켜 결합력 감소 효과를 촉진한다.
파스너 부재의 해제력이 결합력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헤드(18')에 5개 이하의 홈(34)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홈(34)의 폭은 외주 연부(22')에서의 폭(S1) 및 내측 연부에서의 폭(S2)이 0.05 mm 내지 0.5 mm 사이인 것이 좋다. 또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0')의 외주 연부(2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양쪽 벽(38)에 의해 형성된 홈(40)(제6a도) 또는 바닥면(20')의 외주 연부(22')가 개방되지 않고 바닥면(20')과 상부면(24')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브(42)가 마련된 홈(44)(제6b도)과 같은 다른 형상의 홈을 헤드(18)에 마련할 수도 있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부(12')와 파스너 부재(32)의 각 헤드 스템(14') 사이에는 둥글려진 코너(46)로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너(46)는 스템과 기부 사이의 경계면에서 헤드 스템(14')의 스템(16')의 휨으로 인해 발생된 응력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파스너 부재(32)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7도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48)가 도시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48)에는 헤드 스템(14")이 포함되어 있고, 각 헤드 스템(14")의 헤드(18")에는 홈(34")만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파스너 부재(48)에 있어서도, 홈(34")이 헤드 스템(14")의 헤드(18")의 휨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결합력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파스너 부재(10, 32, 48)의 형상 및 크기는 자유로이 정할 수 있다. 즉, 기부(12)는 헤드 스템(14)을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부(12)에는 고정될 물품에 파스너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헤드 스템과 반대측의 기부면에 제공되는 후크 또는 나사 가공된 축과 같은 고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스너 부재는 감압성 접착제 층을 통해 물품의 표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헤드 스템(14)의 스템(16)은 원통형(cyulinder), 각기둥(prism) 또는 원추형(frustum)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각 헤드 스템에 대하여 2개이상의 스템을 마련할 수도 있다. 헤드(18)가 대응 헤드 스템의 헤드와 결합할 때 긁힘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헤드(18)의 외주 연부(22)에서 바닥면(20)과 상부면(24) 사이의 연결부에는 예각부가 없는 것이 좋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파스너 부재(10, 32, 48)는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데,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중합체 재료가 기부(12)용으로 사용된다. 특히, 폴리아미드 수지는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사출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재료 중 하나이다. 상기 재료들의 탄성 굴곡률은 가소제(plasticizer) 및 충전제(filler)를 첨가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직포(woven fabric) 또는 부직포(non-woven fabric)를 사용하면, 적합한 가요성이 있는 파스너 부재를 얻을 수 있다. 기부의 배면(back surface)에 금속층이 마련된다면, 부착될 물품의 부착 토대를 확보할 수 있고 접착제를 이용해서 물품에 고정할 때 접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헤드 스템(14)은 기부(12)의 재료와 동일한 중합재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헤드(18)는 ASTM 시험법 D790에 기초한 측정법에 따라 103kfg/cm2내지 105kfg/cm2의 범위의 탄성 굴곡률을 갖는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또한, 기부(12) 및 헤드 스템(14)의 스템(16)은 파스너 부재(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헤드(18)의 재료와는 상이한 고강도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의 결합력은 0.5 kfg/cm2내지 8.0 kfg/cm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kfg/cm2내지 3.5 kfg/cm2이고, 해제력은 1.5 kfg/cm2내지 8.0 kfg/cm2이지만 상기 결합력보다는 크다.
파스너 부재(10, 32, 48)는 적절한 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출 또는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되었으며 헤드 스템이 구비된 종래의 파스너 부재를 기계 가공함으로써 언더컷(30) 또는 홈(34)를 마련할 수 있다. 파괴가능한 스템 주형을 사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부와 헤드 스템을 일체로 성형하는 공정이 바람직한 성형 공정이다. 파괴가능한 스템 주형을 사용하는 사출 성형 공정의 한 예가 토리고(Torigoe) 등의 미국 특허 제5,242,646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그 특허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합체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파괴가능한 스템 주형이라 함은 금속 주형에서 코어로서 사용되고, 초음파 진동, 용융, 물 또는 용제에 의한 용해 또는 붕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주형을 총칭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파괴가능한 스템 주형은 헤드 스템의 스템 및 헤드에 형성된 언더컷 또는 홈, 또는 언더컷 및 홈에 대한 주형으로 사용되고, 스템을 기부 및 헤드 스템의 헤드와 일체로 성형한 후에는, 적절한 기계적 방법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그 파괴가능한 스템 주형을 제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괴가능한 스템 주형은 스템에 대한 주형으로서만 사용될 수 있고, 언더컷 또는 홈, 또는 언더컷 및 홈은 적절한 금속 주형에 의해 성형할 수도 있다.
다음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고안을 한정하기 보다는 예시하고자 한 것이다.
[실시예]
실험 1 : 결합력(engagement force)
100 mm/min의 압축 속도로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양 파스너 부재를 누르면서 2개의 헤드 스템 파스너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데 필요한 압축력을 오토그래프형 시험기(Autograph type tester)로 측정하였다. 8개의 샘플 파스너에 대한 각 결합력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 2 : 해제력(disengagement force)
100 mm/min의 당김 속도로 양 파스너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리되게 당기면서, 결합된 헤드 스템 파스너 부재를 해제하는 데 필요한 인장력을 오토그래프형 시험기로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시험한 8개의 샘플 파스너에 대한 해제력을 아래의 표 1에 열거하였다.
이들 실험은 다양한 크기의 언더컷 또는 홈, 또는 양자 모두가 마련되고 최대 돌출 직경이 1.8 mm인 헤드를 구비하고, 동일한 형상의 각 헤드 스템을 지닌 파스너 부재를 구비한 복수개의 파스너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언더컷의 형상은 제1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고, 각 헤드에는 4개의 홈이 있다. 파스너 부재는 탄성 굴곡률이 4×104kg/cm2인 폴리아미드 수지로 제작하였다. 결과치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는데, 샘플 1은 종래의 파스너이고 샘플 2 내지 샘플 8은 본 고안에 따른 필요 결합력 감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스템에 언더컷 또는 홈, 또는 양자 모두가 마련된 본 고안에 따른 파스너 부재는 종래의 파스너 부재(샘플 1)와 비교하여 결합력이 감소된다. 특히, 샘플 2,3,4 및 7의 파스너 부재에 있어서, 결합력의 감소는 해제력의 감소에 비해 크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수개의 헤드 스템이 마련된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에 있어서, 해제력을 유지한 채, 파스너 부재를 대응 파스너 부재와 상호 결합하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합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해제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파스너 부재가 마련된 파스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몇 개의 실시예를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다. 당업자에게는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한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본 고안의 범위는 본문에서 설명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한정된 구조 및 이들 구조의 균등물로서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7)

  1.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로서,
    (a) 기부;
    (b) 상기 기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인접하여 그 기부로부터 돌출되는 스템과, 이 스템의 말단부에 결합된 헤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헤드 스템;
    (c) 마주한 유사 파스너 부재와 상기 파스너 부재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헤드 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으로 휠 수 있게 해주는 결합력 감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력 감소 수단에는 상기 헤드의 바닥면에 형성된 언더컷부가 포함되고, 상기 언더컷부는 상기 헤드 바닥면의 외측 원주 수평부 내에 있고, 이 수평부는 마주하는 상호 결합 파스너 부재의 대응하는 외측 원주 수평부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부는 상기 스템 둘레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력 감소 수단에는 상기 헤드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스템의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부재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와 헤드 스템은 파괴가능한 스템 주형을 사용하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유사 파스너 부재와 결합된 상기 파스너 부재의 결합력은 0.5 kfg/cm2내지 3.5 kfg/cm2이고, 그 파스너 부재의 해제력은 상기 결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KR2019940018791U 1993-07-30 1994-07-27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KR20018116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015793A JP3889452B2 (ja) 1993-07-30 1993-07-30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
JP93-190157 1993-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751U KR950002751U (ko) 1995-02-16
KR200181169Y1 true KR200181169Y1 (ko) 2000-05-15

Family

ID=1625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791U KR200181169Y1 (ko) 1993-07-30 1994-07-27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71512A (ko)
JP (1) JP3889452B2 (ko)
KR (1) KR200181169Y1 (ko)
DE (1) DE9412238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714A (ja) * 1996-03-04 1997-09-16 Ykk Corp 合成樹脂製の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5868987A (en) * 1997-06-19 1999-02-09 Minnesotamining And Manufacturing Superimposed embossing of capped stem mechanical fastener structures
US6162040A (en) * 1999-02-01 2000-12-19 Velcro Industries B.V. Molds for forming touch fasteners
US6303062B1 (en) * 1999-04-13 2001-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chanical faste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076238A (en) * 1999-04-13 2000-06-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chanical fastener
US7246416B2 (en) * 2000-10-19 2007-07-24 Leonard Arnold Duffy Slidingly Engagable Fasteners and method
US6687962B2 (en) 2002-01-16 2004-02-10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element patterning
US7275290B2 (en) * 2003-06-04 2007-10-02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s
FR2856895B1 (fr) * 2003-07-04 2006-04-21 Aplix Sa Dispositifs a champignons d'accrochage et a boucles ayant une grande duree de vie
US20050136214A1 (en) * 2003-12-18 2005-06-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unting board
US8875356B2 (en) 2011-10-06 2014-11-0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Mechanical and adhesive based reclosable fasteners
JP6192283B2 (ja) 2012-10-11 2017-09-0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ァスナ部材
FR3011522A1 (fr) * 2013-10-04 2015-04-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d'essuie-vitr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platine supportant un groupe motoreducteur dont l'arbre de sortie est destine a entrainer un balai d'essuie-vitre
DE102013018876A1 (de) * 2013-11-12 2015-05-13 BIAS Bremer Institut für angewandte Strahltechnik GmbH Verbindungspartner zum Herstellen einer Verbindung mit einem weiteren Verbindungspartn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Verbindungspartners
US10259194B2 (en) 2015-03-18 2019-04-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unting system
EP3273826B1 (en) 2015-03-27 2020-08-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nvas mounting device
US10722003B2 (en) * 2016-11-23 2020-07-28 Velcro BVBA Touch fastener
DE102017127130A1 (de) * 2017-11-17 2019-05-23 Peka Spritzguss Gmbh Verschluss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0649A (en) * 1962-10-23 1967-05-23 Naimer Jack Methods of making separable fastening fabrics
US3537946A (en) * 1967-03-30 1970-11-03 Stein Hall & Co Inc Method of combining textile materials and products thereof
US3916055A (en) * 1971-05-20 1975-10-28 Illinois Tool Works Adhesive attachment system for decorative trim strips
US3773580A (en) * 1971-07-27 1973-11-20 American Velcro Inc Bonding fastening members to a substrate
GB1350009A (en) * 1971-12-01 1974-04-18 Chiba Y Method of making a fastening fabric
JPS5333887B2 (ko) * 1972-09-26 1978-09-18
US4069822A (en) * 1975-10-30 1978-0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rous fibrous web to a substrate and articles therefrom
US4290174A (en) * 1976-08-13 1981-09-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eparable fastener and article for making same
US4454183A (en) * 1982-02-26 1984-06-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ip material with heat-formed hooked heads
US4761318A (en) * 1985-04-15 1988-08-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oop fastener portion with thermoplastic resin attaching and anchoring layer
US4894060A (en) * 1988-01-11 1990-0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hook fastener portion
JPH0355716U (ko) * 1989-10-03 1991-05-29
US5100400A (en) * 1989-11-17 1992-03-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thermoplastic material anchored hook fastener portion
US5040275A (en) * 1990-06-01 1991-08-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ip material used for forming fasteners
US5149573A (en) * 1990-06-01 1992-09-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ly transparent strip material used for forming fasteners
JPH04123106A (ja) * 1990-09-12 1992-04-23 Murata Mach Ltd Nc工作機械の制御装置
US5077870A (en) * 1990-09-21 1992-0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shroom-type hook strip for a mechanical fastener
DE4204410A1 (de) * 1992-02-14 1993-08-19 Fischer Artur Werke Gmbh Befestigungselement zur halterung von matten
US5212853A (en) * 1992-03-10 1993-05-25 Nifco Inc. Separable plastic faste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US5235731A (en) * 1992-03-26 1993-08-17 Kuraray Co., Ltd. Molded-resin separable fastener and fasten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US5201101A (en) * 1992-04-28 1993-04-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attaching articles and a pair of articles fastened by the method
US5242646A (en) * 1992-05-07 1993-09-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9412238U1 (de) 1994-12-01
US5671512A (en) 1997-09-30
JP3889452B2 (ja) 2007-03-07
KR950002751U (ko) 1995-02-16
JPH0739408A (ja) 199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1169Y1 (ko) 상호 결합식 파스너 부재
US5713111A (en) Method for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having reduced engagement force
KR200163143Y1 (ko) 상호맞물리게되는두개의파스너부재로구성되는파스너
KR200181170Y1 (ko)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맞물림식 파스너
US5671511A (en)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having fabric layer
AU685366B2 (en) Synthetic resin molded surface fastener
KR100479400B1 (ko) 스냅 파스너가 달린 테이프
TWI446883B (zh) Mother buckle
CN1173655C (zh) 钮扣固紧件
US7226233B2 (en) Snap-in coupling comprising a spring clamp
KR850000877Y1 (ko) 단추
JPH11509609A (ja) 組織面を有するファスナ
JPS6039530Y2 (ja) フアスナ
EP2222967A2 (en) Multi-angle pop-in mechanical fastener
JP2559017Y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20050235462A1 (en) Male fixing member of hook-and loop fastener, and sheet product with the fixing member
KR101846262B1 (ko) 사출 성형된 머시룸 타입 후크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후크 스트랩
US5799378A (en) Fastening system
GB236032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fasteners
WO1996031110A2 (en) Coupling structure and cloth stretching frame using said coupling structure
JPH10318221A (ja) 支持体への連結要素を備えた係合部材及びこの係合部材を備えた添着部材
GB2187502A (en) Snap fastener
KR200389291Y1 (ko) 벨크로테이프
KR200181168Y1 (ko)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CN218978182U (zh) 一种纽扣的底件及具备该底件的纽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