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143Y1 - 상호맞물리게되는두개의파스너부재로구성되는파스너 - Google Patents

상호맞물리게되는두개의파스너부재로구성되는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143Y1
KR200163143Y1 KR2019940018442U KR19940018442U KR200163143Y1 KR 200163143 Y1 KR200163143 Y1 KR 200163143Y1 KR 2019940018442 U KR2019940018442 U KR 2019940018442U KR 19940018442 U KR19940018442 U KR 19940018442U KR 200163143 Y1 KR200163143 Y1 KR 200163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tem
fastener
base
fla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750U (ko
Inventor
신지 도리고에
아키라 이토
신이치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950002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A44B18/0065Male or hook elements of a mushroom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08Combined with divers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다수의 헤드 요소를 구비하고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로서, 이 부재는 서로 맞물린 헤드 부재 사이에서의 상대 운동으로 인해 발생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파스너 부재(10)은 일편으로 성형된 물체로 공중합체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탄한 베이스(14)와 이 베이스(14)로 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헤드 요소(18)을 포함한다. 각각의 헤드 요소(18)은 베이스(14)상에 선정된 간격으로 배열되어 돌출하는 스템(22)와, 이 스템(22)의 외주부로 부터 부풀어 오른 형상을 지니고 스템(22)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24)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24)는 스템(22)에 인접하고 스템(22)의 외주부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평탄면과, 스템(22)로 부터 평탄면(26)의 반대편에 배열되고 꼭지점을 지닌 부풀한 굴곡면(28)과, 그리고 평탄면(26)을 굴곡면(28)과 연결시키도록 제2굴곡면으로 부터 형성된 전이면(3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호 맞물리게 되는 두개의 파스너 부재로 구성되는 파스너
제1a, 1b도는 파스너가 맞물리기 전과 맞물린 후를 각각 대략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 1도에 도시된 파스너 부재의 헤드 요소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요소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4a, 4b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맞물리기 전과 맞물린 후를 각각 대략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맞물린 후를 대략 도시한 측면도,그리고
제6a, 6b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스너가 맞물리기 전과 맞물린 후를 각각 대략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파스너 부재 14, 16 : 베이스
18, 20 : 헤드 요소 22, 46 : 스템
24, 50 : 헤드 26,54 : 평탄면
28, 56 : 굴곡면 30, 58 : 전이면
본 고안은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스너 부재가 이것과 유사한 제2파스너와 상호 맞물릴때 종래의 것보다 소음이 적게 발생하는 파스너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형의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서 돌출하는 다수의 헤드 요소(headed element)들로 각각 이루어진 두개의 대향하는 파스너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파스너들을 압착시켜 맞물도록 함으로써, 이 파스너는 두개의 물체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 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들은, 비교적 약한 압축력에 의해 맞물리는 반면에 분리시키는데는 비교적 높은 인장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또다른 장점으로는, 이러한 파스너 부재는 다른 형태의 파스너(예를들면, 암파스너와 수파스너로 구성된)와 비교시 제작비가 적게든다는 것이다.
제6도에는 전술한 유형의 파스너 부재 한쌍이 도시되어 있다. 이 파스너는 일반적으로 공중합체 재질로 각각 형성된 제1파스너 부재(1)과 제2파스너 부재(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파스너 부재(1),(2) 각각에는 일반적으로 평탄한 베이스(3) 및 (4)와, 그곳에 선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헤드 요소(5)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헤드 요소(5)는 베이스로 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스템(stem)(6)과 이 스템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7)을 포함한다. 헤드는 일반적으로 반구영으로 스템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지닌다. 각 헤드 요소(5)의 헤드(7)은 스템(6)에 인접하고 스템(6)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평탄한 록킹면(locking suface)(8)과, 이 잠금 표면(8)에 대해 스템(6)의 반대편에 위치한 꼭지점을 지닌 부풀한 굴곡면(9)를 구비한다.
제1파스너 부재(1)과 제2파스너 부재(2)는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요소(5)가 상호 대향되어 있는 반면에 베이스(3),(4)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선정된 압축성의 맞물림력이 각각의 베이스(3),(4)에 작용될때 파스너 요소중 하나의 헤드요소(5)의 헤드(7)은 다른쪽 파스너 부재의 인접하는 헤드 요소(5)의 헤드(7)과 접촉을 이루게 되고 그리고 헤드 요소의 굴곡면(9) 위치에서 상기 헤드(7)에 반발하여 미끄러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 도중에, 헤드 요소(5)의 스템(6)은 길이방향으로 구부러지며, 그 결과 인접하는 헤드 요소들(5) 사이의 공간에 있는 대향하는 헤드 요소를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제6b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파스너 요소 하나의 헤드 요소(5)는 이것의 헤드(7)의 록킹면(8)에서 다른 파스너 부재의 헤드 요소(5)의 헤드(7)의 록킹면(8)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제1파스너 부재(l)과 제 2 파스터 부재(2)는 분리가능하게 서로 고정된다.
헤드 요소를 구비하고 두개의 유사한 파스너 부재로 구성된 통상적인 파스너에 있어서, 각 파스너 부재의 헤드 요소는 일반적으로 스템의 길이가 그 헤드의 높이 보다 더 길게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파스너 부재들이 상호 맞물릴때, 하나의 파스너 부재의 헤드 요소의 헤드는 다른쪽 파스너 부재의 인접하는 스템 사이에 있는 공간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맞물린 파스너 부재의 헤드의 록킹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있을때 스템의 길이와 헤드의 높이간의 차이와 일차하는 간극은 한쪽 파스너 부재의 헤드 요소의 헤드의 굴곡면의 꼭지점과 다른쪽 파스너 부재상에 위치한 베이스의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간극은 맞물림 작용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호 맞물림 작업동안 헤드 요소가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전술한 간극을 제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이러한 간극으로 인해, 헤드 요소의 헤드가 상호 맞물리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헤드들 사이에서 또는 헤드 및 대향되는 스템사이에서 마찰 접촉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반약 전술한 간극을 없앤다해도 특히 헤드의 록킹면들 사이에서 진동등에 의해 야기된 길이 방향의 움직임으로 인해 여전히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발생이 특히 억제되어야 되는 응용에 있어서, 이러한 소음을 감소시키는 파스너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에 관한 것으로, 이 파스너 부재는 베이스; 선정된 간격으로 베이스에 배열된 다수의 헤드 요소; 및 제1파스너 수단과 이것과 상호 맞물리고 유사한 제2파스너 수단 사이에서의 상대운동에 의해 소음을 줄이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요소 각각은 베이스에서 돌출하는 스템과 이 스템의 단부에 연결된 헤드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헤드 요소 각각의 헤드는 스템의 외주부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면서 그 스템에 인접하게 되는 평탄면과, 꼭지점을 지니고 부풀어 오르고 스템으로 부터 대개 평탄면의 반대편에 배열된 굴곡면을 포함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동일 부품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고안은 파스너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파스너 부재들이 상호 맞물릴때 이들 부재간의 상대 운동으로 인해 야기된 소음이 완화되는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소음 감소 구조물은 파스너의 정상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헤드 구조를 변형시키거나 또는 파스너 부재의 스템에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베이스 부재에 도포되거나 또는 배치되는 재질의 변형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 또는 다른 구조물들은 아래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호 맞물리게 되는 한 쌍의 파스너 부재(10),(12)를 구비하는 파스너가 도시되어 있다. 파스너 부재 각각은 대개 공중합체 물질로 성형되거나, 또는 더욱 양호하게 단일체 구조를 취하고 있다. 파스너 부재는 일반적으로 평탄한 베이스(14) (16)과 선정된 간격으로 상기 베이스상에 배열된 다수의 헤드 요소(18),(20)을 포함한다. 각각의 헤드 요소(18),(20)에는 상기 베이스(14),(16)에서 수직으로 돌출하는 스템(22)와, 스템(2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지니고 스템(22)의 단부에 영성된 헤드(24)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헤드 요소(18),(20)의 스템(22)과 헤드(24)는 제1a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같이 헤드(24)에 의해 헤드 요소(18),(20)이 상호 맞물리게 될 수 있도록 한 변형예로서, 즉 굴곡진 베이스, 더 짧거나 긴 스템등의 특징을 지니도록 본 고안은 변형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기 바란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헤드 요소(18),(20)의 헤드(24)는 스템(22)에 인접하고 이 스템(22)의 외주부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평탄면(26)으로 형성된다. 이 헤드의 꼭지점은 스템(22)로 부터 평단면(26)에 반대되는 굴곡면(28)로 형성된다. 파스너 부재의 소음 감소 특성은 전이면(3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전이면은 평탄면(26)을 굴곡면(28)에 연결시키는 제2굴곡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이면은 선정된 곡률 반경을 지닌 제2굴곡면이다. 전이면의 곡률 반경은 다른 반경들도 고려되어야 하겠지만 대개 0.05 내지 0.5mm 가 바람직하다. 또한, 전이면의 곡률 반경은 평탄면에 평행하게 절취한 헤드의 최대 직경의 5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이면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스너 부재상에 형성된 날카로운 가장자리의 소음 발생 효가를 경감시키게 된다. 비록 헤드(24)는 상기의 면(26),(28),(30)에 둘러싸인 대략의 반구형을 지니고 평탄면(26)의 거의 중심에서 스템(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소음 경감 특성에 부합되는 또다른 헤드 형상을 제공하는 것도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된다.
파스너를 맞물리게 하기 위해, 파스너 부재(10),(12)를 제1a도에 도시된 대로 위치시켜서 헤드 요소(18)이 헤드 요소(20)과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베이스(14),(16)을 서로 평행하게 배열시킨다. 이 위치에서, 선정된 압축력이 각각의 베이스(14),(16)상에 가해질때 한쪽 파스너 부재의 헤드 요소의 헤드(24)는 다른쪽 파스너 부재의 헤드 요소의 헤드(24)에 (헤드(24)의 굴곡면(28)에서) 접촉하게 되어 그곳에 반발하여 활주하게 된다. 이때, 헤드 요소(18),(20)의 스템(22)는 굴곡면(28)들 사이에서 활주 및 접촉에 의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게 되는데, 여기서 파스너 부재의 헤드(24)는 다른쪽 파스너 부재의 인접하는 스템(22) 사이의 공간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헤드 요소(18),(20)의 헤드(24)의 굴곡면(28)은 대응하는 헤드 요소의 헤드에 대해 안내면 역할을 하게 된다.
대응되는 파스너 부재(l0),(12)의 헤드 요소(18),(20)의 헤드(24)가 이와 대응하는 파스너 부재들의 인접하는 스템(22) 사이의 공간속으로 유입될때, 헤드 요소(18)의 헤드(24)의 평탄면(26)은 헤드 요소(20)의 헤드(24)의 평탄면(26)과 접촉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헤드 요소들(18),(20)은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기게 된다. 따라서, 헤드 요소(18),(20)의 헤드의 평탄면(26)은 대응되는 헤드 요소의 헤드(24)에 대한 록킹면 역할을 한다. 각각의 헤드 요소(18),(20)의 헤드의 전이면(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탄면(26)을 굴곡면(28)과 부드럽게 연결시키기 때문에, 평탄면(26) 및 전이면(30)과 대응되는 대향 헤드(24) 및 스템(22) 사이의 접촉 및 활주에 의해 야기되는 긁히는 소음은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추가적으로, 헤드(24)의 높이는 스템(22)의 길이 보다 짧게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파스너 부재(10),(12)가 서로 맞물릴때 헤드 요소(18),(20)은 쉽게 구부러지므로 이들을 상호 맞물리게 하는데 필요한 맞물림 작용력은 낮은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24)의 전이면(30)은 선정된 곡률 반경을 지닌 제2굴곡면으로 부터 양호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전이면은 다수의 평탄면들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헤드(24)의 전이면(30)의 곡률반경은 0.05mm 내지 0.5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 곡률 반경이 0.05mm 미만일 경우,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줄어들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곡률 반경이 0.5mm를 초과할 경우, 맞물린 파스너 부재를 분리시키는데 요구되는 작용력(즉, 파스너 부재의 맞물린 상태로 구속하는 힘)이 너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전이면(30)의 곡률 반경은 헤드(24)의 치수에 연관되게, 평탄면(26)에 평행하게 취한 헤드(24)의 최대 돌출 직경의 5 내지 2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헤드(24)의 최대 돌출 직경은 예를들면 0.5 내지 4.0mm가 될 수 있다.
다시 제2도를 참조하면, 각 헤드 요소의 헤드(24)의 평탄면(26)은 베이스(14),(16)의 표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평탄면(26)의 크기 및 형상은 분리를 위한 작용력이 적정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들면 평탄면(26)의 반경방향 거리는 평탄면(26)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절취된 돌출 헤드(24)의 최대 직경의 15 내지 3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치가 15% 미만이 될 경우, 분리를 위한 작용력은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로 낮아지는 경향이 생긴다. 만약 반경방향의 거리가 헤드의 최대 직경의 35%를 초과할 경우, 충분한 소음 감소 효과를 얻기에 다소 어려움이 생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을 줄이기 위한 수단은 분리를 위한 작용력이 요구 되는 적정 수준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헤드(24)의 평탄면(26) 상에 형성된 소형의 돌출부(32)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의 갯수, 형상 및 치수는 스템(22) 및 헤드(24)의 치수 뿐만 아니라 분리를 위한 작용력의 유지 효과를 고려하면서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0.1 내지 0.5mm 범위에 속하는 것이 양호하다. 만약, 이 수치가 0.1 미만일 경우, 분리를 위한 작용력 유지 효과는 불충분하게 되는 반면에, 0.5mm를 초과시에는 충분한 소음 감소 효과를 얻기 어려워진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파스너 부재(10),(12)는 어떠한 치수 및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14),(l6)의 치수 및 형상은 베이스를 헤드 요소(18),(2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상과 치수를 지닐수있다. 또한, 베이스(14),(16)에는 파스너 부재를 대상물에 고정시키도록 훅(hook)과 같은 고정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요소(18),(20)의 스템(22)의 영상은 원통형, 프리즘형, 또는 절두형등 여러가지 모양을 채택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 헤드 요소에 하나 이상의 스템(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된 파스너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파스너 부재만 전이면을 포함하는 헤드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도에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파스너 부재(34),(36)을 구비하는 파스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파스너 부재는 제1도에 도시된 파스너 부재(10),(12)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지니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에서 헤드 요소(18),(20)의 스템(22) 둘레에 배치된 충격 흡수 물질(38)의 형태로 된 소음 감소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 흡수 물질(38)은 파스너 부재(34) 및 (36)이 서로 맞물려 있을때 헤드 요소(18),(20)의 상대 운동을 억제시킴으로써 소음 감소 효과를 보조할 수 있다. 충격 흡수 물질(38)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데, 양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유리솜, 스폰지, 비직조된 섬유, 면 및 점탄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물질(38)은 베이스(14),(16)의 표면으로 부터 헤드 요소(18),(20)의 스템(22) 높이의 50 내지 90% 까지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에 도시된 파스너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파스너 부재만 충격 흡수 물질(38)을 구비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부재(40),(42)를 구비하는 파스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파스너 부재에 있어서, 소음 감소 수단은 한쪽 파스너 부재의 스템(46) 길이를 다른쪽 파스너 부재의 헤드(50)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추가적으로, 파스터 부재(42)의 각 헤드(50) 뿐만 아니라 파스너 부재(40)의 각 헤드(52)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헤드 요소(18),(20)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서 평탄면(54), 꼭지점을 지니고 부풀한 굴곡면(56), 그리고 평탄면(54)를 굴곡면(56)에 연결시키도록 제2굴곡면으로 부터 형성된 전이면(5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호 맞물린 파스너 부재(40),(42) 사이의 상대 운동은 최소화될 수 있으며, 헤드(50),(52)의 전이면(58)에 의해 산출된 소음 감소 특성은 더욱 더 향상된다. 더우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 부재(42)근처의 간극은 파스너 부재의 베이스면과 파스너 부재(40)의 헤드 요소(44)의 각 헤드(52)의 꼭지점 사이에서 유지되며, 따라서 상호 맞물리는 작동에 있어서의 원활성은 크게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돌출부는 제3도와 연관지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헤드 요소의 평탄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변형되게, 충격 흡수 물질이 제4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헤드 요소의 스템 둘레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충격 흡수 물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솜, 스폰지, 비직조된 천, 면 및 점탄성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에 따른 베이스 및 헤드 요소는 공중합체 재질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및 헤드 요소는 파괴성 스템 주형을 이용하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파스너 부재는 여러가지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혹은 폴리에틸렌 수지가 베이스(14),(16)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 수지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사출 성형에서의 유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재질중의 하나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재질들의 탄성 벤딩률은 가소제 및 여과제를 첨가시키거나, 분자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유리 전이 온도를 변화시키는 방법등과 같이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직조되거나 비직조된 섬유가 베이스(14),(16)의 재료로 사용되었을때 피스너 부재를 더욱 신축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만약 베이스의 배면이 금속층으로 형성될 경우 고정된 대상물에 자리를 획득하고, 접착제에 의해 대상물에 고정될때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헤드 요소(18),(20)은 베이스(14),(16)과 동일한 공중합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헤드(24)는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희망하는 소음 감소 효과를 얻기 위해 ASTM D790에 근거를 둔 계측에 따라 103kgf/㎠ 내지 105kgf/㎠ 범위의 탄성 벤딩률을 지닌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 요소(18),(20)의 베이스 및 스템은 파스너 부재(10),(1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헤드(24)의 재질과 다른 고강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파스너 부재는 여러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파스너 부재는 공지된 성형 방법에 의해 통상적인 형상(헤드 요소(l8),(20)의 헤드상에 전이면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전이면(30)은 고온의 공기나 적외선 가열기를 이용하는 용융 가열법, 기계 연마법, 혹은 용매 용해법등에 의해 헤드(24)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성형의 정확성 및 제조법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파괴성 스템 주형을 이용하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 베이스와 헤드 요소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데 있어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파괴성 스템 주형은 금속 주형에서 코어, 예를 들면 초음파 진동, 용융, 물 혹은 용매에 의한 용해법, 혹은 분해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코어로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주형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파괴성 스템 주형은 헤드 요소(18),(20)의 스템(22)를 위한 주형으로 사용되며, 헤드 요소(18),(20)의 베이스(14),(16)과 헤드(24)와 함께 스템(22)를 일체적으로 성형시킨 후 파괴성 스템 주형을 기계적 또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시킨다. 이러한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5,242,646호(토리고에(Torigoe)등에 허여됨)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되어 있다.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소음 감소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여러가지의 실험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맞물리게 하기 위한 작용력 : 한 쌍의 파스너 부재의 헤드 요소들을 서로 맞물리게 하는데 요구되는 압축력이 양 파스너 부재를 100 mm/min 의 압축 속도에서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앞축시키면서 오토그래프(Autograph) 타입의 테스트기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 압축력의 값이 측정되었다.
분리시키기 위한 작용력 : 서로 맞물려 있는 한 쌍의 파스너 부재의 헤드 요소를 분리시키는데 요구되는 신장력이 양 파스너 부재를 100 mm/min 의 신장 속도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잡아 늘이면서 오토그래프 타입의 테스트기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 분리력의 값이 측정되었다.
분리력에 대한 유지능력 : 분리시키기 위한 작용력이 초기값에 비해 절반으로 낮아 질때까지 맞물림/분리를 실시한 회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분리력에 대한 유지 능력의 값이 측정되었다.
소음 감소 효과 : 손으로 규칙적으로 비틀고 진동시키면서 한 쌍의 맞물려 있는 파스너 부재에 의해 발생된 소음의 크기가 소음 수집 마이크로폰에서 10mm 떨어진 위치에서 "리온(Rion)" 소음 측정기(NA-29E)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 본 고안에 다른 파스너의 소음 감소 효과의 값이 측정되었다. 측정은 125Hz, 250Hz, 500Hz, 1000Hz의 각 주파대에서 세번씩 실시되었으며, 그 측정치를 평균화시겼다.
이러한 실험은 전이면의 곡률 반경과 헤드의 반경을 변화시킬때(1번에서 5번까지) : 헤드의 평탄면상으로 돌출부를 추가시킬때(6번) : 충격 흡수 물질을 제공할때(7번) : 그리고 재질을 변화시킬때(8)번에 따라 여러 파스너 부재를 가지고 실시하였다. 6번 실험에서의 돌출부 높이는 0.1mm 이고, 7번 실험에서의 충격 흡수 물질은 0.8mm 두께의 비직조된 섬유이다. 파스너 부재의 치수는 7.5mm x 40mm, 스템의 길이는 1.2mm, 1번에서 7번 까지의 실험에 사용된 재질은 40,000 kg/㎠의 탄성 벤딩률을 지닌 폴리아미드 수지이며, 그리고 8번 실험에 사용된 재질은 10,000 kg/㎠ 의 탄성 벤딩률을 지닌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실험 2, 3, 6, 7, 8에서는 파스너의 맞물림력의 증가와 맞물림력의 저하가 최소화 되도록 하면서 아주 양호단 소음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헤드 요소를 구비하고 상호 맞물려 있는 한 쌍의 파스너 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파스너가 제공되었으며, 이 파스너는 파스너 부재들을 서로 맞물리게 하기 위한 원활성에 손상을 끼치지 않고 파스너 부재들이 서로 맞물려 있을때 헤드 요소의 상대 운동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파스너 및 파스너 부재는 차량의 실내 장식의 고정 수단등과 같은 규제된 정숙이 요구되는 곳에 적합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여러가지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본 고안은 당업자들에 의해 본 고안의 영역을 벗어나지 앞는 범위내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영역은 상기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물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구조물 또는 이와 대등한 구조물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4)

  1.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로서,
    a) 베이스;
    b) 선정된 간격으로 상기 베이스상에 배열된 다수의 헤드 요소;
    c) 상기 파스너 부재와, 이 부재에 상호 맞물리고 그것과 유사한 제 2 파스너 부재 사이에서의 상대 운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 요소 각각은 i)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스템과, ii) 상기 스템의 일단부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하며,
    각 헤드 요소의 상기 헤드는 상기 스템에 인접하고 상기 스템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평탄면과, 그리고 상기 스템으로부터 상기 평탄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꼭지점을 지닌 부풀한 굴곡면으로 구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제.
  2. 제 1항에 있어서,
    소음을 감소시키는 상기 수단은 상기 평탄면을 상기 굴곡면과 연결시키도록 상기 헤드 요소 각각의 상기 헤드상에 형성된 전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 면은 제 2 굴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면의 곡률 반경이 0.05 내지 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평탄면에 평행하게 춰한 상기 헤드의 최대 돌출 직경의 5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재.
  5.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상기 각 헤드 요소의 평탄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깅으로 하는 파스너 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소음을 감소시키는 상기 수단은 상기 각 헤드 요소의 스템 둘레에 배열된 충격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물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솜, 스폰지, 비직조된 천, 면 재료 및 점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헤드 요소는 공중합체 물질로부터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헤드 요소는 파괴성 스템 주형을 이용하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 공중합체 물질로부터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재.
  10. 상호 맞물리게 되는 두개의 파스너 부재로 구성되는 파스너로서, 상기 파스너 부재 각각은:
    a) 베이스;
    b) 선정된 간격으로 상기 베이스상에 배열된 다수의 헤드 요소;
    c) 상기 파스너 부재들이 상호 맞물릴 때 상기 각각의 파스너 부재간의 상대 운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 요소 각각은 i)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스템과, ii) 상기 스템의 일단부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하며,
    각 헤드 요소의 상기 헤드는 상기 스템에 인접하고 상기 스템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평탄면과, 그리고 상기 스템으로부터 상기 평탄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꼭지점을 지닌 부풀한 굴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소음을 감소시키는 상기 수단은 상기 평탄면을 상기 굴곡면과 연결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의 다수의 상기 헤드 요소의 상기 헤드상에 형성된 전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면은 제2굴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2. 제 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상에 있는 다수의 상기 헤드 요소의 상기 평탄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3. 제 10항에 있어서,
    소음을 감소시키는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의 상기 다수의 헤드 요소의 상기 스템 둘레에 배열된 충격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들중 하나의 상기 각 헤드 요소의 상기 스템의 길이는 상호 맞물리게 되는 파스너 부재들중 나머지 하나의 상기 각 헤드 요소의 상기 헤드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KR2019940018442U 1993-07-28 1994-07-25 상호맞물리게되는두개의파스너부재로구성되는파스너 KR2001631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85895A JPH0739407A (ja) 1993-07-28 1993-07-28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とそのファスナー部材を備えたファスナー
JP93-185895 1993-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750U KR950002750U (ko) 1995-02-16
KR200163143Y1 true KR200163143Y1 (ko) 1999-12-15

Family

ID=1617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442U KR200163143Y1 (ko) 1993-07-28 1994-07-25 상호맞물리게되는두개의파스너부재로구성되는파스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11122A (ko)
JP (1) JPH0739407A (ko)
KR (1) KR200163143Y1 (ko)
DE (1) DE9412067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111A (en) * 1994-07-27 1998-02-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having reduced engagement force
JP3474686B2 (ja) * 1995-08-30 2003-12-08 Ykk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とその製造方法
US5798163A (en) * 1996-10-01 1998-08-25 Gold; Peter N. Temporary tarp-like barrier assembly, kit and method therefor
US6106922A (en) * 1997-10-03 2000-08-22 3M Innovative Company Coextruded mechanical fastener constructions
JP2002537083A (ja) * 1999-02-25 2002-11-0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不連続ステム領域を有するウェブ
US6763556B2 (en) * 2001-09-18 2004-07-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ting film and method for bundling and wrapping
US6687962B2 (en) 2002-01-16 2004-02-10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element patterning
GB2390731B (en) * 2002-05-10 2004-10-20 Spedian Ltd Display panel for a vehicle
US20030221298A1 (en) * 2002-05-31 2003-12-04 Teiichi Murayama Noiseless surface fastener member, noiseless surface fastener combined with the noiseless surface fastener member and product attached with the same noiseless surface fastener member or the same noiseless surface fastener
JP4015983B2 (ja) * 2002-10-19 2007-11-28 ゼネラル・モータ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解除可能な付属品用の磁気粘性ナノ複合エラストマー
US7308738B2 (en) * 2002-10-19 2007-1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able fastener systems and processes
US7032282B2 (en) 2002-10-19 2006-04-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able fastener system
US6983517B2 (en) * 2002-10-19 2006-01-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able fastener system
US7013538B2 (en) * 2002-10-19 2006-03-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active polymer releasable faste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6944920B2 (en) * 2002-10-19 2005-09-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statically releasable faste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6973701B2 (en) * 2002-10-19 2005-12-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able fastening system based on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s and method of use
US7146690B2 (en) * 2002-10-19 2006-12-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able fastener system
US7013536B2 (en) 2002-10-19 2006-03-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able fastener systems and processes
US7140081B2 (en) * 2002-10-19 2006-11-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able fastener system
US7200902B2 (en) * 2002-10-19 2007-04-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able fastener system
JP2004173819A (ja) * 2002-11-26 2004-06-24 Ykk Corp 剥離時の不快音を低減した繊維製面ファスナーとその取付製品
JP4699349B2 (ja) * 2003-01-30 2011-06-08 タック ファスト システムズ ソシエテ アノニム フック板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219113B2 (en) * 2003-09-26 2007-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seudo-random binary sequence checker with automatic synchronization
US7014906B2 (en) * 2003-10-14 2006-03-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ook fastener and method of making
US20050170157A1 (en) * 2004-01-29 2005-08-04 Armela Luis P. Composite products and methods of forming such products
GB0423899D0 (en) * 2004-10-28 2004-12-01 Agripa Ltd Flexible frame and mutually engageable fastening means
US7108814B2 (en) * 2004-11-24 2006-09-19 Velcro Industries B.V. Molded touch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422783B2 (en) * 2004-11-24 2008-09-09 Velcro Industries B.V. Submerged hooks
US20060261109A1 (en) * 2005-05-18 2006-11-23 Browne Alan L Cargo container including an active material based releasable fastener system
WO2010030412A1 (en) * 2008-07-02 2010-03-18 Cornerstone Research Group, Inc. Quiet release shape memory polymer fasteners
ES2402169T3 (es) * 2007-04-11 2013-04-29 Gottlieb Binder Gmbh & Co. K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ieza de cierre adhesivo de plástico así como dispositivo para la realización del procedimiento
US8487428B2 (en) * 2007-11-20 2013-07-16 Fujitsu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eliable semiconductor assembly
US8578570B1 (en) * 2009-01-14 2013-11-12 Rickshaw Bagworks Silencer patch for hook-and loop closure system
DE102010027394A1 (de) * 2010-07-16 2012-01-19 Gottlieb Binder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US8875356B2 (en) 2011-10-06 2014-11-0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Mechanical and adhesive based reclosable fasteners
CA2778455C (en) 2012-05-29 2019-04-09 Ray Arbesman Bulk textured material sheeting
CA3040130C (en) 2012-06-18 2021-09-14 Gripmetal Limited Process for making a laminated sheet
US9003615B1 (en) 2012-09-13 2015-04-14 Marion Harlan Cates, Jr. Silent hook and loop fastener system
CA2798303C (en) 2012-12-07 2019-01-08 Nghi Pham Composite disc brake backing plate
CA2821897C (en) 2013-07-26 2016-08-16 Ray Arbesman Metal and graphite laminate
EP2863072B1 (en) 2013-10-15 2017-08-23 Airbus Operations GmbH System for mounting of components
US9950495B2 (en) 2014-07-24 2018-04-24 Nugripmetal S.A.R.L. System and method for additive manufacturing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US9856938B2 (en) 2014-09-26 2018-01-02 R.A. Investment Management S.A.R.L. Material with variable height barbs
CA2865384A1 (en) 2014-09-26 2016-03-26 Ray Arbesman Composite disc brake backing plate
US9689450B2 (en) 2014-09-26 2017-06-27 R.A. Investment Management S.A.R.L. Composite disc brake backing plate
US9259899B1 (en) 2015-01-09 2016-02-16 R.A. Investment Management S.A.R.L. Thin layer laminate
US9360067B1 (en) 2015-02-05 2016-06-07 R. A. Investment Management S.A.R.L. Hybrid laminate
US9388872B1 (en) 2015-03-26 2016-07-12 Nucap Industries Inc. Friction fusion fastening system
US10315382B2 (en) 2016-12-22 2019-06-11 Gripmetal Limited Process for manufacturing textured laminate sheet
US10010923B1 (en) 2017-09-13 2018-07-03 Nugripmetal S.A.R.L. Textured sheet metal
US20220411135A1 (en) * 2019-12-09 2022-12-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extruded Polymeric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210267321A1 (en) * 2020-02-19 2021-09-02 Leonard A. Duffy Self-Sealing Closure System and Method
WO2024073134A1 (en) * 2022-09-30 2024-04-04 Howe & Howe Inc. Attaching and/or releasing parts using lobe-and-trough eng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1730A (en) * 1958-09-26 1962-05-01 Louis H Morin Burr-type closure or coupling element
US3192589A (en) * 1960-07-18 1965-07-06 Raymond C Pearson Separable fastener
US3320649A (en) * 1962-10-23 1967-05-23 Naimer Jack Methods of making separable fastening fabrics
US3266113A (en) * 1963-10-07 1966-08-16 Minnesota Mining & Mfg Interreacting articles
US3408705A (en) * 1966-07-07 1968-11-05 Minnesota Mining & Mfg Fastener articles
US3537946A (en) * 1967-03-30 1970-11-03 Stein Hall & Co Inc Method of combining textile materials and products thereof
US3773580A (en) * 1971-07-27 1973-11-20 American Velcro Inc Bonding fastening members to a substrate
US3899803A (en) * 1971-09-13 1975-08-19 Ingrip Fasteners Self-gripping device with preformed gripping elements
JPS5333887B2 (ko) * 1972-09-26 1978-09-18
US3899805A (en) * 1973-07-13 1975-08-19 Dow Chemical Co Indented sheet
FR2264209A1 (en) * 1974-03-14 1975-10-10 Eram Manufacture Fse Chaussure Fastener for bag and shuttering panels etc. - has plates with interlocking headed projections
IT1054497B (it) * 1975-02-01 1981-11-10 Braun Pebra Gmbh Listello decorativo per autoveicolo
US4290832A (en) * 1976-08-13 1981-09-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fasteners
US4290174A (en) * 1976-08-13 1981-09-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eparable fastener and article for making same
US4169303A (en) * 1976-11-24 1979-10-02 Lemelson Jerome H Fastening materials
US4216257A (en) * 1979-04-20 1980-08-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ip material for forming flexible backed fasteners
US4322875A (en) * 1980-03-31 1982-04-06 Minnesota Mining And Manfacturing Company Two strip materials used for forming fasteners
US4454183A (en) * 1982-02-26 1984-06-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ip material with heat-formed hooked heads
US4761318A (en) * 1985-04-15 1988-08-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oop fastener portion with thermoplastic resin attaching and anchoring layer
US4933224A (en) * 1985-07-17 1990-06-12 Velcro Industries, B.V. Method for adapting separable fasteners for attachment to other objects
US4783039A (en) * 1986-07-28 1988-11-08 Buell Industries, Inc. Shock isolating mount
US4776068A (en) * 1986-10-20 1988-10-11 Velcro Industries B. V. Quiet touch fastener material
US4819309A (en) * 1987-08-27 1989-04-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astener with parts having projecting engaging portions
US4894060A (en) * 1988-01-11 1990-0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hook fastener portion
FR2636683B2 (fr) * 1988-02-26 1990-12-28 Berger Michel Systeme d'assemblage par accrochage comportant des elements d'accrochage formes par des nervures curvilignes pourvues de levres elastiquement deformables
JP2566609B2 (ja) * 1988-03-18 1996-12-25 株式会社クラレ 面フアスナー部材の製造方法
US4984339A (en) * 1988-10-20 1991-01-15 Velcro Industries B.V. Hook for hook and loop fasteners
JPH02134012A (ja) * 1988-11-15 1990-05-23 Alpine Electron Inc ラジオ受信機
US5100400A (en) * 1989-11-17 1992-03-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thermoplastic material anchored hook fastener portion
US5140727A (en) * 1990-03-09 1992-08-25 Dowbrands L.P. Zipper for reclosable thermoplastic bag,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US5040275A (en) * 1990-06-01 1991-08-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ip material used for forming fasteners
US5149573A (en) * 1990-06-01 1992-09-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ly transparent strip material used for forming fasteners
US5179767A (en) * 1990-07-16 1993-01-19 Allan Robert M Connector apparatus
JPH04123106A (ja) * 1990-09-12 1992-04-23 Murata Mach Ltd Nc工作機械の制御装置
US5077870A (en) * 1990-09-21 1992-0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shroom-type hook strip for a mechanical fastener
CA2086326C (en) * 1991-05-03 2001-12-25 Donald L. Banfield Insert mold-in
JPH04338402A (ja) * 1991-05-16 1992-11-25 Dynic Corp 雄面ファスナーおよびその製法
US5231738A (en) * 1991-12-12 1993-08-03 Kuraray Co., Ltd. Mixed hook/loop separable fasten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5212853A (en) * 1992-03-10 1993-05-25 Nifco Inc. Separable plastic faste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US5235731A (en) * 1992-03-26 1993-08-17 Kuraray Co., Ltd. Molded-resin separable fastener and fasten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US5242646A (en) * 1992-05-07 1993-09-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JP3392887B2 (ja) * 1992-10-16 2003-03-31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相互係合式ファス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9407A (ja) 1995-02-10
US5611122A (en) 1997-03-18
KR950002750U (ko) 1995-02-16
DE9412067U1 (de) 199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3143Y1 (ko) 상호맞물리게되는두개의파스너부재로구성되는파스너
US5671511A (en)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having fabric layer
US5713111A (en) Method for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having reduced engagement force
JP4234583B2 (ja) タッチ締結用ループ材
JP3183785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TW296976B (ko)
TWI510200B (zh) 向度可撓接觸扣件條帶
US5671512A (en) Interengaging fastner having reduced engagement force
JP6255472B2 (ja) 緩衝材を使用する保護パッド
JP3636735B2 (ja)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とそのファスナー部材を備えたファスナー
WO2009064711A2 (en) Multi-angle pop-in mechanical fastener
JP2016537048A (ja) ファスナ
KR20190016121A (ko) 면 파스너 및 면 파스너용 걸어맞춤 소자의 조합
US4917441A (en) Plastic wheel cover with fastening device
JPH10508362A (ja) 壁内での構成部材用の固定装置
JP7085024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および表皮材止着構造
US20150289604A1 (en) Fastener member
JPH07186160A (ja) モールドイン成形体、成形方法、成形用係止部材
JP2004066967A (ja) 車両内装部材のシートベルト支持構造
US20220218074A1 (en) Hook-and-loop fastener-equipped resin molded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for fixing automobile ceiling material to vehicle body
EP3477123B1 (en) A connector
JP2989745B2 (ja) 繊維構造体
KR200181168Y1 (ko)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KR200162711Y1 (ko) 보강 부재를 구비한 맞물림식 파스너 부재
JP7318345B2 (ja) 合成樹脂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