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664B1 -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 - Google Patents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664B1
KR101579664B1 KR1020137032099A KR20137032099A KR101579664B1 KR 101579664 B1 KR101579664 B1 KR 101579664B1 KR 1020137032099 A KR1020137032099 A KR 1020137032099A KR 20137032099 A KR20137032099 A KR 20137032099A KR 101579664 B1 KR101579664 B1 KR 10157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membrane module
repairing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970A (ko
Inventor
노리타카 시바타
다카시 히네노야
다카히로 모리
도시노리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01D65/106Repairing membrane apparatus or modules
    • B01D65/108Repairing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01D65/106Repairing membrane apparatus or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34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by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42Chemical regen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은, 중공사막 모듈에 발생한 리크부를 보수하는 방법으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구비한 복합 경화 기능에 의해 경화시키는 보수제를 사용하여 리크부를 보수하는 보수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 REPAIR METHOD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본 발명은, 하수 처리;정수 처리;재생수의 정제를 목적으로 하는 3 차 처리 등에 있어서, 피처리수의 여과에 사용되는 중공사막 (中空絲膜) 모듈의 보수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 년 6 월 16 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1-13431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막여과 설비의 대형화에 따라 중공사막 모듈이 널리 사용되게 되어 왔다. 중공사막 모듈은, 막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피처리수조 중에 침지되어 피처리수를 여과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공사막 모듈로서는, 예를 들어, 시트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중공사막과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2 개의 집수관을 구비한 것이 있다.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각 중공사막의 양 단부는 포팅재에 의해 집수관 내에 고정되고, 그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는 개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는,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이물질 등에 의해 중공사막의 표면이 흠집나고, 그곳이 리크부 (피처리수가 여과수측으로 새어 버리는 부분.) 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중공사막 모듈 제조시에도, 제조 공정의 불량에 의해 리크부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중공사막 모듈 제조시에는, 중공사막끼리의 사이나 중공사막과 집수관 사이의 간극에 포팅재가 들어가 경화됨으로써, 중공사막끼리나 중공사막과 집수관이 고정된다. 그러나, 그 때 공기가 포팅재 중에 잔존하게 되고, 그 결과, 중공사막의 내외가 완전하게는 격리되지 않아 리크부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리크부가 발생한 경우, 종래에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수제를 사용하여, 리크부를 막거나 리크부가 발생한 중공사막의 단면 (端面) 을 봉지하거나 하는 보수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사용되는 보수제의 대부분은 2 액 혼합형으로 경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번잡하였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특허문헌 1 및 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보수 기술도 검토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1 액형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여 보수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특허문헌 2 에는 핫멜트 수지를 사용하여 보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62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68875호
그러나, 이들 종래의 보수 방법은, 상기 서술한 보수의 작업성 면이나 보수한 부분의 강도 등의 면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수의 작업성이나 보수한 부분의 강도 등이 우수한 보수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1] 중공사막 모듈에 발생한 리크부를 보수하는 방법으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구비한 복합 경화 기능에 의해 경화시키는 보수제를 사용하여, 상기 리크부를 보수하는 보수 공정을 갖는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이다.
[2]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물 또는 수용액 중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대해 그 중공사막 모듈의 여과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기체를 압입하여, 상기 리크부를 검출한 후, 상기 보수 공정을 실시하는 [1] 에 기재된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이다.
[3] 상기 리크부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이 구비하는 중공사막 막면의 결함 부분이고, 상기 보수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 부분에 상기 보수제를 도포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이다.
[4] 상기 보수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이다.
[5] 상기 보수제는, 중합성 규소 함유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이다.
[6] 상기 보수제는, 경화 전의 실온에서의 점도가 10 ∼ 3000 mPaㆍs 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이다.
[7] 상기 보수 공정을 실시할 때의 상기 중공사막 모듈이 구비하는 중공사막의 함수율이 90 질량% 이하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이다.
[8]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보수된 중공사막 모듈이다.
본 발명의 보수 방법은 보수의 작업성이나 보수한 부분의 강도 등이 우수하다.
도 1 은 중공사막 모듈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a 는 중공사막의 리크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 는 리크부에 보수제를 도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리크부 보수 방법으로 보수되는 중공사막 모듈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중공사막 모듈 (10) 은, 시트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중공사막 (11) 과, 중공사막 (11) 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2 개의 집수관 (20a, 20b) 으로 이루어지는 집수부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평평한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각 중공사막 (11) 의 양 단부는 개구된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포팅재에 의해 집수관 (20a, 20b) 내에 착탈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중공사막 (11) 과 집수관 (20a, 20b) 내의 유로가 연통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중공사막 모듈 (10) 은, 일반적으로 침지형 막 모듈로 불리고, 이를 피처리수조에 침지시키고 흡인 여과함으로써, 집수관 (20a, 20b) 이 구비하는 단면 중 적어도 1 군데에 형성된 도시 생략된 취수구로부터 여과수를 얻을 수 있다.
중공사막 (11) 의 분획 레벨은, 정밀 여과막 (MF), 한외 여과막 (UF), 나노 여과막 (NF) 등의 어느 레벨이어도 되고, 여과의 대상 등에 따라 구멍 직경, 공공률 (空孔率), 막두께, 외경 등이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어, 유기물이나 바이러스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중공사막의 경우에는, 한외 여과막, 그 중에서도 막 분획 분자량이 수 만 내지 수 십만의 중공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공사막 (11) 의 외경으로는, 예를 들어 0.1 ∼ 10 ㎜ 이며, 바람직하게는 0.5 ∼ 5 ㎜ 이다.
중공사막 (11) 의 재질로는, 중공사막상으로 성형 가능한 재질이면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폴리올레핀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술폰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불소계 등의 수지를 들 수 있고,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사불화에틸렌, 폴리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내약품성이 우수한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불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불소계 수지 중에서도, 중공사막으로 할 때의 부형성과 내약품성 등 면에서 폴리불화비닐리덴 (PVDF) 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불화비닐리덴으로는, 불화비닐리덴의 호모폴리머 이외에, 불화비닐리덴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불화비닐리덴에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불화비닐리덴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불화비닐, 사불화에틸렌, 삼불화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고,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중공사막 (11) 은,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의 막 파단 방지 등을 위해 그 내부에 중공상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지지체로서는 중공상 모노필라멘트사, 짠끈 또는 꼰끈 등을 들 수 있다.
중공사막 (11) 을 집수관 (20a, 20b)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포팅재로는, 상기 서술한 폴리우레탄 수지 이외, 에폭시 수지 등,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포팅재에 의해 중공사막 (11) 의 내측과 외측이 집수관 (20a, 20b) 내에서 격리된다.
집수관 (20a, 20b) 의 재질로는,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수지, ABS 수지, 변성 PPE 수지, PPS 수지, 내부식성 금속 등이 예시되고, 포팅재와의 접착성이 양호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의 예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로서는, 예를 들어, 제논ㆍ엔바이로먼트 (주) 의 Zeeweed500d 나 미츠비시 레이욘 (주) 의 SADF2580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공사막 모듈 (10) 은, 평평한 사각형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피처리수조 중에 침지시켰을 때의 집적도나 세정성이 우수하다.
또, 그 집수부는, 집수관 (20a, 20b) 이 중공사막 (11) 의 양 단부에 착탈 불가능하게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내압성이 우수함과 함께 구성이 심플하여 집적도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사막 모듈의 구성, 형상으로는, 도시된 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처리수조의 크기,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처리 성분의 성상, 세정성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집수관으로는,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인 관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원형 (원고리상) 인 관 등도 들 수 있다. 또, 도 1 에서는, 이른바 침지형 막 모듈을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본 양태는 피처리수를 가압함으로써 중공사막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으로부터 내주측 또는 외주측으로 보내어 여과수를 얻는, 이른바 가압형 막 모듈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의 가압형 중공사막 모듈로서는, 아사히 카세이 (주) 의 마이크로저 UNA-600A, 마이크로저 UNA-620A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공사막 모듈 (10) 에 있어서는, 그 사용 중에,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에 의해 중공사막 (11) 의 막면이 흠집나거나 하여, 막면에 핀홀이나 파열 등의 결함 부분이 발생하고, 그곳이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리크부 (30) 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중공사막 모듈 (10) 제조시에, 중공사막 (11) 끼리의 사이나 중공사막 (11) 과 집수관 (20a, 20b) 사이의 간극에 있어서, 제조 공정상의 불량, 예를 들어 포팅재의 주입 불량이 발생하여 그 부분이 리크부가 되는 경우나, 중공사막 모듈 (10) 의 사용에 수반되어 포팅재가 집수관 (20a, 20b) 으로부터 박리되어 리크부가 되는 경우 등이 있다. 리크부란, 이와 같이 중공사막 (11) 의 내측과 외측의 격리가 불완전하게 되어, 피처리수가 여과수측으로 새어 버리는 부분을 말한다.
리크부 (30) 를 검출하는 리크 검사 방법으로는, 미립자를 사용한 검사 방법이나, 이른바 흡인법 등도 있지만, 중공사막 모듈 (10) 을 물 또는 수용액 중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이 중공사막 모듈 (10) 에 대해 중공사막 모듈 (10) 의 여과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기체를 압입하여, 기포의 발생 부분으로부터 리크부를 특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중공사막 모듈 (10) 을 에탄올 수용액 등의 유기 용제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그 상태에서 기체를 압입하는 방법이나, 중공사막 모듈 (10) 을 에탄올 수용액에 침지시켜 막 표면을 친수화시키고, 친수화된 중공사막 모듈 (10) 을 일단 꺼내고, 물이 들어간 수조에 다시 침지시키고, 그 상태에서 기체를 압입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5056호 참조.). 또, 유기 용제 수용액 대신에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가압 기체를 사용한 리크 검사 방법은, 검출 감도가 높아 널리 채용되고 있다.
또한, 도시된 예의 중공사막 모듈 (10) 은, 집수관 (20a, 20b) 이 중공사막 (11) 의 양 단부에 착탈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중공사막 (11) 의 단면을 노출시킬 수 없는 형태이다. 이 형태의 중공사막 모듈 (10) 에 대해, 가압 기체를 사용하여 리크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집수관 (20a, 20b) 측으로부터 중공사막 (11) 에 기체를 압입하여, 중공사막 (11) 으로부터의 기포 발생 부분을 특정하는 방법, 즉, 여과 방향의 역방향으로 기체를 압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렇게 하여 검출된 리크부 (30) 에 대해 복합 경화 기능을 갖는 경화성 보수제를 사용하여 보수한다 (보수 공정).
여기서, 복합 경화 기능을 갖는 경화성의 보수제란, 적어도 2 개 이상의 기구에 의해 경화를 개시하는 수지계 보수제를 말한다. 단, 이 경화 개시에는 예를 들어 매크로 모노머에 의한 2 차 중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합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는, 단시간에서의 경화성이 우수하여, 리크부 (30) 를 빠르고 균일하게 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의 작업성이 양호함과 함께 보수한 부분의 강도, 내구성도 우수하다. 경화 기능의 구체예로는, 광 경화, 열 경화, 습기 경화 등을 들 수 있다.
보수제로서는 작업성 면에서, 포트 라이프가 우수한 1 액형의 보수제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옥세탄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 중에서 복합 경화 기능을 갖는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양태에서 사용하는 보수제는, 복합 경화 기능으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 (자외선 경화 기능) 을 적어도 갖는다.
적어도 습기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가압 기체를 사용한 방법으로 리크부 (30) 를 검출한 후의 습윤 상태에 있는 중공사막 모듈 (10) 에 대해, 이것을 건조 설비를 사용하여 건조시키지 않고 보수할 수 있다. 또, 습기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는, 중공사막 (11) 에 포함되는 수분과 반응하여 경화되기 때문에, 앵커 효과가 발휘되어 중공사막 (11) 과 양호하게 접착된다.
보수 전의 건조가 불필요하면, 건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삭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에 의해 중공사막이 습열 수축을 일으켜, 유효 막 면적이 변동될 우려도 회피할 수 있다. 또, 중공사막을 일단 건조시켜 버리면, 리크부 보수 후에 리크부가 확실하게 폐색되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리크 재검사를 실시할 때나, 중공사막 모듈을 피처리수조로 되돌릴 때에 중공사막을 재차 친수화시킬 필요가 발생하여 시간이나 수고가 소요된다. 이에 비해, 보수 전에 건조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재차 친수화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시간도 수고도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와 친수화를 반복하는 것에 의한 중공사막의 습열 수축에 의한 형상 변화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보수 전에 건조가 불필요하면, 건조 설비가 있는 시설까지 중공사막 모듈 (10) 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그 사용 현장, 즉 정수장이나 하수 처리장 등에서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다. 이로써 리크부 (30) 의 보수에 수반되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 수고를 대폭 삭감시킬 수 있어, 현장에서의 작업 효율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 자외선에 의해서만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나 핫멜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보수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수시의 전처리로서 리크부의 건조가 불가결하다. 리크부가 건조되어 있지 않으면, 이들 보수제는 리크부에 양호하게 부착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습기 경화 기능와 함께 광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를 사용하면, 습기가 잘 침투되지 않는 영역 (예를 들어 보수제의 내부 영역이나 표면측.) 에 대해서는 광 경화 기능을 이용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한편, 광 에너지가 잘 도달하지 않는 영역 (예를 들어, 보수제의 심부.) 에 대해서는 습기 경화 기능을 이용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보수한 부분의 보수제는 높은 가교도가 되어, 경화 후에 물에 침지되어도, 팽윤되거나 열화되거나 하지 않고, 강도, 내구성이 우수하다.
광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가 개시되어 실용 강도까지 경화가 진행되고, 그 이후에는 자외선의 조사를 멈추어도 실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자외선 조사 후, 초 단위로 경화시키는 등의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로는, 100 ∼ 400 ㎚ 사이에 반응 파장을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가시광 (실내 산란광) 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는 보수제가 바람직하다. 또, 자외선 조사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LED 자외선 램프는, 350 ㎚ 부근의 광량이 가장 많고, 이러한 350 ㎚ 부근에 극대 흡수를 가지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보수제는, 효율성, 비용, 자원 절약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복합 경화 기능으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보수제, 중합성 규소 함유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보수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내용제성이나 접착 강도 면에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보수제가 바람직하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성분으로는, 화학식:H2C=C(CN)-COOR 에 의해 나타내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모노머를 들 수 있다.
R 은, 예를 들어, C1 ∼ 15 알킬, 알콕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아릴, 알릴 및 할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모노머의 구체예로는, 메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n-부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 옥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릴시아노아크릴레이트, β-메톡시에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에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보수제에 함유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성분의 양은, 50 ∼ 98 질량% 가 바람직하고, 75 ∼ 9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85 ∼ 9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성 규소 함유 성분으로는, 규소 함유 모노머나 이들 규소 함유 모노머를 반복 단위로 하는 규소 함유 올리고머 또는 매크로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규소 함유 모노머로는, 2 이상의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킬트리메톡시실란이나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아미노알킬트리메톡시실란) 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이들 규소 함유 모노머, 규소 함유 올리고머 또는 매크로 모노머 어느 것에서도, 미반응의 알콕시실릴기의 일부가 가수 분해되어 실란올기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때, 중합성 규소 함유 성분은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Ciba Specialty Chemicals, Tarrytown, New York 으로부터 「IRGACURE」의 상품명이나 「DAROCUR」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를 이하에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1) 「IRGACURE」184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 「IRGACURE」907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3) 「IRGACURE」369 (2-벤질-2-N,N-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4) 「IRGACURE」500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 벤조페논의 조합)
(5) 「IRGACURE」651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6) 「IRGACURE」1700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와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의 조합)
(7) 「IRGACURE」819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8) 「DAROCUR」1173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
(9) 「DAROCUR」4265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와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의 조합)
(10) 가시 (청색) 광중합 개시제
(11) dl-캠퍼 퀴논
(12) 「IRGACURE」784 DC
를 들 수 있다.
본 양태에 있어서 유용한 다른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알킬피루베이트 (예를 들어, 메틸피루베이트, 에틸피루베이트, 프로필피루베이트, 부틸피루베이트 등.), 아릴피루베이트 (예를 들어, 페닐피루베이트, 벤질피루베이트 등.) 나 이들 화합물의 일부가 치환기로 치환된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양태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로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예:「IRGACURE」651),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 (예:「DAROCUR」1173),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예:「IRGACURE」819) 등의 자외광 개시제;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및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을 조합한 자외/가시광 개시제 (예:「IRGACURE」1700);(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 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예:「IRGACURE」784DC)) 등의 가시광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습기 경화 기능과 함께 광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를 사용하여 보수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리크 검사 후의 중공사막 모듈 (10) 을 건조 설비를 사용하여 건조시키지 않고, 리크부 (30) 의 둘레 가장자리가 적어도 습윤 상태에 있는 동안에,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사막 막면의 리크부 (30) 를 막도록 보수제 (40) 를 부착시킨다. 부착 방법으로는, 보수제 (40) 를 적하시키는 방법이나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수제 (40) 를 부착시킴으로써, 보수제 (40) 는 신속하게 중공사막 (11)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습기 경화된다. 이어서, 부착시킨 보수제 (40) 에 대해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로써, 보수제 (40) 는, 중공사막 (11) 중의 수분과의 반응에 의한 앵커 효과에 의해 리크부 (30) 의 둘레 가장자리와 양호하게 부착되고,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습기가 잘 침투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도 충분히 경화된다. 따라서, 보수한 부분의 보수제 (40) 는, 앵커 효과나 높은 가교도에서 기인된 강도, 내구성을 구비하고, 재차 피처리수조에 침지되어도, 팽윤되거나 열화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습윤 상태란, 중공사막을 손가락 등으로 가볍게 누른 경우에, 수분이 손가락 등에 부착되는 상태이다. 또, 「리크부의 둘레 가장자리」란, 리크부를 폐색하는 목적을 위해서 보수제가 부착되는 부분을 말하고, 통상적으로 보수제는, 리크부를 포함하도록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으로 약 3 ∼ 5 ㎝ 의 범위로 부착된다.
또, 도 1 예의 중공사막 모듈 (10) 은, 집수관 (20a, 20b) 이 중공사막 (11) 의 양 단부에 착탈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중공사막 (11) 의 단면을 노출시킬 수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보수제 (40) 로 리크부 (30) 를 직접 막는 보수 방법이 채용되고, 리크부가 발생한 중공사막의 단면을 봉지하는 보수 방법은 채용할 수 없다.
자외선 조사 장치로서는, 상기 서술한 LED 자외선 램프 (UV-LED) 이외에, 예를 들어, 메탈할라이드 램프,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딥 자외선 램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무전극으로 수은등을 여기하는 램프, 자외선 레이저, 크세논 램프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광원으로서 UV-LED 를 사용한 LED 자외선 램프는, 예를 들어 그 이외의 자외선 램프 등과 비교하여 점등 (조사) 과 소등의 전환을 실행하기 쉽다. 그래서, 점등 (조사) 과 소등의 반복을 실행하는 보수 작업에 있어서는, 자외선 조사의 타이밍을 적절히 제어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보수제 (40) 의 경화 전의 점도는, 보수의 작업성이나 보수 부분의 내구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리크부 (30) 의 크기 등에 따라 보수제 (40) 의 바람직한 점도는 다르고, 실온 (23 ℃) 에서 1 mPaㆍs ∼ 페이스트상의 것까지 사용할 수는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3000 mPaㆍs,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000 mPaㆍs이다.
점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하면, 습윤 상태에 있는 리크부 (30) 의 둘레 가장자리에 보수제 (40) 를 부착시켜도, 보수제 (40) 가 막두께 방향으로 침투되기 어려워져, 막의 내부에 있는 수분과 치환ㆍ가교 반응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 결과, 보수제 (40) 와 중공사막 (11) 에 포함되는 수분이 반응하는 것에 의한 앵커 효과가 적어져, 보수한 중공사막 모듈을 장시간 사용한 경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그 점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하면, 도포된 보수제 (40) 의 막두께가 커져, 보수제 (40) 의 심부까지 자외선이 도달하기 어려워져, 중공사막 (11) 의 막면과 보수제 (40) 의 계면 부근에서의 보수제 (40) 의 경화가 약해진다. 그 결과, 자외선의 조사 시간을 길게 하지 않으면 보수 부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범위의 하한값 미만에서는, 보수제 (40) 가 리크부 (30) 주위로 광범위하게 지나치게 퍼져 보수제 (40) 로서의 충분한 막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 결과, 앵커 효과가 불충분해져, 보수한 중공사막 모듈을 장시간 사용한 경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보수가 필요 없는 부분의 구멍을 보수제 (40) 로 폐색해 버려, 막 면적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습기 경화 기능과 함께 광 경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서술한 범위의 점도를 구비한 보수제 (40) 로서는, 자외선 램프의 파장으로서 많이 사용되는 파장 365 ㎚ 또는 이 부근에 흡수 극대를 가지는 광중합 개시제와 에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광 경화성 순간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광 경화성 순간 접착제의 예로는, Henkel 제조 Loctite #4305 나 쓰리본드 제조 #1773E 를 들 수 있다.
보수 공정을 실시할 때의 중공사막의 바람직한 습윤 상태는, 중공사막의 함수율이 90 질량% 이하인 상태이다. 함수율이 90 질량% 를 초과한 상태에서는, 보수제 (40) 가 리크부 (30) 의 둘레 가장자리의 손상 부위에 충분히 잘 부착되지 않아 흘러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보수하는 중공사막의 표면을 흡수지 (웨이스트 페이퍼 등.) 로 흡수하거나 하여, 그 표면의 물방울을 닦아 함수율을 90 질량% 이하로 해도 된다. 한편, 함수율의 바람직한 하한값은 3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값은 50 질량% 이다. 함수율이 30 질량% 를 밑돌면, 외기가 건조되어 있는 경우 등에, 보수제의 습기 경화 기능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여기서 중공사막의 함수율은, 중공사막 샘플을 사용하여 미리 측정해 둔다.
예를 들어, 리크 검사 등에 있어서 친수화제, 물, 수용액 등의 친수성 액체에 침지된 중공사막을, 그 액체로부터 꺼내어 실온 (23 ℃) 에서 방치한 경우, 그 방치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공사막의 함수율은 작아진다. 그래서, 방치 시간과 중공사막의 함수율의 관계를, 예를 들어 3 ∼ 5 ㎝ 의 길이로 잘라진 샘플을 사용하여 미리 구해 두면, 실제로 보수하는 중공사막에 대해 실온에서의 방치 시간에 기초하여 함수율을 구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중공사막의 표면을 흡수지로 닦음으로써, 그 함수율을 조정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중공사막의 표면을 흡수지로 닦은 후의 함수율이 어느 정도가 될지, 미리 구해 두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중공사막의 함수율」이란, 「중공사막의 리크부의 둘레 가장자리의 함수율」이며, 「리크부의 둘레 가장자리」란, 「리크부를 폐색하는 목적을 위해서 보수제가 부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함수율은, 측정 대상인 샘플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했을 때에, 그 샘플에 포함되는 수분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진다.
함수율 (질량%)=(건조 전 질량―건조 후 질량)/건조 전 질량×100
여기서, 건조 전 질량이란, 친수성 액체에 침지시킨 후, 꺼내어진 중공사막 샘플의 질량이다. 또, 건조 후 질량이란, 친수성 액체에 침지시키고, 꺼내어진 중공사막 샘플을 건조시킨 후의 질량이다. 구체적으로는 중공사막 샘플을 105 ℃ 의 정온 (定溫) 건조기 내에 2 시간 정치 후, 건조기로부터 꺼내고, 바로 건조 분위기인 데시케이터 내로 이동시켜 40 ∼ 60 분간 방랭시킨 후의 질량이 건조 후 질량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리크부를 보수하는 보수 공정에 있어서, 복합 경화 기능을 갖는 경화성의 보수제를 사용하면, 그 보수제는, 단시간에서의 경화성이 우수하고, 리크부를 빠르고 균일하게 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의 작업성이 양호함과 함께 보수한 부분의 강도, 내구성도 우수하다.
그 중에서도, 복합 경화 기능으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를 사용하면, 중공사막을 건조 설비로 건조시키지 않고 보수할 수 있는 데다,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의 복합 효과에 의해 보수한 부분 (보수제) 이 중공사막과 양호하게 접착되고, 또한, 보수제의 내부까지 높은 가교도가 되어, 재차 피처리수조에 침지시켜도, 팽윤되거나 열화되거나 하지 않아 강도, 내구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PET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짬으로써 중공상으로 가공하고, 그 표면에 PVDF 다공질부를 형성한 다공질 중공사막 (미츠비시 레이욘 (주) 제조, 내경 1000 ㎛, 외경 2800 ㎛) 을 다수 개 구비하고, 이들 중공사막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의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에 대해, 이하와 같이 하여 (1) 리크 검사와 (2) 리크부의 보수와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및 여과 운전을 실시하였다.
(1) 리크 검사
상기 서술한 중공사막 모듈을 친수화 용액 (닛신 화학 공업 (주) 제조, 오르핀 EXP4036, 0.3 wt% 수용액:표면 장력 25.8 mN/m) 에 10 분간 침지 후, 일단 꺼내고, 물이 들어간 수조에 다시 침지시키고, 그 상태에서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가압 공기를 100 kPa 로 주입하고, 리크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공사막으로부터 기포가 발생한 부분을 리크부로 하여 마킹한 후, 중공사막 모듈 내부의 물을 배출시키고, 리크부와 그 주위의 액적을 물이 적하되지 않을 정도로 페이퍼 타올로 닦았다. 그 때의 리크부 둘레 가장자리의 함수율은, 미리 구해 둔 중공사막 샘플의 데이터로부터 75 % 였다.
(2) 리크부의 보수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갖는 보수제로서 365 ㎚ 에 흡수 극대를 가지는 광중합 개시제와 에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중의 함유량은 95 질량%) 를 함유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광 경화성 순간 접착제 (Henkel 제조 Loctite #4305) 를 사용하였다. 이 접착제는, 실온 (23 ℃) 에서의 점도가 800 mPaㆍs 였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검출된 리크부를 막도록, 이 보수제 300 ㎕ 를 적하, 도포하였다. 그러자, 막두께 방향으로 포함되는 수분과 도포한 보수제가 반응하여 1 차 경화 (습기 경화) 되었다.
이어서, 도포한 보수제로 대해 그 상방으로부터 니치아 화학 공업 제조의 고출력 자외선 LED 를 사용한 UV-LED 라이트 (자외선 파장 365 ㎚) 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고, 2 차 경화를 실시하였다. 조사 강도는 30 mWㆍ㎠, 조사 시간은 30 초간으로 하였다.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및 여과 운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리크부를 보수한 후, 상기 (1) 과 동일하게 하여 리크 검사 (리크 재검사) 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포 발생은 없어 리크부가 확실히 보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보수 후의 중공사막 모듈을 사용하여, 수중에서 1000 시간의 여과 운전을 실시하고, 그 후, 다시 리크 검사를 실시했지만, 보수한 리크부로부터의 기포 발생은 없었다. 또한, 2000 시간까지 여과 운전한 후, 동일하게 재차 리크 검사를 실시해도, 리크는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의 보수 방법에 따르면, 단시간에 확실히 리크부를 보수할 수 있고, 보수한 부분도 충분한 내구성, 내압 강도를 구비하였다.
[실시예 2]
보수제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갖고, 광중합 개시제와 에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중의 함유량은 95 질량%) 를 함유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Henkel 제조 Loctite #4304 점도 20 mPaㆍs (23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리크 검사와 (2) 리크부의 보수와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및 여과 운전을 실시하였다. 보수 후의 리크 검사에서 기포 발생은 없어 리크부가 확실히 보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보수 후의 중공사막 모듈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여과 운전을 실시하고, 1000 시간 후 및 2000 시간 후에 재차 리크 검사를 실시했지만, 어느 경우에도 리크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3]
보수제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갖고, 광중합 개시제와 에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중의 함유량은 90 질량%) 를 함유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Threebond 제조 TB1773E 점도 150 mPaㆍs (23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리크 검사와 (2) 리크부의 보수와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및 여과 운전을 실시하였다. 보수 후의 리크 검사에서 기포 발생은 없어 리크부가 확실히 보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보수 후의 중공사막 모듈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여과 운전을 실시하고, 1000 시간 후 및 2000 시간 후에 재차 리크 검사를 실시했지만, 어느 경우에도 리크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4]
보수제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갖고, 광중합 개시제와 에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중의 함유량은 90 질량%) 를 함유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Threebond 제조 3056F 점도 6000 mPaㆍs (23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리크 검사와 (2) 리크부의 보수와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및 여과 운전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보수제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보수시에 중공사막으로 잘 침투되지 않았지만, 보수 후의 리크 검사에서 기포 발생은 없어 리크부가 확실히 보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수 후의 중공사막 모듈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여과 운전을 실시하고, 1000 시간 후 및 2000 시간 후에 재차 리크 검사를 실시한 바, 2000 시간 후에 보수제의 단부로부터 리크가 확인되었다. 이는, 보수제의 점도가 높아, 보수제가 중공사막으로 잘 침투되지 않았기 때문에, 충분한 앵커 효과가 얻어지지 않은 것;보수제의 점도가 높고 도포된 보수제의 막두께가 커졌기 때문에, 보수제의 심부까지 자외선이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고, 중공사막의 막면과 보수제의 계면 부근에서의 보수제 경화가 약간 약해진 것;등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5]
보수제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갖고, 광중합 개시제와 중합성 규소 함유 성분을 함유하는 실리콘계 접착제 (Henkel 제조 Loctite #5248 점도 50000 mPaㆍs (23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리크 검사와 (2) 리크부의 보수와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및 여과 운전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보수제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보수시에 중공사막으로 잘 침투되지 않았지만, 보수 후의 리크 검사에서 기포 발생은 없어 리크부가 확실히 보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수 후의 중공사막 모듈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여과 운전을 실시하고, 1000 시간 후 및 2000 시간 후에 재차 리크 검사를 실시한 바, 2000 시간 후에 보수제의 단부로부터 리크가 확인되었다. 이는, 보수제의 점도가 높아, 보수제가 중공사막으로 잘 침투되지 않았기 때문에, 충분한 앵커 효과가 얻어지지 않은 것;보수제의 점도가 높고 도포된 보수제의 막두께가 커졌기 때문에, 보수제의 심부까지 자외선이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고, 중공사막의 막면과 보수제의 계면 부근에서의 보수제 경화가 약간 약해진 것;등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6]
보수제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갖고, 광중합 개시제와 에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중의 함유량은 90 질량%) 를 함유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Threebond 제조 TB1771E 점도 2 mPaㆍs (23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리크 검사와 (2) 리크부의 보수와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및 여과 운전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보수제는 점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보수시에 중공사막으로 충분히 침투는 되었지만, 리크부의 주위로 광범위하게 흘러 버려, 도포된 보수제의 막두께는 실시예 1 경우의 1/10 정도로밖에 되지 않았다. 보수 후의 리크 검사에서는, 기포 발생은 없어 리크부가 확실히 보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보수 후의 중공사막 모듈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여과 운전을 실시하고, 1000 시간 후 및 2000 시간 후에 재차 리크 검사를 실시한 바, 2000 시간 후의 경우에 보수제의 단부로부터 리크가 확인되었다. 이는, 보수제의 점도가 낮고 보수제의 막두께를 크게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충분한 앵커 효과가 얻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1]
보수제로서 자외선 경화 기능만을 갖는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 (Henkel 제조 Loctite #3555 점도 150 mPaㆍs (23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상기 (1) 의 리크 검사를 하고, 그 후 상기 (2) 의 보수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도포 후,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킨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가 리크부로부터 박리되어 버려 보수 자체를 할 수 없었다.
또, 별도로 (1) 의 리크 검사 후, 리크부를 마킹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 (Henkel 제조 Loctite #3555) 로 리크부의 보수를 실시한 바, 그 후, 상기 (3) 의 리크 재검사를 실시해도 리크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2]
보수제로서 습기 경화 기능만을 갖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 접착제 (Henkel 제조 Loctite #406 점도 100 mPaㆍs (23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리크 검사와 (2) 리크부의 보수와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를 실시하였다. 단, (2) 리크부의 보수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는 실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리크 재검사) 를 실시한 바, 보수한 부분의 보수제가 서서히 팽윤되어 리크부가 노출되고, 그 때문에, 여과 운전을 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보수제로서 습기 경화 기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Henkel 제조 Macroplast QR3460 점도 11,000 mPaㆍs (120 ℃) 실온 (23 ℃) 에서는 고체)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리크 검사와 (2) 리크부의 보수와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를 실시하였다. 단, (2) 리크부의 보수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는 실시하지 않았다.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리크 재검사) 를 실시한 바, 보수한 부분의 보수제가 서서히 박리되어 리크부가 노출되고, 그 때문에 여과 운전을 할 수 없었다. 이는, 보수제의 내부 영역에는 습기가 침투되지 않아, 보수제의 내부 영역의 경화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사용된 핫멜트 접착제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막두께 방향으로 잘 침투되지 않아 앵커 효과도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4]
보수제로서 자외선 경화 기능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DIC 타이포스 EXPDC-200 점도 4000 mPaㆍs (120 ℃) 실온(23 ℃) 에서는 고체)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리크 검사와 (2) 리크부의 보수와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3) 보수 후의 리크 검사 (리크 재검사) 를 실시한 바, 보수한 부분의 보수제가 서서히 박리되어 리크부가 노출되고, 그 때문에 여과 운전을 할 수 없었다. 이는, 건조되어 있지 않은 중공사막의 리크부에는, 핫멜트 접착제가 양호하게 부착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보수제의 상품명 보수제의 경화 기능 보수제의 경화전 점도 (mPa·s) 리그 재검사
1000 시간 후 2000 시간후
실시예 1 Loctite #4305 습기 경화 기능 및 자외선 경화 기능 800 (23℃)
실시예 2 Loctite #4304 습기 경화 기능 및 자외선 경화 기능 20 (23℃)
실시예 3 Threebond TB1773E 습기 경화 기능 및 자외선 경화 기능 150 (23℃)
실시예 4 Threebond 3056F 습기 경화 기능 및 자외선 경화 기능 6000 (23℃) ×
실시예 5 Loctite #5248 습기 경화 기능 및 자외선 경화 기능 50000 (23℃) ×
실시예 6 Threebond TB1771E 습기 경화 기능 및 자외선 경화 기능 2 (23℃) ×
비교예 1 Loctite #3555 자외선 경화 기능만 150 (23℃) 검사 불가능 검사 불가능
비교예 2 Loctite #406 습기 경화 기능만 100 (23℃) 검사 불가능 검사 불가능
비교예 3 Macroplast QR3460 습기 경화 기능만
(핫멜트 수지)
11,000 (120℃)
고체(23℃)
검사 불가능 검사 불가능
비교예 4 DIC 타이포스 EXPDC-200 자외선 경화 기능만
(핫멜트 수지)
4,000 (120℃)
고체(23℃)
검사 불가능 검사 불가능
○ : 리크 없음
X : 리크 있음
10 : 중공사막 모듈
11 : 중공사막
20a, 20b : 집수관
30 : 리크부
40 : 보수제

Claims (8)

  1. 중공사막 모듈에 발생한 리크부를 보수하는 방법으로서, 습기 경화 기능과 광 경화 기능을 구비한 복합 경화 기능에 의해 경화시키는 보수제를 사용하여, 상기 리크부를 보수하는 보수 공정을 갖고,
    상기 보수제는, 경화 전의 실온에서의 점도가 10 ∼ 3000 mPaㆍs 인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물 또는 수용액 중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대해 그 중공사막 모듈의 여과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기체를 압입하여, 상기 리크부를 검출한 후, 상기 보수 공정을 실시하는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크부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이 구비하는 중공사막 막면의 결함 부분이고,
    상기 보수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 부분에 상기 보수제를 도포하는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제는, 중합성 규소 함유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공정을 실시할 때의 상기 중공사막 모듈이 구비하는 중공사막의 함수율이 90 질량% 이하인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보수된 중공사막 모듈.
KR1020137032099A 2011-06-16 2012-06-15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 KR101579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4318 2011-06-16
JPJP-P-2011-134318 2011-06-16
PCT/JP2012/065381 WO2012173232A1 (ja) 2011-06-16 2012-06-15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補修方法およ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970A KR20140016970A (ko) 2014-02-10
KR101579664B1 true KR101579664B1 (ko) 2015-12-22

Family

ID=4735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099A KR101579664B1 (ko) 2011-06-16 2012-06-15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8862B2 (ko)
EP (1) EP2722099A4 (ko)
JP (1) JP5637214B2 (ko)
KR (1) KR101579664B1 (ko)
CN (1) CN103732313B (ko)
WO (1) WO2012173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4167B2 (en) 2013-11-21 2019-08-20 Oasys Wate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osmotically driven membrane systems
CA2930425A1 (en) * 2013-11-21 2015-05-28 Oasys Wat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pairing membranes and improving performance of osmotically driven membrane systems
JP6290616B2 (ja) * 2013-12-17 2018-03-07 旭化成株式会社 膜モジュールの補修方法及び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2069050B1 (ko) * 2014-12-29 2020-01-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공사막의 리크 보수 방법
CN104816476B (zh) * 2015-04-21 2017-11-03 中山火炬职业技术学院 一种粉基3d打印成品色彩再现性的优化方法
CN106178958B (zh) * 2016-08-08 2019-04-16 杭州求是膜技术有限公司 一种片状帘式膜封装和堵漏工艺
KR102055054B1 (ko) * 2018-04-05 2020-01-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사 리페어 방법
CN111389233B (zh) * 2020-03-20 2022-07-01 北京碧水源膜科技有限公司 针对功能层损伤的微滤膜修复液的制备方法及微滤膜修复的方法
USD964795S1 (en) * 2020-09-28 2022-09-27 Brita Lp Water pitch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1307A (ja) * 2006-07-28 2008-02-14 Three Bond Co Ltd 光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7841A (en) * 1968-04-10 1970-09-08 Eastman Kodak Co Alpha-cyanoacrylate adhesive compositions
JPS5926321B2 (ja) 1976-07-26 1984-06-2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中空繊維の補修方法
US4188817A (en) * 1978-10-04 1980-02-19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Method for detecting membrane leakage
JPS6257475A (ja) 1985-09-06 1987-03-13 Toagosei Chem Ind Co Ltd 接着剤
JPH0613088B2 (ja) * 1985-12-13 1994-02-2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中空糸型モジユ−ルの無菌リ−ク検出方法
JPS62227409A (ja) 1986-03-31 1987-10-06 Teijin Ltd 選択透過性複合膜の修復法
US5561173A (en) * 1990-06-19 1996-10-01 Carolyn M. Dry Self-repairing, reinforced matrix materials
JPH05168875A (ja) 1991-12-20 1993-07-02 Kuraray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リーク箇所の補修方法およ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H05184886A (ja) 1991-12-28 1993-07-27 Kuraray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リーク補修装置
US5300608A (en) * 1992-03-31 1994-04-05 Loctite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lkoxy-terminated organosiloxane fluids using organo-lithium reagents
JPH07136253A (ja) 1993-11-17 1995-05-30 Asahi Medical Co Ltd 中空糸型人工臓器の補修方法および補修された中空糸型人工臓器
TW369554B (en) * 1995-10-19 1999-09-11 Three Bond Co Ltd Photocurable composition
US5824180A (en) 1995-10-19 1998-10-20 Three Bond Co., Ltd. Method of bonding or decorating artificial nail
JP3428325B2 (ja) * 1995-10-19 2003-07-22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光硬化性組成物
US5922783A (en) * 1997-02-27 1999-07-13 Loctite Corporation Radiation-curable, cyanoacrylate-containing compositions
JP4338279B2 (ja) 2000-01-28 2009-10-0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分離膜のリーク検査方法
FR2816851B1 (fr) * 2000-11-20 2003-09-26 Aquasource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 procedes de reparation par obturation des fibres creuses des membranes, notamment d'ultra-, nano- et hyper-filtration
JP2003277422A (ja) 2002-03-22 2003-10-02 Three Bond Co Ltd 光硬化性組成物
ATE515319T1 (de) * 2005-12-07 2011-07-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inführstellendichtung für wickelmodul
JP2008037907A (ja) * 2006-08-02 2008-02-21 Three Bond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
WO2008128888A1 (de) * 2007-04-18 2008-10-30 Henkel Ag & Co. Kgaa Schnell aushärtende cyanacrylate als klebstoffe
EP2227308A2 (en) * 2007-11-09 2010-09-15 Hollingsworth & Vose Company Meltblown filter medium
KR20110001433A (ko) 2009-06-30 2011-01-06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중공사 분리막의 결점 수리 방법
WO2012077067A2 (en) * 2010-12-07 2012-06-14 Shichrur, Naim Reinforced board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1307A (ja) * 2006-07-28 2008-02-14 Three Bond Co Ltd 光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2099A4 (en) 2014-11-05
WO2012173232A1 (ja) 2012-12-20
JP5637214B2 (ja) 2014-12-10
JPWO2012173232A1 (ja) 2015-02-23
US20140116935A1 (en) 2014-05-01
CN103732313A (zh) 2014-04-16
CN103732313B (zh) 2016-10-26
US10898862B2 (en) 2021-01-26
KR20140016970A (ko) 2014-02-10
EP2722099A1 (en)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664B1 (ko) 중공사막 모듈의 보수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
US7638052B2 (en) Polysulfone-based hollow-fiber membrane with selective permeability
JP6896642B2 (ja) 非対称複合膜および供給流から水を除去する方法
US10159938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580314B1 (ja) ポリスルホン系選択透過性中空糸膜束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449302A (zh) 性能改良的改性聚合物及其制造方法
JP5811738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補修方法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2007090126A (ja) ポリスルホン系選択透過性中空糸膜束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血液浄化器
CN114391026A (zh) 可光固化(甲基)丙烯酸酯组合物
KR101431431B1 (ko) 중공사막 모듈의 검사 방법 및 중공사막 모듈의 검사 장치
KR102455810B1 (ko) 플루오르화 필터 막, 필터, 및 방법
KR101025753B1 (ko) 중공사 분리막의 수선방법
CN1520888A (zh) 血液净化器
JPH0338231A (ja) 親・疎水性分離単位膜及び分離膜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80890A1 (ja) ガス分離膜、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
US20020063096A1 (en) Filter cartridge and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6688127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36253A (ja) 中空糸型人工臓器の補修方法および補修された中空糸型人工臓器
JP2024022033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580616B2 (ja) ポリスルホン系選択透過性中空糸膜束の乾燥方法
JP2005169377A (ja) ポリスルホン系選択透過性中空糸膜束の製造方法
JP2005169376A (ja) ポリスルホン系選択透過性中空糸膜束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