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632B1 -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632B1
KR101578632B1 KR1020147029115A KR20147029115A KR101578632B1 KR 101578632 B1 KR101578632 B1 KR 101578632B1 KR 1020147029115 A KR1020147029115 A KR 1020147029115A KR 20147029115 A KR20147029115 A KR 20147029115A KR 101578632 B1 KR101578632 B1 KR 101578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heet
glass
rolls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585A (ko
Inventor
도시카즈 시오야
미츠루 무라타
겐이치 다카타니
데츠시 다키구치
순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6Optical defects in or on transparent materials, e.g. distortion, surface flaws in conveyed flat sheet or ro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7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specially adapted for removing defect sheets, ribbon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22Periodic fl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롤을 갖는 반송 장치를 구비한 서냉 장치에 있어서, 시트 형상 유리가 상기 복수의 롤에 의해 반송될 때,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반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결함을 발생시키는 롤을 특정하는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이며, 상기 복수의 롤 중 일부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여,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반송 속도와 상이하게 하고, 상기 주속도의 변경 전후에 있어서의 상기 결함 간격의 변화 유무에 따라, 상기 결함 발생원이 되고 있는 롤을 특정하는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DEFECT OCCURRENCE SOURCE IDENTIFICATION METHOD AND CONVEYING DEVICE MAINTENANCE METHOD}
본 발명은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의 제조 장치는, 일반적으로 용융 유리로부터 시트 형상 유리를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성형된 시트 형상 유리가 반입되는 서냉 장치를 구비한다. 서냉 장치는 복수의 롤 등을 갖는 반송 장치를 구비한다. 시트 형상 유리는, 서냉 장치 내에서 복수의 롤 상을 소정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서냉된 후, 서냉 장치 외부로 반출된다. 이어서, 시트 형상 유리는 절단기에 의해 소정 치수로 절단되어, 제품인 유리판이 된다.
그런데, 시트 형상 유리 등의 시트 형상물이 복수의 롤 상을 반송될 때, 롤의 외주면에 이물이 부착되거나 또는 흠집이 발생되어 있으면, 롤이 1회전할 때마다 시트 형상물의 표면에 결함이 형성된다. 이 결함은, 시트 형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그 간격은 롤의 외주 길이와 대략 일치하므로, 롤의 외경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롤의 외경과 결함의 간격에 기초하여, 결함 발생원이 되고 있는 롤을 특정하는 방법이 유리판의 제조 이외의 분야에서는 제안되고 있다. 이 방법은, 외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롤을 사용함으로써, 결함 발생원이 되고 있는 롤을 조기에 특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은, 결함의 간격과 일치하는 외주 길이를 갖는 복수의 롤 중 일부의 롤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형상물에 발생하는 결함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그 변화에 기초하여 결함 발생원이 되는 롤을 특정한다.
결함 발생원으로 특정된 롤은, 시트 형상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어(통상은, 롤을 내려서 시트 형상물로부터 분리함), 신품의 롤과 교환된다. 그 후, 교환된 신품의 롤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신품의 롤과 교환하는 대신, 롤의 외주면에 달라붙은 이물(또는 흠집)을 제거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롤 등을 갖는 반송 장치를 보수함으로써, 결함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롤 외주면의 「이물 또는 흠집」을 총칭해서 간단히 「이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플로트법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는, 플로트 배스로부터 인출된 유리 리본의 보텀면에 부착된 드로스(dross)나 용융 주석이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되기 때문에, 카본 섬유 등을 사용하여, 이들 드로스 등을 롤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이것은,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된 드로스 등이 재차 유리 리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유리 리본에 부착된 드로스 등은, 하류의 레어 롤에 부착되면 당해 롤 표면에서 고화하여 유리 리본을 손상시켜 버린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된 드로스 등을 카본 섬유 등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4936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에서는, 롤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롤의 위치를 이동하는 작업이 번잡하다. 또한, 롤의 이동 범위에는 반송 장치의 크기에 따른 제약이 있어서, 결함의 위치 변화가 작고, 결함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작업이 번잡하다.
또한, 상술한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서는, 결함 발생원으로 특정된 롤을 시트 형상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시트 형상물이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시트 형상물 주변의 기류가 바뀌는 경우가 있어, 시트 형상물의 온도 분포가 변동하여 시트 형상물이 휘는 경우도 있어서, 유리판 제조에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종래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있어서는, 유리 리본을 한창 반송하고 있는 중에 롤의 주속도를 바꾸었을 경우, 당해 유리 리본은 파쇄되어 버리는 점을 우려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결함이 발생한 롤을 특정할 수는 없고, 카본 섬유는 열화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즉, 리프트 아웃 롤보다 후단에 위치하는 서냉 장치(레어) 내에서는 산소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하류로 가면 갈수록, 카본 섬유는 산소와 반응해서 열화되기 쉽다.
본 발명은 이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결함 발생원이 되는 롤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는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트 형상 유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롤을 갖는 반송 장치를 구비한 서냉 장치에서 시트 형상 유리가 상기 복수의 롤에 의해 반송될 때,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반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결함을 발생시키는 롤을 특정하는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이며, 상기 복수 롤 중 일부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여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반송 속도와 상이하게 하고, 상기 주속도의 변경 전후에 있어서의 상기 결함의 간격의 변화 유무에 따라, 상기 결함 발생원이 되고 있는 롤을 특정하는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롤에 의해 시트 형상 유리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으로써,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과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속도 벡터와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속도 벡터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물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상기 이물을 제거 또는 삭감하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일부 롤의 각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일부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일부 롤의 외경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일부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일부 롤을 가열해서 직경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여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반송 속도와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각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외경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을 가열해서 직경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회전 방향을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과 상기 시트 형상 유리를 접촉시키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위치를 상기 시트 형상 유리에 대하여 반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는, (a) 상기 이물이 부착된 롤 중, 서냉 장치의 상류에 배치된 드로스 박스 내의 롤에 카본제 부재를 누름으로써 상기 이물을 제거 또는 삭감하고, (b) 상기 이물이 부착된 롤 중, 상기 서냉 장치 내의 롤의 속도 벡터와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속도 벡터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물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상기 이물을 제거 또는 삭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는, (a) 상기 드로스 박스 내에서,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물을 상기 롤로부터 제거 또는 삭감하고, (b) 상기 서냉 장치 내에서, 유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이물을 상기 롤로부터 제거 또는 삭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함 발생원이 되고 있는 롤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는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형상 유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서냉 장치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조작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서냉 장치 내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롤 표면의 이물을 제거한 후, 즉시 제품의 생산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이 적용되는 반송 장치의 측면 방향에서 본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이 적용되는 반송 장치의 측면 방향에서 본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서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이 적용되는 반송 장치의 측면 방향에서 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주속도 변경 전 결함의 위치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주속도 변경 후 결함의 위치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는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의 제조 장치는, 용융 유리로부터 시트 형상 유리(2)를 성형하는 성형 장치(10)와, 성형 장치(10)에서 성형된 시트 형상 유리(2)가 반입되는 서냉 장치(20)를 구비한다.
성형 장치(10)는 일반적인 장치이면 좋고, 예를 들어 플로트 성형 장치나 퓨전 성형 장치이면 좋다. 플로트 성형 장치는, 용융 유리를 용융 금속(대표적으로는 용융 주석)의 욕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시트 형상 유리(2)를 성형하는 장치이다. 퓨전 성형 장치는, 홈통 형상의 성형체의 양측면을 따라서 유하시킨 용융 유리를, 성형체의 하부 테두리 부근에서 합류시켜, 시트 형상 유리(2)를 성형하는 장치이다.
서냉 장치(20)는 복수의 롤(31 내지 33) 등을 갖는 반송 장치(30)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에는, 3개의 롤(31 내지 33)만 도시되어 있지만, 서냉 장치(20)에 있어서의 롤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롤(31 내지 33)은 전동 모터 등의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시트 형상 유리(2)를 소정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반송한다.
각 롤(31 내지 33)의 회전 방향은,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순 방향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각 롤(31 내지 33)의 주속도는,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속도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정된다. 각 롤(31 내지 33)의 외주면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형상 유리(2)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고, 시트 형상 유리(2)는 수평하게 반송된다.
복수의 롤(31 내지 33)은 동일한 외경을 갖고 있어도 좋고, 상이한 외경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전자의 경우, 롤의 종류가 적으므로, 롤의 관리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롤의 종류가 많으므로, 후술하는 측정 공정(스텝 S21)에 있어서, 결함 발생원의 후보를 저감시킬 수 있고, 결함 발생원을 조기에 특정할 수 있다.
복수의 롤(31 내지 33)의 구동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31 내지 33)은 각각 복수의 기어 중 어느 것을 개재해서, 1개의 구동 장치(예를 들어, 전동 모터)에 접속되어 있고, 1개의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도 좋다. 이 경우, 구동 장치의 수,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의 수를 삭감할 수 있어, 반송 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롤(31 내지 33)은 각각 복수의 구동 장치 중 어느 것에 접속되어 있고, 복수의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구동 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롤(31 내지 33)의 각속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롤의 각속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시트 형상 유리(2)는, 서냉 장치(20) 내에서 복수의 롤(31 내지 33) 상을 소정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서냉된 후, 서냉 장치(20) 외부로 반출된다. 이어서, 시트 형상 유리(2)는 절단기에 의해 소정 치수로 절단되어, 제품인 유리판이 된다.
그런데, 복수의 롤(31 내지 33)에 의해 시트 형상 유리(2)를 반송할 때, 어느 쪽 롤(예를 들어, 롤(32))의 외주면에 이물(4)(또는 흠집)이 부착되어 있으면, 롤(32)이 1회전할 때마다 시트 형상 유리(2)의 표면에 결함(6)이 형성된다. 이 결함(6)은,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L1을 두고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그 간격 L1은 롤(32)의 외주 길이와 대략 일치하므로, 롤(32)의 외경에 따라 정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함 발생원이 되는 롤(32)을 특정하는 방법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함(6)의 간격 L1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스텝 S21)과, 일부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변경 공정(스텝 S22)과, 결함(6)의 간격 L2를 재측정하는 재측정 공정(스텝 S23)과, 결함(6) 간격의 변화를 확인하는 확인 공정(스텝 S24)을 차례로 갖는다.
측정 공정(스텝 S21)에서는, 결함(6)의 간격 L1을 측정한다. 이어서, 측정한 간격 L1이 복수의 롤(31 내지 33) 중 어느 쪽 외주 길이와 일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롤을 결함 발생원의 후보로 한다.
변경 공정(스텝 S22)에서는, 결함 발생원의 후보가 되고 있는 복수의 롤(31 내지 33) 중 일부의 롤(예를 들어, 롤(32))의 주속도를 변경하여,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속도와 상이하게 한다. 주속도를 변경한 롤(32)은, 시트 형상 유리(2)에 대하여 슬립하게 된다. 따라서, 주속도를 변경한 롤(32)의 외주면에 이물(4)(또는 흠집) 등이 부착되어 있으면, 결함(6)의 간격 L1이 간격 L2로 변화한다. 본 발명자들은, 시트 형상 유리(2)를 롤(32) 상에서 슬립시켜도, 시트 형상 유리(2)가 간단히 파쇄되어 버리는 것과 같은 일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롤(32)의 주속도를 늦추면, 롤(32)의 회전 주기가 길어지므로,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함(6)의 간격이 길어진다. 롤(32)의 주속도가 0에 가까워짐에 따라, 결함(6)의 간격이 무한대에 가까워진다.
한편, 롤(32)의 주속도를 빠르게 하면, 롤(32)의 회전 주기가 짧아지므로, 결함(6)의 간격이 짧아진다. 롤(32)의 주속도가 무한대에 근사해지면, 결함(6)의 간격이 0에 가까워진다.
또한, 롤(32)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설정한 다음, 롤(32)의 주속도를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도, 롤(32)의 회전 주기가 바뀌므로, 결함(6)의 간격이 변화한다.
결함(6) 간격의 변화 유무를 확인하기 쉽도록, 롤(32)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속도의 변경량은 롤(32)의 외경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롤의 각속도를 변경하는 방법, 롤의 외경을 변경하는 방법 등이 있다.
롤의 각속도를 변경하는 경우, 롤의 구동 방법에 따른 방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31 내지 33)이 각각 복수의 기어 중 어느 것을 개재해서 1개의 구동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특정한 롤에 접속되어 있는 기어를 떼어내고, 다른 구동 장치에 의해 특정한 롤을 회전 구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복수의 롤(31 내지 33)이 각각 복수의 구동 장치 중 어느 것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특정한 롤에 접속되는 구동 장치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해서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은 롤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롤의 외경을 변경하는 경우, 롤을 가열해서 직경 확장해도 좋고, 롤을 냉각해서 직경 축소해도 좋다. 롤을 가열해서 직경 확장하는 방법은, 성형 장치(10)로 성형된 시트 형상 유리(2)를 반송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그 경우, 시트 형상 유리(2)가 고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시트 형상 유리(2)가 열충격에 의해 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주속도를 변경하는 롤은, 결함 발생원이 되는 빈도가 높은 롤부터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그러한 롤로서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롤을 들 수 있다.
결함 발생원의 후보가 되는 롤의 수가 3개 이상인 경우, 주속도를 변경하는 롤의 수는 복수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결함 발생원의 특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주속도를 변경하는 롤의 수가 너무 많으면,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속도가 바뀌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복수의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경우, 복수의 롤의 주속도를 서로 상이한 주속도로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후술하는 간격의 변화량 ΔL(ΔL=|L2-L1|)을 조사함으로써 결함 발생원의 특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더욱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측정 공정(스텝 S23)에서는, 변경 공정(스텝 S22) 후에 결함(6)의 간격 L2를 재측정한다. 재측정 후에, 변경된 주속도(및 변경된 회전 방향)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고,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속도에 맞춰도 좋다.
확인 공정(스텝 S24)에서는, 측정 공정(스텝 S21)의 측정 결과와, 재측정 공정(스텝 S23)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롤의 주속도 변경 전후에 있어서의 결함(6) 간격의 변화 유무를 확인한다.
이어서, 결함(6) 간격의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직전의 변경 공정(스텝 S22)에 있어서, 주속도를 변경한 롤의 수가 1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주속도를 변경한 롤의 수가 1개일 경우, 주속도를 변경한 롤을 결함 발생원으로 특정하고, 금회 작업을 종료한다. 특정할 때, 간격의 변화량 ΔL이, ΔL=L1×|V1-V2|/V1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해도 좋다. 여기서, V1, V2는 롤의 주속도이며, V1은 변경 전의 주속도(즉,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속도), V2는 변경 후의 주속도이다. 이 확인에 의해, 결함 발생원의 특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속도를 변경한 롤의 수가 1개가 아닐 경우(즉, 주속도를 변경한 롤의 수가 복수일 경우), 주속도를 변경한 롤을 결함 발생원의 후보로 한다. 이어서, 변경 공정(스텝 S22) 이후의 공정을 반복하여 행한다.
이어서, 결함(6)의 간격의 변화가 없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직전의 변경 공정(스텝 S22)에 있어서, 주속도를 변경하지 않은 롤의 수가 1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주속도를 변경하지 않은 롤의 수가 1개일 경우, 주속도를 변경하지 않은 롤을 결함 발생원으로 특정하고, 금회의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주속도를 변경하지 않은 롤의 수가 1개가 아닐 경우(즉, 주속도를 변경하지 않은 롤의 수가 복수일 경우), 주속도를 변경하지 않은 롤을 결함 발생원의 후보로 한다. 이어서, 그 롤에 대해서 변경 공정(스텝 S22) 이후의 공정을 반복해서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롤(31 내지 33) 중 일부의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여,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속도와 상이하게 함으로써 결함 발생원이 되고 있는 롤을 특정하므로, 롤의 위치를 이동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의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결함(6)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송 장치(30)의 크기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간격의 변화량 ΔL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간격의 변화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장치(30)는 서냉 장치(20) 내에 설치되어 있지만, 서냉 장치(20)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어 절단기보다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롤(31 내지 33)의 외주면이 시트 형상 유리(2)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그의 접촉 위치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어느 쪽 롤의 외주면이 시트 형상 유리(2)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형상 유리(2)를 수평으로 반송하는 것으로 했지만, 탄성 변형 가능한 시트 형상물의 경우, 시트 형상물을 지그재그 형상으로(사행되도록) 반송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롤의 주속도 변경 전후에 있어서 각각 결함(6)의 간격 L1, L2를 측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이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경우, 결함(6)의 원래의 간격 L1은 미리 알고 있으므로 측정하지 않아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도 1에 도시하는 반송 장치(30)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보수 방법은, 복수의 롤(31 내지 33) 중 어느 쪽 외주면에 이물(4)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물(4)이 부착되어 있는 롤(이하, 「부적합 롤」이라고 함)을 특정하는 방법으로는, 제1 실시 형태의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외에, 종래의 특정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부적합 롤을 특정하지 않고, 모든 롤(31 내지 33)을 부적합 롤이라고 가정하고, 이하의 작업을 행해도 좋다.
반송 장치(30)의 보수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적합 롤(32)과 시트 형상 유리(2)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부적합 롤(32)의 속도 벡터 V1과 시트 형상 유리(2)의 속도 벡터 V2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이물(4)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이물(4)을 제거 또는 삭감하는 방법이다. 이물(4)을 제거 또는 삭감함으로써, 이물(4)이 없어지거나, 이물(4)이 둥글게 되므로, 결함(6)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속도 벡터 V1, V2의 차가 커질수록, 이물(4)에 가해지는 전단 응력이 커진다. 또한, 전단 응력에 의해 시트 형상 유리(2)가 변형되지 않도록, 시트 형상 유리(2)의 형상이나 재질 등에 기초하여, 속도 벡터 V1, V2의 차를 최적화해도 좋다.
속도 벡터 V1, V2를 상이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1) 부적합 롤(32)의 주속도를 변경하여,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속도와 상이하게 하는 방법, (2) 부적합 롤(32)의 회전 방향을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하는 방법, (3) 부적합 롤(32)의 위치를 시트 형상 유리(2)에 대하여 반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1) 및 (2)에 관한 것이다. 상기 (3)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부적합 롤(32)의 회전 방향을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순 방향으로 설정한 채, 부적합 롤(32)의 주속도를 변경하면, 부적합 롤(32)이 시트 형상 유리(2)에 대하여 슬립하므로, 마찰에 의해 전단 응력이 이물(4)에 가해져서 이물(4)이 제거 또는 삭감된다. 변경 후의 주속도는, 변경 전의 주속도(즉,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속도)에 대하여, 2.0% 이상의 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경험적으로 알았다. 또한, 부적합 롤(32)의 회전 방향을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설정하면, 이물(4)에 가해지는 전단 응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부적합 롤(32)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방법으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부적합 롤(32)의 각속도를 변경하는 방법, 부적합 롤(32)의 외경을 변경하는 방법 등이 있다.
부적합 롤(32)의 각속도를 변경하는 경우, 부적합 롤(32)의 구동 방법에 따른 방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31 내지 33)이 각각 복수의 기어 중 어느 것을 개재해서 1개의 구동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부적합 롤(32)에 접속되어 있는 기어를 떼어내고, 다른 구동 장치에 의해 부적합 롤(32)을 회전 구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복수의 롤(31 내지 33)이 각각 복수의 구동 장치 중 어느 것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부적합 롤(32)에 접속되는 구동 장치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해서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은 부적합 롤(32)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부적합 롤(32)의 외경을 변경하는 경우, 부적합 롤(32)을 가열해서 직경 확장해도 좋고, 부적합 롤(32)을 냉각해서 직경 축소해도 좋다. 부적합 롤(32)을 가열해서 직경 확장하는 방법은, 성형 장치(10)로 성형된 시트 형상 유리(2)를 반송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그 경우, 시트 형상 유리(2)가 고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시트 형상 유리(2)가 열충격으로 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적합 롤(32)의 주속도 또는/및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시트 형상 유리(2)의 반송 속도와 상이하게 함으로써, 이물(4)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이물(4)을 제거 또는 삭감하므로, 부적합 롤(32)의 위치를 이동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적합 롤(32)의 위치를 이동하지 않으므로, 시트 형상 유리(2)의 자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 유리(2)의 주변에 있어서의 기류를 안정화하여, 시트 형상 유리(2)의 온도 분포를 안정화할 수 있고, 시트 형상 유리(2)의 휨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 제거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시트 형상 유리(2)의 하면에는 다수의 흠집이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이물 제거의 조작을 행했을 때의 시트 형상 유리(2)는, 제품으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이물 제거의 조작은 설비의 정기 점검 등을 할 때 실시되고, 제품의 생산 시에는 실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는 반송 장치(30)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속도 벡터 V1, V2를 상이하게 하는 방법으로 상기 (3)을 사용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적합 롤(32)과 시트 형상 유리(2)를 접촉시키면서, 부적합 롤(32)의 위치를 시트 형상 유리(2)에 대하여 반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부적합 롤(32)을 그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부적합 롤(32)이 시트 형상 유리(2)에 대하여 슬립하므로, 마찰에 의해 전단 응력이 이물(4)에 가해져 이물(4)이 제거 또는 삭감된다. 따라서, 결함(6)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결함(6)의 발생이 해소될 때까지, 부적합 롤(32)의 위치를 부적합 롤(32)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적합 롤(32)과 시트 형상 유리(2)를 접촉시키면서, 이물(4)을 제거 또는 삭감하므로, 시트 형상 유리(2)의 자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 유리(2)의 주변에 있어서의 기류를 안정화하여, 시트 형상 유리(2)의 온도 분포를 안정화할 수 있고, 시트 형상 유리(2)의 휨을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플로트법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플로트 배스 등으로 구성된 성형 장치(10)와, 서냉 장치(20)를 구비한다. 서냉 장치(20)의 상류에는 드로스 박스가 배치되어 있다. 드로스 박스 내에는, 복수의 리프트 아웃 롤이 배치됨과 함께, 서냉 장치(20)의 분위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 아웃 롤에는 플로트 배스 내의 드로스나 용융 주석이 이물(주석을 주성분으로 한 이물)로서 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카본제 부재(카본 섬유나 카본제 블록 등)를 롤에 누르는 방법에 의해, 이 이물을 제거 또는 삭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냉 장치(20) 내의 롤에는 파유리(glass cullet)가 부착되기 쉽지만, 파유리는 주석보다 롤에 대한 부착력이 약하므로, 상술한 롤의 속도 벡터를 변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파유리를 제거 또는 삭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냉 장치(20) 내에서는 드로스 박스 내보다 온도가 낮아서 경화된 유리 리본이 깨지는 경우가 있어, 파유리가 이물(유리를 주성분으로 한 이물)의 원인이 되기 쉽다. 또한, 서냉 장치(20) 내는 드로스 박스 내보다 산소 농도가 높아, 가연성의 카본제 부재를 쓰기 어려우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로스 박스 내와 서냉 장치 내에서 이물 제거의 방법을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서, 여러 가지 수정이나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0년 6월 17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138641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2: 시트 형상 유리
4: 이물
6: 결함
10: 성형 장치
20: 서냉 장치
30: 반송 장치
31 내지 33: 롤

Claims (9)

  1. 복수의 롤에 의해 시트 형상 유리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이며,
    이물이 부착된 롤 중 서냉 장치의 상류에 배치된 드로스 박스 내의 롤에 카본제 부재를 누름으로써 주석을 포함하는 이물을 제거 또는 삭감하고,
    상기 서냉 장치 내의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과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유리를 포함하는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속도 벡터와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속도 벡터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물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상기 이물을 제거 또는 삭감하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주속도(周速度)를 변경하여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반송 속도와 상이하게 하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각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외경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주속도를 변경하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을 가열해서 직경 확장시키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회전 방향을 상기 시트 형상 유리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하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과 상기 시트 형상 유리를 접촉시키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의 위치를 상기 시트 형상 유리에 대하여 반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롤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9. 삭제
KR1020147029115A 2010-06-17 2011-06-13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KR101578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8641 2010-06-17
JPJP-P-2010-138641 2010-06-17
PCT/JP2011/063541 WO2011158810A1 (ja) 2010-06-17 2011-06-13 欠陥発生源の特定方法および搬送装置の保守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875A Division KR101486640B1 (ko) 2010-06-17 2011-06-13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585A KR20140140585A (ko) 2014-12-09
KR101578632B1 true KR101578632B1 (ko) 2015-12-17

Family

ID=453482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115A KR101578632B1 (ko) 2010-06-17 2011-06-13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KR1020127032875A KR101486640B1 (ko) 2010-06-17 2011-06-13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875A KR101486640B1 (ko) 2010-06-17 2011-06-13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584346A4 (ko)
JP (1) JP5761186B2 (ko)
KR (2) KR101578632B1 (ko)
CN (2) CN102947694B (ko)
TW (1) TW201200481A (ko)
WO (1) WO2011158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607B1 (ko) * 2011-10-28 2015-04-15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리어 롤의 클리닝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CN104812713A (zh) * 2012-11-16 2015-07-29 旭硝子株式会社 玻璃制造方法及玻璃制造装置
JP6358002B2 (ja) * 2014-09-16 2018-07-18 旭硝子株式会社 不具合搬送用ロールの特定方法、およびガラスリボンにおける疵発生防止方法
JP6642798B2 (ja) * 2016-03-14 2020-02-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
CN106841532B (zh) * 2017-03-22 2019-03-29 东旭科技集团有限公司 玻璃基板生产用牵引辊缺陷检测方法及牵引辊移动装置
KR102166471B1 (ko) * 2017-09-20 2020-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13837528B (zh) * 2021-08-04 2024-03-22 山西光兴光电科技有限公司 用于判定造成基板玻璃表面缺陷的工位位置的方法
WO2024089854A1 (ja) * 2022-10-27 2024-05-0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形状測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646A (ja) 2002-05-01 2003-11-11 Nikka Kk ガイドローラ洗浄方法および装置
JP2004125485A (ja)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周期欠陥発生箇所の特定方法および検査システム
JP2009046366A (ja) 2007-08-22 2009-03-0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71116C (fi) * 1984-10-03 1986-11-24 Kyro Oy Foerfarande foer drivning av en glashaerdningsanlaeggning och glashaerdningsanlaeggning foer utfoerande av foerfarandet
JPS62274084A (ja) * 1986-05-21 1987-11-28 Kawasaki Steel Corp ロ−ル付着物除去方法
JP3959747B2 (ja) * 1995-05-10 2007-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珪素鋼帯の製造方法
JP4123735B2 (ja) * 2001-06-11 2008-07-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炉内ロールの異物除去方法
JP4038161B2 (ja) * 2003-08-29 2008-01-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金属板材の表面欠陥の原因推定装置および原因推定プログラムならびに原因推定方法
FR2864796B1 (fr) * 2004-01-07 2006-02-10 Saint Gobain Dispositif de nettoyage de rouleaux
JP2009155164A (ja) * 2007-12-27 2009-07-16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リボンの搬送方法
JP5444667B2 (ja) * 2008-09-08 2014-03-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付着液体除去装置及びガラス板付着液体除去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646A (ja) 2002-05-01 2003-11-11 Nikka Kk ガイドローラ洗浄方法および装置
JP2004125485A (ja)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周期欠陥発生箇所の特定方法および検査システム
JP2009046366A (ja) 2007-08-22 2009-03-0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98262A (zh) 2014-10-15
EP2584346A4 (en) 2015-08-19
EP2584346A1 (en) 2013-04-24
CN104098262B (zh) 2017-05-31
KR20130111952A (ko) 2013-10-11
JPWO2011158810A1 (ja) 2013-08-19
WO2011158810A1 (ja) 2011-12-22
KR101486640B1 (ko) 2015-01-26
TW201200481A (en) 2012-01-01
KR20140140585A (ko) 2014-12-09
JP5761186B2 (ja) 2015-08-12
CN102947694A (zh) 2013-02-27
CN102947694B (zh)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632B1 (ko) 결함 발생원의 특정 방법 및 반송 장치의 보수 방법
CN106458693B (zh) 用于在柔性薄玻璃中切割多个半径的方法和设备
JP2008168327A (ja) レーザ切断装置
JP2005053774A (ja) 板ガラスを連続的に製造されたガラス板から切断する方法及び装置
US11318508B2 (en) Glass-plate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plate
JP2004010466A (ja) スクライブ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WO2017208677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40096032A (ko) 리어 롤의 클리닝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WO2014077371A1 (ja) ガラス製造方法及びガラス製造装置
JP5012923B2 (ja) 板ガラスの切線加工装置及び切線加工方法
JP5900492B2 (ja) ガラスリボンの搬送ロールの欠陥特定方法およびガラスリボン搬送装置
JP4819023B2 (ja) ガラス管の切断装置
WO2015174324A1 (ja) ガラス搬送用搬送ロ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ガラス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製造装置
TW201920020A (zh) 用於處理玻璃帶的系統及方法
JP6249098B2 (ja) ロール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11093897B (zh) 板状玻璃的制造方法
JP2019026509A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5417948B (zh) 玻璃带搬运装置、玻璃板制造装置、及玻璃板制造方法
CN112105586B (zh) 检查玻璃片的方法、制造玻璃片的方法和玻璃制造设备
WO2020003947A1 (ja) ガラス板の端部強度検査方法、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端部強度検査装置
JP2012046400A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9155164A (ja) ガラスリボンの搬送方法
JPWO2018147111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6030704A (ja) 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製造装置
JP2005035129A (ja) 樹脂チューブの切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