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037B1 -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037B1
KR101569037B1 KR1020090118996A KR20090118996A KR101569037B1 KR 101569037 B1 KR101569037 B1 KR 101569037B1 KR 1020090118996 A KR1020090118996 A KR 1020090118996A KR 20090118996 A KR20090118996 A KR 20090118996A KR 101569037 B1 KR101569037 B1 KR 101569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connection
forming apparatus
control point
dl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309A (ko
Inventor
가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037B1/ko
Priority to US12/874,263 priority patent/US8675226B2/en
Publication of KR2011006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309A/ko
Priority to US14/059,670 priority patent/US8817312B2/en
Priority to US14/165,905 priority patent/US97035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3Printer information exchange with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9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receiver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9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a television signal recorder, e.g. for recording facsimile images on a VC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ulti-media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 H04N1/3251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 H04N1/3251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details of interfa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04N1/32529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 H04N1/3253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details of interfa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04N2201/0017Notifying a communication resu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6Detecting or check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4Connect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nn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6Software interface details, e.g. interaction of oper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컨트롤 포인트가 개시된다. 본 컨트롤 포인트는, DLNA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컨트롤 포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대상 컨텐츠를 선택받으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를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책을 설정하고, 연결 정책에 따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DLNA 스택부, 및, 선택된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 및 연결 정책을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DLNA, WiFi, 절전

Description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CONTORL POIN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PRINT}
본 발명은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 포인트와 화상형성장치의 DLNA 연결 상태를 선택적으로 단락시킴으로써 컨트롤 포인트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보급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LNA 규격을 지원하여 다양한 DLNA 장치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음악, 사진, 동영상 등의 데이터가 상호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규격을 책정하기 위해 설립한 디지털 정보 기 술 제품의 표준화 기구로, DLN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개 업계 표준에 기반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업계 간 컨버전스(convergence)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DLNA는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 무선기기 등의 제조업체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UPnP를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DLNA 장치를 이용하여 DLNA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으며, DLNA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로 해당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DLNA 환경에서의 인쇄 방식은 인쇄 잡이 종료될 때까지 DLNA 장치와 DLNA 화상형성장치 간에는 무선 링크가 유지되어야 했다. 그러나, DLNA 장치가 휴대용 단말장치인 경우에 무선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DLNA 장치에서 인쇄하는 컨텐츠가 해당 DLNA 장치 내에 저장된 컨텐츠가 아닌 경우, 더더욱 화상형성장치와 무선 링크를 계속해서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인쇄 잡 수행과정 중 DLNA 장치와 DLNA 화상형성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 포인트와 화상형성장치의 무선통신 연결 상태를 선택적으로 단락시킴으로써 컨트롤 포인트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트롤 포인트는, 상기 DLNA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대상 컨텐츠를 선택받으며, 상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를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책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 정책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DLNA 스택부, 및, 상기 선택된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연결 정책을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정책은, 연결종료방식, 연결시작시간, 연결종료시간, 연결(ON)/단락(OFF)의 시간간격 및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수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수신정보는, 인쇄완료 통보를 수신받기 위한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주소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DLNA 스택부는, 상기 연결 정책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쇄완료통보를 받을때까지 연결을 단락(OFF)하거나,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쇄완료통보를 받기 위하여 연결을 주기적으로 연결(ON)/단락(OFF)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전 송된 연결 정책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DLNA 스택부는,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외부 컨트롤 포인트 장치에 저장된 경우,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단락하고,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저장된 경우,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단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DLNA 스택부는,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의 단락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SMS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DLNA 연결을 재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로부터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대한 연결 정책 및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DLNA 스택부,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를 인쇄하는 화상형성부, 및, 상기 수신된 연결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화상형성장치는, SMS 메시지를 송신하는 SMS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정책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SMS 수신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SMS 수신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SMS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상기 SMS 송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 정책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연결시작시간, 연결종료시간 및 연결(ON)/단락(OFF)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DLNA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대상 컨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DLNA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를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연결 정책을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정책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정책은, 연결종료방식, 연결시작시간, 연결종료시간, 연결(ON)/단락(OFF) 시간간격 및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수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수신정보는, 인쇄완료 통보를 수신받기 위한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주소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정책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쇄완료통보를 받을때까지 연결을 단락(OFF)하거나,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쇄완료통보를 받기 위하여 연결을 선택적으로 연결(ON)/단락(OFF)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연결 정책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외부 컨트롤 포인트에 저장된 경우,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단락하고,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저장된 경우,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단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의 단락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SMS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DLNA 연결을 재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로부터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대한 연결 정책을 포함하는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의 수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를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연결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정책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SMS 수신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SMS 수신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SMS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 정책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연결시작시간, 연결종료시간 및 연결(ON)/단락(OFF)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전송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DLNA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인쇄 제어 시스템(1000)은 컨트롤 포인트(100) 및 화상형성장치(200)를 포함한다.
컨트롤 포인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하며, 사용자 로부터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200)에 해당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포인트(100)는 인쇄대상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연결 정책(이하에서는 '연결 정책'이라 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포인트(100)는 DLNA 네트워크상에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DLNA 네트워크상에 DLNA 화상형성장치(200)와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하여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DLNA 장치이다. 예를 들어, DLNA 장치는 DLNA 가이드 라인에서 규정하고 있는 DMS(Digital Media Server), DMP(Digital Media Player) 및 DMR(Digital Media Renderer)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DMS란 UPnP AV 영역에서 MSD(MediaSever Device)의 기능, 즉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DMS 내의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을 검색하여 DLNA 네트워크 사용자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DMS는 VCR,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세탑 박스(STB), TV 튜너, 라디오 튜너,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DMR은 선택된 미디어를 실행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TV, 스테레오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DMP는 CP(UPnP Control Point)를 포함하는 DMR로, MRD(Media Renderer Device) 및 MRCP(Media Render Control Point)의 기능 즉, 미디어 컨텐츠의 선택, 제어 및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기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포인트(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DLNA 스택부(140), 인쇄 잡 생성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DLNA 네트워크상의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UPnP 규격에 따라 DLNA 네트워크상의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대상 컨텐츠(이하에서는 '컨텐츠'라 함)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HTML 문서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다이렉트 프린팅(Direct-Printing)이 가능한 파일 등과 같은 파일이다. 그리고, 다이렉트 프린팅이란 추가적인 파일 변환 없이, 해당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동작만으로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는 인쇄 방법으로, JPG, PDF, XPS 파일 등과 같은 파일이 다이렉트 프린팅이 가능한 파일의 예이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인가되면, DLNA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화상형성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200)를 선택받으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DLNA 규격 및 DLNA 프린터 규격에 따라 인쇄의 수행을 DLNA 네트워크상의 화상형성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후술할 연결 정책을 '인쇄의 수행 요청' 내에 포함시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CreateJob2 또는 CreateURLJob를 전송할 수 있다. CreateJob2 및 CreateURLJob는 'CreticalAttributes'를 포함할 수 있는 인쇄의 수행 요청 명령이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의 수행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인쇄 잡에 대한 잡 ID, 목적지 URL(인쇄 데이터를 송신할 주소) 등을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할 인쇄 잡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컨텐츠, 및 DLNA 스택부(140)에서 생성한 컨트롤 포인트(100)의 연결 정책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연결 정책에 대한 회신(ack)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연결 정책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연결 정책을 재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인쇄 완료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WiFi 등과 같은 무선통 신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 완료 통지를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컨트롤 포인트(100)가 핸드폰 등의 SMS를 수신할 수 있는 기기인 경우, SMS를 통하여 인쇄 완료 통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컨트롤 포인트(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컨트롤 포인트(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해, 인쇄를 수행하고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컨트롤 포인트(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뿐만 아니라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 출력과 관련된 각종 인쇄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검색된 화상형성장치(200)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200)로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DLNA 연결의 단락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연결 정책에 따라 검색된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의 단락을 수행을 수행하기 전에, 이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의 단락을 확인받을 수 있다.
저장부(130)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각종 컨텐츠를 기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후술할 인쇄 잡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컨트롤 포인트(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DLNA 스택부(140)는 DLNA 규격 및 DLNA 프린터 규격에 따라 DLNA 네트워크상의 컨트롤 포인트(20-1, 20-2, …)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LNA 스택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와 무선 링크를 형성하고(즉, 대응되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하고),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응하는 연결 정책에 따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DLNA 스택부(140)는 컨텐츠가 외부 컨트롤 포인트에 저장된 경우,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가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된 이후에 DLNA 연결을 단락하고, DLNA 연결의 단락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연결시작시간)이 경과한 경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재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DLNA 스택부(140)는 컨텐츠가 컨트롤 포인트(100) 내에 저장된 경우, 인쇄 데이터가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된 이후에 DLNA 연결을 단락하고, DLNA 연결의 단락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연결시작시간)이 경과한 경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을 재연결할 수 있다. 또한, DLNA 스택부(140)는 기설정된 시간(연결시작시간)이 경과한 이후 DLNA 연결을 재연결하고, 기설정된 시간간격(연결(ON)/단락(OFF)의 시간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DLNA 연결을 단락(OFF)/연결(ON)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포인트(100)가 휴대폰 등과 같은 SMS를 수신할 수 있는 컨트롤 포인트인 경우, DLNA 스택부(140)는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인쇄 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SMS를 수신하면,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을 재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DLNA 연결의 단락 시점 이후에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변화, 에러 발생 여부)를 SMS를 통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인쇄 잡의 종료를 알리는 SMS를 수신한 경우, DLNA 스택부(140)는 DLNA 연결이 필요한 경우(예를 들어, 추가적인 인쇄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전까지 DLNA 연결의 단락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DLNA 스택부(140)는 컨트롤 포인트(100) 내의 연결 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LNA 스택부(140)는 인쇄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연결 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정책은 연결 종료 방식(인쇄 데이터의 전송 후 단락할 것인지 아니면, 컨텐츠 전송 후 단락인지 여부), 컨트롤 포인트(100)의 수신정보(인쇄 완료를 통보받기 위한 컨트롤 포인트(100)의 주소 정보, 예를 들어, 컨트롤 포인트(100)의 URL 및 포트 정보, SMS 주소), 컨트롤 포인트(100)의 DLNA 연결의 시간 정보(예를 들어, 연결시작시간, 연결종료시간, 연결(ON)/단락(OFF)의 시간 간격)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DLNA 스택부(140)에서 생성되는 연결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DLNA 스택부(140)는 생성된 연결 정책을 컨텐츠에 대한 '인쇄의 수행 요청' 내에 포함시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DLNA 스택부(14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11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구현시에는 DLNA 스택부(140)의 기능과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의 기능을 결합하여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인쇄 잡 생성부(150)는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잡 생성부(150)는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인가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XHTML-Print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쇄 잡 생성부(150)는 기저장된 탬플릿을 이용하여 XHTML-Print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기생성된 XHTML-Print 데이터인 경우나,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에 저장된 XHTML-Print 데이터인 경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컨트롤 포인트(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컨텐츠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인쇄를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기 위한 UI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으면, 제어부(160)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도록 인쇄 잡 생성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 내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 또는 기생성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것인 경우에 이와 같은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서 반복적인 인쇄가 수행될 수 있는바, 제어부(160)는 인쇄 잡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하여, 추후에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인쇄 명령이 인가된 경우, 기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쇄의 수행을 요청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컨트롤 포인트(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것인 경우, 제어부(160)는 CreateJob2이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내의 XHTML-Print 데이터에 대한 것인 경우, 제어부(160)는 CreateURLJob이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DLNA 스택부(140)에서 생성된 연결 정책을 '인쇄의 수행 요청' 내에 포함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연결 정책을 'CreticalAttributes' 형식으로 CreateJob2 또는 CreateURLJob 내에 포함시켜 CreateJob2 또는 CreateURLJob이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의 수행 요청' 에 대응하여 인쇄 잡 ID, 및 목적지 URL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어부(160)는 생성된 인쇄 데이터가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인쇄 명령을 입력한 컨텐츠가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 내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것인 경우에,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가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정보를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에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의 컨텐츠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저장부(13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연결 정책에 따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을 단락 및 재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컨트롤 포인트(100) 내에 컨텐츠에 대한 것인 경우, 해당 컨텐츠가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한 이후에 단락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 …) 내에 컨텐츠에 대한 것인 경우, 인쇄 데이터가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된 이후에 단락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기설정된 시간(연결 정책에 설정되어 있는 연결시작시간)이 경과하거나,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SMS를 수신한 경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을 재연결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100)는 연결 정책에 따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락할 수 있는바, 컨트롤 포인트(100)에서 DLNA 연결을 유지하는데 소비되는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포인트(100, 20-1, 20-2,…)와 무선통신 방식으로 접속이 가능하며, 컨트롤 포인트(100)로부터 수신한 '인쇄의 수행 요청' 에 대응한 일련의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컨트롤 포인트(100)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예를 들어, 프린터, 팩스, 스캐너, 및 이들의 기능이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는 MFP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DLNA 스택부(220), 저장부(230), SMS 송신부(240), 화상형성부(250) 및 제어부(26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DLNA 네트워크 상의 컨트롤 포인트(100, 20-1, 20-2, …)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다양한 통신 방식,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컨트롤 포인트(1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컨트롤 포인트(100)로부터 '인쇄의 수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면, 이에 대한 정보를 DLNA 스택부(220)에 전달 할 수 있다. 구현시에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수신한 '인쇄의 수행 요청'에 대한 회신(ack)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DLNA 네트워크 상의 컨트롤 포인트(100, 20-1, 20-2, …)로부터 인쇄 데이터 및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HTTP GET 방식으로 인쇄 데이터(XHTML-Print 데이터)를 풀(pull)할 수 있다.
DLNA 스택부(220)는 컨텐츠에 대한 '인쇄의 수행 요청' 에 대응하여,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 및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LNA 스택부(220)는 컨텐츠에 대한 '인쇄의 수행 요청' 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해당 잡 ID 및 목적지 URL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통지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DLNA 스택부(220)는 컨트롤 포인트(100, 20-1, 20-2, …)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이용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재된 컨텐츠 주소에 대응하는 컨트롤 포인트(100, 20-1, 20-2, …)에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 및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한 인쇄 데이터 및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컨텐츠에 대한 '인쇄의 수행 요청' 내에 포함된 연결 정책을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SMS 송신부(240)는 연결 정책 내에 컨트롤 포인트(100)의 SMS 수신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 완료를 알리는 SMS 메시지를 컨트롤 포인트(100)의 SMS 수신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구현시에 SMS 송신부(240)는 인쇄 완료를 알리는 SMS 메시지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200) 내에서 생성되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SMS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구현시에는 화상형성장치(200)가 SMS 메시지를 직접 발송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SMS 발송 서버(30)를 이용하여 SMS를 전송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화상형성부(250)는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부(25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화상형성장치(2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컨텐츠에 대한 '인쇄의 수행 요청' 을 수신하면, 수신된 '인쇄의 수행 요청' 에 대응하여 잡 ID 및 목적지 URL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및 DLNA 스택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 및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가 인쇄되도록 화상형성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수 신된 '인쇄의 수행 요청' 내에 포함된 연결 정책에 따라 인쇄 완료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통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정책에 컨트롤 포인트(100)의 SMS 수신 주소가 기재된 경우, SMS 메시지가 컨트롤 포인트(100)로 전송되도록 SMS 송신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정책 내에 시간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60)는 기재되어 있는 연결시작시간에 인쇄 완료가 통지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60)는 선행적으로 컨트롤 포인트(100)의 DLNA 연결 상태를 확인한 후에, 인쇄 완료가 컨트롤 포인트(100)에 통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컨트롤 포인트(100)로부터 연결 정책을 수신하여, 컨트롤 포인트(100)와 화상형성장치(200) 간의 DLNA 연결이 일정시간 단절되더라도, 인쇄 완료 통지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연결 정책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DLNA 연결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정책의 예이며, 도 2b는 SMS 수신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책의 예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연결 정책은 DLNA 규격 상의 'criticalAttributes'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달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포인트(100)가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의 시간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Time_start'(연결시작시간)는 '인쇄의 수행 요청' 이 수행된 시간을 기준으로 인쇄 완료를 보내기 위하여, 컨트롤 포인트(100)의 DLNA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시작할 시점(연결시작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Time_out'(연결종료시간)은 'Time_start' 시점 이후에 얼마의 시간 동안 컨트롤 포인트(100)의 DLNA 연결 상태를 확인해야하는지를 알리는 정보이다. 그리고, 'Time_interval'(연결(ON)/단락(OFF)의 시간간격)은 'Time_out' 시간 동안 어느 정도의 주기로 DLNA 연결 상태를 확인해야하는지를 알리는 정보이다.
이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0)는 기재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완료를 컨트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연결 정책은 컨트롤 포인트(100)의 SMS 수신 주소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0)는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 완료를 알리는 SMS 를 수신한 컨트롤 포인트(100)의 SMS 수신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연결 정책에 컨트롤 포인트의 SMS 수신 주소, 컨트롤 포인트의 DLNA 연결의 시간 정보 중 하나만이 전달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두 정보 모두 화상형성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200)는 선택적으로 두가지 정보를 이용하거나, 두가지 정보 모두를 이용하여 인쇄 완료를 컨트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는 연결 정책으로 DLNA 연결의 시간 정보가 화상형성장치(200)에 전달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연결 정책으로 SMS 수신 주소가 화상형성장치(200)에 전달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컨트롤 포인트(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쇄의 수행을 요청하는 CreateJob2를 전송한다(S301). 이때, CreateJob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정책(crtical attribute)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CreateJob2를 요청받으면, 수신된 연결 정책을 분석하고(S303), 잡 ID 및 목적지 URL(Datasink)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통지한다(S305).
그러면, 컨트롤 포인트(100)는 수신한 목적지 URL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한다(S307). 그리고, 컨트롤 포인트(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전달한 인쇄 데이터 내에 referenced image URL(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를 파악하고(S313), 전달된 인쇄 데이터 내에 컨텐츠 주소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WiFi 연결을 단절할 수 있다(S313), 또는 referenced imgae URL(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가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에 대한 것인 경우에도, WiFi 연결을 단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 포인트(100)는 인쇄 잡의 수행 중에 계속적으로 WiFi 연결을 유지하지 않아도 되는바, WiFi를 유지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절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송된 인쇄 데이터 내에 referenced imgae URL(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0)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되도록 WiFi 연결은 지속된다(S315).
그리고, referenced imgae URL(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가 다른 컨트롤 포인 트(20-1)에 대한 것인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는 해당 컨트롤 포인트(20-1)에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317).
그리고, 화상형성장치(20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S319). 이때, 화상형성장치(200)의 DLNA 스택부(220)는 인쇄가 완료됨을 통지받으며(S321), 연결 정책에 기재된 시간 정보에 따라 컨트롤 포인트(100)의 WiFi 가 재연결되는 시점(S323)까지 기다리고(S325), 컨트롤 포인트(100)의 DLNA 연결 상태가 연결(ON)되었는지를 파악한 이후에(S327), 인쇄 완료(Job End Notification)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통지할 수 있다(S329).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컨트롤 포인트(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쇄의 수행을 요청하는 CreateURLJob을 전송한다(S401). 이때, CreateURLJob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정책(crtical attribute)를 포함한다. 여기서 CreateURLJob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쇄의 수행을 알리는 정보로 CreateJob2와 달리 인쇄 데이터가 저장된 URL 정보를 포함한다. 즉, 도 3과 다른 점은, 컨트롤 포인트(100)에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S411)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에서도 인쇄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S413). 이외의 다른 동작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컨트롤 포인트(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쇄 잡의 수행을 요청하는 CreateJob2를 전송한다(S501). 이때, CreateJob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정책(crtical attribute)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CreateJob2를 요청받으면, 수신된 연결 정책을 분석하 고(S503), 잡 ID 및 목적지 URL(Datasink)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통지한다(S505).
그러면, 컨트롤 포인트(100)는 수신한 목적지 URL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한다(S507). 그리고, 컨트롤 포인트(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전달한 인쇄 데이터 내에 referenced imgae URL(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를 파악하고(S509), 전달된 인쇄 데이터 내에 컨텐츠 주소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WiFi 연결을 단절할 수 있다(S511), 또는 referenced imgae URL(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가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에 대한 것인 경우에도, 컨트롤 포인트(100)의 WiFi 연결은 단절될 수 있다.
한편, 전송된 인쇄 데이터 내에 referenced imgae URL(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0)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되도록 WiFi 연결은 지속된다(S513).
그리고, referenced imgae URL(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가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에 대한 것인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는 해당 컨트롤 포인트(20-1)에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515).
그리고, 화상형성장치(20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S517). 이때, 화상형성장치(200)의 SMS 송신부(240)는 인쇄가 완료됨을 통지받으며(S519), 연결 정책에 기재된 SMS 수신 주소로 인쇄 완료를 통지할 수 있다(S521)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컨트롤 포인트(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쇄 잡 의 수행을 요청하는 CreateURLJob을 전송한다(S601). 이때, CreateURLJob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정책(crtical attribute)를 포함한다. 여기서 CreateURLJob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쇄의 수행을 요청하는 명령으로 CreateJob2와 다르게 인쇄 데이터를 전송할 URL 정보를 포함한다. 즉, 도 5와 다른 점은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에서도 인쇄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S609). 이외의 다른 동작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S701), DLNA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S705). 이때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를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을 수 있다(S707).
그리고, 사용자 인쇄 명령을 내린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707). 다만,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다른 컨트롤 포인트(20-1, 20-2)에 기생성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것인 경우, 이와 같은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정책을 생성하고(S709), 생성된 연결 정책을 컨텐츠에 대한 인쇄의 수행을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인쇄의 수행 요청' 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잡 ID 및 목적지 URL를 수신하면 수신된 목적지 URL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고(S713),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컨트롤 포인트(1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것인 경우, 화상형성장치(2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S715).
그리고,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응하는 연결 정책에 따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S717).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다른 컨트롤 포인트에 저장된 경우,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가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된 이후에 DLNA 연결을 단락하고, 컨텐츠가 컨트롤 포인트(100)에 저장된 경우, 컨텐츠가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된 이후에 DLNA 연결을 단락할 수 있다.
그리고, DLNA 연결이 단락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연결시작시간)이 경과하거나,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SMS를 수신하면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와 DLNA 연결을 재연결하여, 인쇄 완료를 통지받을 수 있다(S719)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은, 연결 정책에 따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와의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락할 수 있는바, DLNA 연결을 유지하는데 소비되는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과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컨트롤 포인트(1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컨트롤 포인트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컨트롤 포인트로부터 컨트롤 포인트에 대한 인쇄의 수행을 요청받는다(S801). 이때, '인쇄의 수행 요청' 은 컨트롤 포인트(100)의 연 결 정책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쇄의 수행 요청' 에 대응하여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 및 컨텐츠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인쇄의 수행 요청' 이 CreateJob2 형태로 수신된 경우, 인쇄의 수행을 요청한 컨트롤 포인트(10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받고(S805), 수신된 인쇄 데이터 내에 컨텐츠 주소를 통하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807). 그리고, '인쇄의 수행 요청' 이 CreateURLJob 형태로 수신된 경우, 수신된 CreateURLJob에 기재된 URL 주소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받고(S805), 수신된 인쇄 데이터 내에 컨텐츠 주소를 통하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807).
그리고,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S809). 그리고, 수신된 연결 정책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통지할 수 있다(S813). 구체적으로, 수신된 연결 정책에 SMS 수신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SMS 수신 주소로 인쇄 완료를 알리는 SMS를 전송하여 인쇄 완료를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연결 정책에 DLNA 연결의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결 정책의 시간 정보(연결시작시간)에 기초하여, 컨트롤 포인트의 DLNA 연결을 확인하고(S811), 무선통신 방식으로 인쇄 완료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은, 컨트롤 포인트(100)로부터 연결 정책을 수신하여, 컨트롤 포인트(100)와 화상형성장치(200) 간의 DLNA 연결이 일정시간 단절되더라도, 인쇄 완료 통지를 컨트롤 포인트(100)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연결 정책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0: 인쇄 제어 시스템 100: 컨트롤 포인트
200: 화상형성장치

Claims (22)

  1.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연결가능한 컨트롤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DLNA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대상 컨텐츠를 선택받으며, 상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를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선택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 정책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 정책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DLNA 스택부; 및
    상기 선택된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연결 정책을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책은, 연결종료방식, 연결시작시간, 연결종료시간, 연결(ON)/단락(OFF)의 시간간격 및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수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수신정보는, 인쇄완료 통보를 수신받기 위한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주소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스택부는,
    상기 연결 정책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쇄완료통보를 받을때까지 연결을 단락(OFF)하거나,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쇄완료통보를 받기 위하여 연결을 주기적으로 연결(ON)/단락(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연결 정책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스택부는,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외부 컨트롤 포인트에 저장된 경우,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단락하고,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저장된 경우,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단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스택부는,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의 단락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SMS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DLNA 연결을 재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8.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포인트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포인트로부터 상기 컨트롤 포인트와의 선택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 정책 및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DLNA 스택부;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를 인쇄하는 화상형성부; 및
    상기 수신된 연결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SMS 메시지를 송신하는 SMS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정책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SMS 수신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SMS 수신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SMS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상기 SMS 송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책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연결시작시간, 연결종료시간 및 연결(ON)/단락(OFF)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DLNA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연결가능한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대상 컨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DLNA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를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선택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연결 정책을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정책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책은,
    연결종료방식, 연결시작시간, 연결종료시간, 연결(ON)/단락(OFF) 시간간격 및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수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수신정보는,
    인쇄완료 통보를 수신받기 위한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정책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쇄완료통보를 받을때까지 연결을 단락(OFF)하거나,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쇄완료통보를 받기 위하여 연결을 선택적으로 연결(ON)/단락(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연결 정책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외부 컨트롤 포인트에 저장된 경우,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단락하고,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상기 컨트롤 포인트에 저장된 경우,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을 단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의 DLNA 연결의 단락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SMS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DLNA 연결을 재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
  19.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포인트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포인트로부터 상기 컨트롤 포인트와의 선택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 정책을 포함하는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의 수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를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연결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책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SMS 수신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SMS 수신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SMS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책은,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연결시작시간, 연결종료시간 및 연결(ON)/단락(OFF)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완료를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대상 컨텐츠의 인쇄 완료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포인트의 DLNA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
KR1020090118996A 2009-12-03 2009-12-03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KR101569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996A KR101569037B1 (ko) 2009-12-03 2009-12-03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US12/874,263 US8675226B2 (en) 2009-12-03 2010-09-02 Control poin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US14/059,670 US8817312B2 (en) 2009-12-03 2013-10-22 Control poin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US14/165,905 US9703511B2 (en) 2009-12-03 2014-01-28 Control poin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996A KR101569037B1 (ko) 2009-12-03 2009-12-03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309A KR20110062309A (ko) 2011-06-10
KR101569037B1 true KR101569037B1 (ko) 2015-11-16

Family

ID=4408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996A KR101569037B1 (ko) 2009-12-03 2009-12-03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675226B2 (ko)
KR (1) KR101569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563B1 (ko) * 2011-05-11 2018-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전자기기들 간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JP5962016B2 (ja) * 2012-01-10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5950691B2 (ja) 2012-02-09 2016-07-13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接続方法
JP6012203B2 (ja) 2012-03-05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5924983B2 (ja) * 2012-03-05 2016-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11167B2 (ja) 2012-09-03 2016-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中継プログラム、及び、通信中継装置
KR20140054779A (ko) 2012-10-29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방법, 화상형성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075010B2 (ja) * 2012-10-31 2017-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中継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JP6167502B2 (ja) 2012-10-31 2017-07-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中継プログラム、通信中継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6066694B2 (ja) * 2012-11-29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85733B2 (ja) * 2014-01-31 2018-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5215664A (ja) * 2014-05-08 2015-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
CN106488380B (zh) * 2015-08-25 2022-10-18 梅特勒-托利多(常州)测量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模块、数据传输系统或数据传输方法
JP6531599B2 (ja) * 2015-09-30 2019-06-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8180448A (ja) * 2017-04-20 2018-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集積回路、画像形成装置、集積回路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18499B2 (en) 2017-06-01 2019-09-17 Glo Ab Self-aligned nanowire-based light emitting diode subpixels for a direct view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WO2019055271A1 (en) 2017-09-15 2019-03-21 Glo Ab OPTICAL EXTENSION IMPROVEMENT OF LIGHT-EMITTING DIODE SUB-PIXE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4779A (ja) * 2005-07-28 2007-02-08 Seiko Epson Corp 印刷要求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要求方法
JP2008134795A (ja) * 2006-11-28 2008-06-12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中継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6434B2 (ja) * 1997-09-11 2003-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3022546B1 (ja) * 1999-02-10 2000-03-21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
US7324226B2 (en) * 2000-05-31 2008-01-2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050103A1 (en) * 2001-09-07 2003-03-13 Jean Tourrilhes Power management scheme for a communication interface of a wireless device
US6965883B2 (en) * 2002-02-20 2005-11-15 Nokia Corporation Charging mechanism for multicasting
US20040162076A1 (en) * 2003-02-14 2004-08-19 Atul Chowdry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secure universal access and control of remote networked electronic resources for the purposes of assigning and coordinationg complex electronic tasks
JP2004348647A (ja) * 2003-05-26 2004-12-09 Hitachi Ltd ヒューマ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7764981B2 (en) * 2004-07-30 2010-07-27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wireless connec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terminal
US20070030514A1 (en) * 2005-08-02 2007-02-08 Seiko Epson Corporation Control for execution of distributed printing
JP4971610B2 (ja) * 2005-09-01 2012-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バイスドライバを管理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と情報処理装置
JP5084456B2 (ja) * 2007-11-14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及びデバイス
KR101510878B1 (ko) * 2008-01-04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네트워크의 dlna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27603B1 (ko) * 2008-03-19 2013-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기와 이동식 저장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이를 실행하는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4779A (ja) * 2005-07-28 2007-02-08 Seiko Epson Corp 印刷要求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要求方法
JP2008134795A (ja) * 2006-11-28 2008-06-12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中継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3651A1 (en) 2014-02-13
US20110134465A1 (en) 2011-06-09
KR20110062309A (ko) 2011-06-10
US8675226B2 (en) 2014-03-18
US8817312B2 (en) 2014-08-26
US20140139862A1 (en) 2014-05-22
US9703511B2 (en)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037B1 (ko)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JP5838987B2 (ja) 通信装置
JP6070466B2 (ja) 端末装置とプリンタ
US9021145B2 (en) Function execut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function execu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function executing apparatus
JP6098423B2 (ja) 端末装置とプリンタ
KR20110054757A (ko) 인쇄 제어 단말장치,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시스템, 및 화상형성방법
JP2007251851A (ja) 無線usbシステム
US997196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print data, server and mobile terminal
JP2015032027A (ja) 端末装置とプリンタ
KR101429521B1 (ko)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이벤트 처리 방법
JP6282364B2 (ja) 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606831B1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KR10160830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팩스 수신 방법
JP6156127B2 (ja) ストレージ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76736B2 (ja) 画像形成装置の状態情報管理プログラム、管理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101764513B1 (ko)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20110099490A (ko)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
JP6226102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75425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팩스 수신 방법
JP494655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8081533A (ja) プリントシステム、端末装置、画像形成装置、印刷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016702A (ja) 端末装置とプリンタ
JP201522058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064279A (ja) 通信装置
JP2016028536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