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490A -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490A
KR20110099490A KR1020100018547A KR20100018547A KR20110099490A KR 20110099490 A KR20110099490 A KR 20110099490A KR 1020100018547 A KR1020100018547 A KR 1020100018547A KR 20100018547 A KR20100018547 A KR 20100018547A KR 20110099490 A KR20110099490 A KR 20110099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image forming
print data
forming apparatus
data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연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9490A/ko
Priority to US12/923,794 priority patent/US20110216353A1/en
Publication of KR2011009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6Discovery of devices having required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7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conversion to printer ready form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컨트롤 포인트가 개시된다. 본 컨트롤 포인트는, DLNA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인쇄 데이터 포맷 정보 및 인쇄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포맷 선택부,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드라이버부, 및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CONTROL POINT AND METHOD FOR CONTROLING PRINT}
본 발명은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출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동으로 인쇄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여 DLNA 방식으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보급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를 통해 인쇄 잡을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LNA 규격을 지원하여 다양한 컨트롤 포인트를 통해 인쇄 잡을 수신할 수도 있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음악, 사진, 동영상 등의 데이터가 상호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규격을 책정하기 위해 설립한 디지털 정보 기술 제품의 표준화 기구로, DLN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개 업계 표준에 기반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업계 간 컨버전스(convergence)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DLNA는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 무선기기 등의 제조업체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UPnP를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트롤 포인트를 이용하여 DLNA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으며, DLNA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로 해당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DLNA 표준 프로토콜에서는 XHTML 문서 타입을 기본으로 정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종래의 컨트롤 포인트는 XHTML 컴포저(composer)를 이용하여 XHTML 인쇄 데이터만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XHTML 문서 타입을 이용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종래의 PCL 문서 타입을 이용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것보다 느린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DLNA 인쇄 시스템에서 이미지 파일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PCL 문서 타입의 인쇄 속도가 XHTML 문서 타입의 인쇄보다 약 1.8배 빨랐다. 이미지 파일에 대한 XHTML 문서 타입을 이용한 경우의 출력 속도 및 PCL 문서 타입을 이용한 경우의 출력 속도의 다양한 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점에서, DLNA 인쇄 환경에서 인쇄 출력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인쇄 데이터 포맷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출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동으로 인쇄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여 DLNA 방식으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는, DLNA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인쇄 데이터 포맷 정보 및 인쇄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포맷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드라이버부,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룩업 테이블은 인쇄 시간을 컨텐츠 크기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룩업 테이블은 기결정된 인쇄 데이터 포맷을 컨텐츠 크기 및 출력 레이아웃별로 정리한 테이블일 수도 있다.
한편, 본 컨트롤 포인트는, 상기 인쇄 잡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면, 상기 인쇄 잡에 대한 인쇄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갱신하는 룩업 테이블 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맷 선택부는, 인쇄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의 크기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옵션을 설정받으며, 상기 포맷 선택부는, 상기 설정받은 인쇄 옵션 중 출력 레이아웃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명령이 수신되면,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은, DLNA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인쇄 데이터 포맷 정보 및 인쇄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룩업 테이블은 인쇄 시간을 컨텐츠 크기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룩업 테이블은 기결정된 인쇄 데이터 포맷을 컨텐츠 크기 및 출력 레이아웃별로 정리한 테이블일 수도 있다.
한편, 본 인쇄 제어 방법은, 상기 인쇄 잡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면, 상기 인쇄 잡에 대한 인쇄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는, 인쇄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의 크기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인쇄 제어 방법은,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옵션을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받은 인쇄 옵션 중 출력 레이아웃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인쇄 제어 방법은, 인쇄 명령이 수신되면,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룩업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와 화상형성장치 간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UI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포맷 선택 동작 및 인쇄 데이터 생성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컨트롤 포인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DLNA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며,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여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컨트롤 포인트(100)는 DLNA 네트워크상에 다른 DLNA 장치(10-1, 10-2,…, 10-n)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DLNA 네트워크상에 화상형성장치(10-1, 10-2,…, 10-n)와 연결하여 컨텐츠에 대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핸드폰 등의 DLNA 기기이다. 예를 들어, 컨트롤 포인트는 DLNA 가이드 라인에서 규정하고 있는 DMS(Digital Media Server), DMP(Digital Media Player) 및 DMR(Digital Media Renderer)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DMS란 UPnP AV 영역에서 MSD(MediaSever Device)의 기능, 즉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DMS 내의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하여 DLNA 네트워크 사용자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DMS는 VCR,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셋탑 박스(STB), TV 튜너, 라디오 튜너,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DMR은 선택된 미디어를 실행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TV, 스테레오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DMP는 CP(UPnP Control Point)를 포함하는 DMR로, MRD(Media Renderer Device) 및 MRCP(Media Render Control Point)의 기능 즉, 미디어 컨텐츠의 선택, 제어 및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기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포인트(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DLNA 스택부(140), 포맷 선택부(150), 드라이버부(160), 룩업 테이블 갱신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DLNA 네트워크상의 다른 DLNA 장치(10-1, 10-2,…, 10-n)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UPnP 규격에 따라 DLNA 네트워크상의 다른 DLNA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른 DLNA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HTML 문서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다이렉트 프린팅(Direct-Printing)이 가능한 파일 등과 같은 파일이다. 그리고, 다이렉트 프린팅이란 추가적인 파일 변환 없이, 해당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동작만으로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는 인쇄 방법으로, JPG, PDF, XPS 파일 등과 같은 파일이 다이렉트 프린팅이 가능한 파일의 예이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10-1, 10-2,…, 10-n)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화상형성장치(10-1, 10-2,…, 10-n)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1, 10-2,…, 10-n)와 인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양한 통신 방식,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1, 10-2,…, 10-n)와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할 드라이버부(16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1, 10-2,…, 10-n) 중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잡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지받은 이벤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으며, 통지받은 이벤트가 잡 완료 이벤트인 경우,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룩업 테이블 갱신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화상형성장치(10)에서 인쇄 잡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이벤트 및 화상형성장치(10)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쇄 작업이 완료되는 발생하는 인쇄 완료 이벤트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컨트롤 포인트(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컨트롤 포인트(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해,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인쇄를 수행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인쇄 옵션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인쇄 잡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이벤트를 통지받으면, 통지받은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서 표시되는 UI 창의 예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저장부(130)는 컨텐츠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후술할 드라이버부(16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한편, 저장부(130)는 컨트롤 포인트(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DLNA 스택부(140)는 DLNA 규격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1, 10-2,…, 10-n)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인쇄 잡을 수행할 컨텐츠 및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으면, DLNA 스택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에 인쇄 잡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잡의 수행 요청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잡 ID 및 인쇄 잡을 전송할 URL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고, 수신된 URL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로 후술할 드라이버부(16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포맷 선택부(150)는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포맷 선택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인쇄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이 인쇄 시간을 컨텐츠 크기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경우, 포맷 선택부(150)는 인쇄 잡을 수행할 컨텐츠의 크기에 대응하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포맷'별 인쇄 시간을 비교하여, 최소 인쇄 시간을 갖는 인쇄 데이터 포맷을 현재 인쇄 잡에 대한 인쇄 데이터 포맷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이 기결정된 인쇄 데이터 포맷을 컨텐츠 크기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경우, 포맷 선택부(150)는 인쇄 잡을 수행할 컨텐츠의 크기에 대응하는 기결정된 인쇄 데이터 포맷을 현재 인쇄 잡에 대한 인쇄 데이터 포맷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포맷 선택부(150)는 설정받은 인쇄 옵션 중 출력 레이아웃 및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인쇄 옵션을 설정한 경우, 포맷 선택부(150)는 설정된 인쇄 옵션 중 출력 레이아웃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출력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이 인쇄 시간을 컨텐츠 크기 및 출력 레이아웃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경우, 포맷 선택부(150)는 인쇄 잡을 수행할 컨텐츠 및 출력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포맷별 인쇄 시간을 비교하여, 최소 인쇄 시간을 갖는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이 기결정된 인쇄 데이터 포맷을 컨텐츠 크기 및 출력 레이아웃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경우, 포맷 선택부(150)는 인쇄 잡을 수행할 컨텐츠 및 출력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기결정된 인쇄 데이터 포맷을 현재 인쇄 잡에 대한 인쇄 데이터 포맷으로 선택할 수 있다.
드라이버부(160)는 화상형성장치(10)에서 지원할 수 있는 인쇄 데이터 포맷에 대응하는 복수의 컴포저(composer)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부(160)는 XHTML 컴포저(또는 XHTML-printer interpreter) 및 PCL 컴포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부(160)는 포맷 선택부(150)에서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맷 선택부(150)에서 PCL 포맷이 선택된 경우, 드라이버부(160)는 PCL 컴포저를 이용하여 PCL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포맷 선택부(150)에서 XHTML 포맷이 선택된 경우, 드라이버부(160)는 XHTML 컴포저를 이용하여 XHTML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 갱신부(170)는 인쇄 잡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면, 인쇄 잡을 수행하는데 소모된 인쇄 시간을 이용하여 룩업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룩업 테이블 갱신부(170)는 인쇄 잡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면, 수행된 인쇄 잡을 수행하는데 소요된 인쇄 시간과 룩업 테이블 상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갱신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갱신이 필요한 경우 룩업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인쇄 잡에 대한 인쇄 시간이 40초 소요되었으나, 동일한 조건의 룩업 테이블 상의 기록이 30초인 경우, 룩업 테이블에 기재된 시간 정보를 40초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PCL 포맷을 이용하여 인쇄를 수행하였으나, 현재 인쇄 잡에 대한 인쇄 시간이 룩업 테이블 상의 기결정된 포맷(예를 들어, XHTML)의 인쇄 시간보다 빠른 경우, 룩업 테이블 상의 기결정된 포맷을 XHTML에서 PCL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컨트롤 포인트(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DLNA 네트워크 내의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가 검색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 동작은 인쇄 잡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선행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10)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화상형성장치의 목록을 저장부(130)에 기저장하여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검색된 화상형성장치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및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으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소 인쇄 시간을 갖는 인쇄 데이터 포맷이 선택되도록 포맷 선택부(150)를 제어하고,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에 따른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드라이버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생성된 인쇄 데이터가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되도록 DLNA 스택부(14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인쇄 잡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이벤트를 통지받으면, 통지받은 이벤트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이벤트가 인쇄 완료 이벤트인 경우, 제어부(180)는 룩업 테이블 갱신부(170)를 제어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이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100)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인쇄 데이터 포맷 또는 인쇄 시간 정보를 갖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바, 인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룩업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룩업 테이블(200)은 컨텐츠 크기별 인쇄 시간을 인쇄 데이터 포맷별로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포맷 선택부(150)는 인쇄 명령이 수신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시간을 인쇄 데이터 포맷별로 비교하여, 최소 인쇄 시간을 갖는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룩업 테이블(300)은 컨텐츠 크기 및 출력 레이아웃별 기결정된 포맷 및 해당 포맷의 인쇄 시간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포맷 선택부(150)는 인쇄 명령이 수신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시간 및 사용자 선택한 인쇄 옵션 중 출력 레이아웃에 대응한 기결정된 인쇄 데이터 포맷을 현재 인쇄 잡에 대한 인쇄 데이터 포맷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룩업 테이블만을 설명하였지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룩업 테이블은 화상형성장치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룩업 테이블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갱신될 수 있으며, 최초에 제조사에 의해 작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데 이용하는 인자로, 컨텐츠의 크기 및 출력 레이아웃만을 설명하였지만, 컨텐츠의 크기, 출력 레이아웃 이외의 인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쇄 속도를 다르게 하는 다른 인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와 화상형성장치 간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인쇄 요청이 수신되면(405), 룩업 테이블을 참고하여(410)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415).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의 포맷을 선택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인쇄 데이터의 포맷이 선택되면,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에 대응하는 인쇄 잡(인쇄 데이터)을 생성할 수 있다(420). 그리고, 컨트롤 포인트(100)의 DLNA 스택부(140)는 생성된 인쇄 잡(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하고, 인쇄 잡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는 수신된 인쇄 잡에 대한 인쇄를 수해할 수 있다(430).
그리고, 인쇄 잡이 완료되어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잡 완료 이벤트가 생성되어(435), DLNA 스택부(140)가 잡 완료 이벤트를 수신하면, DLNA 스택부(140)는 잡 완료 이벤트 정보를 룩업 테이블 갱신부(170)에 전달하고, 룩업 테이블 갱신부(170)는 현재 인쇄 잡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수하여(440, 445), 룩업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UI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00)은 사용자가 인쇄 명령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표시될 수 있는 UI 창의 예이다.
사용자가 UI 창을 통하여 인쇄 명령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0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00)은 컨트롤 포인트(100)가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00)을 통하여 인쇄를 수행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쇄를 수행할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0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인쇄를 수행한 컨텐츠를 확인하고, 현재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인쇄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800)은 연결 가능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표시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적용한 인쇄 옵션을 설정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0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00)을 이용하여 현재 컨텐츠에 대한 각종 인쇄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910 영역을 통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910 영역에 표시되는 인쇄 데이터 포맷은 도 1의 포맷 선택부(15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000)은 인쇄 잡의 진행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현재 인쇄 잡에 대한 인쇄가 완료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10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S1210),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S1220). 이와 같은 검색 동작은 선행적으로 수행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가 검색되면,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를 표시하고(S1230), 사용자로부터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을 수 있다(S1240).
사용자로부터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될 인쇄 데이터의 포맷을 선택하고(S1250),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에 대응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260).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도 13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3은 도 12의 포맷 선택 동작 및 인쇄 데이터 생성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인쇄 옵션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S1241), 입수된 인쇄 옵션 중 룩업 테이블 상에 선택 인자에 해당하는 인쇄 옵션(예를 들어, 출력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S1243).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이 XHTML인 경우, XHTML 컴포저(126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쇄 명령을 입력한 컨텐츠에 대한 XHTML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1262, 1263, 1264). 이때 생성되는 XHTML 인쇄 데이터는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인쇄 데이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종래의 DLNA 프린팅 과정에서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이 PCL인 경우, PCL 컴포저(1265)를 이용하여 PCL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1266, 1267, 1268). PCL 컴포저를 이용하여 PCL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역시 종래의 로컬 프린팅 과정과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1270). 인쇄 데이터의 전송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잡을 수행하고, 해당 인쇄 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면(1280), 인쇄 잡에 대한 인쇄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S129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인쇄 데이터 포맷 정보 또는 인쇄 시간 정보가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바, 인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과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컨트롤 포인트(1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컨트롤 포인트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컨트롤 포인트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DLNA 스택부 150: 포맷 선택부
160: 드라이버부 170: 룩업 테이블 갱신부
180: 제어부

Claims (14)

  1.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와 연결가능한 컨트롤 포인트에 있어서,
    DLNA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인쇄 데이터 포맷 정보 및 인쇄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포맷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드라이버부;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포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인쇄 시간을 컨텐츠 크기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기결정된 인쇄 데이터 포맷을 컨텐츠 크기 및 출력 레이아웃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잡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면, 상기 인쇄 잡에 대한 인쇄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갱신하는 룩업 테이블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선택부는, 인쇄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의 크기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옵션을 설정받으며,
    상기 포맷 선택부는, 상기 설정받은 인쇄 옵션 중 출력 레이아웃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명령이 수신되면,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포인트.
  8.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와 연결가능한 컨트롤 포인트의 인쇄 제어 방법에 있어서,
    DLNA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인쇄 데이터 포맷 정보 및 인쇄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인쇄 시간을 컨텐츠 크기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기결정된 인쇄 데이터 포맷을 컨텐츠 크기 및 출력 레이아웃별로 정리한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잡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면, 상기 인쇄 잡에 대한 인쇄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는,
    인쇄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의 크기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옵션을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받은 인쇄 옵션 중 출력 레이아웃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인쇄 명령이 수신되면,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중 인쇄 잡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KR1020100018547A 2010-03-02 2010-03-02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 KR20110099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547A KR20110099490A (ko) 2010-03-02 2010-03-02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
US12/923,794 US20110216353A1 (en) 2010-03-02 2010-10-07 Control poi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547A KR20110099490A (ko) 2010-03-02 2010-03-02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490A true KR20110099490A (ko) 2011-09-08

Family

ID=4453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547A KR20110099490A (ko) 2010-03-02 2010-03-02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16353A1 (ko)
KR (1) KR201100994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41755A1 (en) * 2011-12-02 2013-06-06 Apple Inc.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rinters
JP5994608B2 (ja) * 2012-11-29 2016-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1696B2 (en) * 2000-07-31 2007-01-0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 time inform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mory medium storing program therein
US7664081B2 (en) * 2004-12-22 2010-02-16 Nokia Corporation Wireless gateway for enabling wireless devices to discover and interact with various short-range services/devices
JP4710468B2 (ja) * 2005-07-28 2011-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要求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要求方法
JP4566139B2 (ja) * 2006-02-10 2010-10-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16353A1 (en)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037B1 (ko)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US9377972B2 (en) Host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of solving error of image forming appartus
JP6070466B2 (ja) 端末装置とプリンタ
JP2014026562A (ja) 印刷設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9101956A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端末。
US10223053B2 (en) Electronic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10135522A (ko)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장치드라이버 관리방법
KR101429521B1 (ko)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이벤트 처리 방법
KR101569075B1 (ko) Dlna 장치, 화상형성방법 및 화상형성시스템
KR20110052934A (ko) 화상독취장치 및 스캔 방법
KR20140025925A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단말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2262518A (zh) 用于形成图像的方法和装置
KR20110099490A (ko) 컨트롤 포인트 및 인쇄 제어 방법
JP6555140B2 (ja) 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JP5408170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60830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팩스 수신 방법
US201902891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10092057A (ko)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팩스 송신 방법
KR101612904B1 (ko) Dlna 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175425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팩스 수신 방법
US20110134463A1 (en) Control poin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control method
WO2014065388A1 (en) Device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evice control system
JP2009059103A (ja) ネットワーク型プラグアンドプレイに対応する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US20140085651A1 (en) Image forming system, scanning apparatus having copy job func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copy job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