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599B1 -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599B1
KR101564599B1 KR1020080130473A KR20080130473A KR101564599B1 KR 101564599 B1 KR101564599 B1 KR 101564599B1 KR 1020080130473 A KR1020080130473 A KR 1020080130473A KR 20080130473 A KR20080130473 A KR 20080130473A KR 101564599 B1 KR101564599 B1 KR 10156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veloper
partition
developing unit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671A (ko
Inventor
한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599B1/ko
Priority to EP09177710A priority patent/EP2199871A1/en
Priority to US12/632,205 priority patent/US8600261B2/en
Priority to CN200920274756XU priority patent/CN201681254U/zh
Publication of KR2010007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를 현상하는 현상체와, 현상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와, 현상제, 현상체 및 공급부재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제 1 프레임과, 현상체와 공급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현상제가 공급부재에 의해 현상체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현상제 공급구가 마련된 격벽프레임과, 현상제 공급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격벽프레임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한 현상유닛과 이러한 현상유닛을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격벽프레임은 제 1 프레임과 별도로 구성되어 제 1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격벽프레임에 제거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IMAGE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 및 운반 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제의 누설을 막기 위해 제거부재를 갖춘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을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내부에 복수의 인쇄매체가 저장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과, 인쇄매체 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된 인쇄매체에 현상제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인쇄매체 상의 현상제를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지유닛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대전된 현상유닛의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현상하여 가시적인 화상으 로 현상한다. 계속해서 감광체 상에 현상된 가시화상은 픽업유닛에 의해 인쇄매체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유닛을 지나면서 인쇄매체에 정착되어 인쇄매체에 화상형성이 완료된다.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는 배지유닛을 통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현상유닛은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체에 현상제를 통해 가시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현상체를 포함하며, 하우징에는 내부에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 저장부와 감광체 및 현상체가 설치되는 현상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제 1 프레임과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저장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유닛에 있어서 제 1 프레임에는 현상유닛이 운반되는 과정에서 현상제 저장부의 현상제가 감광체와 제 1 프레임 사이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현상제 저장부와 감광체 사이에는 격벽이 제 1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다. 격벽에는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현상제 공급구가 마련되며, 현상제 공급구를 덮도록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거부재가 부착된다. 따라서, 현상유닛을 운반 또는 보관할 경우에는 현상제 공급구가 제거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다가, 현상유닛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거부재를 격벽으로부터 분리하여 현상제 공급구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현상제가 감광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제 1 프레임에 현상제 저장부와 현상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다시 제 1 프레임에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면, 현상부에 의해 격벽 일부가 가려져 격벽으로의 접근이 어려워지므로, 격벽에 제거부재를 설치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격벽에 제거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은 현상제를 현상하는 현상체와, 상기 현상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와, 현상제, 현상체 및 공급부재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체와 상기 공급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현상제가 상기 공급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체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현상제 공급구가 마련된 격벽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공급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격벽프레임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하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현상제 저장부를 형성하는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격벽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융착된다.
또한, 상기 격벽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융착되기 위한 융착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격벽프레임의 상하 양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1 지지홈과 제 2 지지홈이 서로 대향되게 마련된다.
또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홈과 상기 제 2 지지홈 내에 각각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격벽프레임의 양 측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3 지지홈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격벽프레임의 양측단과 상기 제 3 지지홈은 서로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기 제 2 지지홈 인접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폐 현상제 저장을 위한 폐 현상제 저장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래킷에는 상기 제거부재의 분리를 위한 관통공이 더 마련된다.
또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의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감광체 및 상기 현상체가 배치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프레임은 상기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를 구획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현상제를 현상하는 현상체와, 상기 현상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와, 현상제, 현상체 및 공급부재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체와 상기 공급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현상제가 상기 공급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체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현상제 공급구가 마련된 격벽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공급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격벽프레임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한 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는 격벽프레임이 제 1 프레임과 별도로 구성되어 제 1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격벽프레임에 제거부재를 부착한 후 제거부재가 부착된 격벽프레임을 제 1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어 제거부재의 부착이 간편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과 현상유닛을 갖춘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내부에 인쇄매체(P)가 저장되어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되는 인쇄매체(P)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20),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을 통해 공급된 인쇄매체(P)에 현상제를 통해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30), 현상유닛(30)의 감광체(3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40)과, 인쇄매체(P)로 전사된 현상제를 인쇄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50)과,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P)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60)을 포함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P)를 현상유닛(30)으로 공급하며, 본체(10)에 서랍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쇄매체 카세트(21)와, 인쇄매체 카세트(21) 내에 설치되어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22)와, 녹업 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P)를 하나씩 픽업하여 현상유닛(30)에 전달하는 픽업롤러(24)를 포함한다. 녹업 플레이트(22)는 인쇄매체 카세트(21) 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23)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녹업 플레이트(22)가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10) 내에는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P)를 현상유닛(40)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11)가 설치되어 있다.
노광유닛(40)은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을 감광체(31)에 주사하여 감광체(3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정착유닛(50)은 인쇄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P)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유닛(50)은 히터(51)가 내장된 가열롤러(52)와, 인쇄매체(P)를 가열롤러(52)로 가압하는 가압롤러(53)를 포함하여, 인쇄매체(P)가 가열롤러(52)와 가압롤러(53) 사이를 통과하며 열과 압력을 전달받아 현상제에 의해 형성된 인쇄매체(P) 상의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배지유닛(60)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 1 배지롤러(61)와 제 2 배지롤러(62)를 포함하여 정착유닛(50)을 통과한 인쇄매체(P)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한다.
현상유닛(30)은 인쇄매체 공급유닛(20)으로부터 전달된 인쇄매체(P)에 현상제를 통해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수용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 Image Carrier)로 구성되어 노광유닛(4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와, 감광체(31)를 대전시키는 대전장치로서의 대전롤러(32)와, 감광체(31)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체(31)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를 통해 가시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체(33)와, 현상체(33) 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급부재(33a)와, 대전롤러(32)를 클리닝 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32a)와, 현상유닛(3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의 현상체(33), 감광체(31), 공급부재(33a), 클리닝 롤러(32a) 등이 설치되는 하우징(34)을 포함한다. 본체(10) 내에는 감광체(31)의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전사되도록 인쇄매체(P)를 감광체(31)측으로 가압하는 전사장치로서의 전사롤러(12, 도 1 참조)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부재(33a)는 롤러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롤러타입 외에도 블레이드 바(Blade Bar)타입이나 브러쉬(Brush)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롤러 타입이 아닌 회전 샤프트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공급부재(33a)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상유닛(30)의 하우징(34)에는 감광체(31), 현상체(33) 및 공급부재(33a)가 설치되는 현상부(34a)와,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 저장부(34b)와, 감광체(31)에서 회수된 폐 현상제가 저장되는 폐 현상제 저장부(34c)가 마련되며, 현상제 저장부(34b) 내에 설치되어 현상제를 교반시키고 현상제를 현상체(33) 쪽으로 공급하도록 현상제 공급장치의 역할을 하는 교반기(35)와, 현상체(33) 상의 현상제를 일정 두께로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33b)와, 감광체(31)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여 폐 현상제 저장부(34c)에 저장되도록 하는 클리닝 장치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31a)와, 일단은 현상부(34a)에 설치되고 타단은 현상체(33)에 지지되어 현상체(33)와 하우징(34) 사이를 통해 현상제 저장부(34b) 내의 현상제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3c)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34)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현상부(34a)와 현상제 저장부(34b)가 나란히 일체로 마련된 제 1 프레임(340, 341)과, 폐 현상제 저장부(34c, 도 2 참조)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342)을 포함하며, 제 1 프레임(340, 341) 및 제 2 프레임(342)의 양 측단에 설치되어 제 1 프레임(340, 341)과 제 2 프레임(342)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브래킷(3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프레임(340, 341)은 상하로 서로 결합되는 하부프레임(340)과 상부프레임(341)을 포함하여, 하부프레임(340)에 현상부(34a)와 현상제 저장부(34b)가 나란히 일체로 마련되고, 상부프레임(341)이 하부프레임(34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341)에 의해 현상제 저장부(34b)의 상측이 폐쇄된다.
또한, 현상유닛(30)에는 운반 중 현상제 저장부(34b)에 담긴 현상제가 현상부(34a)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프레임(36)이 배치된다. 격벽프레임(36)은 현상부(34a)와 현상제 저장부(34b) 사이에 배치되어 현상부(34a)와 현상제 저장부(34b)를 구획하며, 현상제 저장부(34b)에는 공급부재(33a)나 교반기(3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프레임(36)은 현상부(34a)에 설치되는 공급부재(33a)와 현상제 저장부(34b)에 설치되는 교반기(35) 사이를 구획한다.
격벽프레임(36)에는 현상제 저장부(34b)의 현상제가 현상부(34a)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현상제 공급구(36a)가 마련되며, 현상제 공급구(36a)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제 저장부(34b)의 현상제가 현상부(34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거부재(37)가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거부재(37)는 현상제 공급구(36a) 전체를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격벽프레임(36)은 제 1 프레임(340, 341)과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제 1 프레임(340, 341)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격벽프레임(36)을 제 1 프레임(340, 341)과 별개의 구성으로 제조하면, 격벽프레임(36)을 제 1 프레임(340, 341)에 설치하기 이전에 격벽프레임(36)에 제거부재(37)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거부재(37)의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격벽프레임(36)의 설치를 위해 하부프레임(340)에는 격벽프레임(36)의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 1 지지홈(340a)이 마련되며, 상부프레임(341)에는 격벽프레임(36)의 상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 2 지지홈(341a)이 제 1 지지홈(340a)과 대향되게 마련된다. 또한, 격벽프레임(36)의 상단부에는 하부프레임(340)의 제 2 지지홈(341a) 인접부에 지지되어 격벽프레임(36)의 상단이 하부프레임(34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36c)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 1 프레임(340, 341)의 양측에는 격벽프레임(36)의 양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 3 지지홈(340b)이 마련된다. 이때, 격벽프레임(36)의 양측단과 제 3 지지홈(340b)은 서로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격벽프레임(36)의 양측단이 제 3 지지홈(340b)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홈(340a)과 제 2 지지홈(341a)에 격벽프레임(36)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삽입 지지되고 제 3 지지홈(341a)에 격벽프레임(36)의 양측단이 각각 삽입 지지되어, 격벽프레임(36)이 하부프레임(340)과 상부프레임(341) 사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프레임(36)의 상단 및 하단에는 하부프레임(340)과 상부 프레임(341)에 융착되는 융착돌기(36b)가 각각 형성되어, 융착돌기(36b)에 의해 격벽프레임(36)의 하단이 제 1 프레임(340, 341)의 제 1 지지홈(340a) 내에 융착되고 격벽프레임(36)의 상단이 상부프레임(341)에 융착되어 격벽프레임(36)이 하부프레임(340)과 상부프레임(341) 사이에 고정된다.
제거부재(37)는 둘로 접혀진 상태에서 그 일측 구간은 격벽프레임(36)의 현상제 공급구(36a) 인접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타측 구간은 격벽프레임(36)에 부착된 일측 구간과 나란히 배치된다. 제거부재(37)의 타측 구간의 끝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브래킷(343)에 마련된 관통공(343a)을 관통하여 현상유닛(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관통공(343a) 외측으로 돌출된 제거부재(37)의 끝단에 힘을 가함으로써 제거부재(37)를 용이하게 격벽프레임(36)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유닛(30)을 운반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는 격벽프레임(36)에 부착된 제거부재(37)에 의해 현상제 공급구(36a)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현상제 저장부(34b)의 현상제가 현상부(34a)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며, 현상유닛(30)을 화상형성장치(100) 내에 설치하기 이전에 제거부재(37)를 격벽프레임(36)으로부터 분리하여 현상제 공급구(36a)가 개방되도록 한 후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치하면, 현상제 저장부(34b)의 현상제가 현상제 공급구(36a)를 통해 현상부(34a)로 전달되어 화상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프레임(36)은 그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융착돌기(36b)를 통해 하부프레임(340)과 상부프레임(341)에 융착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 에 한정하지 않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홈(340a)과 제 2 지지홈(341a) 내에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부재(38)를 각각 배치하여 격벽프레임(36)이 탄성부재(38)에 의해 탄성지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브래킷(343) 외측으로 돌출된 제거부재(37)의 끝단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거부재(37)를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를 일체 혹은 별도로 형성하여, 손잡이를 통해 제거부재(37)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화상형성장치(100)에 손잡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센서를 통해 손잡이 유무를 감지하여 제거부재(37)가 제거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격벽프레임 및 제거부재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격벽프레임의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격벽프레임의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현상유닛 31: 감광체
33: 현상체 34: 하우징
340: 제 1 프레임 34a: 현상부
34b: 현상제 저장부 34c: 폐 현상제 저장부
340a: 제 1 지지홈 340b: 제 3 지지홈
341: 제 2 프레임 341a: 제 2 지지홈
342: 연결브래킷 343a: 관통공
36: 격벽프레임 36a: 현상제 공급구
36b: 융착돌기 36c: 지지부
37: 제거부재 38: 탄성부재

Claims (18)

  1. 현상제를 현상하는 현상체와,
    상기 현상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와,
    현상제, 현상체 및 공급부재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체와 상기 공급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현상제가 상기 공급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체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현상제 공급구가 마련된 격벽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공급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격벽프레임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하로 서로 결합되어 현상제 저장부를 형성하는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격벽프레임의 상하 양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1 지지홈과 제 2 지지홈이 서로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격벽프레임의 양 측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3 지지홈이 마련되고,
    상기 격벽프레임의 양측단과 상기 제 3 지지홈은 서로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격벽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기 제 2 지지홈 인접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유닛.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융착되는 현상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융착되기 위한 융착돌기가 형성되는 현상유닛.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홈과 상기 제 2 지지홈 내에 각각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현상유닛.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폐 현상제 저장을 위한 폐 현상제 저장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래킷에는 상기 제거부재의 분리를 위한 관통공이 더 마련되는 현상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현상체가 배치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프레임은 상기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를 구획하는 현상유닛.
  12.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은 현상제를 현상하는 현상체와, 상기 현상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와, 현상제, 현상체 및 공급부재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체와 상기 공급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현상제가 상기 공급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체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현상제 공급구가 마련된 격벽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공급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격벽프레임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하로 서로 결합되어 현상제 저장부를 형성하는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격벽프레임의 상하 양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1 지지홈과 제 2 지지홈이 서로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격벽프레임의 양 측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3 지지홈이 마련되고,
    상기 격벽프레임의 양측단과 상기 제 3 지지홈은 서로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격벽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기 제 2 지지홈 인접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융착되는 융착돌기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삭제
  16. 제 12 항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홈과 상기 제 2 지지홈 내에 각각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삭제
  18. 제 12 항에 있어서,
    폐 현상제 저장을 위한 폐 현상제 저장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래킷에는 상기 제거부재의 분리를 위한 관통공이 더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130473A 2008-12-19 2008-12-19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KR10156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473A KR101564599B1 (ko) 2008-12-19 2008-12-19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EP09177710A EP2199871A1 (en) 2008-12-19 2009-12-02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2/632,205 US8600261B2 (en) 2008-12-19 2009-12-07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920274756XU CN201681254U (zh) 2008-12-19 2009-12-17 显影单元及具有该显影单元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473A KR101564599B1 (ko) 2008-12-19 2008-12-19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671A KR20100071671A (ko) 2010-06-29
KR101564599B1 true KR101564599B1 (ko) 2015-11-06

Family

ID=4182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473A KR101564599B1 (ko) 2008-12-19 2008-12-19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00261B2 (ko)
EP (1) EP2199871A1 (ko)
KR (1) KR101564599B1 (ko)
CN (1) CN20168125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6928B2 (ja) 2014-08-29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25662B2 (ja) * 2015-03-27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0358B2 (ja) * 2015-12-08 2018-08-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ユニ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587A (ja) 2001-04-27 2002-11-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3241495A (ja) 2002-02-20 2003-08-27 Canon Inc 現像剤容器、現像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サイドカバー、軸受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242255A (ja) * 2004-02-27 2005-09-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把持部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57839B (ko) * 1993-07-14 1995-09-21 Canon Kk
JPH0962079A (ja) * 1995-08-25 1997-03-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再充填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17368B2 (ja) 1998-05-15 200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1142289A (ja) 1999-11-16 2001-05-25 Ricoh Co Ltd ケース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28527A (ja) 2001-04-27 2002-11-15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密封部材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03411B2 (ja) 2001-06-13 2007-11-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
KR20080054172A (ko) 2006-12-12 2008-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링구조를 개선한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JP2009145674A (ja) * 2007-12-14 2009-07-02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587A (ja) 2001-04-27 2002-11-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3241495A (ja) 2002-02-20 2003-08-27 Canon Inc 現像剤容器、現像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サイドカバー、軸受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242255A (ja) * 2004-02-27 2005-09-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把持部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681254U (zh) 2010-12-22
EP2199871A1 (en) 2010-06-23
US8600261B2 (en) 2013-12-03
US20100158574A1 (en) 2010-06-24
KR20100071671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8622B2 (en) Self-monitor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676319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attachment or detachment of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650607A2 (en)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seal members
JP2017107040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64599B1 (ko)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US5826132A (en) Variable size, replaceable toner sump pans for print cartridges
KR101484040B1 (ko) 화상형성장치
JP2554734Y2 (ja) プロセスユニット
US644588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artridge and developer residual amount sensor
JP606827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895736B2 (ja) 電子写真装置
KR100611988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099498B1 (ko)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5128525A (ja)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7234577A (ja) 現像装置
JP4204897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0138470Y1 (ko) 현상기 내부의 토너량 유,무 감지장치
JP6390956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476401B2 (ja) 不適正カートリッジの検出方法及び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カートリッジ及び記憶媒体
JPH06324564A (ja) 画像記録装置
JP2022122590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切れ検出方法
JP2016075759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91848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35424A (ja) 画像形成装置
US822419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