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498B1 -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498B1
KR101099498B1 KR1020080029285A KR20080029285A KR101099498B1 KR 101099498 B1 KR101099498 B1 KR 101099498B1 KR 1020080029285 A KR1020080029285 A KR 1020080029285A KR 20080029285 A KR20080029285 A KR 20080029285A KR 101099498 B1 KR101099498 B1 KR 10109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haft
storage unit
flow path
develop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586A (ko
Inventor
최웅용
전종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498B1/ko
Priority to US12/361,658 priority patent/US8126370B2/en
Publication of KR2009010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부재에 의해 현상제저장부가 폐쇄되는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현상기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교반부재에 의해서 폐쇄된다.

Description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반부재에 의해 현상제저장부가 폐쇄되는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체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감광체 표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은 현상기에 의해 이루어지며, 현상기는 현상제를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현상제를 감광체의 표면 에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부와,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동시에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현상기는 일정한 수명을 가지는 소모품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만들어 진다. 그런데,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기 전의 운송과정 등에서 충격, 진동 등의 외력을 받을 수 있고, 이에 의해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현상기의 외부로 누출되거나 비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현상제의 누출 또는 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상기 생산 마지막 단계에서 현상제저장부의 입구에 차폐필름을 부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현상기에서는 사용자가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직접 차폐필름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차폐필름 자체의 제조비용과 차폐필름을 현상기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작업공수의 증가로 인하여 현상기의 총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폐부재를 한번 제거한 뒤에는 현상제저장부를 다시 밀폐할 수 없어서, 화상형성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현상제가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기를 사용하기 전 차폐필름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사용성이 향상된 현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 부재의 부가 없이 기존의 구조를 이용하여 현상제저장부를 폐쇄할 수 있는 생산성이 향상된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사용이 개시된 후에도 현상제저장부의 재밀폐가 가능한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내에 설치되어 현상제를 공급하는 융(Fur)타입 공급롤러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화상품질을 개선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는 현상기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교반부재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형 방향으로 연장된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은 복수 개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들 중 적어도 2개는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의 폐쇄 시, 상기 필름의 선단부는 상기 유로의 내부면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의 측 단부을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의 부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부는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하며, 현상기의 동작시에 상기 공급롤러의 표면은 상기 필름에 의해 클리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재와 상기 유로의 측벽 사이에는 판 형태의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와의 접선방향이 현상제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샤프트에 의해 상기 유로는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상부는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선단부는 상기 유로의 상, 하면 및 상기 공급롤러와 단속적으로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재와 상기 유로의 측벽 사이에는 발포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교반부재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형 방향으로 연장된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들 중 적어도 2개는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 로 연장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의 폐쇄 시, 상기 필름의 선단부는 상기 유로의 내부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의 측 단부을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의 부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부는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하며, 현상기의 동작시에 상기 공급롤러의 표면은 상기 필름에 의해 클리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재와 상기 유로의 측벽 사이에는 판 형태의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와의 접선방향이 현상제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샤프트에 의해 상기 유로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 의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플레이트가 유로를 개방 혹은 폐쇄하며,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길이는 유로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완전 밀폐된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에서는 별도 부재의 부가 없이 교반부재에 의해 현상제저장부가 폐쇄됨으로써, 현상기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현상기의 구조가 간단해 지며, 컴팩트한 현상기의 제작이 가능해 진다. 물론, 새 현상기를 사용하기 전에 새 현상기에서 차폐부재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본 발명의 현상기에서는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에서는 사용이 개시된 후에도 현상제저장부의 재밀폐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장 치(20), 광주사장치(30), 감광체(40), 현상장치(100), 전사장치(50), 정착장치(60) 및 인쇄매체 배출장치(7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본체커버(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커버(11)는 본체(10)의 일부분을 개폐한다. 사용자는 본체커버(1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접근하여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을 포함한 각종 부품들을 착탈할 수 있다.
인쇄매체 공급장치(20)는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장치(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장치(30)는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40)에 주사함으로써 감광체(40)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체(40)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광체 하우징(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감광체 하우징(41)의 내부에는 대전롤러(42)가 설치된다. 대전롤러(42)는 광주사장치(30)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감광체(4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현상장치(100)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칼라화상형성장치로서, 현상장치(10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즉, 블랙(Black),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100K, 100C, 100M, 100Y)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블랙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기(100K)를 예로 들어 현상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나, 후술하는 내용은 다른 현상기들(100C, 100M, 100Y)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표시된 '110','120','130','140' 등의 도면부호는 현상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른 현상기의 동일 구성요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00K)는 현상기 하우징(110), 현상제저장부(120), 현상부(130) 및 교반부재(140)를 구비한다.
현상기 하우징(110)은 현상기(100K)의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현상기 하우징(110)의 후단 양측에는 손잡이(1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기(100K)의 착탈 시에 사용자가 현상기(100K)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현상제저장부(120)에는 현상제가 저장된다.
현상부(130)는 공급롤러(131) 및 현상롤러(132)를 구비하며, 현상제저장부(120)에 저장된 현상제를 공급받아 감광체(40)의 표면에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현상제저장부(120)에 저장된 현상제는 후술되는 교반부재(140)에 의해 공급롤러(131) 측으로 이송된 후 공급롤러(131)에 의해 현상롤러(132)에 공급되고, 현상바이어스를 인가받은 현상롤러(132)는 그 표면의 현상제를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0)의 표면에 부착하여 감광체(40)의 표면에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이때, 공급롤러(131)에 의해 현상롤러(132)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의 두께는 현상기 하우징(110)의 상면 일측에 마련된 규제부재(112)에 의해 규제된다.
교반부재(140)는 현상제저장부(120)와 현상부(130)를 연통시키는 이송유로(113)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현상제저장부(120)에 저장된 현상제가 뭉치지 않도록 교반하는 동시에 현상제를 공급롤러(131)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교반부재(140)는 이송유로(113)의 양 측벽(114, 115)들에 회전지지되는 샤프트(141)와, 샤프트(141)에 부착되는 필름(142)을 구비하고,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필름(142)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박막 플레이트(plate)로서 본 실시예서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우레탄(urethane), 실리콘(silicon) 등의 박막 형태의 필름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141)에는 2개의 필름(142)이 부착되지만, 하나의 필름이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거나, 3개 이상의 필름이 방사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도 3는 미사용 상태의 현상기를 나타내고, 도 4는 사용 상태의 현상기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반부재(140)는 상기한 종래 교반부재의 기능 외에도 이송유로(113)를 폐쇄하여 현상제저장부(120)를 밀폐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탄성플레이트의 길이(h2)는 유로의 높이(h1)보다 크게 마련되어 샤프트(141)와 필름(142) 사이의 접선방향(c)과 현상제의 이송방향(f)이 대략 직교할 때 필름(142)의 선단부(142a)는 이송유로(113) 내부면과 접하게 되고, 각 필 름(142)의 양 측단(142b) 및 샤프트(141)의 양 측면(141a)은 이송유로의 양 측벽(114, 115)에 밀착되어, 이송유로(113)는 폐쇄되고, 현상제저장부(120)는 밀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현상기에서는 별도 구성요소의 추가 없이 종래에 사용되던 교반부재를 이용하여 현상제저장부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현상기에서는 교반부재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 및 교반부재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현상기를 장시간 미사용 할 경우, 혹은 사용자가 현상제저장부를 밀폐하도록 명령을 입력할 경우 현상제저장부가 자동으로 밀폐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센서 또는 제어부를 구비함이 없이, 현상기의 장시간 미사용이 예상될 경우 사용자가 직접 교반부재의 샤프트를 회전시켜 현상제저장부를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상기는 밀실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송유로(113)의 양 측벽(114, 115)과 교반부재(140) 사이에 삽입되는 판 형태의 실링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실링부재(150)는 교반부재(140)의 회전시에는 필름(142)과의 간섭이 최소로 되고 교반부재(140)의 정지시에는 충분한 밀실력이 확보되도록 높은 복원력을 가지는 소프트(soft) 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는 소프트한 재질의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이나 포론(poron),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과 같은 스펀지 타입이나 혹은 소프트한 재질의 에폭시(epoxy)나 우레탄, 실리콘 등이 첨가된 고무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상기는 샤프트(141)의 양측에 마련되는 지지부(143)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필름(142)의 양측 단부(142b)가 이송유로(113)의 양 측벽(114, 115) 또는 실링부재(150)와의 마찰에 의해 샤프트(14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과도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되며 필름(142)의 중앙부위와 양측 지지부(143)가 설치된 필름부분의 탄성력이 서로 다르게 되며, 특히 지지부(143)가 설치된 탄성력이 커짐으로 인해 양측의 현상제 공급력이 더 세어지면서 양측부의 현상제 미공급현상을 개선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샤프트(141)에 돌출부(145)가 하나 혹은 복수개 설치가 가능하다. 본 돌출부(145)는 필름(142)을 샤프트(141)에 부착하는 기준면이 되며, 교반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필름의 하단부(142c)로 현상제가 유입되면서 필름(142)과 샤프트(141)가 분리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재(140)가 회전함에 따라 교반부재(140) 필름(142)의 선단부(142a)는 이송유로(113)의 상, 하부면과 단속적으로 접할 뿐만 아니라 공급롤러(131)와도 단속적으로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급롤러(131)의 표면은 상기 필름에 의해 타격 또는 마찰되어 클리닝(cleaning)된다.
공급롤러(131)는 일반적으로 스펀지 타입이나 융(fur) 타입의 원통형 롤러를 사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융(fur) 타입의 공급롤러(131)를 사용하여 공급롤러(131)에서 현상롤러(132)에 공급되지 못하고 털 사이에 엉겨붙거나 끼인 현상제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단면은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샤프트에는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2개의 필름이 부착된다. 물론, 샤프트의 단면형상은 사각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고, 샤프트의 표면에 부착되는 필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필름들은 대칭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필름들은 샤프트와의 접선방향이 서로 평행을 이루며 샤프트를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샤프트에 부착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필름은 밀폐상태에서 현상제의 효과적인 차단을 위해 중간중간에 홀이나 공간을 가지지 않은 완전 밀폐된 판형상의 박막형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송유로(113)를 현상제저장부(120) 및 현상부(130)와 구분하여 정의하였지만, 이송유로(113)가 현상부(130)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장치(50)는 중간전사벨트(51), 제1전사롤러(52) 및 제2전사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전사벨트(51)는 지지롤러들(54, 55)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40)의 선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주행한다.
제1전사롤러(52)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0)와 마주하여 감광체(40)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2전사롤러(53)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55)와 마주한다. 제2전사롤러(53)는 감광체(40)에서 중간전사벨트(51)로 화상이 전사되는 동안 에는 중간전사벨트(51)로부터 이격되고, 감광체(40)의 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완전히 전사되면 중간전사벨트(51)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제2전사롤러(53)가 중간전사벨트(51)와 접촉하면 중간전사벨트(51)의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정착장치(60)는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장치(70)는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장치(60)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인쇄동작이 시작되면, 감광체(40)의 표면은 대전롤러(4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40)의 표면에는 광주사장치(30)로부터 어느 한 색상, 예를 들어 옐로우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고, 감광체(40)에는 옐로우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점상이 형성된다.
옐로우 현상기(100Y)의 교반부재(140)는 회전하며 현상제저장부(120)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함과 동시에 현상부(130)의 공급롤러(131) 측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현상제는 공급롤러(131)에 의해 현상롤러(132)로 공급된다. 이때, 교반부재(140) 필름(142)의 선단부(142a)는 공급롤러(131)의 표면을 타격 또는 마찰시켜 감광체(40)에 부착되지 못하고 공급롤러(131)의 표면에 잔존하는 현상제를 털어낸다.
이후, 현상롤러(132)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체(40)에는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5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된다.
옐로우 색상에 대한 한 페이지 분량의 전사가 완료되면, 광주사장치(30)는 다른 한 색상, 예를 들어 마젠타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40)에 주사하여 마젠타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마젠타 현상기(100M)는 정전잠상에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40)에 형성된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5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는데, 이 때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먼저 전사되어 있던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 위에 중첩된다.
시안 및 블랙 색상에 대하여도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중간전사벨트(51)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이 중첩된 칼라화상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칼라화상은 중간전사벨트(51)와 제2전사롤러(53)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고, 인쇄매체는 정착장치(60)와 인쇄매체 배출장치(70)를 거쳐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인쇄동작이 완료되거나 정지되면, 각 현상기(100K, 100C, 100M, 100Y) 내의 교반부재(140)는 이송유로(113)를 폐쇄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동작은 교반부재(140)의 회전각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센서 및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1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미사용 상태의 현상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사용 상태의 현상기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인쇄매체 공급장치 30 광주사장치
40 감광체 50 전사장치
60 정착장치 70 인쇄매체 배출장치
100 현상장치 100K, 100C, 100M, 100Y 현상기
110 현상기 하우징 112 규제부재
113 이송유로 120 현상제저장부
130 현상부 131 공급롤러
132 현상롤러 140 교반부재
141 샤프트 142 필름
143 지지부 150 실링부재

Claims (24)

  1.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의 상,하부벽 및 양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상기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필름은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기 현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형 방향으로 연장된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들 중 적어도 2개는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폐쇄 시, 상기 필름의 선단부는 상기 유로의 내부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현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측 단부을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현상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부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는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하며,
    현상기의 동작시에 상기 공급롤러의 표면은 상기 필름에 의해 클리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와 상기 유로의 측벽 사이에는 판 형태의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0.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의 상,하부벽 및 양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상기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와의 접선방향이 현상제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샤프트는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기 현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는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선단부는 상기 유로의 상, 하면 및 상기 공급롤러와 단속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와 상기 유로의 측벽 사이에는 발포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4. 현상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의 상,하부벽 및 양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상기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필름은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기 현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형 방향으로 연장된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들 중 적어도 2개는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폐쇄 시, 상기 필름의 선단부는 상기 유로의 내부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측 단부을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화상형성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부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는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하며,
    현상기의 동작시에 상기 공급롤러의 표면은 상기 필름에 의해 클리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와 상기 유로의 측벽 사이에는 판 형태의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현상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의 상,하부벽 및 양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상기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와의 접선방향이 현상제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샤프트는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기 현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연통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의 상,하부벽 및 양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현상제저장부와 상기 현상부의 사이의 상기 유로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로 이송시키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탄성플레이트가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기 현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로를 개방 혹은 폐쇄하며,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길이는 상기 유로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완전 밀폐된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29285A 2008-03-28 2008-03-28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099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285A KR101099498B1 (ko) 2008-03-28 2008-03-28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361,658 US8126370B2 (en) 2008-03-28 2009-01-29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285A KR101099498B1 (ko) 2008-03-28 2008-03-28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586A KR20090103586A (ko) 2009-10-01
KR101099498B1 true KR101099498B1 (ko) 2011-12-28

Family

ID=4111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285A KR101099498B1 (ko) 2008-03-28 2008-03-28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26370B2 (ko)
KR (1) KR101099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6846B2 (ja) * 2011-03-22 2013-03-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トナー収納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搬送装置の制御方法
JP2019191501A (ja) * 2018-04-27 2019-10-31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体、画像形成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体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4907A (ja) * 2001-01-12 2002-07-31 Ricoh Co Ltd 現像装置
US20070189811A1 (en) * 2006-02-13 2007-08-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Toner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8192B2 (ja) 2000-07-13 2007-01-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該現像装置へのトナー収容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40454A (ja) 2001-11-08 2003-05-14 Ricoh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4907A (ja) * 2001-01-12 2002-07-31 Ricoh Co Ltd 現像装置
US20070189811A1 (en) * 2006-02-13 2007-08-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Toner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586A (ko) 2009-10-01
US8126370B2 (en) 2012-02-28
US20090245877A1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339B2 (e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first and second frames and separating member moving the second frame to a separated posi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tachably mounting the cartridge
TWI767418B (zh) 粉末容器及含有該粉末容器的影像形成裝置
JP354169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納容器
US6101352A (en) Developing cartridge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image formed on an image bearing member with toner and being detachably mountable to a main assembl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26441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US20060072934A1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068007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101099498B1 (ko)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8129336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28688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95833B2 (ja) 現像剤収容機構、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20109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7447463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30152396A1 (en)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US20090110446A1 (en)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ame
JP3765213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2017187673A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11988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08225072A (ja) トナー容器
JP2014123065A (ja)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9274384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603359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JP602541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JP4058582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2023139921A (ja)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