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538B1 - 운전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538B1
KR101560538B1 KR1020120003942A KR20120003942A KR101560538B1 KR 101560538 B1 KR101560538 B1 KR 101560538B1 KR 1020120003942 A KR1020120003942 A KR 1020120003942A KR 20120003942 A KR20120003942 A KR 20120003942A KR 101560538 B1 KR101560538 B1 KR 10156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switch
switch unit
brack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263A (ko
Inventor
장대교
장동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2000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5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20/00Cheese substitutes
    • A23C20/02Cheese substitutes containing neither milk components, nor caseinate, nor lactose, as sources of fats, proteins or carbohydrates
    • A23C20/025Cheese substitutes containing neither milk components, nor caseinate, nor lactose, as sources of fats, proteins or carbohydrates mainly containing proteins from pulses or oil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모콘 스위치 유닛이 장착된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운전석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에어백 쿠션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수용된 에어백 쿠션의 전방을 커버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스크루 결합 및 리벳 결합 방식을 통해 상기 커버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결합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결합 브래킷을 이용하여 커버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후방 플레이트를 공용화하면서 리모콘 스위치 유닛의 설치 위치가 일부 변경되는 경우 결합 브래킷의 간단한 형상 변경을 통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전석 에어백 장치{DRIVER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부품을 공용화하면서 리모콘 스위치 유닛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결합 브래킷이 구비된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부 차량에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에 차량 충돌 사고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된 부분 근방에는 운전자가 운전중에 오디오 및 크루즈 스위치를 용이하게 작동하기 위해 리모콘 스위치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커버에 고정하는 종래 방식의 일 예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리모콘 스위치 유닛(30) 및 커버(10)와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리모콘 스위치 유닛(30)은 에어백 장치의 덮개를 구성하는 커버(10)의 돌출 가이드(12)에 관입되어 안착된다. 이후, 이러한 리모콘 스위치 유닛(30)은 에어백 쿠션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플레이트(2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고정판(21)에 스크루 체결을 통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결합 구조의 경우, 필요에 따른 설계 변경시 리모콘 스위치 유닛(3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이 쉽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리모콘 스위치 유닛(30)의 설치 위치를 일정 이상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 마찬가지로 후방 플레이트(20)의 형상을 변경시켜야 했다. 덧붙이자면, 통상 다이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조되어 상대적으로 고가 부품인 후방 플레이트(20)의 형상을 변경해야 하므로, 간단히 리모콘 스위치 유닛(3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후방 플레이트(20)의 교체에 따른 상당한 교체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가 부품인 후방 플레이트(20)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손쉽게 리모콘 스위치 유닛(3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리모콘 스위치 유닛(30)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부품을 공용화하면서 리모콘 스위치 유닛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결합 브래킷이 구비된 운전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모콘 스위치 유닛의 설치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하여 제조공정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모콘 스위치 유닛이 장착된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운전석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에어백 쿠션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수용된 에어백 쿠션의 전방을 커버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스크루 결합 및 리벳 결합 방식을 통해 상기 커버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결합 브래킷을 포함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은 상기 커버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안착된 후, 상기 결합 브래킷을 통해 상기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 브래킷은,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과 스크루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 브래킷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브래킷 플레이트에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상기 커버에 리벳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벳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브래킷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운전석 에어백 쿠션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벽체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벽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벳 삽입홀과 연통 가능하도록 각각 제1 및 제2 리벳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체에는,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고정하고자 상기 결합 브래킷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 브래킷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벽체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래킷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벽체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결합 브래킷을 이용하여 커버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후방 플레이트를 공용화하면서 리모콘 스위치 유닛의 설치 위치가 일부 변경되는 경우 결합 브래킷의 간단한 형상 변경을 통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커버의 벽체에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리모콘 스위치 유닛과 결합 브래킷의 상호 결합위치를 신속하게 얼라인시켜 전체적인 조립공정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리모콘 스위치 유닛 및 커버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고정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고정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이하, '에어백 장치'라 한다)는, 리모콘 스위치 유닛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설계 변경에 따른 리모콘 스위치 유닛의 설치 위치 변동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사고시 쿠션 작용에 의해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장치는, 차량용 운전석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에어백 쿠션(미도시)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수용된 에어백 쿠션의 전방을 커버하는 커버(100), 커버(100)에 결합되어 에어백 쿠션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커버(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이 장착된다.
먼저, 커버(100)는 운전석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에어백 쿠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면으로부터 벽체(11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100)의 내면에는 차량 충돌시 파단되어 에어백 쿠션이 운전자를 향해 팽창되도록 티어 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다음, 후방 플레이트(200)는, 커버(100)에 결합되며 벽체(11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된 에어백 쿠션의 후방을 커버한다. 이러한 후방 플레이트(200)는 별도의 후크 구조 및 리벳을 통해 커버(100)에 결합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이 장착된다. 이러한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은, 운전자가 운전중에 차량용 오디오 및 크루즈 스위치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은 스크루 결합 및 리벳 결합 방식을 통해 커버(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을 스크루 결합 및 리벳 결합 방식을 통해 커버(100)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 브래킷(400)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은 커버(100)의 돌출 가이드(120)에 안착된 후, 결합 브래킷(400)을 통해 커버(10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커버(100)에는 중공의 돌출 가이드(120)가 형성되며,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은 돌출 가이드(120)의 관통공(121)에 일부 영역이 삽입된 후, 돌출 가이드(120)의 돌출 단부에 안착된다. 여기서, 돌출 가이드(120)와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에는 서로 간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후크 및 걸림턱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브래킷(400)은 실질적으로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을 스크루 결합 및 리벳 결합 방식을 통해 커버(100)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브래킷(400)은,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과 스크루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삽입홀(411)이 형성되는 제1 브래킷 플레이트(410), 제1 브래킷 플레이트(410)에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을 커버(100)에 리벳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벳 삽입홀(421)이 형성되는 제2 브래킷 플레이트(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브래킷 플레이트(410,420)는 상호 간에 일체로 형성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을 돌출 가이드(120)에 삽입하여 안착시킨 상태에서, 결합 브래킷(400)을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의 상측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에는 스크루 삽입홀(411)과 대응하도록 스크루 체결홀이 형성되며, 따라서 결합 브래킷(400)과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은 일차적으로 상호 간에 스크루 결합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플레이트(200) 및 벽체(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벳 삽입홀(421)과 연통 가능하도록 각각 제1 리벳 결합홀과 제2 리벳 결합홀(111)이 형성된다. 한편, 결합 브래킷(400)을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의 상단에 스크루 결합한 상태에서, 리벳 삽입홀(421), 제1 리벳 결합홀(미도시) 및 제2 리벳 결합홀(111)은 서로 연통된 상태를 가진다. 이후, 작업자는 건(gun) 타입의 별도의 리벳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리벳(430)을 리벳 삽입홀(421), 제1 리벳 결합홀 및 제2 리벳 결합홀(111)에 삽입한 후 리벳 체결공구를 동작하여 체결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리벳 체결공구의 구조 및 체결 작업 과정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의 설치 위치 변경시에도 종래보다 쉽게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와 같이 리모콘 스위치 유닛이 후방 플레이트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부분에 직접 스크루 체결되는 경우, 설계 변경에 따라 리모콘 스위치 유닛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면 마찬가지로 후방 플레이트의 형상 또한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간단하게 결합 브래킷(40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을 변경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리벳 삽입홀(421) 및 스크루 삽입홀(411)의 형성 위치를 변경하거나, 제1 브래킷 플레이트(410)의 길이를 변경하는 작업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덧붙이자면, 본 실시예는, 다이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조되어 상대적으로 고가 부품인 후방 플레이트(200)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저가 부품인 결합 브래킷(400)의 형상만 변경하면 되므로, 후방 플레이트(200)를 공용으로 적용하는 다품종의 에어백 장치에 쉽게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의 상측에 결합 브래킷(400)을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결합 브래킷(400)을 하측으로 이동하여 먼저 스크루 결합한 후 이어서 리벳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과 결합 브래킷(400)의 스크루 결합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하도록, 즉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에 형성된 스크루 체결홀과 스크루 삽입홀(411)간의 센터링(centering)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가이드부(130)가 더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0)는, 벽체(110)에 형성되며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을 고정하고자 결합 브래킷(40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 제2 브래킷 플레이트(4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결합 브래킷(400)을 가이드부(130)를 따라 최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에 형성된 스크루 체결홀과 스크루 삽입홀(411)은 일직선상으로 연통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스크루 체결홀과 스크루 삽입홀(411)을 연통시키기 위한 별도의 센터링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더 손쉽게 결합 브래킷(400)을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에 스크루 결합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30)는, 벽체(110)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131), 한 쌍의 돌출부(131)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가이드홈(133)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절곡부(132)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브래킷 플레이트(420)가 가이드홈(13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돌출부(131) 사이 거리와, 벽체(110)와 절곡부(132)의 사이 거리는 적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는, 커버(100)의 벽체(110)에 가이드부(130)를 형성함으로써,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에 대해 결합 브래킷(400)의 체결 위치를 신속하게 얼라인(align)시켜 전체적인 조립 공정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은,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과 결합 브래킷(400)과의 스크루 결합 및 결합 브래킷(400)과 벽체(110)와의 리벳 결합을 통해 커버(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구조 이외에 리모콘 스위치 유닛(3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 구체적으로 결합 브래킷(400)이 벽체(1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가 더 마련된다. 일 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브래킷 플레이트(420)의 상단에는 벽체(110)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후크(422)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 브래킷(400)은 리벳(430) 및 후크(422)의 이중 결합 구조에 의해 벽체(1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커버 130: 가이드부
131: 돌출부 132: 절곡부
200: 후방 플레이트 300: 리모콘 스위치 유닛
400: 결합 브래킷 410: 제1 브래킷 플레이트
420: 제2 브래킷 플레이트 422: 후크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모콘 스위치 유닛이 장착된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운전석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에어백 쿠션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수용된 에어백 쿠션의 전방을 커버하고,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이 삽입되도록 그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가이드를 갖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돌출 가이드에 삽입된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스크루 결합 및 리벳 결합 방식을 통해 상기 커버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결합 브래킷을 포함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브래킷은,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과 스크루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 브래킷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브래킷 플레이트에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상기 커버에 리벳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벳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브래킷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운전석 에어백 쿠션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벽체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벽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벳 삽입홀과 연통 가능하도록 각각 제1 및 제2 리벳 결합홀이 형성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는, 상기 리모콘 스위치 유닛을 고정하고자 상기 결합 브래킷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 브래킷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벽체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벽체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후크가 형성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0120003942A 2012-01-12 2012-01-12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156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42A KR101560538B1 (ko) 2012-01-12 2012-01-12 운전석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42A KR101560538B1 (ko) 2012-01-12 2012-01-12 운전석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63A KR20130083263A (ko) 2013-07-22
KR101560538B1 true KR101560538B1 (ko) 2015-10-16

Family

ID=4899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942A KR101560538B1 (ko) 2012-01-12 2012-01-12 운전석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5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101A (ja) 2000-06-13 2001-12-25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436537Y1 (ko) 2006-10-31 2007-09-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100986362B1 (ko) 2008-07-15 2010-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101A (ja) 2000-06-13 2001-12-25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436537Y1 (ko) 2006-10-31 2007-09-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100986362B1 (ko) 2008-07-15 2010-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63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3212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P2740633B1 (en) Door trim
US20070152431A1 (en) Integrated overhead side airbag module
JP4275599B2 (ja) プロテクタ
US20130154242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driver seat airbag device
JP2020050089A (ja) 防盗用ブラケット
KR20080018527A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KR101560538B1 (ko) 운전석 에어백 장치
CN101600590A (zh) 门把手的安装构造
KR100917568B1 (ko) 스티어링휠과 리모콘의 결합구조
JP5209551B2 (ja) 車載用機器のボルト締結部構造
US10894518B2 (en) Door trim
JP6941295B2 (ja) センタークラスタパネルの取付構造
CN209776569U (zh) 汽车、副仪表板总成及副仪表板固定结构
KR20080026822A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구조
KR101988615B1 (ko) 차량용 범퍼 결합 구조
JP5159236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カバー
JP6256759B2 (ja) メータークラスターの取り付け構造
KR101552657B1 (ko) 에어백 모듈과 리모콘 스위치 유닛의 조립체
KR100837386B1 (ko)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결합구조
KR101343396B1 (ko) 차량용 스티어링휠의 혼플레이트 볼트홀더의 설치구조
JP2014055641A (ja) 部品の掛止構造
KR200457519Y1 (ko) 모터 설치용 클램핑수단
US20170259843A1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KR20080107038A (ko)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