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527A - 차량용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527A
KR20080018527A KR1020060080770A KR20060080770A KR20080018527A KR 20080018527 A KR20080018527 A KR 20080018527A KR 1020060080770 A KR1020060080770 A KR 1020060080770A KR 20060080770 A KR20060080770 A KR 20060080770A KR 20080018527 A KR20080018527 A KR 20080018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door
airbag door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호준
신광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8527A/ko
Priority to US11/757,693 priority patent/US20080018081A1/en
Publication of KR2008001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착구조가 단순화되어 부품수가 절감되고, 에어백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은 안착홀부가 형성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 상기 안착홀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도어, 에어백이 수납되어 상기 안착홀부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도어에서 상기 안착홀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체결되도록 하는 장착수단, 및 상기 에어백 도어와 상기 안착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가 상기 안착홀부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 모듈, 에어백 도어, 에어백 하우징, 연장부, 장착수단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모듈 {AIR-BAG MODULE FOR VEHICLES}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도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인스트루먼트패널 52 : 안착홀부
54 : 내측패널 56 : 발포제
58 : 외측패널 60 : 에어백 도어
62 : 연장부 64 : 주름부
70 : 에어백 하우징 80 : 장착수단
82 : 돌기부 84 : 후크부
90 : 연결수단 92 : 체결홀부
94 : 결합돌기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착구조가 단순화되어 부품수가 절감되고, 에어백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은 인스트루먼트패널(10)에 설치되는 도어(20)와, 도어(20) 내측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 시에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부피가 팽창되도록 하는 에어백(32)과, 에어백(32)이 수납되어 인스트루먼트패널(10) 내측에 장착되고, 에어백 도어(20)가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에어백 도어(20)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의 안착홀부(12)에 설치되는데, 안착홀부(12)의 테두리 외벽에 브래킷(22)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22)과 안착홀부(12) 사이에 에어백 도어(20)의 일측 단부가 개재되며, 안착홀부(12)의 내벽에 에어백 하우징(30)이 배치된다.
이렇게 브래킷(22), 에어백 도어(20), 안착홀부(12) 및 에어백 하우징(30)이 적층된 부위에 볼트(B)가 체결되어 에어백 모듈의 설치가 이루어지는데, 에어백 도어(20)의 타측 단부는 브래킷(22)과 안착홀부(12) 사이에 개재되지 않아 에어 백(32)이 돌출될 때에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도어(20)와 에어백 하우징(30) 사이의 결합이 볼트(B)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결부위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브래킷(22)의 설치가 요구되므로 에어백 모듈 설치에 소요되는 부품 수를 절감하기 어렵고, 에어백 모듈의 장착구조 또한 복잡하여 에어백 모듈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모듈의 장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에어백 모듈 설치에 요구되는 부품 수를 줄이고, 에어백 모듈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은 안착홀부가 형성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 상기 안착홀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도어, 에어백이 수납되어 상기 안착홀부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도어에서 상기 안착홀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체결되도록 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에어백 도어와 상기 안착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가 상기 안착홀부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 상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착수단은 상기 안착홀부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상기 연장부 둘레면에 설치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상기 연장부의 하단 측에 형성되는 체결홀부와, 상기 체결홀부에 대응되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부에 걸림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에어백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도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은 안착홀부(52)가 형성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50)과, 안착홀부(52)에 설치되는 에어백 도어(60)와, 에어백(72)이 수납되어 안착홀부(52)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 하우징(70)과, 에어백 도어(60)에서 안착홀부(52)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62)와, 연장부(62)와 에어백 하우징(70)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백 도어(60)와 에어백 하우징(70)이 체결되도록 하는 연결수단(90)과, 에어백 도어(60)와 안착홀부(52)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백 도어(60)가 안착홀부(52)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장착수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에어백(72)이 수납된 에어백 하우징(70)과 에어백 도어(60)를 연결수단(90)에 의해 결합한 후에 인스트루먼트패널(50)의 내측패널(54)에 형성되는 안착홀부(52)에 에어백 도어(60)를 장착수단(80)에 의해 장착하고, 내측패널(54) 및 에어백 도어(60) 외벽에 발포제(56) 및 외측패널(58)을 설치하여 인스트루먼트패널(50) 및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이룬다.
여기서, 에어백 도어(60) 상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주름부(64)가 형성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50)에 대응하여 에어백 도어(60) 또한 팽창 및 수축이 원활히 이루어져 에어백 도어(60)가 배치되는 부분의 인스트루먼트패널(50)이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착수단(80)은 안착홀부(52)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 는 돌기부(82)와, 돌기부(82)에 대응되는 연장부(62) 둘레면에 설치되는 후크부(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수단(90)은 연장부(62)의 하단 측에 형성되는 체결홀부(92)와, 체결홀부(92)에 대응되는 에어백 하우징(70)에 형성되어 체결홀부(92)에 걸림결합되는 결합돌기(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에어백 하우징(70)의 상단을 에어백 도어(60)의 연장부(62) 내측으로 삽입하면 에어백 하우징(70)의 상단이 내측으로 소정량 변형되면서 연장부(62)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결합돌기(94)가 체결홀부(9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에어백 하우징(70)의 변형이 복원되면서 결합돌기(94)가 체결홀부(92)에 끼워져 에어백 도어(60)와 에어백 하우징(70)의 결합을 이룬다.
이후에, 에어백 도어(60) 및 에어백 하우징(70)을 안착홀부(52) 내측으로 삽입하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연장부(62) 및 에어백 하우징(70)이 소정량 변형되면서 안착홀부(52)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후크부(84)가 돌기부(82)에 걸려지면서 변형이 복원되어 에어백 도어(60) 및 에어백 하우징(70)이 인스트루먼트패널(50)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도어(60) 내측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하우징(70)을 삽입하면 양자가 소정량 변형되면서 결합돌기(94)가 체결홀부(92)에 삽입되어 에어백 도어(60)와 에어백 하우징(70)의 결합이 이루어진 다.
이렇게 결합된 에어백 도어(60)와 에어백 하우징(70)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인스트루먼트패널(50)의 내측패널(54)에 형성된 안착홀부(52)에 삽입하면, 연장부(62) 및 에어백 하우징(70)이 소정량 변형되면서 후크부(84)가 돌기부(82)에 걸림결합되어 에어백 도어(60) 및 에어백 하우징(7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내측패널(54) 및 에어백 도어(60)로 이루어지는 외벽에 발포제(56)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외측패널(58)을 설치하여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완료한다.
물론, 에어백 도어(60)가 위치되는 외측패널(58)에는 에어백 도어(60)가 개방될 때에 쉽게 절개될 수 있도록 에어백 도어(60)의 모양과 유사한 모양의 홈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에어백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에 사용되는 에어백 모듈이 아닌 다른 제품의 에어백 모듈에도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도어와 에어백 하우징이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걸림결합되고, 에어백 도어와 인스트루먼트패널 또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걸림결합됨으로써, 에어백 모듈 설치에 소요되는 부품수가 절감되어 제품의 단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백 도어 외벽에 주름부가 형성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여 에어백 도어가 팽창 및 수축되므로 에어백 도어가 위치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외관이 미려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안착홀부가 형성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
    상기 안착홀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도어;
    에어백이 수납되어 상기 안착홀부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도어에서 상기 안착홀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체결되도록 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에어백 도어와 상기 안착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가 상기 안착홀부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 상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안착홀부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상기 연장부 둘레면에 설치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장부의 하단 측에 형성되는 체결홀부와, 상기 체결홀부에 대응되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부에 걸림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모듈.
KR1020060080770A 2006-07-24 2006-08-24 차량용 에어백 모듈 KR20080018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770A KR20080018527A (ko) 2006-08-24 2006-08-24 차량용 에어백 모듈
US11/757,693 US20080018081A1 (en) 2006-07-24 2007-06-04 Air bag module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770A KR20080018527A (ko) 2006-08-24 2006-08-24 차량용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527A true KR20080018527A (ko) 2008-02-28

Family

ID=3938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770A KR20080018527A (ko) 2006-07-24 2006-08-24 차량용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852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916B1 (ko) * 2009-07-22 2012-04-13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백 설치용 슈트 구조
KR101451893B1 (ko) * 2014-02-13 2014-10-16 황보성 크래쉬패드에의 에어백 슈트 장착장치
US9409541B2 (en) 2013-12-04 2016-08-09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Interior trim part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n airbag door
KR20160108715A (ko) 2015-03-05 2016-09-20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백 도어 회전결합구조를 갖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어셈블리
KR101999221B1 (ko) 2018-11-26 2019-07-12 덕양산업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 어셈블리
KR101999222B1 (ko) 2019-05-31 2019-07-12 덕양산업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 어셈블리
KR20220076103A (ko) 2020-11-30 2022-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연계를 기반으로 기업성장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916B1 (ko) * 2009-07-22 2012-04-13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백 설치용 슈트 구조
US9409541B2 (en) 2013-12-04 2016-08-09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Interior trim part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n airbag door
KR101451893B1 (ko) * 2014-02-13 2014-10-16 황보성 크래쉬패드에의 에어백 슈트 장착장치
KR20160108715A (ko) 2015-03-05 2016-09-20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백 도어 회전결합구조를 갖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어셈블리
KR101999221B1 (ko) 2018-11-26 2019-07-12 덕양산업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 어셈블리
KR101999222B1 (ko) 2019-05-31 2019-07-12 덕양산업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 어셈블리
KR20220076103A (ko) 2020-11-30 2022-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연계를 기반으로 기업성장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8527A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CA2539425C (en) Vehicle body panel with integral clip
US688382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with head protecting airbag
US7669884B2 (en) Air bag device
US7744120B2 (en) Integrated overhead side airbag module
JP2005247301A (ja) 特に下肢用ガスバッグ用のガスバッグモジュール
JP2007196798A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RU125941U1 (ru) Боковой активный буфер с отрывными петлями, изготовленный выдувным формованием
JP2002220020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77790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035960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KR20050041023A (ko) 차량용 끼움 조립식 리어 범퍼
JP4285434B2 (ja) 車両のバンパー支持構造
CN110509865B (zh) 连接组件、汽车外部装饰系统及汽车外部装饰件的安装方法
KR200464066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조립구조
JP5568452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55136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WO2012140724A1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
JP4865659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取付構造
KR20150058913A (ko) 차량용 훼스너
JP5937344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943085B1 (ko) 차량용 외장 몰딩
JP5380108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JP616247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4221582A (ja) エアバッグカバー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