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614B1 -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614B1
KR101553614B1 KR1020150044603A KR20150044603A KR101553614B1 KR 101553614 B1 KR101553614 B1 KR 101553614B1 KR 1020150044603 A KR1020150044603 A KR 1020150044603A KR 20150044603 A KR20150044603 A KR 20150044603A KR 101553614 B1 KR101553614 B1 KR 10155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teel
pair
warehou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성
Original Assignee
임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성 filed Critical 임용성
Priority to KR102015004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은, 다수개의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을 고정결합하고 선반을 장착하여 각종 물품을 상기 선반에 적재 보관하며 물류의 적재 및 보관이 가능하게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물류창고용 철재랙; 다수개의 철재 수직포스트와 다수개의 철재 수평빔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을 다층 구조로 적재하기 위한 구조물의 기초를 세우고, 상기 다수개의 철재 수평빔 중 마주하는 어느 한 쌍의 철재 수평빔 사이에 장방형의 철재플레이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층선반을 형성한 다음 상기 층선반 상에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을 격자구조로 배치하는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 및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평면이 정방형 구조를 가지도록 수직상방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와, 인접하는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를 연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각 층별로 네 개씩 형성되는 고강성 철강빔과, 상기 고강성 철강빔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층선반을 형성하는 장방형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재질의 데크플레이트와, 와이어강선의 양단이 상기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외측면에 고정결합된 채 상기 데크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층선반의 횡방향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 및 와이어강선이 일단은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빔 상측면에 고정결합되는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포함하여 상기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을 하나 이상의 적층구조로 적재할 수 있는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류창고에서 화물을 적재 보관하기 위한 물류창고용 적층랙 구조물을 구현하는 경우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및 와이어강선을 이용하여 조립식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지게차와 같은 물류운송차량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함으로써 화물의 적재작업 속도를 단축시키고 물류창고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물류창고용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NCRETE LAYERED RACK CONSTRUCTION FOR DISTRIBUTION WAREHOUSE AND CO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창고에서 화물을 적재 보관하기 위한 물류창고용 적층랙 구조물을 구현하는 경우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및 와이어강선을 이용하여 조립식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지게차와 같은 물류운송차량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함으로써 화물의 적재작업 속도를 단축시키고 물류창고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물류창고용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류창고는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 음료 및 의류, 가전, 잡화,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소비자에게로 배송 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이다.
이러한 물류창고는 제품의 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하 및 재고관리 등의 편리를 위해서 일정하게 구획된 적재공간의 폭과 높이를 갖는 물품적재용 랙 구조물이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랙 구조물의 설치공간을 늘려 동일한 공간내에서 물류의 적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물류창고내 바닥에 격자형으로 촘촘하게 랙 구조물을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물류창고내 바닥에 랙 구조물을 촘촘하게 설치하여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은 물류관리를 위하여 일정높이 이상으로 설치하기가 어려우며, 일정높이 이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금속재를 이용하여 용접방식으로 연결된 랙 구조물의 특성상 강도가 저하되어 불안한 구축상태가 될 수 있어 공간확보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류창고 내에 도 1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적층랙 구조물이 설치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적층랙 구조물은 (a)랙 통로의 중간 높이에 층선반을 설치한 방식, (b)랙의 상부 전면에 층선반을 설치한 방식, 및 (c)철재포스트와 같은 단일 기둥을 지주로 하여 상부 전면에 층선반을 설치한 방식으로 규격화되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적층랙 구조물의 경우에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해야 하는 적층랙 구조물의 특성상 층선반에 의해 지지가능한 하중에 제한이 있어 적재공간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지게차와 같은 물류창고용 운송차량의 하중을 견디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통로를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물류를 운반하거나 적재 및 보관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물류창고의 제한된 공간내에서 적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면서 물류를 운반하거나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한 운송차량의 자유로운 활동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가능한 적층랙 구조물에 관한 현실적이고도 활용도가 높은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KR 10-0169888호(1998.10.13)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류창고에서 화물을 적재 보관하기 위한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지지하는 와이어강선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물류창고의 제한된 공간내에서 적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면서 물류를 운반하거나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한 운송차량의 자유로운 활동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으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은, 다수개의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을 고정결합하고 선반을 장착하여 각종 물품을 상기 선반에 적재 보관하며 물류의 적재 및 보관이 가능하게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물류창고용 철재랙; 다수개의 철재 수직포스트와 다수개의 철재 수평빔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을 다층 구조로 적재하기 위한 구조물의 기초를 세우고, 상기 다수개의 철재 수평빔 중 마주하는 어느 한 쌍의 철재 수평빔 사이에 장방형의 철재플레이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층선반을 형성한 다음 상기 층선반 상에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을 격자구조로 배치하는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 및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평면이 정방형 구조를 가지도록 수직상방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와, 인접하는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를 연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각 층별로 네 개씩 형성되는 고강성 철강빔과, 상기 고강성 철강빔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층선반을 형성하는 장방형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재질의 데크플레이트와, 와이어강선의 양단이 상기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외측면에 고정결합된 채 상기 데크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층선반의 횡방향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 및 와이어강선이 일단은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빔 상측면에 고정결합되는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포함하여 상기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을 하나 이상의 적층구조로 적재할 수 있는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양단이 인접한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와 상기 고강성 철강빔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 와이어강선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볼트; 상기 제 1 와이어강선의 끝단이 상기 와이어지지볼트를 고리모양으로 둘러싼 형태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아치형상의 와이어결합수단; 상기 와이어지지볼트를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이 구비된 한 쌍의 한 쌍의 와이어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 및 상기 고강성 철강빔에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결합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장방형의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좌우 양측면 하부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 2 와이어강선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중을 지지하며 관통하기 위한 와이어 관통홀 및 인접한 데크플레이트를 록볼트로 결합하기 위한 록볼트용 체결홀을 구비하며, 한 쌍의 와이어 관통홀 사이에 단일의 록볼트용 체결홀이 배치되는 형태를 하나의 홀셋트로 하여 다수개의 홀셋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결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장방형의 상부플레이트 길이방향 전후 양끝단 지점 일정부위에 상기 결합판이 대응되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게 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전후 양끝단에 위치하며 인접한 상기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과 높이가 다른 단차구조로 배치되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전후 양끝단이 각각 거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는, 선단부는 입구로 갈수록 직경이 넓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이 구비된 한 쌍의 핑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와이어강선의 끝단을 수용 지지하는 플레이트 와이어강선소켓; 상기 와이어 지지볼트용 체결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와이어강선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볼트; 및 상기 제 2 와이어강선의 끝단이 상기 와이어지지볼트를 고리모양으로 둘러싼 형태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아치형상의 와이어결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은,물류창고의 바닥면에 평면이 정방형 구조를 가지도록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를 수직상부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수직포스트 설치단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중 인접하는 고강성 철강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각 층별로 고강성 철강빔을 네 개씩 배치하고,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비해 마주보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차구조로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을 고정시키는 수평포스트 설치단계;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이용하여 제 1 와이어 강선의 일단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고정결합시키고,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이용하여 제 1 와이어 강선의 타단을 상기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빔 상측면에 고정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제 1 와이어강선을 구조물에 설치하는 제 1 와이어강선 설치단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단차구조로 마주보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사이에 장방형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재질의 데크플레이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시키고 인접한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록볼트로 결합시켜 층선반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재질의 층선반 형성단계;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를 이용하여 제 2 와이어강선을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판의 와이어관통홀을 통해 관통시키고 상기 제 2 와이어강선의 양단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단차구조로 마주보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외측면에 각각 고정결합시키는 방식의 다수개의 제 2 와이어강선을 설치하는 제 2 와이어강선 설치단계;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로 형성된 층선반의 가장자리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재질의 안전사고방지용 펜스를 설치하는 펜스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랙 구조물을 적층식 구조물로 형성할 수 있어 물류창고의 제한된 공간내에서 적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및 와이어강선을 이용하여 물류를 운반하거나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한 물류창고용 운송차량의 하중 및 자유로운 활동을 지지할 수 있어 화물의 적재작업 속도를 단축시키고 결과적으로 물류창고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적층랙 구조물의 층선반을 형성할 수 있어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줄이고 해체작업이 용이하며 활용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적층식 랙 구조물을 지지하는 수직포스트와 수평빔을 연결하는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구비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포스트와 빔을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은 물론 지게차와 같은 물류차량 및 작업자가 물류창고내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와 지붕이 없는 적층식 랙 구조물을 제공하여 물류창고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식 랙 구조물의 바닥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동시에 지지하는 플레이트 와이어 강선부를 구비하여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내진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경우에 록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지게차와 같은 물류운송차량에 의한 유격을 줄일 수 있어 적층식 랙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적층랙 구조물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적층랙 구조물을 구성하는 고강성 조립식 적층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외부구성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강성 조립식 적층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바닥판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시도와,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서로 결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외부구성도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은, 물류창고용 철재랙(10),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20), 및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10)은, 다수개의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을 고정결합하고 선반을 장착하여 각종 물품을 상기 선반에 적재 보관하며 물류의 적재 및 보관이 가능하게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10)을 살펴보면, 먼저, 전방 및 후방에 각관형태를 갖는 다수의 수직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는 다수의 수평프레임에 의해 서로 용접 연결 설치하여 사각형 형태의 기초 프레임을 이룬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전방 및 후방의 수직 프레임을 수평 연결하는 한편, 이웃하는 수직 프레임과 대항되게 다단으로 다수의 선반이 용접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공간이 구획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하,좌,우로 다수의 적재공간이 구획 형성되며, 각각의 선반에는 박스 형태의 화물을 적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철재 수직포스트(21)와 다수개의 철재 수평빔(22)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10)을 다층 구조로 적재하기 위한 구조물의 기초를 세운다.
이후에, 상기 다수개의 철재 수평빔(22) 중 마주하는 어느 한 쌍의 철재 수평빔(22) 사이에 장방형의 철재플레이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하여 층선반을 형성한 다음 상기 층선반 상에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10)을 격자구조로 배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100)은,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10)을 다층 구조로 적재한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20)을 적층구조로 다시 적재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100)은, 고강성 철강포스트(110), 고강성 철강빔(120), 데크플레이트(130),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140), 및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을 구성하는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을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고강성의 철강포스트(110) 네 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상방으로 설치되어 평면이 정방형 구조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여 설치된 상기 고강성의 철강포스트(110)를 수평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고강성의 철강빔(120)이 구조물의 각 층별로 네 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방형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재질의 데크플레이트(130)가 상기 고강성 철강빔(120)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바닥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3의 정면도를 참조하였을 때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강선의 장력을 사용하여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100)을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110)와 고강성 철강빔(120)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지게차와 같은 화물의 운송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와이어강선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110)와 상기 고강성 철강빔(12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 1 와이어강선(101)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140),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13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와이어강선(102)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140)에 의하여 상기 제 1 와이어강선(101)이 일단은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110) 중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110) 일측면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빔(120) 상측면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150)에 의하여 상기 제 2 와이어강선(102)의 양단이 상기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120) 외측면에 고정결합된 채 상기 데크플레이트(130)로 형성되는 층선반의 횡방향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외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와이어강선(101)이 데크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 층선반의 무게를 고강성 철강포스트(110)와 고강성 철강빔(120)과 함께 지탱하기 위하여 인접한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110)와 상기 고강성 철강빔(120)에 양단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포스트빔 와이어 강선부(140)는 이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 와이어강선(101)의 장력을 지지하며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140)는, 선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볼트(141), 상기 제 1 와이어강선(101)의 끝단이 상기 와이어지지볼트(141)를 고리모양으로 둘러싼 형태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아치형상의 와이어결합수단(142), 상기 와이어지지볼트(141)를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143)이 구비된 한 쌍의 한 쌍의 와이어지지부(144),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지지부(144)와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110) 및 상기 고강성 철강빔(120)에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결합하우징(14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결합수단(142)는, 양끝단을 관통하는 가이드(142-1)와 양끝단을 고정지지하는 복수개의 너트(14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지지볼트(141)는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143)을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플립볼트(141-1) 및 플립너트(141-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100)의 층선반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재질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게 제작하였으며,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의 층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층선반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시도와,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서로 결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데크플레이트(130)는, 장방형의 상부플레이트(131), 및 장방형의 결합판(13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방형의 결합판(13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31)의 길이방향 좌우 양측면 하부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 2 와이어강선(102)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31)의 하중을 지지하며 관통하기 위한 와이어 관통홀(132-1) 및 인접한 데크플레이트(130)를 록볼트(133)로 결합하기 위한 록볼트용 체결홀(13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방형의 결합판(132)는, 한 쌍의 와이어 관통홀(132-1) 사이에 단일의 록볼트용 체결홀(132-2)이 배치되는 형태를 하나의 홀셋트(A)로 하여 다수개의 홀셋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장방형의 결합판(132)는, 상기 장방형의 상부플레이트(131) 길이방향 전후 양끝단 지점 일정부위(B)에 상기 결합판이 대응되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31)의 길이방향 전후 양끝단에 위치하며 인접한 상기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단차구조로 배치되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전후 양끝단이 각각 거치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외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와이어강선(102)이 앞서 상술한 데크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 층선반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130)로 형성되는 층선반의 횡방향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150)는 이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 2 와이어강선(102)의 장력을 지지하며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15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데크플레이트(130)의 측면에 고정용 철판(103)을 록볼트로 결합하고 철판상에 고정설치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150)는, 선단부는 입구로 갈수록 직경이 넓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151-1)이 구비된 한 쌍의 핑거부(151)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와이어강선(102)의 끝단을 수용 지지하는 플레이트 와이어강선소켓(152), 상기 와이어 지지볼트용 체결홀(151-1)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와이어강선(102)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볼트(153), 및 상기 제 2 와이어강선(102)의 끝단이 상기 와이어지지볼트(153)를 고리모양으로 둘러싼 형태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아치형상의 와이어결합수단(15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결합수단(154)는,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양끝단을 관통하는 가이드(154-1)와 양끝단을 고정지지하는 복수개의 너트(154-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지지볼트(153)는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151)을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플립볼트(153-1) 및 플립너트(15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수직포스트 설치단계, 수평포스트 설치단계, 제 1 와이어강선 설치단계, 층선반 형성단계; 제 2 와이어강선 설치단계; 및 펜스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포스트 설치단계는 물류창고의 바닥면에 평면이 정방형 구조를 가지도록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110)를 수직상부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수평포스트 설치단계는,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110) 중 인접하는 고강성 철강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각 층별로 고강성 철강빔(120)을 네 개씩 배치하고,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120)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120-1)에 비해 마주보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120-2)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차구조로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을 고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와이어강선 설치단계는, 도 13에서와 같이,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140)를 이용하여 제 1 와이어 강선(101)의 일단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110) 일측면에 고정결합시키고,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140)를 이용하여 제 1 와이어 강선(102)의 타단을 상기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빔(120) 상측면에 고정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제 1 와이어강선을 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콘크리트 재질의 층선반 형성단계는,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120)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120-2)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구조로 마주보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120-1) 사이에 장방형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재질의 데크플레이트(130)를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시키고 인접한 상기 데크플레이트(130)의 각 결합판(132)을 록볼트(133)로 결합시켜 층선반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와이어강선 설치단계는, 도 15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150)를 이용하여 제 2 와이어강선(102)을 상기 데크플레이트(130)의 길이방향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판(132)의 와이어관통홀(132-1)을 통해 관통시키고 상기 제 2 와이어강선(102)의 양단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120)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120-2)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구조로 마주보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120-1) 외측면에 각각 고정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제 2 와이어강선을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펜스설치단계는, 도 17 내지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130)로 형성된 층선반의 가장자리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재질의 안전사고방지용 펜스(160)를 설치하고, 도 1에서 상술한 물류창고용 철재랙(10) 및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20)을 적재하거나 설치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은, 도 19에서와 같이,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100)을 벽체와 지붕이 없는 적층식 랙 구조물의 기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20) 없이 철재랙(10)을 직접 설치하거나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20)을 사용하여 철재랙(10)을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차량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100)의 각 층으로 지게차를 이동시켰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설계변경으로 지게차의 이동통로를 각 층별로 확보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랙 구조물을 적층식 구조물로 형성할 수 있어 물류창고의 제한된 공간내에서 적재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및 와이어강선을 이용하여 물류를 운반하거나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한 물류창고용 운송차량의 하중 및 자유로운 활동을 지지할 수 있어 화물의 적재작업 속도를 단축시키고 결과적으로 물류창고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적층랙 구조물의 층선반을 형성할 수 있어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줄이고 해체작업이 용이하며 활용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적층식 랙 구조물을 지지하는 수직포스트와 수평빔을 연결하는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구비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포스트와 빔을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은 물론 지게차와 같은 물류차량 및 작업자가 물류창고내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와 지붕이 없는 적층식 랙 구조물을 제공하여 물류창고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식 랙 구조물의 바닥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동시에 지지하는 플레이트 와이어 강선부를 구비하여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내진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경우에 록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지게차와 같은 물류운송차량에 의한 유격을 줄일 수 있어 적층식 랙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철재랙 20 :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
21 : 철재 수직포스트 22 : 철재 수평빔
100 :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 101 : 제 1 와이어강선
102 : 제 2 와이어강선 110 : 고강성 철강포스트
120 : 고강성 철강빔 130 : 데크플레이트
131 : 상부플레이트 132 : 결합판
132-1 : 와이어관통홀 132-2 : 록볼트용 체결홀
133 : 록볼트 140 :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
141 : 와이어지지볼트 142 : 와이어결합수단
143 :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 144 : 와이어지지부
145 : 결합하우징 150 :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
151 : 핑거부 151-1 :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
152 : 플레이트 와이어강선소켓 153 : 와이어지지볼트
154 : 와이어결합수단 160 : 펜스

Claims (5)

  1. 다수개의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을 고정결합하고 선반을 장착하여 각종 물품을 상기 선반에 적재 보관하며 물류의 적재 및 보관이 가능하게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물류창고용 철재랙;
    다수개의 철재 수직포스트와 다수개의 철재 수평빔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을 다층 구조로 적재하기 위한 구조물의 기초를 세우고, 상기 다수개의 철재 수평빔 중 마주하는 어느 한 쌍의 철재 수평빔 사이에 장방형의 철재플레이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층선반을 형성한 다음 상기 층선반 상에 상기 물류창고용 철재랙을 격자구조로 배치하는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 및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평면이 정방형 구조를 가지도록 수직상방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와, 인접하는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를 연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각 층별로 네 개씩 형성되는 고강성 철강빔과, 상기 고강성 철강빔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층선반을 형성하는 장방형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재질의 데크플레이트와, 와이어강선의 양단이 상기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외측면에 고정결합된 채 상기 데크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층선반의 횡방향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 및 와이어강선이 일단은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빔 상측면에 고정결합되는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포함하여 상기 적층형 철재랙 구조물을 하나 이상의 적층구조로 적재할 수 있는 적층형 콘크리트랙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양단이 인접한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와 상기 고강성 철강빔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 와이어강선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볼트;
    상기 제 1 와이어강선의 끝단이 상기 와이어지지볼트를 고리모양으로 둘러싼 형태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아치형상의 와이어결합수단;
    상기 와이어지지볼트를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이 구비된 한 쌍의 한 쌍의 와이어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고강성 철강포스트 및 상기 고강성 철강빔에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결합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장방형의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좌우 양측면 하부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 2 와이어강선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중을 지지하며 관통하기 위한 와이어 관통홀 및 인접한 데크플레이트를 록볼트로 결합하기 위한 록볼트용 체결홀을 구비하며, 한 쌍의 와이어 관통홀 사이에 단일의 록볼트용 체결홀이 배치되는 형태를 하나의 홀셋트로 하여 다수개의 홀셋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결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장방형의 상부플레이트 길이방향 전후 양끝단 지점 일정부위에 상기 결합판이 대응되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게 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전후 양끝단에 위치하며 인접한 상기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단차구조로 배치되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전후 양끝단이 각각 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는,
    선단부는 입구로 갈수록 직경이 넓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 와이어지지볼트용 체결홀이 구비된 한 쌍의 핑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와이어강선의 끝단을 수용 지지하는 플레이트 와이어강선소켓;
    상기 와이어 지지볼트용 체결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와이어강선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볼트; 및
    상기 제 2 와이어강선의 끝단이 상기 와이어지지볼트를 고리모양으로 둘러싼 형태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아치형상의 와이어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5. 물류창고의 바닥면에 평면이 정방형 구조를 가지도록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를 수직상부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수직포스트 설치단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중 인접하는 고강성 철강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각 층별로 고강성 철강빔을 네 개씩 배치하고,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비해 마주보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차구조로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을 고정시키는 수평포스트 설치단계;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이용하여 제 1 와이어 강선의 일단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고정결합시키고, 포스트빔 와이어강선부를 이용하여 제 1 와이어 강선의 타단을 상기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포스트 일측면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고강성 철강빔 상측면에 고정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제 1 와이어강선을 구조물에 설치하는 제 1 와이어강선 설치단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단차구조로 마주보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사이에 장방형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재질의 데크플레이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시키고 인접한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록볼트로 결합시켜 층선반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재질의 층선반 형성단계;
    플레이트 와이어강선부를 이용하여 제 2 와이어강선을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판의 와이어관통홀을 통해 관통시키고 상기 제 2 와이어강선의 양단을 상기 네 개의 고강성 철강빔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단차구조로 마주보는 다른 어느 한 쌍의 고강성 철강빔 외측면에 각각 고정결합시키는 방식의 다수개의 제 2 와이어강선을 설치하는 제 2 와이어강선 설치단계;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로 형성된 층선반의 가장자리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재질의 안전사고방지용 펜스를 설치하는 펜스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50044603A 2015-03-30 2015-03-30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5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603A KR101553614B1 (ko) 2015-03-30 2015-03-30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603A KR101553614B1 (ko) 2015-03-30 2015-03-30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614B1 true KR101553614B1 (ko) 2015-09-16

Family

ID=5424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603A KR101553614B1 (ko) 2015-03-30 2015-03-30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556B1 (ko) * 2015-10-28 2017-11-20 이동현 브릿지 구조의 선반
KR102496946B1 (ko) * 2022-03-18 2023-02-08 (주) 한독스토리지씨스템즈 데크 개폐장치 및 데크 개폐장치가 장착된 메자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3195A (ja) 2002-08-27 2004-03-18 Murata Mach Ltd 棚昇降式ドライブインラック
JP2012244127A (ja) 2011-05-24 2012-12-10 Kawamura Electric Inc ラックシステム
KR200472344Y1 (ko) 2013-12-03 2014-04-22 임용성 와이어를 이용한 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3195A (ja) 2002-08-27 2004-03-18 Murata Mach Ltd 棚昇降式ドライブインラック
JP2012244127A (ja) 2011-05-24 2012-12-10 Kawamura Electric Inc ラックシステム
KR200472344Y1 (ko) 2013-12-03 2014-04-22 임용성 와이어를 이용한 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556B1 (ko) * 2015-10-28 2017-11-20 이동현 브릿지 구조의 선반
KR102496946B1 (ko) * 2022-03-18 2023-02-08 (주) 한독스토리지씨스템즈 데크 개폐장치 및 데크 개폐장치가 장착된 메자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8087B2 (en) Storage system
US11794950B2 (en) Structure for automated pallet storage and retrieval
KR102509416B1 (ko) 랙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932404B2 (ja) コンテナハウスの結合構造
KR101553614B1 (ko)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A2737714C (en) Modular pallet rack system
CN104093640B (zh) 金属托盘
US8672148B2 (en) Low profile push-back cart and push-back cart storage system
KR20100095714A (ko) 원통형화물의 보관랙
KR102402286B1 (ko) 컨테이너 자동화창고
KR20200016022A (ko) 팔레트랙 연결용 체결프레임
KR200452851Y1 (ko) 다단적재식 하물수납장치
KR20090000936U (ko) 파렛트랙 구조물용 보강비임 구조.
US20180162589A1 (en) Load pallete
JP5060379B2 (ja) パレット用支持棚
CN211130343U (zh) 一种无横梁货架结构
KR200393370Y1 (ko) 철제 팔레트
KR101919458B1 (ko)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KR20120137977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적재용 랙 구조물
JP2012056766A (ja) 連結ラック用の連結棚
KR102598218B1 (ko) 파렛트 랙의 로드빔 결합용 브라켓
KR101404413B1 (ko) 빔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셔틀 랙
JP2018104040A (ja) 積載ラック
JP2023013613A (ja) 物品搬送設備
JP2024057988A (ja) 組立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