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556B1 - 브릿지 구조의 선반 - Google Patents

브릿지 구조의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556B1
KR101793556B1 KR1020150149893A KR20150149893A KR101793556B1 KR 101793556 B1 KR101793556 B1 KR 101793556B1 KR 1020150149893 A KR1020150149893 A KR 1020150149893A KR 20150149893 A KR20150149893 A KR 20150149893A KR 101793556 B1 KR101793556 B1 KR 10179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bridge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038A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이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현 filed Critical 이동현
Priority to KR102015014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5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하중으로 인한 선반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획일화된 선반 디자인을 탈피한 브릿지 구조의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적어도 둘 이상이 기립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교각부; 양단부가 최외측에 배치된 교각부를 지나 더 돌출되도록 각각의 교각부에 교차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교각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의 하중 일부를 인장력으로 지탱하는 와이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브릿지 구조의 선반{Bridge-shaped shelf}
본 발명은 브릿지 구조의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하중으로 인한 선반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획일화된 선반 디자인을 탈피한 브릿지 구조의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책을 꽂아 보관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대사회는 지식정보 사회로 불릴 정도로 지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그 지식의 원천이 되는 것이 책이라고 할 것이다. 책 등 물품의 보관과 열람을 위하여 선반이 주로 이용되는데, 선반은 가정의 서재나 도서관의 열람실 등에 주로 배치된다.
선반은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회사 등 어느 곳에서나 매우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보편적 일상용품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반에는 책의 크기에 따라 또한, 수납하고자 하는 용품도 다양하여 크기에 따라서 수납공간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화시키고 용도별로 구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종래의 일반적인 선반의 구조는 좌우로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의 상하단 및 후단부로 감판을 조립시켜 내측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에 받침판을 복수개 조립하여 상기 받침판에 책 등의 물품을 보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일반적인 선반은 물품의 무게로 선반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므로 선반의 중량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의 칸막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의 조절이 어려워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 선반의 칸막이, 즉 격자 형태의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소비자로 하여금 심미적인 어필을 유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20-0146019 Y1 KR 20-0242005 Y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물품의 무게로 선반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경량화가 가능한 브릿지 구조의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브릿지 구조의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격자 형태의 획일화된 디자인을 탈피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선반 선택의 폭을 넓히는 브릿지 구조의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면에 적어도 둘 이상이 기립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교각부; 양단부가 최외측에 배치된 교각부를 지나 더 돌출되도록 각각의 교각부에 교차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교각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의 하중 일부를 인장력으로 지탱하는 와이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구조의 선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각부는,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가 이격 배치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1안착틀로 구성된 제1지지유닛, 및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가 이격 배치되어 하단이 상기 제1안착틀에 결합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소정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제2안착틀로 구성된 제2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가 이격 배치되는 제3지지대와, 상기 제3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안착틀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제3안착틀과, 상기 제3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안착틀의 삽입홈과 동일한 삽입홈이 형성된 제4안착틀로 구성된 제3지지유닛과, 상기 제3안착틀에 결합되는 받침유닛, 및 상기 제3지지유닛과 상기 받침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유닛의 하중 일부를 인장력으로 지탱하는 와이어유닛을 포함하는 적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층부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교각부의 상부에 적층되어 다단의 선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각부는, 상기 제1지지대의 각 지지부재 하단에서 지면과 밀착하도록 연장되되 일정 지점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에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납용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일정 지점에서 기립 고정되는 유동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받침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의 내측벽에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받침대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유동몸체와, 상기 유동몸체의 중앙부에서 기립하되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부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교각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물품의 무게로 선반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셋째, 격자 형태의 획일화된 디자인을 탈피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선반 선택의 폭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구조의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구조의 선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받침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받침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의 선반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부(200)와 받침부(400) 및 와이어부(60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지면에 적어도 둘 이상이 기립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교각부(200)가 배치된다.
이때, 교각부(200)는 총 세 부분의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먼저, 제1지지유닛(220)은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210)가 이격 배치되는 제1지지대(224)와, 상기 제1지지대(224)의 상단에 결합되며 받침부(400)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1안착틀(22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대(224)의 각 지지부재(210) 하단에서 지면과 밀착하도록 연장되되 일정 지점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230)가 형성된다.
덧붙여,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230)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230)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234)에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납용기(236)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232)에 물품을 올려놓거나 상기 수납용기(236)에 물품을 보관함으로써 수납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용기(236)는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최소한의 구성으로 수납공간을 더 확보하기 위해 상기 공간부(234)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용기(236) 일면에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238)가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어 보다 편리하게 수납용기(236)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236)에 의해 지지면적이 넓어져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지지유닛(240)은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210)가 이격 배치되어 하단이 상기 제1안착틀(228)에 제2지지대(24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대(242)의 상단에 결합되며 소정 형상의 삽입홈(246)이 형성된 제2안착틀(244)로 구성된다.
또한, 제3지지유닛(260)은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210)가 이격 배치되는 제3지지대(262)와, 상기 제3지지대(262)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안착틀(244)의 삽입홈(246)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돌기(266)가 형성된 제3안착틀(264)과, 상기 제3지지대(262)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안착틀(244)의 삽입홈(246)과 동일한 삽입홈(246)이 형성된 제4안착틀(26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266)와 상기 삽입홈(246)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돌기(266)는 제2안착틀(244)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46)은 제3안착틀(264)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10)는 용도에 맞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210)로 인해 격자 형태의 획일화된 디자인을 탈피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심미적인 어필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안착틀(264)에 받침유닛(283)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지지유닛(260)과 상기 받침유닛(28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유닛(283)의 하중 일부를 인장력으로 지탱하는 와이어유닛(286)을 포함하는 적층부(28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적층부(280)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교각부(200)의 상부에 적층되어 다단의 선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의 전체적인 높이가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보관할 물품의 수가 적거나 눈높이가 낮은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적층부(280)를 분리하여 선반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고, 보다 더 많은 물품을 보관할 경우 및 적층부(28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양단부가 최외측에 배치된 교각부(200)를 지나 더 돌출되도록 각각의 교각부(200)에 교차 결합되는 받침부(4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400)에는 책 등의 물품을 올려놓아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2,3안착틀(228,244,264)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받침부재(470)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일정 지점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받침부재(470)가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470)의 상단에 받침부(400) 내지 받침판(480)이 더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많은 물품의 보관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받침부(400)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4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며 일정 지점에서 기립 고정되는 유동받침대(440)를 포함한다. 즉,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받침대(440)가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상기 받침부(40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받침부(400)의 어느 위치에서든 책 등의 물품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책장에서 사용되는 책 받침대를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420)은 상기 받침부(40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424)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424)의 내측벽에는 가이드홈(428)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받침대(440)에는 상기 가이드홈(428)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452)가 형성된 유동몸체(450)와 상기 유동몸체(450)의 중앙부에서 기립하되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거치받침부재(460)가 결합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유동받침대(440)는 상기 가이드레일(420)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유동받침대(44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레일(420)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거치받침부재(460)를 상기 유동몸체(450)측으로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가이드레일(420)에 따른 유동받침대(440)의 이동뿐만 아니라 상기 유동몸체(450)의 외측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바퀴가 이격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400)의 측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받침부재(460)의 일단에 관통 형성된 제1결합공(462)의 내부에 결합부재(466)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몸체(450)에는 상기 거치받침부재(46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의 결합홈(454)과 제1결합공(462)에 대응하는 제2결합공(456)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거치받침부재(460)가 일정지점에서 기립했을 때 걸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거치받침부재(460)는 양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되어 책 등의 물품을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각부(200)와 상기 받침부(4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400)의 하중 일부를 인장력으로 지탱하는 와이어부(6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부(600)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교각부(200)와 상기 받침부(400) 사이에서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600)와 연결되는 교각부(200)와 받침부(400)에는 앵커부재(610)가 형성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사 홈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와이어부(600)의 텐션을 유지하여 상기 받침부(400)를 일정한 인장력으로 지탱할 수 있다.
덧붙여, 책 등의 물품 보관 및 사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부(600)는 벽 측에 가까운 교각부(200)와 받침부(400)를 연결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물품의 무게로 선반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셋째, 격자 형태의 획일화된 디자인을 탈피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선반 선택의 폭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교각부: 200
지지부재: 210
제1지지유닛: 220
제1지지대: 224
제1안착틀: 228
보조지지부재: 230
커버부재: 232
공간부: 234
수납용기: 236
손잡이: 238
제2지지유닛: 240
제2지지대: 242
제2안착틀: 244
삽입홈: 246
제3지지유닛: 260
제3지지대: 262
제3안착틀: 264
삽입돌기: 266
제4안착틀: 268
적층부: 280
받침유닛: 283
와이어유닛: 286
받침부: 400
가이드레일: 420
가이드홀: 424
가이드홈: 428
유동받침대: 440
유동몸체: 450
가이드돌기: 452
결합홈: 454
제2결합공: 456
거치받침부재: 460
제1결합공: 462
결합부재: 466
받침부재: 470
받침판: 480
와이어부: 600
앵커부재: 610

Claims (7)

  1. 지면에 적어도 둘 이상이 기립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교각부(200);
    양단부가 최외측에 배치된 교각부(200)를 지나 더 돌출되도록 각각의 교각부(200)에 교차 결합되는 받침부(400); 및
    상기 교각부(200)와 상기 받침부(4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400)의 하중 일부를 인장력으로 지탱하는 와이어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교각부(200)는,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가 이격 배치되는 제1지지대(224)와, 상기 제1지지대(224)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1안착틀(228)로 구성된 제1지지유닛(220), 및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210)가 이격 배치되어 하단이 상기 제1안착틀(228)에 결합되는 제2지지대(242)와, 상기 제2지지대(242)의 상단에 결합되며 소정 형상의 삽입홈(246)이 형성된 제2안착틀(244)로 구성된 제2지지유닛(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구조의 선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가 이격 배치되는 제3지지대(262), 상기 제3지지대(262)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안착틀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돌기(266)가 형성된 제3안착틀(264) 및 상기 제3지지대(262)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안착틀(244)의 삽입홈과 동일한 삽입홈(246)이 형성된 제4안착틀(268)로 구성된 제3지지유닛(260)과,
    상기 제3안착틀(264)에 결합되는 받침유닛(283), 및
    상기 제3지지유닛(260)과 상기 받침유닛(28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유닛(283)의 하중 일부를 인장력으로 지탱하는 와이어유닛(286)을 포함하는 적층부(2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층부(2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교각부(200)의 상부에 적층되어 다단의 선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구조의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부(200)는,
    상기 제1지지대(224)의 각 지지부재(210) 하단에서 지면과 밀착하도록 연장되되 일정 지점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230)와,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230)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230)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234)에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납용기(2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구조의 선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며 일정 지점에서 기립 고정되는 유동받침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구조의 선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420)은, 상기 받침부(4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424)과, 상기 가이드홀(424)의 내측벽에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42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받침대(440)는, 상기 가이드홈(428)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424)가 형성된 유동몸체(450)와, 상기 유동몸체(450)의 중앙부에서 기립하되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받침부재(4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구조의 선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600)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교각부(200)와 상기 받침부(400) 사이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구조의 선반.
KR1020150149893A 2015-10-28 2015-10-28 브릿지 구조의 선반 KR101793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893A KR101793556B1 (ko) 2015-10-28 2015-10-28 브릿지 구조의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893A KR101793556B1 (ko) 2015-10-28 2015-10-28 브릿지 구조의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38A KR20170049038A (ko) 2017-05-10
KR101793556B1 true KR101793556B1 (ko) 2017-11-20

Family

ID=5874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893A KR101793556B1 (ko) 2015-10-28 2015-10-28 브릿지 구조의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5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0973A (ja) * 1998-08-10 2000-02-22 W Elsworth Arthur 棚を有する選択的に変更可能なモジュール式スペース・システム
KR101553614B1 (ko) * 2015-03-30 2015-09-16 임용성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0973A (ja) * 1998-08-10 2000-02-22 W Elsworth Arthur 棚を有する選択的に変更可能なモジュール式スペース・システム
KR101553614B1 (ko) * 2015-03-30 2015-09-16 임용성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38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966B1 (ko) 도서순번정리용가이드가 구비된 책장
KR101476618B1 (ko) 어메니티 시스템 가구
KR20100010943U (ko)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KR200482736Y1 (ko) 모니터의 높낮이를 가변할 수 있는 모니터 받침대
KR101793556B1 (ko) 브릿지 구조의 선반
US20140048500A1 (en) Shelving system
KR20130115405A (ko) 슬라이딩 이중책장
KR200433786Y1 (ko) 칸막이가 구비된 수납장
JP4648490B1 (ja) 椅子収納部付机
KR200446024Y1 (ko) 책장용 책꽂이 장치
JP6422373B2 (ja) 天板付き家具
KR101675237B1 (ko) 중력을 이용한 장식장용 흔들이 선반
KR20130058932A (ko) 물품보관대
KR20160130555A (ko) 접이식 독서대
KR101318845B1 (ko) 높이 조절 독서대
KR200410170Y1 (ko) 신발장 선반
KR20140002951A (ko) 도서 또는 잡지 진열 및 보관 겸용 서가
CN213524637U (zh) 一种儿童沙发
CN208339260U (zh) 收纳格和储物柜
KR20110000759U (ko) 가구용 디바이더
JP5732221B2 (ja)
JP3171053U (ja) 直立ケース
KR200475840Y1 (ko) 북엔드
KR20130122037A (ko) 수납장
KR101548258B1 (ko) 경사 선반을 구비한 도서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