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44Y1 - 와이어를 이용한 랙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44Y1
KR200472344Y1 KR2020130009978U KR20130009978U KR200472344Y1 KR 200472344 Y1 KR200472344 Y1 KR 200472344Y1 KR 2020130009978 U KR2020130009978 U KR 2020130009978U KR 20130009978 U KR20130009978 U KR 20130009978U KR 200472344 Y1 KR200472344 Y1 KR 200472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ack
fixing
pai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성
Original Assignee
임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성 filed Critical 임용성
Priority to KR2020130009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 A47B55/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와이어를 이용한 랙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소정의 제1 고정부에 의해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소정의 제2 고정부에 의해서 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지지대가 서로 마주보며 세워져서 이루어지는 지지부, 막대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의 한 쌍의 지지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걸림홈에 양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일측면에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부, 막대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의 다른 한 쌍의 지지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걸림홈에 양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일측면에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관통홀 및 이에 대응되는 제2 고정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윗면에 물건을 올려놓았을 때 상기 물건을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랙{Rack using Wire}
본 고안은 와이어를 이용한 랙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적재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와이어를 이용한 랙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렛트 적재용 랙은 두 쌍의 기둥, 상기 기둥의 측면에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윗면에 설치되어 물건을 지지하는 선반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파렛트 적재용 랙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면 선반이 두꺼워진다. 이로 인해, 추가되는 자재와 인건비 지출 등으로 인해 랙의 제작비용이 올라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녹색산업 중 하나인 물류보관 시설물 설치를 주저하게 하고, 나아가 녹색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이어진다.
또한, 종래의 파렛트 적재용 랙은 선반의 두께가 한정되어 있어 선반의 두께에 따른 규격도 정해져 있다. 이러한 적재용 랙을 창고와 같은 빈 공간에 설치한 후 공간이 남았을 때, 남은 공간의 폭이 적재용 랙보다 좁으면 남은 공간에 적재용 랙을 설치할 수 없어 공간 활용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1700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를 이용한 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지지부,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및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는 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소정의 제1 고정부에 의해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소정의 제2 고정부에 의해서 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지지대가 서로 마주보며 세워져서 이루어진다.
제1 고정부는 막대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의 한 쌍의 지지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걸림홈에 양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일측면에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제2 고정부는 막대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의 다른 한 쌍의 지지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걸림홈에 양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일측면에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와이어는 상기 제1 고정부의 관통홀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고정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윗면에 물건을 올려놓았을 때 상기 물건을 지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의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고정대, 회전부 및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대는 상기 지지부의 걸림홈에 걸려 고정되는 브라켓이 돌출형성되는 측면벽과 상기 측면벽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판이 형성된다.
회전부는 막대형상으로, 상기 고정대의 한 쌍의 돌출판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측면에 상기 관통홀을 구비한다.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하나의 돌출판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끝단과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하여 무게가 무거운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철의 사용량이 적은 와이어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시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하여 물건의 무게를 지지함으로써, 와이어의 윗면에 형성되는 선반의 두께가 얇아도 물건을 지지할 수 있어, 선반 재료의 사용량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와이어의 장력을 위주로 물건을 지지함으로써 선반의 두께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길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지지대 사이의 거리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지지부와 제1 및 제2 고정부 및 와이어 등 적은 개수의 자재만 이용함으로써 부자재가 많이 들지 않아 설치가 간편하며, 설치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기존의 랙에서 사용하던 지지기둥에 제1 및 제2 고정부를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랙과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한 쌍의 지지대의 각각 높이가 다른 걸림홈에 제1 및 제2 고정부를 고정시켜 기울기를 조절하면, 랙에 물건을 수납할 때 물건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화물차와 같이 물건을 싣는 공간이 있는 차량에 설치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은, 벽과 지지부 사이의 작은 공간에 제1 및 제2 고정부 및 와이어를 설치해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어 자리손실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고정부 및 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및 제2 고정부 및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및 제2 고정부 및 와이어의 다른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를 이용한 랙의 설치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랙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고정부 및 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및 제2 고정부 및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1 및 제2 고정부 및 와이어의 다른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지지부(102), 제1 고정부(104), 제2 고정부(106) 및 와이어(108)를 포함한다.
기존의 랙과는 다르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두꺼운 선반 대신 와이어(108)를 사용하여 물건(116)을 지지할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부(102)는 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소정의 제1 고정부(104)에 의해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103)와 소정의 제2 고정부(106)에 의해서 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지지대(105)가 서로 마주보며 세워져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103)는 제1 지지대(111)와 제2 지지대(113)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 쌍의 지지대(105)는 제1 지지대(115)와 제2 지지대(117)로 이루어진다.
당업자라면, 지지부(102)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제1 고정부(104)는 막대형상으로, 지지부(102)의 한 쌍의 지지대(103)의 서로 대응되는 걸림홈(미도시)에 양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일측면에 복수개의 관통홀(112)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제2 고정부(106)는 막대형상으로, 지지부(102)의 다른 한 쌍의 지지대(105)의 서로 대응되는 걸림홈(미도시)에 양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일측면에 복수개의 관통홀(112)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당업자라면, 제1 고정부(104) 및 제2 고정부(104, 106)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와이어(108)는 제1 고정부(104)의 관통홀(112) 및 이에 대응되는 제2 고정부(106)의 관통홀(1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윗면에 물건(116)을 올려놓았을 때 물건(116)을 지지한다.
제1 고정부(104) 및 제2 고정부(106)에 와이어(108)를 걸어 고정하면 와이어(108) 자체에서 장력이 발생한다. 이렇게 장력이 발생한 와이어(108) 윗면에 물건(116)을 올려놓아도 와이어(108)가 물건(116)의 무게에 의해 쳐지지 않는다.
만약, 와이어(108)와 와이어(108) 사이의 공간이 넓을 경우, 와이어(108)를 이전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와이어(108)와 와이어(108) 사이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소정의 길이조절부재(150)를 이용하여 와이어(108)의 길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와이어(108)와 와이어(108) 사이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08)와 와이어(108) 사이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와이어(108)의 장력을 이용하여 무게가 무거운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와이어(108)의 장력을 이용하여 물건(116)의 무게를 지지함으로써, 와이어(108)의 윗면에 형성되는 선반의 두께가 얇아도 물건(116)을 지지할 수 있어, 선반 재료의 사용량이 감소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와이어(108)의 장력을 위주로 물건(116)을 지지함으로써 선반의 두께가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의 파렛트 적재용 랙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면 선반이 두꺼워져서, 추가되는 자재와 인건비 지출 등으로 인해 랙의 제작비용이 올라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랙과 다르게 두꺼운 철판 대신 와이어(108)로 물건(116)을 지지시킴으로써, 랙 제작시 드는 철의 사용량을 1/3 가량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랙(100) 제작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랙의 제작비용이 올라간다는 문제가 해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철의 사용량이 적은 와이어(108)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시 비용이 절감된다.
제1 고정부(104) 및 제2 고정부(106)는, 고정대(210), 회전부(220) 및 장력조절부재(120)를 포함한다.
고정대(210)는 지지부(102)의 걸림홈(미도시)에 걸려 고정되는 브라켓(114)이 돌출형성되는 측면벽(242)과 측면벽(242)의 양 끝단에 지지부(102)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판(240)이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대(103)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의 브라켓(114)이 삽입되고, 브라켓(114)이 걸림홈(미도시)에 삽입시킨 후에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를 내려놓으면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의 위치가 고정된다.
회전부(220)는 막대형상으로, 고정대(210)의 한 쌍의 돌출판(240)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측면에 관통홀(112)을 구비한다.
장력조절부재(120)는 하나의 돌출판(24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회전부(220)의 일끝단과 결합되며, 회전부(220)를 회전시켜서 와이어(108)의 장력을 조절한다.
회전부(220)는 돌출판(240)을 관통하여 장력조절부재(120)와 연결된다.
장력조절부재(120)는, 조작버튼(130), 기어(132) 및 걸림부(134)를 포함한다.
조작버튼(130)은 하나의 돌출판(24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때 회전부(220)의 관통홀에 삽입된 와이어(108)가 회전부(220)의 측면에 권취되거나 푸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와이어(108)의 장력 세기를 조절한다.
기어(132)는 조작버튼(130)의 뒷면과 하나의 돌출판(240)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조작버튼(130)이 회전할 때 조작버튼(13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걸림부(134)는 일단이 기어(132)의 톱니와 톱니 사이에 결합되며, 회전되는 기어(13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버튼(130)을 회전시키면, 조작버튼(130)과 결합되어 있는 기어(132)도 조작버튼(130)의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기어(132)가 회전하면 기어(132)에 연결된 회전부(220)가 회전하면서 와이어(108)가 회전부(220)의 측면에 감긴다. 이 때, 와이어(108)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어 와이어(108)의 장력이 증가한다. 회전한 기어(132)의 톱니에 걸림부(134)의 일단을 걸면 기어(132)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아서 와이어(108)의 증가된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와이어(108)의 장력을 줄이고 싶을 때는 기어(132)의 톱니에 걸려있는 걸림부(134)를 톱니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 기어(132)를 시계방향으로 일정량 회전시켜서 와이어(108)의 장력을 줄이고 기어(132)의 톱니에 걸림부(134)를 다시 걸면, 기어(132)의 위치가 고정되어 기어(132)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장력조절부재(120)로 자키(또는 작기, jack)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장력조절부재(12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제1 고정부(104) 및 제2 고정부(106)는, 걸림턱(140) 및 후크(142)를 더 포함한다.
걸림턱(140)은 물건(116)이 와이어(108)를 따라 움직일 때, 물건(116)이 제1 고정부(104) 및 제2 고정부(106)의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측면벽(242)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4)와 제2 고정부(106) 사이에 각도 a(0 내지 90°)를 주고 즉,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치하면, 와이어(108)를 통해 물건(116)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어 물건(116) 운반이 간편해져 업무효율을 늘릴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한 쌍의 지지대(103)의 각각 높이가 다른 걸림홈(미도시)에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를 고정시켜 기울기를 조절하면, 랙(100)에 물건을 수납할 때 물건(116)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후크(142)는 회전부(220)의 하면에 형성되어 와이어(108)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8)는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142)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후크(142)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길이조절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재(150)는 하나의 와이어(108) 끝단과 다른 하나의 와이어(108)의 끝단을 체결시켜서 전체 와이어(108)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전체 와이어(10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108)의 중간에 길이조절부재(150)를 설치하여, 와이어(10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08)의 길이가 짧을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재(150)를 이용하여 짧은 길이의 와이어(108)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08)에 길이조절부재(150)를 설치하면 와이어(108)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108)의 길이가 한정되지 않는다.
길이조절부재(150)로 턴버클(turnbuckle)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길이조절부재(15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받침판(152)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52)은 와이어(108)의 윗면에 형성되어 와이어(108)와 와이어(108) 사이로 물건(116)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받침판(152)은 와이어(108)와 와이어(108)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는 물건이 와이어(108)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랙(100)에 어느 물건을 수납할 지 모르기 때문에 와이어(108) 간격보다 좁은 크기의 물건을 지지하게 될 경우 수납하기 용이하다. 즉, 다양한 크기의 물건들을 수납하기 용이하다.
받침판(152)으로 얇은 철판이나 함석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받침판(152)의 형태 및 재질이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조절바(160) 및 고정핀(162)을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바(160)는 지지부(102)의 윗면에 형성되고, 윗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홀(170)을 구비하여, 한 쌍의 지지대(103)와 다른 한 쌍의 지지대(105) 사이의 폭을 조절한다.
고정핀(162)은 조절바(160)의 고정홀(170)에 삽입되어, 지지부(10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종래의 파렛트 적재용 랙은 창고와 같은 빈 공간에 설치한 후 공간이 남았을 때, 남은 공간의 폭이 적재용 랙보다 좁으면 남은 공간에 적재용 랙을 설치할 수 없어 공간 활용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조절바(160) 및 고정핀(162)을 이용하여 지지부(102)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좁은 공간에도 랙(100)을 설치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소정의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2)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랙(100)의 설치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8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랙을 설치하기에 부족한 공간에도 지지부(102)의 폭을 조절해서 본 고안에 따른 랙(100)을 잘 활용할 수 있다.
고정핀(162)은 조절바(160)의 고정홀(170)에 고정되는데, 어느 위치의 고정홀(170)과 결합되느냐에 따라 지지부(102)의 간격이 달라진다.
조절바(160)와 고정핀(162)을 이용해서 랙(100)의 간격을 조정할 때, 한 쌍의 지지대(103)를 밀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지지부(102)의 윗면에 조절바(160)와 고정핀(162)을 설치하여 바뀐 한 쌍의 지지대(10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길이조절부재(150)를 이용하여 와이어(108)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지지대(103) 사이의 거리가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서랍(180)을 더 포함한다.
서랍(180)은 랙(100)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와이어(108)를 보관할 수 있다.
랙(100)의 아랫면에 서랍(180)을 구비하면, 여분의 와이어(108)나 기타 필요한 물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를 이용한 랙의 설치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300)의 뒷면인 짐을 실을 수 있는 공간에 랙(200)을 설치하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차의 경우 짐을 싣는 공간 측면에 지지부(102)를 세우고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를 설치한 후 와이어(108)를 결합시켜서 물건(116)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을 만든다. 여기서, 와이어(108)를 얼마나 좁은 간격으로 연결하느냐에 따라 와이어(108)가 지지하는 물건(116)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200)은, 화물차와 같이 물건을 싣는 공간이 있는 차량에 설치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가 설치되는 방향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층을 갖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지지부(102)와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 및 와이어(108) 등 적은 개수의 자재만 이용함으로써 부자재가 많이 들지 않아 설치가 간편하며, 설치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랙(100)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지 않아서 사업성이 좋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250)은, 벽과 지지부(102) 사이의 작은 공간에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 및 와이어(108)를 설치해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어 자리손실이 감소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4)의 브라켓(114)을 벽(350)의 홈(미도시)에 고정시키면 제1 고정부(104)가 벽(350)에 고정되어 와이어(108)와 제2 고정부(106) 및 지지부(102)를 연결하여 랙(25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랙(100)은, 기존의 랙에서 사용하던 지지기둥에 제1 및 제2 고정부(104, 106)를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랙과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103) 대신 벽(350)을 이용하여 랙(25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도 1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랙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고(400)에 랙(100)을 설치할 경우, 랙(100)과 창고(400)의 벽 사이에 작은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도 8의 B나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바(160)와 고정핀(162)을 이용하거나 제1 고정부(104) 또는 제2 고정부(106)를 벽에 고정시켜서 와이어(108)를 연결함으로써, 창고(400)의 남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와이어를 이용한 랙 102: 지지부
103,105 : 지지대 104: 제1 고정부
106: 제2 고정부 108: 와이어
112: 관통홀 114: 브라켓
116: 물건

Claims (8)

  1. 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소정의 제1 고정부에 의해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소정의 제2 고정부에 의해서 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지지대가 서로 마주보며 세워져서 이루어지는 지지부;
    막대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의 한 쌍의 지지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걸림홈에 양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일측면에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부;
    막대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의 다른 한 쌍의 지지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걸림홈에 양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일측면에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관통홀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고정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윗면에 물건을 올려놓았을 때 상기 물건을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걸림홈에 걸려 고정되는 브라켓이 돌출형성되는 측면벽과 상기 측면벽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판이 형성되는 고정대;
    막대형상으로, 상기 고정대의 한 쌍의 돌출판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측면에 상기 관통홀을 구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하나의 돌출판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끝단과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하나의 돌출판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회전부의 측면에 권취되거나 푸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 세기를 조절하는 조작버튼;
    상기 조작버튼의 뒷면과 상기 하나의 돌출판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버튼이 회전할 때 상기 조작버튼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 및
    일단이 상기 기어의 톱니와 톱니 사이에 결합되며, 회전되는 상기 기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상기 물건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움직일 때, 상기 물건이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상기 측면벽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회전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랙.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와이어 끝단과 다른 하나의 상기 와이어의 끝단을 체결시켜서 전체 와이어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전체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랙.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윗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사이로 상기 물건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랙.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윗면에 형성되고, 윗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홀을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다른 한 쌍의 지지대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바; 및
    상기 조절바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랙.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보관할 수 있는 서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랙.
KR2020130009978U 2013-12-03 2013-12-03 와이어를 이용한 랙 KR200472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978U KR200472344Y1 (ko) 2013-12-03 2013-12-03 와이어를 이용한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978U KR200472344Y1 (ko) 2013-12-03 2013-12-03 와이어를 이용한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344Y1 true KR200472344Y1 (ko) 2014-04-22

Family

ID=5148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978U KR200472344Y1 (ko) 2013-12-03 2013-12-03 와이어를 이용한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614B1 (ko) 2015-03-30 2015-09-16 임용성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598B1 (ko) * 2004-08-16 2005-07-12 주식회사 만도 운반용 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598B1 (ko) * 2004-08-16 2005-07-12 주식회사 만도 운반용 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614B1 (ko) 2015-03-30 2015-09-16 임용성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9921B1 (en) Pallet
KR200472344Y1 (ko) 와이어를 이용한 랙
ITUB20155102A1 (it) Porta-bici da pavimento
US9643635B2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cart for retail shelving
JP6064428B2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CN103379840A (zh) 支架
KR100500598B1 (ko) 운반용 랙
JP5363768B2 (ja) 荷役用パレットの収容方法と収容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荷役用パレットの保持部材
US10583981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carton flow bed rack and carton flow bed rack
KR101104849B1 (ko) 디스플레이 유닛 운반 장치
JP2020007149A (ja) 巻き取りドラム
JP3178400U (ja) 物品落下防止装置
KR101539254B1 (ko) 후판 적치대 및 이의 이송용 지그
EP3000741B1 (en) Pallet with upper fixing surface
JP5284078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CN105691820A (zh) 可拆卸储物架
JP5578741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JP2009091035A (ja) 二段パレット
CN211810707U (zh) 一种储存摆放架
JP5507918B2 (ja) トラック
CN213057907U (zh) 装载架
KR102221502B1 (ko)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를 이용하는 물품적재대
JP4886054B2 (ja) 段積みラック
JP3175354U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US20160039327A1 (en) Load Carry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