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598B1 - 운반용 랙 - Google Patents

운반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598B1
KR100500598B1 KR1020040064341A KR20040064341A KR100500598B1 KR 100500598 B1 KR100500598 B1 KR 100500598B1 KR 1020040064341 A KR1020040064341 A KR 1020040064341A KR 20040064341 A KR20040064341 A KR 20040064341A KR 100500598 B1 KR100500598 B1 KR 10050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wire
base frame
loa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주식회사 한주 피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주식회사 한주 피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6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 B62B2501/067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은, 저면에 이동용 캐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의 마주보는 각봉 사이에 후방 좌/우측 모서리가 각각 힌지 고정되고, 전방 좌/우측 모서리 저면으로 각각의 버팀대를 연장시켜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의 마주보는 좌/우측변 사이에 장력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적정간격 만곡형상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납용 직물로 이루어지는 수납선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종의 부품을 적재할 수 있고, 수납공간의 확보를 통해 적재수량을 늘리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선반을 착탈함과 동시에 운반용 랙을 절첩보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재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운반용 랙의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해질 뿐 아니라, 좁은 적재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반용 랙 {Rack For Conveyance}
본 발명은 부품을 조립생산라인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운반용 랙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은, 베이스 프레임(20) 저면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각 모서리부에 수직 포스트(30)가 고정된다.
상기 수직 포스트(30)의 마주보는 각봉(31) 사이에 적재 프레임(40)이 힌지 고정되는데, 상기 적재 프레임(40)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고, 그 후방 좌/우측 모서리가 각각 수직 포스트(30)의 힌지 고정부(41)에 고정되며, 전방 좌/우측 모서리 저면으로 버팀대(42)가 형성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적재 프레임(40)은 장변부 사이를 잇는 다수의 횡봉(43)이 형성되고, 다시 횡봉(43)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U"자형 홈을 갖는 부품 거치대(4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품 거치대(44)의 "U"자형 홈은 차축 등과 같은 부품의 외경 크기에 맞도록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을 이용한 부품 적재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최 상단 프레임(40)이 적정 각도 회동되어 고정바(50)에 의해 고정되고, 최 하단 적재 프레임(40)을 제외한 나머지 적재 프레임(40)들이 별도의 연결고리(60)를 이용해 바로 위 프레임(40)들과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최 하단 적재 프레임(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부품 거치대(44)에 차량용 부품을 적재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최 하단 적재 프레임(40)에 대한 적재작업이 완료되면, 바로 위 적재 프레임(40)을 연결고리(6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차량용 부품을 적재토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운반용 랙의 최 상단 적재 프레임(40)까지 적재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생산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근거리의 경우 베이스 프레임(20) 저면에 형성된 캐스터(10)를 이용해서 이동시키게 되지만, 장거리의 경우에는 차량을 이용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운반용 랙으로부터 부품을 하역할 때에는 적재작업과 반대의 순서로 최 상단의 적재 프레임(40)으로부터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사이즈의 부품만을 적재할 수 있는 구조여서, 다양한 기종의 부품을 적재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은 절첩되지 않는 구조여서, 보관 시, 넓은 적재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품이 적재되지 않는 운반용 랙 만을 운송할 때에도 운송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은 작업자의 머리 위에 적재프레임이 재치된 상태로 고정되고 있어, 적재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종의 부품을 적재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용 랙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늘려 부품의 적재 수량을 늘리도록 하는 운반용 랙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선반을 착탈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첩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용 랙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은, 저면에 이동용 캐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의 마주보는 각봉 사이에 후방 좌/우측 모서리가 각각 힌지 고정되고, 전방 좌/우측 모서리 저면으로 각각의 버팀대를 연장시켜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의 마주보는 좌/우측변 사이에 장력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적정간격 만곡형상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납용 직물로 이루어지는 수납선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은, 저면에 이동용 캐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한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 한 쌍에 절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의 마주보는 각봉 사이에 단계별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상에 다수 개 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들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장력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적정간격 만곡형상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납용 직물로 이루어지는 수납선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은, 저면에 이동용 캐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한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의 마주보는 각봉 사이에 단계별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상에 다수 개 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들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장력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적정간격 만곡형상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납용 직물로 이루어지는 수납선반;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랙은, 저면에 이동용 캐스터(110)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1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의 각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수직 포스트(130)와, 상기 수직 포스트(130)의 마주보는 각봉(131) 사이에 후방 좌/우측 모서리가 각각 힌지 고정되고, 전방 좌/우측 모서리 저면으로 각각의 버팀대(142)를 연장시켜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 적재 프레임(140)과, 상기 적재 프레임(140)의 마주보는 좌/우측변 사이에 결합되어 부품이 적재되도록 하는 수납선반(17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선반(170)은 적재 프레임(140)의 좌/우측변 사이에 장력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171)와, 상기 와이어(171)에 의해 적정 간격 만곡 형상의 수납공간(174)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납용 직물(173)로 이루어진다.
도 3a내지 3b는 도 2의 수납선반을 나사부재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고정 결합시키는 구조를 보인 개략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적재 프레임(140)의 일측변(도면에서는 우측변으로 도시됨)에 와이어 고리(143)가 용접되고, 이와 대향하는 타측변에 너트부재(144)가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고리(143)와 너트부재(144)를 이용하여 수납선반(170)을 결합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와이어 고리(143)에 수납선반(170)의 일측 와이어(171) 끝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 와이어(171) 끝단에 결합시킨 나사부재(172)와 너트부재(144)를 체결시킴으로서, 결합 및 장력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나사부재(172)는 스패너 등의 별도 작업도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킴으로서, 전후 이동되는데, 상기 나사부재(172)가 전진함에 따라 와이어(171)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 도중에 적재부품의 무게에 의해서 와이어(171)가 쳐지게 되더라도 나사부재(172)을 회전시킴으로서, 간단하게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운반용 랙을 이용한 부품 적재작업 및 하역작업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납선반(170)에 부품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의 적재 프레임(140)들 중 최 하단의 적재 프레임(140)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140) 각각이 힌지 고정부(141)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되어 회동상태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최 상단 프레임(140)이 고정바(150)에 의해 회동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고, 나머지 적재 프레임(140)들은 바로 위 프레임(140)과 연결된 별도의 연결고리(16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처럼, 최 하단 적재 프레임(140)이 개방되고, 작업자는 수납선반(170)의 수납공간(174)에 각종 부품(예: 차 축 등)을 적재하게 된다.
상기 수납공간(174)에 적재되는 각종 부품들은 만곡되어진 수납용 직물(173)에 의해 감싸지게 됨에 따라서, 마찰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운반 랙의 이동 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최 하단 적재 프레임(140)에 대한 적재작업이 완료되면, 바로 위 적재 프레임(140)을 연결고리(16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품적재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운반용 랙의 최 상단 적재 프레임(140)까지 적재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운반용 랙의 베이스 프레임(120) 저면에 형성된 캐스터(110)를 이용해서 생산라인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된 운반용 랙으로부터 부품을 하역할 때에는 적재작업과 반대로 최 상단의 적재 프레임(140)부터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하역이 완료된 최 상단 프레임(140)은 힌지 고정부(141)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킨 후, 고정바(15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하역작업이 완료된 적재 프레임(140)들도 바로 위 프레임(140)과 연결된 연결고리(160)에 의해 회동 각이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최 하단 적재 프레임(140)의 부품 하역작업까지 마무리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와이어(171)에 의해 적정 간격 분할 지지되는 수납용 직물(173)에 의한 수납공간(174)을 형성함으로서, 적재되는 부품의 크기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공간(174)과 수납공간(174) 사이가, 와이어(171)에 의해 구획됨에 따라, 적재공간을 늘릴 수 있고, 이에 적재 부품의 수량을 늘리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은, 저면에 이동용 캐스터(210)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2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고정 지지대(230)와, 상기 고정 지지대(230) 한 쌍에 절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수직 포스트(240)와, 상기 수직 포스트(240)의 마주보는 각봉(241) 사이에 단계별로 형성되는 지지대(242)와, 상기 지지대(242)의 길이방향 상에 다수 개 형성되는 걸림돌기(260)와, 상기 걸림돌기(260)들에 의해 착/탈 고정되는 수납선반(2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지지대(230)와 수직 포스트(240)의 결합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 지지대(230) 내에 수직 포스트(240)가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삽입된다.
이를 위해서, 고정 지지대(230) 측면에 적정길이의 가이드 홈(231)이 형성되고, 수직 포스트(240)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231)과 상호 정합을 이루는 가이드 돌기(243)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243)는 고정 지지대(230)로부터 수직 포스트(240)가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 홈(231)을 타고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가이드 돌기(243)를 회전축으로 해서 수직 포스트(240)가 베이스 프레임(220) 내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 수직 포스트(240)의 회동방향에 위치하는 고정 지지대(230)의 일면이 제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포스트(240)는 마주보는 좌우 각봉(241) 사이를 잇는 다수의 지지대(242)가 수직방향으로 적정 간격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42)는 상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걸림돌기(260)를 형성하는데,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260)는 경사 유도면(261)과, 상기 경사 유도면(261) 끝단에 연장되는 이탈방지곡면(262)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걸림돌기(260)를 이용해 착/탈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수납선반(270)을 설명하면, 한 쌍의 파이프(271)와, 상기 파이프(271) 사이에 장력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272)와, 상기 와이어(272)에 의해 적정간격 만곡형상의 수납공간(274)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납용 직물(273)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운반용 랙을 이용한 부품 적재작업 및 하역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부품 적재작업을 위해, 마주보는 좌우 한 쌍의 수직 포스트(240) 사이에 절첩방지봉(250)을 연결하여, 가이드 돌기(243)를 축으로 수직 포스트(240)가 절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각각의 수직 포스트(240)에 형성된 지지대(242) 사이에 수납선반(270)을 결착한다.
도 5는 도 4의 수납선반을 결합돌기와 결착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지지대(242)는 수직 포스트(240)의 각봉(241)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적정 간격 배치되는데, 좌우 수직 포스트(240) 각각에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각 지지대(242)에는 경사 유도면(261)과 이탈방지곡면(262)으로 이루어진 걸림돌기(260)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선반(270)을 결착하기 위해, 일측 지지대(242)에 형성된 걸림돌기(260)들과 수납선반(270) 일측의 파이프(271)가 정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파이프(271)는 걸림돌기(260)의 이탈방지곡면(262) 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난후, 타측 지지대(242)에 형성된 걸림돌기(260)들과 수납선반(270)의 타측 파이프(271)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파이프(271)는 외압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돌기(260)의 경사 유도면(261) 끝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파이프(271)에 압력을 가해서 누르게 되면, 파이프(271)가 경사 유도면(261)을 타고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와이어(272)에 팽팽하게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파이프(271)에 계속해서 외압을 가하게 되면, 경사 유도면(261) 끝단의 이탈방지곡면(262) 내로 파이프(271)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곡면(262)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경사 유도면(261)과 만나는 곡면(262) 끝단을 파이프(271)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좌우측 파이프(271)에 가해지는 와이어(272)의 인장력 중심보다 곡면을 깊게 형성함으로서, 파이프(271)가 와이어 장력 또는 제품의 하중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납선반(270)의 결착 작업은 수직 포스트(240)의 최 하단부터 최 상단으로 차례로 실시하고, 이와 동시에 부품의 적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부품 적재작업이 완료되면, 베이스 프레임(220) 저면에 형성된 캐스터(210)를 이용하여 운반용 랙을 작업라인까지 이동시키고, 그 곳에서 부품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하역작업은 최 상단 수납선반(270)으로부터 시작해서, 부품 하역이 끝난 수납선반(270)은 수직 포스트(240)의 지지대(242)로부터 분리시키고, 다음 수납선반(270)의 부품 하역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수납선반(270)은 와이어(272)에 의해 장력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도구를 이용해서, 걸림돌기(260)로부터 벗겨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납선반(270)을 수직 포스트(240)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차례대로 장착해가면서 적재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재작업 시, 작업자 위쪽에서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적재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최 하단 수납선반(270)의 하역작업까지 완료되고 나면, 좌우 수직 포스트(24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절첩방지봉(250)을 제거시켜 수직 포스트(240)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a내지 6b는 도 4의 운반용 랙을 절첩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 포스트(240)는 고정 지지대(230)의 가이드 홈(231)을 따라 적정 높이 상승된 지점에서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절첩 시, 좌우 수직 포스트(240)가 안정된 절첩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납선반(270)을 제거한 후, 좌우 수직 포스트(240)를 절첩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운반용 랙의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해지고, 좁은 적재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운반용 랙은 도 4의 제 2실시 예의 구성과 전반적인 구성에서 동일하다. 이에 전체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베이스 프레임(220) 상에 설치된 수직 포스트(240)가 고정되어 절첩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게 되면, 운반용 랙의 절첩을 필요로 하지 않고,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의 적재에 사용이 적합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납선반을 그물 망으로 형성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물 망을 이용해서 수납선반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의 수납선반을 와이어 또는 띠로 형성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와이어 또는 띠로 이루어진 수납선반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그물 망, 와이어 또는 띠를 이루는 수납선반의 소재는 금속재질의 철망 또는 와이어나 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와이어에 의해 적정간격 분할 지지되는 직물에 의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적재 부품의 사이즈나 길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기종의 부품을 적재 및 운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수납공간과 수납공간 사이가, 와이어에 의해 구획됨에 따라, 적재 부품 사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적재수량을 늘리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와이어 양측이 별도 분리된 파이프와 결합되도록 하는 수납용 선반을 형성하고, 운반용 랙의 수직포스트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차례대로 장착 및 적재작업을 반복 수행함으로서, 적재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수납선반을 제거한 후, 좌우 수직포스트를 절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운반용 랙의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해질 뿐 아니라, 좁은 적재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a내지 3b는 도 2의 수납선반을 나사부재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고정 결합시키는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수납선반을 결합돌기와 결착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a내지 6b는 도 4의 운반용 랙을 절첩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운반용 랙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납선반을 그물 망으로 형성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의 수납선반을 와이어 또는 띠로 형성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캐스터 120: 베이스 프레임 130: 수직 포스트
131: 각봉 140: 적재 프레임 141: 힌지 고정부
142: 버팀대 143: 와이어 고리 144: 너트부재
150: 고정바 160: 연결고 170: 수납선반
171: 와이어 172: 나사부재 173: 수납용 직물
174: 수납공간 210: 캐스터 220: 베이스 프레임
230: 고정 지지대 231: 가이드 홈 240: 수직 포스트
241: 각봉 242: 지지대 243: 가이드 돌기
250: 절첩방지봉 260: 걸림돌기 261: 경사유도면
262: 이탈방지곡면 270: 수납선반 271: 파이프
272: 와이어 273: 수납용 직물 274: 수납공간

Claims (8)

  1. 삭제
  2. 저면에 이동용 캐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의 마주보는 각봉 사이에 후방 좌/우측 모서리가 각각 힌지 고정되고, 전방 좌/우측 모서리 저면으로 각각의 버팀대를 연장시켜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의 마주보는 좌/우측변 사이에 장력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적정간격 만곡형상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납용 직물로 이루어지는 수납선반;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3. 저면에 이동용 캐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한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 한 쌍에 절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의 마주보는 각봉 사이에 단계별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상에 다수 개 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들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장력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적정간격 만곡형상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납용 직물로 이루어지는 수납선반;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4. 저면에 이동용 캐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한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의 마주보는 각봉 사이에 단계별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상에 다수 개 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들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장력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적정간격 만곡형상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수납용 직물로 이루어지는 수납선반;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적재 프레임 일측변에 형성한 와이어 고리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에 결합시킨 나사부재를 이용해서, 적재 프레임 타측변에 형성한 너트부재와 체결됨과 동시에 장력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6.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수납선반의 파이프에 압력을 가하여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와이어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경사 유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 유도면 끝단에 파이프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파이프의 결합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 곡면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 유도면과 만나는 곡면 끝단이 파이프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7. 제 2항, 3항 또는 4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직물을 그물 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8. 제 2항, 3항 또는 4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직물을 적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와이어 또는 띠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KR1020040064341A 2004-08-16 2004-08-16 운반용 랙 KR10050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341A KR100500598B1 (ko) 2004-08-16 2004-08-16 운반용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341A KR100500598B1 (ko) 2004-08-16 2004-08-16 운반용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598B1 true KR100500598B1 (ko) 2005-07-12

Family

ID=3730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341A KR100500598B1 (ko) 2004-08-16 2004-08-16 운반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59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79B1 (ko) 2007-04-09 2007-11-05 주식회사 현준정밀 텔레비전 단자커버 적재함
KR100829160B1 (ko) * 2006-09-08 2008-05-20 임용석 부품 운반용 카트
KR200472344Y1 (ko) * 2013-12-03 2014-04-22 임용성 와이어를 이용한 랙
KR101773743B1 (ko) 2017-02-24 2017-08-31 윤석연 유동형 적재지지모듈과 노광용 반건조기판 적재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제조 방법
KR102244011B1 (ko) * 2020-09-14 2021-04-22 정현권 도장 시스템
CN113954934A (zh) * 2021-10-20 2022-01-21 广州旭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左右错位的排气管台车
KR102583867B1 (ko) * 2023-04-21 2023-09-27 (주)케이알에스 부품 리프트 운반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60B1 (ko) * 2006-09-08 2008-05-20 임용석 부품 운반용 카트
KR100773479B1 (ko) 2007-04-09 2007-11-05 주식회사 현준정밀 텔레비전 단자커버 적재함
KR200472344Y1 (ko) * 2013-12-03 2014-04-22 임용성 와이어를 이용한 랙
KR101773743B1 (ko) 2017-02-24 2017-08-31 윤석연 유동형 적재지지모듈과 노광용 반건조기판 적재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제조 방법
KR102244011B1 (ko) * 2020-09-14 2021-04-22 정현권 도장 시스템
CN113954934A (zh) * 2021-10-20 2022-01-21 广州旭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左右错位的排气管台车
KR102583867B1 (ko) * 2023-04-21 2023-09-27 (주)케이알에스 부품 리프트 운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466B2 (en) Packaging structure with sliding retainers for sheets of material
KR100500598B1 (ko) 운반용 랙
WO1988010225A1 (en) A storage device, the use of an operating device and an operating device
JP2000272684A (ja) 大型ガラス板等の板状物立て掛け梱包式lラック型物流具
JP3376404B2 (ja) 櫛形格子状ホルダーを用いたタイヤ等の物品輸送、保管の方法及び輸送、保管用コンテナ
JP4935265B2 (ja) 板状体の輸送用パレット
US1149873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pplying reusable wrapping device on palletized materials
US9307835B2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a warehouse storage system
JP3197861U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JP3485395B2 (ja) 折り畳み式通い容器の収納コンテナー
JP2528755B2 (ja) 建築用パイプ整理棚
US4350357A (en) Shipping and display cart
GB1567942A (en) Container
JPH0891461A (ja) 板状体収納函
KR200153659Y1 (ko) 백패널 적재용 래크
SU1364544A1 (ru) Складной контейнер
JP2896287B2 (ja) 形材積載用パレット
JP2595314Y2 (ja) 建物ユニット積載用架台
JPH08175390A (ja) 物品搬送具
HU195446B (en) Container for oblong cylindrical objects
JPH0142546Y2 (ko)
SU1749127A1 (ru) Поддон дл пакета изделий с центральным отверстием
KR200241711Y1 (ko) 차량운송용 쇼링장치
SU1662902A1 (ru) Поддон
KR920005695Y1 (ko) 강관 적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