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011B1 - 도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011B1
KR102244011B1 KR1020200117434A KR20200117434A KR102244011B1 KR 102244011 B1 KR102244011 B1 KR 102244011B1 KR 1020200117434 A KR1020200117434 A KR 1020200117434A KR 20200117434 A KR20200117434 A KR 20200117434A KR 102244011 B1 KR102244011 B1 KR 102244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ed
rail
frame
mounting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권
Original Assignee
정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권 filed Critical 정현권
Priority to KR102020011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90Spray booths compris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objects or other work to be sprayed in and out of the booth, e.g. through the b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64Overhead conveying means, i.e. the object or other work being suspended from the conveying means; Details thereof, e.g. hanging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도장물을 거치한 상태로 밀폐된 도장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킨 뒤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장 설비의 천장면을 따라 서로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하부가 피도장물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부가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거치대와, 하부가 피도장물의 다른 일측을 체결하고 상부가 상기 제2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거치부; 및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레일부가 내측 천장면을 따라 내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도장물이 내부 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피도장물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하는 도장 부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장 시스템{PAINTING SYSTEM}
본 발명은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도장물을 거치한 상태로 밀폐된 도장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킨 뒤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생산시에는 그 대상물에 다양한 재질 및 색상의 도료를 입히는 도장을 실시하는데, 이는 대상물을 특정 색상으로 도색하거나 혹은 방청 등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자동차 차체 등의 도장을 위해 도장 공장에서 사용하는 도료는 유용성 도료와 수용성 도료로 구별되며, 최근에는 환경오염 감소와 품질 향상을 위해 수용성 도료로 변경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장 방식으로는 스프레이식과 욕탕식의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가운데서 스프레이식은 욕탕식에 비해 대상물의 일부분에 도색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만, 분사된 도료가 미세한 입자 형태로 공기 중에 혼합되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중에 미세한 입자 형태로 혼합된 도료를 포집하기 위한 설비, 즉 도장 부스 내에서 도장이 수행되고 있다.
종래의 도장 장치의 경우에는, 피도장물의 안정적인 거치가 힘들어 도장 공정 도중에 체결이 풀려 피도장물이 파손되거나 피도장물의 표면 전체에 고른 도장이 수행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505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0830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피도장물을 거치한 상태로 밀폐된 도장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킨 뒤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도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은, 도장 설비의 천장면을 따라 서로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하부가 피도장물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부가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거치대와, 하부가 피도장물의 다른 일측을 체결하고 상부가 상기 제2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거치부; 및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레일부가 내측 천장면을 따라 내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도장물이 내부 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피도장물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하는 도장 부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거치대는, "ㄷ"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며,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클램프;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 클램프에 체결되는 상부 거치 바아; 및 상부가 상기 상부 거치 바아에 체결되고, 하부에 상기 피도장물이 체결되는 하부 거치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장 부스는, 상기 피도장물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전단이 개방 형성되며,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전단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피도장물로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도료 분사 노즐들이 내측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은, 도장이 완료된 상기 피도장물이 상기 도장 부스로부터 나오면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피도장물을 분리시킨 뒤 안착시켜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피도장물 이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도장물 이동 장치는, 평면 형태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안착 선반; 상기 안착 선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 상기 안착 선반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도장물의 일측이 안착되는 제1 안착대; 및 상기 제1 안착대와 대향하며 상기 안착 선반의 상측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도장물의 다른 일측이 안착되는 제2 안착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안착대는, 다수 개의 상기 피도장물이 개별적으로 상측면을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격벽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안착 프레임; 후단이 상기 안착 프레임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착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단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지지 탄성체; 및 후단이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착 프레임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전단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프레임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탄성체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W"형태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안착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완충형 지지체;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턱;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턱; 및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하측 모서리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후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하측 모서리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절곡형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체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수납 개구부; 후단이 상기 수납 개구부의 후단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골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골 마다 안착되며,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하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후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회동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수납 개구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개구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후단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내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은 피도장물을 거치한 상태로 밀폐된 도장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킨 뒤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함으로써, 도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도장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도장 부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안착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지지 탄성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안착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간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프레임 지지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5의 연결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10)은, 레일부(100), 거치부(200) 및 도장 부스(300)를 포함한다.
레일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 설비의 천장면을 따라 서로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로 이루어지며, 도장 부스(300)의 내측 공간(310)까지 연장 형성되며, 거치부(200)의 상부가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거치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피도장물(P)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부가 제1 레일(110)에 안착되어 제1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거치대(210)와, 하부가 피도장물(P)의 다른 일측을 체결하고 상부가 제2 레일(120)에 안착되어 제2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거치대(220)로 이루어지며, 도장 부스(300)의 내측 공간(310)까지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100)를 따라 이동되어 도장 부스(300)의 내측 공간(310)으로 피도장물(P)을 이동시킨다.
도장 부스(300)는, 밀폐된 내부 공간(330)을 형성하며, 레일부(100)가 내측 천장면을 따라 내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거치부(200)가 레일부(100)를 따라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어 피도장물이 내부 공간에 안착되면 피도장물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일측면은 피도장물을 거치한 상태로 밀폐된 도장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킨 뒤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함으로써, 도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도장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거치대(210)는, 슬라이딩 클램프(211), 상부 거치 바아(212) 및 하부 거치 바아(21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클램프(211)는, "ㄷ"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레일(110)에 안착되며, 제1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클램프(211)는, "H"형강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레일(110)의 하부 일측에 안착되는 롤러(2111)과 "ㄴ"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2111)의 일측에 설치되는 "ㄴ"형 플레이트(2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ㄴ"형 플레이트(2112)의 하측에 상부 거치 바아(2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거치 바아(212)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가 슬라이딩 클램프(211)의 하측에 체결되며, 하부에 하부 거치 바아(213)가 체결된다.
하부 거치 바아(213)는, 상부가 상부 거치 바아(212)에 체결되고, 하부에 피도장물(P)이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거치 바아(213)는, 피도장물(P)의 거치 높이에 대응하여 두 개 이상이 설치되어 무방할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도장 부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장 부스(300)는, 피도장물(P)이 내부 공간(330)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전단이 개방 형성되며,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전단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320a, 320b)가 연결 설치되며, 피도장물(P)로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도료 분사 노즐(310)들이 내측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20)은, 레일부(100), 거치부(200), 도장 부스(300) 및 피도장물 이동 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일부(100), 거치부(200) 및 도장 부스(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피도장물 이동 장치(400)는, 도장이 완료된 피도장물(P)이 도장 부스(300)로부터 나오면 거치부(200)로부터 피도장물(P)을 분리시킨 뒤 안착시켜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피도장물 이동 장치(400)는, 안착 선반(410), 바퀴(420), 제1 안착대(430) 및 제2 안착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선반(410)은, 제1 안착대(430) 및 제2 안착대(440)가 설치되기 위한 상측 평면을 형성하며, 하측 각 모서리에 바퀴(420)가 설치된다.
바퀴(420)는, 안착 선반(410)의 이동을 위해 안착 선반(410)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제1 안착대(430)는, 제2 안착대(440)와 대향하며 안착 선반(410)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도장물(P)의 일측이 안착된다.
제2 안착대(440)는, 제1 안착대(430)와 대향하며 안착 선반(410)의 상측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피도장물(P)의 다른 일측이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20)은, 피도장물 이동 장치(400)를 이용하여 피도장물(P)의 거치 및 이동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작업자가 도장이 완료된 피도장물(P)을 하나씩 분리 및 이동시켜야 하는 기존의 수작업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여 고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안착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다른 제1 안착대(500)는, 안착 프레임(510), 고정 프레임(520), 연결 플레이트(530), 지지 탄성체(540) 및 프레임 지지체(5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다른 제1 안착대(500)의 구성요소들은, 제2 안착대(44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안착 프레임(510)은, 다수 개의 피도장물(P)이 개별적으로 상측면을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격벽(511)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후단이 고정 프레임(52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지지 탄성체(540)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 프레임(520)은, 후단이 안착 프레임(51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안착 선반(41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 전단에 연결 플레이트(530)가 고정 설치된다.
연결 플레이트(530)는, 고정 프레임(520)의 전단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지지 탄성체(540) 및 프레임 지지체(550)의 전단이 연결 설치된다.
지지 탄성체(540)는, 안착 프레임(510)과 연결 플레이트(530)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안착 프레임(510)과 고정 프레임(520) 사이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프레임 지지체(550)는, 후단이 안착 프레임(5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연결 플레이트(530)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안착 프레임(510)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하여 고정 프레임(520)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전단이 연결 플레이트(530)의 상측을 따라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착대(500)는, 다수 개의 피도장물(P)을 안착시킴에 있어 서로 독립된 공간에 안착시켜 다른 피도장물(P)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 또는 이염에 따른 도장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지지 탄성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탄성체(540)는, 완충형 지지체(541), 상부턱(542), 하부턱(543) 및 절곡형 날개(544)를 포함한다.
완충형 지지체(541)는, 용수철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W"형태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안착 프레임(510)과 고정 프레임(520)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안착 프레임(510)과 고정 프레임(520) 사이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상부턱(542)은, 완충형 지지체(541)의 후단에 설치되어 안착 프레임(5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턱(543)은, 완충형 지지체(541)의 전단에 설치되어 연결 플레이트(53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절곡형 날개(544)는, 완충형 지지체(541)의 하측 모서리가 고정 프레임(520)의 상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방향으로의 이동되면서 고정 프레임(520)의 상부 공간(521)에 수납될 수 있도록 완충형 지지체(541)의 하측 모서리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프레임(520)은, 지지 탄성체(540)가 접근함에 따라 절곡형 날개(544)의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절곡형 날개(544)가 회동된 상태로 일부 수납될 수 있도록 완충형 지지체(541)와 대향하는 상측면이 하측 방향으로 둥글게 함몰 형성(521)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프레임 지지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 지지체(550)는, 수납 개구부(551), 슬라이딩 프레임(552) 및 회동 날개(553)를 포함한다.
수납 개구부(551)는, 연결 플레이트(53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연결 플레이트(530)의 형태에 대응하여 안착 프레임(510)을 관통하고 형성된다.
슬라이딩 프레임(552)은, 후단이 수납 개구부(551)의 후단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연결 플레이트(530)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회동 날개(553)는, 슬라이딩 프레임(552)의 하측을 따라 완충형 지지체(541)의 골(5411)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설치되어 완충형 지지체(541)의 골(5411) 마다 안착되며, 완충형 지지체(541)의 하측이 고정 프레임(520)의 상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플레이트(530)는, 수납 개구부(551)에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 개구부(55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프레임(552)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후단이 개방 형성되고 슬라이딩 프레임(55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내측 공간(531)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플레이트(530)의 내측 공간(531)은, 슬라이딩 프레임(552)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5521)가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돌기(5521)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딩 홈(532)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장 시스템
100: 레일부
200: 거치부
300: 도장 부스
400: 피도장물 이동 장치
500: 제1 안착대

Claims (2)

  1. 도장 설비의 천장면을 따라 서로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하부가 피도장물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부가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거치대와, 하부가 피도장물의 다른 일측을 체결하고 상부가 상기 제2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거치부; 및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레일부가 내측 천장면을 따라 내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도장물이 내부 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피도장물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하는 도장 부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대는,
    "ㄷ"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며,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클램프;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 클램프에 체결되는 상부 거치 바아; 및
    상부가 상기 상부 거치 바아에 체결되고, 하부에 상기 피도장물이 체결되는 하부 거치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도장 부스는,
    상기 피도장물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전단이 개방 형성되며,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전단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피도장물로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도료 분사 노즐들이 내측을 따라 구비되며,
    도장이 완료된 상기 피도장물이 상기 도장 부스로부터 나오면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피도장물을 분리시킨 뒤 안착시켜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피도장물 이동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도장물 이동 장치는,
    평면 형태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안착 선반;
    상기 안착 선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
    상기 안착 선반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도장물의 일측이 안착되는 제1 안착대; 및
    상기 제1 안착대와 대향하며 상기 안착 선반의 상측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도장물의 다른 일측이 안착되는 제2 안착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대는,
    다수 개의 상기 피도장물이 개별적으로 상측면을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격벽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안착 프레임;
    후단이 상기 안착 프레임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착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단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지지 탄성체; 및
    후단이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착 프레임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전단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프레임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탄성체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W"형태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안착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완충형 지지체;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턱;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턱; 및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하측 모서리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후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하측 모서리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절곡형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지지체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수납 개구부;
    후단이 상기 수납 개구부의 후단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골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골 마다 안착되며, 상기 완충형 지지체의 하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후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회동 날개;를 포함하는, 도장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17434A 2020-09-14 2020-09-14 도장 시스템 KR10224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434A KR102244011B1 (ko) 2020-09-14 2020-09-14 도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434A KR102244011B1 (ko) 2020-09-14 2020-09-14 도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011B1 true KR102244011B1 (ko) 2021-04-22

Family

ID=7573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434A KR102244011B1 (ko) 2020-09-14 2020-09-14 도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0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4402A (zh) * 2021-09-13 2021-11-12 何会才 一种建筑材料用木板喷漆装置
CN116422514A (zh) * 2023-06-05 2023-07-14 山东美华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灭火器瓶体自动喷涂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598B1 (ko) * 2004-08-16 2005-07-12 주식회사 만도 운반용 랙
JP2011131151A (ja) * 2009-12-24 2011-07-07 Nakahara:Kk 塗装ハンガ及び塗装ハンガを用いた塗装装置
KR101155052B1 (ko) 2006-08-14 2012-06-11 마코토 우에노 도장 시스템
KR20130084527A (ko) * 2012-01-17 2013-07-25 (주)록키 차량용 범퍼나 바디 도색시 거치하는 거치대 구조
KR101408308B1 (ko) 2012-04-26 2014-06-17 전종문 도장 부스 장치
KR20150001089A (ko) * 2013-06-26 2015-01-06 현정혜 분체도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598B1 (ko) * 2004-08-16 2005-07-12 주식회사 만도 운반용 랙
KR101155052B1 (ko) 2006-08-14 2012-06-11 마코토 우에노 도장 시스템
JP2011131151A (ja) * 2009-12-24 2011-07-07 Nakahara:Kk 塗装ハンガ及び塗装ハンガを用いた塗装装置
KR20130084527A (ko) * 2012-01-17 2013-07-25 (주)록키 차량용 범퍼나 바디 도색시 거치하는 거치대 구조
KR101408308B1 (ko) 2012-04-26 2014-06-17 전종문 도장 부스 장치
KR20150001089A (ko) * 2013-06-26 2015-01-06 현정혜 분체도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4402A (zh) * 2021-09-13 2021-11-12 何会才 一种建筑材料用木板喷漆装置
CN116422514A (zh) * 2023-06-05 2023-07-14 山东美华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灭火器瓶体自动喷涂设备
CN116422514B (zh) * 2023-06-05 2023-09-15 山东美华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灭火器瓶体自动喷涂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011B1 (ko) 도장 시스템
US8453597B2 (en) Paint shop and corresponding method of operation
EP1745858B2 (de) Beschichtungsverfahren und zugehörige Beschichtungseinrichtung
US8312835B2 (en) Powder coating booth
US6746535B2 (en) Apparatus for spray coating a continuously advancing article
US5397394A (en) Powder coating booth
CN111032232B (zh) 用于用涂料粉末涂覆工件的粉末涂覆设备
RU2540387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объектов
US201403049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repair and painting
JP3238413B2 (ja) スプレー塗装装置
US4947787A (en) Apparatus for the electrostatic lacquering of printing circuit boards
US4587924A (e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spray-enameling
EP1681106A1 (de) Reinigungsstation für eine Anlage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Werkstücken
RU9710488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крытия обрабатываемых предметов краской путем напыления
DE102015006666A1 (de) Beschichtungsanlage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DE19722773C1 (de) Pulverbeschichtungskabine mit drehbarem Kabinenwandträger
DE300683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ostatischen beschichtung von werkstuecken, insbesondere grosswerkstuecken, mit pulverfoermigen medien
KR102202144B1 (ko) 도장 부스
JPH05317762A (ja) 塗装用ロボット装置
GB805568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pparatus for electrostatic spray-coating of large objects especially bodies for motor vehicles, with paints, lacquers or the like
KR200329694Y1 (ko) 자동차 도장용 간이 부스
SU716620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краски изделий
DE10200800496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lektrostatischen Beschichten
SU852373A1 (ru) Мал рно-сушильный агрегат окраски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издЕлий СТРуйНыМОблиВОМ
CN213734969U (zh) 一种运输小火车车厢防堵料的出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