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458B1 -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 Google Patents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458B1
KR101919458B1 KR1020170035062A KR20170035062A KR101919458B1 KR 101919458 B1 KR101919458 B1 KR 101919458B1 KR 1020170035062 A KR1020170035062 A KR 1020170035062A KR 20170035062 A KR20170035062 A KR 20170035062A KR 101919458 B1 KR101919458 B1 KR 10191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member
column
pillar
members
automatic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554A (ko
Inventor
황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필
Priority to KR1020170035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45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부재(100)들이 유닛화되어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100)를 상하 구획하며 적치물의 적치가능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화물적재보(200)가 다단 설치되며 전체적인 철골 구조물을 이루는 랙(Rack)(10)을 형성하며 설정 공간 영역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 및 하물적재보간(200)을 크로스바(300)들이 상호 연결되는 자동창고 철골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수평 연결하는 수평연결보(400)의 접촉 부위를 상호 리벳 연결 고정하고, 상기 화물적재보(200)의 단부와 상기 기둥부재(100) 접촉부위간 리벳고정하고, 상기 크로스바(300)의 단부측과 접하는 기둥부재(100)간을 리벳고정하여, 상기 자동창고 철골프레임을 전체적으로 리벳 고정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자동창고 각 연결부위의 리벳 연결에 의해 해당 연결부위가 용접과는 달리 허용 가능한 범위내의 유격성을 갖고 있어 구조물 전체에 걸쳐 제공되는 집중하중이 리벳 연결부위에서 분산되는 효과를 이룰 수 있으며, 각 구조물들이 상호 작용하게 되는 응력(stress)들의 효과적 분산도 가능하게 되어, 비틀림 응력이 발생되더라도 상쇄될 수 있어 구조물의 전체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Automatic warehouse by riveting}
본 발명은 자동화 설비를 이용한 자동 입·출고 방식에 의해 다량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보관, 관리하기 위한 화물 자동창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창고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의 연결 구조를 기존의 용접 방식에서 탈피하여 리베팅 구조로 개선하여, 작업창고의 설치 작업의 효율성 향상과, 작업 공기의 단축에 따른 설치비의 절감, 용융아연도금 강재를 이용하여 품질 유지 및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컬어지는 자동화 창고는 자동화 설비에 의해 화물의 입,출고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최소의 공간에 물품의 수납 효율성을 높여 보관 용이성 및 관리 효율성을 얻기 위한 대형 저장 수단이다.
이러한 자동화 창고는 물류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수단 중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각종 산업 현장의 물품 창고 등에서도 널리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창고는 랙(RACK) 형식으로 구성되는 적치 공간을 좌우에 구비하고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적치/하역 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정해지는 위치에 적치하거나 또는 이미 정하여진 영역에 적치되어 있는 화물의 하역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자동창고 수단은, 다수의 화물적재공간을 전,후면에 각각 매트릭스(Matrix) 상의 셀 형태로 일정간격 배치되는 여러 개의 랙(rack)들과, 이웃되는 2개의 랙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랙에 나란하게 주행하며 화물을 랙의 적재 공간에 반,출입 시키는 리프트(lift),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등과 같은 화물 반출입장치 및 창고와 외부간에 화물운반을 위한 컨베이어, 대차 등의 부대 시설들이 구비되고, 이들 시설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장치가 구축되는 일련의 구성들을 갖추게 된다.
상기 랙(rack)의 경우, H빔 등의 강재를 격자상으로 구축한 고층의 철구조물을 이루는데 화물이 랙의 전후 양쪽에서 출입하기 때문에 좌굴과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재(Brace)를 화물의 출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구조상 랙의 폭방향 중간에 설치하게 되므로,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기둥을 랙의 폭방향으로 3개 내지 4개를 배치한 3-기둥형 또는 4-기둥형 랙의 화물 보관구조로 구성되어 중간에 위치한 1개 또는 2개의 기둥에 가새를 걸어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랙과 상기 랙을 수평상으로 구획하며 물품의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선반 또는 물품 적재를 위한 화물적재보를 구성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가새를 "X"자 형태로 교차하며 랙과 연결하여 좌굴 및 비틀림 등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들의 연결 수단은, 통상 자동창고를 구성하는 파이프 팩 파트는 일반 재질을 이루는 파이프등을 이용하여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상호 연결 작업하고 분체 도장을 거치는 과정을 수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용접 방법등을 통한 구조물의 고정 작업은 작업 조건 및 작업 환경과 용접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고, 자동창고의 특성상 용접에 의한 열변형과 분체 도장 후 운반시 도장이 손상되어 설치 후 터치 작업을 해주어야 하는 등 비효율적인 작업 공정을 요구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43308호 (2008.07.04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일반재질 예컨데 SPSR 400, SPSE 490 과 같은 일반재질의 원자재에서 고강도 아연도금 강재를 이용하고, 각 원자재들의 연결 수단을 리벳방식을 취하는 조립식 공법을 통하여 자동창고의 품질 및 공기 절감과 이로부터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용접 방식을 통한 고정시, 용접 작업에 따른 열변형 가능성을 배제하고 일정 영역의 구조체를 미리 용접 한 후 작업 현장으로 각 구조체들의 운반 및 현장 내에서의 구조체들의 용접 작업들을 통한 전체적 결합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번잡한 작업 과정 없이 현장 내에서 리벳 공법에 따라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 되는 기존의 용접 부위의 불균형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비틀림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부재(100)들이 유닛화되어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100)를 상하 구획하며 적치물의 적치가능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화물적재보(200)가 다단 설치되며 전체적인 철골 구조물을 이루는 랙(Rack)(10)을 형성하며 설정 공간 영역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 및 하물적재보간(200)을 크로스바(300)들이 상호 연결되는 자동창고 철골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수평 연결하는 수평연결보(400)의 접촉 부위를 상호 리벳 연결 고정하고,
상기 화물적재보(200)의 단부와 상기 기둥부재(100) 접촉부위간 리벳고정하고,
상기 크로스바(300)의 단부측과 접하는 기둥부재(100)간을 리벳고정하여, 상기 자동창고 철골프레임을 전체적으로 리벳 고정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자재를 이용하여 용접 공법을 통한 결합시 자재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강도 아연도금 강재를 이용하여 리벳 연결하는 방식을 따를 때 원자재의 두께를 줄여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는 물론, 경량화에 따른 물류비용의 절감과, 작업 능률의 향상 및 작업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자재를 고강도 아연도금 강재로 채택하므로서 인장강도를 700 MPa 이상 높일 수 있어 구조적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자재의 운반시 외부로부터의 충격등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거나 구부러지는 등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원자재가 용융아연도금 된 상태에서 작업 가능하게 되므로 품질 유지 및 제작 공기 등의 절감에 따른 경제적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자동창고 각 연결부위의 리벳 연결에 의해 해당 연결부위가 용접과는 달리 허용 가능한 범위내의 유격성을 갖고 있어 구조물 전체에 걸쳐 제공되는 집중하중이 리벳 연결부위에서 분산되는 효과를 이룰 수 있으며, 각 구조물들이 상호 작용하게 되는 응력(stress)들의 효과적 분산도 가능하게 되어, 비틀림 응력이 발생되더라도 상쇄될 수 있어 구조물의 전체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리벳 고정 연결되는 자동창고의 전체적 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둥부재가 바닥면에 고정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기둥부재와 기둥부재를 상하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기둥부재를 하나로 구성하는 것과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서로 접하며 연결하여 유닛화된 상태의 기둥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하나의 기둥부재와 크로스바 및 수평연결보를 하나의 고정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리벳 연결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유닛화한 후 크로스바 및 수평연결보를 두개의 고정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리벳 연결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기둥부재와 기둥부재간을 연결하는 수평연결보의 리벳 고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다수의 기둥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하며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창고 구조물을 제공하되, 각 구조물들을 상호 연결하는 수단을 기존의 용접 방식에서 탈피하여 리벳 방식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먼저, 자동창고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종래의 구조들과 유사성을 갖게 되는데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부재(100)들이 복수개 설치되고 그 기둥부재(100)들을 수평방향으로 구획하는 화물적재보(200)가 수직상 이격 구성되는 유닛화된 구조물들이 전후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 창고 형태의 프레임을 이루는 랙(Rack)(10)을 일정 영역 범위내에서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랙(Rack)은 자동창고에서 전체적인 철골구조물들을 일컫는 통상적인 의미를 일컫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는데, 통상 일열로 배열되는 기둥부재(100)와 일정폭을 갖으며 이격되는 기둥부재(100) 및 그 기둥부재(100)들을 수평 연결하는 화물적재보(200)로 이루어지는 단위 형태의 구조물을 랙(Rack)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부재(100)들은 한 조를 이루며 상호 이격되는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선상 구획되는 화물적재보(200)들에 의해 상하 이격 구획되어 적치물들이 운반되어 적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한 조의 기둥부재(100)들이 하나의 유닛을 이루는 랙(Rack)과 랙(Rack) 사이의 통로에 설치되어 화물의 반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스태커크레인이 구비된다.
통상적인 자동창고를 이루는 랙(Rack)들의 조합 및 연결에 의해 전체적으로 설정 영역 범위내에서 자동창고 프레임 형태를 이루게 되고, 화물적재보(200)에 화물들을 적치하거나 또는 이미 적치된 화물들을 화물적재보(200)에서 인출하여 외부로 반출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각 구조물들의 원자재를 이루는 요소들은 모두 고강도 아연도금 강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포스코에서 제조 생산되는 모델명 posh540 HG 및 posh690 HG 를 채택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채택되는 고강도 아연도금 강재는 70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이루는 것이며, 인장강도 대비 중량은 경량화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자동 창고 구조물의 안정성과 원자재의 운반 효율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특성들을 갖는 원자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의 기둥부재(100), 화물적재보(200) 및 크로스바(300)등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둥부재(100)는 자동창고를 이루는 공간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상태로 고정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각형태를 이루는 각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굽힘응력이나 휨응력 등의 스트레스와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둥부재(100)들을 상호 접하며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기둥부재(100)들의 전후면에는 각각 기둥연결플레이트(110)를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기둥부재(100)들과 기둥연결플레이트(110)들을 리벳 고정하게 된다.
기둥부재(100)의 하단부는 바닥면(1)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데, 도 2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다수개로 접하여 하나의 기둥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하단부에 바닥면(1)과 접하는 평플레이트(120)를 구성하고 그 평플레이트(120) 상면과 접하며 상기 다수개의 기둥부재(100) 하단 측면과 접하는 것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는 'ㄴ'자 절곡형연결부재(130)를 이용하여 상기 기둥부재(100)의 하단부측과 리벳 고정하고, 상기 평플레이트(120)와 앙카볼트(121)에 의해 바닥면(1)과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기둥부재(100)의 한정적 길이에 의해 자동창고를 구성하는 전체 철골 구조물의 높이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상하 연결하게 되는데,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하로 이루어지며 연결되기 위한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 서로 접하는 부위에 연결플레이트(140)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40)와 상하로 이루어지는 기둥부재(100)들의 단부측과 'ㄴ'자절곡형연결부재(130)를 이용하여 상호 리벳 연결하며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기둥부재(100)들의 상하 연결과 달리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들을 좌우로 연결하는 수평연결보(400)를 구성하게 되는데, 도 8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수평선상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 기둥부재(100)의 소정 위치 전면부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는 전면플레이트(150)를 위치시켜 상기 기둥부재(100)의 전면에 천공되는 구멍들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리벳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50)를 따라 횡단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수평연결보(400)를 상기 전면플레이트(150)의 다수 천공되는 구멍과 일치되는 위치의 구멍을 이용하여 리벳 연결하며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전면플레이트(150)와 수평연결보(400)간의 접하는 부위에 충격 완화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완충재(141)를 게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재(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둥부재(100)들을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도 4 내지 도 5 에서 보는 것과 같은 형태로 기둥부재(100)들을 형성하고 그 유닛화된 기둥부재(100)의 전면측 설정 위치에 전술한 수평연결보(400)를 전면플레이트(150)를 이용하여 리벳 연결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기둥부재(100)와 수평연결보(400)를 이용하여 자동창고를 이루는 매트릭스 형태의 철골구조물에서 화물들의 적치를 위해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로 이루어지는 랙(Rack)을 횡단하며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화물적재보(20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화물적재보(200)는 기둥부재(100) 상하로 적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기둥부재(100) 내부를 구획하는 횡간보를 리벳 연결한 후 그 횡간보 상면에 화물적재보(200)를 안착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부재(100) 내부를 구획하여 기둥부재(100)와 화물적재보(200) 단부간을 리벳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적치되는 화물의 중량 및 전체적인 하중 계산에 의해 화물적재보(200)로만 기둥부재(100)에 상하 이격되며 리벳 연결되거나 또는 적치 화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유효하게 견딜 수 있도록 전술한 횡간보를 이용하여 화물적재보(200)를 고정 지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되는 저장공간의 용도 및 적치 화물의 종류와 하중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둥부재(100)의 간격을 유지하며 전체 구조물 및 적치 화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과 이들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응력(스트레스)들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며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은 크로스바(300)를 이용하여, 기둥부재(100)와 인접되는 또다른 기둥부재(100)간 외측을 크로스 연결하게 된다.
이를 위한 크로스바(300)와 기둥부재(100)간의 연결 결합 구조도 리벳 이음 방식을 통하여 연결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은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를 크로스바(300)를 이용하여 크로스 연결하는 일예시도들로, 기둥부재(100) 일면에 다각형태로 이루어지며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는 고정연결플레이트(160)를 이용하여 상기한 구멍들과 기둥부재(100) 및 크로스바(300) 단부에 천공되는 구멍들을 일치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 후 리벳 연결 하게 된다.
상기 고정연결플레이트(160)는 기둥부재(100)와 수평연결보(400)의 배열 및 결합상태에 따라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수 있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 하중 및 응력을 고려하여 선택, 실시가능하다.
일예로, 도 6 등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둥부재(100)가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 그 기둥부재(100)의 측면에 하나의 고정연결플레이트(160) 일단부를 리벳 고정하고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타측인 본체의 중앙으로는 수평연결보(400)를 리벳 고정하고 본체에서 일정각도로 활개 되는 방향으로 크로스바(300) 단부를 리벳 고정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 에서와 같이 기둥부재(100)가 다수를 이루며 유닛화된 형태를 취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연결플레이트(16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7 에서 보듯이 두 개의 고정연결플레이트(160)를 한 조로 구성하여 크로스바(300)를 기둥부재(100)와 리벳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고정연결플레이트(16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수평 연결하는 수평연결보(400)는 상기 기둥부재(100)와 리벳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고정연결플레이트(16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둥부재(100)와 수평연결보(400)의 연결을 위한 가교 역할을 하게 된다.
전체 구조물에서 발생 되는 응력 및 하중이 고정연결플레이트(160)에 집중적으로 발생되므로 하중 발생분포 및 응력 분포를 고려하여 고정연결플레이트(160)를 하나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두개의 고정연결플레이트(160)를 이용하여 크로스바(300)와 기둥부재(100)를 각각 리벳 연결하고, 수평연결보(400)는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직접 리벳 연결하여 전체 구조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 및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자동창고를 구성하기 위하여 랙(Rack)을 이루는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상호 연결하고, 각 기둥부재(100)들을 크로스 연결하며,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수평 연결하는 구성요소들을 기존의 용접 고정 방식에서 탈피하여 리벳 고정 구조를 채택, 실시하게 되므로서, 전체적인 구조물의 안정적 설치 작업이 가능하고 원자재의 운반 및 이송시 발생될 수 있는 훼손 등을 피할 수 있고, 용융아연도금이 된 상태로 공급되는 원자재에 의해 기존 원자재 대비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경량화의 달성과 품질 유지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설치시 소요되는 공기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바닥면 10; 랙
100; 기둥부재 110; 기둥연결부재
120; 평플레이트 121; 앙카볼트
130; 'ㄴ'자절곡형연결부재 140; 연결플레이트
141; 완충재 150; 전면플레이트
160; 고정연결플레이트 200; 화물적재보
300; 크로스바 400; 수평연결보

Claims (7)

  1.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부재(100)들이 유닛화되어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100)를 상하 구획하며 적치물의 적치가능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화물적재보(200)가 다단 설치되며 전체적인 철골 구조물을 이루는 랙(Rack)(10)을 형성하며 설정 공간 영역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 및 하물적재보간(200)을 크로스바(300)들이 상호 연결되는 자동창고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이루는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수평 연결하는 수평연결보(400)의 접촉 부위와,
    상기 각각의 기둥부재(100)들의 전후면에는 각각 기둥연결플레이트(110)를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기둥부재(100)들과 기둥연결플레이트(110)들이 접하는 접촉 부위와,
    상기 화물적재보(200)의 단부와 상기 기둥부재(100) 접촉부위 및,
    상기 크로스바(300)의 단부측과 접하는 기둥부재(100)간을 각각 리벳고정하여, 상기 자동창고 철골프레임을 전체적으로 리벳 고정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00)의 하단부는 바닥면(1)과 접하는 평플레이트(120)를 구성하고 상기 평플레이트(120) 상면과 접하며 상기 다수개의 기둥부재(100) 하단 측면과 접하는 것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는 'ㄴ'자 절곡형연결부재(130)를 이용하여 상기 기둥부재(100)의 하단부측과 리벳 고정하고, 상기 평플레이트(120)와 앙카볼트(121)에 의해 바닥면(1)과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창고를 구성하는 전체 철골 구조물의 높이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을 상하 연결되기 위한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간 서로 접하는 부위에 연결플레이트(140)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40)와 상하로 이루어지는 기둥부재(100)들의 단부측과 'ㄴ'자절곡형연결부재(130)를 이용하여 상호 리벳 연결하며 체결되며 연장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00)와 기둥부재(100)들을 수평연결보(400)를 이용하여 좌우로 연결하되, 각 기둥부재(100)의 설정 위치 전면부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는 전면플레이트(150)를 리벳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50)를 따라 횡단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수평연결보(400)를 상기 전면플레이트(150)의 다수 천공되는 구멍과 일치되는 위치의 구멍을 이용하여 리벳 연결하며 결합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50)와 수평연결보(400)간의 접하는 부위에 완충재(141)를 게재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구조.

  6. 삭제
  7. 삭제
KR1020170035062A 2017-03-21 2017-03-21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KR10191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62A KR101919458B1 (ko) 2017-03-21 2017-03-21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62A KR101919458B1 (ko) 2017-03-21 2017-03-21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54A KR20180106554A (ko) 2018-10-01
KR101919458B1 true KR101919458B1 (ko) 2018-11-19

Family

ID=6387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062A KR101919458B1 (ko) 2017-03-21 2017-03-21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4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165B2 (ja) * 1996-12-20 2002-01-0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棚
KR200392545Y1 (ko) * 2005-05-12 2005-08-19 솔토스홈즈(주)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용 고정받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165B2 (ja) * 1996-12-20 2002-01-0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棚
KR200392545Y1 (ko) * 2005-05-12 2005-08-19 솔토스홈즈(주)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용 고정받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54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308B1 (ko) 화물 자동화창고
US11794950B2 (en) Structure for automated pallet storage and retrieval
ES2950641T3 (es) Conjunto de almacenamiento de estructura de acero de base intercambiable
MX2012006455A (es) Poste de refuerzo para estructura de estante de plataformas y estante de plataformas que lo incorpora.
KR20100077853A (ko) 원통형화물의 보관랙
KR101919458B1 (ko) 무용접 리베팅 구조에 의한 자동창고
KR200183956Y1 (ko) 자동화 창고의 화물보관용 가대
CN207510951U (zh) 一种新型结构金属托盘
CN105600181A (zh) 一种总段组装运输平台
KR101602787B1 (ko) 합성목을 이용한 팔레트
KR20200016022A (ko) 팔레트랙 연결용 체결프레임
KR101553614B1 (ko) 물류창고용 콘크리트 적층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95714A (ko) 원통형화물의 보관랙
CN100546883C (zh) 一种托盘和利用其堆码货物的方法
KR200393370Y1 (ko) 철제 팔레트
CN210503887U (zh) 裙板存放架
CZ290134B6 (cs) Stojan na skladování a/nebo přepravu svazků skleněných tabulí
CN211078139U (zh) 一种轧机机架包装运输支吊架
CN219362142U (zh) 托举货架
JPH0542020A (ja) 建築用パイプ整理棚
CN215247314U (zh) 一种具有加强结构的穿梭式货架
CN217881736U (zh) 一种电池架
KR20120137977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적재용 랙 구조물
CN211704149U (zh) 一种高承载建材类货架
JP2021059434A (ja) 支柱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