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113B1 - 오버헤드 도어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도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7113B1 KR101547113B1 KR1020130167945A KR20130167945A KR101547113B1 KR 101547113 B1 KR101547113 B1 KR 101547113B1 KR 1020130167945 A KR1020130167945 A KR 1020130167945A KR 20130167945 A KR20130167945 A KR 20130167945A KR 101547113 B1 KR101547113 B1 KR 101547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belt
- spool
- coupled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헤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된 두 가이드레일; 상기 두 가이드레일 사이 배치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된 스풀; 및 상기 일단부가 상기 스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셔터의 하단부에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버헤드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버헤드 도어에 의하면, 셔터의 개폐 동작이 벨트가 스풀에 감기거나 풀리게 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셔터의 개폐 동작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며, 정숙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된 두 가이드레일; 상기 두 가이드레일 사이 배치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된 스풀; 및 상기 일단부가 상기 스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셔터의 하단부에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버헤드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버헤드 도어에 의하면, 셔터의 개폐 동작이 벨트가 스풀에 감기거나 풀리게 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셔터의 개폐 동작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며, 정숙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버헤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셔터의 개폐 동작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며, 정숙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버헤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오버헤드 도어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9647호(2013.08.23.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오버헤드 셔터의 구동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경첩에 의하여 접철되는 다수의 셔터판이 연결된 셔터를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의 양측에 축 결합된 스프로켓에 감기면서 끝단이 셔터 하부 양 측단에 연결 고정되는 체인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오버헤드 셔터에 있어서,
상기 체인이 연결 고정된 셔터 하부 양 측단과 상기 스프로켓 사이에는 체인가동로 수정아이들러를 고정하여 설치하되,
상기 체인은 상기 스프로켓과 상기 체인가동로 수정아이들러 사이에 엇갈리게 걸리도록 설치하며,
상기 스프로켓의 외곽과 상기 셔터 하부 양 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의 경로가 상기 스프로켓의 수직 하방 쪽을 향하여 밀려들어 가도록 상기 체인가동로 수정아이들러의 체인이 걸리는 외곽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체인이 가이드레일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셔터의 권취작동시 체인이 가이드레일과 닿아 발생하는 작동불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체인가동로 수정아이들러를 구비하여 체인이 가이드레일에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셔터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체인에서 셔터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가 스프로켓을 지나 하측으로 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체인의 늘어진 단부가 셔터의 개폐 동작시 요동치게 됨으로써, 셔터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셔터의 개폐 속도를 저속으로 제한할 수밖에 없는 바, 셔터의 신속한 개폐동작이 요구되는 장소(예 : 소방서의 차고 등)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과 같은 종래의 오버헤드 도어에 의하면,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개방된 셔터의 하측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셔터의 폐쇄 동작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센서가 항상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개방된 셔터의 하측에 센서가 장착된 위치를 벗어난 장애물이 발생할 경우 셔터의 폐쇄 동작을 제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셔터의 작동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셔터의 개폐 동작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며, 정숙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버헤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애물의 감지를 위한 센서가 셔터의 개폐 동작을 따라 변위되도록 함으로써, 셔터의 폐쇄 동작이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버헤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버헤드 도어는,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된 두 가이드레일;
상기 두 가이드레일 사이 배치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된 스풀; 및
상기 일단부가 상기 스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셔터의 하단부에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셔터의 개방시 상기 벨트는 상기 스풀에 감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오버헤드 도어는,
상기 셔터의 폐쇄시 셔터 하측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싱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유닛은
하방 개방된 수용공간부를 갖고, 상기 셔터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커버;
상기 각 커버의 수용공간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로드; 그리고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각 승강로드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투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진 장애물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셔터의 개방시 셔터의 하측으로 노출되고, 셔터의 폐쇄시 바닥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수용공간부로 진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버헤드 도어는,
셔터의 개폐 동작이 벨트가 스풀에 감기거나 풀리게 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셔터의 개폐 동작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며, 정숙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물감지센서가 셔터의 하측에 배치되되 셔터의 개폐 동작을 따라 변위됨으로써, 셔터의 폐쇄 동작이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버헤드 도어의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버헤드 도어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버헤드 도어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버헤드 도어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버헤드 도어의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버헤드 도어는 크게 가이드레일(100), 셔터(200), 구동축(300), 스풀(400), 벨트(500), 센싱유닛(700) 및 차량감지센서(80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가이드레일(100)은 두 개가 구비되어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된다.
각 가이드레일(100)은 수직구간(120), 이 수직구간(120)에의 상단부에 연결된 수평구간(130), 그리고 수직구간(120) 및 수평구간(130)을 연결하는 곡선구간(14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가이드레일(100)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가이드레일(100)의 경로를 따라 요입(凹入)된 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 즉, 가이드홈(110)은 가이드레일(100)의 경로를 따라 후술될 셔터(200)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셔터(shutter, 200)는 다수의 셔터패널(200a)이 상하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각 셔터패널(200a)은 경첩에 의해 상호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각 셔터패널(200a)의 양측에는 각 가이드레일(100)의 가이드홈(110)을 향해 돌출된 연결축(210)과, 이 연결축(210)의 단부에 결합되어 가이드홈(110)에 배치되는 롤러(22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셔터(200)는 각 셔터패널(200a)이 상호 회동되며 가이드레일(100)의 곡선구간(140)을 지나는 동작에 의하여, 가이드레일(100)의 수직구간(120)에서 수평구간(130)으로, 또는 수평구간(130)에서 수직구간(120)으로 이동하며 개폐 동작하게 된다.
구동축(300)은 두 가이드레일(100)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가이드레일(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연결된 구동모터(31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모터(310)는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러(900, '도 3' 참조)와 연결되어, 이 컨트롤러(9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스풀(spool, 400)은 구동축(3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스풀(400)은 원통형의 배럴(barrel, 410)과, 이 배럴(410)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310)에 의해 구축동(30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벨트(500)는 일단부가 스풀(4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셔터(200)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벨트(500)는 스풀(400)의 배럴(410)과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벨트(500)의 일단부는 스풀(400)이 헛돌지 않고 벨트(500)를 감아 올릴 수 있도록 배럴(410)에 직접 고정된다. 이에 따라 벨트(500)는 스풀(400)의 회전시 하나의 두루마리 형태로 겹겹이 감기게 된다.
그리고 벨트(500)의 타단부는 별도의 중계부재(600)에 의해 셔터(200)의 하단부, 즉 각 셔터패널(200a) 중 최하측에 배치된 셔터패널(200a)에 형성된 연결축(2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중계부재(600)는 일단부가 연결축(2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벨트(50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셔터(200)와 벨트(500)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오버헤드 도어는 셔터(200)의 개폐 동작이 벨트(500)가 스풀(400)에 감기거나 풀리게 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셔터의 개폐 동작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며, 정숙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오버헤드 도어는 셔터(200)의 개방시 벨트(500)가 스풀(400)에 감기게 됨에 따라, 셔터(200)의 개폐 동작시 벨트(500)가 요동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셔터(200)의 개폐 동작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부재(600)는
하단부가 셔터(200)의 연결축(210)에 결합되고, 상면에 하방 요입 형성된 암나사부(611)를 갖는 고정블록(610);
상단부에 벨트(500)가 고정되는 결합부(621)와, 하단부에 상하 관통 형성된 체결공(622)을 갖고, 고정블록(6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클(620); 그리고
버클(620)의 체결공(622)을 지나 고정블록(610)의 암나사부(6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셔터(200)의 연결축(210)에 고정블록(610)을 결합하고, 벨트(500)의 타단부에 버클(620)을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볼트(630)를 버클(620)의 체결공(622)을 지나도록 고정블록(610)의 암나사부(611)에 체결함으로써 셔터(200)와 벨트(50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볼트(630)가 암나사부(611)에 체결된 깊이를 조절하여 고정블록(610)과 버클(6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셔터(2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벨트(50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벨트(5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센싱유닛(700)은 셔터(200)의 폐쇄시 셔터(200) 하측의 장애물을 감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하방 개방된 수용공간부(711)를 갖고, 셔터(200)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커버(710);
각 커버(710)의 수용공간부(711)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로드(720); 그리고
각 승강로드(720)의 하단부에 설치된 장애물감지센서(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버(7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셔터(200)의 외곽을 이루는 프레임에 수용공간부(711)를 마련함으로써 프레임과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승강로드(720)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커버(710)의 수용공간부(711)에 상하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된다.
승강로드(720)는 셔터(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하여 셔터(200)의 하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승강로드(7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721) 등을 형성시킴으로써, 수용공간부(7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승강로드(720)의 하강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버(710)의 수용공간부(711)에는 승강로드(720)를 하방 가압하게 되는 스프링(740)이 구비될 수 있다.
장애물감지센서(730)는 투광부(731, '도 2' 참조) 및 수광부(732, '도 2' 참조)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하도록 각 승강로드(720)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장애물감지센서(730)는 구동모터(310)와 마찬가지로 컨트롤러(90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투광부(731) 및 수광부(732) 사이의 장애물 유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900)에 전송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센싱유닛(700)에 의하면, 장애물감지센서(730)가 셔터(200)의 하측에 배치되되 셔터(200)의 개폐 동작을 따라 변위됨으로써, 장애물이 셔터(200)의 하측 어디에 위치하든 간에 셔터(200)를 장애물과의 충돌 전에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셔터(200)의 폐쇄 동작이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셔터(200)가 완전히 폐쇄되면, 승강로드(720)는 바닥에 접한 상태에서 커버(710)의 수용공간부(711)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장애물감지센서(730)는 승강로드(720)와 함께 상승하여 셔터(200)의 하단부를 감지하게 되고, 따라서 컨트롤러(900)는 셔터(200)의 폐쇄가 완료되면 구동모터(310)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차량감지센서(8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코일(loop coil) 또는 지자기센서(geomagnetic sensor)로 이루어져 셔터(200)의 전방 및 후방 바닥에 매설된다.
차량감지센서(800)는 셔터(200)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900)에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컨트롤러(900)는 구동모터(310)를 작동시켜 셔터(20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오버헤드 도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이드레일
110 ; 가이드홈 120 ; 수직구간
130 ; 수평구간 140 ; 곡선구간
200 ; 셔터
210 ; 연결축 220 ; 롤러
300 ; 구동축
310 ; 구동모터
400 ; 스풀
410 ; 배럴 420 ; 플랜지
500 ; 벨트
600 ; 중계부재
610 ; 고정블록 620 ; 버클
630 ; 고정볼트
700 ; 센싱유닛
710 ; 커버 720 ; 승강로드
730 ; 장애물감지센서 740 ; 스프링
800 ; 차량감지센서
900 ; 컨트롤러
110 ; 가이드홈 120 ; 수직구간
130 ; 수평구간 140 ; 곡선구간
200 ; 셔터
210 ; 연결축 220 ; 롤러
300 ; 구동축
310 ; 구동모터
400 ; 스풀
410 ; 배럴 420 ; 플랜지
500 ; 벨트
600 ; 중계부재
610 ; 고정블록 620 ; 버클
630 ; 고정볼트
700 ; 센싱유닛
710 ; 커버 720 ; 승강로드
730 ; 장애물감지센서 740 ; 스프링
800 ; 차량감지센서
900 ; 컨트롤러
Claims (5)
-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된 두 가이드레일(100);
상기 두 가이드레일(100) 사이 배치되고,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상하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200);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모터(3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300);
상기 구동축(300)의 단부에 결합된 스풀(400); 및
일단부가 상기 스풀(4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셔터(200)의 하단부에 연결된 벨트(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가이드레일(100)에는 상기 셔터(200)를 향해 개방되되, 가이드레일(100)의 경로를 따라 요입된 가이드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셔터(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10)을 향해 돌출된 연결축(210), 그리고 상기 연결축(2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10)에 배치되는 롤러(220)가 형성되며,
상기 셔터(200)와 상기 벨트(500)는 일단부가 상기 연결축(2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벨트(5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중계부재(60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중계부재(600)는
하단부가 상기 셔터(200)의 연결축(210)에 결합되고, 상면에 하방 요입 형성된 암나사부(611)를 갖는 고정블록(610);
상단부에 상기 벨트(500)가 고정되는 결합부(621)와, 하단부에 상하 관통 형성된 체결공(622)을 갖고, 상기 고정블록(6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클(620); 그리고
상기 버클(620)의 체결공(622)을 지나 상기 고정블록(610)의 암나사부(6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200)의 폐쇄시 셔터(200) 하측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싱유닛(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유닛(700)은
하방 개방된 수용공간부(711)를 갖고, 상기 셔터(200)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커버(710);
상기 각 커버(710)의 수용공간부(711)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로드(720); 그리고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각 승강로드(720)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투광부(731) 및 수광부(732)로 이루어진 장애물감지센서(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승강로드(720)는 상기 셔터(200)의 개방시 셔터(200)의 하측으로 노출되고, 셔터(200)의 폐쇄시 바닥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710)의 수용공간부(711)로 진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200)의 전방 및 후방 바닥에 설치된 차량감지센서(8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945A KR101547113B1 (ko) | 2013-12-31 | 2013-12-31 | 오버헤드 도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945A KR101547113B1 (ko) | 2013-12-31 | 2013-12-31 | 오버헤드 도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8518A KR20150078518A (ko) | 2015-07-08 |
KR101547113B1 true KR101547113B1 (ko) | 2015-09-04 |
Family
ID=5379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7945A KR101547113B1 (ko) | 2013-12-31 | 2013-12-31 | 오버헤드 도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711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5679A (ko) | 2022-01-27 | 2023-08-03 | 주식회사 코아드 |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4535B1 (ko) * | 2022-07-25 | 2023-02-06 | 주식회사 타이가 | 다중 개폐도어를 갖는 에어돔건축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82954A (ja) | 2001-09-12 | 2003-03-19 | Isel Co Ltd | シャッタ |
JP2011220052A (ja) | 2010-04-13 | 2011-11-04 | Bunka Shutter Co Ltd | 開閉装置 |
-
2013
- 2013-12-31 KR KR1020130167945A patent/KR1015471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82954A (ja) | 2001-09-12 | 2003-03-19 | Isel Co Ltd | シャッタ |
JP2011220052A (ja) | 2010-04-13 | 2011-11-04 | Bunka Shutter Co Ltd | 開閉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5679A (ko) | 2022-01-27 | 2023-08-03 | 주식회사 코아드 |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8518A (ko) | 2015-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01227B2 (ja) | 開閉装置 | |
US8955648B1 (en) | Motor home dumbwaiter | |
KR101547113B1 (ko) | 오버헤드 도어 | |
AU2013351491B2 (en) | Roller gate having a door leaf in the form of a flexible curtain | |
KR101142521B1 (ko) | 다중 슬라이딩 자동문 | |
JP6651307B2 (ja) | 開閉装置 | |
KR101531701B1 (ko) |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 |
KR101850348B1 (ko) | 나선형 롤링 도어 | |
KR100873175B1 (ko) | 주차장치 | |
JP6951966B2 (ja) | 駐車装置 | |
JP6047613B2 (ja) | 開閉装置の開閉体停止装置 | |
JP2019120000A (ja) |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 | |
KR101992636B1 (ko) | 캔버스도어의 문 추락방지 장치 | |
KR101608150B1 (ko) |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허니콤 블라인드 | |
JP2014231421A (ja) | エレベータ用出入口装置 | |
JP2013155020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装置 | |
JP2009108655A (ja) | ゲート | |
ITGO20080004A1 (it) | Serramento scorrevole con parapetto integrato a scomparsa | |
JP6225221B2 (ja) | 開閉装置の開閉体停止装置 | |
JP2007170101A (ja) | シャッタ装置 | |
JPH11229728A (ja) | シャッター装置 | |
CA2875026C (en) | Low headroom curtain riser for a roll-up door, and roll-up door using the same | |
JP2021004509A (ja) |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 | |
JP2004293251A (ja) | 開閉装置の不正開放監視装置 | |
JP2012180663A (ja) | 開閉装置の開閉体停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