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679A -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5679A KR20230115679A KR1020220012411A KR20220012411A KR20230115679A KR 20230115679 A KR20230115679 A KR 20230115679A KR 1020220012411 A KR1020220012411 A KR 1020220012411A KR 20220012411 A KR20220012411 A KR 20220012411A KR 20230115679 A KR20230115679 A KR 202301156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rail
- overhead
- interlock
- rail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06B3/483—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folding upwardly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여 이격된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의 상부에서 굴곡지게 연결된 오버헤드 도어 레일로 구성된 도어 레일부; 상기 오버헤드 도어 레일의 하부에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작업공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도어 레일의 위치에서 직립되어 상기 작업 공간의 차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도어 레일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연결된 복수의 평판들로 구성되는 도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버헤드 도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레일의 상부가 굴곡지게 연결되어 한통로에 있는 도어가 제1 방향에서 닫히면 제2 방향은 열린 상태가 되고 제1 방향에서 열리면 제2 방향은 닫힌 상태가 되어 인터락을 구현할 수 있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버헤드 도어(Overhead door)는 동력에 의해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로서, 통상 하나 또는 복수의 슬랫을 접철하거나 접지 않은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이며, '셔터', '스피드도어', '스태킹도어'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오버헤드 도어는 소방서 차고나 산업현장의 공장이나 창고의 차량출입구 등에 많이 설치되며, 개방시 도어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출입구 상부로 수납되므로 건물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버헤드 도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오버헤드 도어(10)는 도어(11)가 수직 트랙(13)을 따라 상승 후 가이드 수평 트랙(15)을 따라 수평으로 움직인다. 도어(11)의 양측에 롤러(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롤러가 회전하면서 도어(11)가 트랙(13,1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어(11)가 승강함에 따라 출입구가 개폐된다. 트랙(13,15)은 도어(11)의 양측에 형성된 롤러를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며 도어(11)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수직 트랙(13)은 도어(11)가 이동하는 출입구의 양측에 설치되며 가이드 수평 트랙(15)은 출입구의 천정을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수직 트랙(13)은 도어(11)가 용이하게 변곡되도록 상단 부근이 라운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 오버헤드 도어는 도어가 상승하고 수평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상단 부근에 수평 공간이 도어 높이 이상으로 많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 설치 제약이 있었다. 특히, 한통로에 두대의 오버헤드 도어를 설치하여 인터락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44416호 (2020.12.29)는 체인형 오버헤드도어에 관한 것으로, 서로 힌지 결합되고 양측에 롤러가 설치되며 승강함에 따라 출입문이 개폐되는 복수의 슬랫과, 상기 복수의 슬랫에 설치된 롤러를 가이드하도록 출입문의 양측과 천정을 따라 연장되는 트랙과, 상기 출입문의 상단을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에 스프라켓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모터와, 상부는 상기 샤프트의 스프라켓에 치합되고 하부는 출입문의 바닥에 구비된 아이들링 스프라켓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일부가 상기 슬랫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랫이 승강하도록 상기 출입문의 양측에 설치된 체인과, 상기 슬랫의 상승시 자중에 의한 부하를 줄여주기 위한 밸런싱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7113호 (2015.08.19)는 오버헤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된 두 가이드레일, 상기 두 가이드레일 사이 배치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된 스풀, 및 상기 일단부가 상기 스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셔터의 하단부에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어 레일의 상부가 굴곡지게 연결되어 한통로에 있는 도어가 제1 방향에서 닫히면 제2 방향은 열린 상태가 되고 제1 방향에서 열리면 제2 방향은 닫힌 상태가 되어 인터락을 구현할 수 있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버헤드 도어의 레일 하부에 작업공간을 형성하여 공간적 활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대의 오버헤드 도어로 두대의 효과를 내어 비용 절감 및 작업공간의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여 이격된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의 상부에서 굴곡지게 연결된 오버헤드 도어 레일로 구성된 도어 레일부; 상기 오버헤드 도어 레일의 하부에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작업공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도어 레일의 위치에서 직립되어 상기 작업 공간의 차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도어 레일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연결된 복수의 평판들로 구성되는 도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레일부는 상기 오버헤드 도어 레일의 폭을 상기 복수의 평판들 중 임의의 하나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 레일의 높이보다 높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굴곡 레일, 상기 제2 도어 레일의 높이보다 높은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굴곡 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 굴곡 레일들을 수평으로 연결한 수평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레일의 길이를 상기 제1 및 제2 굴곡 레일들의 길이들 각가보다 큰 길이를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제1 도어 레일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도어의 제1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도어 레일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상기 도어의 제2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도록 하여, 상기 작업공간에서 작업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상기 제1 또는 제2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교번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가 상기 바닥에 위치되지 않고 정지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작업충돌의 가능성을 검출하는 도어개폐 감지센서; 및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을 따라 설치된 레일 전극라인과의 접촉 유지 또는 접촉 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부의 이탈을 감지하는 도어이탈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는 작업공간부; 상기 작업공간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제1 또는 제2 위치를 락킹하여 상기 작업공간부를 상기 락킹의 반대 방향으로 오픈하는 도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도어부의 슬라이딩 왕복이동을 지원하는 도어 레일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는 도어 레일의 상부가 굴곡지게 연결되어 한통로에 있는 도어가 제1 방향에서 닫히면 제2 방향은 열린 상태가 되고 제1 방향에서 열리면 제2 방향은 닫힌 상태가 되어 인터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는 오버헤드 도어의 레일 하부에 작업공간을 형성하여 공간적 활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는 한대의 오버헤드 도어로 두대의 효과를 내어 비용 절감 및 작업공간의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버헤드 도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a-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의 인터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a-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의 인터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100)는 도어 레일부(110), 작업공간부(130) 및 도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레일부(110)는 두개가 구비되어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된다. 각 도어 레일부(110)는 도 3과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여 이격된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111a,111b)과,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111a,111b)의 상부에서 굴곡지게 연결된 오버헤드 도어 레일(113)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레일부(110)는 오버헤드 도어 레일(113)의 폭을 도어부(150)을 구성하는 복수의 평판들 중 임의의 하나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버헤드 도어 레일(113)은 제1 도어 레일(111a)의 높이보다 높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굴곡 레일(113a)과 제2 도어 레일(111b)의 높이보다 높은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굴곡 레일(113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버헤드 도어 레일(113)은 제1 및 제2 굴곡 레일들(113a,113b)을 수평으로 연결한 수평 레일(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레일부(110)은 도어부(150)을 구성하는 복수의 평판들이 일측 도어 레일에서 대향하는 다른 일측 도어 레일로 용이하게 절곡되어 이동되도록 수평 레일(113c)의 길이를 제1 및 제2 굴곡 레일들(113a,113b)의 길이들 각각보다 큰 길이를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작업공간부(130)은 오버헤드 도어 레일(113)의 하부에서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부(150)는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111a,111b)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또는 제2 도어 레일(111a,111b)의 위치에서 직립되어 작업 공간의 차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어부(150)는 제1 또는 제2 도어 레일(111a,111b)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연결된 복수의 평판들(151)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평판들(151)은 힌지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평편들(151) 사이에는 유연한 가스켓이 서로 요철(凹凸) 형태로 맞물려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어부(150)는 복수의 평판들(151)이 상호 회동되며 도어 레일부(110)의 오버헤드 도어 레일(113)을 지나는 동작에 의하여 인터락을 구현하게 된다.
도어부(150)는 작업공간부(130)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제1 또는 제2 위치를 락킹하여 작업공간부(130)를 락킹의 반대 방향으로 오픈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부(150)는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도어 레일부(110)를 통해 슬라이딩 왕복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부(150)는 제1 도어 레일(111a)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도어의 제1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도록 하고 제2 도어 레일(111b)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도어의 제2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도록 하여, 작업공간에서 작업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제1 또는 제2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교번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부(150)는 도어의 정지 오류를 감지하기 위해 도어개폐 감지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개폐 감지센서(153)는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111a,111b)의 바닥에 설치되어 도어가 바닥에 위치되지 않고 정지되는 것을 검출하여 작업충돌의 가능성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개폐 감지센서(153)는 도어가 작업자가 있는 제1 위치의 바닥 또는 제2 위치의 바닥에서 정지하지 않고 양쪽이 열려진 상태로 멈추는 경우를 검출하여 제1 및 제2 위치에 있는 작업자들 간에 작업충돌 가능성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부(150)는 도어의 이탈을 감지하는 도어이탈 감지센서(1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이탈 감지센서(155)는 도어부(1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111a,111b)을 따라 설치된 레일 전극라인과의 접촉 유지 또는 접촉 해제를 감지하여 도어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도어 레일부(110)의 상부에는 구동축(170)이 배치된다. 구동축(170)은 두 도어 레일부(110)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도어 레일부(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구동축(170)은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111a,111b) 각각의 상단 부근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동축부재들(170a,170b)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170)은 제1 및 제2 구동축부재들(170a,170b) 중 하나의 구동축부재의 일측에 연결된 구동모터(171)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축부재(170a)의 일측에 구동모터(171)가 연결되어 구동모터(171)에 의해 제1 구동축부재(170a)가 회전하게 되고, 제2 구동축부재(170b)는 축회전하는 제1 구동축부재(170a)의 피동축으로 제1 구동축부재(170a)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구동모터(171)는 콘트롤러(200)와 연결되어, 이 콘트롤러(2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구동축(170)의 양단부에는 각각 케이블드럼(190)이 결합된다. 케이블드럼(190)은 구동모터(171)에 의해 구동축(17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케이블드럼(190)은 도어부(15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감아 올릴 수 있고, 이때 케이블은 케이블드럼(190)의 회전시 두루마지 형태로 겹겹이 감기게 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의 인터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장치(100)는 기존 오버헤드 도어(도 1의 10)와 다르게 전후로 이격 배치된 수직구간과 이 수직구간을 연결하는 곡선 구간을 포함하도록 도어 레일부(1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장치(100)는 도어 레일부(110)에 의해 작업공간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부(150)는 작업공간부(130)를 중심으로 제1 또는 제2 위치를 락킹하여 작업공간부(130)를 락킹의 반대 방향으로 오픈할 수 있다. 예컨대, 1층과 2층 경계에 있는 통로에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장치(100)를 설치할 경우, 1층과 2층 경계 통로에 작업공간을 형성하고 도어부(150)가 제1 또는 제2 도어 레일(111a,111b) 위치에서 직립하도록 하여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a의 경우, 도어부(150)가 도어 레일부(110)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도어 레일(111a) 위치에서 직립할 경우 아웃(OUT) 방향의 위치에서는 도어가 닫힌 상태가 되고 인(IN) 방향의 위치에서는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인(IN) 방향의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작업공간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공간으로의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인(IN) 방향의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작업 완료 후에 콘트롤러(20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71)를 동작시켜 작업공간의 차폐 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4b의 경우, 도어부(150)가 도어 레일부(110)을 따라 이동하여 제2 도어 레일(111b) 위치에서 직립할 경우 아웃(OUT) 방향의 위치에서는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고 인(IN) 방향의 위치에서는 도어가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아웃(OUT) 방향의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작업공간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하는 과정에서 인(IN) 방향의 작업자와 작업충돌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는 구동모터, 콘트롤러 및 도어부의 한세트를 공용화하여 인터락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부의 수평공간에 대해 점유면적을 줄여 공간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110: 도어 레일부
111a: 제1 도어 레일 111b: 제2 도어 레일
113: 오버헤드 도어 레일
113a: 제1 굴곡 레일 113b: 제2 굴곡 레일
113c: 수평 레일
130: 작업공간부 150: 도어부
151: 복수의 평판들 153: 도어개폐 감지센서
155: 도어이탈 감지센서
170: 구동축
170a: 제1 구동축부재 170b: 제2 구동축부재
171: 구동모터
190: 케이블드럼
200: 콘트롤러
110: 도어 레일부
111a: 제1 도어 레일 111b: 제2 도어 레일
113: 오버헤드 도어 레일
113a: 제1 굴곡 레일 113b: 제2 굴곡 레일
113c: 수평 레일
130: 작업공간부 150: 도어부
151: 복수의 평판들 153: 도어개폐 감지센서
155: 도어이탈 감지센서
170: 구동축
170a: 제1 구동축부재 170b: 제2 구동축부재
171: 구동모터
190: 케이블드럼
200: 콘트롤러
Claims (5)
-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여 이격된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의 상부에서 굴곡지게 연결된 오버헤드 도어 레일로 구성된 도어 레일부;
상기 오버헤드 도어 레일의 하부에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작업공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도어 레일의 위치에서 직립되어 상기 작업 공간의 차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도어 레일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연결된 복수의 평판들로 구성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레일부는
상기 오버헤드 도어 레일의 폭을 상기 복수의 평판들 중 임의의 하나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 레일의 높이보다 높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굴곡 레일, 상기 제2 도어 레일의 높이보다 높은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굴곡 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 굴곡 레일들을 수평으로 연결한 수평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레일의 길이를 상기 제1 및 제2 굴곡 레일들의 길이들 각가보다 큰 길이를 가지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제1 도어 레일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도어의 제1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도어 레일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상기 도어의 제2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도록 하여, 상기 작업공간에서 작업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상기 제1 또는 제2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교번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가 상기 바닥에 위치되지 않고 정지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작업충돌의 가능성을 검출하는 도어개폐 감지센서; 및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 레일들을 따라 설치된 레일 전극라인과의 접촉 유지 또는 접촉 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부의 이탈을 감지하는 도어이탈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작업공간부;
상기 작업공간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제1 또는 제2 위치를 락킹하여 상기 작업공간부를 상기 락킹의 반대 방향으로 오픈하는 도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도어부의 슬라이딩 왕복이동을 지원하는 도어 레일부를 포함하는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2411A KR20230115679A (ko) | 2022-01-27 | 2022-01-27 |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2411A KR20230115679A (ko) | 2022-01-27 | 2022-01-27 |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5679A true KR20230115679A (ko) | 2023-08-03 |
Family
ID=8756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2411A KR20230115679A (ko) | 2022-01-27 | 2022-01-27 |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15679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113B1 (ko) | 2013-12-31 | 2015-09-04 | 블루코스텍 주식회사 | 오버헤드 도어 |
KR20200144416A (ko) | 2019-06-18 | 2020-12-29 | 주식회사 대주엔터프라이즈 | 체인형 오버헤드도어 |
-
2022
- 2022-01-27 KR KR1020220012411A patent/KR2023011567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113B1 (ko) | 2013-12-31 | 2015-09-04 | 블루코스텍 주식회사 | 오버헤드 도어 |
KR20200144416A (ko) | 2019-06-18 | 2020-12-29 | 주식회사 대주엔터프라이즈 | 체인형 오버헤드도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11757B1 (en) | Door or gate closure | |
KR101111163B1 (ko) |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 |
US8307877B1 (en) | Two-sided fire door with single motor drive | |
KR20200050555A (ko) |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 |
KR101766914B1 (ko)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
US20060175027A1 (en) | Sectional door | |
KR20230115679A (ko) |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 |
JP5888712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570764B2 (ja) |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 |
CN206955404U (zh) | 电梯多功能防护门 | |
US3447637A (en) | Elevator system | |
JP2007099399A (ja) |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
KR101830828B1 (ko) | 엘리베이터용 다단 도어 장치 | |
JP2013189294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
JP4618628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07068913A (ja) |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 |
JP2011144007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
KR101260020B1 (ko) | 건축물 입구용 절첩 도어장치 | |
KR101794202B1 (ko)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
JP6300715B2 (ja) | エレベータ用足場装置 | |
JP6694598B2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 |
JP6710549B2 (ja) | エレベータ乗場扉用連動ロープの張力付与装置 | |
KR102580956B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용 도어의 구동시스템 | |
JP2019127359A (ja) | エレベータ | |
JP6881489B2 (ja) | 乗客用コンベアのマンホールカバー及びこれを具える乗客用コンベ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